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021B1 - 재고 관리 창고구조물 - Google Patents

재고 관리 창고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021B1
KR102132021B1 KR1020200041284A KR20200041284A KR102132021B1 KR 102132021 B1 KR102132021 B1 KR 102132021B1 KR 1020200041284 A KR1020200041284 A KR 1020200041284A KR 20200041284 A KR20200041284 A KR 20200041284A KR 102132021 B1 KR102132021 B1 KR 102132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crew
goods
warehous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연
Original Assignee
서승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승연 filed Critical 서승연
Priority to KR102020004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창고부; 및 상기 창고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다단으로 형성되어 각 단에 물품을 적재시키는 적재관리부를 포함하는, 재고 관리 창고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재고 관리 창고구조물{Inventory Management Warehouse Structure}
본 발명은 재고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재고 관리 창고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이송장치가 구비된 재고 관리 창고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세하게는 창고에 보관되는 물품의 물류 이동 및 적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식별 단말기를 통해 창고부에 보관된 물품의 재고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재고 관리 창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고란 공산품 내지 농산품 등의 각종 물품을 별도의 장소에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 지면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현재에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이외에 사람이 업무하는 공간 등 다양한 목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창고는 설치하는 방법에 따라 파일을 지면에 박아 조립 구축하는 고정식 창고와 간이 조립식 창고로 대별되는데, 상기 고정식 창고는 지면에 파일 프레임과 판넬을 고정시켜 설치하기 때문에 고가의 설치 비용이 소요되고 그 작업시간이 길어짐은 물론 지면 고정형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분해 및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창고를 다른 용도로 개선하고자 할 때는 창고를 부셔 폐기 처분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기존의 창고는, 넓은 부지에 설치되는 경우라도 그 공간활용이라는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져 적절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방치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배경기술에 기재된 내용들은 단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이해시키기 위해서 작성된 것이므로, 이 기술의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공지기술 외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2306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자동이송장치가 구비된 재고 관리 창고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측면은 일 측면은 창고에 보관되는 물품의 물류 이동 및 적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식별 단말기를 통해 창고부에 보관된 물품의 재고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재고 관리 창고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창고시스템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창고부; 및 상기 창고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다단으로 형성되어 각 단에 물품을 적재시키는 적재관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창고부의 전면 벽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적재관리부 또는 상기 물품마다 부착되어 있는 식별코드 인식하여 각각의 상기 적재관리부 별로 적재된 상기 물품들의 물품 정보를 획득한 뒤, 네트워크를 통해 물품 정보를 전송하는 식별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식별 단말기에서 획득한 상기 물품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창고부에 보관된 상기 물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물품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재관리부는, 상기 창고부의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물품을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부; 각각의 개별 선반부 내에 설치되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기; 상기 개별 선반부에 설치된 상기 온도검출기와 연결된 선들을 몸체의 내부에 모아 공통배선처리하고 상기 선반부의 수직 구조물 중 하나로 설치되는 수직부재; 상기 선반부의 최하단 구조물 중 하나로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선반부에 설치된 온도검출기의 검출신호들을 다수개의 상기 수직부재를 경유하여 그 내부에 모아 공통배선처리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를 통해 상기 온도검출기의 검출신호들을 일정단위의 통신방식으로 수집하여 전송 처리하는 컨트럴모듈; 상기 컨트럴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상기 선반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개별 상기 선반부의 상황을 UI(USER INTERFACE)를 통해 그래픽형태로 표시한 다음 그 설정된 명령신호에 따라 조치를 취하는 상기 물품 관리 서버; 및 상기 수직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를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도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창고부 내부로 출입하는 출입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출입자 이미지를 획득하는 출입자 식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자 식별장치는, 3D 스캐너를 포함하여, 상기 3D 스캐너를 통해 출입자의 머리 표면을 스캔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스캔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출입자 이미지가 생성되고, 상기 