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175B1 -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 Google Patents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175B1
KR102461175B1 KR1020210113826A KR20210113826A KR102461175B1 KR 102461175 B1 KR102461175 B1 KR 102461175B1 KR 1020210113826 A KR1020210113826 A KR 1020210113826A KR 20210113826 A KR20210113826 A KR 20210113826A KR 102461175 B1 KR102461175 B1 KR 102461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conductor
insole
exposed
middle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남
Priority to KR1020210113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earthing or groun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wedge-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신발을 통하여 지면으로 상시적으로 방출할 수 있고, 정전기 방전 기능을 가지면서도 신축성을 부가할 수 있어 쿠션감을 향상시키며,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여 디자인적 요소도 충족시킬 수 있는,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웃 솔 부재; 상기 아웃 솔 부재에서 정전기가 바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일부가 내측 및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아웃 솔 도전체;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미들 솔 부재; 상기 미들 솔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아웃 솔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미들 솔 도전체; 상기 미들 솔 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인 솔 부재; 및 상기 인 솔 부재에 구비되고, 하측은 상기 미들 솔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고, 상측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인 솔 도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솔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SOLE ASSEMBLY OF SHOES HAVING STATIC ELECTRICITY PREVENTION FUNCTION AND SHOES INCLUDING THE SOLE ASSEMBLY}
본 발명은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신발을 통하여 지면으로 상시적으로 방출할 수 있고, 정전기 방전 기능을 가지면서도 신축성을 부가할 수 있어 쿠션감을 향상시키며,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여 디자인적 요소도 충족시킬 수 있는,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신체 자체가 도전체이기 때문에 미약하지만 항상 일정량의 전하를 띠고 있어 다른 어떤 도전체와 접촉을 하게 되면 전하끼리 충돌하여 정전기가 발생되면서 전하량이 소멸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동절기와 대기가 건조할 때 정전기 현상이 심해지는데, 사람을 포함한 각종 도전체는 사람의 체질이나 도전체의 재질에 따라 정전기 현상이 심하게 나타날 수도 있고, 오히려 감소하기도 하는데 사람에게 있어 정전기 현상은 많은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자연현상인 정전기 현상은 산업현장에서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특수한 공장에서는 필수적으로 제전설비를 갖추기도 한다.
즉, 인화성이 높아 폭발 위험성이 있는 작업현장이나 정전기에 약한 반도체 소자를 생산하는 전기전자통신업체 등에서는 각종 설비에 제전방지 기능을 갖는 설비를 설치하기도 하고 신체에 제전의류를 착용하도록 하는 등의 정전기 방지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각종 산업현장 중 일부 생산라인을 제외하고는 작업자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람의 신체를 통해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최소화시켜줄 필요성이 있고, 이를 위해서는 각종 의류는 물론이고 착용하는 신발, 특히 안전화에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정전기 발생을 방지 내지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되었던 다양한 신발 또는 신발용 깔창이 있었다. 즉, 많은 사람들이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이나 깔창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하 대표적인 정전기 방지를 위한 신발에 관련한 종래기술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4092호의 "정전기 방지용 신발"(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이 있으며, 도 1은 종래기술 1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종래기술 1의 경우 신발에 신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수단이 마련되되, 중창과 바닥창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도전판과, 상기 도전판의 전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바닥창에 형성된 호울을 관통하는 것에 의해 대지와 접촉하는 접지부재와, 상기 도전판의 후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대지로부터 역류되는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전류 방지부재와, 상기 역전류 방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신발 뒤축 내주연에 대접하여 발뒷꿈치와 접면하는 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 1의 경우 지면과 접지가 가능하도록 바닥창 하면으로 노출되는 방전핀을 설치하도록 하는데, 신발을 착용하다보면 바닥창이 닳게 되거나 변형이 일어남에 따라 방전핀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7992호의 "정전기방지용 신발창"(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이 있었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따른 정전기방지용 신발창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 2는 도전사(1)가 앞축과 뒤축에 상부면과 하부면에 노출되게 봉착된 인솔(2)과, 상기 도전사(1)와 도통되는 미드솔(3) 및 아웃솔(5)로 구성되고, 상기 미드솔(3)의 앞축과 뒤축의 상부 면에 도전스펀지(4)가 설치되고, 상기 아웃솔(5)은 도전고무로 이루어져 미드솔(3)의 앞축과 뒤축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도전스펀지(4)와 아웃솔(5)은 미드솔(3)에 관통된 도전사(6)에 의해 상호 도통되는 구조를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인솔(2)과 도전스펀지(4)와 미드솔(3) 및 아웃솔(5)은 일체로 동시 성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2는 신발창의 미드솔 및 아웃솔이 폴리우레탄 수지에 대전방지제가 혼합되어 성형된 것이므로 쉽게 변색되는 문제점, 및 폴리우레탄에 의해 저항값이 비교적 높아 정전기를 바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기능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적 저항이 낮아 도전성이 우수하고 쉽게 변색되지 않는 도전고무를 미드솔 및 아웃솔에 직접 적용하려고 하였지만 상기 도전고무가 고가이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되어 적용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기술 2는 신발을 착용함에 따라 신발창의 변형 등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74092(2002.05.0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67992(2007.10.1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14627(2018.11.06.