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394B1 - 결속기 - Google Patents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394B1
KR102130394B1 KR1020177036610A KR20177036610A KR102130394B1 KR 102130394 B1 KR102130394 B1 KR 102130394B1 KR 1020177036610 A KR1020177036610 A KR 1020177036610A KR 20177036610 A KR20177036610 A KR 20177036610A KR 102130394 B1 KR102130394 B1 KR 10213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einforcing bar
gripping member
binding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562A (ko
Inventor
오사무 이타가키
아키라 카사하라
타카히로 나가오카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20207018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6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6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4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e.g. by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7/00Twisting wire; Twisting wire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28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28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twisting
    • B65B13/285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10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04G21/123Wire twisting tools

Abstract

와이어의 단부가 철근 등의 결속물측을 향한 상태로 하여, 와이어에 의해 결속물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한 철근 결속기를 제공한다. 철근 결속기(1A)는, 2가닥의 와이어(W)를 풀어낼 수 있도록 수용되는 매거진(2A); 병렬된 와이어(W)를 철근(S)의 주위에 권취하는 컬 가이드부(5A); 와이어(W)를 병렬시켜 이송하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W)를 컬 가이드부(5A)에 의해 철근(S)의 주위에 권취하고,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와이어 이송부(3A); 및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측과 다른 한쪽의 단부측의 교차 부분을 비트는 결속부(7A)를 구비한다. 결속부(7A)는,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측과 다른 한쪽의 단부측을, 철근(S)측으로 절곡하는 절곡부(7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결속기
본 발명은, 철근 등의 결속물을 와이어로 결속하는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2가닥 이상의 철근에 와이어를 권취하고, 권취한 와이어를 비틀어 해당 2가닥 이상의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로 불리는 결속기가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철근 결속기는, 와이어를 이송하여 철근의 주위에 권취한 후에 절단하고, 와이어의 한쪽의 단부측과 다른 한쪽의 단부측이 교차하는 부분을 비틀어 철근을 결속하는 구성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철근 결속기로 철근을 결속한 와이어는, 와이어의 한쪽의 단부와 다른 한쪽의 단부가, 와이어에 의한 결속 부분의 철근에 대해, 철근과 반대측으로 향한 형태가 된다. 하지만, 결속후의 와이어의 한쪽의 단부와 다른 한쪽의 단부가, 철근과 반대측으로 향한 상태에서는, 철근을 결속한 와이어에 있어서, 와이어가 비틀린 부위보다 와이어의 선단측이 크게 돌출된 형태가 되기 때문에,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특허문헌 2에는, 와이어의 선단측을 돌출시키지 않고, 철근측으로 절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와이어의 단부를 비트는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절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일본국 특허 제4747455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570972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674762호 공보
하지만,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 모두, 와이어를 어느 방향으로 어떻게 절곡하는 바와 같은 구체적인 수단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와이어의 단부가 해당 와이어의 정상부보다 결속부측으로 위치하도록 와이어를 절곡하고자 해도, 와이어를 절곡하는 방향이 원하는 방향으로 정해지지 않아, 와이어의 단부가 철근측으로 향하도록 와이어를 확실하게 절곡할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어의 단부가 해당 와이어의 정상부보다 결속물측으로 위치하도록, 와이어를 원하는 방향으로 확실하게 절곡할 수 있도록 한 결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결속물에 와이어를 권취 가능한 이송 수단; 이송 수단에 의해 결속물에 권취된 와이어를 파지하는 파지 수단; 및 파지 수단으로 파지된 와이어의 단부가, 해당 와이어의 정상부보다 결속물측으로 위치하도록 와이어를 절곡하는 절곡 수단을 구비한 결속기이다.
본 발명에서는, 파지 수단으로 파지된 와이어의 단부가, 해당 와이어의 정상부보다 결속물측으로 위치하도록 와이어를 절곡하는 절곡 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의 단부가 해당 와이어의 정상부보다 결속물측으로 위치하는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와이어를 확실하게 절곡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에서 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면에서 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이송 기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A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B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C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D는 병렬된 와이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E는 교차하여 비틀린 와이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가이드홈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A는 본 실시예의 파지부의 주요 부분 구성도이다.
도 6B는 본 실시예의 파지부의 주요 부분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5A는 철근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5B는 철근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5C는 철근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6A는 와이어를 절곡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6B는 와이어를 절곡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6C는 와이어를 절곡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7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의 예이다.
도 17B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도 18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의 예이다.
도 18B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도 19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의 예이다.
도 19B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도 20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의 예이다.
도 20B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의 예이다.
도 20C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도 20D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도 21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의 예이다.
도 21B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도 22A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B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C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A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3B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3C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3D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3E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4는 본 실시예의 가이드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5A는 본 실시예의 와이어 이송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5B는 본 실시예의 와이어 이송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6은 다른 실시예의 파지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의 파지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8은 다른 실시예의 파지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9는 다른 실시예의 파지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0은 다른 실시예의 파지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다른 실시예의 파지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결속기의 실시예로서의 철근 결속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구성예>
도 1은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에서 본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면에서 본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의 내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들고 다닐 수 있는 운반 가능형 결속기이다. 철근 결속기(1A)는, 종래의 지름이 굵은 와이어와 비교하여 지름이 가는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를 사용하여, 결속물인 철근(S)을 결속한다. 철근 결속기(1A)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철근(S)의 주위에 와이어(W)를 권취하는 동작,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W)를 철근(S)에 밀착하도록 권취하는 동작, 철근(S)에 권취된 와이어를 비트는 동작 등에 의해,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한다.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상술한 어느 동작으로도, 와이어(W)가 절곡되기 때문에, 종래의 와이어와 비교하여 지름이 가는 와이어(W)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철근(S)에 적은 힘으로 와이어를 권취하면서, 적은 힘으로 와이어(W)를 비틀 수 있다. 또한, 와이어를 2가닥 이상 사용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W)에 의한 철근(S)의 결속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를 병렬시켜 이송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W)를 권취하는 동작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1가닥의 와이어로 철근을 이중 이상으로 권취하는 동작과 비교하여 짧게 할 수 있다. 한편, 철근(S)의 주위에 와이어(W)를 권취하는 것,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W)를, 철근(S)에 밀착하도록 권취하는 것을 총칭하여, 와이어(W)를 권취한다고도 기재한다. 와이어(W)가 권취되는 것은, 철근(S) 이외의 결속물이어도 좋다. 여기서, 와이어(W)는, 소성 변형할 수 있는 금속으로 구성된 단선 와이어, 혹은 연선의 와이어가 사용된다.
철근 결속기(1A)는, 와이어(W)가 수용되는 수용부인 매거진(2A)과, 매거진(2A)에 수용된 와이어(W)를 이송하는 와이어 이송부(3A)와, 와이어 이송부(3A)에 이송되는 와이어(W), 및, 와이어 이송부(3A)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를 병렬시키는 병렬 가이드(4A)를 구비한다. 또한, 철근 결속기(1A)는, 병렬되어 이송되는 와이어(W)를 철근(S)의 주위에 권취하는 컬 가이드부(5A)와, 철근(S)에 권취된 와이어(W)를 절단하는 절단부(6A)를 구비한다. 또한, 철근 결속기(1A)는, 철근(S)에 권취된 와이어(W)를 파지하여 비트는 결속부(7A)를 구비한다.
매거진(2A)은 수용 수단의 일례로, 본 예에서는, 2가닥의 긴 와이어(W)를 풀어낼 수 있도록 권취된 릴(20)이, 탈착 가능하게 수용된다. 릴(20)은, 와이어(W)를 권취 가능한 원통 형상의 허브부(20a)와, 허브부(20a)의 축방향 양단측에 마련되는 한쌍의 플랜지(20b)를 구비한다. 플랜지(20b)는, 허브부(20a)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구비하고, 허브부(20a)의 축방향 양단측에서 지름 방향으로 돌출한다. 허브부(20a)에는, 2가닥 이상의 와이어(W), 본 예에서는, 2가닥의 와이어(W)가 권취된다.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와이어 이송부(3A)로 2가닥의 와이어(W)를 이송하는 동작, 및, 2가닥의 와이어(W)를 수동으로 이송하는 동작에 의해, 매거진(2A)에 수용된 릴(20)이 회전하면서, 2가닥의 와이어(W)가 릴(20)로부터 풀려난다. 이 때, 2가닥의 와이어(W)가 서로 꼬이지 않고 풀려나도록, 허브부(20a)에 2가닥의 와이어(W)가 권취된다.
