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841B1 - 어싱패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어싱패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841B1
KR102131841B1 KR1020170163957A KR20170163957A KR102131841B1 KR 102131841 B1 KR102131841 B1 KR 102131841B1 KR 1020170163957 A KR1020170163957 A KR 1020170163957A KR 20170163957 A KR20170163957 A KR 20170163957A KR 102131841 B1 KR102131841 B1 KR 102131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locking member
connection
earth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775A (ko
Inventor
강선희
Original Assignee
강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희 filed Critical 강선희
Priority to KR1020170163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8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4Leading-off electric charges, e.g. by ear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8Specially adapted for promoting wound hea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electrical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에 전도성 시트를 접지시켜 지표면의 음전하가 신체로 유입되도록 하고, 인체전위가 지구전위와 같아지도록 하는 어싱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패드와 보조패드, 연결패드 및 접지유닛으로 이루어진 어싱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패드에 상호간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단자를 구비함에 따라 사용 상태 및 사용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배치를 달리하여 그 형상을 보다 편안하게 바꿀 수 있는 어싱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싱패드 어셈블리{EARTHING PAD ASSEMBLY}
본 발명은 콘센트에 전도성 시트를 접지시켜 지표면의 음전하가 신체로 유입되도록 하고, 인체전위가 지구전위와 같아지도록 하는 어싱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패드와 보조패드, 연결패드 및 접지유닛으로 이루어진 어싱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패드에 상호간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단자를 구비함에 따라 사용 상태 및 사용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배치를 달리하여 그 형상을 보다 편안하게 바꿀 수 있는 어싱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어싱매트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84977호 『어싱용 매트』가 있는데,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종래기술은 접지 시트에 의한 간접 어싱과 접지패드부를 통해 신체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의 직접 어싱을 함으로써, 기존의 전도성 직조 직물에 피부를 맞대어 접촉함으로 이물질에 의한 전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멀티 커넥터를 통해 하나의 인출선에 복수의 접지 패드를 연결하여 신체 여러 부위에 부착하거나,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어싱용 매트를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633476호 『어싱 매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취침하거나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전시킬 수 있는 어싱 매트는 섬유원단이나 누비원단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주는 박음질되어 이룬 원단과 상기 원단 내부 하부에는 표면이 딱딱한 형태의 이루어진 제1견면과 상기 제1견면의 상층부에는 신체와 원단이 접촉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전기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어싱부재와 상기 어싱부재의 상층부에는 어싱부재를 보호함과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줄 수 있도록 표면이 부드러운 형태의 이루어진 제2견면과 상기 어싱부재의 연결되어 외부로 정전기를 방전할 수 있도록 어싱로드선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52035호 『정전기 차폐용 마우스 패드』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투명 합성수지재질이며 사각형태로 구성되는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의 배면에 부착 설치되어 상기 마우스패드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집진하여 그라운드시키는 정전기차폐부와, 상기 투명판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발광됨으로써 상기 투명판 전체가 발광되도록 한 복수개의 발광램프와, 상기 투명판의 상부에 인쇄되어 상기 발광램프의 발광으로 광고효과를 유도하는 광고문자를 포함하는 패드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92886호 『전자파 차폐 및 정전기 방지를 위한 차량용 보조매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차량 내부의 바닥재의 마모를 방지하고 먼지나 모래 또는 습기 등에 의해 차량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차량용 보조매트에 있어서, 대전 방지와 도전성 기능이 부여되도록 그레뉼 형태의 아세틸렌 블랙 입자가 충전제(filler)로서 소정 비율 첨가되어 구성되거나, 또는, 보조매트의 외부면에 아세틸렌 블랙 입자가 포함된 원료가 일정 두께만큼 코팅되어 코팅층이 형성되는; 차량용 보조매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어싱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누워있거나 바닥에 앉아서는 사용이 용이할 수 있으나, 의자에 앉거나 특정부위에 집중적으로 어싱효과를 나타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전도성 시트가 내장되어 정전기를 흡수하는 어싱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메인패드와 보조패드로 구성된 패드와,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패드 및 콘센트에 연결되어 정전기를 흡수하는 접지유닛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패드 및 연결패드에는 각각 복수개의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각각의 연결단자들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원하고자 하는 모양으로 그 배열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어싱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연결단자 중 일부는 수연결단자로 구성되고, 나머지는 암연결단자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어싱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싱패드 어셈블리는
전도성 시트가 내장되어 신체와 접촉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하는 어싱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메인패드와 보조패드로 이루어지는 패드;
