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965B1 -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965B1
KR102134965B1 KR1020180103817A KR20180103817A KR102134965B1 KR 102134965 B1 KR102134965 B1 KR 102134965B1 KR 1020180103817 A KR1020180103817 A KR 1020180103817A KR 20180103817 A KR20180103817 A KR 20180103817A KR 102134965 B1 KR102134965 B1 KR 102134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disposed
gas supply
fuel cell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862A (ko
Inventor
성명훈
심규정
Original Assignee
(주)두산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산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두산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80103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965B1/ko
Priority to CN201822117012.9U priority patent/CN210133291U/zh
Publication of KR20200025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7/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for power plant
    • B64D37/02Tanks
    • B64D37/04Arrangement thereof in or on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7/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for power plant
    • B64D37/30Fuel systems for specific fu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4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B64C2201/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1/00Power install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 B64D2041/005Fuel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86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in the air or in space
    • F17C2270/0189Pl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여 무게 절감과 동시에 드론의 장시간 운용을 가능하게 하고, 연료전지 파워팩 자체로 전반적인 무게균형이 유지되어 드론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더라도 드론의 안정적인 기동을 가능하게 하며, 공기 순환 구조를 개선하여 스택의 안정적인 작동 환경 온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드론의 양력 조성에 기여하되, 특히 틸팅 장탈착 방식을 이용하여 가스탱크를 쉽게 장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가스 공급 구조를 개선하여 누설없는 안정적인 연료가스의 공급을 가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DRONE EQUIPPED WITH FUEL CELL POWER PACK HVAING TILTING STRUCTURE FOR GAS TANK-MOUNTING AND GAS SUPPLING STRUCTURE}
본 발명은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에서 드론 내부로의 가스탱크 장탈착을 위한 틸팅 구조 및 가스탱크와 스택부간의 가스 공급 구조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은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무인항공기를 총칭하는 용어이다. 대체로 무선전파에 의해 조종되는 드론은 처음에는 공군기, 고사포 또는 미사일의 요격 연습용으로 군사적으로 사용되었다.
점차 무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단순히 요격 연습용뿐만 아니라 군용 정찰기, 각종 무기를 장착하여 표적시설 파괴용으로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최근에는 드론의 활용도가 보다 확대되고 있다. 소형 드론을 개발하여 레저용으로 사용하고 있고, 드론 조종 경진 대회가 열릴 정도로 드론의 대중화는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그리고 배송업계에서도 드론을 이용하여 주문받은 상품을 수송하는 배송메카니즘을 계획 및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세계 각국의 주요 기업들은 드론 관련 산업을 유망 신사업으로 보고 투자활동 및 기술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그런데 드론의 운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 되는 것 중의 하나는 장시간 운용이 가능한지 여부이다.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드론은 비행시간이 길지 않다. 복수개의 프로펠러를 구동하여 드론을 운용해야 하는데, 프로펠러를 구동하는데 많은 전력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비행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부피가 큰 고용량 배터리 또는 많은 배터리를 드론에 장착하게 되면, 배터리 크기와 무게로 인해 드론의 크기와 무게가 증가하여, 오히려 비효율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배송 관련 드론의 경우에는 페이로드(payload) 값도 고려해야 하므로, 드론 자체의 크기와 무게 경감은 드론 운용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되어, 장시간 운용을 위해 시중의 일반적인 배터리를 증가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부피가 큰 고용량 배터리 또는 많은 배터리를 드론에 무분별하게 장착하게 되면, 드론의 기동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국내특허 등록번호:KR 10-1866191 B1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여 무게 절감과 동시에 드론의 장시간 운용을 가능하게 하고, 연료전지 파워팩 자체로 전반적인 무게균형이 유지되어 드론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더라도 드론의 안정적인 기동을 가능하게 하며, 공기 순환 구조를 개선하여 스택의 안정적인 작동 환경 온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드론의 양력 조성에 기여하되,
특히 틸팅 장탈착 방식을 이용하여 가스탱크를 쉽게 장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고, 가스 공급 구조를 개선하여 누설없는 안정적인 연료가스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듈프레임; 가스탱크의 레귤레이터 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모듈프레임에 장착된 스택부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모듈프레임에 배치되는 가스공급유닛; 일측부는 상기 모듈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가스공급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가스공급유닛을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 및 상기 모듈프레임와 상기 가압유닛간에 연결되고, 상기 가스탱크를 틸팅하여 상기 모듈프레임에 장착되도록 제공되는 틸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모듈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로 연결되는 하우징블록; 상기 가스공급유닛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지지판; 상기 하우징블록의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지지판과 연결되며 배치되는 가압빔; 및 상기 하우징블록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 탄성체는 상기 하우징블록의 내부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서, 상기 가압빔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가압빔이 상기 하우징블록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압빔의 단부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모듈프레임에 배치되는 베이스바; 상기 베이스바와 상기 지지판을 연결하며 배치되는 틸팅 탄성체; 및 상기 모듈프레임와 상기 하우징블록을 연결하며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블록이 틸팅되도록 제공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빔과 상기 하우징블록의 무게중심은 상기 케이스의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 위치되고, 상기 틸팅 탄성체는 상기 케이스의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공급유닛은, 상기 가스탱크의 레귤레이터 밸브에 연결되는 매니폴드블록; 및 상기 매니폴드블록과 상기 스택부를 연결하는 가스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매니폴드블록은 상기 케이스의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의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서 상기 모듈프레임의 탱크수용부가 배치되고, 상기 탱크수용부에 상기 가스탱크가 틸팅되며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듈프레임상에서 상기 탱크수용부의 양측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택부 수용부에 복수개의 스택부가 안착되고, 상기 가스공급관은 상기 복수개의 스택부에 대응되는 개수로 상기 매니폴드블록에서 분기되되, 상기 복수개의 가스공급관은 제1 방향(V1) 중심선(P)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는 형상 또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공급관은 상기 스택부의 상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는, 상기 가스탱크의 유출구에 연결되는 커넥터부; 및 일단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매니폴드블록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부에서 상기 매니폴드블록으로의 가스 공급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매니폴드블록은, 일측부에 상기 개폐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공간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타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에서 토출되는 가스가 상기 스택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매니폴드유로가 배치된 링크부; 및 상기 삽입공간의 내측에 상기 개폐부를 가압 가능하도록 형성된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공급유닛은, 상기 매니폴드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에서 토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부는, 일측에 형성된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고 개폐공간이 형성된 내부유로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공간을 통해 상기 내부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매니폴드유로와 연통된 분산유로와, 상기 누름부를 향해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분산유로가 형성된 밸브돌출부를 포함하는 밸브바디; 일단부는 상기 내부유로의 상기 개폐공간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누름부를 향해 상기 밸브바디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개폐바; 및 상기 내부유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바를 상기 누름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밸브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공간의 내면과 상기 밸브바디의 외면 사이에서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상기 밸브바디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실링;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돌출부와 상기 매니폴드블록의 삽입 결합면 사이에서의 가스 누설이 차단되도록, 상기 밸브돌출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2 실링;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 파워팩으로 구동되는 드론으로서, 시중에서 드론에 적용되는 일반 배터리에 비해 무게대비 출력이 우수하여 드론의 장시간 운용을 가능하게 하며, 드론의 페이로드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를 유선형으로 설계하여 드론의 다양한 방향 기동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중앙측에 수소탱크를 배치하고, 케이스의 내부에서 수소탱크의 양측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스택을 배치하여, 무게 균형을 이룸으로써, 드론의 안정적인 기동 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상면에 리드를 배치하고, 리드를 개방하여 수소탱크를 가압형 매니폴드블록(manifold)에 경사지게 삽입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매니폴드블록과 연계되어 있는 틸팅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수소탱크를 매니폴드블록에 끼운 뒤, 가볍게 수소탱크의 후면부를 하방향으로 눌러 수소탱크를 장착할 수 있다. 수소탱크를 탈착할 때는 수소탱크의 후면부에 있는 손잡이를 가볍게 들면, 틸팅 구조에 의해 수소탱크의 후면부가 상방향으로 들리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수소탱크를 경사방향으로 당기어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형 매니폴드블록을 배치함에 따라 수소탱크가 케이스에 삽입된 경우에는, 가압상태에 놓여 수소탱크의 레귤레이터 밸브(regulator valve)는 매니폴드블록에 단단히 결합되어, 수소가스의 공급간에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니폴드블록에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와 같은 전자제어형 유량제어 밸브를 배치하여 스택으로 공급되는 수소가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타이밍에 연료전지를 on/off 할 수 있으며, 비상 상황시 연료전지의 운전을 중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소탱크에 연결된 레귤레이터 밸브를 매니폴드블록에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레귤레이터 밸브의 내부에 배치된 개폐바가 매니폴드블록의 내부에 형성된 누름부에 눌림으로써, 가스 유로가 연통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작업 편리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매니폴드블록에서 분기되는 가스공급관을 스택의 상단에 연결하여, 수소가스와 공기간에 전기화학반응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스공급관에서 스택으로 공급되는 수소가스의 유입에 방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택에서의 화학반응 효율이 높아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전면창의 하단과 후면창의 하단에 각각 응축수 배출부를 배치하였다. 케이스의 내부에서 응축된 응축수와 스택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는 배출부에 취합되고 외부로 배출된다. 이는 케이스의 내부를 비교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회로기판과 같은 제어장치가 응축수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물론 제어장치는 절연 또는 방수 처리될 수 있다. 이때 배출부의 배수관은 케이스의 하단에 배치되는 레그(leg)부를 따라 흐르도록 배수관이 배치되어 있어, 응축수의 무분별한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조상에 열선 코일, 초음파 가습센서 또는 자연 대류식 가습장치를 배치하여, 배수조에 모아진 응축수를 증발시켜, 스택의 작동을 위한 가습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스택에서의 전기화학반응 작용을 촉진하여 연료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튬이온전지와 같은 보조배터리를 배치하고, 연료전지와 병렬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드론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때 무게 균형을 고려하여 보조배터리는 수소탱크를 중심으로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개로 배치하였고, 보조배터리 한개가 고장이 나더라도 나머지 보조배터리로 드론의 안정적인 기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전면부 및 후면부의 하단에 공기유입구, 케이스의 양측부에 공기유출구를 각각 배치하고, 공기유출구상에는 팬을 배치하여, 팬이 구동되어, 전면부 및 후면부의 하단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스택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때 케이스 내부를 음압상태 또는 저압상태로 조성함으로써, 스택에 공급되는 공기의 원활한 수급을 가능하게 한다. 연료전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는 팬모터의 회전속도 제어를 통해 스택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 작동 환경 및 조건에 따른 연료전지의 효율적인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유입구상에 회로기판을 배치하여, 작동 중 가열된 회로기판이 외부 공기에 의해 자연스럽게 냉각되도록 하여, 회로기판의 냉각효과를 향상시켰다.
