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655B1 -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 - Google Patents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655B1
KR102133655B1 KR1020180161807A KR20180161807A KR102133655B1 KR 102133655 B1 KR102133655 B1 KR 102133655B1 KR 1020180161807 A KR1020180161807 A KR 1020180161807A KR 20180161807 A KR20180161807 A KR 20180161807A KR 102133655 B1 KR102133655 B1 KR 102133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ed
tile
piece
hang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539A (ko
Inventor
강태경
Original Assignee
강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경 filed Critical 강태경
Priority to KR102018016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6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04F13/08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the visible surface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를 마감하는 타일 시공시 벽체와 타일 사이에 매립된 상태로 노출되는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시공되는 일측 타일의 후방으로 매립되는 제1매립편과, 상기 제1매립편으로부터 연장되며 시공되는 타측 타일의 후방으로 매립되는 제2매립편,으로 이루어진 이격된 한 쌍의 매립부; 상기 한 쌍의 매립부를 이격되게 연결하며, 상기 타일의 후방으로 매립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타일들의 줄눈 사이로 노출되며, 가재도구들이 걸쳐지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Tile Wall Embedded Hangers}
본 발명은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를 마감하는 타일 시공시 벽체와 타일 사이에 매립된 상태로 노출되는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주방 또는 욕실 등의 벽체는 다양한 크기와 색체를 갖는 타일에 의해 마감된다.
이러한 타일 벽체에는 특정된 위치에 걸이대가 고정되는데, 주방인 경우 주방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선반 또는 각종 주방도구를 고정하기 위해 걸이대가 고정되고, 욕실인 경우 각종 세면에 관련된 용품들이 진열 또는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걸이대가 고정된다.
이러한 걸이대는 볼트 또는 못들을 이용하여 타일 벽체에 고정된다.
그러나, 볼트 및 못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드릴을 이용하여 타일을 관통하는 앙카를 먼저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 과정에서 타일이 파손되는 치명적인 문제와 더불어 여러 공정들이 수반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09617호에는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이 개시되어 있다. 공지의 진공 흡착구는 간단하게 벽에 부착할 수 있고 벽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흡착구가 벽에 고정된 후 중력방향의 힘을 받는 경우 쉽게 벽으로부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흡착구를 이용한 공지의 선반도 무거운 하중을 견뎌낼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국내공개특허 제10-2007-36916호는 흡착구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흡착구의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의 부착력을 보조하는 별도의 보조부착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보조부착장치는 벽에 부착될 때 양면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부착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보조부착장치가 흡착구에 제공하는 부착력은 미약할 뿐만 아니라, 보조부착장치가 흡착구에 제공하는 부착력은 국부적이어서 보조부착장치의 역할이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09617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07-369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재도구들이 걸쳐지는 걸이대를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벽체를 마감하는 타일 시공시 벽체와 타일 사이에 매립된 상태로 타일의 줄눈을 통해 외부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걸이대는, 타일 시공시 매립되는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에 있어서, 시공되는 일측 타일의 후방으로 매립되는 제1매립편과, 상기 제1매립편으로부터 연장되며 시공되는 타측 타일의 후방으로 매립되는 제2매립편,으로 이루어진 이격된 한 쌍의 매립부; 상기 한 쌍의 매립부를 이격되게 연결하며, 상기 타일의 후방으로 매립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타일들의 줄눈 사이로 노출되며, 가재도구들이 걸쳐지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매립부에는 매립시 상기 매립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돌출된 요철 형상의 스파이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매립부에는 접착제가 충진되는 충진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충진공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매립부 판면과 접착제 사이의 들뜸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걸이부는, 상기 연결부 판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내측에 슬롯이 형성된 수평지지편과, 상기 수평지지편 말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세워진 직립걸이편,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연결부의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된 상태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으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링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홀더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에 의하면, 각종 가재도구들이 걸쳐지는 걸이대가 설정된 위치에 시공될 수 있도록, 타일 시공시 벽체와 타일 사이에 매립된 상태로 타일의 줄눈을 통해 외부측으로 노출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걸이대를 고정하기 위한 드릴링작업 등이 필요치 않아 타일의 파손이 방지됨과 더블어 작업효율이 뛰어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걸이대에 형성된 걸이부가 매립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활용도가 뛰어난 구조적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에 실시예로 선반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대를 여러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에 실시예로 선반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대를 여러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걸이대(100)는, 시공되는 일측 타일(T)의 후방으로 매립되는 제1매립편(11)과, 상기 제1매립편(11)으로부터 연장되며 시공되는 타측 타일(T)의 후방으로 매립되는 제2매립편(12),으로 이루어진 이격된 한 쌍의 매립부(10); 상기 한 쌍의 매립부(10)를 이격되게 연결하며, 상기 타일(T)의 후방으로 매립되는 연결부(20); 및 상기 연결부(2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타일(T)들의 줄눈(J) 사이로 노출되며, 가재도구들이 걸쳐지는 걸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걸이대(100)는 벽체(B)의 마감이 타일(T)로 이루어질 때 타일(T)과 벽체(B) 사이에 매립된 상태로 걸이부(30)가 줄눈(J) 사이를 통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욕실 또는 주방과 같이 특정된 위치에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가재도구들의 거치 또는 걸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여기서, 가재도구라함은 선반(C), 주방도구, 세면도구 및 각종 용품들을 지칭하는 것임.