출입자의 이미지에 대한 흑백 전환을 통해 1차 명도 조절이 수행되고, 1차 명도 조절된 상기 출입자이미지에 대한 픽셀 전환을 통해 2차 명도 조절이 수행되며, 2차 명도 조절된 상기 출입자 이미지에 대한 이진수 전환이 수행되어, 상기 출입자 이미지를 이진화 데이터로 표현하는 상기 촬영 수단; 상기 촬영 수단으로 출입자 접근을 감지하는 센싱부; 출입자를 상기 촬영 수단의 유효촬영거리로 유도하기 위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 발생부; 및 상기 촬영 수단,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소리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신호를 통해 상기 촬영 수단 및 상기 센싱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출입자 이미지를 블록 체인에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직부재이 하부지지판에 안착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하부면으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 및 상기 나사가 상측을 통해 삽입되어 체결되어 상기 헤드가 항타됨에 따라 상기 나사와 함께 상기 하부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부재에 삽입된 상기 나사가 상기 하부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부재에 삽입된 뒤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에서 고정되는 앵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며, 상기 나사의 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나사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다 상기 나사의 상단이 상기 수용홈의 위치보다 하측으로 위치하게 되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나사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덮는 커버모듈; 상기 커버모듈이 돌출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돌출탄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항타되어 상기 하부부재를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뾰족한 고깔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체; 상기 삽입체가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 수록 외측 방향으로 뾰족한 상어 지느러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체의 외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체결 날개; 상기 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삽입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나사의 나사산이 상기 삽입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의 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체결 나사산; 상기 삽입홈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나사가 상기 삽입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실린더; 상기 삽입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삽입체의 상기 삽입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상부 외측의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체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하측으로부터 충전되는 다수 개의 안착홈; 및 상기 다수 개의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유체 실린더로부터 상기 안착홈으로 유체가 공급되어 충전됨에 따라 유체에 의해 밀려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하부부재에 체결되는 다수 개의 체결 니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검출기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을 둘러싸고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은 상기 베이스면의 위치보다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면 하부에 하측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면에는 상기 하측 공간부와 연통된 센서캡 홀이 형성된 케이스모듈; 상기 케이스모듈의 상기 센서캡 홀에 장착되어 상기 하측 공간부로 돌출되는 센서캡; 상기 센서캡 내에 삽입되는 센서 단자; 및 상기 베이스면에 장착되는 센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모듈의 측면 하부에는 상기 하측 공간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한 쌍의 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센서캡에 삽입되는 센서 단자와, 상기 센서 단자가 일면에 결합된 센서회로기판, 상기 센서회로기판의 타면에 결합되는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면에는 상기 센서 유닛이 장착되는 부분이 주변과 구획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유닛이 장착된 부분에는 접착물질이 충진되어 상기 센서 단자 및 상기 센서회로기판을 외측에 대해 밀폐시킨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이송장치가 구비된 재고 관리 창고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창고에 보관되는 물품의 물류 이동 및 적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식별 단말기를 통해 창고부에 보관된 물품의 재고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재고 관리 창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창고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창고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자 식별장치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관리부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를 도시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앵커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검출기를 도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창고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창고시스템(10)은, 창고부(100), 적재관리부(200) 및 도어부(110)을 포함한다.
창고부(100)는, 물품(1)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에 물품(1)을 적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재관리부(200)가 설치되고, 전면(120)에 물품(1)의 이동을 위한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110)가 설치 적재관리부(200)는 창고부(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다단으로 형성되어 각 단에 물품(1)을 적재시킨다.
