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371B1 -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 Google Patents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371B1
KR102134371B1 KR1020190098215A KR20190098215A KR102134371B1 KR 102134371 B1 KR102134371 B1 KR 102134371B1 KR 1020190098215 A KR1020190098215 A KR 1020190098215A KR 20190098215 A KR20190098215 A KR 20190098215A KR 102134371 B1 KR102134371 B1 KR 102134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discharge
guide cone
outboard
ve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철
황현수
Original Assignee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8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내에서 배기가스의 정화에 사용된 해수를 선외로 배출하는 배출배관의 출구단에 설치되는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에 있어서, 배출배관의 출구단 중심부에 설치되며 원뿔 형태로 마련되어 배출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해수의 확산을 유도하는 가이드콘; 및 가이드콘을 지지하도록 배출배관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Diffusion Device of Outboard Discharge Water}
본 발명은 선외 배출수의 확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스크러버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수가 선외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출수를 확산시켜 배출수의 산성 pH를 빠르게 희석시켜 줌으로써, 선외 배출수에 대한 IMO 규정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선외 배출수의 확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의 급속한 진전에 따른 화석연료 사용량의 증가로 인한 대기오염과 지구 온난화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대기오염의 주범 중 하나로 선박이나 해상플랜트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SOx)과 질소산화물(NOx)이 손꼽히고 있으며, 최근 환경보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이들에 대한 각국의 배출 규제가 도입되고 있다.
선박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은,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로부터 배출 규제를 받고 있는 대표적인 대기 오염물질이며, 특히 황산화물은 2010년 1월 1일부터 SECA(Sulfur Emission Control Area)에서의 배출을 0.1% 이하로 규제하고, 2020년 1월 1일부터 국제적으로 모든 해역(Global Sea)에서의 배출을 0.5%이하로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배출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선박에 구비되는 각종 연소시설물에는 황산화물과 미세입자(Particulate Matter) 등을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설비가 적용되고 있다.
배기가스 처리장치 중 대표적인 황산화물 저감장치로는, 배기가스에 해수 또는 수산화나트륨(NaOH) 등의 염기성 용액을 분사하여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스크러버(Scrubber)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크러버는, 개방 루프(Open Loop) 타입과 폐 루프(Close Loop) 타입, 그리고 하이브리드 루프(Hybrid Loop)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개방 루프 타입의 스크러버는, 해수를 스크러버에 직접적으로 분사하여 해수에 포함된 알칼리 성분을 이용하여 배기가스 중의 황산화물을 제거(또는 중화)한 후, 사용된 해수를 선박의 외부로 배출한다.
개방 루프 타입의 스크러버는 가장 단순하면서 운용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된 해수를 선외 배출하기 때문에 해수 배출에 관련된 규제가 강한 지역에서는 적용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폐 루프 타입의 스크러버는, 수산화나트륨(NaOH) 등의 첨가제가 포함된 세정수를 스크러버에 분사하여 배기가스 중의 황산화물을 제거한다. 이때 세정수는 선외 배출되지 않고 순환수 탱크를 통해 선박 내에서 계속 순환되며, 선박이 항구에 접안시에 찌꺼기 및 폐수를 육상에서 처리한다.
폐 루프 타입의 스크러버는 개방 루프 타입의 스크러버와는 달리 지역적인 규제와는 무관하게 적용 가능하지만, 세정수를 계속 선박 내에서 순환시켜야 하기 때문에 황산화물의 염이 축적되어 스케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세정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장치 및 탱크류가 필요하므로 공간적 제약이 발생한다.
하이브리드 타입의 스크러버는, 개방 루프 타입과 폐 루프 타입의 장점을 각각 채용할 수는 있으나, 그만큼 시스템이 복잡해져 설치 및 운용 비용이 증가하고 폐 루프 타입과 마찬가지로 공간적 제약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선박에서는 내부의 공간적 한계로 인하여 스크러버의 설치 공간 확보가 어려워 개방 루프 타입의 스크러버를 선호하여 왔다.
