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802B1 - 화변기겸용 양변기 - Google Patents

화변기겸용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802B1
KR102132802B1 KR1020180054819A KR20180054819A KR102132802B1 KR 102132802 B1 KR102132802 B1 KR 102132802B1 KR 1020180054819 A KR1020180054819 A KR 1020180054819A KR 20180054819 A KR20180054819 A KR 20180054819A KR 102132802 B1 KR102132802 B1 KR 102132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toilets
toilet sea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324A (ko
Inventor
양병준
Original Assignee
양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병준 filed Critical 양병준
Priority to KR1020180054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80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6Bowl with flushing cistern mounted on the rearwardly extending end of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쪼그려 앉아 사용하는 화변기(和便器)와 걸터 앉아 사용하는 양변기(洋便器)를 겸용할 수 있도록 된 화변기겸용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용변실의 내부에 용변을 배출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양변기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변기시트와 변기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변기본체의 상면 후단에는 용변실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구비하여서 된 양변기를 형성하되, 상기 양변기본체를 형성하는 림의 하측에서 양 측면에 화변기용 발판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변기본체의 양 측면에는 화변기용 발판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변기시트의 상측에 걸터 앉아 양변기(洋便器)로 사용하거나, 또는 변기커버와 변기시트를 후방으로 젖혀준 상태에서 화변기용 발판에 발을 딪고 쪼그려 앉아 화변기(和便器)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의 변기를 양변기(洋便器) 또는 화변기(和便器)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양변기의 변화를 꾀하고, 통상의 양변기(洋便器)와 별도의 화변기(和便器)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성격)에 따라 선택하여 용변을 용이하게 볼(처리할) 수 있으며, 양변기본체를 제작할 때에 화변기용 발판만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별도의 제작 공정을 추가시키지 않고, 제작(제조)에 따른 비용도 추가시키지 않고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설치 공정을 추가시키지 않으면서 기존의 양변기본체를 설치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변기겸용 양변기{A Toilet Bowl}
본 발명은 쪼그려 앉아 사용하는 화변기(和便器)와 걸터 앉아 사용하는 양변기(洋便器)를 겸용할 수 있도록 된 화변기겸용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가 개방된 용변실의 내부에 용변을 배출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양변기본체의 상부에서 설치되는 변기시트와 변기시트와 변기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변기본체의 상면 후단에는 용변실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구비하여서 된 양변기를 형성하되, 상기 양변기본체를 형성하는 림의 하측에서 양 측면에 화변기용 발판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로 형성하여서 된 화변기겸용 양변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세식 대변기는 쪼그려 앉아 사용하는 화변기(和便器)와 걸터 앉아 사용하는 양변기(洋便器)로 구분된다.
국내에서 화변기(和便器)로서는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20-1993-0001976호(수세식변기)와 등록특허 제10-127789호(공고번호 제10-1997-0009533호: 변기) 등이 알려져 있다. 이는 변기본체의 선단에 비산방지돌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변기본체의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용변을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특히 등록특허 제10-127789호(공고번호 제10-1997-0009533호: 변기)는 변기본체의 상단 양 측면에 단순히 발판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또, 양변기(洋便器)로서는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84515호(양변기) 등이 알려져 있다. 이는 상부에 타원 형상의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내부에 용변을 배출하기 위한 물이 공급되되, 상기 개방부에 앉은 상태로 용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양변기 본체;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가 용변을 해결 시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깔개; 상기 깔개의 상부에 결합되어 양변기 본체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덮개; 상기 양변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에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물 공급부;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변기(실용신안 공고번호 제20-1993-0001976호: 수세식변기)와 양변기(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84515호) 등은 단순히 화변기 또는 양변기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화장실의 내부에 화변기와 양변기를 이중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그로인하여 불필요한 비용이 소요되며, 사용자는 화변기 또는 양변기가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양변기의 경우에는 별도의 위생시트(위생비닐)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마다 위생시트(위생비닐)를 변기시트 위에 깔아 사용하기 하지만, 비용이 소요되고 위생시트(위생비닐)로 인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며 위생시트(위생비닐)가 변기로 유입되어 변기가 막히는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화변기(和便器)와 양변기(洋便器)의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하나의 변기를 이용하여 화변기(和便器) 또는 양변기(洋便器)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는 국내의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089009호(재래식겸용 양변기)가 알려져 있다.