와이어 이송부(3A)는, 이송 수단을 구성하는 와이어 이송 수단의 일례로, 병렬된 와이어(W)를 이송하는 한쌍의 이송 부재로서, 회전 동작에 의해 와이어(W)를 이송하는 평기어 형태의 제1이송 기어(30L)와, 제1이송 기어(30L)의 사이에 와이어(W)를 협지하는 마찬가지로 평기어 형태의 제2이송 기어(30R)를 구비한다.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원반 모양의 부재의 외주면에 이빨부가 형성된 평기어 형태이다. 다만,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서로가 맞물려 한쪽의 이송 기어로부터 다른 한쪽의 이송 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2가닥의 와이어(W)를 적절히 이송 가능한 것이면, 꼭 평기어 형태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각각이 원반 모양의 부재로 구성된다. 와이어 이송부(3A)는,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가, 와이어(W)의 이송 경로를 사이에 끼고 마련되는 것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의 외주면끼리가 대향한다.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외주면의 대향하는 부위 사이에, 병렬된 2가닥의 와이어(W)를 협지한다.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2가닥의 와이어(W)를 병렬시킨 상태로, 와이어(W)의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이송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이송 기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제1이송 기어(30L)는, 외주면에 이빨부(31L)를 구비한다. 제2이송 기어(30R)는, 외주면에 이빨부(31R)를 구비한다.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서로의 이빨부(31L, 31R)가 대향하도록 병렬로 배치된다. 즉,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컬 가이드부(5A)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 즉,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를 원형으로 간주한 가상원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병렬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컬 가이드부(5A)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을,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이라고도 한다.
제1이송 기어(30L)는, 외주면에 제1이송 홈부(32L)를 구비한다. 제2이송 기어(30R)는, 외주면에 제2이송 홈부(32R)를 구비한다.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제1이송 홈부(32L)와 제2이송 홈부(32R)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이송 홈부(32L)는, 제1이송 기어(30L)의 외주면에, 제1이송 기어(30L)의 회전 방향을 따라 V홈 형태로 형성된다. 제1이송 홈부(32L)는, V홈을 형성하는 제1경사면(32La)과 제2경사면(321b)을 구비한다. 제1이송 홈부(32L)는, 제1경사면(32La)과 제2경사면(321b)이 소정의 각도로 대향하도록, 단면 형상이 V홈 형태로 형성된다. 제1이송 홈부(32L)는,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 사이에 병렬된 상태로 와이어(W)가 협지될 때, 병렬되는 와이어(W)의 가장 외측의 와이어 중의 한쪽, 본 예에서는, 병렬되는 2가닥의 와이어(W) 중의 한쪽의 와이어(W1)의 외주면의 일부가 제1경사면(32La)과 제2경사면(321b)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제2이송 홈부(32R)는, 제2이송 기어(30R)의 외주면에, 제2이송 기어(30R)의 회전 방향을 따라 V홈 형태로 형성된다. 제2이송 홈부(32R)는, V홈을 형성하는 제1경사면(32Ra)과 제2경사면(32Rb)을 구비한다. 제2이송 홈부(32R)는, 제1이송 홈부(32L)와 마찬가지로 단면 형상이 V홈 형태이고, 제1경사면(32Ra)과 제2경사면(32Rb)이 소정의 각도로 대향한다. 제2이송 홈부(32R)는,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 사이에 병렬된 상태로 와이어(W)가 협지될 때, 병렬되는 와이어(W)의 가장 외측의 와이어 중의 다른 한쪽, 본 예에서는, 병렬되는 2가닥의 와이어(W) 중의 다른 한쪽의 와이어(W2)의 외주면의 일부가 제1경사면(32Ra)과 제2경사면(32Rb)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제1이송 홈부(32L)는,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로 와이어(W)를 협지했을 때, 제1경사면(32La) 및 제2경사면(321b)에 접한 한쪽의 와이어(W1)의 제2이송 기어(30R)와 대향하는 측의 부위가, 제1이송 기어(30L)의 이뿌리원(31La)보다 돌출되는 깊이나 (제1경사면(32La)과 제2경사면(321b)과의)각도로 구성된다.
제2이송 홈부(32R)는,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로 와이어(W)를 협지했을 때, 제1경사면(32Ra) 및 제2경사면(32Rb)에 접한 다른 한쪽의 와이어(W2)의 제1이송 기어(30L)와 대향하는 측의 부위가, 제2이송 기어(30R)의 이뿌리원(31Ra)보다 돌출되는 깊이나 (제1경사면(32Ra)과 제2경사면(32Rb)과의)각도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 사이에서 협지되는 2가닥의 와이어(W)는, 한쪽의 와이어(W1)가, 제1이송 홈부(32L)의 제1경사면(32La)과 제2경사면(321b)에 가압되고, 다른 한쪽의 와이어(W2)가, 제2이송 홈부(32R)의 제1경사면(32Ra)과 제2경사면(32Rb)에 가압된다. 그리고, 한쪽의 와이어(W1)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2)는 서로 가압된다. 따라서,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2가닥의 와이어(W)(한쪽의 와이어(W1)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2))가,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 사이에서는 서로 접한 상태로 동시에 이송된다. 한편, 본 예에서는, 제1이송 홈부(32L)와 제2이송 홈부(32R)는, 단면 형상을 V홈 형태로 했지만, 꼭 V홈 형태로 한정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사다리꼴이나 원호형이어도 좋다. 또한, 제1이송 기어(30L)의 회전을 제2이송 기어(30R)에 전달하기 위해,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 사이에,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짝수 개의 기어 등으로 구성되는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와이어 이송부(3A)는, 제1이송 기어(30L)를 구동하는 구동부(33)와, 제2이송 기어(30R)를 제1이송 기어(30L)에 대해 가압 및 이접시키는 변위부(34)를 구비한다.
구동부(33)는, 제1이송 기어(30L)를 구동하는 이송 모터(33a)와, 이송 모터(33a)의 구동력을 제1이송 기어(30L)에 전달하는 기어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전달 기구(33b)를 구비한다.
제1이송 기어(30L)는, 이송 모터(33a)의 회전 동작이 전달 기구(33b)를 통해 전달되어 회전한다. 제2이송 기어(30R)는, 제1이송 기어(30L)의 회전 동작이 이빨부(31L)를 통해 이빨부(31R)에 전달되어, 제1이송 기어(30L)에 종동하여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와 한쪽의 와이어(W1)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 제2이송 기어(30R)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2)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 및, 한쪽의 와이어(W1)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2)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2가닥의 와이어(W)가 병렬된 상태로 이송된다.
와이어 이송부(3A)는, 이송 모터(33a)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것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의 회전 방향이 전환되어,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의 정/역 방향이 전환된다.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와이어 이송부(3A)에서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를 정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와이어(W)가 화살표 X1로 나타내는 정방향, 즉, 컬 가이드부(5A)의 방향으로 이송되어, 컬 가이드부(5A)에서 철근(S)에 권취된다. 또한,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한 후에,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를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와이어(W)는 화살표 X2로 나타내는 역방향, 즉, 매거진(2A)의 방향으로 이송된다(되돌려진다).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한 후에 되돌리는 것에 의해, 와이어(W)는 철근(S)에 밀착된다.
변위부(34)는, 축(34a)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동작에 의해, 제2이송 기어(30R)를 제1이송 기어(30L)에 대해 이접시키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제1변위 부재(35)와, 제1변위 부재(35)를 변위시키는 제2변위 부재(36)를 구비한다. 제2이송 기어(30R)는, 제2변위 부재(36)를 가압하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본 예에서는 2가닥의 와이어(W)가, 제1이송 기어(30L)의 제1이송 홈부(32L)와 제2이송 기어(30R)의 제2이송 홈부(32R)로 협지된다. 또한, 제1이송 기어(30L)의 이빨부(31L)와 제2이송 기어(30R)의 이빨부(31R)가 맞물린다. 여기서, 제1변위 부재(35)와 제2변위 부재(36)의 관계는, 제2변위 부재(36)를 변위시켜 제1변위 부재(35)를 프리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제2이송 기어(30R)가 제1이송 기어(30L)로부터 이격 가능한 구성이지만, 제1변위 부재(35)와 제2변위 부재(36)가 연동하는 기구로 해도 좋다.