도어부(110)는 창고부(100)의 전면(120) 벽체에 설치되어 전면 벽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한다. 도어부(110)는 도어부(110)의 적어도 일 영역에 설치되며, 창고부(100) 내부로 출입하는 출입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출입자 이미지를 획득하는 출입자 식별장치(5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창고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고 관리 시스템(2)은, 창고부(100), 적재관리부(200), 도어부(110), 식별 단말기(310) 및 물품 관리 서버(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창고부(100), 적재관리부(200) 및 도어부(11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식별 단말기(310)는, 적재관리부(200) 또는 물품(1)마다 부착되어 있는 식별코드 인식하여 각 적재관리부(200) 별로 적재된 물품(1)들의 물품 정보를 획득한 뒤, 네트워크(330)를 통해 물품 정보를 물품 관리 서버(3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식별 단말기(310)는, 식별코드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물품 관리 서버(320)는, 네트워크(330)를 통해 식별 단말기(310)에서 획득한 물품 정보를 수신받아 창고(100)에 보관된 물품(1)의 재고를 관리한다. 물품 관리 서버(320)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 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30)는, 식별 단말기(310)와 물품 관리 서버(32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연결하며,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330)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자 식별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어부(11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창고부 내부로 출입하는 출입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출입자 이미지를 획득하는 출입자 식별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자 식별장치(500)는 촬영 수단(510), 센싱부(520), 소리발생부(530) 및 제어모듈(540)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수단(510)은 대상체에 대하여 3D 형상을 구현하는 3D 스캐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3D 스캐너는 대상체의 표면을 3D 스캔하여 표면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는 통상의 3D 스캐너로, 3D 스캐너에 의해 획득되는 스캔 이미지는, 3차원으로 대상체의 표면을 스캔해서 나타내는 3D 정보일 수 있다. 즉, 스캔 이미지는 3D 로 회원의 머리 표면을 스캔한 이미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캔 이미지를 통해 출입자 이미지가 생성되고, 승인된 출입자 이미지에 대한 흑백 전환을 통해 1차 명도 조절이 수행될 수 있고, 다음으로 1차 명도 조절된 출입자 이미지에 대한 픽셀 전환을 통해 2차 명도 조절이 수행될 수 있으며, 2차 명도 조절된 출입자 이미지에 대한 이진수 전환이 수행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2차 명도 조절된 회원이미지에서 백 '0', 흑 '1'로 이진수 전환이 수행될 수 있고, 출입자 이미지가 이진화 데이터로 표현될 수 있다.
센싱부(520)는 촬영 수단(510)으로 다가가는 출입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520)는 접촉 타입이거나 비 접촉 타입일 수 있고, 접촉 타입은 압력센서나 접촉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 접촉 타입은 거리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발생부(530)는 출입자를 상기 촬영 수단(510)의 유효촬영거리로 유도하기 위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소리발생부(530)는 출입자가 유효촬영거리에 가까워질수록 소리 발생 주기를 짧게 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모듈(540)은 촬영 수단(510), 센싱부(520) 및 소리 발생부(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센싱부(520)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신호를 통해 촬영 수단(510) 및 센싱부(520)의 작동을 제어하고, 출입자 이미지를 블록 체인에 업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출입자 식별장치(500)는 제어모듈(540), 클라우드 저장부(550) 및 인터페이스(560)를 포함하고, 인증된 출입자 이미지는 블록체인(570)으로 업로드될 수 있고, 출입자 중 인증담당자는 인터페이스(560)를 통해서 각 구성요소들과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출입자는 복수의 사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저장부(550), 인터페이스(560) 및 블록체인(570)은 도 2의 물품 관리 서버(320)에 포함되어 작동될 수 있다.
출입자 식별장치(500)를 통해 획득한 복수의 출입자 이미지는 클라우드 저장부(550)에 저장되고, 출입자는 복수의 이미지를 확인해서 제어모듈(540)을 통해서 적합한 이미지를 승인하거나 재촬영을 요청한다. 아울러, 승인된 출입자 이미지는 블록체인(570)에 업로드될 수 있다.
센싱부(520)에서 감지되는 출입자의 감지신호가 제어모듈(540)로 전송되면, 제어모듈(540)은 설정된 시점 또는 지점에서 촬영 수단(510)를 통해서 출입자 이미지 등을 촬영한다. 여기서, 촬영 수단은 출입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촬영된 출입자 이미지 데이터가 클라우드 저장부(550)에 저장되고, 출입자는 촬영된 이미지를 승인하고, 승인한 출입자 이미지는 블록체인(570)에 업로드될 수 있다.
블록체인(570)은 퍼블릭 네트워크(public network) 또는 프라이빗 네트워크(private network)에서 일어나는 거래 정보가 암호화되어 해당 네트워크 구성원 간 공유되고, 거래 원장의 복사본이 각 네트워크 구성원에게 분산되어(distributed) 새로운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다른 출입자들의 동의를 통해 해당 거래에 대한 인증 절차가 진행될 수 있고, 블록 체인에 기반한 거래 정보는 임의로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거래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정보 추적이 용이하고, 특히 블록 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블록 체인을 통한 투명한 거래로 보안, 감독, 규제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이러한 블록 체인 기술을 통해 기존에 공개되지 않은 시장이 보다 투명하고 신뢰도를 가지고 공개되고, 이러한 시장을 기반으로 전자상거래 관련 시장이 보다 성숙해질 수 있으며, 조명장치를 구매하기 위하여 인터넷을 활용하는 인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수의 서비스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개별 조명가게 또는 개별 조명장치 등의 판매 데이터나 성능 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자의 편의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모듈(540)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관리부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적재관리부(200)는 선반부(210), 수직부재(220), 수평부재(230), 컨트럴모듈(240), 물품 관리 서버(320), 체결부(600) 및 온도검출기(700)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부(210)는 창고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물품(1)을 보관하는 구성으로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선반부(210)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도 2의 식별 단말기(310)가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어, 사용자는 이들 구성으로 이용하여, 각 선반부(210) 별로 적재된 물품(1)들의 물품 정보를 획득한 뒤, 네트워크(330)를 통해 물품 정보를 물품 관리 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직부재(220)는 개별 선반부(210)에 설치된 온도검출기(700)와 연결된 선들을 몸체의 내부에 모아 공통배선처리하고 선반부(210)의 수직 구조물 중 하나로 설치될 수 있다.
