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057A - 휴대용 커피 메이커 - Google Patents

휴대용 커피 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057A
KR20170074057A KR1020150183073A KR20150183073A KR20170074057A KR 20170074057 A KR20170074057 A KR 20170074057A KR 1020150183073 A KR1020150183073 A KR 1020150183073A KR 20150183073 A KR20150183073 A KR 20150183073A KR 20170074057 A KR20170074057 A KR 20170074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housing
lower housing
portable
gr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3751B1 (ko
Inventor
유상완
김승완
Original Assignee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751B1/ko
Publication of KR2017007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2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ai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24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hand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휴대하여 가지고 다닐 수 있도록 제작된 휴대용 커피 메이커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 및 하부가 외부와 연통된 원통형 중공이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에 제1 나선부가 구비된 상부 하우징과, 상기 원통형 중공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 시에 상기 제1 나선부와 접촉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제2 나선부가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부 외측에 설치된 그라인더,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그라인더에 의해 분쇄되는 커피콩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휴대용 커피 메이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를 적용하여 휴대가 편리하며,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커피가루를 통해 커피를 추출하는 드롭커피 머신이 일체로 된 형태이므로, 야외 활동 시에도 즉석에서 커피콩을 갈아 신선한 커피를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커피 메이커{POTABLE COFFEE MAKER}
본 발명은 휴대하여 가지고 다닐 수 있도록 제작된 휴대용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적용함으로서 소형화되어 부담 없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즉석에서 제조된 커피를 즐길 수 있는 휴대용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커피나무에서 생산된 생두를 일정 시간 동안 볶은 뒤 만들어지는 원두를 곱게 분쇄하고 물을 이용하여 그 성분을 추출해 낸 기호음료이다.
이러한 커피는 근래에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 빼놓을 수 없을 정도로 대중적인 음료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커피 원두와 뜨거운 물을 넣어 섞은 후 거름망으로 여과시켜 마시는 프렌치 프레스나 핸드 드립과 같은 기구로 커피를 직접 만들어 먹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커피 메이커는 간편하고 저렴하게 직접 커피를 만들어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드립커피는 볶아서 간 커피콩을 거름 장치에 담고, 그 위에 물을 부어 만드는 커피이며, 드립 브류(drip brew)라 함은 이와 같이 커피를 만드는 방법을 일컫는다. 거름 장치를 필터라고도 일컬으므로, 드립 커피를 다른 말로 필터 커피(filter coffee)라고 한다.
커피를 만드는 사람은 물을 커피 사이로 스며 나오게 하는데, 단지, 중력만 이용하여 그렇게 하는 것이다. 이때, 물은 커피 층을 지나가면서 커피의 기름 성분과 에센스를 흡수한다. 그 다음 물이 필터 아래쪽을 통과하지만, 커피가루는 필터를 통과하지 않으며, 필터를 통과한 액체 성분만이 카라페, 커피폿 등의 용기 쪽으로 떨어져서 안쪽에 담기게 된다.
상기 필터는 종이 필터, 금속 필터 등이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종이 필터가 널리 쓰이며, 커피를 추출하고 나서, 커피가루와 함께 종이 필터를 바로 버릴 수 있다는 점이, 종이 필터의 장점 중 하나이며, 이는 필터를 청소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종이 필터를 사용하여 만든 드립커피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깔끔하고, 경쾌하며, 침전물이 적은 특징이 있지만, 커피의 기름 성분(oil)과 에센스가 종이 필터에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기름 성분과 에센스가 다소 결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금속제 필터는 구멍이 있는 얇은 금속판으로 만들며, 커피가루는 통과 못하게 하면서, 커피는 통과시킨다. 이러한 금속필터는 따로 필터를 구매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이 외에, 많은 수의 커피 머신에서 사용되는 영구적인 플라스틱 필터도 있다. 이 필터는 고운 체 형태의 플라스틱 필터로서, 관리에 귀찮은 면이 있지만, 경제적이고 또한 친환경적이기도 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드립커피의 제조 방식은 커피 메이커를 이용하여 손쉽게 만들 수 있는 가장 흔한 커피 제조 방식으로, 자동 커피메이커 말고도, 수동식 드립-브류잉 기기가 시장에서 팔리고 있다. 수동식 기기는 기호에 맞게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선호되고 있다.
또한, 소형 휴대용의 1컵만 만들어주는 드립 브류 메이커도 시중에 나와 있다. 필터를 받칠 수 있는 받침대를 컵 위에 설치하고, 뜨거운 물을 그 위에 붓게 되면, 뜨거운 물이 바로 컵으로 드립된다. 이와 같이 직접 손으로 뜨거운 물을 부어서 만드는 드립 커피를 핸드드립 혹은 핸드드립 커피라고 하고, 거름종이를 받치는 장치를 드리퍼라고 일컬으며, 드리퍼를 받치며 내려진 커피를 담는 주전자를 서버라고 일컫는다.