도 4A, 도 4B, 도 4C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4A, 도 4B, 도 4C는 도 2의 C-C선 단면도이고, 도입 위치(P1)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한편, 중간 위치(P2)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 2의 D-D선 단면도, 절단 배출 위치(P3)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 2의 E-E선 단면도도 동일한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도 4D는 병렬된 와이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E는 교차하여 비틀린 와이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병렬 가이드(4A)는 이송 수단을 구성하는 규제 수단의 일례로, 이송되어 온 복수 가닥(2가닥 이상)의 와이어(W)의 방향을 규제한다. 병렬 가이드(4A)는, 진입해 온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를 병렬로 하여 송출한다. 병렬 가이드(4A)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2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병렬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컬 가이드부(5A)에 의해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을 따르도록,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를 병렬시킨다. 병렬 가이드(4A)는, 해당 2가닥 이상의 와이어(W)의 방향을 규제하여 병렬로 하는 와이어 규제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개구(4AW))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는, 병렬 가이드(4A)는 가이드 본체(4AG)를 구비하고, 가이드 본체(4AG)에는 복수 가닥의 와이어(W)를 통과(삽통)시키기 위한 와이어 규제부인 개구(4AW)가 형성된다. 개구(4AW)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라 가이드 본체(4AG)를 관통한다. 개구(4AW)는, 이송되어 온 복수 가닥의 와이어(W)가 개구(4AW)를 통과할 때, 및 통과한 후, 이들 복수 가닥의 와이어(W)가 병렬하도록(복수 가닥의 와이어(W)가 와이어(W)의 이송 방향(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지름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복수 가닥의 와이어(W)의 축이 각각 거의 평행 상태가 되도록), 그 형상이 결정된다. 따라서, 병렬 가이드(4A)를 통과한 복수 가닥의 와이어(W)는, 병렬된 상태로 병렬 가이드(4A)로부터 나간다. 이와 같이 병렬 가이드(4A)는, 2가닥의 와이어(W)의 지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방향을 규제하여, 2가닥의 와이어(W)가 병렬되도록 한다. 이 때문에, 개구(4AW)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이,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일 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방향보다 긴 형상이다. 개구(4AW)는, (2가닥 이상의 와이어(W)가 병렬 가능한)길이 방향이,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더 구체적으로는, 컬 가이드부(5A)에 의해 루프 모양으로 된 와이어(W)의 축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개구(4AW)를 삽통한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해당 루프 모양으로 된 와이어(W)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병렬로 이송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개구(4AW)의 형상을 설명하는 경우,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른 방향의 단면 형상에 대해 설명하는 경우에는, 그때마다 기재한다.
예를 들면, 개구(4AW)(의 단면)가, 와이어(W)의 지름의 2배 이상의 지름을 구비한 원형인 경우, 또는, 한변의 길이가, 와이어(W)의 지름의 2배 이상인 거의 정방형인 경우, 개구(4AW)를 통과하는 2가닥의 와이어(W)는, 지름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개구(4AW)를 통과하는 2가닥의 와이어(W)가, 개구(4AW) 내에 있어서 지름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이면, 2가닥의 와이어(W)의 지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방향을 규제할 수 없어, 개구(4AW)로부터 나온 2가닥의 와이어(W)는 병렬되지 않고 꼬이거나, 교차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개구(4AW)는, 상기 일 방향의 길이, 즉, 길이 방향의 길이(L1)를, 복수(n) 가닥의 와이어(W)를 지름 방향을 따라 배열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지름(r)의 복수(n) 가닥 분량보다 약간 긴 길이로 하고, 상기 다른 방향의 길이, 즉, 폭 방향의 길이(L2)를,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로 한다. 개구(4AW)는, 본 예에서는,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2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하고,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는, 병렬 가이드(4A)는, 개구(4AW)의 길이 방향이 직선 형태, 폭 방향이 원호형으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병렬 가이드(4A)의 폭 방향의 길이(L2)의 바람직한 길이로서,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로 했다. 하지만, 와이어(W)는, 교차되거나, 꼬이지 않고 병렬 상태로 개구(4AW)로부터 나오면 되기 때문에, 병렬 가이드(4A)의 길이 방향의 방향이, 컬 가이드부(5A)에서 철근(S)에 권취되는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병렬 가이드(4A)의 폭 방향의 길이(L2)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에서, 와이어(W)의 2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짧은 길이의 범위이면 된다.
또한, 병렬 가이드(4A)의 길이 방향의 방향이, 컬 가이드부(5A)에서 철근(S)에 권취되는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병렬 가이드(4A)의 폭 방향의 길이(L2)는,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에서, 와이어(W)의 2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짧은 길이의 범위이면 된다.
병렬 가이드(4A)는, 개구(4AW)의 길이 방향의 방향이,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방향, 본 예에서는, 컬 가이드부(5A)에서 철근(S)에 권취되는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병렬 가이드(4A)는,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을 따라 2가닥의 와이어를 병렬시켜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병렬 가이드(4A)는, 개구(4AW)의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지름(r)의 2배의 길이보다 짧고, 와이어(W)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인 경우, 개구(4AW)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지름(r)의 복수 가닥의 분량보다 충분히 긴 경우에도, 와이어(W)를 병렬시켜 통과시킬 수 있다.
하지만, 폭 방향의 길이(L2)가 길고(예를 들면 와이어(W)의 지름(r)의 2배의 길이에 가까운 길이), 길이 방향의 길이(L1)도 길어질수록, 와이어(W)는, 개구(4AW) 내를 더욱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렇게 되면, 개구(4AW) 내에서 2가닥의 와이어(W)의 각각의 축이 평행해지지 않고, 개구(4AW)를 통과한 후, 와이어(W)가 꼬이거나, 교차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2가닥의 와이어(W)가 지름 방향을 따라 병렬되도록, 개구(4AW)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지름(r)의 2배보다 약간 긴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폭 방향의 길이(L2)도, 와이어(W)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병렬 가이드(4A)는, 와이어(W)를 정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방향에 대해,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와이어 이송부(3A))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소정의 위치에 마련된다. 병렬 가이드(4A)를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의 상류측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 이송부(3A)에는, 병렬 상태의 2가닥의 와이어(W)가 진입하게 된다. 이 때문에, 와이어 이송부(3A)는 와이어(W)를 적절(병렬)히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병렬 가이드(4A)를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하류측에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 이송부(3A)로부터 송출되어 온 2가닥의 와이어(W)의 병렬 상태를 유지하면서, 해당 와이어(W)를 더욱 하류측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상류측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는, 와이어 이송부(3A)에 이송되는 와이어(W)가, 상술한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와 매거진(2A) 사이의 도입 위치(P1)에 마련된다.
또한,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하류측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 중의 하나는, 절단부(6A)에 이송되는 와이어(W)가, 상술한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와 절단부(6A) 사이의 중간 위치(P2)에 마련된다.
또한,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하류측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의 다른 하나는, 컬 가이드부(5A)에 이송되는 와이어(W)가, 상술한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절단부(6A)가 배치되는 절단 배출 위치(P3)에 마련된다.
도입 위치(P1)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는,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개구(4AW)의 적어도 하류측이, 와이어(W)의 지름 방향의 방향을 규제하는 상술한 형상을 구비한다. 이에 대해,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개구(4AW)의 상류측인 매거진(2A)을 향한 측(와이어 도입부)은, 상류측에 비해 개구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4AW)는, 와이어(W)의 방향을 규제하는 원통 형상의 구멍부와, 해당 원통 형상의 구멍부의 상류측 단부에서 와이어 도입부인 개구(4AW)의 입구 부분에 걸쳐 개구 면적이 서서히 커지는 원추 형상(깔때기 모양, 테이퍼 형상)의 구멍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 도입부의 개구 면적을 가장 크게 하고, 거기서부터 서서히 개구 면적을 작게 해 가는 것에 의해, 병렬 가이드(4)에 와이어(W)를 진입시키기 쉽게 하고 있다. 따라서, 개구(4AW)에 와이어(W)를 도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병렬 가이드(4A)도 동일한 구성이고,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하류측의 개구(4AW)가, 와이어(W)의 지름 방향의 방향을 규제하는 상술한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다른 병렬 가이드(4)에 대해서도,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의 개구의 개구 면적을, 하류측의 개구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하여 구성해도 좋다.
