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610A -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610A
KR20190035610A KR1020187034125A KR20187034125A KR20190035610A KR 20190035610 A KR20190035610 A KR 20190035610A KR 1020187034125 A KR1020187034125 A KR 1020187034125A KR 20187034125 A KR20187034125 A KR 20187034125A KR 20190035610 A KR20190035610 A KR 20190035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channel
channel
subcarriers
bandwidth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5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8Power saving in modem or I/O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W72/0413
    • H04W72/042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 -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또는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의해 결정됨 - 하는 단계; 이 제 1 기기가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을 통해 제 2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이 제 2 기기가 이 타겟 채널을 통해 송신한 신호를 수신 - 이 제 1 기기 및 이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단말 기기임 -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의 발전에 따라 서비스 수요량이 부단히 증가하고 서비스 요구 종류도 부단히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의 네트워크 표준 통신 프로토콜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가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통일적인 대역폭 또는 서브 캐리어 수를 채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므로 부동한 폭의 스펙트럼 대역폭을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고 자원이 낭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는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신호 전송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고,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또는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의해 결정되는 단계;
이 제 1 기기가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을 통해 제 2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이 제 2 기기가 이 타겟 채널을 통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고, 여기서 이 제 1 기기 및 이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단말 기기인 단계; 를 포함한다.
제 1 양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1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타겟 채널은 단말 기기에 의해 액세스되는 채널이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2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타겟 채널은 동기 채널, 랜덤 액세스 채널 또는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이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3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신호는 다운링크 신호이며,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또는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이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4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신호는 업링크 신호이며,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상이며, 및/또는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상이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5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또한 상기 제 2 기기도 단말 기기이며,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 / 또는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이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6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단말 기기의 부동한 레벨 및 / 또는 타입에 대응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7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제 2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이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이 제 1 기기가 이 제 2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8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제 1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이며, 이 방법은,
이 제 1 기기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9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제 2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이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이 제 1 기기가 이 제 2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10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제 1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이며, 이 방법은,
이 제 1 기기가 부동한 레벨 및 / 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11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이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이 제 1 기기가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이 제 1 기기가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12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이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기 전에, 이 방법은,
이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제 1 지시 정보는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에 대해 이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13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이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이 제 1 기기가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14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이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기 전에, 이 방법은,
이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제 2 지시 정보는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에 대해 이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15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서 타겟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이 타겟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 선택 가능한 실현 형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신호 전송 기기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 신호 전송 기기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현 형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구한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신호 전송 기기가 제공되며, 상기 기기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이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고, 이 프로세서는 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이 프로세서가 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실행할 때, 이 실행에 의해 이 프로세서가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 선택 가능한 실현 형태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기록매체가 제공되며, 이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 선택 가능한 실현 형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제 1 양태에 언급된 제 1 기기 및 제 2 기기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의 대역폭 또는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결정되고, 통일적인 대역폭 또는 서브 캐리어 수를 채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부동한 폭의 스펙트럼 자원을 충분히 이용하여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고, 나아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해 부동한 서브 캐리어 수 및/또는 대역폭을 설계할 수 있으며, 자원 낭비를 피하는 동시에 단말 기기의 전송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더욱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또는 종래 기술의 서술에 필요한 도면에 대하여 간단하게 소개한다. 물론 하기 서술 중의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기 때문에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행위를 하지 않은 전제 하에서 이러한 도면을 바탕으로 기타 도면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기기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기기의 개략 블록도이다.
