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379B1 - 필름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379B1
KR102008379B1 KR1020180086999A KR20180086999A KR102008379B1 KR 102008379 B1 KR102008379 B1 KR 102008379B1 KR 1020180086999 A KR1020180086999 A KR 1020180086999A KR 20180086999 A KR20180086999 A KR 20180086999A KR 102008379 B1 KR102008379 B1 KR 102008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image
pitch
us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준
김덕제
Original Assignee
(주)홀로그래미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홀로그래미카 filed Critical (주)홀로그래미카
Priority to KR102018008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379B1/ko
Priority to PCT/KR2019/007591 priority patent/WO202002265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고정용 브라켓은, 필름이 접촉되는 제1 계지면이 형성된 제1 고정블록; 및 복수의 나사산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피치면을 포함하는 제1 조정블록;을 포함하는 제1 브라켓과, 필름이 접촉되는 제2 계지면이 형성된 제2 고정블록; 및 복수의 나사산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2 피치면을 포함하는 제2 조정블록;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계지면 사이에 상기 필름이 개재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피치면 사이에 조정나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름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고정 장치{BRACKET FOR FASTENING FLIM, AND FILM FASTE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 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필름의 평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필름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표시장치는 컴퓨터 출력장치의 하나로, 액정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디스플레이(PDP)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장치의 소형화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의 소형화는, 특히 게임 등을 즐기는 사용자에게 휴대성 및 편의성을 가져다 주었다.
최근 들어, 게임업계에서도 복고 열풍으로 인해 1980 ~ 1990 년대에 유행했던 게임들이 다시 인기를 끌고 있는데, 휴대용 장치는 사용자가 혼자서 게임 등을 즐기기에는 간편하지만, 둘 이상의 사용자가 서로 소통하면서 게임을 즐기기 어렵다.
한편, 화상표시장치에는 합성수지재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을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구성하는 경우, 필름 표면에 주름 등이 발생하면 표시되는 화상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재 필름은 통상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필름 표면의 긴장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면서 동일한 화상을 공유할 수 있는 대면식 화상표시장치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반투과 반사막의 평활도를 개선하기 위한 필름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는, 제1 화상표시면이 연직 하향으로 제1 화상을 표시하고, 제1 사용자측단부가 제1 사용자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측단부가 제2 사용자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측 디스플레이부; 제2 화상표시면이 연직 상향으로 제2 화상을 표시하고, 제1 사용자측단부가제1 사용자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측단부가 제2 사용자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된 하측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화상표시면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1 화상을 제2 사용자 인식화면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제2 화상표시면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2 화상을 제1 사용자 인식화면으로 반사시키는 반투과 반사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상표시면 및 상기 제2 화상표시면은 서로 평형하게 배치되고, 상기 반투과 반사막은 상기 제1 화상표시면 및 상기 제2 화상표시면 각각에 대하여 45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입력된 화상정보를 상기 상측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할 제1 화상정보 및 상기 하측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할 제2 화상정보를 생성하는 화상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된 화상정보를 수평분할선을 기준으로 상측이미지 및 하측이미지로 구분할 때, 상기 제1 및 제2 화상정보는, 상기 상측이미지가 상기 상측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사용자측단부로, 상기 하측이미지가 상기 상측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2 사용자측단부로 표시된다.