도입 위치(P1)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A), 중간 위치(P2)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A) 및 절단 배출 위치(P3)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A)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개구(4AW)의 길이 방향의 방향이, 철근(S)에 권취되는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로 이송되는 2가닥의 와이어(W)는,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근(S)에 권취되는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을 따른 방향으로 병렬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송되어, 도 4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가닥의 와이어(W)가 이송중에 교차되어 꼬이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본 예에서는, 개구(4AW)는, 개구(4AW)의 입구에서 출구에 걸쳐(와이어(W)의 이송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개구(4AW)의 입구에서 출구까지 소정의 거리 또는 깊이)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구멍부로서 구성했지만, 개구(4AW)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개구(4AW)가 판상의 가이드 본체(4AG)에 뚫린 깊이가 거의 없는 평면 구멍 등이어도 좋다. 또한, 개구(4AW)는, 가이드 본체(4AG)를 관통하는 구멍부가 아니고, 홈 형태의 가이드(예를 들면 상부가 개구된 U자 모양의 가이드홈)여도 좋다. 또한, 본 예에서는, 와이어 도입부인 개구(4AW)의 입구 부분의 개구 면적을 다른 부분보다 크게 했지만, 꼭 다른 부분보다 크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개구(4AW)를 통과하여 병렬 가이드(4A)로부터 나온 복수 가닥의 와이어가 병렬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라면, 개구(4AW)의 형상은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병렬 가이드(4A)가,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의 상류측(도입 위치(P1))과 하류측의 소정의 위치(중간 위치(P2) 및 절단 배출 위치(P3))에 마련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병렬 가이드(4A)가 설치되는 위치는 꼭 이 3군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병렬 가이드(4A)를 도입 위치(P1)에만, 중간 위치(P2)에만, 또는 절단 배출 위치(P3)에만 설치해도 좋고, 도입 위치(P1)와 중간 위치(P2)에만, 도입 위치(P1)와 절단 배출 위치(P3)에만, 또는 중간 위치(P2)와 절단 배출 위치(P3)에만 설치해도 좋다. 또한, 병렬 가이드(4A)를 도입 위치(P1)에서 절단 위치(P3)의 하류측의 컬 가이드부(5A) 사이의 어느 한 위치에 4군데 이상 설치해도 좋다. 한편, 도입 위치(P1)란, 매거진(2A)의 내부도 포함한다. 즉, 병렬 가이드(4A)를, 매거진(2A)의 내부에서, 와이어(W)가 인출되는 출구 근방에 배치해도 좋다.
컬 가이드부(5A)는 이송 수단을 구성하는 가이드 수단의 일례로, 2가닥의 와이어(W)를 루프 모양으로 하여 철근(S)의 주위에 권취하는 반송 경로를 구성한다. 컬 가이드부(5A)는,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로 이송되는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하는 제1가이드부(50)와, 제1가이드부(50)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를 결속부(7A)로 유도하는 제2가이드부(51)를 구비한다. 제1가이드부(50)의 선단과 제2가이드부(51)의 선단은 이격되어 있고,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개구)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철근(S)의 결속 작업을 할 때, 또는 결속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는, 이 간격으로부터 철근(S)을 출입시킬 수 있다. 종래의 철근 결속기에는, 간격이 없는 고리(닫힌 원) 모양의 컬 가이드부를 구비한 것도 존재하지만(예를 들면, 상술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결속기), 이와 같은 컬 가이드부에서는, 철근(S)을 출입시키기 위한 컬 가이드 개폐 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본 예와 같이 간격을 구비하는 컬 가이드부(5A)이면, 컬 가이드 개폐 기구를 마련할 필요도 없다.
제1가이드부(50)는, 와이어(W)의 이송 경로를 구성하는 가이드홈(52)과, 가이드홈(52)과의 협동으로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하는 가이드 부재로서의 가이드핀(53, 53b)을 구비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가이드홈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5는 도 2의 G-G선 단면도이다.
가이드홈(52)은 와이어(W)를 가이드하는 것이고, 병렬 가이드(4A)와 함께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와이어(W)의 지름 방향의 방향을 규제하기 위해, 본 예에서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이, 동일하게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일 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방향보다 긴 형상의 개구로 구성된다.
가이드홈(52)은,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를 지름 방향을 따라 배열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지름(r)의 복수 가닥의 분량보다 약간 긴 길이,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가이드홈(52)은, 본 예에서는,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2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이드홈(52)은, 개구의 길이 방향의 방향이,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한편, 꼭 가이드홈(52)에, 와이어(W)의 지름 방향의 방향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게 하지 않아도 좋다. 그 경우, 가이드홈(52)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치수(길이)는 상술한 치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핀(53)은, 제1가이드부(50)에 있어서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도입부측에 마련되고, 가이드홈(52)에 의한 와이어(W)의 이송 경로에 대해,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내측에 배치된다. 가이드핀(53)은, 가이드홈(52)을 따라 이송되는 와이어(W)가,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내측에 들어가지 않도록, 와이어(W)의 이송 경로를 규제한다.
가이드핀(53b)은, 제1가이드부(50)에 있어서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배출부측에 마련되고, 가이드홈(52)에 의한 와이어(W)의 이송 경로에 대해,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로 이송되는 와이어(W)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외측의 2점과, 이 2점 사이의 내측의 1점의 적어도 3점으로,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위치가 규제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가이드핀(53)의 상류측에 마련되는 절단 배출 위치(P3)의 병렬 가이드(4A)와, 가이드핀(53)의 하류측에 마련되는 가이드핀(53b)의 2점에 의해,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외측의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가이드핀(53)에 의해,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내측의 위치가 규제된다.
컬 가이드부(5A)는, 철근(S)에 와이어(W)를 권취하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W)가 이동하는 경로로부터 가이드핀(53)을 퇴피시키는 퇴피 기구(53a)를 구비한다. 퇴피 기구(53a)는, 와이어(W)가 철근(S)에 권취된 후, 결속부(7A)의 동작과 연동하여 변위하여,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타이밍 전에, 가이드핀(53)을 와이어(W)가 이동하는 경로로부터 퇴피시킨다.
제2가이드부(51)는, 철근(S)에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위치(루프(Ru)의 지름 방향으로의 와이어(W)의 움직임)를 규제하는 제3가이드부로서의 고정 가이드부(54)와, 철근(S)에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을 따른 위치(루프(Ru)의 축방향(Ru1)으로의 와이어(W)의 움직임)를 규제하는 제4가이드부로서의 가동 가이드부(55)를 구비한다.
고정 가이드부(54)는, 철근(S)에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외측에,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면에 의한 벽면(54a)이 마련된다. 고정 가이드부(54)는, 철근(S)에 와이어(W)가 권취될 때, 벽면(54a)으로, 철근(S)에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위치를 규제한다. 고정 가이드부(54)는, 철근 결속기(1A)의 본체부(10A)에 고정되고, 제1가이드부(50)에 대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고정 가이드부(54)는, 본체부(10A)와 일체로 성형되어도 좋다. 또한, 별도의 부품인 고정 가이드부(54)를 본체부(10A)에 장착하는 구성에서는, 고정 가이드부(54)가 본체부(10A)에 대해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루프(Ru)를 형성하는 동작에서 와이어(W)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정도로 가동이어도 좋다.
가동 가이드부(55)는, 제2가이드부(51)의 선단측에 마련되고, 철근(S)에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을 따른 양측에,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해 벽면(54a)로부터 일어서는 벽면(55a)이 마련된다. 가동 가이드부(55)는, 철근(S)에 와이어(W)가 권취될 때, 벽면(55a)으로, 철근(S)에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을 따른 위치를 규제한다. 가동 가이드부(55)는, 벽면(55a)의 간격이, 제1가이드부(50)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가 들어가는 선단측에서 넓어지고, 고정 가이드부(54b)를 향해 좁아지는 형상이고, 벽면(55a)이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가이드부(50)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는, 철근(S)에 권취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의 위치가 가동 가이드부(55)의 벽면(55a)으로 규제되어, 가동 가이드부(55)에서 고정 가이드부(54)로 유도된다.
가동 가이드부(55)는, 제1가이드부(50)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가 들어가는 선단측과 반대측이, 축(55b)에 의해 고정 가이드부(54)에 지지된다. 가동 가이드부(55)는, 철근(S)에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을 따른 축(55b)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동작에 의해, 제1가이드부(50)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가 들어가는 선단측이, 제1가이드부(50)에 대해 이접하는 방향으로 개폐한다.
철근 결속기는, 철근(S)을 결속할 때, 철근(S)에 와이어(W)를 권취하기 위해 마련되는 한쌍의 가이드 부재, 본 예에서는,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의 사이에 철근(S)을 넣은(세팅하여) 후 결속 작업을 한다. 결속 작업이 완료되면, 다음 결속 작업을 하기 위해, 결속 완료후의 철근(S)으로부터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를 뺀다. 철근(S)으로부터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를 빼는 경우, 철근 결속기(1A)를 철근(S)으로부터 떼어 놓는 일 방향인 화살표 Z3(도 1 참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철근(S)은 아무런 문제없이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로부터 뺄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면, 화살표 Y2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철근(S)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의 철근(S)을 순차 결속해 가는 경우, 결속 때마다 철근 결속기(1A)를 화살표 Z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번거롭고, 화살표 Z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신속히 작업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면 특허 제474745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에서는, 본 예에서 말하는 제2가이드부(51)에 상당하는 가이드 부재가 결속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철근 결속기를 화살표 Z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면 가이드 부재가 철근(S)에 걸린다. 여기서,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제2가이드부(51)(가동 가이드부(55))를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으로 하고, 철근 결속기(1A)를 화살표 Z2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의 사이로부터 철근(S)을 뺄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 때문에, 가동 가이드부(55)는, 축(55b)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동작에 의해, 제1가이드부(50)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를 제2가이드부(51)로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 위치와, 철근 결속기(1A)를 화살표 Z2 방향으로 이동시켜, 철근(S)으로부터 철근 결속기(1A)를 빼는 동작에 의해 퇴피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개폐한다.
