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165B1 -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 - Google Patents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165B1
KR102134165B1 KR1020190001693A KR20190001693A KR102134165B1 KR 102134165 B1 KR102134165 B1 KR 102134165B1 KR 1020190001693 A KR1020190001693 A KR 1020190001693A KR 20190001693 A KR20190001693 A KR 20190001693A KR 102134165 B1 KR102134165 B1 KR 102134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ly
coffee
water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수
허성수
박유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1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발명으로, 물 또는 얼음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 유닛, 탱크 유닛을 회전 또는 직선 운동시키는 구동 유닛 및 탱크 유닛 하부에 위치하여 탱크 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추출 유닛을 포함하고, 탱크 유닛은 상부에 결합된 구동 유닛에 의해 수평한 평면상에서 회전 운동 및 직선 운동하여 추출 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Electric dutch coffee machine}
본 발명은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 또는 얼음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 유닛, 탱크 유닛을 회전 또는 직선 운동 시키는 구동 유닛 및 탱크 유닛 하부에 위치하여 물을 공급받아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 유닛이 구동 유닛으로부터 수평한 평면상에서 회전 및 직선 운동하여 다양한 지점에서 추출 유닛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피문화가 고급화됨에 따라 바리스타가 직접 제공하는 드립 커피 및 더치 커피가 인기를 끌고 있다.
드립 커피는, 원두를 갈아 손수 물을 천천히 내리면서 향을 우려낸 커피를 말한다. 이 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필터가 장착된 드리퍼에 원두커피 분말을 넣고, 드립포트를 이용하여 드리퍼 내의 원두커피 분말에 물을 천천히 붓는다. 이때, 처음에는 적당량의 물을 부어 원두커피 분말이 부풀어 오를 때까지 기다린 후, 다시 물을 부어 원두커피를 추출하게 되는데, 이때, 바리스타는 원을 그리면서 물을 붓게 되며, 바리스타 마다 물을 붓는 방식이나 시간 등에서 원두커피의 맛과 향이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드립 커피는 커피 메이커에 의해 추출된 원두커피보다 향이나 맛에서 뛰어나며, 바리스타에 따라 향이나 맛도 현저하게 차이 난다.
특히, 더치 커피는 드립 커피와 달리 시간과 정성이 필요한 추출 방식으로, 더치 커피의 정확한 명칭은 워터 드립(Water drip) 또는 콜드브루(Cold brew)이다. 더치는 네덜란드 선원들이 바다를 항해하면서 신선한 커피를 마시고자 고안한 방법으로, 물을 끓이는 도구가 없는 상황에서 물과 원두만으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커피를 만드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더치 커피는 상온의 물을 한 방울씩 떨어뜨려 오랜 시간을 들여 추출하고, 숙성시간이 짧게는 3~4시간, 길게는 8~12시간 정도 우려내 커피 원액을 추출하며 오랜 시간에 걸쳐 추출하기 때문에 뜨거운 물로 짧은 시간에 추출한 일반 커피에 비하여 쓴맛이 덜하며 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는데, 원두의 분쇄 정도와 추출 시간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더치 커피는 추출하는 방식에 따라 점적식과 침출식으로 구별하며 점적식은 용기에서 우려낸 커피가 한 방울씩 떨어지게 하는 방식이고, 침출식은 용기에 분쇄한 원두와 물을 넣고 10~12시간 정도 실온에서 숙성시킨 뒤 찌꺼기를 걸러내 원액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더치 커피의 경우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어 각각 물이 낙하되는 방식으로 생산이 증대되고 있지만, 유량조절밸브가 수동조작만 지원되어 물의 양이 사용자의 경험에 따라 달라지고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이 낙하되는 지점이 한 곳으로 몰려 물의 커피 분말에 골고루 스며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물의 양을 조절이 능숙하게 되는 것이 아닌 초보자도 자유롭게 양을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지점에 물이 낙하되어 풍부한 커피의 맛과 향을 낼 수 있는 기구의 개발과 생산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2131호