입력된 화상정보를 수직분할선을 기준으로 우측이미지 및 좌측이미지로 구분할 때, 상기 제1 및 제2 화상정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우측이미지 및 상기 좌측이미지가 서로 반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필름 고정용 브라켓은, 필름이 접촉되는 제1 계지면이 형성된 제1 고정블록; 및 복수의 나사산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피치면을 포함하는 제1 조정블록;을 포함하는 제1 브라켓과, 필름이 접촉되는 제2 계지면이 형성된 제2 고정블록; 및 복수의 나사산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2 피치면을 포함하는 제2 조정블록;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계지면 사이에 상기 필름이 개재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피치면 사이에 조정나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피치면은 상기 제1 및 제2 계지면 각각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피치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조정나사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피치면에 형성된 각각의 복수의 나사산의 피치는 상기 조정나사의 피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스크류 삽입홀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계지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필름의 인입을 저지하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고정 장치는, 상술한 필름 고정용 브라켓과, 상기 필름 고정용 브라켓의 제1 및 제2 브라켓이 체결된 조립체의 상기 제1 및 제2 조정블록이 끼워지는 내삽부; 및 상기 조립체의 상기 제1 및 제2 피치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정나사 삽입용 관통홀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 노치;가 마련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를 이용하면,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동일한 화상정보를 공유하면서 동시에 반투과 반사막에 의해 투과된 상대방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특히 게임 등에 더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동일한 게임을 공유할 수 있으므로, 게임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에서는 화상제어모듈을 통해 생성된 제1 화상정보 및 제2 화상정 각각이 상측 디스플레이 및 하측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후 반투과 반사막에 의해 반사될 때 각 화상이 맺히는 영역에서 겹상 또는 잔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사용자들이 동일한 화상정보를 공유할 때 시각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고정용 브라켓 및 프레임을 이용하면, 대면식 화상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반투과 반사막의 평활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사용자 인식화면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고정용 브라켓 및 프레임은,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이외의 다른 용도로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재 필름이 팽팽한 긴장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라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해 일측을 개방하여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들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입력된 화상정보를 수평분할선 및 수직분할선에 의해 각 영역을 구분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제1 및 제1 화상정보가 상측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각각 표시되는 경우, 반투과 반사막에 의해 반사되어 제1 및 제2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는 화상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고정 장치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고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고정 장치에 사용되는 프레임 및 필름 고정용 브라켓이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고정 장치의 각 모서리 부분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필름의 평활도를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해 일측을 개방하여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2는 주요 구성요소들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상측 디스플레이부(100), 하측 디스플레이부(200), 및 반투과 반사막(300)이 별도로 마련된 케이스(10)에 각각 수납된다. 여기서, 케이스(10)에는, 제1 사용자가 위치하는 제1 사용자측 개구(11)와, 제2 사용자가 위치하는 제2 사용자측 개구(12)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서로 대면하게 된다.
한편, 상측 디스플레이부(100)는 제1 화상표시면(101)이 연직 하향으로 제1 화상(102)을 표시하도록, 케이스(10)의 상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하측 디스플레이부(200)는, 제2 화상표시면(201)이 연직 상향으로 제2 화상(202)을 표시하도록, 케이스(10)의 하면에 배치된다. 이때, 제1 화상표시면(101) 및 제2 화상표시면(201)은 서로 평형하게 배치되되, 거리 D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측 디스플레이부(100)의 일단으로부터 하측 디스플레이부(200)의 일단에 이르는 대각선 방향으로 반투과 반사막(300)이 배치된다.
