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317B1 -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317B1
KR102133317B1 KR1020190042277A KR20190042277A KR102133317B1 KR 102133317 B1 KR102133317 B1 KR 102133317B1 KR 1020190042277 A KR1020190042277 A KR 1020190042277A KR 20190042277 A KR20190042277 A KR 20190042277A KR 102133317 B1 KR102133317 B1 KR 102133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green
head
unit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영준
Original Assignee
심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영준 filed Critical 심영준
Priority to KR102019004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2069/367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는, 센터에 홀컵이 형성되는 원형 그린 헤드유닛; 및 상기 원형 그린 헤드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홀컵으로 퍼팅되는 골프공의 퍼팅 경로를 형성하는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본 발명은,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구조가 간단해서 제조가 편리한데도 효과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골프 퍼팅의 연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구조변경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는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여러 가지 형태의 홀을 돌면서 드라이브 샷, 아이언 샷, 벙커 샷 및 퍼팅 등을 병행하여 퍼팅그린의 홀컵으로 골프공을 골인시키는 스포츠 경기로서, 최저타수로 홀컵에 골프공을 넣는 선수가 이기는 경기이다.
이 중에서도 상기 퍼팅은 골프 경기의 최종 마무리 단계로서, 주로 홀컵과 근접된 거리에서 골프공을 홀컵에 넣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의 그린 상에서 그린의 상태 및 형상에 따른 방향설정 및 골프공의 속도를 나타내는 타격세기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홀컵에 골프공을 퍼팅하는 골프의 피니쉬 동작에 해당한다.
골프 실력 향상을 위하여는 정확한 퍼팅 기술의 습득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정확한 퍼팅을 하기 위해서는 첫째, 스윙거리 즉, 골프 퍼터(putter)의 왕복 이동거리가 너무 짧거나 길지 않아야 하며, 둘째, 골퍼의 시선이 골프공에 수직 상방에 위치하여야 하고, 셋째, 퍼터 페이스(putter face)가 골프공에 대해서 직교방향으로 당접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초심자는 물론 숙달자라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은 올바른 자세의 퍼팅을 익히기는 쉽지 않으며, 실제 퍼팅시에는 심리적 부담까지 가중되어 불안정한 스윙동작에 의해 흔들림이 많이 발생하고, 타구 방향이 뒤틀리는 등 실수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제까지 여러 종류의 퍼팅연습장치가 안출된 바 있는데, 그 중의 하나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보조기구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보조기구(1)는 소정 길이로 형성된 몸체(10)의 공간부(15)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슬(20)이 내장되고, 이 구슬(20)은 몸체(10) 내의 공간부(15)에 설치된 격벽(11, 12)에 의해 몸체(10) 내에서 이동거리가 제한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이동거리는 퍼팅시에 백스윙 동작과 임팩트 스윙동작과 관련되어 결정되는 것으로서, 퍼팅 훈련시에 백스윙과 임팩트 스윙동작을 연습자가 스스로 일정한 리듬간격으로(주기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10)의 내부는 구슬(20)이 소정 거리를 이동하여 소리를 발생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공간부는 구슬(20)이 잘 굴러서 이동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골프 퍼팅 연습 보조기구(1)의 양측은 가슴과 양팔 사이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골프 퍼팅 연습 보조기구(1)는 구조 대비 사용 효과가 떨어지며, 특히 기능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한국실용등록 제0193305호 등에는 가이드센서와 경보장치를 설치하여 스윙상태가 교정을 요하는 정도이면 가이드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경보되게 함으로써 퍼팅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문헌(한국실용등록 제0193305호)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에는 구성이 복잡해서 고장 발생률이 높아지고 가격이 상승하게 되며, 부피가 커지므로 장치의 이동이 쉽지 않아 연습장소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10605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11794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3260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03808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해서 제조가 편리한데도 효과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골프 퍼팅의 연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구조변경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는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센터에 홀컵이 형성되는 원형 그린 헤드유닛; 및 상기 원형 그린 헤드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홀컵으로 퍼팅되는 골프공의 퍼팅 경로를 형성하는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원형 그린 헤드유닛은, 상기 홀컵이 형성되며, 골프공이 구르는 헤드 그린부; 상기 헤드 그린부의 최외곽을 형성하되 상기 헤드 그린부 측에서 이동되는 골프공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골프공 이탈 저지용 헤드벽체; 및 상기 골프공 이탈 저지용 헤드벽체의 내측에 함몰되게 가공되며, 