본 발명은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 또는 얼음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 유닛, 탱크 유닛을 회전 또는 직선 운동 시키는 구동 유닛 및 탱크 유닛 하부에 위치하여 물을 공급받아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 유닛이 구동 유닛으로부터 수평한 평면상에서 회전 및 직선 운동하여 다양한 지점에서 추출 유닛에 물을 공급하여 풍부한 커피의 맛과 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는 물 또는 얼음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 유닛; 상기 탱크 유닛을 회전 또는 직선 운동시키는 구동 유닛; 및 상기 탱크 유닛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탱크 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추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 유닛은 상부에 결합된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수평한 평면상에서 회전 운동 및 직선 운동하여 상기 추출 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의 상기 탱크 유닛은, 단면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위치되되, 외부로부터 물 또는 얼음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본체부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본체부 하부에 결합되되, 원통 형상으로 복수 개로 돌출되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추출 유닛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의 상기 추출 유닛은, 분쇄된 커피 원두를 담을 수 있는 원통 형상으로 상면이 개방된 드리퍼부; 상기 드리퍼부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드리퍼부로부터 추출되는 커피를 저장할 수 있는 보관부; 상기 드리퍼부의 하부 일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부에서 원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면이 상기 보관부의 하면과 맞닿는 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의 상기 받침부는,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받침부 상면에 맞닿는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저장되는 상기 커피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는 상기 탱크 유닛, 상기 구동 유닛 및 상기 추출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받침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보관부에 저장되는 커피의 측정된 온도를 제어 유닛으로부터 수신 받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탱크 유닛에 피스톤부를 구비하여 탱크 유닛 내부의 압력을 조절이 가능함으로 물의 낙하 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 물의 공급 시작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동일한 낙하 시간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공급부는 본체부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형상이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45° 각도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드리퍼부의 내부에 담겨진 분쇄된 원두에 물이 공급될 때, 고르게 공급되어 커피를 추출함에 있어서 풍부한 향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 유닛이 탱크 유닛의 상면에 결합되어 탱크 유닛을 회전 및 직선 운동할 수 있으므로 물이 추출 유닛에 공급되는 낙하 지점이 계속해서 변경됨에 따라 물이 낙하하는 지점을 최대한으로 넓혀 분쇄된 원두가 물에 닿지 않는 면적이 없이하여 커피의 맛을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의 탱크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의 구동 유닛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수직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상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의 탱크 유닛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의 구동 유닛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는 탱크 유닛(100), 구동 유닛(200), 추출 유닛(300), 디스플레이 유닛(400) 및 제어 유닛(500)을 포함한다.
탱크 유닛(100)은 물 또는 얼음을 저장할 수 있는 원통 형상으로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탱크 유닛(100)에 물 또는 얼음이 저장되고, 얼음이 물로 녹아 후술할 추출 유닛(300)으로 공급되어질 때,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인하여 물의 유동이 원활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탱크 유닛(100)에 얼음을 저장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의 추출 유닛(300) 내부에 담겨진 분쇄된 원두에 물을 한 방울씩 떨어뜨려 커피를 추출하게 되는데 이때, 추출의 속도와 산화 방지를 위해 얼음을 녹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탱크 유닛(100)은 본체부(110), 뚜껑부(120), 유입부(130), 공급부(140) 및 피스톤부(160)를 구비한다.
본체부(110)는 원통 형상으로 중공부를 지니어 물 또는 얼음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단면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물의 유동을 원할하게 할 수 있다.
