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044B1 -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044B1
KR102133044B1 KR1020130144857A KR20130144857A KR102133044B1 KR 102133044 B1 KR102133044 B1 KR 102133044B1 KR 1020130144857 A KR1020130144857 A KR 1020130144857A KR 20130144857 A KR20130144857 A KR 20130144857A KR 102133044 B1 KR102133044 B1 KR 102133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feature
communication
modem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932A (ko
Inventor
심재욱
방지훈
이연복
양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3/01080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81272A1/ko
Priority to US14/647,300 priority patent/US9848377B2/en
Publication of KR20140067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은 현재 장소에서 접속 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인지하기 위해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피쳐를 미리 읽은 후 현재 장소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를 탐지함으로써 피쳐에 따라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뎀을 설정하여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이하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통신 표준 및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피쳐를 탐지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통신 표준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기술이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은 무선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 표준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무선 통신 단말은 복수의 통신 표준들 각각에 대응하는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뎀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무선 통신을 위해 무선 통신 단말이 모든 모뎀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사용되지 않는 모뎀으로 인한 단말의 비용 증가, 단말의 부피 증가 및 전력 소모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단말은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뎀을 구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은 하나의 모뎀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통해 복수의 통신 표준에 대응하는 수학적 연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단말은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을 통해 하나의 모뎀이 복수의 통신 표준들 중 현재 접속하고자 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표준에 대응하는 모뎀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모뎀의 프로세서와 관련된 연산 처리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표준과 동시에 동작해야 하는 통신 표준의 수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뎀을 구현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특정 장소에 위치한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해당 장소에서 접속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를 찾을 필요가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단말이 복수의 통신 표준들을 지원하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이 불필요한 신호 처리로 인한 소비 전력의 낭비를 발생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통신 네트워크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통신 사업자 또는 통신 표준과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읽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피쳐를 탐지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가 탐지되는 경우, 탐지된 피쳐에 대응하는 통신 모뎀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통신 모뎀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서 상기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읽는 단계는,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프리앰블(preamble), 파일럿(pilot) 또는 순환 전치(cyclic prefix)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읽을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피쳐를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서 미리 알려진 공통된 특징을 나타내는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피쳐를 탐지하는 단계는, 이미 알고있는 시퀀스를 검출하기 위한 교차 상관, 반복적인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자동 상관 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피쳐를 탐지하기 위한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피쳐를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은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피쳐들 중 어느 하나의 피쳐가 탐지될 때까지, 주파수 대역을 구성하는 채널을 변경하거나 또는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피쳐를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은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피쳐가 탐지되지 않으면,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피쳐가 탐지될 때까지, 주파수 대역을 구성하는 채널을 변경하거나 또는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를 탐지하고,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피쳐가 탐지되지 않으면, 새로운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서 상기 탐지된 피쳐에 대응하는 통신 모뎀을 선택하는 단계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복수의 통신 모뎀들 중 상기 피쳐와 관련된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통신 모뎀을 선택하거나 또는 피쳐와 관련된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그램을 변경하여 통신 모뎀을 구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통신 사업자 또는 통신 표준과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읽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피쳐를 탐지하는 피쳐 탐지부; 상기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가 탐지되는 경우, 탐지된 피쳐에 대응하는 통신 모뎀을 선택하는 모뎀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통신 모뎀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통신 네트워크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에서 상기 피쳐 탐지부는,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프리앰블(preamble), 파일럿(pilot) 또는 순환 전치(cyclic prefix)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읽을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에서 상기 피쳐 탐지부는, 상기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서 미리 알려진 공통된 특징을 나타내는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에서 상기 피쳐 탐지부는, 이미 알고있는 시퀀스를 검출하기 위한 교차 상관, 반복적인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자동 상관 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피쳐를 탐지하기 위한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에서 상기 피쳐 탐지부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은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피쳐들 중 어느 하나의 피쳐가 탐지될 때까지, 주파수 대역을 구성하는 채널을 변경하거나 또는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에서 