골프공이 회수되는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은, 상기 헤드 그린부와 일면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 그린부 쪽으로 골프공이 구르는 경로를 형성하는 몸체 그린부; 상기 몸체 그린부의 최외곽을 형성하되 상기 몸체 그린부 측에서 이동되는 골프공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골프공 이탈 저지용 몸체벽체; 및 상기 골프공 이탈 저지용 몸체벽체의 내측에 함몰되게 가공되되 상기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와 연통되며, 상기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 측에서 이동되는 골프공을 상기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로 안내하는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센터에 홀컵이 형성되는 원형 그린 헤드유닛; 상기 원형 그린 헤드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홀컵으로 퍼팅되는 골프공의 퍼팅 경로를 형성하는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 및 상기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골프공이 회수되는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를 포함하며, 상기 원형 그린 헤드유닛은, 상기 홀컵이 형성되며, 골프공이 구르는 헤드 그린부; 상기 헤드 그린부의 최외곽을 형성하되 상기 헤드 그린부 측에서 이동되는 골프공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골프공 이탈 저지용 헤드벽체; 및 상기 골프공 이탈 저지용 헤드벽체의 내측에 함몰되게 가공되며, 골프공이 회수되는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은, 상기 헤드 그린부와 일면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 그린부 쪽으로 골프공이 구르는 경로를 형성하는 몸체 그린부; 상기 몸체 그린부의 최외곽을 형성하되 상기 몸체 그린부 측에서 이동되는 골프공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골프공 이탈 저지용 몸체벽체; 상기 골프공 이탈 저지용 몸체벽체의 내측에 함몰되게 가공되되 상기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와 연통되며, 상기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 측에서 이동되는 골프공을 상기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로 안내하는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 및 상기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가 연결되는 골프공 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보다 상기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의 경사도가 더 가파르게 형성되되 상기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의 단부가 상기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에 연통되며, 상기 원형 그린 헤드유닛 내에는 상기 홀컵과 연통되어 골프공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구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 그린 헤드유닛과 상기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 내에는 일단부가 상기 수직 구간부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골프공 출구부에 연통되어 골프공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 구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에는 골프공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의 단부에는 상기 원형 그린 헤드유닛을 향해 돌기형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그린 헤드유닛에는 상기 돌기형 결합부가 끼워지면서 결합하는 홈형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해서 제조가 편리한데도 효과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골프 퍼팅의 연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구조변경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보조기구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개략적인 종단면 구조도이다.
도 8a 내지 도 8g는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의 변형예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5는 도 2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평면도, 그리고, 도 7은 도 5의 개략적인 종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100)는 구조가 간단해서 제조가 편리한데도 효과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골프 퍼팅의 연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구조변경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100)는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 그리고,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13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100)는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과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이 서로 결합 혹은 분리되는 구조라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미도시)을 변경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퍼팅 기술에 대한 다양한 연습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은 센터에 홀컵(111)이 형성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은 홀컵(111)이 형성되며, 골프공이 구르는 헤드 그린부(112)와, 헤드 그린부(112)의 최외곽을 형성하되 헤드 그린부(112) 측에서 이동되는 골프공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골프공 이탈 저지용 헤드벽체(113)와, 골프공 이탈 저지용 헤드벽체(113)의 내측에 함몰되게 가공되며, 골프공이 회수되는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114)를 포함한다.