하기에 본 발명 실시예의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물론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부가 아니다. 본 발명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행위를 하지 않고 획득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본 발명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각 양태 또는 특징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품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 "제품"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자기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 광 디스크(예를 들어, CD(Compact Disk, 컴팩트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k,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버 등)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록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기 및/또는 기타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표시하고 있다. 용어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무선 채널 및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함유 및/또는 담지할 수 있는 다양한 기타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어드밴스드 롱텀 에볼루션(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5G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와의 통신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단말 기기 투 단말 기기(Device to Device, D2D)의 통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GSM 또는 CDMA에 있어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WCDMA에 있어서의 기지국(NodeB)일 수도 있으며, LTE에 있어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ved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5G에 있어서의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기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련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다.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유닛, 사용자 국, 이동국, 모바일 스테이션, 원격 국, 원격 단말기,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 등으로 불리울 수 있다. 단말 기기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s, 무선 LAN)에 있어서의 ST(STAION 스테이션)일 수도 있고, 휴대 전화, 무선 전화기,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세션 설정 프로토콜) 전화, WLL(Wireless Local Loop, 무선 로컬 루프) 국,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정보 단말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기기, 계산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기타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진화의 PLMN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단말 기기 등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기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s, 무선 LAN)에 있어서의 AP(ACCESS POINT, 액세스 포인트), GSM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부호 분할 다중 접속)에 있어서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일 수도 있고, WCDMA에 있어서의 NB(NodeB, 기지국)일 수도 있으며, LTE(Long Term Evolution, 롱텀 에볼루션)에 있어서의 eNB 또는 eNodeB(Evolutional Node B, 진화형 기지국), 또는 중계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기기 또는 미래 진화의 PLMN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서브 캐리어 간격, 특정 대역폭에서의 서브 캐리어 수,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에 있어서의 서브 캐리어 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부호의 길이, 예를 들어,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또는 역 푸리에 변환, 예를 들어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과 같은 OFDM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푸리에 변환 점수, 전송 시간 간격 TTI에 있어서의 OFDM 부호 수, 특정 시간 길이 내에 포함되는 TTI 수 및 신호 프리픽스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캐리어 간격은 인접한 서브 캐리어의 주파수 간격이며, 예를 들어 15kHz, 60kHz 등이고, 특정 대역폭에서의 서브 캐리어 수는 예를 들어 각각의 가능한 시스템 대역폭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수이며, P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 수는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12의 정수배일 수 있고, TTI에 포함되는 OFDM 부호 수는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14의 정수배일 수 있으며, 일정한 시간 단위 내에 포함되는 TTI 수는 1ms 또는 10ms의 시간 길이 내에 포함되는 TTI 수를 가르킬수 있으며, 신호 프리픽스 길이는 예를 들어 신호의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시간 길이, 또는 사이클릭 프리픽스에 일반 CP를 사용하는 가 확장 CP를 사용하는 가에 관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100)의 개략 흐름도이다. 이 방법(100)은 타겟 채널을 이용한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제 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으며, 또는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제 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으며, 또는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제 2 기기도 단말 기기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방법(100)은 110 및 120를 포함한다.
110에 있어서,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고,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또는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결정되며,
120에 있어서, 이 제 1 기기가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을 통해 제 2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이 제 2 기기가 이 타겟 채널을 통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고, 여기서 이 제 1 기기 및 이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단말 기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의 대역폭 또는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결정되고, 통일적인 대역폭 또는 서브 캐리어 수를 채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부동한 폭의 스펙트럼 자원을 충분히 이용하여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고, 나아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해 부동한 서브 캐리어 수 및/또는 대역폭을 설계할 수 있으며, 자원 낭비를 피하는 동시에 단말 기기의 전송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타겟 채널은 단말 기기에 의해 액세스되는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에 의해 액세스되는 채널은 타겟 채널이 동기 채널, 랜덤 액세스 채널 또는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언급된 타겟 채널은 단말 기기에 의해 액세스되는 채널 이외에 또한 다른 채널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동한 채널 타입에 대응하는 대역폭 및/또는 서브 캐리어 수의 범위는 부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신호는 업링크 신호 또는 다운링크 신호일 수 있다.
일 실현 형태에서, 이 신호가 다운링크 신호인 경우,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또는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이다.
이 실현 형태에서는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제 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단말 기기는 이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또는 이 실현 형태에서는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고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이 단말 기기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다른 실현 형태에서, 이 신호는 업링크 신호이며,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상이며, 및/또는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상이다.