수평부재(230)는 선반부(210)의 최하단 구조물 중 하나로 설치되고 각각의 선반부(210)에 설치된 온도검출기(700)의 검출신호들을 다수개의 상기 수직부재(220)를 경유하여 그 내부에 모아 공통배선처리 할 수 있다.
컨트롤모듈(240)은 수평부재(230)를 통해 온도검출기(700)의 검출신호들을 일정단위의 통신방식으로 수집하여 전송 처리할 수 있다.
자동이송장치(250)는 컨트롤모듈(240) 또는 물품 관리 서버(320) 또는 기타 사용자 입력을 통한 명령을 수신하면,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각 선반부(210)에 물품(1)을 적재시키거나 저장된 물품(1)을 꺼낼 수 있다. 선반부(210)에는 자동이송장치(250)가 이동할수 있도록 수직레일(211) 및 수평레일(2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동이송장치(250)로부터 전달 받은 물건(1)을 다른 장소로 이송할 수 있는 로봇장치(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물품 관리 서버(320)은 컨트럴모듈(240)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선반부(21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개별 선반부(210)의 상황을 UI(USER INTERFACE)를 통해 그래픽형태로 표시한 다음 그 설정된 명령신호에 따라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체결부(600)는 수직부재(220) 및 수평부재(230)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서, 수직부재(220)를 수평부재(230)에 안정적으로 고정 체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직부재(220)의 하단부에는 평평한 직사각형 형태의 하부지지판(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는(600)는 하부지지판(221) 및 수평부재(230)를 관통하는 동시에 수평부재(230)에 안착되는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체결부(600)는 수평부재(230)가 아닌 지면 또는 기타 지면에 형성된 지지부재에 삽입되어, 수직부재(220)를 지면 또는 지지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온도검출기(700)는 각각의 개별 선반부(210) 내에 설치되어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온도검출기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부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부재(220)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적재관리부(200)는 컨트럴모듈(240)에서 관할하는 각 개별 선반부(210)에 설치된 온도검출기(700)로 주기적으로 검출요구신호를 전송하여 개별 선반부(210)의 현재 온도데이터값을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이와같은, 실시간수집과정 후에 컨트럴모듈(240)이 그 실시간 수집된 개별랙의 현재 온도데이터값을 텍스트파일로 변환하여 물품 관리 서버(320)로 전송하는 데이터변환 전송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데이터변환 전송과정 중에 컨트럴모듈(240)가 개별랙에 설치된 온도검출기(700)의 이상유무를 3가지 색상 유형(예: 빨강, 노랑, 파랑)의 LED를 통해 표시하여 개별 선반부(210)의 이상유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물품 관리 서버(320)가 다수 개의 컨트럴모듈(240)로부터 실시간 수집된 개별 선반부(210)의 현재 온도데이터값을 분석처리한 후 모니터링화면에 UI을 통해 전체 선반부(210)의 변동상태를 그래픽형태로 구현하여 전체상황을 시각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체상황 모니터링과정에는 전체 개별 선반부(210)의 변동상태를 임계치/상한/하한값을 설정하여 색깔로 구분 표시하여 그래픽형태로 구현한 모니터링화면에서 그 색깔의 위치로 마우스를 이동할 경우 그 색깔이 지칭하는 개별 선반부(210)의 실시간 온도데이터을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체상황 모니터링과정에는 특정 개별 선반부(210)에 이상신호가 발생될 경우 이를 물품 관리 서버(320)에서 해당 개별 선반부(210)를 관할하는 컨트럴모듈(240)로 제어명령신호를 전송하고 컨트럴모듈(240)이가 물품 관리 서버(320)의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해당 개별 선반부(210)랙의 온도검출기(700)를 강제로 오프/온 시키는 강제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체상황 모니터링과정에서, 특정 개별 선반부(210)에 이상신호가 발생될 경우, 이를 물품 관리 서버(320)에서 자동이송장치(250)로 알려주어 해당 개별 선반부(210)로 자동이송장치(250)이 불필요한 이동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체결부(600)는, 헤드(610), 나사(620) 및 앵커부(6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헤드(610)는, 수직부재(220)의 하부지지판(221)에 안착된다.
