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816B1 -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816B1
KR102132816B1 KR1020180076881A KR20180076881A KR102132816B1 KR 102132816 B1 KR102132816 B1 KR 102132816B1 KR 1020180076881 A KR1020180076881 A KR 1020180076881A KR 20180076881 A KR20180076881 A KR 20180076881A KR 102132816 B1 KR102132816 B1 KR 102132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unit
body unit
pedestrian crossing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3995A (ko
Inventor
김익진
진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와코리아
주식회사 성훈라이팅
(주)새온
(주)에스지라이트
(주)신성엘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와코리아, 주식회사 성훈라이팅, (주)새온, (주)에스지라이트, (주)신성엘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7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81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는 보행자 및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로서, 내부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의 제1 바디유닛;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조명유닛; 각각의 상기 조명유닛의 조명 각도 및 방향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유닛과 각각의 조명유닛을 매개하는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각각의 조명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횡단보도용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FOR CROSSWALK}
본 발명은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횡단보도의 폭, 길이 등 설치 환경에 따라 조명 각도 및 조명 유효영역 변경을 용이하게 하고,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해마다 교통사고로 5,200 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부상자는 매년 35만 여명에 이르고 있으며, 보행 중 사상자가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약 40%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2013년 한국에서 발생한 보행자 횡단 중 차량과의 충돌사고는 총 5만 111건이며, 이중 횡단보도에서 발생한 사고는 1만 9537건으로 약 39%에 이르며, 횡단보도에서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은 사람은 약 407명으로, 횡단보도에서 보행자 사망자수는 OECD 회원국 중 1위를 차지하고 있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횡단보도에는 야간 또는 구름 등 날씨의 영향으로 조도가 낮을 시,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운전자에게는 정지선의 시인성(視認性, Visibility)을 확보하기 위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조명장치의 밝기가 약하고 조사 방향 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명 유효영역 조절 및 조명의 밝기 조절이 어려워 설치가 제한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을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될 것이다.
KR 10-1836425 B1(2018. 03. 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횡단보도의 설치 환경에 따라 각도 조절 및 조명 유효영역 변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조명 수단의 증감이 용이하게 하여 조도 조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보행자 유무에 따라 전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는 보행자 및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로서, 내부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의 제1 바디유닛;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조명유닛; 각각의 상기 조명유닛의 조명 각도 및 방향을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유닛과 각각의 조명유닛을 매개하는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각각의 조명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유닛은, 구형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전면에 고정된 볼 스터드; 및 상기 볼 스터드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암 결합부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조인트 바디;를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조인트 바디는 상기 암 결합부가 마주보도록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조인트 바디 중 선택된 하나는 상기 조명유닛의 후면에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는 전면에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유닛이 상기 조인트 유닛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2 바디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바디유닛 및 제2 바디유닛의 양 측면에는 각각 상호 결합되는 수 결합부 및 암 결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 바디유닛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양 측면에는 각각 암수 결합구조로 상호 결합되는 수 전원부 및 암 전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유닛에 구비된 상기 암, 수 전원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2 바디유닛이 결합되어 마련되는 조립체의 양단에 노출된 상기 수 전원부 및 암 전원부를 각각 감싸는 수 전원커버 및 암 전원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유닛은, 복수의 엘이디(LED) 전구가 구비된 조명 플레이트; 일면에는 상기 조명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타면에는 상기 조명 플레이트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 플레이트가 설치된 조명바디; 및 상기 조명 플레이트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방열 플레이트에 전달하도록, 양단이 각각 상기 조명 플레이트와 상기 방열 플레이트에 접하도록 상기 조명바디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열 전달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조명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출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와 독립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횡단보도의 폭 또는 길이 등 설치환경에 따라 각각의 조명유닛의 회전 및 상하좌우 방향조절이 가능하여 조명 유효영역 변경을 용이하게 실시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유닛을 증감시킬 수 있어 설치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적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행자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조명유닛의 조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바디유닛과 제2 바디유닛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 "A"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바디유닛과 제2 바디유닛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는 내부공간(110)이 형성된 제1 바디유닛(100)과 제1 바디유닛(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조명유닛(200)과 조명유닛(200)과 제1 바디유닛(100)을 매개하는 조인트 유닛(300) 및 내부공간(110)에 설치되어 각각의 조명유닛(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400)를 포함한다.