이 실현 형태에서는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고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네트워크 기기는 이 단말 기기가 송신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또는, 이 실현 형태에서는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제 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단말 기기는 이 네트워크 기기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신호는 또한 D2D 신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송신한 디스커버리(discovery) 신호일 수 있으며, 다른 단말 기기의 액세스를 위해 사용된다.
이 실현 형태에서는 상기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또한 상기 제 2 기기도 단말 기기이며,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한다.
즉, 어느 하나의 채널 타입을 복수의 채널로 구분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나아가 자원 낭비를 피하고 부동한 타입 및/또는 레벨의 단말 기기의 전송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브로드 캐스트, 멀티 캐스트 또는 독점 신호 방식에 따라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대역 폭 또는 서브 캐리어 간격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 및/또는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 또는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는 하나의 수치만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유한 수치를 포함하는 집합일 수도 있으며, 또는 무한 수치를 포함하는 하나의 집합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기기는 타겟 채널의 대역폭과 연합하여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기 위해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서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 Nsc,i = BWac / fsc,i 에 따라 서브 캐리어 수 Nsc,i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BWac는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며, fsc,i는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기기는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와 연합하여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기 위해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서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 BWac,i = fsc,j * Nsc,i 에 따라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fsc,j는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며, Nsc,i는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기기는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서 타겟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하고 타겟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2 기기를 단말 기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의 타겟 채널(업링크 신호, 다운링크 신호 또는 D2D 신호를 송신함)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가 아래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신호가 다운링크 신호인 경우,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또는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이다. 신호가 업링크 신호인 경우,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상이며, 및/또는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상이다. 신호가 D2D 신호인 경우,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 / 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 또는 단말 기기일 수 있으며,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인 경우,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의 통신은 D2D 통신으로 불리울 수 있다.
일 실현 형태에서, 이 제 1 기기는 이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고,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채널 대역폭에 따라 타겟 채널을 통해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이 실현 형태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인 경우, 제 1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통지에 따라 이 제 2 기기와 통신할 필요가 있을 때 제 2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을 판단하고 이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이 네트워크 기기는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하고, 어느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와 신호 전송을 진행할 때 이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탐색할 수 있다.
다른 실현 형태에서, 이 제 1 기기는 이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고,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채널 대역폭에 따라 타겟 채널을 통해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이 실현 형태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인 경우, 제 1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통지에 따라 이 제 2 기기와 통신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을 판단하고 이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이 네트워크 기기는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하고, 어느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신호 전송을 진행할 때 이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탐색할 수 있다.
이하, 제 1 기기를 단말 기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의 타겟 채널(업링크 신호, 다운링크 신호 또는 D2D 신호를 송신함)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가 아래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신호가 다운링크 신호인 경우,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또는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이다. 신호가 업링크 신호인 경우,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상이며, 및/또는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상이다. 신호가 D2D 신호인 경우,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 또는 단말 기기일 수 있으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인 경우,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의 통신은 D2D 통신으로 불리울 수 있다.
일 실현 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고,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채널 대역폭에 따라 타겟 채널을 통해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이 실현 형태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통지에 따라 제 1 채널 타입의 자신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채널 대역폭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현 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고,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채널 대역폭에 따라 타겟 채널을 통해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이 실현 형태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통지에 따라 제 1 채널 타입의 자신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수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의 대역폭 또는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결정되고, 통일적인 대역폭 또는 서브 캐리어 수를 채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부동한 폭의 스펙트럼 자원을 충분히 이용하여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고, 나아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해 부동한 서브 캐리어 수 및/또는 대역폭을 설계할 수 있으며, 자원 낭비를 피하는 동시에 단말 기기의 전송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기기(200)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기기(200)는 처리 유닛(210) 및 송수신 유닛(220)을 구비한다. 이 기기(200)는 제 1 기기로 불리울수 있다.
여기서, 처리 유닛(210)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또는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결정되며,
송수신 유닛(220)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을 통해 제 2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이 제 2 기기가 이 타겟 채널을 통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이 기기(200) 및 이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단말 기기이다.