나사(620)는, 헤드(610)의 하부면으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전주면을 따라 나사산(621)을 형성한다.
앵커부(630)는, 나사(620)가 상측을 통해 삽입되어 체결되어 헤드(610)가 항타됨에 따라 나사(620)와 함께 수평부재(230)에 삽입되며, 수평부재(230)에 삽입된 나사(620)가 구조물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평부재(230)에 삽입된 뒤 수평부재(230)의 내부에서 고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600)의 헤드(610)는 수용홈(611), 커버모듈(612) 및 탄성모듈(613)을 포함한다.
수용홈(611)은 내부수용 공간을 가지면, 내부수용 공간에 커버모듈(612) 및 탄성모듈(613)을 수용한다.
커버모듈(612)은 수용홈(611)에 수용되며, 나사(620)의 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사용자가 나사(620)에 힘을 가하여, 나사(62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다 나사(620)의 상단이 수용홈(611)의 위치보다 하측으로 위치하게 되면, 커버모듈(612)은 수용홈(611)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사(620)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덮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모듈(612)은 나사(620)가 뒤쪽으로 후진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나사(620)의 상단을 덮음으로써, 나사(620)를 이물질로부터 부식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모듈(613)은 커버모듈(612)이 돌출되는 경우, 커버모듈(612)의 배면에서 탄성을 제공하여 커버모듈(612)에게 힘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탄성모듈(613)은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앵커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앵커부(630)는, 삽입체(631), 다수 개의 체결 날개(632), 삽입홈(633), 체결 나사산(634), 유체 실린더(635), 다수 개의 안착홈(636) 및 다수 개의 체결 니들(637)을 포함한다.
삽입체(631)는, 항타되어 수평부재(230)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 수록 뾰족한 고깔 형태로 형성된다.
체결 날개(632)는, 삽입체(631)가 수평부재(230)의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 수록 외측 방향으로 뾰족한 상어 지느러미 형태로 형성되며, 삽입체(631)의 외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된다.
삽입홈(633)은, 나사(6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620)의 형태에 대응하여 삽입체(631)의 상부에 형성된다.
체결 나사산(634)은, 나사(620)의 나사산이 삽입홈(63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삽입홈(633)의 벽면을 따라 형성된다.
유체 실린더(635)는, 삽입홈(633)의 하측에 설치되며, 나사(620)가 삽입홈(633)을 따라 회전하면서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실린더(635)는, 유체(6353)가 수용되는 유체 하우징(6352)과 유체 하우징(6352)의 내부 공간을 압축시키는 피스톤(635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홈(636)은, 삽입체(631)의 내측으로부터 삽입체(631)의 삽입체(631)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상부 외측의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유체 공급 라인(L)을 통해 유체 실린더(635)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하측으로부터 충전된다.
체결 니들(637)은, 다수 개의 안착홈(636)에 각각 안착되며, 유체 실린더(635)로부터 안착홈(636)으로 유체가 공급되어 충전됨에 따라 유체에 의해 밀려 안착홈(636)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외부로 노출되어 수평부재(230)에 체결된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검출기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도검출기(700)는 케이스(710)와, 센서캡(740), 센서 유닛(750), 패킹(760)을 포함한다.