가동 가이드부(55)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에 의해, 제1가이드부(50)의 선단측과 제2가이드부(51)의 선단측과의 간격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스프링의 힘에 의해 가이드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철근(S)으로부터 철근 결속기(1A)를 빼는 동작에 의해, 철근(S)에 가동 가이드부(55)가 가압되는 것에 의해, 가동 가이드부(55)가 가이드 위치에서 퇴피 위치까지 개방된다.
절단부(6A)는, 고정날(60)과, 고정날(60)과의 협동으로 와이어(W)를 절단하는 회전날(61)과, 결속부(7A)의 동작, 본 예에서는, 후술하는 가동 부재(83)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회전날(61)에 전달하여, 회전날(61)을 회전시키는 전달 기구(62)를 구비한다. 고정날(60)은, 와이어(W)가 통과하는 개구에, 와이어(W)를 절단 가능한 에지부를 마련하여 구성된다. 본 예에서는, 고정날(60)은, 절단 배출 위치(P3)에 배치되는 병렬 가이드(4A)로 구성된다.
회전날(61)은, 축(61a)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동작에 의해, 고정날(60)의 병렬 가이드(4A)를 통과하는 와이어(W)를 절단한다. 전달 기구(62)는, 결속부(7A)의 동작과 연동하여 변위하여,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한 후, 와이어(W)를 비트는 타이밍에 맞춰 회전날(61)을 회전시켜, 와이어(W)를 절단한다.
결속부(7A)는 결속 수단의 일례로, 와이어(W)를 파지하는 파지부(70)와, 파지부(70)로 파지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과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철근(S)측으로 절곡하는 절곡부(71)를 구비한다.
파지부(70)는 파지 수단의 일례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를 구비한다.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는, 고정 파지 부재(70C)를 통해 좌우 방향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가동 파지 부재(70L)는, 고정 파지 부재(70C)에 대해, 권취되는 와이어(W)의 축방향을 따른 한쪽의 측에 배치되고, 제2가동 파지 부재(70R)는, 다른 한쪽의 측에 배치된다.
제1가동 파지 부재(70L)는, 고정 파지 부재(70C)에 대해 이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또한, 제2가동 파지 부재(70R)는, 고정 파지 부재(70C)에 대해 이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파지부(70)는, 제1가동 파지 부재(70L)가 고정 파지 부재(70C)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 사이에 와이어(W)가 통과하는 이송 경로가 형성된다. 이에 대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가 고정 파지 부재(70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 사이에 와이어(W)가 파지된다.
또한, 파지부(70)는, 제2가동 파지 부재(70R)가 고정 파지 부재(70C)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2가동 파지 부재(70R)와 고정 파지 부재(70C) 사이에 와이어(W)가 통과하는 이송 경로가 형성된다. 이에 대해, 제2가동 파지 부재(70R)가 고정 파지 부재(70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2가동 파지 부재(70R)와 고정 파지 부재(70C) 사이에 와이어(W)가 파지된다.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로 이송되어, 절단 배출 위치(P3)의 병렬 가이드(4A)를 통과한 와이어(W)가,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를 통과하여, 컬 가이드부(5A)로 유도된다. 컬 가이드부(5A)에서 컬링성이 부여된 와이어(W)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의 사이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의 한쌍의 파지 부재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을 파지하는 제1파지부가 구성된다. 또한,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절단부(6A)에 의해 절단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파지하는 제2파지부가 구성된다.
도 6A, 도 6B는 본 실시예의 파지부의 주요 부분 구성도이다. 제1가동 파지 부재(70L)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대향하는 면에, 고정 파지 부재(70C)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철부(701b)를 구비한다. 한편, 고정 파지 부재(70C)는,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대향하는 면에, 제1파지 부재(70L)의 철부(701b)가 들어가는 요부(73)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로 와이어(W)를 파지하면, 와이어(W)는 제1파지 부재(70L)측으로 절곡된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파지 부재(70C)는, 예비 절곡부(72)를 구비한다. 예비 절곡부(72)는, 고정 파지 부재(70C)의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대향하는 면에서,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른 하류측의 단부에, 제1가동 파지 부재(70L) 방향으로 돌출하는 철부를 마련하여 구성된다.
파지부(70)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의 사이에 와이어(W)를 파지하고, 파지한 와이어(W)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정 파지 부재(70C)에 철부(72b)와 요부(73)를 구비한다. 철부(72b)는, 고정 파지 부재(70C)의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대향하는 면에서,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른 상류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제1가동 파지 부재(70L) 방향으로 돌출한다. 요부(73)는, 예비 절곡부(72)와 철부(72b)의 사이에 마련되고,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반대 방향으로 함몰된다.
제1가동 파지 부재(70L)는, 고정 파지 부재(70C)의 예비 절곡부(72)가 들어가는 요부(70La)를 구비하는, 또한, 고정 파지 부재(70C)의 요부(73)에 들어가는 철부(701b)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 사이에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을 파지하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W)가 예비 절곡부(72)에 의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측으로 가압되고,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가,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파지되는 와이어(W)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와이어(W)를 파지한다란,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에서 어느 정도 자유롭게 와이어(W)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포함한다. 이는,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에서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에서 와이어(W)가 움직일 수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절곡부(71)는 절곡 수단의 일례로, 결속물을 결속한 후의 와이어(W)의 단부가, 결속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는 와이어(W)의 정상부보다 결속물측에 위치하도록 와이어(W)를 절곡한다. 절곡부(71)는, 와이어(W)를 절곡할 때 절곡의 지지점이 되는 지지점부(후술하는 빠짐 방지부)(75, 76)와, 지지점부(75, 76)를 지지점으로 하여 와이어(W)를 절곡하는 절곡부(71a, 71b)를 구비한다(도 16 참조). 또한, 절곡부(71)는, 본 예에서는, 파지부(70)로 와이어(W)를 비틀기 전에, 파지부(70)로 파지된 와이어(W)를 절곡한다.
절곡부(71a, 71b)는, 파지부(70)의 일부를 덮도록 하여 파지부(70)의 주위에 마련되고, 파지부(7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절곡부(71a, 71b)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파지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 및,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파지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에 대해 접근하여,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과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절곡하는 방향, 및, 절곡한 와이어(W)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절곡부(71a)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파지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을, 파지 위치에 있는 지지점부(75)를 지지점으로 하여 철근(S)측으로 절곡한다. 또한, 절곡부(71b)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의 사이에 있는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파지 위치에 있는 지지점부(76)를 지지점으로 하여 철근(S)측으로 절곡한다.
절곡부(71a, 71b)의 이동에 의해 와이어(W)가 절곡되는 것에 의해, 제2가동 파지 부재(70R)와 고정 파지 부재(70C)의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가 절곡부(71b)로 가압되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로부터 와이어(W)가 빠지는 것이 억제된다.
결속부(7A)는,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의 위치를 규제하는 길이 규제부(74)를 구비한다. 길이 규제부(74)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의 사이를 통과한 와이어(W)의 이송 경로에,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가 당접되는 부재를 마련하여 구성된다. 길이 규제부(74)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에 의한 와이어(W)의 파지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본 예에서는 컬 가이드부(5A)의 제1가이드부(50)에 마련된다.
철근 결속기(1A)는, 결속부(7A)를 구동하는 결속부 구동 기구(8A)를 구비한다. 결속부 구동 기구(8A)는, 모터(80)와, 감속 및 토크의 증폭을 수행하는 감속기(81)를 통해 모터(80)로 구동되는 회전축(82)과, 회전축(82)의 회전 동작에 의해 변위하는 가동 부재(83)와, 회전축(82)의 회전 동작과 연동된 가동 부재(83)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부재(84)를 구비한다.
회전축(82)과 가동 부재(83)는, 회전축(82)에 마련한 나사부와, 가동 부재(83)에 마련한 너트부에 의해, 회전축(82)의 회전 동작이, 가동 부재(83)의 회전축(82)을 따른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가동 부재(83)는, 파지부(70)로 와이어(W)를 파지 및 절곡부(71)로 와이어(W)를 절곡하는 동작 영역에서는, 회전 규제 부재(84)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회전 규제 부재(84)에 의해 회전 동작이 규제된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가동 부재(83)는, 회전 규제 부재(84)의 체결로부터 빠지는 것에 의해, 회전축(82)의 회전 동작으로 회전한다.
가동 부재(83)는, 본 예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캠을 통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 및 제2가동 파지 부재(70R)와 연결된다. 결속부 구동 기구(8A)는, 가동 부재(83)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1가동 파지 부재(70L)를 고정 파지 부재(70C)에 대해 이접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동작, 제2가동 파지 부재(70R)를 고정 파지 부재(70C)에 대해 이접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동작으로 변환된다.
