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761B1 -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761B1
KR102130761B1 KR1020190108078A KR20190108078A KR102130761B1 KR 102130761 B1 KR102130761 B1 KR 102130761B1 KR 1020190108078 A KR1020190108078 A KR 1020190108078A KR 20190108078 A KR20190108078 A KR 20190108078A KR 102130761 B1 KR102130761 B1 KR 102130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unit
speaker
mobile device
pai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묵
Original Assignee
트레스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레스테크(주) filed Critical 트레스테크(주)
Priority to KR102019010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 모바일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본체와 스피커유닛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피커유닛에 감지부를 구비하여 모바일기기와 스피커 사이가 가까워지면 소리를 줄이거나 음소거로 변경하도록 이루어져, 소리를 듣기 위해서 사용자는 스피커유닛과 모바일기기를 멀리해야함에 따라 자세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방지 및 청력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SPEAKER ASSEMBLY}
본 발명은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 모바일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본체와 스피커유닛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피커유닛에 감지부를 구비하여 모바일기기와 스피커 사이가 가까워지면 소리를 줄이거나 음소거로 변경하도록 이루어져, 소리를 듣기 위해서 사용자는 스피커유닛과 모바일기기를 멀리해야함에 따라 자세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방지 및 청력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음악이나 영상을 출력할 때 소리는 스피커를 통하여 사람의 청각으로 전달되고, 이에 스피커를 귀에 꽂아 사용하는 이어폰, 귀에 걸쳐 사용하는 헤드폰, 어느 한 장소에 거치하여 듣는 일반적인 스피커가 사용되고 있으며, 음원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스피커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러한 스피커에 음원을 전송하는 방식으로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기술 또는 별도의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통신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블루투스(Bluetooth)는 모바일기기 또는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를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의 휴대기기와 연동시켜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뜻하며, 주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인다.
특히, 근래에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의 휴대성을 높이고자 무선으로 음악 등을 청취할 수 있는 블루투스 스피커 또는 이어폰이 보급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930732호 "다기능 넥밴드형 블루투스 스피커"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목 내지 머리에 걸기 위한 걸림부와 기능 및 조작수단이 마련된 바디부를 포함하는 넥밴드 프레임, 상기 바디부와 와이어로 연결된 제1 스피커, 상기 걸림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피커를 고정시키는 제1 스피커 고정부, 상기 바디부의 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연결단자, 상기 연결단자와 탈착 가능토록 마련되는 제2 스피커, 상기 연결단자와 탈착 가능토록 마련되는 USB 및 상기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를 제어하는 음량 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피커 및 USB는 상기 연결단자와 끼움 결합, 자성결합 내지 체결구 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사용자가 주변 환경, 사용 목적에 따라 상기 제1 스피커, 제2 스피커 및 USB를 선택하여 탈착 사용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664195호 "스피커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은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음악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스트리밍되는 음악을 듣는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음색과 음질, 예컨대 HiFi 등의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도록 하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 넥밴드형 스피커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상기 기술들은 우선 귀에 직접 이어폰을 꽂아 청취하는 방식을 체택하고, 넥밴드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격한 움직임이 발생할 때 사용자의 목에서 빠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5-0144400호 "웨어러블 블루투스 스피커"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장착 가능한 프레임,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둘 이상의 다른 음역을 재생하는 복수의 스피커 및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음파를 음성 전류로 변환하는 마이크,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여 블루투스를 통해 외부 기기와 신호를 주고 받으며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입까지의 거리가, 마이크로부터 스피커까지의 거리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근래에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스피커 장치는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디지털 산업의 발달로, 아이들을 위한 다양한 미디어들이 제작되고 있으며, 현재 국내 아동의 20% 이상이 스마트폰을 경험하고, 유아의 스마트폰 및 미디어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아이들은 귀에 이어폰을 꽂지 않고 모바일기기 자체에서 나오는 소리를 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이어폰이나 헤드폰은 아이들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력을 해치는 문제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모바일기기의 화면을 보다 가까이 보기 위하여 고개를 숙이거나, 안좋은 자세를 유지함에 따라 거북목 증상, 허리통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으며, 모바일기기를 가까이서 시청함에 따라 시력 저하의 문제점 또한 발생함에 따라 부모가 매번 이를 제지해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목에 걸어 소리를 청취할 수 있도록 본체와 스피커유닛으로 이루어지되, 스피커유닛에 모바일기기와 스피커유닛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거리가 가까워지면 출력되는 소리의 음량을 줄이거나 음소거로 변경하여 자발적인 자세 교정을 유도하고,