상기 메인패드와 보조패드를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패드;
상기 메인패드와 보조패드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접지단자와, 콘센트에 연결되는 접지플러그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접지단자와 상기 접지플러그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으로 구성된 접지유닛;
상기 패드와 연결패드에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는 연결단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싱패드 어셈블리는
메인패드와 보조패드로 이루어지는 패드와, 상기 메인패드와 보조패드를 연결하는 연결패드, 상기 패드에 구비되어 정전기를 흡수하도록 이루어지는 접지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패드와 연결패드에는 각각 복수개의 연결단자가 구비되되 상기 복수개의 연결단자가 선택에 의해 서로간에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사용자의 자세 및 어싱을 원하는 부위에 따라 손쉽게 어싱패드 어셈블리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어싱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단자는 암연결단자와 수연결단자로 이루어져, 손쉽게 원터치 방식으로 상호간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싱패드 어셈블리의 결합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싱패드 어셈블리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싱패드 어셈블리의 실시도
도 4 내지 도 6운 본 발명에 따른 어싱패드 어셈블리의 실시예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어싱패드 어셈블리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어싱패드 어셈블리(P)는 패드(10), 연결패드(20), 접지유닛(30), 연결단자(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의 패드(10)는 매트, 방석, 쿠션 등의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패드(10) 및 연결패드(20)는 전도성 시트와 이를 감싸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도성 시트는 금속사 또는 탄소섬유로 직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10)에 있어서, 어싱면(11)과 바닥면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어싱패드(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싱면(11)에 신체를 접촉시키는 것으로서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싱면(11)을 닥섬유로 구성함에 따라 흡습/속건성 효과, 원적외선 방출효과, 아토피 완화 및 예방효과, 향균효과, 숙면유도효과, 소취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패드(10)는 메인패드(13)와 보조패드(15)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메인패드(13)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메인패드(13)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보조패드(15)는 상기 메인패드(13)보다는 작은 크기로 구성되며, 이들은 서로 크기의 차이만 있을 뿐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패드(15)는 하나 이상으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메인패드(13)와 보조패드(15)를 상호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패드(20)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연결패드(20)가 제1 연결패드(21)와 제2 연결패드(22)로 구성된 2개의 수량을 도시하였으나, 이 또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패드(20)의 크기 및 길이 또한 변경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패드(20) 또한 상기 패드(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어싱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패드(10)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지유닛(3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접지유닛(30)은 접지플러그(31), 제1 및 제2 접지단자(35) 및 연결라인(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상기 제1 및 제2 접지단자(35)는 각각 메인패드(13)와 보조패드(15)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먼저 상기 메인패드(13)의 일측에는 제1 접지단자(33)가 구비되고, 보조패드(15)에 일측에도 제2 접지단자(35)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접지단자(33)와 제2 접지단자(35)는 모두 스냅단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술하는 연결라인(37)의 일측이 암단자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접지단자(35)는 모두 수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 접지단자(33)와 제2 접지단자(35)는 모두 내부의 전도성 시트와 접촉되는 것으로서, 정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도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접지단자(35)는 각각 메인패드(13)와 보조패드(15)의 테두리부분에 구비되어 연결라인(37)을 결합시키는 경우에 연결라인(37)이 패드(10) 내부에 유입되어 불편함을 야기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각각의 메인패드(13)와 보조패드(15)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제1 접지단자(33) 또는 제2 접지단자(35)에는 연결라인(37)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라인(37)의 타단에는 외부콘센트에 꽂힌 접지플러그(31)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정전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접지플러그(31)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접지플러그(31)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콘센트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일측에 콘센트(국내에는 220V 모양)에 맞게 형성되는 끼움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라인(37)이 결합될 수 있는 접지연결부(313)가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접지연결부(313)와 연결라인(37)의 양단부는 앞서 언급한 접지단자와 동일하게 스냅단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접지유닛(30)에 의해 상기 외부 콘센트와 패드(10)를 연결함으로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접지유닛(30)이 정상동작을 하여 패드(10)의 어싱상태를 확인하는 테스터기(39)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도 3 참조)
상기 테스터기(39)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접지플러그(31)가 연결된 콘센트에 테스터기(39)의 플러그를 꽂고, 스위치를 작동한다.