또한 본 발명은 스택과 공기유출구 사이에 밀폐하우징을 구성하고, 밀폐하우징상에는 재순환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스택을 통과한 공기 중의 일부가 재순환유로를 통해 케이스의 내부로 재순환되도록 하여, 외기 온도에 따른 급격한 스택의 작동환경 온도 변화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때 재순환유로상에 전자제어가 가능한 밸브를 배치하여 재순환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스의 내부 온도가 연료전지의 최적화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유출구상에 복수단의 블라인드를 배치하고, 각각의 블라인드를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또는 곡률지게 배치하여 드론의 프로펠러에 의한 공기 흐름 방향과 비교적 일치되도록 하여, 드론의 양력 조성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으며, 눈과 비가 오는 환경에서도 시스템 내부로 빗물이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소탱크에는 손잡이를 배치하여 수소탱크를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하고, 케이스의 상부에 리드(lid)를 배치하여 유지/보수간에 내부 조작을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은 강화플라스틱, 카본, 티타늄, 알루미늄 등의 재질이 부분적으로 채택되어, 무게 경량화, 페이로드값 향상, 전력 사용량 감소 등의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전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하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에서 리드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전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후면도.
도 12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하면도.
도 13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후면사시도.
도 14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를 나타낸 전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인 배출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16는 본 발명인 배출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에서 공기 순환 조절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8a은 도 27에 게시된 P-P 단면도.
도 18b는 도 18a에 게시된 M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9a은 도 2에 게시된 B-B 단면도.
도 19b는 도 19a에 게시된 L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20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에서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공급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1은 도 20에 게시된 N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22는 본 발명의 가압유닛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가스공급유닛 구조에 대한 단면도.
도 24는 도 24에 게시된 H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25은 본 발명의 유량제어밸브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27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 28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도 29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전면도.
도 30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후면도.
도 31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하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
도 1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전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후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하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에서 리드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전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후면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하면도이며, 도 13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후면사시도이고, 도 14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를 나타낸 전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인 배출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도 16는 본 발명인 배출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100)은 케이스(200), 모듈프레임(900), 가스탱크(300) 및 연료전지부(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100)은 드론과 같은 비행물체의 내부에 일체로 장착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드론에 장착되어 비행하기 위한 최적의 설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외형은 드론과 같은 비행물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200)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날개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날개부(210)는 날개빔(211), 구동모터(212) 및 프로펠러(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빔(211)은 상기 케이스(2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2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12)는 상기 날개빔(211)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펠러(213)는 상기 구동모터(21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12)는 상기 연료전지부(4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프로펠러(2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00)와 상기 날개부(210)는 기동 중에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외형은 유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케이스(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연료전지부(400)의 배치 구조에 대응한 형태로 케이스(200)의 외형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에도 각 모서리는 공기저항을 줄이도록 부드러운 유선형으로 가공될 수 있다. 또는 도 26에서와 같이, 기동시 모든 방향으로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둥근 형태의 케이스(200) 외형으로 채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0)는 경량화를 위해 강화플라스틱, 카본, 티타늄, 알루미늄 등의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상부에는 리드(20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204)에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리드(204)를 개폐하기 위한 리드 손잡이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드 손잡이를 잡고 리드(204)를 개방하여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부품을 유지보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리드(204)를 개방하여 가스탱크(300)를 장탈착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하부에는 상기 케이스(200)의 이착륙을 위해 레그부(25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그부(250)는 제1 레그(251), 제2 레그(253) 및 안착빔(25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그(251)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201) 하측에 배치되는 전면창(221)의 하측부에 아치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레그(253)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부(203) 하측에 배치되는 후면창(222)의 하측부에 아치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빔(255)은 드론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2 레그(251,253)의 단부를 연결하는 직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모듈프레임(900)은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연료전지부(400) 및 가스탱크(300)가 장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 가스탱크(300)는 상기 모듈프레임(900)에 장착되며, 상기 연료전지부(400)와 연결되어 연료가스를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가스탱크(300)의 후단부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가스탱크(300)를 다룰 수 있도록 탱크손잡이(301)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탱크손잡이(301)는 원판 형상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잡을 수 있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후면부(203) 내측에는 탱크 고정바(2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탱크 고정바(241)는 상기 탱크손잡이(301)가 끼워질 수 있도록 집게 형상의 그립부(242)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탱크손잡이(301)를 잡고 하방향으로 내리면, 탱크손잡이(301)가 탱크 고정바(241)의 그립부(242)에 끼워지며 고정되게 된다.
상기 가스탱크(300)에는 충전되는 가스는 수소가스일 수 있다.
한편, 도 5 또는 도 26를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200)의 후면부(203)에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연료전지부(400)을 작동시키는 전원스위치(820)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원스위치(820)를 간단히 클릭하여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100)의 작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탱크(300)와 연결되며, 상기 가스탱크(300)의 가스잔량을 표시하는 연료상태 표시창(810)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연료상태 표시창(810)의 색깔을 인식하여 가스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연료상태 표시창(810)은 인디케이터(indicator) LED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청색 또는 녹색인 경우 가스잔량이 80~100%로 충분한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노란색인 경우에는 가스잔량이 40~70%로 중간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빨간색인 경우에는 가스잔량이 0~30%로 불충분하여 가스충전이 필요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그 밖에 다른 설정이 가능하다.
다음 도 4 내지 도 6를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200)의 전면부(201)와 후면부(203)에는 전면창(221)과 후면창(222)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창(221)과 후면창(222)은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20)일 수 있다.
상기 전면창(221)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201) 하단에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후면창(222)은 상기 케이스의 후면부(203) 하단에서 상기 전면창(221)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배치는, 드론이 전면방향으로 기동할 때는, 기동속도에 의해 전면창(221)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이 늘어나도록 할 수 있고, 반대로 드론이 후면방향으로 기동할 때는, 기동속도에 의해 후면창(222)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이 늘어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창(221)과 상기 후면창(222)에서, 후술할 팬부재(730) 작동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200) 내부의 음압 또는 저압 환경 조성을 이용한 강제적인 공기 유입뿐만 아니라, 드론의 기동방향에 따라 기동속도를 이용한 자연스러운 공기 유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면창(221) 및 후면창(222)에는 복수 열로 배치되는 창블라인드(221a,2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비교적 부피가 있는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면창(221) 및 후면창(222)상에는 공기 중에 함유된 외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케이스(200)상에서 복수의 공기유입구(22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구(220)의 위치는 상기 케이스(200)상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3를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200)의 측면부(202)에는 복수의 블라인드(740)가 형성된 공기유출구(2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구(220)에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를 순환한 후에, 상기 공기유출구(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동 과정을 거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연료전지부(400)은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상기 모듈프레임(900)상에 무게 균형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연료전지 파워팩은 드론과 같은 비행물체에 장착되어 함께 비행하게 되므로, 드론의 기동력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케이스(200), 모듈프레임(900), 가스탱크(300) 및 연료전지부(400)는 전반적으로 무게 균형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료전지부(400)은 매니폴드부(420) 및 스택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매니폴드부(420)는 상기 가스탱크(300)에 결합되어 있는 레귤레이터 밸브(320)에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택부(410)는 상기 매니폴드부(42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매니폴드부(420)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00)의 제1 방향(V1) 중심선(P)을 기준으로, 상기 매니폴드부(420)와 상기 스택부(410)는 상기 케이스(200)의 제2 방향(V2)에 대해 무게 균형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니폴드부(420)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측에서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스택부(410)는 복수개가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양측부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택부(410)가 복수개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200)의 제1 방향(V1) 중심선(P)을 기준으로, 상기 가스탱크(300)와 상기 복수개의 스택부(410)는 상기 모듈프레임(900)상에서 상기 케이스(200)의 제2 방향(V2), 즉 양측에 대해 무게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탱크(300)는 상기 케이스(200)의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스택부(410)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양측부에 상기 가스탱크(30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탱크(300)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중심부, 즉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중심부에 형성된 탱크수용부(910)에 배치되고, 상기 스택부(410)는 2개로 구성되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가스탱크(300)를 기준으로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양측에 형성된 스택부 수용부(920)에 각각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방향(V1)의 중심선(P)를 기준으로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100)은 제2 방향(V2)으로 무게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무게 균형을 고려한 배치는 연료전지 파워팩이 드론과 일체로 장착될 때, 드론의 무게 중심의 변동을 최소화하여 드론의 기동에 주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전원부(500)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제공된 보조전원 브라켓(510)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전지부(400)과 병렬 제어적으로 연결되며 드론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료전지부(400)과 상기 보조전원부(500)는 상기 제어판(830)상에서 회로적으로는 병렬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드론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연료전지부(400)을 구성하는 상기 스택부(410)에서 산소와 수소의 전기화학반응과정에서 생산된 전력이 드론에 공급되어 드론을 작동시킨다.
만약 드론의 비행 및 임무수행 환경에 따라 상기 스택부(410)에서 생산되는 출력량보다 높은 출력이 요구될 때에는, 부족한 출력량을 상기 보조전원부(500)에서 병렬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다른 상황에서 예를 들어, 상기 스택부(410)가 파손되어 전력 생산이 중단되는 우발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전원부(500)가 긴급 전력을 공급하여 드론이 비행 중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전원부(50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무게 균형을 이루어 비행물체의 기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200)의 제1 방향(V1) 중심선(P)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200)의 전면부(201)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전원부(500)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연료전지부(400)을 구성하는 상기 스택부(410)도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스택부(410)와 상기 복수개의 보조전원부(500)는, 상기 케이스(200)의 제1 방향(V1) 중심선(P)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무게 균형을 이루며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택부(410)와 상기 보조전원부(500)는 각각 2개로 구성되고, 제1 방향(V1) 중심선(P)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무게 균형을 이루며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탱크(300)와 매니폴드부(420) 및 제어판(830)이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는 제1 방향(V1)의 중심선(P)을 따라 상기 케이스(200)의 전면부(201)과 상기 케이스(200)의 후면부(203)간에 무게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택부(410)와 상기 보조전원부(500)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제1 방향(V1) 중심선(P)의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무게 균형을 이루고, 상기 가스탱크(300), 매니폴드(420) 및 제어판(830)은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200)의 전면부(201)과 상기 케이스(200)의 후면부(203)간에 무게 균형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전반적으로 상기 스택부(410), 상기 보조전원부(500), 상기 가스탱크(300), 상기 매니폴드부(420) 및 상기 제어판(830)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제1,2 방향(V1,V2) 모두에 대해 무게 균형을 이루며 배치됨으로써, 연료전지 파워팩을 드론에 장착하더라도, 드론의 무게 균형 또한 어느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구성요소들의 무게 균형 배치는 드론의 기동 환경에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드론의 원활한 기동에 기여하게 된다.