뚜껑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면에서 중심부에는 후술할 구동 유닛(200)이 결합되어 회전 운동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대한 구동방법 및 효과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뚜껑부(120)는 압력 조절 장치의 종류 중 하나로 구현되는 피스톤부(160)와 결합되어 본체부(1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피스톤부(160)는 압력 제어 밸브(pressure control valve) 종류인 압력조절밸브(pressure regulating valve), 릴리프밸브(relief valve), 시퀀스밸브(sequence valve), 압력 스위치(pressure val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제어 밸브의 작동 형식에 따라 직동형과 파일럿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직동형에는 릴리프식, 논브리드식, 브리드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스톤부(160)는 공지의 압력 조절 밸브의 구성인 조정 스프링, 피스톤, 교축 밸브 등으로 구비되어 교축 밸브에 의해 공기의 통로를 작은 틈새가 되게 조절하여 출구 쪽의 공기량을 감소시켜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고, 스프링을 이용하여 출구 측의 압력이 상승하면 중앙의 피스톤을 들어 올려 공기의 통로가 더욱 작아지게 만들어, 공기량이 감소하여 압력에 의한 힘의 평형이 이루어져 항상 일정 압력이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공지의 피스톤의 원리로, 본체부(110) 내부에 저장된 물의 낙하 간격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도 1과 같이, 뚜껑부(120)와 결합되는 피스톤부(160)를 구동하기 위해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지만,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모터의 구동으로 피스톤부(160)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본체부(110) 내부에 물이 후술할 추출 유닛(300)으로 공급되어 지고, 이와 반대로, 피스톤부(160)의 움직임이 없을 경우에는 물과 피스톤 사이의 기압으로 인해 후술할 공급부(140) 하부에서 물이 공급되지 않고 머무르게 된다. 이와 같은 압력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피스톤부(160)를 이용해 탱크 유닛(1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물의 낙하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물의 공급 시작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동일한 낙하 시간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더치 커피에서 커피의 맛과 향에 가장 크게 좌우되는 물의 낙하 간격 시간을 피스톤부(160)를 통해 제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 맛을 조절 및 충족시킬 수 있어 개개인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종래의 더치 커피 추출 기구의 유량조절밸브로 물의 양 혹은 낙하 시간을 조절하는 방식에서 사용자의 경험 혹은 숙련도에 따라 좌우되었던 문제점을 본 발명에서 피스톤부(160)를 이용하여 초보자도 쉽게 물의 낙하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스톤부(160)에는 근접센서 및 스피커를 구비하여 피스톤이 일정 수준까지 내려갔을 때, 추출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스피커의 알람을 통해 사용자는 인지할 수 있어 추출이 완료된 커피가 방치되는 시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후술할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뚜껑부(120)는 본체부(110)와 결합되고, 탈부착이 가능함에 따라 본체부(110) 내부에 물 또는 얼음을 저장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세균에 대한 세척을 자유롭게 하여 위생 청결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유입부(130)는 본체부(110) 일측에서 원통 형상 혹은 라운드를 포함한 사각형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절삭되어 물 또는 얼음을 유입할 수 있고, 라운드 처리로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을 유입할 때 다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제거하도록 한다.
공급부(140)는 본체부(110) 하부에서 복수 개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상세하게 설명을 위해 도 2를 참조하도록 한다.
공급부(140)는 제1 공급부(141) 내지 제7 공급부(147)를 구비한다.
제1 공급부(141) 내지 제6 공급부(146)는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를 측면에서 볼 때, 본체부(110) 하부에서 돌출되는 형상이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45° 각도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공급부(141) 내지 제6 공급부(146)를 통해 후술할 드리퍼부(310) 내부에 담겨진 분쇄된 원두에 물이 공급될 때, 고르게 공급되기 위함으로 커피를 추출함에 있어서 풍부한 향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이 본체부(110)의 하면에서부터 돌출되어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를 상측에서 볼 때, 제1 공급부(141) 내지 제6 공급부(146)의 하단부는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원형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함은, 제1 공급부(141)와 제2 공급부(142) 사이의 각도는 제2 공급부(142)와 제3 공급부(143)의 사이의 각도와 동일하여 제1 공급부(141) 내지 제6 공급부(146) 각각의 간격의 각도는 모두 동일한 θ1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후술할 구동 유닛에 의해 각각의 공급부(140)가 일정 속도로 회전 및 이동할 때 일정한 궤도를 형성하여 추출되는 커피의 맛을 일정하게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7 공급부(147)는 본체부(110)의 하면에서 제1 공급부(141) 내지 제6 공급부(146)와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7 공급부(147)는 제1 공급부(141) 내지 제6 공급부(146)의 중심축과 동일하여 본체부(110)의 하면에서 일정 각도로 굴절없이 수직 방향으로 동일선상으로 돌출된다.