이는, 양변기 본체의 림의 상연부 적소에 한 조의 대향되는 발판을 구비하여 양변기 시트의 위생상태를 신뢰하지 못하거나, 실제로 오염된 것이 가시적으로 확인되어 시트에 착석할 수 없는 경우에 발판을 밟고 올라앉아 양변기를 기존의 재래식 변기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양변기 본체의 림의 상연부에서 양측에 한 조의 발판을 대향되게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서, 양변기 본체의 높이가 근본적으로 높기 때문에, 상연부에 구비된 발판 위에 어린이는 물론 성인들도 용이하게 올라서거나 내려올 수 없는 폐단이 있고, 높은 발판 위에 올라서더라도 자세가 극히 불안전하며, 발판의 폭(변기본체의 양연부와 같은 폭)이 너무 좁아 온전하게 서 있거나 앉아 있을 수 없어 용변도 쾌변할 수 없는 폐단이 있다.
그리고, 양변기 본체의 림 부분의 내부는 세척수 관로가 형성되어야 하는데 양측의 발판이 형성되어 있어서 세척용 수로가 양변기 전면부쪽의 세척수 공급에 장애가 되어 제작시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089009호(재래식겸용 양변기)에서 화변기(和便器)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사용 공간(사용자의 엉덩이와 양변기 물탱크 간의 공간) 확보가 되기 위해서는, 양변기 본체의 림의 상연부에 형성된 양측의 발판이 양변기 전면부로 많이 이동시키거나(현실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양변기의 길이(약700mm)에서는 림 부분에 발판 설치가 불가 함), 또는 양변기의 길이를 크게(30%이상) 늘여야만 적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쪼그려 앉아 사용하는 화변기(和便器)와 걸터 앉아 사용하는 양변기(洋便器)를 겸용할 수 있도록 된 화변기겸용 양변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용변실의 내부에 용변을 배출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양변기본체의 상부에서 설치되는 변기시트와 변기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변기본체의 상면 후단에는 용변실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구비하여서 된 양변기를 형성하되,
상기 양변기본체를 형성하는 림의 하측에서 양 측면에 화변기용 발판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로 형성하여서 된 화변기겸용 양변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변기본체의 양 측면에는 화변기용 발판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변기시트의 상측에 걸터 앉아 양변기(洋便器)로 사용하거나, 또는 변기커버와 변기시트를 후방으로 젖혀준 상태에서 화변기용 발판에 안전하게 발을 딪고 쪼그려 앉아 화변기(和便器)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화변기겸용 양변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변기를 양변기(洋便器) 또는 화변기(和便器)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변기의 변화를 꾀하고, 통상의 양변기(洋便器)와 별도의 화변기(和便器)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취향(성격)에 따라 선택하여 용변을 용이하게 볼(처리할) 수 있으며, 양변기본체를 제작할 때에 화변기용 발판만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별도의 제작 공정을 추가시키지 않고, 제작(제조)에 따른 비용도 추가시키지 않고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설치 공정을 추가시키지 않으면서 기존의 양변기본체를 설치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화변기겸용 양변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쪼그려 앉아 사용하는 화변기(和便器)와 걸터 앉아 사용하는 양변기(洋便器)를 겸용할 수 있도록 된 화변기겸용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상부가 개방된 용변실의 내부에 용변을 배출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양변기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변기시트와 변기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변기본체의 상면 후단에는 용변실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구비하되, 상기 양변기본체는 선단에 비산방지돌부를 형성하고 림의 하측에서 양 측면에 화변기용 발판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로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는, 양변기본체 선단에 형성된 비산방지돌부를 덮도록 형성한 것과;
상기 변기시트의 양측(좌우 양측)에는 함몰손잡이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변기겸용 양변기(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쪼그려 앉아 사용하는 화변기(和便器)와 걸터 앉아 사용하는 양변기(洋便器)를 겸용할 수 있도록 된 화변기겸용 양변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는, 상부가 개방된 용변실의 내부에 용변을 배출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양변기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변기시트와 변기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변기본체의 상면 후단에는 용변실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구비하여서 된 양변기를 형성하되, 상기 양변기본체를 형성하는 림의 하측에 양 측면에 화변기용 발판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변기본체의 양 측면에는 화변기용 발판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변기커버만 후방으로 젖히고, 변기시트의 상측에 걸터 앉아 양변기(洋便器)로 사용하거나, 또는 변기커버와 변기시트를 후방으로 젖혀준 상태에서 화변기용 발판에 발을 딪고 쪼그려 앉아 화변기(和便器)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의 변기를 양변기(洋便器) 또는 화변기(和便器)로 겸용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변기의 변화를 꾀하고, 통상의 양변기(洋便器)와 별도의 화변기(和便器)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성격)에 따라 선택하여 용변을 용이하게 볼(처리할) 수 있으며, 양변기본체를 제작할 때에 화변기용 발판만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별도의 제작 공정을 추가시키지 않고 제작(제조)에 따른 비용도 추가시키지 않고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설치 공정을 추가시키지 않으면서 기존의 양변기본체를 설치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를 보인 측면 예시도.