특히, 상측 디스플레이부(100)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200)는 예컨대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다만, 여기서는 제1 사용자측 개구(11)에 인접한 단부를 제1 사용자측단부로 정의하고, 제2 사용자측 개구(12)에 인접한 단부를 제2 사용자측단부로 정의한다. 즉, 상측 디스플레이부(100)는, 제1 사용자측단부(110)가 제1 사용자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측단부(120)가 제2 사용자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하측 디스플레이부(200)는, 제1 사용자측단부(210)가 제1 사용자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측단부(220)가 제2 사용자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반투과 반사막(300)은,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율이 50% 이상인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반투과 반사막(300)은 대향하는 양 주면을 가진 필름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측 개구(11) 및 제2 사용자측 개구(12) 각각에 향하는 양주면의 표면 반사율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투과 반사막(300)은 2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사용자측 개구(11) 및 제2 사용자측 개구(12) 각각을 통해 사용자들이 서로 대면할 수 있으며 투과율이 20% 이상인 필름을 이용하면 상대방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반투과 반사막(300)은, 케이스(10)의 소정 영역에 구비된 고정수단(310)에 의해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반투과 반사막(300)은, 제1 화상표시면(101) 및 제2 화상표시면(201) 각각에 대하여 45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도 2에서 보듯이, 반투과 반사막(300) 및 제1 화상표시면(101) 사이의 사잇각 α1이 45˚이고, 반투과 반사막(300) 및 제2 화상표시면(201) 사이의 사잇각 α2이 45˚가 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제1 화상표시면(101)에 의해 표시된 제1 화상(102)이 제2 사용자측 개구(12)를 통해 제2 사용자 인식화면(102a)으로 반사되고, 제2 화상표시면(201)에 의해 표시된 제2 화상(202)이 제1 사용자측 개구(11)를 통해 제1 사용자 인식화면(202a)으로 반사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대면식 화상표시장치를 이용하면, 제1 사용자는 하측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표시된 제2 화상(202)이 반투과 반사막(300)에 의해 반사된 화상(즉, 제1 사용자 인식화면(202a))을 보게 되고, 제2 사용자는 상측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표시된 제1 화상(102)이 반투과 반사막(300)에 의해 반사된 화상(즉, 제2 사용자 인식화면(102a))을 보게 된다. 또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는 각각 반투과 반사막(300)에 의해 투과된 상대방의 모습을 동시에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특히 게임 등에 더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동일한 화상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게임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대면식 화상표시장치는, 도 3에서 보듯이, 입력된 화상정보를 상측 디스플레이부(100)에 전송할 제1 화상정보,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200)에 전송할 제2 화상정보로 분리하는 화상제어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제어모듈(400)은, 데이터 저장장치를 구비한 소정의 컴퓨팅 장치에 구비될 수 있고, 별도로 마련된 입력수단(500)에 의해 입력받은 화상정보를 기초로 제1 화상(102) 및 제2 화상(202)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화상정보를 생성한다.
특히, 화상제어모듈(400)은 제1 및 제2 화상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보듯이, 입력된 화상정보는, 수평분할선(H) 및 수직분할선(V)에 의해 구분될 수 있는데, 수평분할선(H)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을 각각 상측이미지 및 하측이미지라 하고, 수직분할선(V)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을 각각 우측이미지 및 좌측이미지라 하자. 이때, 화상제어모듈(400)에 의해 생성되는 제1 화상정보 및 제2 화상정보는, 입력된 화상정보의 상측이미지가 상측 디스플레이부(100)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200) 각각의 제1 사용자측단부(110, 210)로 표시되고, 입력된 화상정보의 하측이미지가 상측 디스플레이부(100)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200)의 제2 사용자측단부(120, 220)로 표시된다. 또한, 화상제어모듈(400)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화상정보 중 하나는, 입력된 화상정보의 우측이미지 및 상기 좌측이미지가 서로 반전된 이미지 정보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화상제어모듈(400)에 의해 생성된 제1 화상정보 및 제2 화상정보는, 입력된 화상정보의 상부이미지 및 하부이미지는 동일하게 배치되되, 좌측이미지 및 우측이미지가 서로 반전된 이미지 정보를 갖도록 생성된다.