귀에 직접 꽂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기기로 영상을 볼 때, 모바일기기가 가까워지면 소리가 작아지거나 꺼짐에 따라, 소리를 듣기 위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모바일기기를 멀리함으로서 자발적인 자세교정을 유도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에 6축센서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자세 변화를 감지함으로서, 자세가 안좋을 때 음성으로 이를 경고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의 양단부가 하나의 스피커유닛에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가 착용할 때 개방된 부분이 없이 목에 걸릴 수 있도록 고안되어, 격한 움직임에도 빠지지 않는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며, 무선 또는 유선으로 모바일기기로부터 소리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수신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무선수신감도(RSSI)를 통하여 모바일기기와 스피커유닛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되는 스피커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모바일기기와 스피커유닛이 기 설정된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면, 상기 스피커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의 볼륨을 줄이거나 음소거 상태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하는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스피커유닛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피커유닛과 모바일기기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가 가까워지면 소리의 출력을 제한함에 따라 자발적으로 모바일기기를 멀리 하도록 유도하여 거북목증상과 시력저하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귀에 꽂아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목에 걸어 소리를 듣는 방식으로 청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스피커유닛에는 6축센서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고, 자세가 불량해지면 이를 안내함으로서 자세교정을 유도하여 보다 건강하게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본체의 양단부가 하나의 스피커유닛에 결합됨에 따라 착용 시 목걸이와 같이 개방된 부분이 형성되지 않아, 격한 움직임에도 본체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변화량 측정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A)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피커유닛(2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피커유닛(2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모바일기기와 연동되며, 이 모바일기기에 별도의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1은 제1실시예로, 상기 본체(10)는 유연성이 높은 끈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도1의 제2실시예와 같이 고정클립(C)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2 및 도3에 도시된 제3실시예와 같이, 사용자, 특히 어린 아이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목에 걸 수 있도록 곡선형의 걸이부(11)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걸이부(11)가 곡선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내측에 목이 위치하는 안착공간(15)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는 목 뒤쪽에서 목을 감싸 양단부가 사용자 목 앞에 위치하게 되며, 이 양단부에 후술하는 스피커유닛(20)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13)가 형성 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는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쉽게 구부러지고 펴질 수 있도록 하여 착탈의 편의성을 높이고,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제1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10)는 끈으로 이루어져 목에 쉽게 걸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스피커유닛(20)에 형성된 체결공(22)에 끼움결합 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종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선느 안 된다.
제2실시예로, 상기 본체(10)는 고정클립(C)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고정클립(C)에는 상기 체결공(22)에 끼워지는 끼움봉(C1)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별도의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클립(C)이 탄성력을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고정클립(C)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의에 스피커유닛(2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로, 상기 본체(10)의 단부에는 결합부(13)가 형성되어 있어 스피커유닛(2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부(13)는 도2와 같은 제3-1실시예, 도3과 같은 제3-2실시예, 도6 및 도7과 같은 제3-3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우선, 제3-1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결합부(13)는 공(131)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피커유닛(20)의 외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본체(10) 양단에 각각 구비됨에 따라 두 개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스피커유닛(20)의 외면 일부가 상기 하나의 결합부(13)에 끼워지고, 상기 스피커유닛(20)의 외면 나머지에 또 다른 결합부(13)가 끼워지도록 구성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와 같이 개방된 부분이 없는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결합방식은 본 발명의 특징으로, 격한 움직임에 의해 본체(10)가 목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제3-2실시예는 상기 결합부(13)가 공의 형상이 아니라 홈(131)의 형상으로 상기 스피커유닛(20)의 양측에 각각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제3실시예는 상기 본체(10)와 스피커유닛(20)이 탄성고정체를 통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3-1실시예와 제3-2실시예는 상기 스피커유닛(20) 외면에 억지끼움 될 수 있도록 하여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스피커유닛(20)은 상기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스피커유닛(20)의 일측에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부(21)가 형성되어 수신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제어판, 즉 PCB가 내부에 구비되는 것은 자명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유닛(20) 외면에는 멀티버튼(23)이 구비되어, 상기 스피커유닛(20)의 전원을 ON/OFF 하거나, 페어링 등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별도의 배터리가 구비되게 된다.