또한, 결속부 구동 기구(8A)는, 가동 부재(83)의 회전 동작이, 고정 파지 부재(70C), 제1가동 파지 부재(70L) 및 제2가동 파지 부재(70R)의 회전 동작으로 변환된다.
또한, 결속부 구동 기구(8A)는, 절곡부(71)가 가동 부재(83)와 일체로 마련되고, 가동 부재(83)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절곡부(7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가이드핀(53)의 퇴피 기구(53a)는, 가동 부재(83)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핀(53)의 변위로 변환하는 링크 기구로 구성된다. 또한, 회전날(61)의 전달 기구(62)는, 가동 부재(83)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회전날(61)의 회전 동작으로 변환하는 링크 기구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는, 작업자가 손에 들고 사용하는 형태이고, 본체부(10A)와 핸들부(11A)를 구비한다. 철근 결속기(1A)는, 본체부(10A)에 결속부(7A)와 결속부 구동 기구(8A)를 내장하고, 본체부(10A)의 길이 방향(제1방향 Y1)의 일단측에 컬 가이드부(5A)를 구비한다. 또한, 핸들부(11A)는, 본체부(10A)의 길이 방향의 타단측에서, 해당 길이 방향과 거의 직교(교차)하는 일 방향(제2방향 Y2)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결속부(7A)에 대해 제2방향 Y2를 따른 측에 와이어 이송부(3A)가 마련되고, 와이어 이송부(3A)에 대해 제2방향 Y2를 따른 측에 매거진(2A)이 마련된다.
이에 의해, 핸들부(11A)에 대해 제1방향 Y1을 따른 한쪽의 측에 매거진(2A)이 마련된다. 핸들부(11A)에는, 제1방향 Y1을 따른 한쪽의 측에 트리거(12A)가 마련되고, 트리거(12A)의 조작으로 가압되는 스위치(13A)의 상태에 상응하여, 제어부(14A)가 이송 모터(33a)와 모터(80)를 제어한다. 또한, 핸들부(11A)의 제2방향 Y2를 따른 단부에 배터리(15A)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예>
도 7~도 14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의 동작 설명도, 도 15A, 도 15B 및 도 15C는 철근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또한,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와이어를 절곡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다음으로,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에 의해 철근(S)을 와이어(W)로 결속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원점 상태, 즉, 와이어(W)가 와이어 이송부(3A)에 의해 아직 이송되지 않은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원점 상태에서는, 와이어(W)의 선단이 절단 배출 위치(P3)에서 대기한다.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 배출 위치(P3)에서 대기하는 와이어(W)는, 본 예에서는 2가닥의 와이어(W)가 절단 배출 위치(P3)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고정날(60))에 통과시켜지는 것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다.
절단 배출 위치(P3)와 매거진(2A) 사이의 와이어(W)에 대해서도, 중간 위치(P2)의 병렬 가이드(4A) 및 도입 위치(P1)의 병렬 가이드(4A)와,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다.
도 8은 와이어(W)가 철근(S)에 권취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철근(S)을 컬 가이드부(5A)의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 사이에 넣고, 트리거(12A)를 조작하면, 이송 모터(33a)가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1이송 기어(30L)가 정회전함과 함께, 제1이송 기어(30L)에 종동하여 제2이송 기어(30R)가 정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와 한쪽의 와이어(W1)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 제2이송 기어(30R)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2)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 및, 한쪽의 와이어(W1)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2)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2가닥의 와이어(W)가 정방향으로 이송된다.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와이어 이송부(3A)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각에 병렬 가이드(4A)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의 제1이송 홈부(32L)와, 제2이송 기어(30R)의 제2이송 홈부(32R) 사이에 들어가는 2가닥의 와이어(W),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로부터 배출되는 2가닥의 와이어(W)가,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 상태로 이송된다.
와이어(W)가 정방향으로 이송되면, 와이어(W)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를 통과하고, 컬 가이드부(5A)의 제1가이드부(50)의 가이드홈(52)을 통과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W)는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되는 컬링성이 부여된다. 제1가이드부(50)에 도입되는 2가닥의 와이어(W)는, 절단 배출 위치(P3)의 병렬 가이드(4A)로 병렬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2가닥의 와이어(W)가 가이드홈(52)의 외측 벽면에 가압된 상태로 이송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홈(52)을 통과하는 와이어(W)도,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1가이드부(50)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는, 제2가이드부(51)의 가동 가이드부(55)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고정 가이드부(54)에 의해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의 사이로 유도된다. 그리고, 와이어(W)의 선단이 길이 규제부(74)에 당접되는 위치까지 이송되면, 이송 모터(33a)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와이어(W)가, 철근(S)의 주위에 루프 모양으로 권취된다. 이 때, 철근(S)에 권취된 2가닥의 와이어(W)는,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꼬이지 않고 병렬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9는 와이어(W)를 파지부(70)로 파지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와이어(W)의 이송을 정지한 후, 모터(80)가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모터(80)는, 가동 부재(83)를 앞방향인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가동 부재(83)는, 모터(80)의 회전에 연동한 회전 동작이, 회전 규제 부재(84)에 의해 규제되어, 모터(80)의 회전이 직선 이동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해, 가동 부재(83)는 앞방향으로 이동한다. 가동 부재(83)가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제1가동 파지 부재(70L)가 고정 파지 부재(70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파지된다.
또한, 가동 부재(83)가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이 퇴피 기구(53a)에 전달되어, 가이드핀(53)을 와이어(W)가 이동하는 경로로부터 퇴피시킨다.
도 10은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 사이에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을 파지한 후, 이송 모터(33a)가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가 역전함과 함께, 제1이송 기어(30L)에 종동하여 제2이송 기어(30R)가 역전한다.
이에 의해, 2가닥의 와이어(W)가 매거진(2A) 방향으로 되돌려져, 역방향으로 이송된다.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W)는 철근(S)에 밀착되도록 하여 권취된다. 본 예에서는, 도 1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가닥의 와이어가 병렬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작에서 와이어(W)끼리가 꼬이는 등에 의한 이송 저항의 증가가 억제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1가닥의 와이어로 철근(S)을 결속하는 경우와, 본 예와 같이 2가닥의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경우에서, 동일한 결속 강도를 얻고자 한 경우, 2가닥의 와이어(W)를 사용한 경우가, 각 와이어(W)의 지름을 더욱 가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W)를 절곡하기 쉽고, 작은 힘으로 와이어(W)를 철근(S)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은 힘으로 와이어(W)를 확실하게 철근(S)에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지름이 가는 2가닥의 와이어(W)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의해, 와이어(W)를 루프 모양으로 컬링성을 부여하기 쉽고, 나아가, 와이어(W)의 절단시의 부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철근 결속기(1A)의 각 모터의 소형화, 기구 부위의 소형화에 의한 본체부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모터의 소형화, 부하의 저감에 의해 소비 전력의 저감이 가능하다.
도 11은 와이어(W)를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여, 와이어(W)의 이송을 정지한 후, 모터(80)가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가동 부재(83)를 앞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동 부재(83)가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제2가동 파지 부재(70R)가 고정 파지 부재(70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와이어(W)가 파지된다. 또한, 가동 부재(83)가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이 전달 기구(62)로 절단부(6A)에 전달되어, 제2가동 파지 부재(70R)와 고정 파지 부재(70C)로 파지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이 회전날(61)의 동작에 의해 절단된다.
도 12는 와이어(W)의 단부를 철근(S)측으로 절곡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와이어(W)를 절단한 후, 가동 부재(83)를 더욱 앞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동 부재(83)와 일체로 절곡부(71)의 절곡부(71a, 71b)가 앞방향으로 이동한다.
절곡부(71a)는, 도 16B 및 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인 철근(S)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파지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과 접한다. 또한, 절곡부(71b)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인 철근(S)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파지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과 접한다.
절곡부(71a)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파지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을 철근(S)측으로 가압하여, 지지점부(75)를 지지점으로 하여 철근(S)측으로 절곡한다.
지지점부(75)는,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70)에 마련된다. 파지부(70)는, 제1가동 파지 부재(70L)의 선단측에, 고정 파지 부재(70C) 방향으로 돌출하는 빠짐 방지부(75)를 구비하지만, 본 예에서는, 이 빠짐 방지부(75)가 지지점부(75)를 겸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파지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는, 절곡부(71a)가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에 의한 파지 위치에서, 빠짐 방지부(지지점부)(75)를 지지점으로 하여, 철근(S)측으로 절곡된다. 한편, 도 16B에서는, 제2가동 파지 부재(70R)는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절곡부(71b)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파지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철근(S)측으로 가압하여, 지지점부(76)를 지지점으로 하여 철근(S)측으로 절곡한다.