상기 피쳐 탐지부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은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피쳐가 탐지되지 않으면,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피쳐가 탐지될 때까지, 주파수 대역을 구성하는 채널을 변경하거나 또는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를 탐지하고,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피쳐가 탐지되지 않으면, 새로운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에서 상기 모뎀 선택부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복수의 통신 모뎀들 중 상기 피쳐와 관련된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통신 모뎀을 선택하거나 또는 피쳐와 관련된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그램을 변경하여 통신 모뎀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채널별로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모뎀을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무선 통신 단말(100)은 WiFi, WiBro, Bluetooth, 2G 네트워크, 3G 통신 네트워크, 4G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무선 통신 단말(100)은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해서 하드웨어적으로 복수의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단말(100)은 하나의 모뎀으로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나의 모뎀에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모뎀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100)은 셀룰러폰, 스마트폰, 테블릿 PC와 같은 전자기기, 항공기, 자동차, 배와 같은 운송 수단의 통신 기기, 군용 통신 기기, 워키토키(walky-talky)와 같은 음성 통신 라디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동에 의해서 무선 통신 단말(100)의 위치가 변경되면, 무선 통신 단말(100)의 무선 통신 환경이 변화된다. 그래서, 무선 통신 단말(100)은 현재 접속 중인 통신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하거나 또는 다른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무선 통신 단말(100)은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101~104)를 찾을 수 있다. 일례로, 무선 통신 단말(100)은 접속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feature)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러한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탐지함으로써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를 찾을 수 있다. 그러면, 무선 통신 단말(100)은 하드웨어적으로 모뎀을 선택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뎀 설정을 변경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결국, 무선 통신 단말(100)은 현재 위치에서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신호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피쳐(f1~fN)를 탐지함으로써 해당 무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단말(100)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 중 어느 하나를 읽고, 특정 주파수 대역의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신호로부터 읽은 피쳐가 탐지될 수 있는 지 여부를 신호 처리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는 통신 표준과 통신 사업자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표준이 다르면 피쳐도 다를 수 있다. 한편, 통신 표준이 동일하더라도 통신 사업자가 다르다면, 피쳐도 다를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무선 통신 단말(200)은 프론트 엔드부(201), 통신 모뎀(202), 피쳐 탐지부(203), 데이터베이스(204), 모뎀 선택부(205) 및 통신 네트워크 설정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엔드부(201)는 무선 통신 단말(200)의 외부에서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론트 엔드부(201)는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러면, 프론트 엔드부(201)는 디지털 변환된 무선 통신 신호를 통신 모뎀(202)에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론트 엔드부(201)는 통신 모뎀(202)으로부터 전달된 무선 통신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뎀(202)은 복수의 통신 표준들에 대응하기 위한 하드웨어 모뎀이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모뎀일 수 있다.
프론트 엔드부(201)는 송수신 하고자 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범위, 동시에 접속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의 개수 또는 MIMO(Multi-Input Multi-Output)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의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들은 각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론트 엔드부(201)는 통신 표준 또는 구현 방식에 따라 주파수 변조 또는 복조함으로써 안테나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할 무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엔드부(201)는 ADC(Analog-to Digital)와 DAC(Digital-to-Analog)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통신 모뎀(202)과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모뎀(202)은 송신하고자 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학적 연산과 디지털로 변환된 수신된 무선 통신 신호에 대해 수학적 연산의 역연산과 오류 정정을 적용함으로써 무선 통신 신호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통신 모뎀(202)은 수학적 연산들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세서와 하드웨어 가속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모뎀(202)은 복수의 통신 표준들에 대응하는 각각의 하드웨어 모뎀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통신 표준에 대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을 통해 내부 수행 과정을 변경할 수 있는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뎀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뎀(202)은 송신하고자 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생성하고,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를 해석하여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다앙?h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뎀(202)은 무선 통신 신호에 대해 암호화/복호화, 변조/복조, 오류정정, 시간-주파수 도메인간 변환, 스크램블링(scrambling) /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 인터리빙(interleaving) /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을 포함한 여러가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통신 모뎀(202)은 하드웨어 가속기, 프로세서, 데이터 메모리, 프로그램 메모리, 설정값 저장을 위한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로 조합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 요소의 개수는 무선 통신 단말(200)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통신 표준, 동시에 동작 가능한 통신 표준의 개수, 각 통신 표준별로 사용된 알고리즘의 연산복잡도 등에 따라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피쳐 탐지부(203)는 복수의 피쳐 탐지 기법을 이용하여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데이터베이스(204)로부터 추출된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일례로, 피쳐 탐지부(203)는 무선 통신 단말(200)에 적용된 통신 표준에 매칭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피쳐가 탐지되면, 무선 통신 단말(200)은 피쳐에 대응하는 통신 표준에 대응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피쳐 탐지부(203)가 적용됨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200)은 고속, 저전력으로 현재 장소에서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를 검색할 수 있다.