스위치를 작동하여 테스터기(39)에 중간 노란불이 들어오면 콘센트까지 접지는 연결된 것이고, 상기 테스터기(39)의 후면에 있는 접촉부를 패드(10)의 접지면에 접촉하여 녹색불이 켜지면, 상기 패드(10)가 어싱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고장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패드(10) 및 연결패드(20)를 상호간에 서로 결합하여, 사용자의 자세 및 보다 집중적으로 어싱효과를 보기 위하여 다양하게 그 모양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단자(4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단자(4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냅단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단자(40)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서 상기 메인패드(13)와 연결패드(20) 및 보조패드(15)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수면상태 또는 착석상태 또는 어싱 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각각의 패드(10)의 배치를 달리하여 서로 다른 형상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연결단자(40)들을 서로 착탈 결합하기 위하여 이 연결단자(40)들 중 일부는 암연결단자(40)로 구성하고, 일부는 수연결단자(40)로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접지단자와 연결단자(40)는 모두 스냅단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연결라인(37)을 패드(10)에 결합함에 있어 연결단자(40) 또는 접지단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결합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접지단자와 연결단자(40)를 구분한 것일 뿐 그 형상은 모두 동일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상기 연결단자(40)의 결합방식을 달리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각각의 패드(10)의 배치를 달리하여 형상을 변경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1 실시예로서, 목부분, 등부분 및 정강이부분을 어싱하기 위하여,(도 4 참조)
상기 패드(10)의 가로방향의 연결단자(40)를 하나의 연결패드(20)와 연결하고, 이 연결패드(20)에 또 다른 연결패드(20)를 연결함으로서 길이를 연장시킨 후, 다시 보조패드(15)를 결합하는 형상으로 메인패드(13)는 목과 등을 어싱하고, 상기 보조패드(15)로 정강이부분에 접촉시킴으로서 함께 어싱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 때 상기 메인패드(13)와 보조패드(15)의 어싱면(11)은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로서, 하반신의 히프와 상반신의 가슴을 동시에 어싱하는 것으로서,(도 5 참조)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상기 보조패드(15)와 연결패드(20)의 결합위치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3 실시예로서 등과 머리부분을 동시에 어싱하는 것으로서,(도 6 참조)
상기 연결패드(20)를 상기 보조패드(15) 일측에 나란하게 결합하고, 보조패드(15)를 상기 연결패드(20)에 결합시킴에 따라 머리부분은 보조패드(15)가 어싱하고, 등 부분은 메인패드(13)가 어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동작하는 것으로서, 이와 달리 의자 등에 착석하는 경우에는 메인패드(13)만 사용하여 몸을 감쌀 수 있도록 하고,
발바닥이나 머리만 집중적으로 어싱하는 경우에는 보조패드(15)만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들과 달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도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접지단자 및 연결단자(40)의 위치 및 개수 또한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나아가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어싱패드 어셈블리(P)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나라별 콘센트 형상의 차이에 따라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변형된 접지플러그(3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접지플러그(31)는 끼움부(311)가 형성된 제1 본체(31A)와, 상기 접지연결부(313)가 구비된 제2 본체(31B)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본체(31A)를 제2 본체(31B)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잠금유닛이 형성된다.
