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261B1 -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261B1
KR102131261B1 KR1020180086992A KR20180086992A KR102131261B1 KR 102131261 B1 KR102131261 B1 KR 102131261B1 KR 1020180086992 A KR1020180086992 A KR 1020180086992A KR 20180086992 A KR20180086992 A KR 20180086992A KR 102131261 B1 KR102131261 B1 KR 102131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side
user
display surface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118A (ko
Inventor
박창준
김덕제
Original Assignee
(주)홀로그래미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홀로그래미카 filed Critical (주)홀로그래미카
Priority to KR1020180086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261B1/ko
Priority to PCT/KR2019/007591 priority patent/WO2020022655A1/ko
Publication of KR2020001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4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independently orientable, e.g.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a second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6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on the game controller or outside a game boo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는, 제1 화상표시면이 연직 하향으로 제1 화상을 표시하고, 제1 사용자측단부가 제1 사용자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측단부가 제2 사용자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측 디스플레이부; 제2 화상표시면이 연직 상향으로 제2 화상을 표시하고, 제1 사용자측단부가제1 사용자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측단부가 제2 사용자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된 하측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화상표시면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1 화상을 제2 사용자 인식화면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제2 화상표시면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2 화상을 제1 사용자 인식화면으로 반사시키는 반투과 반사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대면식 화상표시장치{FACE-TO-FACT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동적 및 정적 이미지 정보를 시각적인 화상으로 재생하여 표시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표시장치는 컴퓨터 출력장치의 하나로, 액정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디스플레이(PDP)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장치의 소형화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의 소형화는, 특히 게임 등을 즐기는 사용자에게 휴대성 및 편의성을 가져다 주었다.
최근 들어, 게임업계에서도 복고 열풍으로 인해 1980 ~ 1990 년대에 유행했던 게임들이 다시 인기를 끌고 있는데, 휴대용 장치는 사용자가 혼자서 게임 등을 즐기기에는 간편하지만, 둘 이상의 사용자가 서로 소통하면서 게임을 즐기기 어렵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면서 동일한 화상을 공유할 수 있는 대면식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는, 제1 화상표시면이 연직 하향으로 제1 화상을 표시하고, 제1 사용자측단부가 제1 사용자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측단부가 제2 사용자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측 디스플레이부; 제2 화상표시면이 연직 상향으로 제2 화상을 표시하고, 제1 사용자측단부가제1 사용자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측단부가 제2 사용자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된 하측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화상표시면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1 화상을 제2 사용자 인식화면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제2 화상표시면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2 화상을 제1 사용자 인식화면으로 반사시키는 반투과 반사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상표시면 및 상기 제2 화상표시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반투과 반사막은 상기 제1 화상표시면 및 상기 제2 화상표시면 각각에 대하여 45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입력된 화상정보를 상기 상측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할 제1 화상정보 및 상기 하측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할 제2 화상정보를 생성하는 화상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된 화상정보를 수평분할선을 기준으로 상측이미지 및 하측이미지로 구분할 때, 상기 제1 및 제2 화상정보는, 상기 상측이미지가 상기 상측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사용자측단부로, 상기 하측이미지가 상기 상측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2 사용자측단부로 표시된다.
입력된 화상정보를 수직분할선을 기준으로 우측이미지 및 좌측이미지로 구분할 때, 상기 제1 및 제2 화상정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우측이미지 및 상기 좌측이미지가 서로 반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를 이용하면,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동일한 화상정보를 공유하면서 동시에 반투과 반사막에 의해 투과된 상대방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특히 게임 등에 더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동일한 게임을 공유할 수 있으므로, 게임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에서는 화상제어모듈을 통해 생성된 제1 화상정보 및 제2 화상정보 각각이 상측 디스플레이 및 하측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후 반투과 반사막에 의해 반사될 때 각 화상이 맺히는 영역에서 겹상 또는 잔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사용자들이 동일한 화상정보를 공유할 때 시각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해 일측을 개방하여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들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입력된 화상정보를 수평분할선 및 수직분할선에 의해 각 영역을 구분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제1 및 제1 화상정보가 상측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각각 표시되는 경우, 반투과 반사막에 의해 반사되어 제1 및 제2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는 화상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해 일측을 개방하여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2는 주요 구성요소들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상측 디스플레이부(100), 하측 디스플레이부(200), 및 반투과 반사막(300)이 별도로 마련된 케이스(10)에 각각 수납된다. 여기서, 케이스(10)에는, 제1 사용자가 위치하는 제1 사용자측 개구(11)와, 제2 사용자가 위치하는 제2 사용자측 개구(12)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서로 대면하게 된다.