헤드 그린부(112)는 실제 골프 잔디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에 골프공 이탈 저지용 헤드벽체(113)가 형성되기 때문에 퍼팅 실수로 인해 골프공이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의 바깥쪽으로 벗어나는 것을 최대한 저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에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114)가 적용되기 때문에 홀컵(111)으로 향하지 못한 골프공, 다시 말해 퍼팅이 잘못된 골프공에 대한 회수가 유리해질 수 있다.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은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홀컵(111)으로 퍼팅되는 골프공의 퍼팅 경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이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에 대하여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이 교체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과 더불어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의 보관,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에 대하여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이 교체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미도시)을 변경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퍼팅 기술에 대한 다양한 연습이 가능하다.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과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 간의 분해 조립을 위하여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의 단부에는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을 향해 돌기형 결합부(151)가 형성되고,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에는 돌기형 결합부(151)가 끼워지면서 결합하는 홈형 결합부(152)가 형성된다.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은 헤드 그린부(112)와 일면을 형성하며, 헤드 그린부(112) 쪽으로 골프공이 구르는 경로를 형성하는 몸체 그린부(122)와, 몸체 그린부(122)의 최외곽을 형성하되 몸체 그린부(122) 측에서 이동되는 골프공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골프공 이탈 저지용 몸체벽체(123)와, 골프공 이탈 저지용 몸체벽체(123)의 내측에 함몰되게 가공되되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114)와 연통되며,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114) 측에서 이동되는 골프공을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130)로 안내하는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124)와,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130)가 연결되는 골프공 출구부(125)를 포함한다.
몸체 그린부(122) 역시, 실제 골프 잔디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에 골프공 이탈 저지용 몸체벽체(123)가 형성되기 때문에 퍼팅 실수로 인해 골프공이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의 바깥쪽으로 벗어나는 것을 최대한 저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에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124)가 적용되기 때문에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114)와 더불어 홀컵(111)으로 향하지 못한 골프공, 다시 말해 퍼팅이 잘못된 골프공에 대한 회수가 유리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114)보다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124)의 경사도가 더 가파르게 형성되되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124)의 단부가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124)에 연통된다. 따라서, 홀컵(111)으로 향하지 못한 골프공, 다시 말해 퍼팅이 잘못된 골프공에 대한 회수가 유리해질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홀컵(111)으로 향한 골프공을 회수를 위하여 수직 구간부(141)와 경사 구간부(142)가 형성된다.
수직 구간부(141)는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에 형성되되 홀컵(111)과 연통되어 골프공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경사 구간부(142)는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과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에 형성되되 일단부가 수직 구간부(141)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골프공 출구부(125)에 연통되어 골프공의 이동을 안내한다.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130)는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의 단부, 즉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의 골프공 출구부(12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골프공이 회수되는 장소를 이룬다.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130)에는 골프공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스토퍼(131)가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해서 제조가 편리한데도 효과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골프 퍼팅의 연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구조변경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게 된다.
(변형예들)
도 8a 내지 도 8g는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의 변형예들이다.
도 8a의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100a) 역시, 서로 분해 조립 가능한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과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a)을 포함한다.
이때,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a)의 일측에는 아크형 돌출부(125a)가 형성된다. 아크형 돌출부(125a)로 인해 실전 퍼팅 감각을 높일 수 있다.
도 8b의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100b) 역시, 서로 분해 조립 가능한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과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b)을 포함한다.
이때,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b)의 일측에는 요철과 요홈이 반복되는 파형 돌출부(125b)가 형성된다. 파형 돌출부(125b)로 인해 실전 퍼팅 감각을 높일 수 있다.
도 8c의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100c) 역시, 서로 분해 조립 가능한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과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c)을 포함한다.
이때,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c)은 오목한 오목면(125c)을 이루는데, 오목면(125c)으로 인해 실전 퍼팅 감각을 높일 수 있다.
도 8d의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100d) 역시, 서로 분해 조립 가능한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과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d)을 포함한다.
이때,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d)은 비직선형 제1 표면(125d)을 이루는데, 비직선형 제1 표면(125d)으로 인해 실전 퍼팅 감각을 높일 수 있다.
도 8e의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100e) 역시, 서로 분해 조립 가능한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과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e)을 포함한다.
이때,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e)은 비직선형 제2 표면(125e)을 이루는데, 비직선형 제2 표면(125e)으로 인해 실전 퍼팅 감각을 높일 수 있다.
도 8f의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100f) 역시, 서로 분해 조립 가능한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과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f)을 포함한다.
이때,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f)은 파형 돌출부(125f)와 파형 돌출부(125f)에 교차하는 제1 교차부(126f)를 포함한다. 파형 돌출부(125f)와 제1 교차부(126f)의 구조로 인해 다양한 환경에서의 퍼팅 연습을 진행할 수 있다.
