KR102135852B1 - 광통신 구간의 광 선로거리 확장 및 단 파장의 광레벨 보상을 위한 정합 장치 - Google Patents

광통신 구간의 광 선로거리 확장 및 단 파장의 광레벨 보상을 위한 정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852B1
KR102135852B1 KR1020190055582A KR20190055582A KR102135852B1 KR 102135852 B1 KR102135852 B1 KR 102135852B1 KR 1020190055582 A KR1020190055582 A KR 1020190055582A KR 20190055582 A KR20190055582 A KR 20190055582A KR 102135852 B1 KR102135852 B1 KR 102135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change module
wavelength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2229A (ko
Inventor
조영포
유진구
이민우
하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90132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유선 인터넷 광 케이블을 이용하여 무선 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합 장치로서, AP와 유선으로 연결된 무선 장치로부터 제1 파장의 광 신호를 수신하면,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신호 변경 모듈, 그리고 제1 신호 변경 모듈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전기적 신호를 제1 파장과는 상이한 제2 파장의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 케이블에 연결된 광 분배기로 송출하는 제2 신호 변경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통신 구간의 광 선로거리 확장 및 단 파장의 광레벨 보상을 위한 정합 장치{RELAY DEVICE FOR EXTENSING OPTICAL DISTANCE IN OPTICAL COMMUNICATION AND COMPENSATING OPTICAL LEVEL OF SHORT WAVELENGTH}
본 발명은 광통신 구간의 광 선로거리 확장 및 단 파장의 광레벨 보상을 위한 정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 통신망은 다수의 광 신호(파장)를 동시에 증폭하여 전송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특정 서비스를 위한 또는 한 개의 광 신호만을 증폭하는 형태의 장치가 구현되어 있지 않다.
또한, 유·무선 서비스용 광 통신장치에 광 송수신을 위한 광 모듈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광 모듈은 광 통신장치의 보드에 내장되어, 탈거 및 교체가 불가능하고, 광 통신장치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는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 광 통신장치 및 현장 광통신 구축의 설치 환경이 광범위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광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망 설계와 구축에 한계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기존 방식은 광신호를 보상하기 위해 광 증폭기나 광 중계기 형태의 별도의 시스템을 설계하여야 한다. 이 경우, 별도의 시스템 구축에 대한 비용이 증가되며, 별도의 시스템 설치를 위해 설치 상면, 전원, 냉방 등 다양한 환경공사에 대한 비용도 증가한다.
또한, 광 증폭기나 광 중계기의 구축은 해당 광신호의 신호 속도나 프로토콜의 종류에 맞는 장치를 설치해야만 한다. 따라서 동일 제조사 또는 시스템에 맞는 장치를 설치해야만, 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선 인터넷망(FTTH: Fiber To The Home)을 공급하기 위한 원격 노드(RN: Remote Node) 구조의 광 케이블에, 무선 서비스용 장치를 수용하는 정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유선 인터넷 광 케이블을 이용하여 무선 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합 장치로서,
AP와 유선으로 연결된 무선 장치로부터 제1 파장의 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신호 변경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신호 변경 모듈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1 파장과는 상이한 제2 파장의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 케이블에 연결된 광 분배기로 송출하는 제2 신호 변경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 변경 모듈과 제2 신호 변경 모듈은 각각, 상기 제1 신호 변경 모듈과 제2 신호 변경 모듈이 연결되기 위하여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 변경 모듈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에서 저주파 노이즈를 필터링하고, 저주파 노이즈가 필터링 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2 신호 변경 모듈로 전달하는 노이즈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 변경 모듈에 포함된 SFP 소켓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신호 변경 모듈로 광 신호의 유입 여부에 따라 상기 SFP 소켓이 발생하는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1 신호 변경 모듈로의 광 신호 유입을 탐지하는 광 손실 탐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노드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광 손실을 보상할 수 있으며, 광 파장 변환도 가능하기 때문에 유선 인터넷용 광 케이블에 무선 서비스를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합장치의 설치를 통해, 광 레벨 보상, 광 신호 재생, 광 파장 변경, 광신호 거리 확장 등의 다양한 효과로, 광 통신망의 유연성과 비용절감을 할 수 있다.