선택적으로, 이 타겟 채널은 단말 기기에 의해 액세스되는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이 타겟 채널은 동기 채널, 랜덤 액세스 채널 또는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이 신호는 다운링크 신호이며,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또는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이다.
선택적으로, 이 신호는 업링크 신호이며,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상이며, 및/또는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상이다.
선택적으로, 이 신호는 또한 D2D 신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송신한 디스커버리(discovery) 신호일 수 있으며, 다른 단말 기기의 액세스를 위해 사용된다.
이 실현 형태에서는 기기(200)는 단말 기기이며, 또한 상기 제 2 기기도 단말 기기이며,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이다.
선택적으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단말 기기의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이 제 2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이 처리 유닛(210)은 구체적으로,
이 제 2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이 기기(200)는 네트워크 기기이며, 이 송수신 유닛(220)은 또한,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이 제 2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이 처리 유닛(210)은 구체적으로,
이 제 2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이 기기(200)는 네트워크 기기이며, 이 송수신 유닛(220)은 또한,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이 기기(200)는 단말 기기이며, 이 처리 유닛(210)은 또한,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이 기기(200)는 단말 기기이며, 이 송수신 유닛(220)은 또한,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이 제 1 지시 정보는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에 대해 이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이 기기(200)는 단말 기기이며,
이 처리 유닛(210)은 또한,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이 기기(200)는 단말 기기이며, 이 송수신 유닛(220)은 또한,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이 제 2 지시 정보는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에 대해 이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이 처리 유닛(210)은 구체적으로,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서 타겟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결정하고,
이 타겟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 기기(200)는 방법(100)에 있어서의 제 1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 방법(100)에 있어서의 제 1 기기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하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기기(300)의 개략 블록도이다. 이 기기(300)는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및 송수신기(330)를 구비한다. 메모리(320)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할 수 있다. 송수신기(330)는 외부와 통신하는 데 사용되며, 선택적으로, 기기(300)는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및 송수신기(330)를 상호 연결하는 버스 시스템(340)을 더 구비한다. 이 기기는 제 1 기기로 불리울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호출하여 하기의 조작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고,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또는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결정되며,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에 따라 송수신기(330)를 이용하여이 타겟 채널을 통해 제 2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이 제 2 기기가 이 타겟 채널을 통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고, 여기서 이 제 1 기기 및 이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단말 기기이다.
선택적으로, 이 타겟 채널은 단말 기기에 의해 액세스되는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이 타겟 채널은 동기 채널, 랜덤 액세스 채널 또는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이 신호는 다운링크 신호이며,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또는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이다.
선택적으로, 이 신호는 업링크 신호이며,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상이며, 및/또는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이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상이다.
선택적으로, 이 신호는 또한 D2D 신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송신한 디스커버리(discovery) 신호일 수 있으며, 다른 단말 기기의 액세스를 위해 사용된다.
이 실현 형태에서는 기기(200)는 단말 기기이며, 또한 상기 제 2 기기도 단말 기기이며,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이다.
선택적으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이 제 2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호출하여 하기의 조작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이 제 2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이 제 1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이며,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호출하여 하기의 조작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송수신기(330)를 이용하여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하고,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이 제 2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호출하여 하기의 조작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이 제 2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이 제 1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이며,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호출하여 하기의 조작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송수신기(330)를 이용하여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하고,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이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호출하여 하기의 조작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호출하여 하기의 조작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송수신기(33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제 1 지시 정보는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에 대해 이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이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호출하여 하기의 조작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이 제 1 기기가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고,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이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이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호출하여 하기의 조작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이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제 2 지시 정보는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에 대해 이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이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이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호출하여 하기의 조작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서 타겟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결정하고,
이 타겟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이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한다.