도 5에는 화상제어모듈(400)에 의해 생성된 제1 및 제1 화상정보가 상측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각각 표시되는 경우, 반투과 반사막(300)에 의해 반사되어 제1 및 제2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는 화상 상태를 도시하였다. 즉, 상측 디스플레이 표시화면(제1 화상정보; 102) 및 하측 디스플레이 표시화면(제2 화상정보; 202)은, 상부이미지 및 하부이미지의 배치는 서로 동일하되, 우측이미지 및 좌측이미지는 서로 반전된 상태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각각이 반투과 반사막(300)에 의해 반사된 이미지도, 제1 사용자 인식화면(202a) 및 제2 사용자 인식화면(102a)와 같이 상부 및 하부는 동일하되 좌측 및 우측이 반전된 상태가 된다. 제1 사용자 인식화면(202a) 및 제2 사용자 인식화면(102a)은 반투과 반사막(300)의 양주면에 각각 이미지가 맺혀진 상태이므로, 서로 대향하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는 동일한 화상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공유하는 제1 사용자 인식화면(202a) 및 제2 사용자 인식화면(102a)은 정확하게 중첩된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화상제어모듈(400)은, 입력된 화상정보를 기초로 상측이미지 및 하측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켜 제1 화상정보 또는 제2 화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화상(102) 또는 제2 화상(202)이 반투과 반사막(300)을 통해 반사될 때, 하측이미지가 반투과 반사막(300)에 도달하는 거리와, 상측이미지가 반투과 반사막(300)에 도달하는 거리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인식화면(202a) 및 제2 사용자 인식화면(102a)이 중첩될 때 표시된 이미지 객체의 배율 차이로 인해 겹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상제어모듈(400)은, 입력된 화상정보의 수평분할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분할선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측이미지는 점진적으로 축소시키고 하측이미지는 점진적으로 확대시켜 제1 화상정보를 생성한다. 반대로, 화상제어모듈(400)은, 입력된 화상정보의 수평분할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분할선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측이미지는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하측이미지는 점진적으로 축소시켜 제2 화상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수평분할선(H)이 도 2에 표시된 중심선(C)과 일치된 경우, 수평분할선(H)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배율이 축소된 제1 화상정보의 상측 이미지와, 수평분할선(H)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배율이 확대된 제2 화상정보의 상측 이미지는, 반투과 반사막(300)에 맺히는 영상의 이미지 객체가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화상제어모듈(400)이 제1 및 제2 화상정보의 상측 및 하측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비율은, 수평분할선(H)으로부터 이미지 위치의 거리 및 도 2에 표시된 반투과 반사막(300)의 중심(P)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화상제어모듈을 통해 생성된 제1 화상정보 및 제2 화상정보는 각각이 상측 디스플레이 및 하측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후 반투과 반사막에 의해 반사될 때 각 화상이 맺히는 영역에서 겹상 또는 잔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사용자들이 동일한 화상정보를 공유할 때 시각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측 디스플레이부(100) 및 하측 디스플레이부(200)로부터 표시되는 제1 화상 및 제2 화상을 각각 제2 사용자 및 제1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반사시키는 반투과 반사막(300)은 폴리머 재질의 합성수지재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투과 반사막(300)으로 유리 글래스를 사용하는 경우, 글래스 패널의 두께로 인해 굴절 현상이 발생하여 겹상(이중 이미지)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형성된 반투과 반사막(300)은 케이스(10)에 설치될 때 주름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제1 사용자 인식화면(202a) 및 제2 사용자 인식화면(102a)에 왜곡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합성수지재 필름의 평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채택하였다.