다음 도 15 및 도 16를 참고하면, 상기 배출부(600)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측 하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택부(410)에서 배출되는 응축수 또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외부 공기가 응축되어 발생되는 응축수가 취합되어 배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배출부(600)는 제1 배수유로(620), 제1 배수관(621), 제2 배수유로(630) 및 제2 배수관(6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수유로(620)는 상기 전면창(221)의 하단면에서 상기 전면창(221)의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전면부에서 응축되는 응축수가 취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6를 참고하면, 상기 제1 배수관(621)은 상기 제1 배수유로(620)에 취합된 응축수가 드론 하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 배수유로(620)의 양단부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9 내지 도 31를 참고하면, 상기 제1 배수관(621)은 상기 제1 배수유로(620)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레그(251)를 따라 아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수유로(620)로 취합된 응축수는 상기 제1 배수관(621)을 따라 상기 안착빔(255)까지 이동한 후 외부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배수유로(630)는 상기 후면창(222)의 하단면에서 상기 후면창(222)의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후면부에서 응축되는 응축수가 취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시 도 6를 참고하면, 상기 제2 배수관(631)은 상기 제2 배수유로(630)에 취합된 응축수가 드론 하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 배수유로(630)의 양단부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9 내지 도 31를 참고하면, 상기 제2 배수관(631)은 상기 제2 배수유로(630)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레그(253)를 따라 아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수유로(630)로 취합된 응축수는 상기 제2 배수관(631)을 따라 상기 안착빔(255)까지 이동한 후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2 배수관(621,631)을 상기 레그부(250)를 따라 배치하여 드론 하부에서 응축수가 무분별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5 및 도 16를 참고하면, 상기 배출부(600)는 상기 제1 배수유로(620) 및/또는 상기 제2 배수유로(630)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배수유로(620,630)에 취합된 응축수를 증발시켜,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가습 환경을 조성하는 가습유닛(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의 스택은 건조한 환경보다는 가습 환경에서 산소와 수소의 전기화학반응이 보다 촉진되어 연료전지의 전력 발생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습유닛(640)은 상기 제1,2 배수유로(620,630)에 배치되어 취합되는 응축수를 다시 증발시켜 상기 스택부(410)에서 전기화학반응이 촉진될 수 있는 가습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상기 스택부(410)의 전력 발생 효율을 높이는데 기여를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유닛(640)은 도 15에서와 같이 열선 코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배수유로(620,630)상에는 열선 코일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 배수유로(620,630)에 취합된 응축수는 열선 코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증발하여 가습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선 코일의 제어는 상기 제어판(830)에서 가능하며, 상기 열선 코일에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스택부(410) 또는 상기 보조전원부(500)에서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유닛(640)은 도 16에서와 같이 초음파 가습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1,2 배수유로(620,630)상에는 초음파 가습센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 배수유로(620,630)에 취합된 응축수는 초음파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증기가 되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를 가습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가습센서의 제어는 상기 제어판(830)에서 가능하며, 상기 초음파 가습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스택부(410) 또는 상기 보조전원부(500)에서 공급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습유닛(640)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자연 대류식 가습장치일 수 있다.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공기 순환 조절 구조]
도 17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에서 공기 순환 조절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8a은 도 27에 게시된 P-P 단면도이고, 도 18b는 도 18a에 게시된 M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19a은 도 2에 게시된 B-B 단면도이며, 도 19b는 도 19a에 게시된 L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우선 도 6, 도 17, 도 18a 및 도 18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100)의 공기 순환 조절 구조의 일 형태는 공기유입구(220), 공기유출구(230) 및 공기순환 조절유닛(7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구(220), 공기유출구(230) 및 공기순환 조절유닛(700)은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100)의 케이스(2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구(220)는 상기 케이스(200)의 전면부(201) 또는 후면부(203) 하측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스(200)의 전면부(201)에 복수개의 창블라인드(221a)가 배치된 전면창(221)과 후면부(203)에 복수개의 창블라인드(222a)가 배치된 후면창(222)이 공기유입구(220)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검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구(220)의 위치는 상기 케이스(200)상에서 제한이 없다.
이때 제어판(830)은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유입구(220) 중의 하나인 전면창(2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창(221)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연료전지의 작동시 제어판(830)에 배치된 회로는 가열되게 되는데, 이때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자연스럽게 냉각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물론 제어판(830)의 위치는 전면창(221)의 상측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상기 공기유출구(230)는 상기 케이스(200)에서 상기 공기유입구(22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유출구(230)는 상기 스택부(4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모듈프레임(9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중앙측에는 탱크수용부(910)가 형성되고 가스탱크(3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양측부에는 스택부 수용부(920)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스택부(4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유출구(230)는 상기 스택부(410)에 인접하여 상기 케이스(200)의 측면부(202)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흐름은 상기 공기유입구(220)에서 유입되어 상기 스택부(410)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순환 조절유닛(700)에 의해 흐름 방향이 안내되어 상기 공기유출구(230)로 배출되는 유동 과정을 거친다.
다음 상기 공기순환 조절유닛(700)은, 상기 스택부(410)와 상기 공기유출구(230)에 연계되어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상기 스택부(410)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유출구(230)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공기순환 조절유닛(700)은 밀폐하우징(710), 팬부재(730), 재순환유로(720) 및 블라인드(7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하우징(710)은, 상기 스택부(41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공기유출구(230)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스택부(410)의 일면 둘레와 상기 공기유출구(230)에 배치된 덕트(760)의 외측 둘레를 밀폐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하우징(710)의 복수개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택부(410)의 일면 둘레를 감싸고, 하나의 판은 상기 덕트(760)의 외측 둘레와 연결되며 밀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밀폐 공간으로 인해 상기 스택부(41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출구(230)의 덕트(760) 방향으로만 유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상기 밀폐하우징(71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케이스(200)의 측면부와 상기 밀폐하우징(710)을 연결하며 고정하는 고정패널(71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713)은 상기 스택부(410)의 일면과 상기 밀폐하우징(710)의 일면을 연결하는 사각 단면 형상의 개구창(71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창(713a)에서 상기 스택부(410)를 바라보는 방향의 둘레를 따라 실링유닛(71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유닛(714)은 상기 스택부(410)의 일면 둘레와 밀착되며, 상기 스택부(410)를 통과한 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상기 밀폐하우징(710)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상기 팬부재(730)는 상기 공기유출구(230)의 덕트(760)에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팬부재(730)가 작동하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유출구(230)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키게 되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가 외부 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음압 또는 저압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가 음압 또는 저압이 되면, 압력차 때문에 상기 공기유입구(220)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팬부재(730)를 작동하여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강제적으로 공기 순환 환경을 조성한다.
여기서 상기 팬부재(730)는 상기 공기유출구(230)의 덕트(760)와 상기 밀폐하우징(710) 및 상기 스택부(410)가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므로, 상기 팬부재(730)의 작동에 의한 공기 배출은 상기 공기유입구(220)로 유입된 공기를 강제적으로 상기 스택부(410)를 통과하도록 하는 공기 흐름 환경을 조정하게 된다.
사용자는 컨트롤러로 팬부재(7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압력차에 의해 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스택부(410)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되어, 스택부(410)의 출력 제어의 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팬부재(730)는 팬부시(731), 구동모터(733) 및 팬블레이드(7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부시(731)는 원통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공기유출구(230)의 덕트(760)의 내측 둘레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부시(731)의 중앙부에는 구동모터(733)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733)의 회전축에는 상기 팬블레이드(735)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연료전지가 높은 효율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작동이 되려면, 연료전지 스택의 작동 환경이 최적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특히 작동 환경 온도는 중요 요소인데, 드론이 운용되는 외부 환경 온도에 따라 연료전지 스택의 작동 환경 온도는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시베리아, 북극, 남극 등과 같은 추운 지역에서 드론을 기동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200)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 온도차가 심하게 발생되고, 외기 온도에 의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온도는 저하되는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상기 케이스(200)에 내부에 배치된 상기 스택부(410)의 작동 환경 온도가 적정 온도가 유지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온도를 적정 온도까지 높여줄 필요가 있다.
반대로, 아프리카, 중동, 사막 등과 같은 더운 지역에서 드론을 기동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200)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 온도차가 심하게 발생되고, 외기 온도에 의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온도는 가열되는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상기 케이스(200)에 내부에 배치된 상기 스택부(410)의 작동 환경 온도가 적정 온도가 유지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온도를 적정 온도까지 낮춰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드론이 작동되는 외부 환경 온도에 의해 상기 스택부(410)의 작동환경 온도가 급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7 및 도 18a에서와 같이, 상기 밀폐하우징(710)상에 재순환유로(7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택부(410)를 통과한 후 상기 밀폐하우징(710)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재순환유로(720)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우회되어 재순환된다.
상기 스택부(410)를 통과한 공기는 공랭식인 상기 스택부(410)를 냉각한 후의 공기로서, 상기 스택부(410)와 비교적 유사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밀폐하우징(710)상에 잔류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재순환시키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온도는 상기 스택부(410)의 작동 환경 온도와 유사하게 조성될 수 있다.
이는 드론이 추운 지역에서 기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온도를 상기 스택부(410)의 작동 환경 온도까지 높여줄 수 있으며, 드론이 더운 지역에서 기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온도를 상기 스택부(410)의 작동 환경 온도까지 낮춰줄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온도를 상기 스택부(410)의 작동 환경 온도까지 조정해 주어, 상기 스택부(410)의 작동효율을 높이게 된다.