제1 바디유닛(100)은 내부공간(110)이 형성된 다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되어 횡단보도에 인접하게 설치된 지주 또는 신호등 등에 그 후면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때, 제1 바디유닛(100)은 주로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비, 눈 등 습기 및 자동차 배기가스 등 노출에 대하여 내부식성 등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원 공급부(400) 등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고정되는 후면을 제외한 적어도 일면은 힌지 등을 매개로 결합되는 개폐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개폐도어를 통해 습기 및 기타 이물질이 내부공간(110)으로 유입되어 오작동 및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개폐도어의 테두리를 감싸는 별도의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조명유닛(200)은 제1 바디유닛(100)의 전면에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횡단보도의 길이 폭 등에 따라 그 수를 가감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조명유닛(200)은 조인트 유닛(300)을 매개로 제1 바디유닛(100)의 전면에 조명 각도 및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유닛(300)은 구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볼 스터드(310) 및 볼 스터드(310)를 감싸는 한 쌍의 조인트 바디(320)로 구성된다.
볼 스터드(310)는 제1 바디유닛(100)의 전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 설치되는데,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구체 또는 그물형 구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의 중량을 감소시켜 지주 또는 신호등 등에 부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하나의 설치 대상물에 보다 많은 설치물을 설치시킬 수 있고, 설치 대상물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바디(320)는 한 쌍이 일측이 힌지 등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부에 볼 스터드(310)가 삽입되도록 각각의 조인트 바디(320)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볼 스터드(310)에 대응되는 반구 형상의 결합홈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조인트 바디(320)의 일측은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고 타측은 볼트 등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조인트 바디(320) 중 선택된 하나는 조명유닛(200)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1 바디유닛(100)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유닛(200) 중 어느 하나에 고장 등 불량이 발생된 경우, 제1 바디유닛(100)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해당 조명유닛(200)에 설치된 한 쌍의 조인트 바디(320)를 개폐함으로써 볼 스터드(310)를 인출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원 공급부(400)는 제1 바디유닛(100)의 내부공간(110)에 설치되어 신호등 등 외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각각의 조명유닛(200)에 공급하되, 각각의 조명유닛(200)은 개별적으로 온/오프 및 전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전원 공급부(40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의 지리적 특징 등 설치 환경에 따라 각각의 조명유닛(200)의 온/오프 및 조사되는 조명의 밝기 정도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보행자 및 운전자의 시인성(視認性, Visi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는 제1 바디유닛(100)의 측면에 연장 결합되는 제2 바디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바디유닛(500)은 제1 바디유닛(100)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고 그 전면에 하나 이상의 조명유닛(200)이 조인트 유닛(30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횡단보도의 길이 또는 폭이 길거나, 주변 가로등 갯수가 적은 경우, 설치 환경에 따라 조명유닛(200)이 설치된 제2 바디유닛(500)을 추가함으로써, 환경에 따른 횡단보도 주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설치 환경에 따른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적용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도 2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바디유닛(100, 500)은 양 측에 각각 상호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수 결합부(610) 및 암 결합부(6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1, 2 바디유닛(100, 500)은 서로 인접하는 제1, 2 바디유닛(100, 500)과 결합시 별도의 결합수단이 필요하지 않고, 암, 수 결합부(620, 610)를 이용하여 결합 가능하여 설치 환경에 따른 조명유닛(200) 추가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제1, 2 바디유닛(100, 500)은 양 측면에 각각 암수 결합구조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 전원부(630) 및 암 전원부(6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바디유닛(10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수 전원부(630) 및 암 전원부(640)는 전원 공급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암, 