일례로, 피쳐 탐지부(203)는 무선 통신 신호에서 다양한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패킷(심볼)의 특징을 탐지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쳐 탐지부(203)는 교차 상관(cross-correlation), 자동 상관(auto-correleation)과 같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피쳐 탐지부(203)는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주파수 도메인에서 탐지하기 위해, 시간 도메인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교차 상관은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프리앰블과 같이 미리 결정된 정보를 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순환 전치(cyclic prefix), 또는 반복적인 패턴을 가지는 프리앰블과 같이 무선 통신 신호에서 반복적으로 배치되고, 반복 구간이 이미 알려진 경우에 자동 상관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쳐 탐지부(203)는 다양한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탐지하기 위해 각종 계수 또는 타이밍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피쳐 탐지부(203)는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탐지하기 위해 통신 모뎀(202)에서 수행되는 수학적 연산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피쳐 탐지부(203)에서 수행할 수학적 연산을 통신 모뎀(202)이 전부 또는 일부를 대신 수행하는 경우, 모뎀 선택부(205)는 통신 모뎀(202)에서 필요한 수학적 연산에 대응하는 동작만 활성화함으로써 무선 통신 단말(200)을 하드웨어적으로 최적화하고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례로, 피쳐 탐지부(203)는 데이터베이스(204)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200)이 처리할 수 있는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들을 한꺼번에 읽을 수 있다. 그러면, 피쳐 탐지부(203)는 프론트 엔드부(201)를 통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데이터베이스(204)에서 읽은 피쳐들 중 어느 하나의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만약, 주파수 대역의 현재 채널을 통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피쳐들을 모두 탐지할 수 없는 경우, 피쳐 탐지부(203)는 다른 채널을 통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읽은 피쳐들 중 어느 하나의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쳐 탐지부(203)는 피쳐가 탐지될 때까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을 변경하면서 피쳐를 반복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만약,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모든 채널에서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피쳐들을 모두 탐지하지 못하는 경우, 피쳐 탐지부(203)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을 변경해가며 대응하는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들을 탐지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피쳐 탐지부(203)는 데이터베이스(204)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200)이 처리할 수 있는 어느 하나의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읽을 수 있다. 그러면, 피쳐 탐지부(203)는 프론트 엔드부(201)를 통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데이터베이스(204)에서 읽은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만약, 주파수 대역의 현재 채널을 통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피쳐를 탐지할 수 없는 경우, 피쳐 탐지부(203)는 다른 채널을 통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통신 표준과 관련된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쳐 탐지부(203)는 피쳐가 탐지될 때까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을 변경하면서 피쳐를 반복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만약,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모든 채널에서 피쳐가 탐지되지 못하면, 피쳐 탐지부(203)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가능한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피쳐가 탐지되지 못하면, 피쳐 탐지부(203)는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새로운 통신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들에 대응하는 통신 신호의 피쳐를 읽고 수신한 무선통신 신호에서 이에 대응하는 피쳐를 탐지 할 수 있다. 이 때, 피쳐를 탐지하는 과정은 처음에 피쳐를 탐지했던 주파수 대역에서 다시 시작된다.