도 8g의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100g) 역시, 서로 분해 조립 가능한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과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g)을 포함한다.
이때,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g)은 볼록 돌출부(125g)와 볼록 돌출부(125g)에 교차하는 제2 교차부(126g)를 포함한다. 볼록 돌출부(125g)와 제2 교차부(126g)의 구조로 인해 다양한 환경에서의 퍼팅 연습을 진행할 수 있다.
물론, 도 8a 내지 도 8g 이외의 구조 역시 적용이 가능할진대, 이러한 구조 혹은 이와 유사한 구조가 적용될 경우, 다양한 환경에서의 퍼팅 연습을 진행할 수 있어 골프 퍼팅의 연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들이 적용되더라도 구조가 간단해서 제조가 편리한데도 효과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골프 퍼팅의 연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구조변경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200) 역시, 서로 분해 조립 가능한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과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220)을 포함한다.
그리고,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220)은 헤드 그린부(112)와 일면을 형성하며, 헤드 그린부(112) 쪽으로 골프공이 구르는 경로를 형성하는 몸체 그린부(122)와, 몸체 그린부(122)의 최외곽을 형성하되 몸체 그린부(122) 측에서 이동되는 골프공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골프공 이탈 저지용 몸체벽체(123)와, 골프공 이탈 저지용 몸체벽체(123)의 내측에 함몰되게 가공되되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114)와 연통되며,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114) 측에서 이동되는 골프공을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130)로 안내하는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124)를 포함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124)에는 흡음 쿠션재(225)가 개재된다. 흡음 쿠션재(225)로 인해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124)를 따라 이동하는 골프공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흡음 쿠션재(225)는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의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114)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구조가 간단해서 제조가 편리한데도 효과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골프 퍼팅의 연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구조변경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300) 역시, 서로 분해 조립 가능한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과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3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300)에는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의 홀컵(111) 내에 골프공 감지부(370)가 마련되고,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320)에 카운터(360)가 마련된다.
골프공 감지부(370)는 홀컵(111) 내에 골프공이 들어가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카운터(360)는 홀컵(111) 내에 들어가는 골프공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숫자로 표시한다.
한편, 이들의 컨트롤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300)에는 컨트롤러(380)가 더 탑재된다.
컨트롤러(380)는 골프공 감지부(37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카운터(360)가 동작하도록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380)는 중앙처리장치(381, CPU), 메모리(3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3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381)는 본 실시예에서 골프공 감지부(37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카운터(360)가 동작하도록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3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381)와 연결된다. 메모리(3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써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3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381)와 결합하여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3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380)는 골프공 감지부(37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카운터(360)가 동작하도록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3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3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구조가 간단해서 제조가 편리한데도 효과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골프 퍼팅의 연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구조변경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 110 : 원형 그린 헤드유닛
111 : 홀컵 112 : 헤드 그린부
113 : 골프공 이탈 저지용 헤드벽체 114 :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
120 :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 122 : 몸체 그린부
123 : 골프공 이탈 저지용 몸체벽체 124 :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
125 : 골프공 출구부 130 :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
131 : 스토퍼 141 : 수직 구간부
142 : 경사 구간부 151 : 돌기형 결합부
152 : 홈형 결합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센터에 홀컵(111)이 형성되는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
    상기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홀컵(111)으로 퍼팅되는 골프공의 퍼팅 경로를 형성하는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 및
    상기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골프공이 회수되는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130)를 포함하며,
    상기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은,
    상기 홀컵(111)이 형성되며, 골프공이 구르는 헤드 그린부(112);