지지점부(76)는, 도 16A 및 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70)에 마련된다. 파지부(70)는, 제2가동 파지 부재(70R)의 선단측에, 고정 파지 부재(70C) 방향으로 돌출하는 빠짐 방지부(76)를 구비하지만, 본 예에서는, 이 빠짐 방지부(76)가 지지점부(76)를 겸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파지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는, 절곡부(71b)가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에 의한 파지 위치에서, 빠짐 방지부(지지점부)(76)를 지지점으로 하여, 철근(S)측으로 절곡된다. 한편, 도 16C에서는, 제1가동 파지 부재(70L)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13은 와이어(W)를 비트는 상태를 나타낸다. 와이어(W)의 단부를 철근(S)측으로 절곡한 후, 모터(80)가 더욱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모터(80)는, 가동 부재(83)를 더욱 앞방향인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동 부재(83)가 화살표 F 방향의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동 부재(83)는 회전 규제 부재(84)의 체결로부터 빠져, 가동 부재(83)의 회전 규제 부재(84)에 의한 회전의 규제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모터(80)가 더욱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W)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부(70)가 회전하여, 와이어(W)를 비튼다. 파지부(70)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어, 와이어(W)에 텐션을 부여하면서 비튼다. 따라서, 와이어(W)가 느슨해지지 않고, 철근(S)이 와이어(W)로 결속된다.
도 14는 비틀린 와이어(W)를 떼어 놓는 상태를 나타낸다. 와이어(W)를 비튼 후, 모터(80)가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모터(80)는, 가동 부재(83)를 화살표 R로 나타내는 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가동 부재(83)는, 모터(80)의 회전에 연동한 회전 동작이, 회전 규제 부재(84)에 의해 규제되어, 모터(80)의 회전이 직선 이동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해, 가동 부재(83)는 후방향으로 이동한다. 가동 부재(83)가 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가 고정 파지 부재(70C)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파지부(70)는 와이어(W)를 떼어 놓는다. 한편, 철근(S)의 결속이 완료되고, 철근 결속기(1A)로부터 철근(S)을 뺄 때, 종래에는, 철근(S)이 컬 가이드부에 걸려 빼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작업성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해, 제2가이드부(51)의 가동 가이드부(55)를 화살표 H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철근 결속기(1A)로부터 철근(S)을 뺄 때 제2가이드부(51)의 가동 가이드부(55)가 철근(S)에 걸리지 않고, 작업성이 향상한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예>
도 17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예, 도 17B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이하에, 철근(S)을 결속한 와이어(W)의 형태에 관하여,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종래와 비교한 작용 효과예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철근 결속기로 철근(S)에 결속된 와이어(W)는,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 및 다른 한쪽의 단부(WE)가 철근(S)과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에 의해, 철근(S)을 결속한 와이어(W)에 있어서, 비틀린 부위보다 선단측인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 및 다른 한쪽의 단부(WE)가 철근(S)으로부터 크게 돌출된 형태가 된다. 와이어(W)의 선단측이 크게 돌출하면, 돌출 부분이 작업의 방해가 되는 등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철근(S)의 결속후, 철근(S)의 부설 부분에 콘크리트(200)가 타설되지만, 이 때, 콘크리트(200)로부터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 및 다른 한쪽의 단부(WE)가 돌출되지 않도록, 철근(S)에 결속된 와이어(W)의 선단, 도 17B의 예에서는,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와, 타설된 콘크리트(200)의 표면(201)까지의 두께를 소정의 치수(S1)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 및 다른 한쪽의 단부(WE)가 철근(S)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형태에서는, 철근(S)의 부설 위치에서 콘크리트(200)의 표면(201)까지의 두께(S12)가 두꺼워진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절곡부(71)에 의해,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가, 와이어(W)의 절곡 부위인 제1절곡 부위(WS1)보다 철근(S)측에 위치하고,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가, 와이어(W)의 절곡 부위인 제2절곡 부위(WE1)보다 철근(S)측에 위치하도록 와이어(W)가 절곡된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로 와이어(W)를 파지하는 동작에 의해, 예비 절곡부(72)로 절곡된 절곡 부위, 및,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에 의해 절곡된 절곡 부위 중의 하나가, 와이어(W)의 철근(S)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정상부가 되도록, 절곡부(71)에 의해 와이어(W)가 절곡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철근(S)을 결속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 및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에서, 절곡된 부위의 적어도 하나가 정상부가 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로 철근(S)에 결속된 와이어(W)는,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부위(WT)와 한쪽의 단부(WS) 사이에 제1절곡 부위(WS1)가 형성되고,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가, 제1절곡 부위(WS1)보다 철근(S)측으로 위치하도록,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철근(S)측으로 절곡된다. 또한, 와이어(W)는, 비틀림 부위(WT)와 다른 한쪽의 단부(WE) 사이에 제2절곡 부위(WE1)가 형성되고,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가, 제2절곡 부위(WE1)보다 철근(S)측으로 위치하도록,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이 철근(S)측으로 절곡된다.
도 17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와이어(W)에 2개의 절곡부, 본 예에서는 제1절곡 부위(WS1)와 제2절곡 부위(WE1)가 형성되는데, 그 중, 철근(S)을 결속한 와이어(W)에 있어서 철근(S)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철근(S)과 반대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는 제1절곡 부위(WS1)가 정상부(Wp)가 된다. 그리고,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와 다른 한쪽의 단부(WE) 중의 어느 것도, 정상부(Wp)를 넘어 철근(S)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절곡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 및 다른 한쪽의 단부(WE)를, 와이어(W)의 절곡 부위로 구성되는 정상부(Wp)를 넘어 철근(S)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W)의 단부가 돌출되는 것에 의한 작업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철근(S)측으로 절곡되고,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이 철근(S)측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와이어(W)의 비틀림 부위(WT)보다 선단측의 돌출량은 종래와 비교하여 적다. 이 때문에, 철근(S)의 부설 위치에서 콘크리트(200)의 표면(201)까지의 두께(S2)를, 종래와 비교하여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와이어(W)의 정방향으로의 이송으로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되고, 와이어(W)의 역방향으로의 이송으로 철근(S)에 권취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파지된 상태에서, 절곡부(71)에 의해 철근(S)측으로 절곡된다. 또한, 절단부(6A)에 의해 절단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파지된 상태에서, 절곡부(71)에 의해 철근(S)측으로 절곡된다.
이에 의해,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파지 부재(70C) 및 제1가동 파지 부재(70L)에 의한 파지 위치를 지지점(71c1)으로 하고, 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파지 부재(70C) 및 제2가동 파지 부재(70R)에 의한 파지 위치를 지지점(71c2)으로 하여, 와이어(W)를 절곡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71)는, 절곡부(71a, 71b)를 철근(S)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와이어(W)에 철근(S)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와이어(W)를 파지 위치에서 확실히 파지하고, 절곡부(71a, 71b)와 지지점부(75, 76)에 의해 지지점(71c1, 71c2)을 지지점으로 하여 와이어(W)를 절곡하도록 했기 때문에, 와이어(W)를 가압하는 힘이 다른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와이어(W)의 단부(WS, WE)측을 원하는 방향(철근(S)측)으로 확실하게 절곡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와이어(W)를 파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와이어(W)를 비트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종래의 결속기에서는, 와이어(W)의 단부를 비트는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절곡할 수는 있지만, 와이어(W)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어(W)를 절곡하는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와이어(W)를 절곡하는 방향이 정해지지 않고, 와이어(W)의 단부가 철근(S)과 반대인 외측으로 향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W)를 파지 위치에서 확실히 파지하고, 절곡부(71a, 71b)와 지지점부(75, 76)에 의해 지지점(71c1, 71c2)을 지지점으로 하여 와이어(W)를 절곡하도록 했기 때문에, 와이어(W)의 단부(WS, WE)측을 확실하게 철근(S)측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W)를 비틀어 철근(S)을 결속한 후에, 와이어(W)의 단부를 철근(S)측으로 절곡하고자 하면, 와이어(W)를 비튼 결속 부분이 느슨해져, 결속 강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와이어(W)를 비틀어 철근(S)을 결속한 후, 더욱 와이어(W)를 비트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와이어 단부를 절곡하고자 하면, 와이어(W)를 비튼 결속 부분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를 파지한 상태에서 절곡하기 때문에, 와이어(W)를 비튼 결속 부분이 느슨해지지 않고, 결속 강도가 떨어지지도 않는다. 또한, 더 바람직한 형태로서, 와이어(W)를 비틀어 철근(S)을 결속하기 전에, 와이어(W)를 절곡하도록 했기 때문에, 와이어(W)를 비틀어 철근(S)을 결속한 후, 더욱 와이어(W)를 비트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지도 않기 때문에, 와이어(W)를 비튼 결속 부분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와이어(W)를 비틀어 철근(S)을 결속하기 전에,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과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철근(S)측으로 절곡하기 때문에,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이 어떠한 이상 등으로 도중에 정지해도, 이미 와이어(W)의 단부를 철근(S)측을 향한 형태로 할 수 있다.
