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934B1 -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 - Google Patents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934B1
KR102132934B1 KR1020200009274A KR20200009274A KR102132934B1 KR 102132934 B1 KR102132934 B1 KR 102132934B1 KR 1020200009274 A KR1020200009274 A KR 1020200009274A KR 20200009274 A KR20200009274 A KR 20200009274A KR 102132934 B1 KR102132934 B1 KR 102132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lamp
nacelle
wind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용
김정환
임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풍
Priority to KR102020000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03D80/88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of mechanical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96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o prevent, counteract or reduce noise e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02E10/722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의 방향에 따라 바람을 맞이하는 자세로 선회하며 바람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풍력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는 지표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타워부, 상기 타워부 일측에 설치된 나셀부 및 상기 나셀부의 허브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로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셀부는 상기 로터부의 블레이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 허브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속도를 발전기에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속도로 증속하기 위하여 형성된 증속기와, 상기 허브와 증속기는 회전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허브와 증속기 사이에 형성되며 양측에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양측 관통홀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상기 발전기에 형성된 하우징 양측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을 상기 나셀부의 하부프레임에 각각 고정시키는 방진 클램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진 클램프는 한 쌍의 제1 방진 클램프와 제2 방진 클램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진 클램프와 제2 방진 클램프는 연결프레임 외주면을 폭방향을 따라 일부분 둘러싸도록 상하 배치되어 볼트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외주면과 제1 방진 클램프와 제2 방진 클램프 사이에 방진마운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A Vibration Reduced Wind Turbines}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허브, 발전기 등을 포함하는 회전부재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전달을 저감시키면서 나셀 하부프레임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도록 방진 클램프를 구비한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기오염 및 미세먼지 등으로 친환경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한 발전장치의 한 종류인 풍력발전기는 블레이드, 나셀, 지지구조물(타워)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나셀의 내부에는 블레이드와 결합된 회전축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다수의 기계부품들이 포함되어 있다.
풍력발전기의 분류는 로터의 회전축 방향, 공력 이용방식, 운전 방식, 출력제어방식, 전력사용방식, 계통연계방식, 증속기 사용여부, 발전기 종류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로터의 회전축 방향에 따른 분류는 로터 축이 지면과 수평인 경우는 수평축 풍력발전기 (horizontal axis wind turbine)이며 로터 축이 지면에 수직인 경우는 수직축 풍력발전기 (vertical axis wind turbine)라고 한다.
또한, 풍력발전기는 대형풍력발전기와 소형풍력발전기로 구분될 수 있는데, 블레이드 길이의 제곱에 비례하여 동일한 조건에서도 많은 에너지를 얻기 위해 해안지역이나 산악지역과 같이 평균풍속이 큰 곳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블레이드 길이가 큰 대형풍력발전기의 형태를 띠고 있다. 소형풍력발전기의 경우에는 바람의 세기가 약한 미풍에서도 기동이 용이하도록 풍력터빈과 발전기를 설계하여야만 풍속이 낮은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발전이 가능하여 발전기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수평축 풍력발전기는 대형뿐만 아니라 소형으로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평 혹은 수직형 풍력 발전기는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인하여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어 설치지역이 제한되는 것 뿐만 아니라 기기 내부의 기계부품 사이에 안정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특허 제10-0904850호에는 수직형 풍력 발전기에 있어서,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수직형 풍력 발전기에 최적화된 에어포일 형상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채용한 것이 제안되어 있으며, 특허 제10-1137174호에는 풍력을 모집하는 포집구를 구비하여 소음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음 저감형 풍력 발전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도 회전부재의 진동이 나셀 내부에 형성된 부품들에 전달되어 발생되는 풍력발전기의 신뢰성(안전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KR 10-0904850 B KR 10-1137174 B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다수의 기계부품들이 나셀 하부프레임에 고정될 때 회전부재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나셀 하부프레임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방진 클램프를 구비한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진 클램프는 상부 방진 클램프와 하부 방진 클램프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 방진 클램프와 나셀의 하부 프레임을 볼트로 고정한 후 하부 방진 클램프 위에 상부 방진 클램프를 안착시켜 볼트로 고정하여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부품간의 체결력이 향상된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바람을 맞이하는 자세로 선회하며 바람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풍력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는 지표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타워부, 