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51233(2008.06.11.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신발을 통하여 지면으로 상시적으로 방출할 수 있고, 정전기 방전 기능을 가지면서도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어 착용감을 향상시키며,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여 디자인적 요소도 충족시킬 수 있는,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신발에 포함되는 솔(sole) 어셈블리로서, 아웃 솔 부재; 상기 아웃 솔 부재에서 정전기가 바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일부가 내측 및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아웃 솔 도전체;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미들 솔 부재; 상기 미들 솔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아웃 솔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미들 솔 도전체; 상기 미들 솔 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인 솔 부재; 및 상기 인 솔 부재에 구비되고, 하측은 상기 미들 솔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고, 상측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인 솔 도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솔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아웃 솔 도전체는, 파형의 스트랩(strap)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 솔 부재에 매립되되, 상향 융기부가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도전부; 및 상기 아웃 솔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부가 돌출되며, 상부는 상기 제1 도전부의 하향 융기부의 배면에 고정되는 로드 형태(rod shape)의 제2 도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아웃 솔 도전체는, 파형의 스트랩(strap)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 솔 부재에 매립되되, 하향 융기부는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도전부; 파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 솔 부재에 매립되되, 하향 융기부는 상기 제1 도전부의 상향 융기부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향 융기부는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도전부; 및 하부가 상기 아웃 솔 부재의 하면에서 노출되며, 상부는 상기 제1 도전부의 하향 융기부의 배면에 고정되는 로드 형태의 제3 도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아웃 솔 도전체는, 파형의 스트랩(strap)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 솔 부재에 매립되게 구비되는 제1 도전부; 하면이 상기 제1 도전부의 상향 융기부에 접하고, 상면이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상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선형 스트랩으로 형성되는 제2 도전부; 및 하부가 상기 아웃 솔 부재의 하면에서 노출되며, 상부는 상기 제1 도전부의 하향 융기부의 배면에 고정되는 로드 형태의 제3 도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부 및 제2 도전부는 상기 아웃 솔 부재의 길이방향이나 폭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거나 격자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아웃 솔 도전체는,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를 따라 라운드지게 상기 제1 도전부의 양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외면이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노출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미들 솔 도전체는, 판상의 스트랩(strap) 형태로 형성되고 하면이 상기 아웃 솔 도전체의 상향 융기부에 접촉되며, 상면은 상기 미들 솔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미들 솔 도전체는, 파형의 스트랩(strap) 형태로 형성되되, 하향 융기부는 상기 아웃 솔 도전체의 상향 융기부에 접촉되며, 상향 융기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미들 솔 도전체는, 상단부가 상기 미들 솔 부재의 상면으로 노출되고, 하단부는 아웃 솔 도전체의 상향 융기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구성되거나, 가장자리 또는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상기 아웃 솔 도전체의 상향 융기부에 접하며, 중앙부의 상면은 상기 미들 솔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는 판스프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인 솔 도전체는, 상단부가 상기 인 솔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는 상기 인 솔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미들 솔 도전체에 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 솔 도전체의 상단부는 돔형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인 솔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아웃 솔 도전체와 미들 솔 도전체 및 인 솔 도전체 각각은 인서트 사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제1 관점에 따른 신발 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신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인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신발을 통하여 지면으로 방출할 수 있어 상시적이고 효과적으로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정전기 방전 기능을 가지면서도 정전기 방전 기능을 갖는 구성부 자체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쿠션감과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방전 기능을 갖는 구성부를 통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여 디자인적 요소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일부 구성부가 방전 기능부로서 기능을 함과 동시에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부로서 기능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전기 방지용 신발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전기 방지용 신발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미들 솔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인 솔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표현은 서수적 표현이 아니라 기수적 표현이다. 