따라서 나라별 콘센트의 형상에 따라 제1 본체(31A)를 선택하여 제2 본체(31B)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으며,
도 8은 상기 잠금유닛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잠금유닛(K)은 제1 잠금부재(K10)와, 상기 제1 잠금부재(K10)에 안착되는 제2 잠금부재(K20) 및 상기 제1 잠금부재(K10)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잠금부재(K10)와 제2 잠금부재(K20)를 서로 결합하는 록킹부재(K3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 잠금부재(K10)와 제2 잠금부재(K20)는 각각 제1 본체(31A)와 제2 본체(31B)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 잠금부재(K10)와 제2 잠금부재(K20)가 서로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다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잠금부재(K10)는 제2 잠금부재(K20)가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고정부(K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고정부(K11)는 측부면과 하단면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단턱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고정부(K11)의 하단면에는 누름홀(K111)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홀(K111)을 통하여 상기 제1 잠금부재(K10)에 구비되는 눌림부재(K12)가 일부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눌림부재(K12)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눌림부재(K12)는 상기 누름홀(K111)을 통해 일부 노출되는 눌림돌기(K121)와, 상기 눌림돌기(K121)의 하단부가 내삽되어 상기 눌림돌기(K121)가 승하강할 수 있게 이루어진 눌림케이싱(K12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눌림케이싱(K122)의 내부에는 상기 눌림돌기(K121)의 하단면에 밀착되어 상기 눌림돌기(K121)가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받을 수 있는 제1 탄성체(K123)가 더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2 잠금부재(K20)의 누름돌기(K21)가 상기 눌림돌기(K121)를 가압하면, 상기 눌림돌기(K121)가 하강하여 상기 제1 잠금부재(K10)의 내부로 들어가 상기 눌림케이싱(K122)이 상기 제1 잠금부재(K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상기 눌림케이싱(K122)이 슬라이딩 이동을 하기 위해, 상기 제1 잠금부재(K10)의 내부에는 별도의 통로가 구성되는 것은 자명하며, 후술하는 제1 마그넷(K13)과 제2 마그넷(K124)의 인력의 힘을 통하여 상기 눌림케이싱(K122)이 제1 잠금부재(K10)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잠금부재(K10)의 내부,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고정부(K11)의 측부면을 따라 아래로 가상의 연장선을 연결하는 제1 잠금부재(K10)의 하단면 내부에는 제1 마그넷(K1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눌림케이싱(K122)의 일측, 즉 상기 제1 마그넷(K13) 방향에는 제2 마그넷(K124)이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마그넷(K13)과 제2 마그넷(K124)은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눌림돌기(K121)가 누름홀(K111)을 통해 일부 노출됨에 따라 상기 눌림케이싱(K122)이 슬라이딩 이동을 하지 못하여 인력의 의미가 없지만, 상기 제2 잠금부재(K20)의 누름돌기(K21)가 상기 눌림돌기(K121)를 누르면, 상기 눌림케이싱(K122)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고, 이 때 상기 제1 마그넷(K13)이 제2 마그넷(K124)을 끌어 당겨, 눌림케이싱(K122)을 제1 마그넷(K13)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눌림케이싱(K122)이 제1 마그넷(K13)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눌림케이싱(K122) 하단에 형성되는 푸쉬돌기(K122a)가 상기 록킹부재(K30)를 동작하고, 이 록킹부재(K30)의 록킹바(K33)가 상기 제2 잠금부재(K20)의 록킹홈(K23)에 내삽되어 제2 잠금부재(K20)를 고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상기 제1 마그넷(K13)과 제2 마그넷(K124) 하단부에는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이 공간에 푸쉬돌기(K122a)가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푸쉬돌기(K122a)는 상기 눌림케이싱(K122) 하단에서 일측방향, 즉 록킹부재(K30)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푸쉬돌기(K122a)의 단부가 상기 제1 마그넷(K13)을 넘어가지 않도록 길이가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눌림케이싱(K122)이 제1 마그넷(K13)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눌림돌기(K121)가 상기 제1 마그넷(K13)의 가상의 경계선을 넘어 슬라이딩 이동하고, 이 때 상기 록킹부재(K30)를 가압하여 동작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록킹부재(K30)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제2 잠금부재(K20)에 대하여 설며하면,
상기 제2 잠금부재(K20)는 일측에 록킹홈(K23)이 형성되고, 하부에 누름돌기(K21)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고정부(K11)에 안착되면, 자연스럽게 누름돌기(K21)가 누름홀(K111)에 내삽되어, 누름홀(K111)을 통해 일부 노출되어 있는 눌림돌기(K121)를 가압하는 구조를 갖으며,
이렇게 결합되면 상기 록킹홈(K23)이 후술하는 록킹부재(K30)의 록킹바(K33)가 내삽되는 구조를 갖는다.