상기 타워부 일측에 설치된 나셀부 및 상기 나셀부의 허브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로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셀부는 상기 로터부의 블레이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 허브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속도를 발전기에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속도로 증속하기 위하여 형성된 증속기와, 상기 허브와 증속기는 회전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허브와 증속기 사이에 형성되며 양측에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베어링하우징와,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양측 관통홀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상기 발전기에 형성된 하우징 양측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을 상기 나셀부의 하부프레임에 각각 고정시키는 방진 클램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진 클램프는 한 쌍의 제1 방진 클램프와 제2 방진 클램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진 클램프와 제2 방진 클램프는 연결프레임 외주면을 폭방향을 따라 일부분 둘러싸도록 상하 배치되어 볼트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외주면과 제1 방진 클램프와 제2 방진 클램프 사이에 방진마운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진마운트는 한 쌍의 제1 방진마운트와 제2 방진마운트가 진동을 흡수하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방진마운트와 제2 방진마운트가 연결프레임 외주면을 폭방향을 따라 일부분에 밀착되도록 상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진마운트는 제1 방진 클램프가 연결프레임 외주면을 둘러싸는 가상의 연장선 보다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진마운트는 제2 방진 클램프가 연결프레임 외주면을 둘러싸는 가상의 연장선 보다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진 클램프는 상기 나셀부의 하부프레임에 안착되어 연결프레임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1 클램프 본체 및 상기 제1 클램프 본체의 양측에 연장된 플랜지 상에 하부체결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체결구가 형성된 제1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부체결볼트가 삽입되어 제1 방진 클램프와 제2 방진 클램프를 볼트 결합하도록 스크류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진 클램프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2 클램프 본체 및 상기 제2 클램프 본체의 양측에 연장된 플랜지 상에 상부체결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체결구가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하여, 본 발명은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다수의 기계부품들이 나셀 하부프레임에 고정될 때 회전부재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나셀 하부프레임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는 방진 클램프가 상부 방진 클램프와 하부 방진 클램프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 방진 클램프와 나셀의 하부 프레임을 볼트로 고정한 후 하부 방진 클램프 위에 상부 방진 클램프를 안착시켜 볼트로 고정하여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부품간의 체결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나셀부의 내부 세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하부프레임 모서리에 체결된 방진 클램프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E영역의 방진 클램프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방진 클램프의 결합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의 A-A'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5의 B-B'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100)는 타워부(110), 로터부(120) 및 나셀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100)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바람을 맞이하는 자세로 선회하며 바람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나셀부(130)의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기계부품들 사이에 진동의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100)는 타워부(110), 로터부(120) 및 나셀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100)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바람을 맞이하는 자세로 선회하며 바람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나셀부(130)의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기계부품들 사이에 진동의 전달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타워부(110)는 타워몸체(111), 회전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타워부(110)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부(122)가 지표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풍속에 의해 회전 효율이 높아지므로 타워몸체(111)에 의해 지표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타워몸체(111)의 일측은 육상, 해저면, 해상의 선박 또는 부유체 등에 고정되고, 타측은 나셀부(13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112)는 나셀부(130)가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로터부(120)는 나셀부(130)의 허브(131)와 함께 회전되는 발전기 콘(121)과 나셀부(130)의 허브(13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블레이드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부(122)는 발전기의 용량 및 용도에 따라 그 수가 가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발전기 콘(121)에 3개의 블레이드부(122)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블레이드부(122)는 풍력발전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나셀부(130)는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100)의 중심체로서 타워몸체(111)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 2는 도 1의 나셀부(130)의 내부 세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나셀부(130)는 발전기 콘(121)의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허브, 브레이크, 증속기 및 발전기 등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나셀부(130)는 허브(131), 베어링하우징(132), 증속기(133), 브레이크(134), 발전기(135), 하부프레임(136), 연결프레임(137A,137B), 방진 클램프부(141A, 141B, 141C, 141D)를 포함한다.