한편, 상측 디스플레이부(100)는 제1 화상표시면(101)이 연직 하향으로 제1 화상(102)을 표시하도록, 케이스(10)의 상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하측 디스플레이부(200)는, 제2 화상표시면(201)이 연직 상향으로 제2 화상(202)을 표시하도록, 케이스(10)의 하면에 배치된다. 이때, 제1 화상표시면(101) 및 제2 화상표시면(201)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되, 거리 D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측 디스플레이부(100)의 일단으로부터 하측 디스플레이부(200)의 일단에 이르는 대각선 방향으로 반투과 반사막(300)이 배치된다.
특히, 상측 디스플레이부(100)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200)는 예컨대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다만, 여기서는 제1 사용자측 개구(11)에 인접한 단부를 제1 사용자측단부로 정의하고, 제2 사용자측 개구(12)에 인접한 단부를 제2 사용자측단부로 정의한다. 즉, 상측 디스플레이부(100)는, 제1 사용자측단부(110)가 제1 사용자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측단부(120)가 제2 사용자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하측 디스플레이부(200)는, 제1 사용자측단부(210)가 제1 사용자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측단부(220)가 제2 사용자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반투과 반사막(300)은,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율이 50% 이상인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반투과 반사막(300)은 대향하는 양 주면을 가진 필름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측 개구(11) 및 제2 사용자측 개구(12) 각각에 향하는 양주면의 표면 반사율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투과 반사막(300)은 2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사용자측 개구(11) 및 제2 사용자측 개구(12) 각각을 통해 사용자들이 서로 대면할 수 있으며 투과율이 20% 이상인 필름을 이용하면 상대방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반투과 반사막(300)은, 케이스(10)의 소정 영역에 구비된 고정수단(310)에 의해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반투과 반사막(300)은, 제1 화상표시면(101) 및 제2 화상표시면(201) 각각에 대하여 45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도 2에서 보듯이, 반투과 반사막(300) 및 제1 화상표시면(101) 사이의 사잇각 α1이 45˚이고, 반투과 반사막(300) 및 제2 화상표시면(201) 사이의 사잇각 α2이 45˚가 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제1 화상표시면(101)에 의해 표시된 제1 화상(102)이 제2 사용자측 개구(12)를 통해 제2 사용자 인식화면(102a)으로 반사되고, 제2 화상표시면(201)에 의해 표시된 제2 화상(202)이 제1 사용자측 개구(11)를 통해 제1 사용자 인식화면(202a)으로 반사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대면식 화상표시장치를 이용하면, 제1 사용자는 하측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표시된 제2 화상(202)이 반투과 반사막(300)에 의해 반사된 화상(즉, 제1 사용자 인식화면(202a))을 보게 되고, 제2 사용자는 상측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표시된 제1 화상(102)이 반투과 반사막(300)에 의해 반사된 화상(즉, 제2 사용자 인식화면(102a))을 보게 된다. 또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는 각각 반투과 반사막(300)에 의해 투과된 상대방의 모습을 동시에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특히 게임 등에 더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동일한 화상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게임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는, 도 3에서 보듯이, 입력된 화상정보를 상측 디스플레이부(100)에 전송할 제1 화상정보,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200)에 전송할 제2 화상정보로 분리하는 화상제어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제어모듈(400)은, 데이터 저장장치를 구비한 소정의 컴퓨팅 장치에 구비될 수 있고, 별도로 마련된 입력수단(500)에 의해 입력받은 화상정보를 기초로 제1 화상(102) 및 제2 화상(202)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화상정보를 생성한다.