이러한 드립커피에 관한 발명의 배경 기술로서의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0897948호의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에는 구동수단이 드리퍼 노즐을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축과, 제 1 이송축의 제 1 구동모터와, 제 1 이송축에 수직으로 배치된 제 2 이송축과, 제 2 이송축의 제 2 구동모터와, 제 1 및 제 2 구동모터들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방향전환유닛으로 구성되며, 방향전환유닛으로서, 사선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모터의 구동축상에 장착되는 원통 캠과 이송축에서 돌출되어 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캠축으로 구성되거나, 랙과 피니언으로 구성됨에 따라, 드리퍼 헤드를 호퍼의 상부에서 원형 또는 나선형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드립커피 메이커는 휴대하기에는 부담되는 부피이고, 별도의 컵을 준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바로 드립커피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커피메이커는 하부컵에 상부컵을 단순히 올려놓는 형태이기 때문에 상부컵을 하부컵에 올려놓은 채로 상부컵에 물을 붓는 과정이나 상부컵과 하부컵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상부컵이 낙하할 우려가 많게 되는 등 그 운반과 보관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8669호(2014.08.11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0675750호(2007.01.30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8592호(2002.06.20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의 기능과 커피가루를 통해 커피를 추출하는 드롭커피 머신의 기능을 하나의 기기에서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외활동 시에도 가지고 다니면서 즉석에서 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휴대용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가 외부와 연통된 원통형 중공이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에 제1 나선부가 구비된 상부 하우징과, 상기 원통형 중공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 시에 상기 제1 나선부와 접촉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제2 나선부가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중공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부 외측에 설치된 그라인더,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그라인더에 의해 분쇄되는 커피콩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휴대용 커피 메이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를 적용하여 휴대가 편리하며,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커피가루를 통해 커피를 추출하는 드롭커피 머신이 일체로 된 형태이므로, 야외 활동 시에도 즉석에서 커피콩을 갈아 신선한 드립 커피나 에스프레소 커피 등을 즐길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커피원두 및 커피가루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위생적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원을 구비하지 않고 손을 이용해 그라인더를 회전시켜 커피콩을 분쇄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커피콩 하나만을 분쇄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재료도 분쇄가 가능하므로 건강차를 제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메이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휴대용 커피메이커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휴대용 커피메이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메이커의 물 투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메이커를 통해 제조된 커피의 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한 휴대용 커피 메이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메이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도 1의 휴대용 커피메이커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메이커는 상부 및 하부가 외부와 연통된 원통형 중공이 내측에 형성된 상부 하우징(10)과, 상기 원통형 중공에 끼움 결합되는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그라인더(30), 및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40)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그라인더(30)와 하부 하우징(40) 사이에 배치된 필터(50)와 하부 하우징(4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컵(60)을 더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메이커는 상부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10)은 회전축(20)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20)을 가이드 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부 및 하부가 외부와 연통된 원통형 중공이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은 회전축(20)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중공이 형성된 내측에 제1 나선부(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 나선부(12)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하부 하우징(40)은 회전 방식을 통해 하부 하우징(40)과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나선 구조의 제1 체결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하우징(10)은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부 하우징(4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원통형 중공이 형성되며 제1 나선부(12)가 내주면에 형성된 내관과 상기 내관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형을 제공하는 외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내관과 외관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휴대용 커피 메이커의 무게를 줄여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메이커는 회전축(2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0)은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통해 그라인더(3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부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 중공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축(20)은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물을 하부 하우징(40)으로 수송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회전축(2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중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20)은 일단이 상부 하우징(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하부 하우징(40)의 중앙이나 하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메이커는 회전축(20)을 통해 하부 하우징(40)으로 수송된 물로 하부 하우징(40)에 수용된 커피가루를 통과시켜 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휴대용 커피 메이커는 여과법(Brewing)을 통해 핸드 드립 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회전축(20)에는 개방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덮개(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22)는 회전축(20)의 개방된 상부로 물이 투입되지 않는 경우 회전축(2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회전축(20) 상부를 커버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회전축(20)의 개방된 상부로 물이 투입되는 경우 회전축(20)의 상부를 개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덮개(22)는 뜨거운 물을 투입한 후 손으로 회전축(20)의 상부를 가압하는 경우, 뜨거운 물로부터 발생된 수증기가 손에 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덮개(22)는 회전축(20) 상부의 내주면을 따라 일부 면,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3이 부착되고 나머지 면이 절개된 상태로 결합된다.