또한, 시설에 기 구축된 시스템의 광신호 속도, 프로토콜, 제조사 등과 일치해야 하는 제약 없이도, 정합장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선 인터넷 광 케이블과 무선 서비스용 광 케이블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광 케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합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합 장치를 포함한 장치들 간의 지연을 비교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구간의 광 선로거리 확장 및 단 파장의 광레벨 보상을 위한 정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일반적인 유선 인터넷 광 케이블과 무선 서비스용 광 케이블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유선 인터넷 광 케이블과 무선 서비스용 광 케이블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의 (a)는 유선 인터넷 광 케이블의 구성 예시도이고, 도 1의 (b)는 무선 서비스용 광 케이블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의 (a)에 도시한 유선 인터넷 광 케이블 구성과 같이, 물리적으로 국사에 놓여 국사 내에 설치되어 백본망과 가입자망을 서로 연결하는 OLT(Optical Line Termination)(10)가 원격 유닛(20)과 한 코어의 광케이블로 연결된다. 원격 유닛(20)을 통해 N개의 분기 광케이블로 분기되어 광 모뎀(ONT: Optical Network Terminal)(또는 ONU)(30)들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N개의 광 모뎀(30)들이 하나의 광케이블을 공유하는 1:N 구조를 가지며, 광 모뎀(30)을 통해 PC와 같은 단말로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도 1의 (b)에 도시한 광 케이블 구성을 통해, 송신측 무선 장치(40)와 수신측 무선 장치(50) 사이에 전용 광 케이블(60)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수신측 무선 장치(50)로 광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광 케이블과 무선 서비스용 광 케이블은 혼용해서 사용될 수 없다. 그 이유는, 원격 노드(20)에 의한 광 손실로 인해, 무선 장치(40, 50)의 광 손실이 미리 정의해 놓은 손실 허용 범위를 초과하기 때문이다. 또한, 무선 장치(40, 50)의 광 손실의 손실 허용 범위 초과에 따라, 광 파장에 대한 중복에 의한 문제도 발생하기 때문에, 무선 서비스용 장치(40, 50)는 전용 광 케이블(60)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유·무선 서비스용 광 통신장치(10, 40)에는 각각 광 송수신을 위한 광 모듈(도면 미도시)이 부착되어 있다. 광 모듈은 광 통신 장치(10, 40)로부터 탈거 및 교체가 가능한 형태로 운용되고 있거나, 광 통신 장치(10, 40)의 보드에 내장되어 분리가 되지 않는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 이는 장치 및 현장 광통신 구축의 설치 환경이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망 설계 및 구축에 한계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광신호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광 증폭기나 광 중계기 와 같은 형태의 별도 시스템을 설계 하여야 한다. 별도 시스템 설계에 따라 구축 비용이 증가되고, 별도의 시스템 설치를 위해 설치 상면, 전원, 냉방 등의 다양한 환경공사에 대한 비용도 증가된다.
비용의 증가 이외에도, 별도 시스템의 구축은 광신호의 신호속도, 프로토콜의 종류에 맞는 시스템이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별도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하여 광 통신을 위한 시스템과 동일한 제조사 또는 시스템에 맞는 별도 시스템을 설치해야만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광 모듈의 광 신호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는 특성을 활용하여, 두 개의 광 모듈을 상호 송, 수신 결합하는 장치인 정합 장치를 이용하여, 기존의 증폭기 또는 중계기 형태의 장치를 대체한다. 이에 대해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광 케이블의 예시도이다.
기존의 광 통신장치의 광 모듈은 교체형 및 고정형이 있는데, 이 모두를 변경하지 않고도 사용하는 신호속도, 프로토콜에 관계없이 광 신호 보상으로 거리 확장 또는 레벨 보상, 파장 변환을 할 수 있도록 정합 장치(100)를 사용한다. 이는 무선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치도 별도의 전용 광 케이블이 아닌, 원격 노드(20) 구조의 광 케이블을 이용해서 서비스를 할 수 있으며, 원격 노드(20) 구조가 아니더라도 또 다른 구조의 광 케이블에 활용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LT(10)와 광 모뎀(30)을 사용하는 FTTH 구조의 광 케이블 구조를 이용하여, 제1 무선 장치(40)와 제2 무선 장치(50)에 무선 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합 장치(100)를 추가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무선 장치(40)를 송신측 무선 장치라 지칭하고, 제2 무선 장치(50)를 수신측 무선 장치라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정합 장치(100)와 원격 노드(20) 사이, 그리고 OLT(10)와 원격 노드(20) 사이에는 입력 광을 여러 도파로 또는 포트로 분리하는 광 분배기(200)가 연결되어 있다. 광 분배기(200')는 또한 원격 노드와 정합 장치(100') 또는 광 모뎀(30)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광 분배기(200, 200')의 기능은 이미 알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 분배기(200, 200')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광 분배기를 수용하는 원격 노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원격 노드(20) 구조의 광 케이블에 정합 장치(100)를 이용하여 무선 장치(40, 5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무선 통신망의 유연성 및 통신망 확장이 가능하다.