위와 같은 형상으로 제1 공급부(141) 내지 제7 공급부(147)를 통하여 후술할 드리퍼부(310)에 담겨진 분쇄된 원두에 피스톤부(160)에 의해 규칙적인 시간으로 물이 공급될 때에 중심부에만 몰리는 형상이 아닌 다양한 지점에서 분쇄된 원두에 물이 낙하되어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커피의 향미와 깊은 풍미를 만들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구동 유닛(200)을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 유닛(200)은 탱크 유닛(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탱크 유닛(1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회전부(210), 이동부(220), 수평 고정부(230) 및 수직 고정부(240)를 구비한다.
회전부(210)는 뚜껑부(120)의 상부에서 중심부에 결합되어 뚜껑부(120)와 결합된 본체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전력 에너지를 받아 동력 에너지로 변환하는 전동기 및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직류 모터인 Brush모터, Brushless DC 모터 및 스테핑 모터와 교류 모터인 유도 모터 및 동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릿지 회로로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고속 PWM으로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엔코더의 펄스 발생수를 구비하여 회전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210)를 통해 탱크 유닛(100)을 회전시킬 수 있고, 각각의 공급부(140)를 통해 물이 낙하하는 지점이 계속해서 변경됨에 따라 각각의 공급부(140)가 고정되어 물이 공급되는 것 보다 다양한 지점에서 물이 낙하되므로 커피의 맛과 향을 다양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부(220)는 회전부(210) 상부에 십자가 형상으로 교차되어 결합되고, 회전부(210)와 탱크 유닛(100)을 수평한 평면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는, 기계 부품으로 구성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공지의 기술인 LM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원판 형상의 수평 고정부(230)의 하면에 이동부(220)가 결합되어 탱크 유닛(100)과 회전부(210)를 직선 운동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탱크 유닛(100)을 회전부(210)를 통하여 회전 운동시켜 다양한 지점에서 물을 공급하는 것뿐만 아니라, 회전부(210)와 탱크 유닛(100)을 수평한 평면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물을 낙하하는 지점을 최대한으로 넓혀 최적의 추출 타이밍을 찾을 수 있고, 분쇄된 원두가 물에 닿지 않는 면적이 없이 잘 교반되게 하여 추출을 일정하게 하여 커피의 맛을 증진시켜 개개인의 취향에 대응하는 커피의 맛과 향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직 고정부(240)는 수평 고정부(230)의 일측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는, 종래의 더치 커피의 고정대 역할로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추출 유닛(300)을 설명하도록 한다.
추출 유닛(300)은 분쇄된 원두를 담을 수 있고, 탱크 유닛(10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최종적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 유닛(300)은 드리퍼부(310), 기둥부(340), 받침부(350) 및 보관부(360)로 구비된다.
드리퍼부(310)는 상면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내부는 중공부를 구비하여 분쇄된 원두를 담을 수 있다. 또한, 드리퍼부(310)는 종래와 같이 필터가 장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분쇄된 원두를 향하여 탱크 유닛(100)에 저장된 물 및 얼음이 녹아 구동 유닛(200)에 의해 다양한 지점에 낙하될 수 있다.