아울러, 회전축(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제2 나선부(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나선부(24)는 회전축(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제1 나선부(12)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나선부(24)는 회전축(20)의 상하 이동 시에 제1 나선부(12)에 접촉됨에 따라 회전축(20)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2 나선부(24)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축(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 나선부(12)에 대향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제1 나선부(12)가 나사산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제2 나선부(24)는 제1 나선부(12)에 결합됨을 통해 회전력을 회전축(20)에 원활히 전달할 수 있도록 나사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축(20)은 휴대용 커피 메이커가 사용하지 않는 경우 외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도 3과 같이 상부 하우징(10)으로부터 벗어나 노출되지 않게 배치된다.
그리고 회전축(20)은 그라인더(30)를 회전시키거나 커피 메이커 내부의 공기를 압축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을 따라 상승하면서 일단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20)의 말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를 투입되는 투입구를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상부 하우징(10)의 표면을 따라 온수가 유실되는 것이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0)으로 온수를 투입한 후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회전축(20)의 상부를 밀폐시킨 후 손바닥을 사용해 회전축(20)을 하강시키면 커피 메이커의 내부에서 공기가 퍼져 있는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회전축(20)을 통해 하부 하우징(40)으로 이동하는 온수는 가압된 상태로 하부 하우징(40)에 수용된 커피가루를 통과하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휴대용 커피 메이커는 가압추출법(Pressed Extraction)을 통해 에스프레소(espresso) 커피 등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20)은 하부에 상부 하우징(10)의 내부를 통과하지 못하는 그라인더(3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부 하우징(1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상승한 후 하강하여 커피 메이커 내부의 물에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부 하우징(10)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메이커는 그라인더(30)를 포함한다.
상기 그라인더(30)는 하부 하우징(40)에 수용된 커피콩을 분쇄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하부 하우징(4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회전축(20)의 하부 외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그라인더(30)로는 회전에 의해 커피콩을 분쇄할 수 있는 그라인더(30)라면 어떠한 그라인더(30)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라인더(30)는 상부 하우징(10)에 결합된 하부 하우징(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 하우징(40)의 내경보다 좁은 외경을 갖는 그라인더(30)가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메이커는 하부 하우징(4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40)은 상부 하우징(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부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그라인더(30)에 의해 분쇄되는 커피콩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하우징(40)은 중공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하우징(40)은 커피가루를 통과한 온수로 제작된 커피가 하부 하우징(40)의 하부에 저장되도록 뒤집어진 반구형이나, 뒤집어진 삼각 기둥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하우징(40)에는 저장된 커피가 전량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에 유출구(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하우징(40)에는 커피 제작 시에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유출구(42)를 개폐하는 마개가 유출구(42)에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하부 하우징(40)은 회전 방식을 통해 상부 하우징(10)과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나선 구조의 제2 체결부(44)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14)가 상부 하우징(10)의 외측에 구비되면 제2 체결부(44)는 하부 하우징(40)의 내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1 체결부(14)가 상부 하우징(10)의 내측에 구비되면 제2 체결부(44)는 하부 하우징(40)의 외측에 구비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40)은 회전 방식을 통해 받침컵(60)과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중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나선 구조의 제3 체결부(4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메이커는 필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50)는 그라인더(30)와 하부 하우징(4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온수가 하부 하우징(40)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하부 하우징(40)에 수용된 커피가루가 하부 하우징(40)을 벗어나 그라인더(30)나 상부 하우징(10)을 오염시키는 것을 차단한다. 즉, 필터(50)는 분쇄된 커피콩이 하부 하우징(40)을 이탈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필터(50)는 회전축(20)을 따라 하부 케이스로 이동하는 온수가 회전축(20)의 상하 이동에 의해 가압되기 전에 하부 케이스에 수용된 커피가루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부 하우징(40)으로 유입되는 온수, 즉 물의 이동 속도를 줄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50)는 하부 하우징(40)의 상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원판, 및 상기 원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메이커는 받침컵(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컵(60)은 하부 하우징(40)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부 하우징(4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40)에서 배출된 커피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받침컵(60)은 중공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받침컵(60)은 본 발명의 휴대용 커피 메이커가 세로로 세워질 수 있도록 평평한 저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받침컵(60)은 회전 방식을 통해 하부 하우징(40)과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나선 구조의 제4 체결부(6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체결부(46)가 하부 하우징(40)의 외측에 구비되면 제4 체결부(62)는 받침컵(60)의 내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3 체결부(46)가 하부 하우징(40)의 내측에 구비되면 제4 체결부(62)는 받침컵(60)의 외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받침컵(60)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휴대용 커피 메이커 내부에서 커피가 제조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컵(60)을 하부 하우징(4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하부 하우징(40)의 유출구(42)를 통해 커피를 배출시켜 옮겨 담아 사용하는 컵의 용도로 활용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상부 하우징 20 : 회전축
30 : 그라인더 40 : 하부 하우징
50 : 필터 60 : 받침컵

Claims (5)

  1. 상부 및 하부가 외부와 연통된 원통형 중공이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에 제1 나선부가 구비된 상부 하우징;
    상기 원통형 중공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 시에 상기 제1 나선부와 접촉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제2 나선부가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중공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하부 외측에 설치된 그라인더;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그라인더에 의해 분쇄되는 커피콩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휴대용 커피 메이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와 하부 하우징 사이에는
    분쇄된 커피콩의 이탈을 차단하고 상기 회전축을 통해 하부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물의 이동 속도를 줄여주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메이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원판, 및 상기 원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메이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하부에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도록 유출구에 내삽되는 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메이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에서 배출된 커피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받침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메이커.