다시 도 17 및 도 18a를 참고하면, 상기 공기순환 조절유닛(700)은, 재순환 제어기구(7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순환 제어기구(722)는 상기 재순환유로(720)에 배치되어, 재순환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순환 제어기구(722)는 전자 제어를 통한 슬라이드 방식의 개폐밸브 또는 버터플라이 방식의 개폐밸브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재순환 제어기구(722)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외기 온도가 상기 스택부(410)의 작동 환경 온도와 유사하여 별도로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온도 조절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재순환 제어기구(722)를 닫아, 상기 밀폐하우징(710)의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모두 상기 공기유출구(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 검토하겠으나, 본 발명의 블라인드(740)는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또는 곡률지게 배치되어 있어, 상기 밀폐하우징(710)의 모든 공기가 상기 공기유출구(230)로 배출되는 경우, 비행물체의 양력 조성에 기여를 할 수 있다.
반대로 외기 온도와 상기 스택부(410)의 작동 환경 온도 차이가 커서,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온도를 신속하게 상기 스택부(410)의 작동 환경 온도에 맞출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재순환 제어기구(722)를 완전히 개방하는 조작을 하면 된다.
이때 상기 밀폐하우징(710)에서 많은 양의 공기가 상기 케이스(200)로 유도하게 되므로,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온도를 신속하게 상기 스택부(410)의 작동 환경 온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8a 및 도 18b를 참고하면, 상기 블라인드(740)는 상기 공기유출구(230)의 덕트(760)에 배치되고,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안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100)의 공기순환 조절 구조는 상기 공기유입구(220)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를 순환한 후 상기 공기유출구(230)로 배출될 때, 궁극적으로는 드론의 양력 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흐름을 보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8a를 참고하면, 상기 스택부(410)는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스택부 수용부(920)상에서 일정각도(α1) 범위내로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하우징(710)도 상기 스택부(410)의 일면상에서 일정각도(α2) 범위내로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부재(730)도 상기 공기유출구(230)상에서 일정각도(α3) 범위내로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라인드(740)는 상기 공기유출구(23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하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또는 곡률지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스택부 수용부(920)는 수직방향(H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α1) 범위내로 하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스택부(410)는 상기 스택부 수용부(20)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스택부(410)의 경사각도(α1) 범위는 5° ~ 15° 범위내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5° 내외의 경사각도가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스택부(410)가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스택부(410)를 통과하여 상기 밀폐하우징(7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하방향으로 흐름이 유도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패널(713)의 개구창(713a)은 상기 스택부(410)의 일면과 상기 실링유닛(714)에 의해 밀접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택부(410)는 상기 스택부 수용부(920)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패널(713) 또한 상기 스택부(410)에 대응되는 경사각도(α2)로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밀폐하우징(710)은 상기 고정패널(713)의 개구창(713a) 둘레를 따라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본적으로는 상기 스택부(410)의 경사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밀폐하우징(710)의 경사각도(α2) 범위는 상기 스택부(410)와 동일하게 5° ~ 15° 범위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외일 수 있다.
다만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폐하우징(710)은 상기 스택부(410)의 일면상에 일정각도 범위내로 하방향으로 더 경사지게 연결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밀폐하우징(710)의 경사각도(α2) 범위는 상기 스택부(410)의 경사각도 범위보다 크게 형성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밀폐하우징(710)의 배치 경사각도는 상기 고정패널(713)의 일면에 대해, 상기 스택부(410)보다 10° ~ 20° 범위내로 더 경사지게 연결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케이스(200)의 측면부상에서 상기 공기유출구(230)도 기본적으로 하방향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팬부재(730)도 상기 공기유출구(230)와 동일하게 하방향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팬부재(730)는 상기 밀폐하우징(710)과 연결되므로, 일 실시예로는 상기 밀폐하우징(710)의 배치 경사각도(α2)에 대응되는 각도로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팬부재(730)의 경사각도(α3) 범위는 상기 밀폐하우징(710)과 동일하게 5° ~ 15° 범위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팬부재(730)의 배치 경사각도(α3)는 상기 밀폐하우징(710)의 배치 경사각도(α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밀폐하우징(710)의 배치 경사각도(α2) 범위를 5° ~ 15° 라고 한다면, 상기 팬부재(730)의 경사각도 범위는 10° ~ 25° 범위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팬부재(730)의 배치 경사각도(α3)는 상기 스택부(410) 및 밀폐하우징(710)의 배치 경사각도(α1,α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택부(410)의 배치 경사각도(α1) 범위를 5° ~ 15° 라고 하고 상기 스택부(410)보다 더 경사진 밀폐하우징(710)의 경사각도(α2) 범위를 10° ~ 20° 라고 한다면, 상기 팬부재(730)의 경사각도(α3) 범위는 15° ~ 30° 범위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팬부재(730)의 배치 경사각도를 상기 스택부(410) 및 상기 밀폐하우징(710)의 배치 경사각도보다 크게 구성하는 경우, 상기 스택부(410), 밀폐하우징(710) 및 팬부재(730)를 통과하고 상기 공기유출구(230)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는 부드럽게 유동 방향이 하방향으로 유도되는 특징을 지니게 된다.
즉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상기 스택부(410), 밀폐하우징(710) 및 팬부재(730)의 배치 경사각도는 점차적으로 더 경사지게 배치되어, 공기가 하방향으로 부드럽게 유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유출구(230)상에는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또는 곡률지게 형성된 블라인드(740)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100)에서 프로펠러(213)는 상기 공기유출구(2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펠러(213) 구동방식의 드론의 경우, 프로펠러(213) 회전에 의한 양력 발생으로 드론이 부양하는 것이므로, 상기 블라인드(740)의 경사방향 또는 곡률방향을 하방향으로 설정하면, 상기 공기유출구(230)에서 배출되어 하방향으로 흐르는 공기와 드론의 프로펠러(213)를 통과하여 하방향으로 흐르는 외기 공기의 유동 방향이 일치되어 드론의 양력 조성에 기여를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블라인드(740)를 통과한 공기가 프로펠러(213) 방식 드론의 양력 조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상기 블라인드(740)의 경사각도(θ11,θ12)는 수평방향(H2)을 기준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5° ~ 80° 사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사각도(θ11)는 5° ~ 45° 범위내이고, 경사각도(θ12)는 30° ~ 80° 범위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사각도(θ11)는 30° 내외이고, 경사각도(θ12)는 60° 내외일 수 있다.
도 18b를 참고하여, 상기 스택부(410), 밀폐하우징(710) 및 팬부재(730)의 배치 경사각도(α1,α2,α3)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스택부(410), 밀폐하우징(710) 및 팬부재(730)의 배치 경사각도는 5° ~ 15° 범위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외일 수 있다.
물론 상기 검토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상기 스택부(410), 밀폐하우징(710) 및 팬부재(730)의 배치 경사각도(α1,α2,α3)는 점차적으로 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택부(410)를 통과하고 상기 블라인드(740)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점차적으로 하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되므로, 공기의 배출 흐름은 부드럽게 양력 조성이 기여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라인드(740)는 상기 공기유출구(230)의 덕트(760)상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유출구(23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개의 블라인드(740)의 길이는 축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8b를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200)상에서 상기 공기유출구(23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케이스(200)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또는 곡률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740)의 길이도 상기 공기유출구(23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역시 유출되는 공기는 하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블라인드(740)의 길이는 일정 비율로 축소되는데, 이는 상기 공기유출구(230)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비율각도(θ2)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740)의 길이가 일정 비율로 감소됨에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된 블라인드(740)를 통과하는 공기는 비교적 균일한 유동을 보일 수 있다.
공기는 하방향으로 유동하므로, 상부에 배치된 상부 블라인드(741)보다 하부에 배치된 하부 블라인드(742)의 길이가 더 짧아 하방향 유동에 방해받지 않는다.
만약 상기 블라인드(740)의 길이 감소가 일정하지 않고 제각각인 경우, 예를 들어 도 18b에 게시된 것과 다르게, 어느 하나의 하부 블라인드(742)가 그 상부에 배치된 상부 블라인드(741)에 비해 길이가 긴 경우, 상부 블라인드(741)를 통과한 공기가 하방향으로 유동함에 있어, 그 하부에 배치된 하부 블라인드(742)가 장애물 역할을 하게 되며, 하부 블라인드(742)를 따라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공기유출구(230) 주변부에서 난류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게 하며, 오히려 드론의 기동에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라인드(740)의 길이 감소가 일정 비율로 유지되는 것이 공기의 원활한 하방향 배출 및 양력 조생과 같은 드론의 기동 환경 조성을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상기 블라인드(740)의 하방향 경사각도(θ11,θ12)와 상기 블라인드(740)의 일정 비율각도(θ2)에 따른 길이 변화가 함께 작용하여 유출되는 공기는 하방향으로 강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첩적인 구성은 양력 조성과 같은 드론의 기동 환경에 기여하게 된다.
한편, 도 6, 도 17, 도 19a 및 도 19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100)의 공기 순환 조절 구조의 다른 형태는, 상기 블라인드(740)는 상기 공기유출구(230)상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100)에서 프로펠러(213)는 상기 공기유출구(2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블라인드(740)의 경사방향을 하방향으로 설정함에 따라, 상기 공기유출구(230)에서 배출되어 하방향으로 흐르는 공기와 드론의 프로펠러(213)를 통과하여 하방향으로 흐르는 외기 공기의 유동 방향이 일치되어 드론의 양력 조성에 역시 기여를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블라인드(740)를 통과한 공기가 프로펠러(213) 방식 드론의 양력 조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상기 블라인드(740)의 경사각도(θ3)는 수평방향(H2)을 기준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5° ~ 80° 사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사각도(θ3)는 60° 내외일 수 있다.
도 19b를 참고하여, 상기 스택부(410), 밀폐하우징(710) 및 팬부재(730)의 배치 경사각도(α1,α2,α3)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스택부(410), 밀폐하우징(710) 및 팬부재(730)의 배치 경사각도는 5° ~ 15° 범위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외일 수 있다.