본 발명의 걸이대(100)는 벽체(B)의 외장을 마감하는 타일(T) 시공시 타일(T)과 벽체(B)사이로 매립된다.
이러한 걸이대(100)는 도 1 및 2와 같이 실시예로 제시된 선반(C)이 걸쳐질 수 있도록 한다. 선반(C)은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주방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각종 그릇들을 거치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이대(100)에 거치되는 대상을 선반(C)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후술하는 걸이부(3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가재도구들이 거치 또는 걸어질 수 있다.
걸이대(100)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걸이대(100)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한 쌍의 매립부(10)와, 연결부(20) 및 걸이부(30)로 구성된다.
한 쌍의 매립부(10)는 벽체(B)에 시공되는 타일(T)과 벽체(B) 사이로 매립되는 것으로, 두 개의 매립부(10)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제1매립편(11)과 제2매립편(12)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매립편(11)은 도 2 및 도 6과 같이, 벽체(B)에 시공되는 일측(도면상 상측) 타일(T)의 후방으로 매립된다. 이때, 제1매립편(11)은 타일(T)과 벽체(B) 사이로 매립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판 상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제2매립편(12)은 도 2 및 도 6과 같이, 제1매립편(11)으로부터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벽체(B)에 시공되는 일측(도면상 하측) 타일(T)의 후방으로 매립된다. 이때, 제2매립편(12) 역시 제1매립편(11)과 같이 타일(T)과 벽체(B) 사이로 매립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판 상의 형태를 갖는다.
이 경우, 제1,2매립편(11,1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타일(T)의 시공위치 또는 타일(T)의 크기에 따라 개별부품으로 제작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제1,2매립편(11,12)이 전체적으로 직사각의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거치되는 선반(C)의 크기에 따른 하중을 안정적으로 견뎌낼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을 갖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수도 있다.
더하여, 제1,2매립편(11,12)이 판 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도 6과 같이 타일(T)이 벽체(B)에 시공될 수 있도록 벽체(B)에 얇은 두께로 발라지는 접착제(A)에 제1,2매립편(11,12)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한 쌍의 매립부(10)에는 매립부(10)가 접착제(A)에 매립 시공될 때 매립부(10)의 정확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파이크(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파이크(14)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매립부(10)의 바깥쪽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상은 산과 골(미부호)로 이루어진 상태로 돌출된 요철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스파이크(14)는, 도 6과 같이 벽체(B)에 타일(T)을 시공하기 위해 벽체(B)에 발라진 접착제(A)에 매립부(10)를 일차적으로 붙여 위치시킬 때, 스파이크(14)의 산과 골이 접착제(A)에 박히도록 함으로써 부착된 매립부(10)가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특히, 스파이크(14)는 타일(T)과 벽체(B) 사이로 발라지는 접착제(A)의 접착 두께가 얇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필수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산과 골로 이루어진 스파이크(14)가 매립부(10)의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그 형상 및 위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한 쌍의 매립부(10)의 판면에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매립부(10)의 판면을 관통한 소정의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충진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충진공(13)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돌기(1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충진공(13)은 매립부(10)가 접착제(A)에 붙여질 때, 접착제(A)가 붙여지는 과정에서 충진공(13)의 돌기(13a) 사이로 충진되도록 함으로써, 도 6과 같이 시공되어 양생과정을 거친 후 매립부(10) 양측 접착제(A)의 연결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착제(A)와 매립부(10) 판면 양측의 들뜸을 방지한다.