다시 말해서, 제1, 제2 등의 표현은 구성부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 표기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미들 솔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미들 솔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인 솔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는,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에 포함되는 솔(sole) 어셈블리로서, 크게 아웃 솔 부재(100); 아웃 솔 도전체(110), 미들 솔 부재(200); 미들 솔 도전체(210); 인 솔 부재(300); 및 인 솔 도전체(3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는,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에 포함되는 솔(sole) 어셈블리로서, 아웃 솔(out sole) 부재(100); 상기 아웃 솔 부재(100)에서 정전기가 바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일부가 내측 및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아웃 솔 도전체(110); 상기 아웃 솔 부재(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미들 솔(middle sole) 부재(200); 상기 미들 솔 부재(200)에 구비되되 상기 아웃 솔 도전체(110)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구비되는 미들 솔 도전체(210); 상기 미들 솔 부재(200)의 상면에 구비되는 인 솔 부재(in sole)(300); 및 상기 인 솔 부재(300)에 구비되되 하측은 상기 미들 솔 도전체(210)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고, 상측은 사용자의 발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인 솔 도전체(310);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 솔(out sole) 부재(100)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밑창 또는 겉창이라고도 불리는 솔 구성부로서, 신발을 신고 뛰거나 걸을 때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이며, 본 발명의 아웃 솔 부재(100)는 아웃 솔 도전체(110)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아웃 솔 도전체(110)는 상기 아웃 솔 부재(10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인 솔 도전체(310)와 미들 솔 도전체(210)와 도전되어 정전기를 바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웃 솔 도전체(110)는 일 실시 형태로, 파형의 스트랩(strap)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 솔 부재(100)에 매립되되, 상향 융기부(111a)의 상면이 아웃 솔 부재(100)의 상면 측으로 노출되는 제1 도전부(111), 및 하부가 아웃 솔 부재(100)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되며, 상부는 상기 제1 도전부(111)의 하향 융기부(111b)의 배면에 고정되는 로드 형태(rod shape)의 제2 도전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부(111)는 아웃 솔 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폭방향(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과 폭방향에 대하여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아웃 솔 도전체(110)는 상기 인 솔 도전체(310)와 미들 솔 도전체(210)과 도전되어 착용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바닥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아웃 솔 도전체(110) 자체가 갖는 탄성력으로 아웃 솔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웃 솔 도전체(110)는 다른 실시 형태로, 파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 솔 부재(100)에 매립 구비되되, 하향 융기부는 상기 제1 도전부(111)의 상향 융기부(111a)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향 융기부는 아웃 솔 부재(100)의 상면 측으로 노출되는 제3 도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른 실시 형태의 상기 아웃 솔 도전체(110)는, 파형의 스트랩(strap)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 솔 부재(100)에 매립되되, 상향 융기부(111a)의 상면이 아웃 솔 부재(100)의 상면 측으로 노출되는 제1 도전부(111)와, 파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 솔 부재(100)에 매립 구비되되, 하향 융기부는 상기 제1 도전부(111)의 상향 융기부(111a)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향 융기부는 아웃 솔 부재(100)의 상면 측으로 노출되는 제3 도전부, 및 하부가 아웃 솔 부재(1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부는 상기 제1 도전부(111)의 하향 융기부(111b)의 배면에 고정되는 로드 형태의 제2 도전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 형태의 아웃 솔 도전체(110)는 상기한 일 실시 형태의 아웃 솔 도전체(110)에 비하여 아웃 솔 도전체(110) 자체가 갖는 탄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일 실시 형태와 다른 실시 형태의 아웃 솔 도전체(110)는 상기 제2 도전부(112) 대신에 상기 제3 도전부의 형상의 것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3 도전부는 상기 제1 도전부(111)와 평행한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웃 솔 도전체(110)는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한 일 실시 예의 제1 도전부(111)의 상향 융기부(111a)가 하면에 접속되고, 상면이 아웃 솔 부재(10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선형 스트랩으로 형성되는 제4 도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도전부는 상기 제1 도전부(111)와 평행한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평행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모두로 형성(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웃 솔 도전체(110)의 제1 도전부(111)가 아웃 솔 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복수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아웃 솔 부재(110)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를 따라 라운드지게 상향 연장되되 외면이 아웃 솔 부재(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노출 연장부(11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아웃 솔 도전체(110)의 노출 연장부(111c)는 정전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복수의 라인형 패턴을 제공함으로써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2 도전부(112)는 하부가 아웃 솔 부재(1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부는 상기 제1 도전부(111)의 하향 융기부(111b)의 배면에 연결되는 로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가 아웃 솔 부재(100)의 밑면보다 약간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도전부(112)는 하부가 아웃 솔 부재(100)의 밑면보다 약간 더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지면과 확실하게 접촉되게 된다.