데이터베이스(204)는 무선 통신 단말(200)에 설정가능한 모든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feature)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피쳐는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프리앰블(preamble)의 형태, 파일럿(pilot signal)의 형태, 시작 주파수의 할당 위치 등 무선 통신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04)는 피쳐 이외에도 통신 네트워크의 종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 채널폭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200)이 접속 가능한 통신 표준이 증가하거나 또는 기능이 개선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04)에 저장된 데이터들도 추가되거나 또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피쳐 탐지부(203)에서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탐지한 경우, 모뎀 선택부(205)는 탐지된 피쳐에 대응하는 통신 표준에 매칭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모뎀을 선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통신 모뎀(202)은 복수의 통신 표준들 각각에 대응하는 하드웨어 모뎀 또는 하나의 모뎀에서 복수의 통신 표준들을 적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적으로 변경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피쳐를 탐지하여 무선 통신 단말(200)이 현재 접속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동안, 모뎀 선택부(205)는 동작이 불필요한 통신 모뎀(202)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또는 클럭을 비활성함으로써 무선 통신 단말(20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 설정부(206)는 선택된 통신 모뎀을 통해 현재 장소에서 무선 통신 단말(200)이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통신 네트워크는 피쳐 탐지부(203)가 탐지한 피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 통신 단말은 사용자의 이동에 의해서 또는 무선 통신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현재 접속되어 있는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없을 경우, 새로운 통신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단말이 새로운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 하기 위해서는 무선 통신 단말 내부에 포함된 모뎀을 새로운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모뎀을 설정하는 것은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통신 표준에 맞도록 발신 신호를 생성하고, 수신 신호를 해석할 수 있는 연산을 수행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그램하고 각종 파라미터 값을 조정하거나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뎀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설정 이전에 무선 통신 단말이 현재 위치에서 어떤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3은 무선 통신 단말이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이용하여 현재 접속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를 인지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단계(301)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읽을 수 있다. 일례로,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는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피쳐는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할 수 있는 통신 표준과 관련된 무선 통신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무선 통신 단말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기초한 복수의 피쳐들을 한꺼번에 읽을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어느 하나의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기초한 피쳐를 읽을 수 있다.
단계(302)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외부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만약, 단계(301)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기초한 복수의 피쳐들을 한꺼번에 읽은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하나의 채널에서 읽은 피쳐들을 탐지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채널에서 피쳐를 탐지하는 것을 실패한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채널을 변경하여 피쳐를 탐지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주파수 대역의 모든 채널에서 피쳐를 탐지하는 것을 실패한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여 피쳐를 탐지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또는, 단계(301)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어느 하나의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기초한 피쳐를 읽은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채널을 변경하거나 또는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면서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이 때, 모든 주파수 대역과 채널에서 피쳐가 탐지되지 않은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새로운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기초한 피쳐로 다시 탐지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무선 통신 단말은 하나의 피쳐를 읽고 다수의 채널 및 주파수 대역에서 읽은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 단말이 피쳐를 탐지하는 것에 실패한 경우, 데이터베이스에서 다른 피쳐를 읽어서 피쳐를 탐지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단계(303)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피쳐가 탐지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피쳐가 탐지되지 않는 경우, 단계(304)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한 현재 채널이 주파수 대역에서 마지막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마지막 채널이 아닌 경우, 단계(305)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주파수 대역에서 현재 채널을 다른 채널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마지막 채널인 경우, 단계(306)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현재 주파수 대역을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계(301)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읽을 수 있다.
그리고, 단계(303)에서 피쳐가 탐지되는 경우, 단계(307)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탐지된 피쳐에 대응하는 통신 표준과 관련된 모뎀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런 후에, 단계(308)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모뎀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채널별로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 통신 단말은 내부에 위치한 데이터베이스에서 무선 통신 단말과 관련된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f1, f2, f3, … , fN)를 읽을 수 있다. 통신 표준이 다르다면 피쳐는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표준이 동일하더라도 통신 사업자가 다르면 피쳐는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 단말은 임의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통신 신호(S)를 수신한 다음, 해당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신호는 무선 통신 단말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며, RF 처리를 통해 일정한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의 피쳐 탐지 과정은 무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일정한 주파수 간격으로 분할한 복수의 채널들(CH1, CH2, …, CHN) 중 하나의 채널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무선 통신 단말은 각 채널에 대해 무선 통신 신호로부터 피쳐들을 탐지할 수 있다. 도 4의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처리 가능한 통신 표준과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복수의 피쳐들(f1~fN)을 읽었다고 가정한다. 경우에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은 어느 하나의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하나의 피쳐를 읽을 수 있다.
피쳐는 통신 표준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및 채널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현재 채널에서 무선 통신 신호로부터 피쳐가 탐지되지 못하면, 무선 통신 단말은 다음 채널에서 무선 통신 신호로부터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주파수 대역의 현재 채널에서 통신 표준과 관련된 피쳐를 탐지할 수 없으면, 무선 통신 단말은 주파수를 변경하여 다른 채널에서 통신 표준과 관련된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피쳐 탐지 과정은 반복적으로 진행되며, 피쳐가 탐지되면 반복 과정은 중지될 수 있다.