상기 허브(131)는 3개의 블레이드부(122)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블레이드(122)가 회전되면, 증속기(133)가 허브(131)와 발전기(135) 사이에 형성되어 블레이드(122)의 회전속도를 발전기(135)가 전력을 생산하기에 바람직한 속도로 증속한다. 상기 허브(131)와 증속기(133) 사이에 형성된 베어링하우징(132)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부재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고, 베어링하우징(132)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홀에 연결프레임(137A,137B)이 각각 삽입되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증속기(133)와 발전기(135)의 사이에 위치한 브레이크(134)는 회전속도 조정 혹은 수리작업시 블레이드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나셀부(130)의 내부에 형성된 부재들은 블레이드 회전축 상에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37A, 137B)이 베어링하우징(132)과 발전기(135)의 하우징(138)을 연결하여 각 부재들의 결합을 지지한다. 상기 연결프레임(137A, 137B)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나셀부(130)의 내부에 형성된 부재들은 하부프레임(136)의 각 모서리에 방진 클램프(141A, 141B, 141C, 141D)가 배치된다.
도 3은 도 2의 방진 클램프(141A, 141B, 141C, 141D)의 분해도이다. 상기 방진 클램프(141A, 141B, 141C, 141D)는, 도 3을 참조하면, 연결프레임(137A, 137B)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어 내부에 형성된 부재들을 나셀의 하부프레임(136)에 고정시킨다. 상기 방진 클램프(141A, 141B, 141C, 141D)는 한 쌍의 제1 방진 클램프(142A, 142B, 142C, 142D)와 제2 방진 클램프(143A, 143B, 143C, 143D)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방진 클램프(142A, 142B, 142C, 142D)는 내측면이 연결프레임(137A, 137B)의 외주면과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를들면, 제1 방진 클램프(142A, 142B, 142C, 142D)는 내측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프레임(137A, 137B)의 외주면을 지지하면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방진 클램프(141A, 141B, 141C, 141D)는 연결프레임(137A, 137B)과 사이에 제1 방진마운트(144A, 144B, 144C, 144D)와 제2 방진마운트(145A, 145B, 145C, 145D)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방진마운트(144A, 144B, 144C, 144D)와 제2 방진마운트(145A, 145B, 145C, 145D)는 진동을 흡수하는 탄성체인 방진고무로 형성되어 회전부재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전달을 저감 시킨다.
도 4는 도 2에서 E영역의 방진 클램프(141B)의 분해도이다. 하부프레임(136)의 각 모서리에 체결된 방진 클램프(141A, 141B, 141C, 141D)는 동일한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각 도면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진 클램프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클램프(141B)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방진 클램프(141B)는 제1 방진 클램프(142B) 및 제2 방진 클램프(143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방진 클램프(142B)는 나셀부의 하부프레임(136)에 안착되어 연결프레임(137A)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1 클램프 본체(1421B)와 제1 클램프 본체(1421B)의 양측에 연장된 플랜지 상에 하부체결볼트(B1)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체결구(147)가 형성된 제1 체결부(1422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1422B)는 상부체결볼트(B2)가 삽입되어 제1 방진 클램프(142B)와 제2 방진 클램프(143B)를 볼트 결합하도록 스크류홈(149)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방진 클램프(143B)는 연결프레임(137A)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2 클램프 본체(1431B) 및 상기 제2 클램프 본체(1431B)의 양측에 연장된 플랜지 상에 상부체결볼트(B2)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체결구(146)가 형성된 제2 체결부(1432B)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2의 방진 클램프의 결합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의 A-A'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5의 B-B'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방진 클램프(141B)는, 도6a를 참조하면, 하부 체결볼트(B1)가 볼트 체결구(147)에 삽입된 후 하부프레임(136)의 체결부(148)에 삽입되어 볼트결합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1 방진 마운트(144B)는 제1 방진 클램프(142B)의 내측면에 안착된다. 예를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진 클램프(142B)의 내측면이 반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이 반원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방진 마운트(144B)가 안착된다. 상기 제1 방진 마운트(144B)는 내측면에 연결프레임(137A)의 외주면 일부분(하부면)이 밀착되고, 연결프레임(137A)의 외주면 나머지 부분(상부면)에 제2 방진 마운트(145B)가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 방진 클램프(143B)는, 제2 방진 마운트(145B)의 상부에 안착된 후 상부 체결볼트(B2)가 제2 방진 클램프(143B)의 볼트 체결구(146)에 삽입된 후 제1 방진 클램프(142B)의 스크류홈(149)에 삽입되어 볼트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1 방진 마운트(144B)는 제1 방진 클램프(142B) 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방진 마운트(145B)는 제2 방진 클램프(143B) 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된 높이는 제2 방진 마운트(145B)의 끝단에서 연장된 가상의 선과 제2 방진 클램프(143B)의 제2체결부에서 연장된 가상의 선 사이의 간격(G)을 의미한다. 상기 제1 방진 마운트(144B) 역시 제1 방진 클램프(142B) 보다 돌출되는 간격(G)이 형성되기 때문에 도 6b에 도시된 간격(H)가 생긴다.