수 결합부(620, 610)를 이용하여 서로 인접하는 제1, 2 바디유닛(100, 500) 결합시 서로 인접하는 수 전원부(630)가 암 전원부(6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2 바디유닛(500)은 제1 바디유닛(100)의 내부공간(110)에 수용된 전원 공급부(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그 전면에 설치된 조명유닛(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별도의 전원연결 작업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설치시간을 단축시키고, 유지 및 보수를 원활히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1 바디유닛(100)과 하나 이상의 제2 바디유닛(500)이 결합되어 마련된 조립체의 양단에 각각 노출된 수 전원부(630) 및 암 전원부(640)를 감싸는 수 전원커버(631) 및 암 전원커버(64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는 횡단보도에 인접하여 실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 또는 눈 등 습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수 전원커버(631) 및 암 전원커버(641)를 이용하여 수 전원부(630) 및 암 전원부(640)를 각각 감싸 밀폐시킴으로써, 습기가 암, 수 전원부(640, 630)로 유입되어 부식을 유발하거나 조명유닛(200) 또는 전원 공급부(400)에 합선 등을 유발하여 오작동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설치환경 변화 등으로 인하여 제2 바디유닛(500) 추가시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유닛(200)은 조명 플레이트(210)와 일면에 조명 플레이트(210)가 설치되고 타면에 방열 플레이트(221)가 설치되고, 그 후단에 조인트 바디(320)가 설치되는 조명바디(220) 및 조명 플레이트(210)와 조명바디(220)를 연결하는 복수의 열 전달부(23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플레이트(210)는 전원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 작동되는 복수의 전구가 설치되는데, 이때 전구는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전구(21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이디란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칭하는 것으로 P형과 N형 반도체의 접합구조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자와 정공의 결합으로 반도체의 밴드 갭(band gap)에 해당하는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되는 것으로 일반 전구에 비하여 밝고 소비 전력이 낮아,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 전구(211)가 구비된 조명유닛(200)을 각도 및 방향 조절이 가능한 조인트 유닛(300)을 매개로 제1, 2 바디유닛(100, 500)에 결합시킴으로써, 설치 환경에 따라 조명유닛(200)의 각도 조절 및 조명 유효영역 변경함으로써, 빛의 확산성이 부족한 엘이디 전구(211)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바디(220)는 일면에 상기와 같이 마련된 조명 플레이트(210)가 설치되고 그 타면에는 조명 플레이트(210)에서 발생된 열이 방출될 수 있도록 방열 플레이트(221)가 설치되며, 일단이 조명 플레이트(210)와 접촉하고 타면이 방열 플레이트(221)에 접촉하도록 조명바디(220) 내부에 복수의 열 전달부(230)가 설치된다.
이에, 각각의 엘이디 전구(211)에서 발생된 열은 열 전달부(230)를 통해 방열 플레이트(221)로 전달되고, 방열 플레이트(221)는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조명유닛(200)이 고온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열 전달부(230) 및 방열 플레이트(221)는 알루미늄 등 내식성 및 열전도도가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1 바디유닛 110: 내부공간
200: 조명유닛 210: 조명 플레이트
211: 엘이디 전구 220: 조명바디
221: 방열 플레이트 230: 열 전달부
300: 조인트 유닛 310: 볼 스터드
320: 조인트 바디 400: 전원 공급부
500: 제2 바디유닛 610: 수 결합부
620: 암 결합부 630: 수 전원부
631: 수 전원커버 640: 암 전원부
641: 암 전원커버

Claims (7)

  1. 보행자 및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로서,
    내부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의 제1 바디유닛;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조명유닛;
    각각의 상기 조명유닛의 조명 각도 및 방향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유닛과 각각의 조명유닛을 매개하는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각각의 조명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유닛은, 구형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전면에 고정된 볼 스터드; 및 상기 볼 스터드 삽입 고정시 접촉면적이 극대화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암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볼 스터드의 외주면과 면접촉되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조인트 바디;를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조인트 바디는 상기 암 결합부가 마주보도록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조인트 바디 중 선택된 하나는 상기 조명유닛의 후면에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면에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유닛이 상기 조인트 유닛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2 바디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유닛 및 제2 바디유닛의 양 측면에는 각각 상호 결합되는 수 결합부 및 암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바디유닛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양 측면에는 각각 암수 결합구조로 상호 결합되는 수 전원부 및 암 전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유닛에 구비된 상기 암, 수 전원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2 바디유닛이 결합되어 마련되는 조립체의 양단에 노출된 상기 수 전원부 및 암 전원부를 각각 감싸는 수 전원커버 및 암 전원커버;를 더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복수의 엘이디(LED) 전구가 구비된 조명 플레이트;