다시, 상기 록킹부재(K3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록킹부재(K30)는 상기 제1 잠금부재(K10)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결합고정부(K11)의 측부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K35)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바(K32)와, 상기 연결바(K32) 하단에 제1 힌지축(K34)으로 힌지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푸쉬바(K31), 상기 연결바(K32) 상단에 제2 힌지축(K36)을 통하여 힌지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록킹바(K33)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K35)을 기준으로 연결바(K32)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푸쉬바(K31)와 록킹바(K33)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 결과 상기 눌림케이싱(K122)이 제1 마그넷(K13)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푸쉬돌기(K122a)가 상기 푸쉬바(K31)를 밀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록킹바(K33)는 상기 결합고정부(K11) 측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잠금부재(K20)의 록킹홈(K23)에 내삽됨으로서, 이들을 서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록킹바(K33)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상기 제2 잠금부재(K20)의 록킹홈(K23)에는 격벽부(K22)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K22) 맞은편에 제2 당김부재(K24)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당김부재(K24)의 단부에 제4 마그넷(K24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록킹바(K33)의 단부에는 상기 제4 마그넷(K243)과 인력이 작용하는 제3 마그넷(K331)이 더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록킹바(K33)가 록킹홈(K23)에 내삽되면, 상기 록킹바(K33)의 단부의 제3 마그넷(K331)과, 제2 당김부재(K24)의 제4 마그넷(K243)이 서로 인력에 의해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여 임의로 록킹바(K33)가 록킹홈(K23)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K22)는 인력이 통과될 수 있도록 얇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격벽부(K22)가 없는 경우, 상기 록킹바(K33)를 록킹홈(K23)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제4 마그넷(K243)이 딸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제1 잠금부재(K10)와 제2 잠금부재(K20)는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바, 이들을 서로 분리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이들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제2 잠금부재(K20)에 구비되는 안전장치를 해제(제3 마그넷(K331)과 제4 마그넷(K243)을 서로 멀리 이격시키는 동작)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앞서 잠깐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잠금부재(K20)에는 제2 당김부재(K24)가 더 구비되게 된다.
상기 제2 당김부재(K24)는 제2 당김끈(K241)과, 제2 당김끈(K241)에 구비되는 제2 당김고리(K242) 및 제4 마그넷(K243)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당김끈(K241)은 격벽부(K22)를 기준으로 상기 록킹홈(K23) 반대쪽에 위치하며, 그 양 단부에는 각각 제4 마그넷(K243)과 제2 당김고리(K242)가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2 당김고리(K242)는 상기 제2 잠금부재(K20)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안전장치를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제2 당김고리(K242)를 당기게 되고, 이러한 동작으로 자연스럽게 제4 마그넷(K243)이 제3 마그넷(K331)으로부터 멀어져 서로 인력이 작용되지 않게 된다.