도 1은 개방 루프 타입의 스크러버가 적용된 배기가스 처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수 펌프(10)에 의해 공급되는 해수가 개방 루프 타입의 스크러버(20) 내부로 분사되고, 스크러버(20) 내부에서 해수의 알칼리 성분에 의해 황산화물이 제거된 배기가스는 스크러버(20)의 상단과 연결된 가스배출라인(GL)을 통해 배출되며, 스크러버(20)에서 배기가스의 정화에 사용된 해수는 스크러버(20)의 하단과 연결된 해수배출라인(WL)을 통해 선박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30)에 의해, 가스배출라인(GL)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이나 이산화탄소 등의 함유량, 그리고 해수배출라인(WL)을 통해 선외 배출되는 해수(배출수)의 pH 및 온도 등이 수시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한편, IMO의 규정에 의하면, 선박에서 선외 배출되는 배출수는 선체로부터 4m 떨어진 지점에서 pH가 6.5 이상을 만족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스크러버와 반응하기 전의 해수의 pH는 대부분 8 이상이지만, 스크러버에서 반응이 이루어진 후의 해수의 pH는 대부분 4 이하로 떨어지므로, 위와 같은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상기 IMO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스크러버에서 사용된 후 배출되는 해수(배출수)를 선외 배출시키기 전에 보다 높은 pH를 가지는 청수와 혼합하여 희석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배출수를 선외 배출하기 전에 희석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게 되어 비효율적이고, 배출수의 희석을 위하여 청수를 공급하는 라인 및 혼합 탱크 등을 더 구비해야 하므로 시스템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7782호 (2014.07.09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크러버에서 사용된 후 배출되는 해수가 선외 배출하는 과정에서 배출수를 빠르게 확산시킴으로써, 산성 배출수에 의한 해양 생물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키고, 또 IMO에서 규정하는 규제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배출수를 희석시키는 별도의 과정을 포함하지 않고, 스크러버로부터 배출수가 배출되는 배관에 간단하게 확산장치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IMO 규제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끔 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 내에서 배기가스의 정화에 사용된 해수를 선외로 배출하는 배출배관의 출구단에 설치되는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의 출구단 중심부에 설치되며 원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배출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해수의 확산을 유도하는 가이드콘; 및 상기 가이드콘을 지지하도록 상기 배출배관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콘은, 꼭짓점 부분이 상기 배출배관의 내부로 인입되게 설치되고, 밑면 부분은 상기 배출배관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콘의 꼭짓점은 상기 배출배관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콘의 꼭짓점으로부터 밑면까지의 수직거리는, 상기 배출배관의 직경의 0.5 내지 1.5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콘의 꼭짓점은 상기 배출배관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콘의 꼭짓점으로부터 밑면까지의 수직거리는, 상기 배출배관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거리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콘이 상기 배출배관의 내부로 인입되는 거리와 상기 배출배관의 외부로 돌출되는 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콘의 옆면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방사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콘에서 상기 배출배관의 내부로 인입되는 부분의 옆면 둘레에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배출배관의 직경 크기를 고려하여 설계된 상기 가이드콘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를 용접에 의해 연결하여 일체의 구조물로 제작한 후, 상기 복수의 지지지부재의 타단부를 상기 배출배관의 내주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선박에 구비되는 황산화물 저감장치에서 배기가스의 정화에 사용된 해수를 선외로 배출하는 배출배관이 구비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의 출구단에 꼭짓점으로부터 밑면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원뿔 형태의 가이드콘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배출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의 확산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콘은 상기 배출배관의 출구단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콘의 옆면 둘레와 상기 배출배관의 내주면 사이에 복수의 지지부재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콘이 상기 배출배관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러버에서 사용된 해수가 선외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출배관의 출구에 설치되는 확산장치에 의해 배출수가 빠르게 확산됨으로써, 산성 배출수에 의한 해양 생물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키고, IMO에서 규정하는 규제 기준을 용이하게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배출배관의 말단에 배출수를 확산시키는 확산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선박의 선체로부터 4m 떨어진 지점에서의 pH가 6.5 이상을 만족시키고, 이에 따라 산성 배출수에 의한 해양 생물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개방 루프 타입의 스크러버가 적용된 배기가스 처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가 배출배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의 도 2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를 B 방향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기존 