연결부(2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매립부(10)를 연결하는 것으로, 한 쌍의 매립부(10)와 함께 타일(T)의 후방 즉 타일(T)과 벽체(B) 사이의 접착제(A)에 매립된다.
이때, 연결부(20)는 한 쌍의 매립부(10)와 함께 접착제(A)에 매립될 수 있도록 매립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그 길이는 시공되는 타일(T)의 크기 또는 거치되는 선반(C)의 길이에 의해 한 쌍의 매립부(10) 간격이 달라짐에 따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연결부(20)는 매립부(10)의 형상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조립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연결부(20)와 매립부(10)의 연결관계도 한정하지 않는다.
걸이부(30)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각종 가재도구들이 걸쳐지는 것으로, 연결부(20)와 연결된 상태로 타일(T)들의 줄눈(J) 사이로 노출된다.
즉, 걸이부(30)는 타일(T)의 후방으로 매립된 연결부(20)로부터 연장되어 타일(T)의 외측방향으로 노출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걸이부(30)는, 한 쌍의 매립부(10)를 연결하는 연결부(20) 판면의 하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타일(T)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슬롯(31a)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수평지지편(31)과, 수평지지편(31)의 외측방향 말단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직교되게 세워진 직립걸이편(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걸이부(30)가 "L"자 형상으로 연결부(20)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고, 수평지지편(31)에 도 6과 같이 선반(C)의 전단에 형성된 걸림편(C1)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슬롯(31a)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때, 직립걸이편(32)은 슬롯(31a)에 끼워진 걸림편(C1)을 전체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선반(C)이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직립걸이편(32)에는 직립걸이편(32)을 관통한 상태로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보스(61)가 형성되며, 이 보스(61)에는 고정볼트(62)가 관통하여 결합된다.
즉, 보스(6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볼트(62)가 도 6과 같이 수평지지편(31)의 슬롯(31a)에 끼워져 직립걸이편(32)에 의해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선반(C)의 걸림편(C1) 일측(도면상 좌측)을 가압하면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선반(C)의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시킨다.
반대로, 선반(C)의 분리를 위해서는 고정볼트(62)의 해제가 필요함은 물론일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의 걸이대(100)는 걸쳐지거나 거치되는 가재도구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반(C)을 거치하기 위한 걸이대(100)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만일 선반(C)이 아닌 다양한 가재도구들이 걸쳐지는 경우 세워진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기 때문에 설치방향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대(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대(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30)의 형태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걸이부(30)는, 연결부(20)의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된 상태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부(2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공간(42)을 형성하도록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로 구성되어 있다.
즉, 걸이부(30)는 연결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를 통한 삽입공간(42)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도 7과 같이 삽입공간(42)으로 선반(C)의 선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한, 지지플레이트(41)의 표면에는 삽입공간(42)으로 삽입된 선반(C)의 선단을 가압하기 위한 기 서술된 복수개의 보스(61)가 형성되고 이 보스(61)에는 고정볼트(62)가 결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걸이부(30)는, 연결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링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홀더(51)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51)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연결부(20)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홀더(51)에는 예를 들면 치약, 칫솔 등과 같은 욕실에서 사용되는 도구들이 삽입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51)를 컵형태로 도시하고 있지만,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걸이대는, 각종 가재도구들이 걸쳐지는 걸이대가 설정된 위치에 시공될 수 있도록, 타일 시공시 벽체와 타일 사이에 매립된 상태로 타일의 줄눈을 통해 외부측으로 노출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걸이대를 고정하기 위한 드릴링작업 등이 필요치 않아 타일의 파손이 방지됨과 더블어 작업효율이 뛰어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걸이대에 형성된 걸이부가 매립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활용도가 뛰어난 구조적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걸이대를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 : 매립부 11 : 제1매립편