도 2와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에서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만을 발췌하여 보인 측면도와 평면도 및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에서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에서 걸터 앉아 사용하는 양변기(洋便器) 사용 시, 실시 예를 보인 측면 예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에서 쪼그려 앉아 사용하는 화변기(和便器) 사용 시, 실시 예를 보인 측면 예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구체적인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1)를 보인 측면 예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1)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1)에서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10)만을 발췌하여 보인 측면도와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1)에서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10)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에서 걸터 앉아 사용하는 양변기(洋便器) 사용 시, 실시 예를 보인 측면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에서 쪼그려 앉아 사용하는 화변기(和便器 사용 시, 실시 예를 보인 측면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1)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단 외주연에 림(12)이 외부로 약간 돌출되게 형성된 양변기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용변실(13)의 내부에는 배출구(13-1)를 통하여 용변을 배출시키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양변기본체(10)의 상부에 변기시트(16)와 변기커버(17)를 개폐 가능하게 축으로 굴대의 축을 설치하였으며, 상기 양변기본체(10)의 상면 후단에 형성된 물탱크설치면(18)의 상부의 용변실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해 물탱크(20)를 구비(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는 종래의 양변기본체와 동일 유사한 구성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변기시트(16)의 양측 전면부에는 함몰손잡이부(16-1)를 함몰되게 형성하여 화변기로 사용할 때 함몰손잡이부(16-1)를 파지하여 힘을 주면서 용변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였고, 변기시트(16)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림(12)의 하측에서 양변기본체(10)의 양 측면에는 화변기용 발판(30)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10)를 형성하였다.
특히, 림(12)의 하측에서 양변기본체(1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화변기용 발판(30)은, 양변기(洋便器) 사용시 전체높이(h)에서 중간높이(1/2h)에 림(12)의 하측에 형성하여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고, 용이하게 서거나 자세를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화변기용 발판(30)의 상면에 미끄럼방지용 요철부(30-1)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양변기본체(1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화변기용 발판(30)의 후단에는 양변기본체 사염부(31)와 화변기용 발판(30)으로 이어져 일체로 형성하여 화변기용 발판(30)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10)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1)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1)는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10)를 이용하여 양변기(洋便器) 또는 화변기(和便器)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1)를 양변기(洋便器)로 사용하고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변기커버(17)를 후방으로 젖혀 주게 되면, 양변기본체(10)의 상면 즉, 림(12)의 상측에 변기시트(16)가 얹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변기시트(16)에 의해 가장자리가 가려진 양변기본체(10)의 용변실(13)이 드러나며, 이와 같이 림(12)의 상측에 변기시트(16)가 얹혀진 상태에서 변기시트(16)의 위에 앉아 사용하며, 사용 후에는 물을 내리면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1)를 화변기(和便器)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상기 변기커버(17)를 후방으로 젖혀 준 상태에서, 변기시트(16)의 양측 전면부에 측면으로 이어져 형성된 함몰손잡이부(16-1)를 파지하여 변기시트(16)를 후방으로 젖혀 양변기본체(10)의 용변실(13)이 완전히 드러나도록 개방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변기커버(17)와 변기시트(16)를 함께 후방으로 젖혀주게 되면, 양변기본체(10)의 용변실(13)이 완전히 드러나게 되며, 이와 같이 용변실(13)이 완전히 드러난 상태에서 양변기본체(10)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화변기용 발판(30)위로 올라선 후에 쪼그려 앉아 화변기(和便器)로 사용하며, 사용 후에는 물을 내리면 된다.