선외 배출배관의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가 설치된 배출배관의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가 배출배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의 도 2를 A 방향(배관 내부로부터)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를 B 방향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확산장치(100)는, 선박에 구비되는 스크러버(미도시)에서 사용된 해수를 선외로 배출하는 배출배관(200)의 출구단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스크러버에서 사용된 후 배출배관(200)을 따라 선외로 배출되는 배출수가 선박의 외부로 빠져나가기 직전에 배출수 확산장치(100)에 의해 확산되게 함으로써, 배출수의 빠른 확산 및 희석이 이루어져 IMO에서 규정하는 규제 기준(pH 6.5 이상)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확산장치(100)의 형상적 특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확산장치(100)는, 배출배관(200)의 출구단 중심부에 설치되며 원뿔 형태로 마련되어 배출수의 확산을 유도하는 가이드콘(110), 가이드콘(110)이 배출배관(200)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콘(110)은, 꼭짓점 부분이 배출배관(20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설치되고, 밑면 부분은 배출배관(2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콘(110)의 꼭짓점은 배출배관(200)의 중심에 위치한다. 다만, 가이드콘(110)의 밑면 부분은 빠른 확산 효과를 거두기 위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선박에 따라 운항시 저항을 유발할 가능성이나 위험의 소지가 있는 경우에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꼭짓점으로부터 밑면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원뿔 형태의 가이드콘(110)을 배출배관(200)의 출구에 설치함으로써, 배출배관(200)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의 확산을 유도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이드콘(110)의 꼭짓점으로부터 밑면까지의 수직거리(D)는, 배출배관(200)의 직경(L) 대비 0.5 내지 1.5배로 형성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배출배관(200)의 직경(L)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거리(D)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배출수의 확산 효과는 좋아질 수 있지만,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 또한 함께 길어지기 때문에 선박의 운항시 저항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수직거리(D)는 배출배관(200)의 직경(L) 대비 1.5배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거리(D)에 대하여, 가이드콘(110)이 배출배관(200)의 내부로 인입되는 거리와 배출배관(2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가이드콘(110)에서 배출배관(220)의 내부로 인입되는 부분은 배관 내부에서 지지부재(120)에 용접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되기에 용접되는 길이를 충분히 하여 지지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고, 가이드콘(110)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에 의해서는 배출수의 효과적인 확산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콘(110)의 지지 안정성과 배출수의 확산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이드콘(110)에서 배출배관(200)의 내부로 인입되는 거리와 외부로 돌출되는 거리가 산정 및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이드콘(110)은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중량 감소의 목적으로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고, 밑면 부분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가이드콘(110)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 꼭짓점 각도(θ)가 10°내지 60°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내지 40°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유동해석을 통하여, 가이드콘(110)의 단면상 꼭짓점 각도(θ)를 10°미만으로 형성하면 배출수의 확산 효과가 미미하고, 꼭짓점 각도(θ)를 20°이상으로 형성시에 배출수의 확산 효과가 좋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가이드콘(110)의 단면상 꼭짓점 각도(θ)를 60°초과로 형성하면, 배출수의 확산 효과는 좋을 수 있으나, 가이드콘(110)이 배출배관(200) 출구에서의 배출 흐름을 방해하게 되어 배관압이 증가하고, 심한 경우에는 스크러버 측으로 배출수가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콘(110)의 단면상 꼭짓점 각도(θ)는 배출배관(200)으로 역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60°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위에서 기술하였듯이, 가이드콘(110)의 꼭짓점 각도(θ)가 60°를 넘을 경우, 장점은 확산 효율이 높아진다. 그러나 단점은 배관경의 배압 증가로 인하여 배관 내 배출수의 흐름이 느려짐에 따라 배출수의 오버플로(Over flow)가 발생할 수 있다. 배출배관(200)에서 배출수의 오버플로가 발생하면 스크러버는 Shut Down(비상정지)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꼭짓점 각도(θ)를 10도 내지 60도로 함으로써 배출수의 오버플로 및 스크러버의 비상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경사각(θ)이 상기의 각도를 가지게 함으로써 배관 내 배출수 흐름의 영향을 적게 미치며 선외 배출수 확산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수직거리(D)가 배출배관(200)의 직경(L)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에 가이드콘(110)의 밑면 직경은, 상기의 내용을 고려하여 배출배관(200)의 직경 대비 0.3 내지 1.