이 배터리는 충전식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충전단자가 더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모바일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는 송수신부가 더 구비되며, 이 송수신부는 무선으로 연동시키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모듈을 의미하고, 유선으로 연동시키는 경우에는 별도의 aux 단자가 구비되거나, 앞서 충전단자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스피커유닛(20)에 감지부를 구비하여 모바일기기와 스피커유닛(2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에 따라 출력되는 소리의 음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제한거리는 일반적으로 30c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부에 의해 거리를 감지하는 방식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수신감도(RSSI)를 이용하여 프리스(Friis) 공식을 적용한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있다.
Friis 공식이란 자유공간을 통한 무선 링크의 송수신 전력 관계를 표현하는 공식으로, 수신 전력은 두 안테나이득(송신 및 수신)에 비례하고, 파장의 제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다는 공식을 말한다.
즉, 무선수신감도를 측정하여, 통신속도를 통해 스피커유닛과 모바일기기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기기와 스피커유닛(20)이 30cm 이내가 되면,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볼륨을 점차 감소시키고, 더욱 가까워지면 음소거 상태로 변경하며, 다시 30cm 이상이 되면 소리의 볼륨을 원상복귀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모바일기기와 스피커유닛(20) 사이의 거리를 30cm 이상 유지해야하며, 이를 통하여 자발적인 자세교정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상기와 같이, 스피커유닛과 모바일기기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모바일기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팝업 알림 등을 출력하여 경고하여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멀리 둘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감지부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도센서 및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는 6축센서를 더 구비하여, 도5의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6축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안좋은 자세를 취하면, 경고멘트를 출력하거나, 연동되는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팝업메시지를 출력하여 자세교정을 유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6축센서란 X,Y,Z축 자이로스코프-기울기와 3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말한다.
도5 및 도6은 앞서 언급한 탄성고정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5는 상기 탄성고정체(EB)의 결합동작을 측면에서 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이러한 탄성고정체(EB)를 정면에서 바라봐 후술하는 돌기가이드홈(BH)을 상세하게 표현한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는 체결블록(B)이 탄성고정편(E)에 인입되는 방향을 전진방향 또는 전단이라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퇴방향 또는 후단이라 하며, 이를 기준으로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탄성고정체(EB)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탄성고정체(EB)는 본체(10) 일측,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부(13)에 구비되는 체결블록(B)과, 상기 체결블록(B)이 수용되도록 스피커유닛(20)에 구비되는 탄성고정편(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때 상기 스피커유닛(20)에는 한 쌍의 탄성고정편(E)이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상기 본체(10) 양단부, 즉 한 쌍의 결합부(13)에 구비되는 체결블록이 이 탄성고정편(E)에 각각 결합됨으로서 앞서 제1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목걸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유닛(20)이 체결블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을 하면, 상기 체결블록(B)이 상기 탄성고정편(E)과 결합되어 스피커유닛(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고정편에는 상기 결합부(13)의 내측을 지지하는 지지바(E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E2)와 상기 탄성고정편(E) 사이에는 상기 결합부(13)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E5)가 더 형성되어, 슬라이딩 결합을 하며, 1차적으로 끼움결합 방식에 의해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체결블록(B)은 상기 결합부(13)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블록(B1)과, 상기 제1블록(B1)에 인입가능하도록 일면에 구비되는 제2블록(B2), 상기 제1블록(B1) 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13)와 제1블록(B1) 사이에 형성되는 블록받침판(B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블록받침판(B3)은 상기 제1블록(B1)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블록(B2)은 상기 제1블록(B1)에 인입되기 위하여, 상기 제1블록(B1)보다는 작게 이루어지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스피커유닛(20)에는 탄성고정편(E)이 구비되어 있는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고정편(E)은 상기 탄성력을 받을 수 있는 한 쌍의 탄성날개(E1)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한 쌍의 탄성날개(E1) 사이에 블록수용공간(E1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블록(B)이 인입되면, 상기 블록수용공간(E11)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날개(E1)의 후단에는 상기 