물론 상기 검토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상기 스택부(410), 밀폐하우징(710) 및 팬부재(730)의 배치 경사각도(α1,α2,α3)는 점차적으로 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도 상기 스택부(410)를 통과하고 상기 블라인드(740)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점차적으로 하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되므로, 공기의 배출 흐름은 부드럽게 양력 조성이 기여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7에는 상기와 같은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100)의 공기 순환 조절 구조에 따른 공기 흐름이 게시되어 있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팬부재(730)를 작동시키면, 상기 공기유출구(230)로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는 외부에 비해 음압 또는 저압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창(221) 및 후면창(222)을 통해 외부 공기가 압력차 때문에 유입되고,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케이스(200)의 전면부(201) 내측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어판(830)을 자연 냉각하며,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순환되며 흐르게 된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는 도 17에 게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스택부(410)의 일면을 통과하며, 상기 스택부(410)에서 수소와의 전기화학반응으로 전력을 생산하거나 또는 상기 스택부(410)를 공냉하고 상기 밀폐하우징(710)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밀폐하우징(710)으로 흐른 공기는 상기 팬부재(730)를 통과하고 상기 공기유출구(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스택부(410)과 상기 밀폐하우징(710) 및 상기 팬부재(730)은 모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공기의 흐름은 유동과정에서 하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진행하게 된다. 상기 블라인드(740)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유출구(230)에서 하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프로펠러(213)에 의한 하방향 공기 유동과 합쳐지면서, 드론의 양력 조성에 기여하게 된다.
한편 외부 환경 온도에 따라 상기 스택부(410)의 작동 환경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재순환 제어기구(722)의 개폐정도를 설정하여 재순환유로(720)를 통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순환되는 공기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재순환유로(720)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다시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를 순환하며 상기 스택부(410)의 작동 환경 온도와 비교적 유사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이는 상기 검토한 가습유닛(640)과 함께, 상기 스택부(410)의 작동 환경 온도 및 가습조건을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스택부(410)의 출력 효율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된다.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공급 구조]
도 20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에서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공급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게시된 N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가압유닛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가스공급유닛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4는 도 24에 게시된 H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25은 본 발명의 유량제어밸브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100)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공급 구조는 모듈프레임(900), 가스공급유닛(430), 가압유닛(480) 및 틸팅유닛(4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프레임(900)은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세부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가스공급유닛(430)은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경사방향으로 삽입되어 틸팅되며 상기 모듈프레임(900)에 장착되는 가스탱크(300)의 레귤레이터 밸브(3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양측부에 장착되는 스택부(410)로 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공급유닛(430)의 세부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가압유닛(480)은 일측부는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전면부에 고정되고, 타측부는 상기 가스공급유닛(430)과 연결되며, 상기 가스공급유닛(430)을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320)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압유닛(480)은 하우징블록(482), 지지판(485), 가압빔(483) 및 가압 탄성체(4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하우징블록(482)은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전면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1 브라켓판(941)과 제2 브라켓판(942) 사이에 힌지부(475)로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블록(482)의 양측에는 돌출부(482e)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82e)는 상기 제1,2 브라켓판(941,942)에 각각 힌지핀(475a)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힌지핀(475a)의 부드러운 회동을 위해 힌지부시(475b)가 상기 제1,2 브라켓판(941,942)의 연결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블록(482)은 전반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블록(482)의 양단부는 상기 가압빔(483)이 관통되며 배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482b,482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482b)이 형성된 하우징판(482f)이 하우징블록(482)에 체결피스(488a)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블록(482)의 상부와 하부에는 무게 절감을 위해 개구부(482a)가 절삭 가공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지지판(485)은 상기 가스공급유닛(430)을 구성하는 매니폴드블록(450)의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485)은 상기 가압 탄성체(48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의 일면이 마모,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며, 강성이 있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다음 상기 가압빔(483)은 상기 하우징블록(482)의 내부를 관통하며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485)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빔(483)은 상기 하우징블록(482)의 양단부에 형성된 관통홀(482b,482c)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빔(483)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판(485)의 일면과 체결피스(488b)로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빔(483)은 전반적으로 원통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빔(483)이 상기 하우징블록(482)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입빔(483)의 타단부에는 원판 형상의 스토퍼(484)가 체결피스(488c)로 고정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84)는 상기 하우징블록(482)의 관통홀(482b)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가압빔(483)이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후면부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관통홀(482b)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가압빔(483)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다음 상기 가압 탄성체(481)는 상기 하우징블록(482)과 상기 지지판(48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 탄성체(481)는 상기 하우징블록(482)의 내부와 상기 지지판(485) 사이에서, 상기 가압빔(483)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가압 탄성체(481)는 상기 하우징블록(482)의 내부와 상기 지지판(485) 사이에서 상기 가압빔(483)의 외측 둘레에 방사방향을 따라 단수 또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 밖에 다른 형태의 배치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빔(483)과 상기 하우징블록(482)의 무게중심은 상기 케이스(200)의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모듈프레임(900)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압빔(483) 및 상기 하우징블록(482)을 포함하는 상기 가압유닛(480)이 상기 케이스(200)의 전면부(201) 중앙측에 배치될 때, 상기 케이스의 제2 방향(V2)으로의 무게 균형을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압유닛(480)의 배치상태가 드론의 기동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가압유닛(480)은 가스탱크(300)의 레귤레이터 밸브(320)가 가스공급유닛(430)에 삽입될 때, 가스공급유닛(430)을 레귤레이터 밸브(320) 방향으로의 가압하여, 레귤레이터 밸브(320)와 가스공급유닛(430)이 단단히 밀착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가스의 공급 과정에서 레귤레이터 밸브(320)와 가스공급유닛(430)의 이탈을 방지하여 가스의 누설을 차단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틸팅유닛(470)은, 상기 모듈프레임(900)과 상기 가압유닛(480)간에 연결되고, 상기 가스탱크(300)를 틸팅하여 상기 모듈프레임(900)에 장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틸팅유닛(470)은, 베이스바(473), 힌지부(475) 및 틸팅 탄성체(47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473)는 원형 단면을 가진 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전면부에 돌출되게 배치된 제1,2 브라켓판(941,942)간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틸팅 탄성체(471)는 양단부에 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고리가 각각 상기 베이스바(473)의 중앙측과 상기 지지판(485)의 중앙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V2)에 대해 무게 균형을 고려하여 상기 틸팅 탄성체(471)는 상기 케이스의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485)은 상기 가스공급유닛(43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틸팅 탄성체(47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485)은 상기 베이스바(473)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판(485)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가스공급유닛(430)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들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475)는 상기 힌지핀(475a)과 상기 힌지부시(475b)에 의해, 상기 모듈프레임(900)에 대해 상기 하우징블록(482)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기 틸팅 탄성체(47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블록(482)과 상기 지지판(485) 및 상기 가스공급유닛(430)은 일체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게 된다.
이는 상기 가스공급유닛(430)에 상기 가스탱크(300)를 경사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아직 상기 가스탱크(300)가 상기 모듈프레임(900)에 장착되기 전 상태이다.
사용자는 도 9에 게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스탱크(300)의 레귤레이터 밸브(320)를 상기 가스공급유닛(430)의 매니폴드블록(450)에 경사방향으로 삽입하고 누르면, 상기 가압 탄성체(48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스탱크(300)의 레귤레이터 밸브(320)와 상기 가스공급유닛(430)의 매니폴드블록(450)는 단단히 가압 밀착된 상태가 된다.
다음 사용자는 상기 가스탱크(300)의 탱크 손잡이(301)를 잡고 하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가스탱크(300)의 위치가 상기 힌지부(475)를 회전축으로 하여 틸팅되면서,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탱크수용부(910)에 장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스탱크(300)의 탱크 손잡이(301)는 상기 탱크 고정바(241)의 그립부(242)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 탄성체(481)의 탄성력이 상기 탱크 고정바(241) 방향으로 작용되며, 상기 가스탱크(300)를 가압력에 의해 고정하게 된다.
다음 도 20, 도 23 내지 도 25를 참고하면, 상기 가스공급유닛(430)은, 상기 가스탱크(300)의 레귤레이터 밸브(320)에 연결되어,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스택부 수용부(920)에 배치된 스택부(410)로 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전면부(20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스공급유닛(430)은 매니폴드블록(450) 및 가스공급관(4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은 상기 가스탱크(300)의 레귤레이터 밸브(320)에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가스공급관(440)은 상기 매니폴드블록(450)과 상기 스택부(410) 사이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은 무게 균형을 위해 상기 케이스(200)의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은 제1 방향(V1) 중심선(P)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에 삽입되는 상기 가스탱크(300)는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탱크수용부(910)에 안착되며, 상기 탱크수용부(910)는 상기 모듈프레임(900)상에서 상기 케이스(200)의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스탱크(300)도 상기 케이스(200)의 제2 방향(V2)으로 무게 균형을 이루어 드론의 기동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케이스(200)의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 무게중심이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00)의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 무게중심이 위치되도록 상기 가스탱크(300)가 배치되고, 상기 모듈프레임(900)상에서 상기 가스탱크(300)의 양측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상기 스택부 수용부(920)가 복수개의 형성되고, 상기 스택부(4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공급관(440)은 상기 복수개의 스택부(410)에 대응되는 개수로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에서 분기되되, 상기 복수개의 가스공급관(440)은 제1 방향(V1) 중심선(P)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는 형상 또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공급관(440)은 상기 스택부(41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스택부(4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스가 공급되어 하방향으로 확산되며 전기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산소와 수소의 전기화학반응시 부산물로 응축수가 발생하는데,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만약 상기 스택부(410)의 중간측이나 하측에 상기 가스공급관(440)이 연결되는 경우, 응축수의 낙하로 인해 가스의 확산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320)는 가스탱크(300)의 유출구에 연결되고, 가스탱크(300)로부터 유출되는 가스를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의 매니폴드유로(456)으로 감압되어 공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스탱크(300)에서는 수소가스를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320)는 커넥터부(325) 및 개폐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325)는 상기 가스탱크(300)의 유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탱크(300)의 유출구에 볼트/나사 체결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넥터부(325)에는 감압부(323), 가스충전부(321), 압력센서(322) 및 온도반응형 압력 배출부(32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압부(323)는 상기 가스탱크(300)의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가스의 감압 정도를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스충전부(321)는 상기 가스탱크(300)에 가스를 충전하기 위해 밸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스탱크(300)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케이스(200)의 리드(204)를 개방하여, 외부의 가스공급장치와 상기 가스충전부(321)를 호스로 연결하여 간단히 가스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322)는 상기 가스탱크(300)의 내부 가스압력을 측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작동 환경에 따라 상기 가스탱크(300)의 내부 가스압력은 변화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가스탱크(300)의 내부 가스압력이 한계치에 도달하여 폭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더운 지역에서 운용되는 드론은 고온에 노출된 상태에서 기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온에 의해 상기 가스탱크(300)의 내부 가스압력이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322)는 상기 가스탱크(300)의 내부 가스압력을 측정하고 그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출하게 된다.