특히, 사용자가 화변기용 발판(30)위로 올라 서게 되면 미끄럼방지용 요철부(30-1)에 의해 발이 미끄러지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앉을 수 있고, 발판(30)의 후단에는 양변기본체 상면부(31)와 화변기용 발판(30)이 이어져 보강하고 있으므로 화변기용 발판(30)이 탈락하거나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편안하고 안전하게 용변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변기겸용 양변기(1)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자신의 간단한 수고에 의해 양변기(洋便器) 또는 화변기(和便器)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화변기겸용 양변기 10: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
11: 양변기본체 12: 림
13: 용변실 14: 세척수유입공
15: 변기시트장착공 16: 변기시트
17: 변기커버 18: 물탱크설치면
19: 비산방지돌부 20: 물탱크
30: 화변기용 발판 31: 양변기본체 상면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부가 개방된 용변실의 내부에 용변을 배출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양변기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변기시트와 변기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변기본체의 상면 후단에는 용변실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구비하되, 상기 양변기본체는 선단에 비산방지돌부를 형성하고 림의 하측에서 양 측면에 화변기용 발판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화변기겸용 양변기본체로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는, 양변기본체 선단에 형성된 비산방지돌부를 덮도록 형성한 것과;
    상기 변기시트의 양측(좌우 양측)에는 함몰손잡이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변기겸용 양변기.
  6. 삭제
  7. 삭제
KR1020180054819A 2018-05-14 2018-05-14 화변기겸용 양변기 KR102132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19A KR102132802B1 (ko) 2018-05-14 2018-05-14 화변기겸용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19A KR102132802B1 (ko) 2018-05-14 2018-05-14 화변기겸용 양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324A KR20190130324A (ko) 2019-11-22
KR102132802B1 true KR102132802B1 (ko) 2020-07-10

Family

ID=6873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819A KR102132802B1 (ko) 2018-05-14 2018-05-14 화변기겸용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80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2856U (ja) * 1983-05-07 1984-11-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間欠送り用部材
JP2796794B2 (ja) * 1996-04-22 1998-09-10 ベニックス株式会社 大人幼児兼用水洗式洋風便器
KR200471885Y1 (ko) * 2012-03-28 2014-03-27 박재화 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324A (ko)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236A (en) Toilet seat with multiple handles
KR20070032763A (ko)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
KR102132802B1 (ko) 화변기겸용 양변기
WO2017177984A1 (zh) 一种蹲坐两用便器
CN206722024U (zh) 能够提高使用舒适性的马桶
JP2006289035A (ja) 和、洋式便器
CN201250444Y (zh) 一种壁挂式座便器
US11457780B1 (en) Rearward-facing toilet
CN210354508U (zh) 一种多功能便器
TWI768319B (zh) 複合式便器及具有複合式便器的廁所
CN205557747U (zh) 一种舒适且易于使用的马桶
WO2023156902A1 (fr) Cuvette de lavabo suspendu multifonction
US20100275355A1 (en) Toilet Helper for Children and Little People
CN210887486U (zh) 一种环保座便器
CN211690631U (zh) 儿童马桶坐便器
JP2013006014A (ja) 浴室用椅子、浴室用椅子と洗面器の組み合わせ、及び、それに用いる洗面器
CN101092828A (zh) 坐蹲两用马桶
KR200494548Y1 (ko)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KR20110103043A (ko) 좌대의 크기조절이 가능한 좌변기
KR200322619Y1 (ko) 물튐방지용 변기뚜껑
KR100468406B1 (ko) 개량 욕조
KR200240467Y1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200273928Y1 (ko) 유아 및 아동용 좌변기
CN2375683Y (zh) 蹲坐两用卫生间便盂
KR200246024Y1 (ko) 다용도 욕실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