다시 제2 잠금부재(K20)를 제1 잠금부재(K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록킹바(K33)를 록킹홈(K23)으로부터 이탈시켜야 하는 바,
이는 궁극적으로 상기 눌림케이싱(K122)을 원위치시킴으로서 해결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잠금부재(K10)에는 제1 당김부재(K15)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당김부재(K15)는 제2 당김부재(K24)와 유사하게 일단부는 눌림케이싱(K122)에 고정되고, 타단부에 제1 당김고리(K152)가 구비되는 제1 당김끈(K15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당김고리(K152)는 상기 제1 잠금부재(K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당김고리(K152)를 당기면 상기 제1 마그넷(K13)과 제2 마그넷(K124)이 점차 이격되고, 상기 눌림돌기(K121)가 누름홀(K111)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 탄성체(K12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눌림돌기(K121)가 상승하여 누름홀(K111)에 위치하는 누름돌기(K21)를 밀면서 누름홀(K111)에 일부 노출되도록 원위치 된다.(이 때 제1 탄성체(K123)의 탄성력 만으로는 상기 제2 잠금부재(K20)를 상승시킬 수 없으나, 이는 분리과정의 하나로서, 제1 당김부재(K15)를 당기면서 제2 잠금부재(K20)를 제1 잠금부재(K10)로부터 이탈시키는 외력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바(K31)의 일측(상기 푸쉬돌기(K122a)의 반대방향)에는 제2 탄성체(K37)가 구비되어, 상기 푸쉬바(K31)를 푸쉬돌기(K122a)방향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록킹바(K33)가 원위치(록킹홈(K23)으로부터 빠져나와 다시 제1 잠금부재(K1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동작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각의 동작은 서로 연계하여 동시에 일어나는 것으로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어싱패드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어싱패드 어셈블리 10 : 패드
11 : 어싱면 13 : 메인패드
15 : 보조패드 20 : 연결패드
21 : 제1 연결패드 22 : 제2 연결패드
30 : 접지유닛 31 : 접지플러그
311 : 끼움부 313 : 접지연결부
31A : 제1 본체 31B : 제2 본체
33 : 제1 접지단자 35 : 제2 접지단자
37 : 연결라인 39 : 테스터기
40 : 연결단자

Claims (4)

  1. 전도성 시트가 내장되어 신체와 접촉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하는 어싱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메인패드(13)와 보조패드(15)로 이루어지는 패드(10);
    상기 메인패드(13)와 보조패드(15)를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패드(20);
    상기 메인패드(13)와 보조패드(15)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접지단자(33)(35)와, 콘센트에 연결되는 접지플러그(31)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접지단자(33)(35)와 상기 접지플러그(31)를 연결하는 연결라인(37)으로 구성된 접지유닛(30);
    상기 패드(10)와 연결패드(20)에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는 연결단자(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지플러그(31)는 끼움부(311)가 형성된 제1 본체(31A)와, 상기 연결라인(37)이 결합되는 접지연결부(313)가 구비된 제2 본체(3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본체(31A)를 제2 본체(31B)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잠금유닛이 더 구비되며,

    상기 잠금유닛(K)은
    제1본체(31A)에 구비되는 제1 잠금부재(K10)와, 상기 제1 잠금부재(K10)에 안착되도록 제2 본체(31B)에 구비되는 제2 잠금부재(K20) 및 상기 제1 잠금부재(K10)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잠금부재(K10)와 제2 잠금부재(K20)를 서로 고정시키는 록킹부재(K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잠금부재(K10)는
    상기 제2 잠금부재(K20)가 안착되는 결합고정부(K11)와, 상기 결합고정부(K11) 하단면에 일부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일측으로 푸쉬돌기(K122a)가 형성된 눌림부재(K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잠금부재(K20)는 록킹홈(K2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고정부(K11)에 안착되면 상기 눌림부재(K12)의 상부를 가압하는 누름돌기(K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부재(K30)는