상기 온도반응형 압력 배출부(324)는 상기 가스탱크(300)의 내부 가스온도에 반응하여 상기 가스탱크(300)의 내부 가스압력을 자동적으로 배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스탱크(300)가 고온 환경에 노출되어 상기 가스탱크(300)의 내부 가스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가스탱크(300)의 내부 가스압력이 한계치에 도달한 경우, 가스를 자동적으로 배출하여 상기 가스탱크(300)의 폭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다음 도 23 및 도 24를 참고하면, 상기 개폐부(330)는 일단부는 상기 커넥터부(325)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의 삽입공간(452)에 삽입되며 가스의 유동을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개폐부(330)는 내부유로(332) 및 분산유로(333)가 형성된 밸브바디(334), 밸브 탄성체(337) 및 개폐바(3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334)는 대체로 원통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매니폴드블록(450)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간(45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334)의 일측은 상기 커넥터부(325)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은 중앙부가 매니폴드블록(450) 방향으로 돌출된 밸브돌출부(3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돌출부(335)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돌출부(335)의 직경은 상기 커넥터부(325)에 연결된 상기 밸브바디(334)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부유로(332)는 상기 커넥터부(325)에 연결되며, 상기 밸브바디(33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유로(332)는 상기 커넥터부(325)에서 상기 감압부(323)의 설정된 압력만큼 감압된 수소가스가 흐르는 유로일 수 있다.
상기 내부유로(332)는 상기 밸브바디(334)의 타측 부위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개폐공간(3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산유로(333)는 상기 밸브바디(334)의 상기 밸브돌출부(335)의 내부에 상기 내부유로(332)와 연통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산유로(333)는 상기 밸브돌출부(335)의 내부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스가 반경방향으로 분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분산유로(333)는 상기 밸브돌출부(335)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산유로(333)에서 유출된 수소가스는 후술할,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의 매니폴드유로(456)로 유입되고, 가스공급관(440)을 통해 각각의 스택부(410)로 공급된다.
상기 밸브 탄성체(337)는 상기 개폐공간(331)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밸브 탄성체(337)는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밸브 탄성체(337)는 상기 개폐바(336)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개폐바(336)가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의 누름부(460)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개폐바(336)의 일단부(336a)는 상기 밸브 탄성체(337)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내부유로(332)의 개폐공간(33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바(336)의 타단부(336b)는 상기 밸브돌출부(335)에 형성된 관통홀(335a)에 배치되고,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의 누름부(460)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은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320)와 스택부(410)간에 연결되고,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320)를 통해 토출되는 가스를 스택부(410)로 유입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은 바디부(451), 링크부(455) 및 누름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451)는 전반적으로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일측부에는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3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공간(4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452)는 상기 삽입공간(452)의 중앙선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밸브바디(334)의 상기 밸브돌출부(335)가 수용되는 밸브돌출부 수용홀(4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452) 및 밸브돌출부 수용홀(453)에는 상기 밸브바디(334) 및 밸브돌출부(335)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452) 및 상기 밸브돌출부 수용홀(453)은, 각각 상기 밸브바디(334) 및 상기 밸브돌출부(335)가 수용 가능하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455)는 상기 바디부(451)의 타측부에 배치된다. 상기 링크부(455)에는 상기 삽입공간(452)에 삽입된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320)에서 토출되는 가스가 상기 스택부(410)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매니폴드유로(456)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니폴드유로(456)는 수소가스를 공급하고자 하는 스택부(410)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링크부(455)상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누름부(460)는 상기 바디부(451) 내부에서 상기 개폐바(336)의 타단부(336b)와 접촉하여 상기 개폐바(336)가 눌릴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460)는 상기 개폐바(336)의 상기 타단부(336b)의 일부가 수용 가능한 홈(groove)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누름부(460)의 다른 형태는 돌기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바(336)의 타단부(336b)는 상기 관통홀(335a)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밸브돌출부(335)가 상기 바디부(451)의 삽입공간(452)로 완전히 삽입될 때, 상기 누름부(460)의 돌기 형상이 상기 관통홀(335a)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개폐바(336)의 타단부(336b)를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바(336)의 일단부(336a)가 상기 개폐공간(331)의 접촉면에서 이탈되며, 상기 내부유로(332)와 상기 분산유로(333)를 개방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레귤레이터 밸브(320)의 일부인 개폐부(330)가 상기 매니폴드블록(450) 내부(정확하게는 삽입공간(452))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경우에 따라 매니폴드블록(450)을 레귤레이터 밸브(320) 내부에 삽입하는 형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공간(452)의 내면과 상기 밸브바디(334)의 외면 사이에서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상기 밸브바디(334)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실링(47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돌출부(335)와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의 밸브돌출부 수용홀(453)간의 삽입 결합면 사이에서의 가스 누설이 차단되도록, 상기 밸브돌출부(335)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2 실링(4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실링(471,473)은 O-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제1,2 실링(471,4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1,2실링은 고무, 연성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링(471)은 상기 밸브바디(334)의 외주면과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의 상기 삽입공간(452)의 내주면 사이에 압착되어 상기 밸브바디(334)와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을 압착 결합시킨다.
상기 제2 실링(473)은 상기 밸브바디(334)의 상기 밸브돌출부(335) 외주면과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의 상기 밸브돌출부 수용홀(453)의 내주면 사이에 압착되어 상기 밸브바디(334)의 상기 밸브돌출부(335)와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을 압착 결합시킨다.
즉, 상기 밸브바디(334)와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은 상기 제1,2 실링(471,473)에 의해 가스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력 향상과 함께 압착력이 인가되어 서로 결합을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도 2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320)에서 상기 매니폴드유로(456)로 토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매니폴드유로(456)에 배치되는 유량제어밸브(4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제어밸브(490)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자제어밸브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전원 제어를 통해 상기 스택부(410)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상기 매니폴드유로(456)상에서 상기 유량제어밸브(490)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의 중앙부에는 상기 밸브돌출부(335)가 삽입된 중앙홀(45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돌출부(335)의 관통홀(335a)에서 분출되는 가스는 상기 밸브돌출부(335)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분산유로(333)를 통과하여 상기 중앙홀(457)로 분출되고, 상기 중앙홀(457)로 유입된 가스는 분기홀(458)을 통과하여 각각 매니폴드유로(456)로 분산된다.
이때 상기 유량제어밸브(490)는 밸브하우징(491), 고정자(492), 회전자(493) 및 개폐피스(49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하우징(491)은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의 하측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하우징(491)의 내부에는 고정자(492)가 배치되고, 고정자(492)의 중앙측에는 회전자(493)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자(493)의 단부에는 개폐피스(494)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량제어밸브(490)은 기본 항시 밀폐상태로 있는 노멀클로즈(normal close) 방식의 밸브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전원을 인가하면 밸브가 개방되게 된다.
즉 개폐피스(494)는 기본적으로 분기홀(458)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인가하면 전자기 반응으로 상기 회전자(493)가 상기 분기홀(458)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자(493)의 단부에 장착된 상기 개폐피스(494)가 상기 분기홀(458)에서 배출되어 상기 분기홀(458)의 개폐를 조절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연료전지 파워팩의 사용을 중단하고자 전원을 끄면, 회전자(493)은 다시 분기홀(458) 방향으로 이동하고, 개폐피스(494)가 분기홀에 삽입되며 수소가스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량제어밸브(490)은 연료전지 파워팩의 고장 또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 자동적으로 닫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량제어밸브(490)를 전자제어밸브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유량제어밸브(490)는 상기 개폐바(336)와 함께, 수소가스의 흐름을 통제하는 보조 수단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 외부 충격 또는 장시간 사용에 의해 상기 개폐바(336)가 손상, 마모되어 가스의 개폐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 상기 유량제어밸브(490)가 분기홀(458)을 개폐하는 동작을 통해, 가스의 개폐를 보조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소가스는 인화성 물질이므로, 상기와 같이, 개폐바(336)와 누름부(460)에 의한 1차적인 개폐 구조와 유량제어밸브(490)와 분기홀(458)에 의한 2차적인 개폐 구조를 통해 가스 공급의 보다 안정적인 통제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가스공급 구조는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구조에 의한 개폐방식을 도 23 내지 도 25를 참고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사용자가 케이스(200)의 리드(204)를 열고, 가스탱크(300)를 경사방향으로 삽입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틸팅 탄성체(471)의 탄성력에 의해 가스공급유닛(430)의 매니폴드블록(450)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스탱크(300)의 레귤레이터 밸브(320)는 매니폴드블록(450)의 삽입공간(452)에 끼워지게 된다.
다음 사용자는 가스탱크(300)의 후단부에 배치된 탱크 손잡이(301)를 잡고 하방향으로 누르면, 가스탱크(300)가 힌지부(475)를 회전축으로 하여 틸팅되며, 모듈프레임(900)의 탱크수용부(910)에 안착되게 된다. 탱크 손잡이(301)는 탱크 고정바(241)의 그립부(242)에 삽입되고, 가압 탄성체(481)의 탄성력에 작용하며 가스탱크(300)는 탱크 고정바(241)에 의해 고정된다.
다음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320)의 밸브바디(334)가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의 삽입공간(452)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개폐바(336)의 타단부(336b)는 상기 누름부(460)의 내측 단부에 맞닿게 위치된다.
이때 가스탱크(300)의 레귤레이터 밸브(320)를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의 삽입공간(452)에 경사방향으로 삽입할 때, 상기 누름부(460)에 상기 개폐바(336)가 삽입되며 눌러지게 되므로, 아직 가스탱크(300)가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탱크수용부(910)에 안착되기 전에 상기 스택부(410)로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유로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시점에 스택부(410)로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량제어밸브(490)는 기본 항시 밀폐상태로 있는 노멀클로즈(normal close) 방식의 밸브임을 전술하였다.