KR1020150183073A 2015-12-21 2015-12-21 휴대용 커피 메이커 KR101753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073A KR101753751B1 (ko) 2015-12-21 2015-12-21 휴대용 커피 메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073A KR101753751B1 (ko) 2015-12-21 2015-12-21 휴대용 커피 메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057A true KR20170074057A (ko) 2017-06-29
KR101753751B1 KR101753751B1 (ko) 2017-07-06

Family

ID=5928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073A KR101753751B1 (ko) 2015-12-21 2015-12-21 휴대용 커피 메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7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0158A (zh) * 2021-08-23 2021-10-22 苏州家益厨具科技有限公司 易清洗研磨加压萃取一体式咖啡杯
ES2907186A1 (es) * 2020-10-16 2022-04-22 Del Dedo Elena Sardina Dispositivo de doble molienda para cafeteras italianas.
CN117882989A (zh) * 2024-03-15 2024-04-16 广东格米莱智能科技有限公司 咖啡研磨机构及咖啡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6280A1 (en) * 2012-01-23 2013-07-25 Kiyoshi Sekiguchi Compressed Coffee Drip Brewer
KR101428669B1 (ko) * 2012-12-17 2014-08-11 한국과학기술원 휴대용 드립커피 메이커
US9974408B2 (en) 2014-03-07 2018-05-22 Pierre Maurice Baston Portable hot beverage maker or tumbler with passive cooling system
KR101703282B1 (ko) 2016-07-14 2017-02-06 허동혁 커피제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07186A1 (es) * 2020-10-16 2022-04-22 Del Dedo Elena Sardina Dispositivo de doble molienda para cafeteras italianas.
CN113520158A (zh) * 2021-08-23 2021-10-22 苏州家益厨具科技有限公司 易清洗研磨加压萃取一体式咖啡杯
CN113520158B (zh) * 2021-08-23 2023-10-20 苏州家益厨具科技有限公司 易清洗研磨加压萃取一体式咖啡杯
CN117882989A (zh) * 2024-03-15 2024-04-16 广东格米莱智能科技有限公司 咖啡研磨机构及咖啡机
CN117882989B (zh) * 2024-03-15 2024-05-17 广东格米莱智能科技有限公司 咖啡研磨机构及咖啡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751B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669B1 (ko) 휴대용 드립커피 메이커
KR101591771B1 (ko) 음료 추출 기기
KR100897948B1 (ko)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KR101492482B1 (ko) 재사용 가능한 필터 용기
US8752476B2 (en) Coffee maker enabling automated drip brewing
KR101612040B1 (ko) 자동 커피 추출장치
JP2014158964A (ja) コーヒー飲料を準備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01056560A (zh) 具有可移除的荚果转架轮的茶和咖啡分配器
US20230363572A1 (en) Beverage Brewer
KR101753751B1 (ko) 휴대용 커피 메이커
US10004354B2 (en) Coffee making appliance for brewing coffee
KR101011692B1 (ko) 필터 일체형 핸드밀
GB2435609A (en) Hand-held coffee grinder and infusion apparatus
CN204889660U (zh) 一种便于随身携带的现磨咖啡器
KR101651519B1 (ko) 휴대용 드립 커피 추출기
KR100995873B1 (ko) 밀이 내장되는 휴대용 커피 추출장치
US11779148B2 (en) Beverage brewer
US20220061579A1 (en) Liquid infusion device
KR102375163B1 (ko) 올인원 드리퍼 보틀
KR20120125832A (ko) 1인용 드립 커피메이커
CN110074692B (zh) 一种模块化研磨杯
TWI466649B (zh) 渣汁分離機
KR20230162504A (ko) 자동판매장치의 원두커피 추출장치
JP3189958U (ja) 茶器
KR20200061009A (ko) 올인원 드리퍼 보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