기둥부(340)는 도 1과 같이, 드리퍼부(310) 하부의 일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받침부(350)와 연결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받침부(350)는 기둥부(340)의 하부에서 원통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드리퍼부(310)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드리퍼부(310), 기둥부(340) 및 받침부(350)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를 측면에서 볼 때, 자음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보관부(360)를 삽입하여 추출되는 커피를 저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보관부(360)를 드리퍼부(310)와 받침부(350) 사이로 넣고, 빼는 행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보관부(360) 내부에 온도 센서가 삽입되어 보관부(360) 내부에 저장된 커피의 온도를 센싱하여 후술할 제어 유닛(500)에 전송할 수 있고, 제어 유닛(500)은 커피의 온도를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 유닛(4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탱크 유닛(10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추출 유닛(300)을 통해 추출되는 커피의 온도를 계속해서 사용자는 확인하 수 있고, 확인되는 커피의 온도에 따라, 탱크 유닛(100)에 얼음 공급량을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추출되는 커피의 맛을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어 유닛(500)은 탱크 유닛(100)의 피스톤부(160), 보관부(360) 내부에 센서 및 디스플레이 유닛(400)을 구동하기 위해 신호를 수신 및 출력을 공급하여 동작을 지시하는 공지의 제어장치(control unit)로,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또한, 도면에는 미 도시하였지만, 제어 유닛(500)은 신호부를 구비하여 피스톤부(160)의 센서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의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고, 보관부(360)의 센서에서 온도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 유닛(400)에 출력한 값을 전달할 수 있다. 이는 공지의 제어 기술인 프로세서 및 알고리즘 등에 의해 저장 및 실행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의 제어 유닛(500)을 실행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플러그의 전원단자가 구비될 수 있고, 전원선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단자에 의해 탱크 유닛(100)에 구비되는 압력조절장치와 피스톤에 구비되는 센서, 스피커, 구동 유닛(200), 보관부(360)의 센서 및 디스플레이 유닛(400)이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350)의 외측면을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400)이 삽입되어 위와 같이 저장된 커피의 온도를 출력할 수 있고, 또는, 보관부(360)에 저장되는 커피의 최초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 누적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보관부(360) 내부에 최초에 커피가 보관부(360)에 맞닿는 시점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 혹은 무게 센서 중 하나로 구현할 수 있고, 스톱워치를 구비하여 접촉 센서 혹은 무게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시점부터 스톱워치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가 보관부(360)에 저장되는 시간을 누적하여 제어 유닛(500)은 스톱워치로부터 시간을 수신받아 제어 유닛(500)은 디스플레이 유닛(400)에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더치 커피의 추출 단계 중 하나인 숙성 시간을 사용자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커피의 깊은 맛과 향을 위해 최종적으로 좌우하는 숙성시간까지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관부(360)는 종래의 더치 커피를 추출하여 담을 수 있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의 드리퍼부(310)를 통해 추출되는 커피를 보관 및 저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관부(360)는 투명한 유리 재질로 구성되어 내부에 저장된 커피의 색과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탱크 유닛, 110 : 본체부,
120 : 뚜껑부, 130 : 유입부,
140 : 공급부, 141 : 제1 공급부,
142 : 제2 공급부, 143 : 제3 공급부,
144 : 제4 공급부, 145 : 제5 공급부,
146 : 제6 공급부, 147 : 제7 공급부,
160 : 피스톤부, 200 : 구동 유닛,
210 : 회전부, 220 : 이동부,
230 : 수평 고정부, 240 : 수직 고정부,
300 : 추출 유닛, 310 : 드리퍼부,
340 : 기둥부, 350 : 받침부,
360 : 보관부, 400 : 디스플레이 유닛,
500 : 제어 유닛.