    상기 제1 잠금부재(K10)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바(K32)와, 상기 연결바(K32)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푸쉬돌기(K122a)의 단부방향에 위치하는 푸쉬바(K31), 상기 연결바(K32)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결합고정부(K11) 측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록킹바(K3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2 잠금부재(K20)가 눌림부재(K12)를 가압하면, 상기 제1 잠금부재(K10)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넷(K13)과 상기 눌림부재(K12)에 구비되는 제2 마그넷(K124)의 인력으로 상기 눌림부재(K12)가 제1 마그넷방향(K13)으로 이동하여 푸쉬돌기(K122a)가 상기 푸쉬바(K31)를 밀고, 상기 연결바(K32)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록킹바(K33)가 상기 제2 잠금부재(K20)에 구비되는 록킹홈(K23)에 내삽되어 제1 잠금부재(K10)와 제2 잠금부재(K2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싱패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단자(40)는
    상호간에 체결 가능하도록 일부는 수연결단자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암연결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싱패드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유닛(30)에는
    어싱패드의 어싱상태를 확인하는 테스터기(39)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싱패드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단자(40)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서 상기 메인패드(13)와 연결패드(20) 및 보조패드(15)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자세 또는 어싱 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각각의 패드의 배치를 달리하여 서로 다른 형상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싱패드 어셈블리.
KR1020170163957A 2017-12-01 2017-12-01 어싱패드 어셈블리 KR102131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957A KR102131841B1 (ko) 2017-12-01 2017-12-01 어싱패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957A KR102131841B1 (ko) 2017-12-01 2017-12-01 어싱패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775A KR20190064775A (ko) 2019-06-11
KR102131841B1 true KR102131841B1 (ko) 2020-07-08

Family

ID=6684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957A KR102131841B1 (ko) 2017-12-01 2017-12-01 어싱패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8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228Y1 (ko) 2001-12-27 2002-03-15 손상호 조립식 온열매트
KR200484977Y1 (ko) * 2016-05-13 2017-11-15 문석금 어싱용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937A (ko) * 2005-05-04 2005-09-07 김양선 안마와 찜질 겸용 소파
KR101834437B1 (ko) * 2015-12-02 2018-04-13 최승현 접지 확인 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228Y1 (ko) 2001-12-27 2002-03-15 손상호 조립식 온열매트
KR200484977Y1 (ko) * 2016-05-13 2017-11-15 문석금 어싱용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775A (ko)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0854B2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having a rotatable socket
US7327547B1 (en) Circuit element and use thereof
US6231358B1 (en) Electrical plug and receptacle having safety features
US20140259398A1 (en) Conductive Exercise or Sleep Mat for Grounding a User
US9700144B2 (en) Stuffed chair with one or more seats, in particular armchair or couch
EP1519667B1 (en) Device for locking a flexible laminar element to a frame
CN105552637B (zh) 抵抗被给予的滥用负载的负载分配设备和i/o架构
KR102131841B1 (ko) 어싱패드 어셈블리
KR101882304B1 (ko) 인체 접지 및 전자파 배출 전기매트
US6987659B1 (en) Plug and circuitry for grounding an element
US9986845B1 (en) Net fixing structure of chair
KR200492383Y1 (ko) 어싱매트
US20230217578A1 (en) Grounded mattress
KR200488923Y1 (ko) 패드 교체형 매트
US6842912B1 (en) Expandable trouser belt
JP2008229315A (ja) 荷重分散可能な回転椅子の脚部構造
US10151459B2 (en) LED holder
CN208782103U (zh) 一种自带复位弹性臂的插座保护门结构
KR20170001022A (ko) 버튼식 콘센트
KR20120012501A (ko) 방수/ 밀폐식 매트와 발매트
CN211268822U (zh) 一种鞋体
CN209883691U (zh) 一种双位被角固定器
KR102461175B1 (ko)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TWM488256U (zh) 椅子扶手結構
CN218280323U (zh) 一种按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