따라서 상기 유량제어밸브(490)는 사용자가 전원을 인가하면 개방되고, 사용자가 연료전지 파워팩의 사용을 중단하고자 전원을 끄면 다시 기본 밀폐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즉 사용자의 전원조작을 통해 개폐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량제어밸브(490)은 연료전지 파워팩의 고장 또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 자동적으로 닫히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량제어밸브(490)를 기본 항시 밀폐상태로 위치하되, 전원을 조작하여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스택부(410)로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통제한다.
이제 가스탱크(300)가 모듈프레임(900)의 탱크수용부(910)에 틸팅되어 장착되면, 도 24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바(336)의 타단부(336b)가 상기 누름부(460)의 내측 단부에 의해 눌려지고, 상기 개폐바(336)의 일단부(336a)는 상기 개폐공간(331)의 접촉면(331a)에서 이탈되며, 가스가 흐르는 유로가 개방되게 된다.
물론 이때에는 연료가스가 흐르는 유로가 전부 연결되도록, 유량제어밸브(490)를 개방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 조작은 나중에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바(336)의 일단부(336a)가 상기 개폐공간(331) 내에서 상기 내부유로(33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내부유로(332)와 상기 관통홀(335a)이 서로 연통된다.
이때, 상기 개폐공간(331)의 접촉면(331a)과 상기 개폐바(336)의 일단부(335a)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가스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유로(332)와 상기 개폐공간 및 상기 분산유로(333)가 서로 연통되며 상기 내부유로(332)의 가스가 상기 분산유로(333)로 흐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스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개방됨에 따라, 가스탱크(300)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우선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320)의 감압부(323)에 의해 기설정된 압력만큼 감압된 뒤에 상기 내부유로(332)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내부유로(332)와 상기 분산유로(333)는 상기 개폐바(336)의 움직임에 의해 연통되어 있으므로, 도 24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스는 내부유로(332)에서 개폐공간(331)을 거쳐 분산유로(333)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매니폴드유로(456)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매니폴드유로(456)와 연결된 가스공급관(440)에 의해 각각의 스택부(410)로 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바디(334)의 외면과 상기 밸브돌출부(335)의 외면 및 상기 삽입공간(452)의 내면 사이에는 상기 제1,2 실링(471,473)가 배치되어 있어, 수소가스의 외부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가스탱크(300)를 교체하거나 또는 가스 공급을 중단하고 싶으면, 작업자는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의 밸브바디(334)를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의 삽입공간(452)에서 빼면 된다.
이 경우 상기 밸브 탄성체(337)의 복원력이 발생하여 상기 개폐바(336)가 상기 누름부(460)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개폐바(336)의 상기 일단부(336a)가 상기 개폐공간(331)의 접촉면(331a)에 밀착된다.
이에 의해, 상기 내부유로(332)와 상기 분산유로(333)간의 연결이 서로 차단되어 매니폴드유로(456)으로의 가스 공급이 차단된다.
물론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상기 유량제어밸브(490)로 분기홀(458)를 폐쇄시킴으로써, 가스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가스탱크(300)를 케이스(200)에서 빼낼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스탱크(300)의 레귤레이터 밸브(320)를 상기 매니폴드블록(450)에 삽입할 때, 상기 누름부(460)에 상기 개폐바(336)가 삽입되며 눌러지게 되므로, 아직 가스탱크(300)가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탱크수용부(910)에 안착되기 전에 상기 스택부(410)로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제어밸브(49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시점에 스택부(410)로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개폐바(336)와 누름부(460)에 의한 1차적인 개폐 구조와 상기 유량제어밸브(490)와 분기홀(458)에 의한 2차적인 개폐 구조, 즉 2단계적인 가스 흐름 제어를 통해 안정적인 가스 공급 체계를 갖추고 있다.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모듈 탑재 구조]
도 8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0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전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후면도이며, 도 12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하면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후면사시도이며, 도 14은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내부를 나타낸 전면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모듈 탑재 구조는 모듈프레임(900), 탱크수용부(910), 스택부 수용부(920), 매니폴드 수용부(940) 및 제어판 수용부(9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프레임(900)은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장착되는 비교적 강성이 있는 재질의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탱크수용부(910)는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가스탱크(300) 장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탱크수용부(910)는 상기 가스탱크(300)의 외형에 맞게 가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탱크수용부(910)는 반원 형상으로 라운딩 처리된 홈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탱크수용부(910)의 내측 둘레 양 가장자리에는 탄성재질의 수용패드(91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패드(911)는 상기 가스탱크(300)가 상기 탱크수용부(910)에 밀착되어 안착되며 상기 가스탱크(300)에 인가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탱크(300)의 하단부에는 탱크 손잡이(301)가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200)의 후면부 내측에는 상기 가스탱크(300)의 탱크 손잡이(301)가 삽입되는 집게 형상의 그립부(242)가 형성된 탱크 고정바(241)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가압 탄성체(481)에 의한 탄성력이 상기 탱크 고정바(241)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탱크 손잡이(301)가 탱크 고정바(241)에 삽입되면, 접촉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하여 상기 가스탱크(300)는 상기 탱크수용부(910)에 안착 고정되게 된다.
다음 상기 스택부 수용부(920)는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택부(410)가 장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스택부 수용부(920)는 상기 모듈프레임(900)상에서 무게 균형을 이루도록, 상기 탱크수용부(91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부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택부 수용부(920)는 제1 수용면(921) 및 제2 수용면(9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면(921)은 사각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스택부(410)의 일측면을 고정하는 제1 체결유닛(922)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수용면(923)은 사각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수용면(921)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택부(410)의 하면을 고정하는 제2 체결유닛(92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택부(410)는 제1,2 수용면(921,923)에서 각각 제1,2 체결유닛(922,924)으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1,2 체결유닛(922,924)은 체결볼트/너트일 수 있다 .
여기서 상기 스택부 수용부(920)는, 상기 케이스(200)의 수직선(H1)을 기준으로,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양측부에 일정 각도(α1) 범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면(921)은 상기 케이스(200)의 수직선(H1)을 기준으로,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외측 하방향을 바라보며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면(923)은 상기 제1 수용면(921)에 직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제2 수용면(923)은 상기 케이스(200)의 수평선(H2)을 기준으로,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외측 하방향을 바라보며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택부 수용부(920)의 경사각도(α1) 범위는 5° ~ 15° 내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외의 경사각도가 채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고정패널(713)은 상기 케이스(200)의 양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택부(410)의 일면과 연결되는 개구창(71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패널(713)은 상기 제1,2 수용면(921,923)에 배치된 스택부(410)에 대향되는 경사 각도(α2) 범위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200)의 수직방향(H1)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경사 각도 5° ~ 15° 내외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경사각도 (α1)과 (α2)는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유닛(714)은 상기 고정패널(713)의 개구창(713a)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스택부(410)의 제1 수용면(921) 둘레를 따라 밀착되며, 상기 스택부(410)를 통과한 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상기 밀폐하우징(720)의 내부로 흐르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택부 수용부(920)를 일정 각도(α1) 범위로 경사지게 배치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패널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패널(713)의 개구창(713a) 둘레에는 공기 누설 방지를 위한 탄성재질의 실링유닛(714)이 둘러져 있다.
만약 상기 고정패널(713)과 상기 실링유닛(714)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택부 수용부(920)도 상기 모듈프레임(900)상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택부(410)가 상기 스택부 수용부(920)에 수직하게 장착된다면, 상기 모듈프레임(900)을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삽입할 때, 삽입과정에서 상기 스택부(410)의 일면과 상기 실링유닛(714)간에 간섭이 발생되고, 이러한 간섭을 극복하기 위해 억지로 끼워 넣게 되면, 금속재질인 스택부(410)의 일면과 탄성재질인 실링유닛(714)의 표면간에 마찰로 인해 손상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택부(410)는 하방향으로 일정각도(α1)로 경사를 두고 배치하고, 상기 고정패널(713)과 상기 실링유닛(714)은 상방향으로 대향되는 각도로 경사를 두고 배치하여, 상기 모듈프레임(900)을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택부(410)의 일면이 상기 실링유닛(714)의 표면에 부드럽게 안착되며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실링유닛(714)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택부(410)의 일면을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은 전반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하방향으로 유도하여 최종적으로 공기유출구(230)에서 배출될 때는 드론의 양력 조성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패널(713)의 개구창(713a)에는 재순환유로(720) 및 재순환 제어기구(722)가 배치되는 밀폐하우징(710)이 연결되고, 밀폐하우징(710)과 공기유출구(230) 사이에는 복수개의 블라인드(740)가 형성된 덕트(760)가 배치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하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있어, 상기 스택부(410)에서 상기 공기유출구(230)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는 자연스럽게 하방향으로 유도된다.
다음 상기 매니폴드 수용부(940)는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스탱크(300)에 장착되는 레귤레이터 밸브(320)와 상기 스택부(410)를 연결하는 매니폴드부(420)가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매니폴드 수용부(940)는 제1 브라켓판(941) 및 제2 브라켓판(9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판(941)은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판(941)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 브라켓판(941,942) 사이에는 상기 틸팅유닛(470)과 상기 가압유닛(480)이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틸팅유닛(470)의 베이스바(473)는 제1,2 브라켓판(941,942)간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틸팅 탄성체(471)는 양단부에 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고리가 각각 상기 베이스바(473)의 중앙측과 지지판(485)의 중앙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485)은 상기 가스공급유닛(430)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틸팅 탄성체(47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485)은 상기 베이스바(473)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판(485)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가스공급유닛(430)이 가스탱크(300)의 레귤레이터 밸브(320) 장착전에는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들리져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475)는 상기 힌지핀(475a)과 상기 힌지부시(475b)에 의해, 상기 모듈프레임(900)에 대해 상기 하우징블록(482)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기 틸팅 탄성체(47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블록(482)과 상기 지지판(485) 및 상기 가스공급유닛(430)은 상기 모듈프레임(900)상에서 일체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유닛(480)의 하우징블록(482)은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전면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1 브라켓판(941)과 제2 브라켓판(942) 사이에 힌지부(475)로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블록(482)의 양측에는 돌출부(482e)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82e)는 상기 제1,2 브라켓판(941,942)에 각각 힌지핀(475a)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힌지핀(475a)의 부드러운 회동을 위해 힌지부시(475b)가 상기 제1,2 브라켓판(941,942)의 연결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틸팅유닛(470)과 가압유닛(480)은 상기 제1,2 브라켓판(941,942) 사이에 배치되어, 가스탱크(300)의 레귤레이터 밸브(320)가 삽입 연결되는 매니폴드블록(450)이 상기 모듈프레임(900)상에서 경사 배치 상태로 위치되도록 하며, 가스탱크(300)의 레귤레이터 밸브(320)가 삽입되고, 틸팅되어 안착되는 경우에는 가압력을 인가하여 가스탱크(300)이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탱크수용부(910)상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제어판 수용부(930)는 상기 모듈프레임(900)의 전면부에서 상기 매니폴드 수용부(940)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스탱크(300)의 레귤레이터 밸브 및 상기 스택부(410)를 제어하는 제어판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판 수용부(930)는 상기 전면창(221)의 경사 배치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창(221)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제어판 수용부(930)에 장착되는 제어판(830)은 자연스럽게 냉각되게 된다.