블록수용공간(E11)에 안착되는 체결블록(B)의 후단을 지지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블록수용공간(E11)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날개(E3)가 더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 사이의 거리는 블록수용공간(E11)에서 상기 체결블록(B)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블록(B), 보다 정확하게는 제1블록(B1)의 폭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이 때 상기 걸림날개(E3)가 블록수용공간(E11)으로 절곡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걸림날개(E3) 사이의 거리가 상기 체결블록(B)사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체결블록(B)의 진입이 불허되는 문제가 발생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의 폭을 변형시키도록 상기 탄성날개(E1)에는 돌기 또는 볼베어링 또는 휠부재로 이루어지는 폭변형가이드(E15)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받침판(B3)에는 상기 폭변형가이드(E15)가 인입되는 돌기가이드홈(BH)이 형성되되, 상기 돌기가이드홈(BH)에 폭확장부(BH2)를 구비하여 체결블록(B)이 인입되는 동작 시 자연스럽게 탄성날개(E1)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돌기가이드홈(BH)은 상기 한 쌍의 폭변형가이드(E15)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돌기진입부(BH1)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돌기가이드홈(BH)은 상기 돌기진입부(BH1)로부터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점 멀어지도록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폭확장부(BH2)가 형성된다.
즉, 체결블록(B)이 전진하면, 상기 폭변형가이드(E15)가 돌기진입부(BH1)로 인입되어 폭확장부(BH2)를 따라 벌어지게 되고, 이는 곳 한 쌍의 탄성날개(E1)가 벌어지게 되어, 상기 체결블록(B)의 진입을 허용하게 되며, 상기 폭확장부(BH2) 후단에는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는 폭복귀부(BH3)를 더 구비하여, 상기 체결블록(B)의 진입이 완료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폭변형가이드(E15)가 폭확장부(BH2)에 의해 오므라지게 됨으로서, 상기 걸림날개(E3)가 상기 체결블록(B)의 후단을 지지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날개(E1)는 복귀성이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강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 및 동작에 의해 상기 체결블록(B)은 상기 한 쌍의 탄성고정편(E) 내에서 후퇴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아울러, 스피커유닛(2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시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를 벌려야 하는 번거로움 및 어려움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날개(E3) 일측에 인출허용부(E13)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블록(B)을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으로 구성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림날개(E3)는 상기 탄성날개(E1) 단부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날개(E1) 단부를 기준으로 절반만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나머지 절반은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의 거리와 동일한 인출허용부(E13)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블록(B)이 블록수용공간(E11)에 위치함을 기준으로, 상기 인출허용부(E13)에는 제1블록(B1)이 위치하고, 상기 걸림날개(E3)는 상기 제2블록(B2)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2블록(B2)은 상기 제1블록(B1) 내에 인입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제1블록(B1)을 제2블록(B2) 방향으로 눌러 제1블록(B1) 내부로 인입시키면, 자연스럽게 인출허용부(E13)를 통하여 체결블록(B)이 블록수용공간(E1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B1) 내부에는 복수개의 탄성체(BS)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1블록(B1)이 제2블록(B2)으로부터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블록수용공간(E11) 내에서 제2블록(B2)이 임의로 제1블록(B1)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스피커 어셈블리 10 : 본체
11 : 걸이부 13 : 결합부
131 : 공, 홈 15 : 안착공간
20 : 스피커유닛 21 : 스피커부
23 : 멀티버튼 EB : 탄성고정체
B : 체결블록 B1 : 제1블록
B2 : 제2블록 B3 : 블록받침판
BS : 탄성체 BH : 돌기가이드홈
BH1 : 돌기진입부 BH2 : 폭확장부
BH3 : 폭복귀부
E : 탄성고정편 E1 : 탄성날개
E11 : 블록수용공간 E13 : 인출허용부
E15 : 폭변형가이드 E3 : 걸림날개

Claims (4)

  1.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걸이부(11)와, 상기 걸이부(11)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부(13)로 이루어지는 본체(10);
    상기 결합부(13)에 구비되며, 무선 또는 유선으로 모바일기기로부터 소리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수신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부(21), 무선수신감도(RSSI)를 통하여 모바일기기와 스피커유닛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스피커유닛(20); 및
    상기 모바일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유닛(20)과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모바일기기와 스피커유닛이 기 설정된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면, 상기 스피커유닛(20)으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의 볼륨을 줄이거나 음소거 상태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10)의 결합부(13)는 상기 걸이부(11)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부(13)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결합부(13) 모두에 단일의 스피커유닛(20)이 탄성고정체(EB)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탄성고정체(EB)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13)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는 체결블록(B)과, 상기 체결블록(B)이 수용되도록 상기 스피커유닛(20)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탄성고정편(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고정편(E)은