이 기기(300)는 방법(100)에 있어서의 제 1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 방법(100)에 있어서의 제 1 기기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하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에 언급된 임의의 제 1 기기 및 제 2 기기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실행되는지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상의 제약 조건에 의존한다. 당업자라면 특정 용도에 따라 부동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재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아니 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전술한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해당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공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으도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에 따른 구분이며, 실제로 실현할 때는 기타 구분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가 조합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도 있으며, 혹은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나타내거나 설명된 상호간의 결합 또는 직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도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도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으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의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고, 또한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공헌한 부분 또는 이 기술 방안의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며, 한 대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에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록 매체는 USB 메모리, 모바일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가능한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대체를 용이하게 구상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32)

  1.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 -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 또는 서브 캐리어 수는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의해 결정됨 - 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을 통해 제 2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제 2 기기가 상기 타겟 채널을 통해 송신한 신호를 수신 - 상기 제 1 기기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단말 기기임 -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채널은 단말 기기에 의해 액세스되는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채널은 동기 채널, 랜덤 액세스 채널 또는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다운링크 신호이며,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업링크 신호이며,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상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또한 상기 제 2 기기도 단말 기기이며,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상기 제 1 채널 타입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단말 기기의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상기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2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제 1 기기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상기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상기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2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제 1 기기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상기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상기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 -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에 대해 상기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수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상기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상기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 1 기기가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 -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에 대해 상기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상기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8항, 제10항, 제12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서 타겟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 기기인 신호 전송 기기에 있어서,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 -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 또는 서브 캐리어 수는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의해 결정됨 - 하는 데 사용 되는 처리 유닛;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수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을 통해 제 2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제 2 기기가 상기 타겟 채널을 통해 송신한 신호를 수신 - 상기 제1 기기 및 상기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단말 기기임 - 하는 데 사용 되는 송수신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채널은 단말 기기에 의해 액세스되는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채널은 동기 채널, 랜덤 액세스 채널 또는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다운링크 신호이며,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1.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업링크 신호이며,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상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2.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또한 상기 제 2 기기도 단말 기기이며,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은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는 상기 타겟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캐리어 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3.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상기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단말 기기의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4. 제17항 내지 제19항 및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5. 제17항 내지 제19항, 제23항 및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고, 상기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6. 제17항 내지 제19항 및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7. 제17항 내지 제19항, 제23항 및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가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을 사용할 때 채용하는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통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상기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8. 제17항 내지 제19항 및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이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 및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9. 제17항 내지 제19항, 제23항 및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에 대해 상기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상기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0. 제17항 내지 제19항 및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가 취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 및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타겟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1. 제17항 내지 제19항. 제23항 및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제 1 채널 타입의 채널에 대해 상기 단말 기기의 레벨 및/또는 타입에 대응하는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타겟 채널은 제 1 채널 타입에 속하며, 상기 제 1 채널 타입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부동한 채널은 부동한 레벨 및/또는 타입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2. 제24항, 제26항, 제28항 및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서 타겟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상기 타겟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KR1020187034125A 2016-07-26 2016-07-26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KR201900356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91722 WO2018018418A1 (zh) 2016-07-26 2016-07-26 信号传输方法和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610A true KR20190035610A (ko) 2019-04-03

Family

ID=6101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125A KR20190035610A (ko) 2016-07-26 2016-07-26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939436B2 (ko)
EP (1) EP3468053B1 (ko)
JP (1) JP7010849B2 (ko)
KR (1) KR20190035610A (ko)
CN (2) CN109075823B (ko)
HK (1) HK1258813A1 (ko)
TW (1) TWI729165B (ko)
WO (1) WO2018018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0371B (zh) * 2020-10-15 2023-12-19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面向垂直行业专网的5g网络容量配置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9840B2 (en) 2001-11-30 2005-04-12 M2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QoS-based joint rate and power control algorithm in multi-rate wireless systems
US7889761B2 (en) * 2002-09-17 2011-02-1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andwidth allocation and sharing in a hybrid wired/wireless network
EP1816666B1 (en) 2004-10-29 2016-02-03 Fujitsu Ltd. Communication device by multicarrier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CN1866999A (zh) 2005-11-08 2006-11-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缝发送功率调整方法及系统
CN101164351B (zh) * 2006-03-03 201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系统中用户设备接入的方法
CN100473225C (zh) 2006-04-30 2009-03-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不对称带宽能力的无线网络接入系统的资源分配方法
US8390325B2 (en) * 2006-06-21 2013-03-05 Element Cxi, Llc Reconfigurable integrated circuit architecture with on-chip configuration and reconfiguration
JP2010508730A (ja) * 2006-10-26 2010-03-18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ビーコン・シンボル直交化
WO2008056425A1 (fr) * 2006-11-10 2008-05-15 Fujitsu Limited Système de communication sans fil et dispositif terminal sans fil
KR101321191B1 (ko) * 2007-03-29 2013-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품질정보 전송방법
CN101686552B (zh) 2008-09-22 2012-04-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物理资源块调度的方法和装置
ES2356002B1 (es) 2008-12-29 2012-02-27 Vodafone España, S.A.U. Método y sistema para optimizar el ancho banda en una red de comunicación lte/gsm.