다음 상기 케이스(200)의 전면부 양측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보조전원 브라켓(51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00)의 제1 방향(V1) 중심선(P)을 기준으로 한 상기 보조전원부(500)의 무게 균형 유지를 고려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이상의 사항은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
200:케이스
201:케이스의 전면부 202:케이스의 측면부
203:케이스의 후면부 204:리드
210:날개부 211:날개빔
212:구동모터 213;프로펠러
220:공기유입구 221:전면창
222:후면창 221a,222a:창블라인드
230:공기유출구
241:탱크 고정바 242:그립부
250:레그부 251:제1 레그
253:제2 레그 255:안착빔
300:가스탱크 301:탱크 손잡이
320:레귤레이터 밸브 321:수소충전부
322:압력센서 323:감압부
324:온도반응형 압력 배출부 325:커넥터부
330:개폐부 331:개폐공간
332:내부유로 333:분산유로
334:밸브바디 335:밸브돌출부
335a:관통홀 336:개폐바
336a:개폐바의 일단부 336b:개폐바의 타단부
337:밸브 탄성체
400:연료전지부 410:스택부
420:매니폴드부 430:가스공급유닛
440:가스공급관 450:매니폴드블록
451:바디부 452:삽입공간
453:밸브돌출부 수용홀 455:링크부
456:매니폴드유로 457:중앙홀
458:분기홀 459a:제1 실링
459b:제2 실링 460:누름부
470:틸팅유닛 471:틸팅 탄성체
473:베이스바 475:힌지부
475a:힌지핀 475b:힌지부시
480:가압유닛 481:가압 탄성체
482:하우징블록 482a:개구부
482b,482c:관통홀 482e:돌출블록
482f:하우징판 483:가압빔
484:스토퍼 485:지지판
488a,488b,488c:체결볼트
490:유량제어밸브 491:밸브하우징
492:고정자 493:회전자
494:개폐피스
500:보조전원부 510:보조전원 브라켓
600:배출부 620:제1 배수유로
621:제1 배수관 630:제2 배수유로
631:제2 배수관 640:가습유닛
700:공기순환 조절유닛 710:밀폐하우징
713:고정패널 713a:개구창
714:실링유닛
720:재순환유로 722:재순환 제어기구
730:팬부재 731:팬부시
733:구동모터 735:팬블레이드
740:블라인드 741:상부 블라인드
742:하부 블라인드 760:덕트
810:연료상태 표시창 820:전원스위치
830:제어판
900:모듈프레임 910:탱크수용부
911:수용패드 920:스택부 수용부
921:제1 수용면 922:제1 체결유닛
923:제2 수용면 924:제2 체결유닛
930:제어판 수용부 940:매니폴드 수용부
941:제1 브라켓판 942:제2 브라켓판
943:절삭홀

Claims (17)

  1.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듈프레임;
    가스탱크의 레귤레이터 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모듈프레임에 장착된 스택부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모듈프레임에 배치되는 가스공급유닛;
    일측부는 상기 모듈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가스공급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가스공급유닛을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 및
    상기 모듈프레임와 상기 가압유닛간에 연결되고, 상기 가스탱크를 틸팅하여 상기 모듈프레임에 장착되도록 제공되는 틸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모듈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로 연결되는 하우징블록;
    상기 가스공급유닛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지지판; 및
    상기 하우징블록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 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하우징블록의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지지판과 연결되며 배치되는 가압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탄성체는 상기 하우징블록의 내부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서, 상기 가압빔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가압빔이 상기 하우징블록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압빔의 단부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모듈프레임에 배치되는 베이스바;
    상기 베이스바와 상기 지지판을 연결하며 배치되는 틸팅 탄성체; 및
    상기 모듈프레임와 상기 하우징블록을 연결하며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블록이 틸팅되도록 제공되는 힌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빔과 상기 하우징블록의 무게중심은 상기 케이스의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 위치되고, 상기 틸팅 탄성체는 상기 케이스의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7.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듈프레임;
    가스탱크의 레귤레이터 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모듈프레임에 장착된 스택부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모듈프레임에 배치되는 가스공급유닛;
    일측부는 상기 모듈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가스공급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가스공급유닛을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 및
    상기 모듈프레임와 상기 가압유닛간에 연결되고, 상기 가스탱크를 틸팅하여 상기 모듈프레임에 장착되도록 제공되는 틸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공급유닛은,
    상기 가스탱크의 레귤레이터 밸브에 연결되는 매니폴드블록; 및
    상기 매니폴드블록과 상기 스택부를 연결하는 가스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매니폴드블록은 상기 케이스의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제1 방향(V1) 중심선(P)상에서 상기 모듈프레임의 탱크수용부가 배치되고,
    상기 탱크수용부에 상기 가스탱크가 틸팅되며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프레임상에서 상기 탱크수용부의 양측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택부 수용부에 복수개의 스택부가 안착되고,
    상기 가스공급관은 상기 복수개의 스택부에 대응되는 개수로 상기 매니폴드블록에서 분기되되,
    상기 복수개의 가스공급관은 제1 방향(V1) 중심선(P)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는 형상 또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관은 상기 스택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12.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듈프레임; 및
    가스탱크의 레귤레이터 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모듈프레임에 장착된 스택부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모듈프레임에 배치되는 가스공급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공급유닛은,
    상기 가스탱크의 레귤레이터 밸브에 연결되는 매니폴드블록; 및
    상기 매니폴드블록과 상기 스택부를 연결하는 가스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는,
    상기 가스탱크의 유출구에 연결되는 커넥터부; 및
    일단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매니폴드블록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부에서 상기 매니폴드블록으로의 가스 공급을 개폐하는 개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블록은,
    일측부에 상기 개폐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공간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타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에서 토출되는 가스가 상기 스택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매니폴드유로가 배치된 링크부; 및
    상기 삽입공간의 내측에 상기 개폐부를 가압 가능하도록 형성된 누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유닛은,
    상기 매니폴드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에서 토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일측에 형성된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고 개폐공간이 형성된 내부유로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공간을 통해 상기 내부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매니폴드유로와 연통된 분산유로와, 상기 누름부를 향해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분산유로가 형성된 밸브돌출부를 포함하는 밸브바디;
    일단부는 상기 내부유로의 상기 개폐공간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누름부를 향해 상기 밸브바디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개폐바; 및
    상기 내부유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바를 상기 누름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밸브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내면과 상기 밸브바디의 외면 사이에서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상기 밸브바디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실링;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돌출부와 상기 매니폴드블록의 삽입 결합면 사이에서의 가스 누설이 차단되도록, 상기 밸브돌출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2 실링;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KR1020180103817A 2018-08-31 2018-08-31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KR102134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817A KR102134965B1 (ko) 2018-08-31 2018-08-31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CN201822117012.9U CN210133291U (zh) 2018-08-31 2018-12-17 燃料电池电源组一体型无人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817A KR102134965B1 (ko) 2018-08-31 2018-08-31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862A KR20200025862A (ko) 2020-03-10
KR102134965B1 true KR102134965B1 (ko) 2020-07-16

Family

ID=6980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817A KR102134965B1 (ko) 2018-08-31 2018-08-31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717B1 (ko) * 2020-08-19 2022-10-13 (주)두산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매니폴드와 밸브간의 퀵 커넥팅 구조
KR102447512B1 (ko) * 2022-03-24 2022-09-27 주식회사 순돌이드론 수소 연료 유선 드론 시스템
CN116928587B (zh) * 2023-09-14 2024-04-26 陕西中源氢能新能源有限公司 一种气态储氢电池的安全供氢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10388A1 (en) * 2014-01-30 2015-07-30 The Boeing Company Unmanned Aerial Vehicle
JP2017035956A (ja) * 2015-08-07 2017-0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
WO2018046990A1 (en) * 2016-09-07 2018-03-15 Intelligent Energy Limited Ground stations and methods for pem fuel cell powered unmanned aerial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191B1 (ko) 2016-12-20 2018-06-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접이식 드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10388A1 (en) * 2014-01-30 2015-07-30 The Boeing Company Unmanned Aerial Vehicle
JP2017035956A (ja) * 2015-08-07 2017-0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
WO2018046990A1 (en) * 2016-09-07 2018-03-15 Intelligent Energy Limited Ground stations and methods for pem fuel cell powered unmanned aerial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862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2453B1 (ko)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
KR102130212B1 (ko) 연료전지 파워팩
KR102134965B1 (ko)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가스탱크 장탈착 틸팅 및 가스 공급 구조
KR102121663B1 (ko)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공기 순환 조절 구조
KR102130213B1 (ko) 연료전지 파워팩의 가스 공급 구조
KR102224303B1 (ko)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모듈 탑재 구조
CN103227349B (zh) 电池模块及包括该电池模块的车辆
CN210133291U (zh) 燃料电池电源组一体型无人机
KR102121662B1 (ko) 연료전지 파워팩의 공기 순환 구조
EP3982470B1 (en) Balancing valve, battery, and electrical appliance
EP4106084A1 (en) Aircraft battery systems
KR20130001385A (ko) 광고용 비행선
CN209357840U (zh) 燃料电池电源组
US20200388868A1 (en) Open type module structure of fuel cell power pack
KR102550918B1 (ko)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 및 이를 구비하는 드론
CN207199694U (zh) 电池箱
CN206984304U (zh) 无人飞行器电池容置结构
KR102461526B1 (ko) 멀티콥터
CN219693195U (zh) 一种户外led灯具驱动电源密封结构
US20220402620A1 (en) Aircraft battery systems
CN208819944U (zh) 一种观光车动力电池的保护装置
JP2023037412A (ja) 航空機
GB2607925A (en) Aircraft battery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