여기서, 두 개의 광 모듈을 송수신 결합하는 정합 장치(100)의 구조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합 장치(100)는 광 통신장치의 광 모듈의 광 신호/전기 신호 변환이 가능하다. 그리고 변환된 전기 신호의 신호 속도 및 프레임을 분석하던 기존의 광 중계기나, 특정 광파장 대역만 증폭이 가능하던 광 증폭기의 설치가 어려운 광 통신망에서, 신호 속도 및 프로토콜에 관계없이 광 신호 보상 및 광레벨 보상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광 통신망을 유연하게 구축하고 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합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 장치(100)는 제1 신호 변경 모듈(110), 제2 신호 변경 모듈(120), 노이즈 필터(130), 광 손실 탐지 모듈(140), 그리고 전원 공급 모듈(150)을 포함한다.
제1 신호 변경 모듈(110)과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은 정합 장치(100)로 광 신호가 입사되면,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꾼다. 또한, 제1 신호 변경 모듈(110)과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은 전기 신호를 입력으로 받으면 이를 광 신호로 변경한다. 이때, 제1 신호 변경 모듈(110)과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은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경할 때,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 광 통신 장치의 광 신호 파장과 상이한 파장을 갖도록 광 신호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유선 인터넷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광 신호의 파장이 1310nm라고 가정한다. AP(60)와 제1 무선 장치(40) 사이에는 유선 인터넷 서비스와 같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1310nm의 파장의 광 신호가 제1 무선 장치(40)로 전송된다.
그러나, 제1 무선 장치(40)에서 제2 무선 장치(50) 사이에는 RF로 신호가 전송된다. 따라서, 이 구간을 유선 연결 구간과 같은 파장으로 변경할 경우, 실제 유선 인터넷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광 신호의 파장과 중복되어, 광 파장 중복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신호 변경 모듈(110) 또는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은 전기 신호를 유선 인터넷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광 신호의 파장인 1310nm 파장과는 상이한 파장의 광 신호로 변경하여,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신호 변경 모듈(110) 또는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이 전기 신호를 1490nm 파장의 광 신호로 변경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신호 변경 모듈(110)과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이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경하거나,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경하는 방법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신호 변경 모듈(110)과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은 광 신호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를 변조하거나 다른 신호로 변경하지 않고, 출사되는 신호 변경 모듈(110, 120)의 전기 신호 입력 측으로 연결되어 광 신호로 출사하기 때문에,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경하거나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경하기 위해 소요되는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신호 변경 모듈(110)과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에는, 제1 신호 변경 모듈(110)과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을 연결하기 위한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소켓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SFP 소켓은 제1 신호 변경 모듈(110)과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이 연결되어 있는 구성 요서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변경 모듈(110)이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 AP(60)와 연결된 제1 무선 장치(40)이고, 제1 무선 장치(40)가 1 코어 방식으로 동작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제2 광 모듀(120)이 연결되어 있는 구성 요소가 광 분배기(200)이고, 광 분배기(200)가 2 코어 방식으로 동작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1 신호 변경 모듈(110)에 포함된 SFP 소켓은 1 코어,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에 포함된 SFP 소켓은 2 코어 방식으로 구성하여, 제1 신호 변경 모듈(110)로 유입되는 하나의 광 신호를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의 SPF 소켓을 통해 서로 다른 두 개의 광 파장을 가지는 광 신호들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1 코어는 송신과 수신을 하나의 광 선로로 처리하는 것이고, 2 코어는 수신과 송신을 상이한 광 선로로 처리하는 것으로, 이들 방식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SFP 소켓의 기능은 이미 알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SFP 소켓은 표준화된 범용적인 SFP 신호 변경 모듈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노이즈 필터(130)는 제1 신호 변경 모듈(110) 또는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입력으로 받고, 상대 신호 변경 모듈에 포함된 SFP 소켓에 전기 신호를 전달한다. 