도 6에는,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형성된 반투과 반사막(3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도시하였다. 도 6에서 보듯이, 반투과 반사막(300)의 대향하는 양단에는 필름 고정용 브라켓 조립체(610, 620)가 각각 체결된다. 그리고, 브라켓 조립체(610, 620)는 프레임(630)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대략 직사각 형상의 반투과 반사막(300)의 형상에 맞추어, 프레임(630)은 4개의 부재로 마련되며, 각 모서리는 모서리 고정구(640)을 통해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고정수단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에서 보듯이, 필름 고정용 브라켓 조립체는, 예컨대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제조된 반투과 반사막(300)의 일주면에 고정되는 제1 브라켓(610) 및 대향하는 타주면에 고정되는 제2 브라켓(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브라켓(610)은, 필름이 접촉되는 제1 계지면(612)이 형성된 제1 고정블록(611)과, 복수의 나사산(614a)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피치면(614)을 포함하는 제1 조정블록(6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브라켓(620)은, 필름이 접촉되는 제2 계지면(622)이 형성된 제2 고정블록(621)과, 복수의 나사산(624a)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2 피치면(624)을 포함하는 제2 조정블록(6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브라켓(610, 620))은 견고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블록(611, 621) 및 조정블록(613, 623)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제1 및 제2 브라켓(610, 620)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데, 이때 제1 계지면(612) 및 제2 계지면(622) 사이에 필름(300)이 개재된다. 필름(30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계지면(612, 622)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필름(300)과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계지면(612, 622)에는 그 사이에 개재된 필름(300)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슬립방지용 그루브(612a, 62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612a, 622a)는 각각 제1 및 제2 브라켓(610, 6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612a, 622a)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및 제2 계지면(612, 622) 사이에 끼워진 필름(300)의 가장자리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피치면(614, 624)은 제1 및 제2 계지면(612, 622) 각각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되고, 그에 의해 제1 및 제2 피치면(614, 624)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및 제2 피치면(614, 624) 각각에는 제1 및 제2 브라켓(610, 6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평행 나사산(614a, 6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행 나사산(614a, 624a)은 제1 및 제2 피치면(614, 624) 사이에서 임의의 위치에 체결되는 조정나사(633)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제1 및 제2 계지면(612, 6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필름(300)의 가장자리가 지나치게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단턱(612b, 622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고정블록(611, 621)의 외측면에는 스크류 삽입홀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 노치(611a, 621a)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노치(612a, 621a)를 통해 임의의 위치에서 스크류 삽입홀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필름(300)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브라켓(610, 620)을 스크류(625)를 체결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브라켓(610, 620)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의 브라켓을 2조 1세트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제1 및 제2 브라켓(610, 620)을 통해 필름(300)의 가장자리에 체결한 후, 제1 및 제2 조정블록(613, 623)을 프레임(630)의 내삽부(631)에 끼운다. 그 후, 제1 및 제2 조정블록(613, 623)에 마련된 제1 및 제2 피치면(614, 624) 사이의 이격 공간에 조정나사(633)를 체결한다. 프레임(630)에는 조정나사(633)가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홀(634)을 형성할 수 있다. 제조시, 프레임(630)의 임의의 위치에 관통홀(634)을 형성할 수 있으며, 프레임(6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가이드 노치(632)를 통해 조정나사(633)가 제1 및 제2 피치면(614, 624) 사이의 이격공간에 정확한 위치에서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홀(634)의 형성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 및 도 9에서 보듯이, 필름(300)의 마주보는 양 가장자리에 각각 필름 고정용 브라켓 조립체(610, 620)를 설치한 후, 각각의 브라켓 조립체를 프레임(630)에 끼운다. 아울러, 4개의 가장자리 각각에 동일한 형상의 프레임(630)을 이용하여 필름, 즉 반투과 반사막(300)이 고정된 틀을 형성한다. 이때, 프레임(630)의 가장자리에는 내삽부(631)에 끼워지는 모서리 고정구(640)를 끼운 후, 이 모서리 고정구(640)를 통해 체결볼트(633a, 633b)를 체결하여 사각틀을 완성한다.