상기한 아웃 솔 도전체(110)는 아웃 솔 부재(100)에 인서트 사출되어 구성된다.
상기 미들 솔 부재(200)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중창이라고도 불리는 솔 구성부로서, 신발의 아웃 솔 부재(100)와 인 솔 부재(300) 사이에 구비되어 쿠션 기능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미들 솔 부재(200)는 미들 솔 도전체(210)가 일체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미들 솔 도전체(210)는 상기 미들 솔 부재(200)에 구비되되 상기 아웃 솔 도전체(110)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들 솔 도전체(210)는 일 실시 형태로 상기 미들 솔 부재(200)에 스트랩(strap) 형태로 형성되어 하면이 상기 아웃 솔 도전체(110)의 상향 융기부(111a)에 접촉되며, 상면은 미들 솔 부재(200)의 상면에서 노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일 실시 형태의 미들 솔 도전체(210)는 미들 솔 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거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에 대하여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미들 솔 도전체(210)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한 아웃 솔 도전체(110)와 같이 파형의 스트랩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미들 솔 도전체(210)가 다른 실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인 솔 부재(300) 하방에서 작용하는 탄성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미들 솔 도전체(210)는 또 다른 실시 형태로, 상단부는 미들 솔 부재(200)의 상면으로 노출되고, 하단부는 아웃 솔 도전체(110)의 상향 융기부(111a)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 솔 도전체(210)는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가장자리 또는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상기 아웃 솔 도전체(110)의 상향 융기부(111a)에 접하며, 중앙부의 상면은 미들 솔 부재(200)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는 판스프링(리프스프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미들 솔 도전체(210)가 코일스프링 형태 또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아웃 솔 도전체(110)와의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면서도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미들 솔 도전체(210)는 미들 솔 부재(200)에 인서트 사출되어 구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인 솔 부재(300)는 통상적으로 깔창으로 불리며, 상기 미들 솔 부재(200)의 상면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발과 직접 접촉하는 구성부로서, 본 발명의 인 솔 부재(300)는 인 솔 도전체(310)가 일체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인 솔 도전체(310)는 상기 인 솔 부재(300)에 구비되되 하측은 상기 미들 솔 도전체(210)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고, 상측은 사용자의 발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인 솔 도전체(310)는 상기 인 솔 부재(300)에 돗트(dot) 형태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 솔 도전체(310)는 상단부는 상기 인 솔 부재(300)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고, 하단부는 상기 인 솔 부재(3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미들 솔 부재(200)의 미들 솔 도전체(210)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인 솔 도전체(310)의 상단부는 돔형 또는 라운드져서 인 솔 부재(3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인 솔 도전체(310)는 미들 솔 도전체(210)와 전기적으로 도통되면서도 상단부가 돔형 또는 라운드져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과 확실하게 접촉할 뿐만 아니라, 지압 효과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인 솔 도전체(310)는 인 솔 부재(300)에 인서트 사출되어 구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를 갖는 신발은, 골프화를 비롯하여 지면이나 잔디밭 등의 야외운동용 신발과 정원, 잔디밭, 텃밭 등의 작업용 신발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의하면, 인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신발을 통하여 지면으로 방출할 수 있어 상시적이고 효과적으로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전기 방전 기능을 가지면서도 정전기 방전 기능을 갖는 구성부 자체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쿠션감과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전 기능을 갖는 구성부를 통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여 디자인적 요소도 제공할 수 있으며, 일부 구성부가 방전 기능부로서 기능을 함과 동시에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부로서 기능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아웃 솔(out sole) 부재
110: 아웃 솔 도전체
111: 제1 도전부
111a: 상향 융기부
111b: 하향 융기부
111c: 노출 연장부
112: 제2 도전부
200: 미들 솔(middle sole) 부재
210: 미들 솔 도전체
300: 인 솔(in sole) 부재
310: 인 솔 도전체

Claims (11)

  1. 삭제
  2. 신발에 포함되는 솔(sole) 어셈블리로서,
    아웃 솔 부재;
    상기 아웃 솔 부재에서 정전기가 바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일부가 내측 및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아웃 솔 도전체;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미들 솔 부재;
    상기 미들 솔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아웃 솔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미들 솔 도전체;