즉, 제1 신호 변경 모듈(110)의 경우에는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의 SFP 소켓으로,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의 경우에는 제1 신호 변경 모듈(110))의 SFP 소켓으로 전기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노이즈 필터(130)는 제1 신호 변경 모듈(110)과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에서 광 신호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로부터 저주파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여기서 필터링되는 저주파 노이즈의 기준은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노이즈 필터(130)가 노이즈를 필터링 하는 방법 역시 다양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광 손실 탐지 모듈(140)은 제1 신호 변경 모듈(110)과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에서 전기 신호에서 변환된 광 신호에 대한 광 손실 여부를 판별한다. 이를 위해, 광 손실 탐지 모듈(140)은 제1 신호 변경 모듈(110)과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SFP 소켓에 연결되어, SFP 소켓으로부터 광 신호가 유입되고 있는지 여부를 신호를 토대로, 광 신호가 신호 변경 모듈로 유입되고 있는지 유입되고 있지 않은지 확인한다. 광 손실 탐지 모듈(140)이 광 신호에 대한 광 손실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은 다양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전원 공급 모듈(150)은 제1 신호 변경 모듈(110)과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 모듈(150)이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이나, 공급하는 전원의 형태 등은 다양하므로,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전원 공급 모듈(150)은 제1 신호 변경 모듈(110)과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에 공급하는 전원에 의하여 신호 처리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전원을 안정화 시킨다. 전원 공급 모듈(150)이 전원을 안정화하여 제1 신호 변경 모듈(110)과 제2 신호 변경 모듈(120)에 공급하는 방법은 다양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정합 장치(100)를 이용하면, 광 파장과 광 레벨은 무선 장치 구간에서의 광 파장, 광 레벨과 정합 장치 구간에서의 광 파장 및 광 레벨이 다르게 구성된다. 따라서, FTTH 서비스용 광 케이블을 이용하더라도 무선 서비스에 대한 광 파장과 광 레벨이 상이하므로, 유·무선 서비스를 FTTH 서비스용 광 케이블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존 광 거리 확장 및 정합을 위한 장치(예를 들어, 중계기, 리피터)는 지연이 발생한다. 특히, 무선 통신망이 5G로 진화됨에 따른 지연 최소화를 위한 통신망 구축이 필요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광거리 확장을 위한 중계기는 구조상 지연이 발생될 수 밖에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합 장치(100)를 이용할 경우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전기 신호를 바로 신호 변경 모듈로 전달하기 때문에 정합 장치(100)에서의 지연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합 장치를 포함한 장치들 간의 지연을 비교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 장치(100)는 광 신호 전송을 위한 지연을 줄이기 위해, 신호 변경 모듈에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반대편 신호 변경 모듈로 전기 신호를 바로 전송할 수 있어,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연을 줄일 수 있다.
즉, A 국사와 B 국사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MSPP(Multi-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장치,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xing) 장치,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합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A 국사와 B 국사를 잇는 광 케이블의 길이는 왕복 60km에 달한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28Byte 길이의 광 프레임 신호와 1024Byte 길이의 광 프레임 신호를 A 국사에서 B 국사로 전송할 때의 지연과 B 국사에서 A 국사로 전송할 때의 지연을 측정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인 이론에 따르면 광 케이블 거리에 따른 지연은 km당 5㎲ 지연이 발생한다. 따라서, 왕복 60km에 달하는 A 국사와 B 국사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광 신호의 지연은 300㎲가 된다.