만약, 특정 주파수 대역의 모든 채널에서 피쳐가 탐지되지 못하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 신호로부터 피쳐들을 탐지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단말이 어느 하나의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하나의 피쳐를 읽었고, 모든 주파수 대역과 채널에서 피쳐가 탐지되지 않았다고 가정하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새로운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피쳐로 도 4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피쳐가 탐지되어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의 검색이 성공하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피쳐에 대응하는 통신 표준에 따라 모뎀을 설정한 후 모뎀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신호는 사용되는 통신 표준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와 상관없이 미리 알려진 공통된 특징인 피쳐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무선 통신 단말은 외부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통신 표준에 대응하는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일례로, 피쳐는 802.11 계열의 통신 표준을 만족하는 무선랜 신호에 포함된 프리앰블, OFDM 신호의 순환 전치(cyclic prefix) 또는 파일럿(pilo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2가지 형태의 피쳐를 설명한다. 무선 통신 신호(501)는 OFDM 신호의 예시로서,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는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와 같은 피쳐를 가지고 있다. OFDM 신호는 실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인 유효 심볼들 간의 간섭을 대처하기 위해 유효 심볼들 앞이나 뒤에 보호 구간이 삽입됨으로써 보호 구간 길이보다 짧은 지연을 가지는 지연 신호에 대한 간섭이 제거될 수 있다. 이 때, 보호 구간으로 순환 전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 신호(502)는 실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앞에 프리앰블과 같은 피쳐를 가지고 있다. 프리앰블은 일정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시퀀스가 반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프리앰블은 무선 통신에서 전송 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통신 표준에 따라 시퀀스 길이나 반복 구간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은 현재 장소에서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를 검색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단말은 통신 표준에 따른 피쳐를 검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머블(programmable)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무선 통신 단말은 시간 도메인에서 알고 있는 시퀀스를 검출하기 위해 교차 상관(Cross-correlator)과 같은 수학적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 단말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프리앰블이나 파일럿 또는 순환 전치 등을 검출하기 위해 자동 상관(auto-correlator)과 같은 수학적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나타나는 피쳐를 탐지하기 위해 시간 도메인의 무선 통신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기 위한 FFT(Fast Fourier Transform)과 같은 수학적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쳐를 탐지하기 위해, 무선 통신 단말은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통신 표준에 대응하는 피쳐를 미리 읽을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피쳐(f)(601)는 반복적인 시퀀스로 구성된 프리앰블을 나타낸다. 무선 통신 단말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피쳐(601)를 미리 읽을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단말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모든 통신 표준과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피쳐를 읽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피쳐를 읽을 수 있다. 통신 표준과 통신 사업자에 따라 프리앰블의 길이나 시퀀스의 개수, 길이 등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 단말은 무선 통신 신호(s)(602)에서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일례로, 무선 통신 단말은 무선 통신 신호(602)와 피쳐(601)를 자동 상관할 수 있다. 이 때, 피쳐(601)인 프리엠블을 구성하는 각 시퀀스의 경계에 대응하는 시간(tm1~tm6)마다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상관값(603)이 피크 형태로 주기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그러면, 무선 통신 단말은 피크 형태의 상관값(603)이 도출되는 것을 고려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가 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자동상관 방식에 따라 시퀀스의 반복 주기 및 개수 등이 달라 질 수 있으며, 하나의 큰 피크(peak)가 도출되도록 상관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통신 단말은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를 탐지하기 위해 특정 주파수 대역의 현재 채널에서 임계값을 초과하는 상관값(603)이 도출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은 피쳐에 대해 현재 채널에서 임계값을 초과하는 상관값(603)이 도출되지 않으면, 현재 채널과 주파수가 변경된 다른 채널에서 피쳐를 탐지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의 모든 채널에서 피쳐가 탐지되지 않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단말이 어느 하나의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피쳐를 읽었고, 모든 주파수 대역과 채널에서 무선 통신 신호로부터 피쳐가 탐지되지 않은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새로운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피쳐를 읽어서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모뎀을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모뎀 선택부(701)는 현재 통신 모뎀이 하드웨어적으로 구분된 복수의 모뎀들(모뎀 1~모뎀 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뎀 선택부(701)는 무선 통신 신호에서 탐지한 피쳐에 따라 모뎀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피쳐는 통신 표준에 대응하므로, 모뎀 1~모뎀 N도 통신 표준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7의 모뎀 선택부(702)는 현재 통신 모뎀이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되어 복수의 모뎀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가 탐지되면, 모뎀 선택부(702)는 피쳐와 관련된 통신 표준에 매칭되도록 모뎀의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무선 통신 단말은 수신 가능한 모든 통신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장소에서 접속 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인지하기 위해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피쳐를 미리 읽은 후 현재 장소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를 탐지함으로써 피쳐에 따라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뎀을 설정하여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현재 장소에서 접속 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보다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수학적 연산이 방지됨으로써 무선 통신 단말의 전력 소모도 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무선 통신 단말