케이스모듈(710)는 하부 케이스모듈(720)와 상부 케이스모듈(730)로 이루어지며, 상부 케이스모듈(730)는 하부 케이스모듈(720)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를 위해, 하부 케이스모듈(720)의 측면들 상단을 따라 상부 케이스모듈(730)의 내측 하단이 끼워지는 내측으로 단차진 외측 결합부(728)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기(729)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하부 케이스모듈(720)의 외측 결합부(728)가 끼워지는 상부 케이스모듈(730)의 측면 내측 하단에는 외측 돌기(729)에 대응하여 내측 돌기(739)가 형성된다. 상부 케이스모듈(730)이 하부 케이스모듈(7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 돌기(739)의 상부 방향으로 외측 돌기(729)가 접촉하면서 서로 맞물린다. 즉, 하부 케이스모듈(720)의 외측 결합부(728)에 상부 케이스모듈(730)의 내측 하단을 끼워 누르면 내측 돌기(739)가 외측 돌기(729)를 타고 넘어 아래로 이동하고 내측 돌기(739)가 외측 돌기(729)의 아래에서 상하 방향으로 맞물려 상부 케이스모듈(730)의 이탈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외측 돌기(729) 및 내측 돌기(739)를 이용하여 하부 케이스모듈(720)에 상부 케이스모듈(730)이 고정되게 함으로써, 스크류 등의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 상하부 케이스를 서로 고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된다.
케이스모듈(710)은 센서 유닛(750)이 장착되는 베이스면(721)과 상기 베이스면(721)을 둘러싸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712)을 구비하는 데, 베이스면(721)은 케이스의 측면(712) 하단면 보다 높게 위치한다. 이에 따라 케이스모듈(710)의 베이스면(721)의 하부에는 하측 공간부(711)가 형성된다.
케이스모듈(710) 내부에서 베이스면(721)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칸막이(722)가 돌출되어 칸막이 사이의 공간인 중간부(724)를 주변부(726)와 구획시킨다. 중간부(724)에는 센서회로기판이 안착 고정되는 고정턱(723)이 형성된다.
케이스모듈(710)의 베이스면(721)의 중간부(724)에는 센서캡(740)이 삽입되는 센서캡 홀(725)이 형성된다. 센서캡(740)은 센서캡 홀(725)에 삽입되어 하측 공간부(711)로 돌출된다. 센서캡(740)은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가능한 금속재질을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
케이스모듈(710)의 베이스면(721)의 일측 주변부(726)에는 온도검출기(700)를 수직부재(220)에 고정시키는 나사가 체결되는 나사홀(727)이 형성되며, 케이스모듈(710)의 베이스면(721) 하부의 하측 공간부(711)에는 나사홀과 연통된 중공의 나사관(717)이 연장된다.
센서 유닛(750)은 케이스 베이스면(721)의 중간부(724)에 설치되는 데, 센서캡(740)에 삽입되는 센서 단자(752)와, 센서 단자(752)가 고정된 센서회로기판(754) 및 센서회로기판(754)에 적층되는 터미널 블록(756)을 포함한다. 센서회로기판(754)는 고정턱(723)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터미널 블록(756)은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센서회로기판(754)를 통해 센서 단자(7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미널 블록(756)은 전선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레버식으로 형성되는데, 레버(757)를 누른 상태에서 전선홀(758)에 전선 끝단이 삽입되고 레버(757)를 놓으면 전선 끝단이 고정된다. 전선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레버(757)를 누르면 전선이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버식 전선 고정 방식은 종래의 볼트를 이용한 고정방식에 비해 전선의 고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레버식 터미널 블록(756)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유닛(750)의 결합을 살펴보면, 센서캡(740)이 베이스면(721)의 센서캡 홀(7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센서 단자(752)가 구비된 센서회로기판(754) 및 터미널 블록(756)이 중간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데, 센서 단자(752)는 센서캡(740) 내로 삽입된다. 그리고 터미널 블록(756)은 센서회로기판(754)에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센서 유닛(750)이 중간부(724)에 고정된 상태에서 중간부(724)에는 에폭시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접착물질(759)이 충진되어 센서회로기판(754)를 덮는다. 이로 인해 센서 유닛(750)은 케이스모듈의 베이스면(721)에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되며, 센서 단자(752), 센서회로기판(754)를 외부로부터 밀페하여, 센서 단자(752)에 습기 등이 영향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모듈(710)은 베이스면(721)과 아래에 하측 공간부(711)를 가지며, 센서캡(740)은 하측 공간부(711)로 돌출된다. 케이스모듈(710)의 측면(712) 하부에는 하측 공간부(711)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714)가 형성된다. 개구(714)는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개구로 형성되며,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개구(714) 사이에는 센서캡(740) 만이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일측 개구(714)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센서캡(740)을 경유하여 반대편 개구(714)로 빠져나가는 외기 흐름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센서캡(740) 내부에 설치된 센서(752)는 외기 온도 변화에 신속하게 반응하여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케이스의 측면(712) 하단면에는 요철(715)이 형성된다. 케이스 측면(712) 하단면의 요철(715)은 결합모듈(900) 이용하여 케이스 측면(712) 하단면 사이의 마찰을 증대시켜 온도검출기(700)의 고정시 유동을 방지하면서 온도검출기(7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검출기(700)는 전선을 케이스모듈(710) 내로 인입하기 위한 패킹(760)을 더 포함한다. 케이스모듈(710)의 주변부(726)에 인접한 일 측면에는 관통홀(727)이 형성되고, 패킹(760)은 관통홀(727)에 설치된다. 터미널 블록(756)에 결합되는 전선은 패킹(760)의 관통하여 케이스모듈(710) 내부로 연장된다. 패킹(760)은 케이스모듈(7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전선을 지지한다.