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7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가이드콘(110)의 수직거리(D)가 배출배관(20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가이드콘(110)의 밑면 직경은 배출배관(200)의 직경 대비 0.5배로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지지부재(120)는, 가이드콘(110)을 배출배관(2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가이드콘(110)에서 배출배관(200)의 내부로 인입되는 부분과 배출배관(200)의 내주면 사이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복수의 지지부재(120)는 가이드콘(110)의 옆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지지부재(120) 사이가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지지부재(120)가 배출배관(200)의 내부에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가이드콘(110)의 둘레를 따라 90°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콘(110)의 지지 안정성을 고려하여 지지부재(120)의 설치 개수를 증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확산장치(100)는, 가이드콘(110)과 지지부재(120)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의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고, 배출배관(200)의 직경(L)을 고려하여 사이즈가 설계 및 제작된 후, 배출배관(200)의 출구단에 용접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수 확산장치(100)가 설치되는 출구 배관을 별도로 제작하여, 배출배관(200)의 끝단과 용접에 의해 이어 붙이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배출배관(200)이 선체 외벽에 형성된 홀(hole)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배관 자체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확산장치(100)는, 배출배관(200)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되는 배출수가 선외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출수를 빠르게 확산시켜줌으로써, 산성 배출수에 의한 해양 생물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키고, IMO에서 규정하는 규제 기준을 용이하게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과 유사한 효과를 거두기 위하여, 배출배관(200)의 출구 측 배관 자체를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수 있는데, 이는 배출배관(200)의 설계를 변경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이 필요하기에, 간단하게 배출수 확산장치(100)만 설치하면 되는 본 발명에 비하여 작업 난이도가 높고 비용이 증가하여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구비되는 선외 배출배관(200)은 다양한 직경(L)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배관의 직경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배관 직경(L)에 비례하여 사이즈가 설계되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한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100)를 제공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선박에 기설치되는 선외 배출배관(200)을 설계 변경하거나 교체할 필요 없이, 기존의 배관 직경(L)을 고려하여 배출수 확산장치(100)를 별도 제작하여 배출배관(200)의 출구단에 간단하게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 즉 선외 배출수에 대한 IMO에서 규정을 만족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비교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확산장치(100)의 설치에 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기존 선외 배출배관의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확산장치가 설치된 배출배관의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직경 250A의 배출배관을 적용하여 테스트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비교해 보면, 배출수 확산장치가 설치되지 않는 기존의 선외 배출배관(도 5)에서는, 선박으로부터 4m 떨어진 지점의 pH가 6.4로 측정되어 IMO 규정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가 설치된 배출배관(도 6)에서는, 선박으로부터 4m 떨어진 지점의 pH가 7.0으로 측정되어 IMO가 규정하는 기준을 훨씬 웃돌며 만족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배출수 확산장치
110 : 가이드콘
120 : 지지부재
200 : 배출배관

Claims (10)

  1. 선박 내에서 배기가스의 정화에 사용된 해수를 선외로 배출하는 배출배관의 출구단에 설치되는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의 출구단 중심부에 설치되며 원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배출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해수의 확산을 유도하는 가이드콘; 및
    상기 가이드콘을 지지하도록 상기 배출배관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배관은 출구단에 확장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내부유로로부터 출구단까지의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콘은, 꼭짓점 부분이 상기 배출배관의 내부로 인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배출배관의 내벽에 고정되고, 밑면 부분은 상기 배출배관으로 배출되는 배출수의 빠른 확산을 위하여 상기 배출배관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콘의 꼭짓점은 상기 배출배관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콘의 꼭짓점으로부터 밑면까지의 수직거리는, 상기 배출배관의 직경의 0.5 내지 1.5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콘의 꼭짓점은 상기 배출배관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콘의 꼭짓점으로부터 밑면까지의 수직거리는, 상기 배출배관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직거리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콘이 상기 배출배관의 내부로 인입되는 거리와 상기 배출배관의 외부로 돌출되는 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콘의 옆면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콘에서 상기 배출배관의 