상기 간격(H)는 제1 방진 클램프(142B)와 제2 방진 클램프(143B)가 상부 체결볼트(B2)로 체결되어 고정되어도 제1 방진 마운트(144B), 연결프레임(137A)과 제2 방진 마운트(145B)가 맞닿아 있으므로 부품간의 결합력에는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진동저감형 발전기는 제1 방진 클램프(142B)와 제2 방진 클램프(143B)가 각각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체결과 해제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진동저감형 발전기(100)는 한쌍의 연결프레임(137A,137B)이 나셀 내부의 각 부재들의 결합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각 부재들의 하중과 진동을 제1 방진마운트(144A, 144B, 144C, 144D) 및 제2 방진마운트(145A, 145B, 145C, 145D)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1 방진마운트(144A, 144B, 144C, 144D) 및 제2 방진마운트(145A, 145B, 145C, 145D)는 탄성체인 방진고무로 형성되어 각 부재들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제1 방진 클램프(142A, 142B, 142C, 142D)와 나셀의 하부프레임(136)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
110: 타워부 120: 로터부
130: 나셀부
131: 허브 132: 베어링하우징
133: 증속기 134: 브레이크
135: 발전기 136: 하부프레임
137A,137B: 연결프레임
141A, 141B, 141C, 141D : 방진 클램프부
142A, 142B, 142C, 142D : 제1 방진 클램프
143A, 143B, 143C, 143D : 제2 방진 클램프
144A, 144B, 144C, 144D : 제1 방진마운트
145A, 145B, 145C, 145D : 제2 방진마운트

Claims (7)

  1. 바람의 방향에 따라 바람을 맞이하는 자세로 선회하며 바람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풍력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는 지표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타워부, 상기 타워부 일측에 설치된 나셀부 및 상기 나셀부의 허브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로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셀부는
    상기 로터부의 블레이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 허브;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속도를 발전기에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속도로 증속하기 위하여 형성된 증속기;
    상기 허브와 증속기는 회전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허브와 증속기 사이에 형성되며 양측에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베어링하우징;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양측 관통홀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상기 발전기에 형성된 하우징 양측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을 상기 나셀부의 하부프레임에 각각 고정시키는 방진 클램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진 클램프는 한 쌍의 제1 방진 클램프와 제2 방진 클램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진 클램프와 제2 방진 클램프는 연결프레임 외주면을 폭방향을 따라 일부분 둘러싸도록 상하 배치되어 볼트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외주면과 제1 방진 클램프와 제2 방진 클램프 사이에 방진마운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마운트는 한 쌍의 제1 방진마운트와 제2 방진마운트가 진동을 흡수하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방진마운트와 제2 방진마운트가 연결프레임 외주면을 폭방향을 따라 일부분에 밀착되도록 상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진마운트는 제1 방진 클램프가 연결프레임 외주면을 둘러싸는 가상의 연장선 보다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진마운트는 제2 방진 클램프가 연결프레임 외주면을 둘러싸는 가상의 연장선 보다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진 클램프는
    상기 나셀부의 하부프레임에 안착되어 연결프레임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1 클램프 본체 및
    상기 제1 클램프 본체의 양측에 연장된 플랜지 상에 하부체결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체결구가 형성된 제1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부체결볼트가 삽입되어 제1 방진 클램프와 제2 방진 클램프를 볼트 결합하도록 스크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진 클램프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2 클램프 본체 및