사각 형상의 케이스모듈(710)에는 횡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개구(714a)와 높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개구(714b)가 형성된다. 높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개구(714a) 사이에는 나사관(717) 및 센서캡(740)이 위치하며, 횡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개구(714a) 사이에는 센서캡(740) 만이 위치한다.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개구(714a) 사이에 센서캡(740) 만이 배치된 형태로 형성된 개구(714a)를 가짐으로 센서켑(740)이 개구를 통한 공기 흐름에 직접 노출되므로, 센서캡(740)을 경유하는 공기흐름이 원활하여 센서캡(740) 내에 위치한 센서 단자(752)는 외기에 신속하게 반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재고 관리 창고시스템
100: 창고부
110: 도어부
200: 적재관리부
310: 식별 단말기
320: 물품 관리 서버
500: 출입자 식별장치
600: 체결부
700: 온도감지기

Claims (2)

  1.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창고부;
    상기 창고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다단으로 형성되어 각 단에 물품을 적재시키는 적재관리부;
    상기 창고부의 전면 벽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적재관리부 또는 상기 물품마다 부착되어 있는 식별코드 인식하여 각각의 상기 적재관리부 별로 적재된 상기 물품들의 물품 정보를 획득한 뒤, 네트워크를 통해 물품 정보를 전송하는 식별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식별 단말기에서 획득한 상기 물품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창고부에 보관된 상기 물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물품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관리부는,
    상기 창고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물품을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부; 각각의 개별 선반부 내에 설치되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기; 상기 개별 선반부에 설치된 상기 온도검출기와 연결된 선들을 몸체의 내부에 모아 공통배선처리하고 상기 선반부의 수직 구조물 중 하나로 설치되는 수직부재; 상기 선반부의 최하단 구조물 중 하나로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선반부에 설치된 온도검출기의 검출신호들을 다수개의 상기 수직부재를 경유하여 그 내부에 모아 공통배선처리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를 통해 상기 온도검출기의 검출신호들을 일정단위의 통신방식으로 수집하여 전송 처리하는 컨트럴모듈; 상기 컨트럴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상기 선반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개별 상기 선반부의 상황을 UI(USER INTERFACE)를 통해 그래픽형태로 표시한 다음 그 설정된 명령신호에 따라 조치를 취하는 상기 물품 관리 서버; 및 상기 수직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를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도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창고부 내부로 출입하는 출입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출입자 이미지를 획득하는 출입자 식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자 식별장치는,
    3D 스캐너를 포함하여, 상기 3D 스캐너를 통해 출입자의 머리 표면을 스캔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스캔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출입자 이미지가 생성되고, 상기 출입자의 이미지에 대한 흑백 전환을 통해 1차 명도 조절이 수행되고, 1차 명도 조절된 상기 출입자이미지에 대한 픽셀 전환을 통해 2차 명도 조절이 수행되며, 2차 명도 조절된 상기 출입자 이미지에 대한 이진수 전환이 수행되어, 상기 출입자 이미지를 이진화 데이터로 표현하는 촬영 수단; 상기 촬영 수단으로 출입자 접근을 감지하는 센싱부; 출입자를 상기 촬영 수단의 유효촬영거리로 유도하기 위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 발생부; 및 상기 촬영 수단,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소리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신호를 통해 상기 촬영 수단 및 상기 센싱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출입자 이미지를 블록 체인에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지지판에 안착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하부면으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 및 상기 나사가 상측을 통해 삽입되어 체결되어 상기 헤드가 항타됨에 따라 상기 나사와 함께 하부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부재에 삽입된 상기 나사가 상기 하부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부재에 삽입된 뒤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에서 고정되는 앵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며, 상기 나사의 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나사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다 상기 나사의 상단이 상기 수용홈의 위치보다 하측으로 위치하게 되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나사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덮는 커버모듈; 상기 커버모듈이 돌출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돌출탄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항타되어 상기 하부부재를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뾰족한 고깔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체; 상기 삽입체가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 수록 외측 방향으로 뾰족한 상어 지느러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체의 외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체결 날개; 상기 