Claims (5)

  1. 물 또는 얼음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 유닛;
    상기 탱크 유닛을 회전 또는 직선 운동시키는 구동 유닛; 및
    상기 탱크 유닛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탱크 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추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 유닛은 상부에 결합된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수평한 평면상에서 회전 운동 및 직선 운동하여 상기 추출 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탱크 유닛은,
    단면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위치되되, 외부로부터 물 또는 얼음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본체부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본체부 하부에 결합되되, 원통 형상으로 복수 개로 돌출되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추출 유닛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추출 유닛은,
    분쇄된 커피 원두를 담을 수 있는 원통 형상으로 상면이 개방된 드리퍼부;
    상기 드리퍼부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드리퍼부로부터 추출되는 커피를 저장할 수 있는 보관부;
    상기 드리퍼부의 하부 일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부에서 원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면이 상기 보관부의 하면과 맞닿는 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받침부는,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맞닿는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저장되는 상기 커피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탱크 유닛, 상기 구동 유닛 및 상기 추출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받침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보관부에 저장되는 커피의 측정된 온도를 제어 유닛으로부터 수신 받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1 공급부, 제2 공급부, 제3 공급부, 제4 공급부, 제5 공급부, 제6 공급부 및 제7 공급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공급부 내지 상기 제6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형상이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경사를 지녀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급부 내지 상기 제6 공급부의 간격은 동일한 간격을 지니고,
    상기 제7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서 상기 제1 공급부 내지 상기 제6 공급부의 중심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뚜껑부의 상부에서 중심에 결합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 십자가 형상으로 교차되어 결합되는 이동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공급부 내지 상기 제7 공급부는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부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것인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01693A 2019-01-07 2019-01-07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 KR102134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693A KR102134165B1 (ko) 2019-01-07 2019-01-07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693A KR102134165B1 (ko) 2019-01-07 2019-01-07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165B1 true KR102134165B1 (ko) 2020-07-15

Family

ID=7160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693A KR102134165B1 (ko) 2019-01-07 2019-01-07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1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650A (ko) * 2009-06-08 2009-07-08 안승대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KR20130092131A (ko) 2012-02-10 2013-08-20 박수효 커피드립장치
KR101593982B1 (ko) * 2014-08-06 2016-02-15 주식회사 고스턴 더치커피머신
KR101652269B1 (ko) * 2015-08-05 2016-08-30 주식회사 제일 드립커피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650A (ko) * 2009-06-08 2009-07-08 안승대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KR20130092131A (ko) 2012-02-10 2013-08-20 박수효 커피드립장치
KR101593982B1 (ko) * 2014-08-06 2016-02-15 주식회사 고스턴 더치커피머신
KR101652269B1 (ko) * 2015-08-05 2016-08-30 주식회사 제일 드립커피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4760B2 (ja) 自動コーヒードリップ装置
CN105120720B (zh) 意式浓缩咖啡牛奶发泡器
ES2320475T3 (es) Distribuidor de bebidas regulable en altura.
RU2012111773A (ru) Капсуль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путем центрифугирования
KR101485771B1 (ko)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KR101711850B1 (ko) 대용량 더치 커피 추출장치
CN203987597U (zh) 一种旋转冲水咖啡冲泡机
JP2020508749A (ja) 予備湿潤でカプセルから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
WO2019011234A1 (zh) 3轴双平面作动的仿手冲咖啡机结构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CN114587142A (zh) 一种功夫茶机器人及功夫茶自动泡茶方法
CN203000575U (zh) 茶篮升降机构及其茶机
JP2015503362A (ja) 溶媒中に原料を煎出するための装置
US20120073448A1 (en) Coffee maker with computerized steeping control
KR102134165B1 (ko)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
CN103190802A (zh) 泡茶杯
CN106691192B (zh) 一种自动饮品冲泡设备
CN203226650U (zh) 泡茶杯
JP2005137543A (ja) ドリップ式コーヒー製造装置
CN202287821U (zh) 全自动泡茶机
KR20170074057A (ko) 휴대용 커피 메이커
EP3231336B1 (en) Brewing device for coffee machine
CN104523152B (zh) 一种方便控制饮料量的饮料制取设备
CN208822397U (zh) 一种茶篮可升降的煮茶器
CN204378697U (zh) 一种智能泡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