US20100260108A1 (en) 2009-04-13 2010-10-14 Qualcomm Incorporated Setting up a reverse link data transmi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5706449B2 (ja) 2010-02-11 2015-04-22 ノキア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ド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コンポーネントキャリアの指定
CN102625464A (zh) 2011-03-31 2012-08-01 北京新岸线无线技术有限公司 用于接入无线网络的方法及装置
KR102040712B1 (ko) * 2011-06-01 2019-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통신 채널 할당 및 전력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ES2645918T3 (es) 2011-07-22 2017-12-11 Intel Corporation Coordinación de la interferencia intercelda en redes inalámbricas
TWI478539B (zh) 2012-08-17 2015-03-21 Syscom Comp Engineering Co Automatically adjust the data throughput of the operation module and its methods
US8886846B2 (en) * 2012-11-07 2014-11-11 Ati Technologies Ulc Flexible implementation of serial bus support over display interface
CN104838613B (zh) 2012-12-03 2018-11-09 索尼公司 到减小的带宽的终端的控制信息的传输
CN104602349B (zh) 2013-10-31 2020-01-03 索尼公司 载波分配装置和方法、以及终端
US9432161B2 (en) * 2014-09-08 2016-08-30 Viasat, Inc. Shared channel resource allocation
FI3281440T3 (fi) * 2015-04-09 2023-12-07 Apple Inc Signalointi komponenttikantoaaltokohtaiselle parannetulle mittausvälikonfiguraatiolle
EP3387778B1 (en) * 2015-12-08 2020-11-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lace pattern selection for low cm/papr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28705B2 (en) 2022-12-13
HK1258813A1 (zh) 2019-11-22
TW201804752A (zh) 2018-02-01
EP3468053A1 (en) 2019-04-10
CN109075823B (zh) 2021-04-23
EP3468053B1 (en) 2023-07-19
JP7010849B2 (ja) 2022-01-26
US20210160874A1 (en) 2021-05-27
WO2018018418A1 (zh) 2018-02-01
JP2019530259A (ja) 2019-10-17
EP3468053A4 (en) 2019-06-12
TWI729165B (zh) 2021-06-01
CN113038540A (zh) 2021-06-25
US10939436B2 (en) 2021-03-02
CN109075823A (zh) 2018-12-21
US20200163087A1 (en)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3357B2 (ja) フレキシブルなリソース使用状況のための方法
EP35578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KR102221648B1 (ko)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14051265B (zh) 同步信号的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
KR20190035765A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전송 기기
TWI764919B (zh) 傳輸信號的方法和裝置
EP2647251B1 (en) Implicit resource allocation using shifted synchronization sequence
JP6918929B2 (ja) 信号伝送方法及び装置
JP7429675B2 (ja) 情報伝送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端末機器
CN109150461B (zh) 一种发送解调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解调方法和装置
CN109391578B (zh) 信号发送方法、信号接收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KR20190099214A (ko)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JP2019521539A (ja) 信号伝送方法、ネットワーク設備及び端末設備
US11528705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09417781B (zh) 传输数据的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10172131B2 (en) Network nodes and methods for enabling access to a radio network node
JP2023501772A (ja) 方法、及び、端末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