    상기 미들 솔 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인 솔 부재; 및
    상기 인 솔 부재에 구비되고, 하측은 상기 미들 솔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고, 상측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인 솔 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 솔 도전체는, 파형의 스트랩(strap)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 솔 부재에 매립되되, 상향 융기부가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도전부, 및 상기 아웃 솔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부가 돌출되며, 상부는 상기 제1 도전부의 하향 융기부의 배면에 고정되는 로드 형태(rod shape)의 제2 도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솔 어셈블리.
  3. 신발에 포함되는 솔(sole) 어셈블리로서,
    아웃 솔 부재;
    상기 아웃 솔 부재에서 정전기가 바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일부가 내측 및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아웃 솔 도전체;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미들 솔 부재;
    상기 미들 솔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아웃 솔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미들 솔 도전체;
    상기 미들 솔 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인 솔 부재; 및
    상기 인 솔 부재에 구비되고, 하측은 상기 미들 솔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고, 상측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인 솔 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 솔 도전체는, 파형의 스트랩(strap)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 솔 부재에 매립되되, 하향 융기부는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도전부와, 파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 솔 부재에 매립되되, 하향 융기부는 상기 제1 도전부의 상향 융기부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향 융기부는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도전부, 및 하부가 상기 아웃 솔 부재의 하면에서 노출되며, 상부는 상기 제1 도전부의 하향 융기부의 배면에 고정되는 로드 형태의 제3 도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솔 어셈블리.
  4. 신발에 포함되는 솔(sole) 어셈블리로서,
    아웃 솔 부재;
    상기 아웃 솔 부재에서 정전기가 바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일부가 내측 및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아웃 솔 도전체;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미들 솔 부재;
    상기 미들 솔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아웃 솔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미들 솔 도전체;
    상기 미들 솔 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인 솔 부재; 및
    상기 인 솔 부재에 구비되고, 하측은 상기 미들 솔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고, 상측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인 솔 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 솔 도전체는, 파형의 스트랩(strap)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 솔 부재에 매립되게 구비되는 제1 도전부와, 하면이 상기 제1 도전부의 상향 융기부에 접하고, 상면이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상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선형 스트랩으로 형성되는 제2 도전부, 및 하부가 상기 아웃 솔 부재의 하면에서 노출되며, 상부는 상기 제1 도전부의 하향 융기부의 배면에 고정되는 로드 형태의 제3 도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솔 어셈블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부 및 제2 도전부는 상기 아웃 솔 부재의 길이방향이나 폭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거나 격자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아웃 솔 도전체는,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를 따라 라운드지게 상기 제1 도전부의 양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외면이 상기 아웃 솔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노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솔 어셈블리.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솔 도전체는,
    판상의 스트랩(strap) 형태로 형성되고 하면이 상기 아웃 솔 도전체의 상향 융기부에 접촉되며, 상면은 상기 미들 솔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솔 어셈블리.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솔 도전체는,
    파형의 스트랩(strap) 형태로 형성되되, 하향 융기부는 상기 아웃 솔 도전체의 상향 융기부에 접촉되며, 상향 융기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솔 어셈블리.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솔 도전체는,
    상단부가 상기 미들 솔 부재의 상면으로 노출되고, 하단부는 아웃 솔 도전체의 상향 융기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구성되거나, 가장자리 또는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상기 아웃 솔 도전체의 상향 융기부에 접하며, 중앙부의 상면은 상기 미들 솔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는 판스프링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솔 어셈블리.