한편, 필름(300) 가장자리에 각각 체결된 브라켓 조립체는 각각 대응하는 프레임(630)에 끼워진 후 필름(300)의 평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즉, 도 10에서 보듯이, 프레임(6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조정나사(633)이 체결될 수 있고, 이 조정나사(633)는 제1 및 제2 피치면(614, 624)에 형성된 평행나사산(614a, 624a)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피치면(614, 624) 사이의 이격거리(T1)는 조정나사(633)의 직경(T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또한 평행나사산(614a, 624a)의 피치는 조정나사(633)의 피치와 동일하므로, 필름 고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조정나사(633)를 통해 프레임(6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조정나사(633)의 회전수를 조절하면, 브라켓 조립체가 내삽부(631)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프레임(6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의 필름(300)의 긴장상태를 조정하여 필름(300)의 평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정나사(633)의 회전수를 조절하면 브라켓 조립체(610, 620)를 X축 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필름의 양 가장자리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필름의 긴장상태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필름 고정용 브라켓 조립체 및 프레임을 이용하면, 대면식 화상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반투과 반사막의 평활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사용자 인식화면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조정나사를 체결할 수 있으므로, 필름의 평활도를 전면에 걸쳐 고르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연성의 필름은 사용중에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데, 필름 가장자리를 따라 변형된 부위에서 조정나사의 회전시켜 필름의 평활도를 개선하는 것이 용이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고정용 브라켓 조립체 및 프레임은,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이외의 다른 용도로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재 필름이 팽팽한 긴장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라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필름이 접촉되는 제1 계지면이 형성된 제1 고정블록; 및 복수의 나사산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피치면을 포함하는 제1 조정블록;을 포함하는 제1 브라켓과,
    필름이 접촉되는 제2 계지면이 형성된 제2 고정블록; 및 복수의 나사산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2 피치면을 포함하는 제2 조정블록;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계지면 사이에 상기 필름이 개재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피치면 사이에 조정나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고정용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치면은 상기 제1 및 제2 계지면 각각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피치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조정나사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고정용 브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치면에 형성된 각각의 복수의 나사산의 피치는 상기 조정나사의 피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고정용 브라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스크류 삽입홀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고정용 브라켓.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계지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필름의 인입을 저지하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고정용 브라켓.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 고정용 브라켓과,
    상기 필름 고정용 브라켓의 제1 및 제2 브라켓이 체결된 조립체의 상기 제1 및 제2 조정블록이 끼워지는 내삽부; 및 상기 조립체의 상기 제1 및 제2 피치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정나사 삽입용 관통홀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 노치;가 마련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필름 고정 장치.
KR1020180086999A 2018-07-26 2018-07-26 필름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고정 장치 KR102008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999A KR102008379B1 (ko) 2018-07-26 2018-07-26 필름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고정 장치
PCT/KR2019/007591 WO2020022655A1 (ko) 2018-07-26 2019-06-24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이에 사용되는 필름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999A KR102008379B1 (ko) 2018-07-26 2018-07-26 필름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379B1 true KR102008379B1 (ko) 2019-08-08

Family

ID=6761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999A KR102008379B1 (ko) 2018-07-26 2018-07-26 필름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3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4565A (en) * 1997-09-04 2000-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CD assembly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0386943Y1 (ko) * 2004-10-20 2005-06-16 옥은호 조립식 액자형 프로젝터 스크린
KR20070054775A (ko) * 2005-11-24 2007-05-30 리노시스템 주식회사 깃발 펼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4565A (en) * 1997-09-04 2000-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CD assembly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0386943Y1 (ko) * 2004-10-20 2005-06-16 옥은호 조립식 액자형 프로젝터 스크린
KR20070054775A (ko) * 2005-11-24 2007-05-30 리노시스템 주식회사 깃발 펼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08750A1 (en) Optical stack for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US11431960B2 (en) Privacy display apparatus
US11630336B2 (en) Reflective optical stack for privacy display
US10948648B2 (en) Backlights having stacked waveguide and optical components with different coefficients of friction
US11474397B2 (en) Optical stack for switchable directional display
US20230280519A1 (en) Optical waveguide for directional backlight
US10401638B2 (en) Optical stack for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US9588264B2 (en) Bezel-concealing display covers and display devices
US9477016B2 (en) Display and tiled display
US9507168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having pattern groove
EP3321727B1 (en) Display apparatus
WO2016094139A1 (en) Transparent display with improved contrast and transmission
CN108983447B (zh) 显示设备
KR102008379B1 (ko) 필름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고정 장치
US20240069371A1 (en) Pupillated illumination apparatus
EP3161580B1 (en) Large-format display assembly
TW201917424A (zh) 偏光式視角控制元件、偏光式視角控制顯示裝置以及偏光式視角控制光源模組
WO2020022655A1 (ko)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이에 사용되는 필름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고정 장치
TWI408467B (zh) 反射式液晶面板
KR102131261B1 (ko)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JP2013200971A (ja) 導光板、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