12 : 제2매립편 13 : 충진공
13a : 돌기 14 : 스파이크
14a : 요철 20 : 연결부
30 : 걸이부 31 : 수평지지편
31a : 슬롯 32 : 직립걸이편
40 : 걸이부 41: 지지플레이트
42 : 삽입공간
50 : 걸이부 51 : 홀더
61 : 보스 62 : 고정볼트
100 : 걸이대
A : 접착제 B : 벽체
C : 선반 C1 : 걸림편
J : 줄눈 T : 타일

Claims (6)

  1. 타일(T) 시공시 매립되는 타일벽체(B) 매립형 걸이대(100)에 있어서,
    시공되는 일측 타일(T)의 후방으로 매립되는 제1매립편(11)과, 상기 제1매립편(11)으로부터 연장되며 시공되는 타측 타일(T)의 후방으로 매립되는 제2매립편(12),으로 이루어진 이격된 한 쌍의 매립부(10);
    상기 한 쌍의 매립부(10)를 이격되게 연결하며, 상기 타일(T)의 후방으로 매립되는 연결부(20); 및
    상기 연결부(2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타일(T)들의 줄눈(J) 사이로 노출되며, 가재도구들이 걸쳐지는 걸이부(30);를 포함하며,
    상기 걸이부(30)는, 상기 연결부(20) 판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내측에 슬롯(31a)이 형성된 수평지지편(31)과, 상기 수평지지편(31) 말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세워진 직립걸이편(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매립부(10)에는 매립시 상기 매립부(10)의 위치를 고정하는 돌출된 요철 형상의 스파이크(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매립부(10)에는 접착제(A)가 충진되는 충진공(1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충진공(13)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돌기(13a)가 형성되어 상기 매립부(10) 판면과 접착제(A) 사이의 들뜸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61807A 2018-12-14 2018-12-14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 KR102133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807A KR102133655B1 (ko) 2018-12-14 2018-12-14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807A KR102133655B1 (ko) 2018-12-14 2018-12-14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539A KR20200073539A (ko) 2020-06-24
KR102133655B1 true KR102133655B1 (ko) 2020-07-13

Family

ID=7140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807A KR102133655B1 (ko) 2018-12-14 2018-12-14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6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470A (ko) 2020-11-06 2022-05-13 김승일 설치가 용이한 벽 선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714Y1 (ko) * 2005-11-28 2006-03-03 김영호 벽체고정형 물품거치대
JP2008012061A (ja) 2006-07-05 2008-01-24 Dainippon Printing Co Ltd 棚板の支持構造
US20110167746A1 (en) * 2010-01-14 2011-07-14 Scalise David H Tiled structures and bracket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257Y2 (ko) * 1986-04-15 1993-07-20
KR20070036916A (ko) 2005-09-30 2007-04-04 김광철 흡착구
KR200409617Y1 (ko) 2005-11-22 2006-02-24 김광철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
KR20110067427A (ko) * 2009-12-14 2011-06-22 (주)노바디자인 벽체 부착형 선반용 선반본체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714Y1 (ko) * 2005-11-28 2006-03-03 김영호 벽체고정형 물품거치대
JP2008012061A (ja) 2006-07-05 2008-01-24 Dainippon Printing Co Ltd 棚板の支持構造
US20110167746A1 (en) * 2010-01-14 2011-07-14 Scalise David H Tiled structures and brackets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470A (ko) 2020-11-06 2022-05-13 김승일 설치가 용이한 벽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539A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1700B2 (en) Tiled structures and brackets therefor
ES2279943T3 (es) Equipo y conjunto de paneles prefabricados.
US7243806B2 (en) Bathroom rail
KR20150055614A (ko) 선반 장치를 체결하기 위한 장치
KR102133655B1 (ko)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
JP2014185508A5 (ko)
KR200484317Y1 (ko) 페그보드
KR20100128192A (ko) 수납대걸이구
JPH0741422Y2 (ja) 掛止具の取り付け構造
JP2019120301A (ja) ハンガーフックとそれを用いた壁面活用システム
KR200411324Y1 (ko) 조립식 코너 선반
WO2018099188A1 (zh) 瓷缝钉
KR102455512B1 (ko) 시스템 벽선반
US6554528B2 (en) Utility bracket
US10327552B1 (en) Rack with top reaching ceiling
CN214364727U (zh) 踢脚线安装卡件
CN215738319U (zh) 一种新型浴帘杆
JP3183701U (ja) 店舗用建物
US20220053960A1 (en) Rod holder system
KR200157279Y1 (ko) 벽걸이 고정용 패널
KR200377296Y1 (ko) 조립식 다용도 선반
KR102055932B1 (ko) 파이프 행거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선반
KR200219410Y1 (ko) 포스트용 행거
KR200395102Y1 (ko) 코너 지지대
CN106320663A (zh) 一种木塑室内顶角线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