101~104: 통신 네트워크

Claims (14)

  1. 무선 통신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통신 사업자 또는 통신 표준과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읽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와 상기 피쳐 사이에 상관을 수행하여 상관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관값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피쳐를 탐지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가 탐지되는 경우, 탐지된 피쳐에 대응하는 통신 모뎀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통신 모뎀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읽는 단계는,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프리앰블(preamble), 파일럿 또는 순환 전치(cyclic prefix)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읽는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를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서 미리 알려진 공통된 특징을 나타내는 피쳐를 탐지하는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이미 알고있는 시퀀스를 검출하기 위한 교차 상관, 반복적인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자동 상관 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피쳐를 탐지하기 위한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연산을 수행하여 상관값을 계산하는,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를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은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피쳐들 중 어느 하나의 피쳐가 탐지될 때까지, 주파수 대역을 구성하는 채널을 변경하거나 또는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를 탐지하는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를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은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피쳐가 탐지되지 않으면,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피쳐가 탐지될 때까지, 주파수 대역을 구성하는 채널을 변경하거나 또는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를 탐지하고,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피쳐가 탐지되지 않으면, 새로운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피쳐를 탐지하는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된 피쳐에 대응하는 통신 모뎀을 선택하는 단계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복수의 통신 모뎀들 중 상기 피쳐와 관련된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통신 모뎀을 선택하거나 또는
    피쳐와 관련된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그램을 변경하여 통신 모뎀을 구현하는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
  8.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통신 사업자 또는 통신 표준과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읽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와 상기 피쳐 사이에 상관을 수행하여 상관값을 결정하고, 상기 상관값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피쳐를 탐지하는 피쳐 탐지부;
    상기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가 탐지되는 경우, 탐지된 피쳐에 대응하는 통신 모뎀을 선택하는 모뎀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통신 모뎀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통신 네트워크 설정부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 탐지부는,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프리앰블(preamble), 파일럿(pilot) 또는 순환 전치(cyclic prefix)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신호의 피쳐를 읽는 무선 통신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 탐지부는,
    상기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서 미리 알려진 공통된 특징을 나타내는 피쳐를 탐지하는 무선 통신 단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 탐지부는,
    이미 알고있는 시퀀스를 검출하기 위한 교차 상관, 반복적인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자동 상관 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피쳐를 탐지하기 위한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연산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단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 탐지부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은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피쳐들 중 어느 하나의 피쳐가 탐지될 때까지, 주파수 대역을 구성하는 채널을 변경하거나 또는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를 탐지하는 무선 통신 단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 탐지부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은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피쳐가 탐지되지 않으면,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피쳐가 탐지될 때까지, 주파수 대역을 구성하는 채널을 변경하거나 또는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여 무선 통신 신호에서 피쳐를 탐지하고,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피쳐가 탐지되지 않으면, 새로운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피쳐를 탐지하는 무선 통신 단말.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선택부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복수의 통신 모뎀들 중 상기 피쳐와 관련된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통신 모뎀을 선택하거나 또는
    피쳐와 관련된 통신 표준 또는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그램을 변경하여 통신 모뎀을 구현하는 무선 통신 단말.