특히, 화상제어모듈(400)은 제1 및 제2 화상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보듯이, 입력된 화상정보는, 수평분할선(H) 및 수직분할선(V)에 의해 구분될 수 있는데, 수평분할선(H)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을 각각 상측이미지 및 하측이미지라 하고, 수직분할선(V)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을 각각 우측이미지 및 좌측이미지라 하자. 이때, 화상제어모듈(400)에 의해 생성되는 제1 화상정보 및 제2 화상정보는, 입력된 화상정보의 상측이미지가 상측 디스플레이부(100)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200) 각각의 제1 사용자측단부(110, 210)로 표시되고, 입력된 화상정보의 하측이미지가 상측 디스플레이부(100)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200)의 제2 사용자측단부(120, 220)로 표시된다. 또한, 화상제어모듈(400)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화상정보 중 하나는, 입력된 화상정보의 우측이미지 및 상기 좌측이미지가 서로 반전된 이미지 정보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화상제어모듈(400)에 의해 생성된 제1 화상정보 및 제2 화상정보는, 입력된 화상정보의 상부이미지 및 하부이미지는 동일하게 배치되되, 좌측이미지 및 우측이미지가 서로 반전된 이미지 정보를 갖도록 생성된다.
도 5에는 화상제어모듈(400)에 의해 생성된 제1 및 제1 화상정보가 상측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각각 표시되는 경우, 반투과 반사막(300)에 의해 반사되어 제1 및 제2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는 화상 상태를 도시하였다. 즉, 상측 디스플레이 표시화면(제1 화상정보; 102) 및 하측 디스플레이 표시화면(제2 화상정보; 202)은, 상부이미지 및 하부이미지의 배치는 서로 동일하되, 우측이미지 및 좌측이미지는 서로 반전된 상태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각각이 반투과 반사막(300)에 의해 반사된 이미지도, 제1 사용자 인식화면(202a) 및 제2 사용자 인식화면(102a)와 같이 상부 및 하부는 동일하되 좌측 및 우측이 반전된 상태가 된다. 제1 사용자 인식화면(202a) 및 제2 사용자 인식화면(102a)은 반투과 반사막(300)의 양주면에 각각 이미지가 맺혀진 상태이므로, 서로 대향하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는 동일한 화상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공유하는 제1 사용자 인식화면(202a) 및 제2 사용자 인식화면(102a)은 정확하게 중첩된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화상제어모듈(400)은, 입력된 화상정보를 기초로 상측이미지 및 하측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켜 제1 화상정보 또는 제2 화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화상(102) 또는 제2 화상(202)이 반투과 반사막(300)을 통해 반사될 때, 하측이미지가 반투과 반사막(300)에 도달하는 거리와, 상측이미지가 반투과 반사막(300)에 도달하는 거리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인식화면(202a) 및 제2 사용자 인식화면(102a)이 중첩될 때 표시된 이미지 객체의 배율 차이로 인해 겹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상제어모듈(400)은, 입력된 화상정보의 수평분할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분할선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측이미지는 점진적으로 축소시키고 하측이미지는 점진적으로 확대시켜 제1 화상정보를 생성한다. 반대로, 화상제어모듈(400)은, 입력된 화상정보의 수평분할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분할선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측이미지는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하측이미지는 점진적으로 축소시켜 제2 화상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수평분할선(H)이 도 2에 표시된 중심선(C)과 일치된 경우, 수평분할선(H)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배율이 축소된 제1 화상정보의 상측 이미지와, 수평분할선(H)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배율이 확대된 제2 화상정보의 상측 이미지는, 반투과 반사막(300)에 맺히는 영상의 이미지 객체가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화상제어모듈(400)이 제1 및 제2 화상정보의 상측 및 하측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비율은, 수평분할선(H)으로부터 이미지 위치의 거리 및 도 2에 표시된 반투과 반사막(300)의 중심(P)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화상제어모듈을 통해 생성된 제1 화상정보 및 제2 화상정보는 각각이 상측 디스플레이 및 하측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후 반투과 반사막에 의해 반사될 때 각 화상이 맺히는 영역에서 겹상 또는 잔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사용자들이 동일한 화상정보를 공유할 때 시각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제1 화상표시면이 연직 하향으로 제1 화상을 표시하고, 제1 사용자측단부가 제1 사용자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측단부가 제2 사용자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측 디스플레이부;
    제2 화상표시면이 연직 상향으로 제2 화상을 표시하고, 제1 사용자측단부가제1 사용자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측단부가 제2 사용자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된 하측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화상표시면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1 화상을 제2 사용자 인식화면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제2 화상표시면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2 화상을 제1 사용자 인식화면으로 반사시키는 반투과 반사막;