    상기 제2 클램프 본체의 양측에 연장된 플랜지 상에 상부체결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체결구가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
KR1020200009274A 2020-01-23 2020-01-23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 KR102132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274A KR102132934B1 (ko) 2020-01-23 2020-01-23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274A KR102132934B1 (ko) 2020-01-23 2020-01-23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934B1 true KR102132934B1 (ko) 2020-07-10

Family

ID=7160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274A KR102132934B1 (ko) 2020-01-23 2020-01-23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93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6274A (ja) * 1995-10-27 1997-05-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宇宙用機器の防振構造
JP3679896B2 (ja) * 1997-05-30 2005-08-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増速機の防振支持装置
KR100904850B1 (ko) 2009-02-20 2009-06-26 씨에이코리아(주)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를 가지는 수직형 풍력 발전기
KR101137174B1 (ko) 2010-05-28 2012-04-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음 저감형 풍력 발전장치
KR101268405B1 (ko) * 2011-03-07 2013-05-28 유니슨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직접 체결형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진동 저감장치
JP6272147B2 (ja) * 2014-05-30 2018-01-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風力発電装置
KR101907869B1 (ko) * 2018-07-18 2018-10-17 (주)다은 수밀성 파형강관을 이용한 저류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6274A (ja) * 1995-10-27 1997-05-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宇宙用機器の防振構造
JP3679896B2 (ja) * 1997-05-30 2005-08-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増速機の防振支持装置
KR100904850B1 (ko) 2009-02-20 2009-06-26 씨에이코리아(주)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를 가지는 수직형 풍력 발전기
KR101137174B1 (ko) 2010-05-28 2012-04-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음 저감형 풍력 발전장치
KR101268405B1 (ko) * 2011-03-07 2013-05-28 유니슨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직접 체결형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진동 저감장치
JP6272147B2 (ja) * 2014-05-30 2018-01-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風力発電装置
KR101907869B1 (ko) * 2018-07-18 2018-10-17 (주)다은 수밀성 파형강관을 이용한 저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39143B2 (en) Wind turbine
CN101326700B (zh) 用于水力涡轮机和风力涡轮机的发电机
US20080272602A1 (en) Wind Turbine
JP2000337245A (ja) 風力発電装置
CN105649884A (zh) 海上风能与海洋潮流能联合发电平台
CN201568230U (zh) 风力发电机组主机架
KR102132934B1 (ko) 진동저감형 풍력발전기
CN101839221B (zh) 新型垂直轴兆瓦级风力发电传动系统
KR20130038965A (ko) 풍력발전기용 로터 고속회전 방지장치
CN101603509B (zh) 加强型风力发电机
KR200221659Y1 (ko) 상반회전날개를 갖는 풍력발전기
CN110345000B (zh) 双叶轮对转水平轴风力机
KR101399962B1 (ko) 풍력 발전기용 나셀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KR100934792B1 (ko) 풍력발전기의 접지 장치
CN113074088B (zh) 一种小型风力发电机
KR20140002595U (ko) 풍력 발전기의 로터 록 시스템
KR102203750B1 (ko) 발전기 지지구조를 갖는 풍력발전기
CN201443468U (zh) 加强型风力发电机
KR200418922Y1 (ko) 풍력 발전기
KR20160048318A (ko) 기어 회전 유닛과 이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 조립 방법
CN211852043U (zh) 一种整体集成式潮流能发电装置及包括其的潮流能机组
CN215486388U (zh) 一种多功能检测装置
KR101576123B1 (ko) 로터 구조체
KR101403704B1 (ko) 풍력발전 시스템
CN218624514U (zh) 传动装置以及风力发电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