KR1020130144857A 2012-11-26 2013-11-26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 KR102133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10806 WO2014081272A1 (ko) 2012-11-26 2013-11-26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
US14/647,300 US9848377B2 (en) 2012-11-26 2013-11-26 Communication network set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4349 2012-11-26
KR1020120134349 2012-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932A KR20140067932A (ko) 2014-06-05
KR102133044B1 true KR102133044B1 (ko) 2020-07-13

Family

ID=5112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857A KR102133044B1 (ko) 2012-11-26 2013-11-26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48377B2 (ko)
KR (1) KR1021330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5740A1 (en) * 2004-09-16 2008-07-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ast Context Establishment for Interworking in Heterogeneous Network
US20080181155A1 (en) * 2007-01-31 2008-07-3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etect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ignals using a low power receiver
US20100309051A1 (en) * 2008-03-31 2010-12-09 Mehran Moshfeghi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2600A (en) 1998-11-23 2000-04-18 Motorola, Inc. Software programmable radio and method for configuring
US6937877B2 (en) 2000-12-21 2005-08-30 General Electric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asset employing dynamic configuration of a software defined radio
JP2002199451A (ja) 2000-12-26 2002-07-12 Sharp Corp ソフトウェア無線端末
KR100668651B1 (ko) * 2004-10-25 2007-0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dma 모드, wcdma 모드 및 와이브로 모드에서동시에 동작하는 mm-mb단말기 및 시스템
KR100728641B1 (ko) 2006-06-20 2007-06-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지 단말, 이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43736B1 (ko) 2007-11-20 2010-02-23 주식회사 케이티 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멀티모드 멀티밴드단말기
ATE539547T1 (de) 2008-07-09 2012-01-15 Ericsson Telefon Ab L M Modemvorrichtung für ein modulares drahtloses kommunikationssystem
US8045576B2 (en) * 2008-10-14 2011-10-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manage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evices
KR20100066620A (ko) 2008-12-10 201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모드 단말에서 무선접속기술 간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00104017A (ko) 2009-03-16 201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지무선시스템에서 신호검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79928B1 (ko) 2009-12-17 2011-11-04 한국과학기술원 클러스터 기반의 협력 센싱을 위한 무선 인지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1133263B1 (ko) 2009-12-31 2012-04-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인지라디오 시스템을 위한 적응 감지 스케줄링방법
KR101090576B1 (ko) 2010-02-18 2011-12-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인지 시스템에서 마코프 모델을 이용한 가중치 할당 협력 스펙트럼 센싱 방법
KR101141888B1 (ko) 2010-05-24 2012-05-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인지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85116B1 (ko) 2010-12-24 2017-10-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뎀 하드웨어에 독립적인 라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단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5740A1 (en) * 2004-09-16 2008-07-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ast Context Establishment for Interworking in Heterogeneous Network
US20080181155A1 (en) * 2007-01-31 2008-07-3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etect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ignals using a low power receiver
US20100309051A1 (en) * 2008-03-31 2010-12-09 Mehran Moshfeghi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48377B2 (en) 2017-12-19
KR20140067932A (ko) 2014-06-05
US20150305052A1 (en)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6076B1 (en) Multi transmit antenna synchronization channel transmission cell id detection
US8971305B2 (en) Pseudo-random sequence mapp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RU2734100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EP34871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itial access signal
US200700917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super 3g cell search
KR102614082B1 (ko) 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
US104052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EP3258620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erforming duplex mode detection
US8676137B2 (en) Mobile wireless terminal, a method of measuring signal strength of a received signal, and a method of searching for a base station
Zhang et al. Performance of 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based physical layer in vehicular communications
EP3249824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0523486B2 (en)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node for multi-carrier system
CN110100419B (zh) 在nr中隐式指示系统信息的方法
CN110089062B (zh) 基于Golay序列的参考信号构造
US882439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133044B1 (ko)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
US20150063090A1 (en) Method for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6015782A1 (en) Sub-band allocation signaling in a non-contiguous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Dikmese et al.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energy detection for non-flat spectral characteristics
EP3001624A1 (en) Choice of fourier transformation size, filter length and guard time in 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CN114759950B (zh) 信号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和介质
KR20190035610A (ko)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KR20070120382A (ko) 부호 변조된 복수의 동기화 심벌을 이용한 정보 송수신방법, 상기 방법을 지원하는 송신기, 수신기 장치 및이동통신 시스템
WO2014081272A1 (ko)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방법
KR101210602B1 (ko) 파일럿 부반송파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