  9.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 솔 도전체는, 상단부가 상기 인 솔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는 상기 인 솔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미들 솔 도전체에 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 솔 도전체의 상단부는 돔형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인 솔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솔 어셈블리.
  10.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솔 도전체와 미들 솔 도전체 및 인 솔 도전체 각각은 인서트 사출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솔 어셈블리.
  11. 청구항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발 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신발.
KR1020210113826A 2021-08-27 2021-08-27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2461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826A KR102461175B1 (ko) 2021-08-27 2021-08-27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826A KR102461175B1 (ko) 2021-08-27 2021-08-27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175B1 true KR102461175B1 (ko) 2022-10-31

Family

ID=8380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826A KR102461175B1 (ko) 2021-08-27 2021-08-27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17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421A (ja) * 1997-02-26 1998-09-08 Hiroshi Miyata 帯電防止靴
KR0165945B1 (ko) * 1996-05-07 1999-01-15 허영진 정전기 대전 방지용 도전화
KR200274092Y1 (ko) 2002-01-10 2002-05-03 박종호 정전기 방지용 신발
KR100767992B1 (ko) 2006-09-25 2007-10-18 주식회사영풍제화 정전기방지용 신발창
KR20080051233A (ko) 2006-12-05 2008-06-11 최운덕 정전기방지용 신발
US20100205833A1 (en) * 2009-02-13 2010-08-19 Wang san-huai Anti-Static Sole
KR101914627B1 (ko) 2017-10-23 2018-11-06 발리교역(주) 정전기 방지 신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945B1 (ko) * 1996-05-07 1999-01-15 허영진 정전기 대전 방지용 도전화
JPH10234421A (ja) * 1997-02-26 1998-09-08 Hiroshi Miyata 帯電防止靴
KR200274092Y1 (ko) 2002-01-10 2002-05-03 박종호 정전기 방지용 신발
KR100767992B1 (ko) 2006-09-25 2007-10-18 주식회사영풍제화 정전기방지용 신발창
KR20080051233A (ko) 2006-12-05 2008-06-11 최운덕 정전기방지용 신발
US20100205833A1 (en) * 2009-02-13 2010-08-19 Wang san-huai Anti-Static Sole
KR101914627B1 (ko) 2017-10-23 2018-11-06 발리교역(주) 정전기 방지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1497B1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evention device
US20130145650A1 (en) Propulsive sole for impact distribution and round walking
US20120079747A1 (en) Midsole For A Shoe
EP2446768A2 (en) Midsole for a shoe
KR101006923B1 (ko) 신발 중창
KR100767992B1 (ko) 정전기방지용 신발창
US20090147430A1 (en) Electrostatic discharging overshoe
KR102461175B1 (ko) 정전기 방지 기능를 갖는 신발 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1914627B1 (ko) 정전기 방지 신발
KR102347159B1 (ko) 정전기 방지용 안전화
JPS6122483Y2 (ko)
KR102234384B1 (ko) 층간소음이 방지되는 신발창
CN210018057U (zh) 导电鞋底结构
CN213096432U (zh) 一种防静电劳保鞋
KR20150003768U (ko) 제전 신발
KR102485916B1 (ko) 지자기 순환 신발
KR102497043B1 (ko) 정전기 방지용 운동화
KR200370141Y1 (ko) 착용감이 향상된 정전기 방지용 안전화
CN219396412U (zh) 防静电鞋
US3379932A (en) Foot grounding device
CN219679885U (zh) 一种多路径防静电皮鞋
CN217185025U (zh) 一种电子厂仓管员专用鞋
KR100329116B1 (ko) 절곡부위를 갖춘 신발용 밑창
CN218474218U (zh) 一种高弹性运动鞋
KR200497134Y1 (ko) 방전화용 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