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삽입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나사의 나사산이 상기 삽입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의 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체결 나사산; 상기 삽입홈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나사가 상기 삽입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실린더; 상기 삽입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삽입체의 상기 삽입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상부 외측의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체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하측으로부터 충전되는 다수 개의 안착홈; 및 상기 다수 개의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유체 실린더로부터 상기 안착홈으로 유체가 공급되어 충전됨에 따라 유체에 의해 밀려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하부부재에 체결되는 다수 개의 체결 니들;을 포함하는, 재고 관리 창고시스템.

  2. 삭제
KR1020200041284A 2020-04-05 2020-04-05 재고 관리 창고구조물 KR102132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284A KR102132021B1 (ko) 2020-04-05 2020-04-05 재고 관리 창고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284A KR102132021B1 (ko) 2020-04-05 2020-04-05 재고 관리 창고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021B1 true KR102132021B1 (ko) 2020-07-08

Family

ID=7159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284A KR102132021B1 (ko) 2020-04-05 2020-04-05 재고 관리 창고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0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0494A (zh) * 2021-05-23 2021-08-10 图林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电商物流商品安置方法及系统
KR102330398B1 (ko) * 2021-04-27 2021-11-22 손규보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다기능 감시 컨테이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063B1 (ko) 2016-07-05 2018-01-30 경도비젼테크주식회사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
KR102056827B1 (ko) * 2019-08-05 2019-12-17 김종순 창고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063B1 (ko) 2016-07-05 2018-01-30 경도비젼테크주식회사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
KR102056827B1 (ko) * 2019-08-05 2019-12-17 김종순 창고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398B1 (ko) * 2021-04-27 2021-11-22 손규보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다기능 감시 컨테이너
CN113240494A (zh) * 2021-05-23 2021-08-10 图林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电商物流商品安置方法及系统
CN113240494B (zh) * 2021-05-23 2024-01-05 山东浪潮新世纪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电商物流商品安置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0541C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quantifying space within a container using a removable scanning sensor node
KR102132021B1 (ko) 재고 관리 창고구조물
US10977805B2 (en) Cloud server-based mice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1354993B2 (en) Image surveillance and reporting technology
US10375361B1 (en) Video camera and sensor integration
US10038831B2 (en) Lighting devices configurable for generating a visual signature
CN108550002B (zh) 一种银行贵金属智能盘库系统及方法
US20140253691A1 (en) Motion-capture apparatus with light-source form factor
US202202227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in a mobile-based crowdsourcing platform
US20230067154A1 (en)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KR20230008612A (ko) 창고 저장 위치의 모니터링 방법, 컴퓨터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US20200279238A1 (en) Automated Store Checkout
CN103957376A (zh) 基于移动智能终端控制红外热像探头的系统及方法
KR20190103510A (ko) 촬상 장치, 이를 포함하는 가금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902727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se alarms due to display images
US11470248B2 (en) Data compression apparatus, model generation apparatus, data compression method, model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Rajawat et al. Iot based theft detection using raspberry pi
KR101876125B1 (ko) 전자장치와 연동하는 미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3869302B (zh) 用于图像处理的控制方法及装置
CN207053671U (zh) 一种仓房智能视频监控系统
US20180213051A1 (en) Handling of event notifications in non-standard formats
Mariappan et al. A design methodology of an embedded motion-detecting video surveillance system
KR1023671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7835386A (zh) 一种视频流监控系统
KR102505737B1 (ko) 조명장치 검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