내부로 인입되는 부분의 옆면 둘레에 용접되고, 타단부는 상기 배출배관의 내벽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의 직경 크기를 고려하여 설계된 상기 가이드콘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를 용접에 의해 연결하여 일체의 구조물로 제작한 후, 상기 복수의 지지지부재의 타단부를 상기 배출배관의 내벽에 용접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배출배관의 직경을 변경시키지 않고도 상기 배출배관의 출구단에 상기 일체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상기 배출수의 확산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98215A 2019-08-12 2019-08-12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KR102134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215A KR102134371B1 (ko) 2019-08-12 2019-08-12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215A KR102134371B1 (ko) 2019-08-12 2019-08-12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371B1 true KR102134371B1 (ko) 2020-07-16

Family

ID=71839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215A KR102134371B1 (ko) 2019-08-12 2019-08-12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3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164B1 (ko) * 2020-08-25 2021-02-10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KR102284118B1 (ko) * 2020-08-25 2021-08-02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KR102313690B1 (ko) * 2021-05-31 2021-10-1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수소생산을 위한 석유코크스 합성가스화 공정 중 흡수제의 소모량이 낮고 접촉효율이 증가된 고농도 황화수소 제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9393A (ja) * 1999-03-01 2000-09-12 Kuken Kogyo Co Ltd 吹出口装置
KR20010059149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차량용 촉매 컨버터내의 배기가스 확산 장치
JP2002180999A (ja) * 2000-12-08 2002-06-26 Mitsubishi Heavy Ind Ltd ディフューザ
KR101375311B1 (ko) * 2013-06-20 2014-03-18 정철용 공기조화용 소음 디퓨져
KR20140087782A (ko)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에스티엑스종합기술원 선박의 습식 세정 설비의 폐수 처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9393A (ja) * 1999-03-01 2000-09-12 Kuken Kogyo Co Ltd 吹出口装置
KR20010059149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차량용 촉매 컨버터내의 배기가스 확산 장치
JP2002180999A (ja) * 2000-12-08 2002-06-26 Mitsubishi Heavy Ind Ltd ディフューザ
KR20140087782A (ko)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에스티엑스종합기술원 선박의 습식 세정 설비의 폐수 처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
KR101375311B1 (ko) * 2013-06-20 2014-03-18 정철용 공기조화용 소음 디퓨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164B1 (ko) * 2020-08-25 2021-02-10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KR102284118B1 (ko) * 2020-08-25 2021-08-02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KR102313690B1 (ko) * 2021-05-31 2021-10-1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수소생산을 위한 석유코크스 합성가스화 공정 중 흡수제의 소모량이 낮고 접촉효율이 증가된 고농도 황화수소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370B1 (ko)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KR102134371B1 (ko)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US9776125B2 (en) Marine exhaust gas scrubber
KR102418123B1 (ko)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정화방법, 및 그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
JP5296735B2 (ja) NOx低減装置を配備した船舶
EP2987549A1 (en)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vessel, and exhaust gas treatment method
KR102115785B1 (ko) 선박
KR20170027525A (ko) Scr 시스템의 가스상 환원제 주입장치
CN210752114U (zh) 一种船舶柴油机尾气脱硫u型洗涤塔
JP2016137766A (ja) 船舶
KR102284118B1 (ko)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KR102214164B1 (ko)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KR102098232B1 (ko)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및 이를 갖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
KR101832895B1 (ko) 선박용 황산화물 저감장치 및 선박용 황산화물 저감장치의 운전방법
KR102275587B1 (ko)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KR102275588B1 (ko)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CN213668757U (zh) 一种船舶脱硫废水混合器
JP6775670B2 (ja) 船舶用脱硫装置の排水システム
EP3909920A1 (en) Seagoing vessel clean sailing method and vessel
KR101842178B1 (ko) 선박용 황산화물 저감장치 및 선박용 황산화물 저감장치의 운전방법
KR101566611B1 (ko) 선박의 연료유 탱크
KR102234899B1 (ko) 선박용 스크러버 배출 세정수 희석장치
JP2018161611A (ja) 船舶用脱硫装置の排水システム
CN210473504U (zh) 船舶脱硫洗涤塔的气液导流结构
KR102285302B1 (ko) 다중분산수단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