    상기 헤드 그린부(112)의 최외곽을 형성하되 상기 헤드 그린부(112) 측에서 이동되는 골프공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골프공 이탈 저지용 헤드벽체(113);
    상기 골프공 이탈 저지용 헤드벽체(113)의 내측에 함몰되게 가공되며, 골프공이 회수되는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은,
    상기 헤드 그린부(112)와 일면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 그린부(112) 쪽으로 골프공이 구르는 경로를 형성하는 몸체 그린부(122);
    상기 몸체 그린부(122)의 최외곽을 형성하되 상기 몸체 그린부(122) 측에서 이동되는 골프공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골프공 이탈 저지용 몸체벽체(123);
    상기 골프공 이탈 저지용 몸체벽체(123)의 내측에 함몰되게 가공되되 상기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114)와 연통되며, 상기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114) 측에서 이동되는 골프공을 상기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130)로 안내하는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124); 및
    상기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130)가 연결되는 골프공 출구부(125)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측 골프공 회수홈부(114)보다 상기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124)의 경사도가 더 가파르게 형성되되 상기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124)의 단부가 상기 몸체측 골프공 회수홈부(124)에 연통되고,
    상기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 내에는 상기 홀컵(111)과 연통되어 골프공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구간부(141)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과 상기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 내에는 일단부가 상기 수직 구간부(141)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골프공 출구부(125)에 연통되어 골프공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 구간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식 골프공 회수대(130)에는 골프공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스토퍼(131)가 형성되며,
    상기 교체식 그린 몸체유닛(120)의 단부에는 상기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을 향해 돌기형 결합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그린 헤드유닛(110)에는 상기 돌기형 결합부(151)가 끼워지면서 결합하는 홈형 결합부(15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
KR1020190042277A 2019-04-11 2019-04-11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 KR102133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277A KR102133317B1 (ko) 2019-04-11 2019-04-11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277A KR102133317B1 (ko) 2019-04-11 2019-04-11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317B1 true KR102133317B1 (ko) 2020-07-13

Family

ID=7157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277A KR102133317B1 (ko) 2019-04-11 2019-04-11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3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052A (ko) * 2000-01-13 2000-05-06 심영준 골프 퍼팅게임 기기대
KR200236093Y1 (ko) * 2000-08-18 2001-09-13 주식회사 지금닷컴 분리조립식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140106054A (ko) 2013-02-25 2014-09-03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정보저장매체 시스템
KR20170009351A (ko) * 2015-07-16 2017-01-25 박근숙 골프 퍼팅연습기
KR20170117941A (ko) 2010-03-02 2017-10-24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체 및 그 제조 방법, 창재, 및 광학체의 접합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052A (ko) * 2000-01-13 2000-05-06 심영준 골프 퍼팅게임 기기대
KR200236093Y1 (ko) * 2000-08-18 2001-09-13 주식회사 지금닷컴 분리조립식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170117941A (ko) 2010-03-02 2017-10-24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체 및 그 제조 방법, 창재, 및 광학체의 접합 방법
KR20140106054A (ko) 2013-02-25 2014-09-03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정보저장매체 시스템
KR20170009351A (ko) * 2015-07-16 2017-01-25 박근숙 골프 퍼팅연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94565A (en) Indicator device actuable by the movement of a golf club head between two spaced strips on a mat
US9604117B2 (en) Golf stroke training device
US20060040761A1 (en) Scale mark mat for putting practice
US7566275B2 (en) Golf putting training apparatus
KR102133317B1 (ko) 기능성 골프 퍼팅 연습기
KR20190086308A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1819481B1 (ko) 골프 스윙 연습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21192A (ko) 탁구 스코어 표시장치
KR20170080003A (ko) 스윙 교정용 골프 매트
JP2002165909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101991824B1 (ko) 골프 임팩트존 에이밍 포인트 연습기구
KR20210000738U (ko) 퍼팅 연습장치
KR101144352B1 (ko) 골프용 퍼터
CN213555308U (zh) 一种羽毛球的检测计分装置
KR102430587B1 (ko) 퍼터 페이스의 스퀘어 만들기 및 퍼팅 강도의 조절 훈련을 위한 퍼팅 연습장치
CN103055480A (zh) 铁质高尔夫球杆组和高尔夫球杆头
KR101875782B1 (ko) 스크린 골프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KR20120005907U (ko) 골프용 퍼팅 연습 장치
US20140038738A1 (en) Club-Swing Alignment Apparatus and a Frame Thereof
KR101681082B1 (ko) 분할형 매트부를 구비하는 골프매트
US7686703B2 (en) Practice device for corrected golf swing
KR102387003B1 (ko) 게이트볼과 포켓볼이 접목된 생활체육용 라켓을 구비한 생활체육 용품 세트
KR102591041B1 (ko) 타격 게임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2127628B1 (ko) 구기 스포츠용 스크린 게임장치
KR102436057B1 (ko) 연습용 안전 골프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