    상기 체결블록(B)이 인입되는 블록수용공간(E11)을 형성하도록 한 쌍의 탄성날개(E1)와,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 각각의 단부에 상기 블록수용공간(E1)으로 절곡 형성되어, 인입된 체결블록(B)의 후단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날개(E3)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에는 각각 폭변형가이드(E15)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블록(B)에는 상기 한 쌍의 폭변형가이드(E15)가 안착되는 한 쌍의 돌기가이드홈(BH)이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돌기가이드홈(BH)에는 폭확장부(BH2)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블록(B)이 상기 탄성고정편(E)에 인입될 때,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 사이의 폭을 넓혀 상기 걸림날개(E3) 사이로 체결블록(B)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와 스피커유닛(20)이 기 설정된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면, 상기 모바일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알림메시지를 모바일기기에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6축센서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자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유닛(20)의 외면에는 멀티버튼(23)이 더 구비되어, 상기 스피커유닛(20)의 전원을 ON/OFF 및 모바일기기와의 페어링 설정을 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
KR1020190108078A 2019-09-02 2019-09-02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 KR102130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078A KR102130761B1 (ko) 2019-09-02 2019-09-02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078A KR102130761B1 (ko) 2019-09-02 2019-09-02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761B1 true KR102130761B1 (ko) 2020-07-08

Family

ID=7159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078A KR102130761B1 (ko) 2019-09-02 2019-09-02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7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302A (ko) * 2006-07-12 2008-01-16 네오피델리티 주식회사 착탈식 목걸이형 음향 재생 장치
KR20140025956A (ko) * 2012-08-24 2014-03-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채널 디지털 음원 플레이어
KR20190099847A (ko) * 2018-02-20 2019-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자세 교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302A (ko) * 2006-07-12 2008-01-16 네오피델리티 주식회사 착탈식 목걸이형 음향 재생 장치
KR20140025956A (ko) * 2012-08-24 2014-03-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채널 디지털 음원 플레이어
KR20190099847A (ko) * 2018-02-20 2019-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자세 교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56801B (zh) 具有稳定特征的耳机和相关技术
US10034076B2 (en) Earphone
US9900687B2 (en) Earphone device with optical sensor
KR101662617B1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KR101755320B1 (ko) 교체 가능한 넥밴드 구조를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US20170272561A1 (en)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321218B2 (en) Ear device for fixing earphone
US11153671B2 (en) Magnetic earphones holder
JP2007329954A (ja) 自動車電話、電話、スイッチボード又はこれに類するもののためのマイクロホン/イヤホン
JP2010530659A (ja) 改良されたイヤーピース
CN205176414U (zh) 带有骨传导耳机的运动型太阳眼镜
US20200092626A1 (en) A wearable device
KR101713808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넥밴드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US20180279086A1 (en) Device control
CN105425425A (zh) 具有骨传导功能的智能眼镜
KR102130761B1 (ko) 스마트 헬스케어 스피커 어셈블리
KR101906299B1 (ko) 심박수 측정 및 체온 측정이 가능한 이어폰
KR20170072769A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KR101800618B1 (ko)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넥밴드형 블루투스 헤드셋
KR20160128086A (ko) 무선헤드셋
KR20180017439A (ko)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KR200483250Y1 (ko) 목걸이형 무선 이어폰 장치
KR101673940B1 (ko)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US20230275617A1 (en) Audio device with hall effect sensor proximity detection and independent coupling
EP1968344A1 (en) Headphone with expansion space in either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