그러나, MSPP 구간에 송수신되는 광 신호의 지연을 측정한 결과, A 국사에서 B 국사 전송된 광 신호는 478㎲의 지연이 발생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B 국사에서 A 국사로 전송된 광 신호는 540㎲의 지연이 발생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WDM 구간에 송수신되는 광 신호의 지연을 측정한 결과, A 국사에서 B 국사 전송된 광 신호는 388㎲의 지연이 발생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B 국사에서 A 국사로 전송된 광 신호는 388㎲의 지연이 발생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MSPP 구간과 WDM 구간 모두 일반적인 광 케이블 거리에 따른 광 신호 지연인 300㎲보다 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정합 장치(100) 사이의 광 신호 송신에 따른 지연을 확인한 결과, A 국사에서 B 국사로 전송된 광 신호와, B 국사에서 A 국사로 전송된 광 신호 모두 312㎲의 지연이 발생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이론적으로 예측되는 300㎲ 지연에 가까우며, MSPP 구간과 WDM 구간에서 발생한 지연보다 빠르게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 노드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광 손실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고, 또한 광 파장 변환도 가능하다. 따라서, 유선 인터넷용 광케이블에 무선 서비스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하나의 정합 장치(100) 내에 두 개의 신호 변경 모듈(110, 120)을 이용하여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거나,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하나의 신호 변경 모듈에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노이즈를 제거한 뒤 다시 광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4)

  1. 유선 인터넷 서비스용 광 케이블을 이용하여 무선 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합 장치로서,
    송신측 무선 장치로부터 제1 파장의 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파장의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신호 변경 모듈, 그리고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제1 파장과 상이한 제2 파장의 광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유선 인터넷 서비스용 광 케이블에 연결된 광 분배기로 상기 제2 파장의 광 신호를 송출하는 제2 신호 변경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정합 장치는 상기 송신측 무선 장치로부터 전송된 무선 광 통신 서비스용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고,
    유선 인터넷 서비스용 광 신호는 상기 유선 인터넷 서비스용 광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1 파장으로 전송되고, 상기 무선 광 통신 서비스용 광 신호는 상기 유선 인터넷 서비스용 광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2 파장으로 전송되는 정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변경 모듈과 제2 신호 변경 모듈은 각각,
    상기 제1 신호 변경 모듈과 제2 신호 변경 모듈이 연결되기 위하여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소켓을 포함하는 정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변경 모듈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에서 저주파 노이즈를 필터링하고, 저주파 노이즈가 필터링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2 신호 변경 모듈로 전달하는 노이즈 필터
    를 더 포함하는 정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변경 모듈에 포함된 SFP 소켓에 연결되며, 상기 SFP 소켓이 발생하는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1 신호 변경 모듈로의 광 신호 유입을 탐지하는 광 손실 탐지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정합 장치.
KR1020190055582A 2018-05-18 2019-05-13 광통신 구간의 광 선로거리 확장 및 단 파장의 광레벨 보상을 위한 정합 장치 KR102135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03 2018-05-18
KR20180057303 2018-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229A KR20190132229A (ko) 2019-11-27
KR102135852B1 true KR102135852B1 (ko) 2020-08-26

Family

ID=6873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582A KR102135852B1 (ko) 2018-05-18 2019-05-13 광통신 구간의 광 선로거리 확장 및 단 파장의 광레벨 보상을 위한 정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8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973B1 (ko) * 2012-03-29 2017-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포트 수동 광 네트워크 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신호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229A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6336B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optical repeater
RU2564100C2 (ru) Оптическая сетевая система связи с приемопереда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оптического линейного терминала и способ ее работы
CN203788292U (zh) 光收发一体模块结构、无源光网络系统、光传输系统
EP1451960B1 (en) Methods of connecting and testing interfaces for cwdm fiberoptic systems
US20120051734A1 (en) Status monitor transponder for an optical node of a network
US8391715B2 (en)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JP4129028B2 (ja) 光伝送システム及び光中継装置
JP4460070B1 (ja) 加入者宅側光回線終端装置
KR101530655B1 (ko) 단일의 바이 패스용 광 스위치를 구비한 광신호 송수신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단일 광섬유 라인 광 네트워크 이더넷 시스템
CN102016675B (zh) 用于光纤网络的装置、系统和方法
EP1451953B1 (en) An interface device for a fiberoptic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s of using such a device
KR102135852B1 (ko) 광통신 구간의 광 선로거리 확장 및 단 파장의 광레벨 보상을 위한 정합 장치
JP4129029B2 (ja) 光伝送システム及び光中継装置
JP2009088852A (ja) 多重中継光伝送装置
JP4865787B2 (ja) 受動型光試験終端装置
KR100869906B1 (ko) 기가급 밀집형 파장분할다중화방식 수동광가입자망의 복합광네트워크장치 및 그 복합 광네크워크장치를 위한정합모듈
JP4430045B2 (ja) 光波長多重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使用波長の追加方法
KR100833105B1 (ko) 광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신호의 송수신 방법
US10551309B2 (en)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scheme of optical network cable and audio cable
JP2022126601A (ja) 光通信装置の自動波長設定システム
Kyaw Design and Fiber Installation for University Campus System
JP3868429B2 (ja) 光送受信装置
KR200160167Y1 (ko) 비동기 전송 방식 교환기 가입자 보드용 싱글라인 광파이버 송/수신 장치
KR20100096357A (ko) 공동주택 mmf 광선로를 활용하여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
KR20110070302A (ko) 중계 장치 및 그 경로 보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