    입력된 화상정보를 상기 상측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할 제1 화상정보 및 상기 하측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할 제2 화상정보를 생성하는 화상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상표시면 및 상기 제2 화상표시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반투과 반사막은 상기 제1 화상표시면 및 상기 제2 화상표시면 각각에 대하여 45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화상제어모듈에 입력된 화상정보를 수평분할선을 기준으로 상측이미지 및 하측이미지로 구분할 때, 상기 제1 및 제2 화상정보는, 상기 상측이미지가 상기 상측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사용자측단부로, 상기 하측이미지가 상기 상측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2 사용자측단부로 표시되고, 수직분할선을 기준으로 우측이미지 및 좌측이미지로 구분할 때, 상기 제1 및 제2 화상정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입력된 화상정보의 상기 우측이미지 및 상기 좌측이미지가 서로 반전되도록 생성되고,
    상기 화상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된 화상정보의 수평분할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상정보를 상기 수평분할선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상측이미지는 점진적으로 축소시키고 상기 하측이미지는 점진적으로 확대시켜 생성하고, 동시에 상기 제2 화상정보를 상기 수평분할선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상측이미지는 점진적으로 확대시키고 상기 하측이미지는 점진적으로 축소시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86992A 2018-07-26 2018-07-26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KR102131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992A KR102131261B1 (ko) 2018-07-26 2018-07-26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PCT/KR2019/007591 WO2020022655A1 (ko) 2018-07-26 2019-06-24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이에 사용되는 필름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992A KR102131261B1 (ko) 2018-07-26 2018-07-26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118A KR20200012118A (ko) 2020-02-05
KR102131261B1 true KR102131261B1 (ko) 2020-07-07

Family

ID=6951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992A KR102131261B1 (ko) 2018-07-26 2018-07-26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2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262Y1 (ko) * 2001-10-16 2002-03-18 최해용 양면 투과스크린 영상광고 장치
JP2008051878A (ja) * 2006-08-22 2008-03-06 Noritsu Koki Co Ltd プリント注文受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920B1 (ko) * 2003-03-07 2005-07-07 최해용 좌,우 정화면 영상 시스템(左,右 正畵面 映像 system)
KR20140043522A (ko) * 2012-09-21 2014-04-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투명 양면형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A2988207C (en) * 2015-06-11 2020-07-28 Saint-Gobain Glass France Projection arrangement for a contact analog head-up display (hud)
KR20160001246U (ko) * 2016-03-08 2016-04-15 최해용 2d,3d 공간 영상 표시 장치
KR20170115866A (ko) * 2016-04-08 201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262Y1 (ko) * 2001-10-16 2002-03-18 최해용 양면 투과스크린 영상광고 장치
JP2008051878A (ja) * 2006-08-22 2008-03-06 Noritsu Koki Co Ltd プリント注文受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118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1344B1 (en) Advanced retroreflecting aerial displays
US20170140577A1 (en) Augmented Reality Light Guide Display
KR101904561B1 (ko) 투명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조립체
RU2594370C2 (ru) Световодная структура, 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US20180101011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optical system
JP2015518199A (ja) 光ガイドディスプレイ及び視野
KR102416197B1 (ko) 향상된 오프-각도 분리를 갖는 초입체적 디스플레이
US20120120353A1 (en) Multi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JP6856863B2 (ja) バーチャル・リアリティー・ヘッドマウント装置
WO2015077258A1 (en) Private and non-private display modes
JP4339319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4001610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projecting functions
Le et al. MirrorTablet: exploring a low-cost mobile system for capturing unmediated hand gestures in remote collaboration
KR102131261B1 (ko)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Kim et al. HoVerTable: Dual-sided vertical mid-air images on horizontal tabletop display
KR101334238B1 (ko) 안경형 모니터용 광학엔진
US11199710B2 (en) Low-obliquity beam scanner with reflective polarizer
JP3121071U (ja) 表示装置
KR102008379B1 (ko) 필름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고정 장치
KR20100012546A (ko)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장치 및 월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9471259A (zh) 近眼显示装置
WO2024042761A1 (ja) 空間浮遊映像表示装置
US20240184133A1 (en) Air floating video display apparatus
US20140139756A1 (en) Display module
CN206020917U (zh) 一种基于伪全息投影的数字影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