    일면에는 상기 조명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타면에는 상기 조명 플레이트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 플레이트가 설치된 조명바디; 및
    상기 조명 플레이트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방열 플레이트에 전달하도록, 양단이 각각 상기 조명 플레이트 및 상기 방열 플레이트에 접하도록 상기 조명바디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열 전달부;를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명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출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와 독립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1020180076881A 2018-07-03 2018-07-03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102132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881A KR102132816B1 (ko) 2018-07-03 2018-07-03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881A KR102132816B1 (ko) 2018-07-03 2018-07-03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995A KR20200003995A (ko) 2020-01-13
KR102132816B1 true KR102132816B1 (ko) 2020-07-10

Family

ID=6915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881A KR102132816B1 (ko) 2018-07-03 2018-07-03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617816U (zh) * 2020-06-06 2021-02-26 亮兮柯电气(嘉兴)有限公司 一种投光灯转向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780B1 (ko) * 2008-02-19 2009-08-18 위아 주식회사 볼스터드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한 볼조인트 어셈블리
CN201434354Y (zh) * 2008-12-10 2010-03-31 区锦沛 一种可旋转的组合式灯体结构
CN102588831A (zh) * 2012-01-14 2012-07-18 盛世照明有限公司 方便转动的led射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4873A (ko) * 2010-10-28 2012-05-08 주식회사 오로라 전면 및 후면 방열기를 포함하는 엘이디용 방열장치
KR101362049B1 (ko) * 2011-08-31 2014-02-21 정탄명 볼-소켓형 관절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조명기구
KR101836425B1 (ko) 2017-10-12 2018-04-19 (주)코리아반도체조명 자유로운 조명각도의 변환으로 사용의 편리성을 강조하는 횡단보도용 조명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780B1 (ko) * 2008-02-19 2009-08-18 위아 주식회사 볼스터드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한 볼조인트 어셈블리
CN201434354Y (zh) * 2008-12-10 2010-03-31 区锦沛 一种可旋转的组合式灯体结构
CN102588831A (zh) * 2012-01-14 2012-07-18 盛世照明有限公司 方便转动的led射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995A (ko)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6510B2 (en) Cooling structure for street lamp using light emitting diode
US20100321930A1 (en) Outdoor illuminating device and illuminating method
JP4210707B2 (ja) 屋外用照明器具及び照明方法
ES2658997T3 (es) Baliza luminosa con lente
KR100972757B1 (ko) 엘이디 가로등
JP4277047B1 (ja) Ledランプ
KR20100009257A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2132816B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US8610357B2 (en) LED assembly for a signage illumination
KR101327431B1 (ko) 엘이디 가로등
KR101003528B1 (ko) Led 보안등
KR20140028519A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101690597B1 (ko) 빛공해 방지를 위한 조명등 조사범위 조절장치
KR100944711B1 (ko) 냉각홀이 구비된 엘이디 가로등장치
KR101496225B1 (ko) 엘이디 가로등기구
KR101260349B1 (ko) 가로등용 엘이디 조명장치
CN206130779U (zh) 一种防眩光led高杆灯透镜
KR102391018B1 (ko) 태양광 모듈 하부의 디자인 구현이 가능한 일체형 태양광 가로등
KR100982897B1 (ko) 실내등 및 실외등용 led조명장치
ES2597740B1 (es) Sistema de iluminación de túneles de carreteras
KR101155974B1 (ko) 횡단보도용 집중조명기
KR101322786B1 (ko) 엘이디 가로등
KR101425520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101327430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2632672B1 (ko) 보안등용 엘이디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