도 18A, 도 19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예, 도 18B, 도 19B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이하에, 철근(S)에 와이어(W)를 권취하는 동작에서, 파지부로부터 와이어(W)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관하여,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종래와 비교한 작용 효과예에 대해 설명한다.
철근 결속기의 종래의 파지부(700)는,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파지 부재(70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0L) 및 제2가동 파지 부재(700R)를 구비하고, 철근(S)에 권취된 와이어(W)가 당접되는 길이 규제부(701)를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에 구비한 구성이다.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여(되돌려)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 및, 파지부(700)로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에서는, 고정 파지 부재(70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에 의한 와이어(W)의 파지 위치에서 길이 규제부(701)까지의 거리(N2)가 짧으면, 고정 파지 부재(70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0L)로 파지한 와이어(W)가 빠지기 쉽다.
파지한 와이어(W)를 쉽게 빠지기 않게 하기 위해서는 거리(N2)를 길게 하면 되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파지 위치에서 길이 규제부(701)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파지 위치에서 길이 규제부(701)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면, 제1가동 파지 부재(700L)가 대형화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구성에서는, 고정 파지 부재(70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에 의한 와이어(W)의 파지 위치에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까지의 거리(N2)를 길게 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파지부(70)는,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가 당접되는 길이 규제부(74)를,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는 독립된 별도의 부품으로 했다.
이에 의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를 대형화하지 않고, 제1가동 파지 부재(70L)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파지 위치에서 길이 규제부(74)까지의 거리(N1)를 길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가동 파지 부재(70L)를 대형화하지 않아도,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여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 및, 파지부(70)로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에서,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파지한 와이어(W)가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철근 결속기의 종래의 파지부(700)는,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의 고정 파지 부재(700C)와 대향하는 면에, 고정 파지 부재(700C) 방향으로 돌출하는 철부와 고정 파지 부재(700C)가 들어가는 요부를 마련하여 예비 절곡부(702)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와 고정 파지 부재(700C)로 와이어(W)를 파지하는 동작으로,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와 고정 파지 부재(700C)에 의한 파지 위치에서 돌출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절곡되어,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여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 및, 파지부(700)로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에서, 와이어(W)의 빠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하지만,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고정 파지 부재(70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0R)의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를 향하는 내측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절곡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철근(S)에 권취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에 접촉하여 말려들 가능성이 있다.
철근(S)에 권취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에, 절곡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말려들면, 와이어(W)의 권취가 불충분해지거나, 와이어(W)의 비틀기가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파지부(70)에서는,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파지 부재(70C)의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대향하는 면에, 제1가동 파지 부재(70L) 방향으로 돌출하는 철부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가 들어가는 요부를 마련하여 예비 절곡부(72)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로 와이어(W)를 파지하는 동작에 의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에 의한 파지 위치에서 돌출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절곡되고, 고정 파지 부재(70C)에 있어서의 예비 절곡부(72)에 의한 철부, 예비 절곡부(72)의 요부에 들어가는 제1가동 파지 부재(70L)에 의한 철부, 고정 파지 부재(70C)의 다른 한쪽의 철부의 3점으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협지된다. 따라서,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여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 및, 파지부(70)로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에서, 와이어(W)의 빠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와 반대인 외측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절곡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철근(S)에 권취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에 접촉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여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에서, 와이어(W)의 파지부(70)로부터의 빠짐이 억제되어, 와이어(W)의 권취가 확실하게 수행되는 한편,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으로 와이어(W)의 결속이 확실하게 수행된다.
도 20A, 도 20B 및 도 21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예, 도 20C, 도 20D 및 도 21B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이하에, 철근(S)을 와이어(W)로 결속하는 동작에 관하여,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종래와 비교한 작용 효과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지름(예를 들면, 1.6mm~2.5mm 정도)을 구비한 1가닥의 와이어(Wb)를 철근(S)에 권취하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도 2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b)의 강성이 높기 때문에, 상당히 큰 힘으로 와이어(Wb)를 철근(S)에 권취하지 않는 한, 와이어(Wb)를 권취하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Wb)에 느슨해짐(J)이 발생하여, 철근(S)과의 사이에 간격이 생긴다.
이에 대해,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와 비교하여 지름이 가는(예를 들면, 0.5mm~1.5mm 정도) 2가닥의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강성이 종래와 비교하여 낮기 때문에, 종래보다 낮은 힘으로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해도, 와이어(W)를 권취하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W)에 느슨해짐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고, 직선부(K)로 철근(S)에 확실하게 권취된다. 여기서,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기능을 고려하면, 와이어(W)의 강성은, 와이어(W)의 지름뿐만 아니라, 재질 등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지름이 0.5mm~1.5mm 정도인 와이어(W)를 예로 설명했지만, 와이어(W)의 재질 등도 가미하면, 와이어(W)의 지름의 하한값 및 상한값은, 적어도 공차 정도의 차이가 생길 수도 있다.
또한,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지름을 구비한 1가닥의 와이어(Wb)를 철근(S)에 권취하여 비트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와이어(Wb)의 강성이 높기 때문에, 와이어(Wb)를 비트는 동작으로도 와이어(Wb)의 느슨해짐이 해소되지 않고, 철근(S)과의 사이에 간격(L)이 생긴다.
이에 대해,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와 비교하여 지름이 가는 2가닥의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여 비트는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W)의 강성이 종래와 비교하여 낮기 때문에,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에서, 종래와 비교하여 철근(S)과의 사이의 간격(M)을 적게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와이어(W)의 결속 강도가 향상한다.
그리고, 2가닥의 와이어(W)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종래와 비교하여 철근 유지력을 동등하게 하고, 또한, 결속후의 철근(S)끼리의 스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가닥의 와이어를 동시에 이송하고, 이들의 동시에 이송된 2가닥의 와이어(W)를 사용하여 철근(S)을 결속하고 있다. 여기서, 2가닥의 와이어(W)를 동시에 이송한다란, 한쪽의 와이어(W)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가 거의 동일한 속도로 이송되는 경우, 즉, 한쪽의 와이어(W)에 대한 다른 한쪽의 와이어(W)의 상대 속도가 거의 0인 경우를 의미하지만, 본 예에서는, 꼭 이 의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한쪽의 와이어(W)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가 상이한 속도(타이밍)로 이송되는 경우여도, 와이어(W)의 이송 경로에서 2가닥의 와이어(W)가 인접하여 병렬로 진행하여, 와이어(W)가 병렬 상태로 철근(S)에 권취되도록 되어 있으면, 그것은 2가닥의 와이어가 동시에 이송된다는 의미이다. 즉, 2가닥의 와이어(W)의 각각의 단면 면적을 합친 총면적이 철근 유지력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2가닥의 와이어(W)를 이송하는 타이밍을 달리해도, 철근 유지력을 확보하는 점에서는 동일한 결과이다. 다만, 2가닥의 와이어(W)를 이송하는 타이밍을 달리하는 동작에 비교하여, 2가닥의 와이어(W)를 동시에 이송하는 동작이 이송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2가닥의 와이어(W)를 동시에 이송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결속 스피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변형예>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는, 2가닥의 와이어(W)를 사용하는 구성을 예로 설명했지만, 1가닥의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해도 좋고,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는, 길이 규제부(74)를 컬 가이드부(5A)의 제1가이드부(50)에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제1가동 파지 부재(70L) 등, 파지부(70)와 독립된 부품이라면 다른 장소에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파지부(70)를 지지하는 구조물에 구비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는, 절곡부(71)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과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철근(S)측으로 절곡한 후, 파지부(7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와이어(W)를 비트는 구성으로 했지만, 와이어(W)를 절곡하는 동작이 종료하기 전에,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을 시작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파지부(70)의 회전 동작을 개시하여,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을 시작한 후,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이 종료하기 전에, 와이어(W)를 절곡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와이어(W)를 다 비튼 후, (와이어(W)를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와이어(W)를 절곡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절곡 수단으로서, 절곡부(71)를 가동 부재(83)와 일체로 한 구성으로 구비했지만, 독립된 구성이어도 좋고, 파지부(70)와 절곡부(71)가, 독립된 모터 등의 구동 수단으로 구동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절곡부(71) 대신에, 절곡 수단으로서,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 및 제2가동 파지 부재(70R)에, 와이어(W)를 파지하는 동작으로 와이어(W)를 철근(S)측으로 절곡하는 힘을 가하는 요철 형상 등으로 구성되는 절곡부를 구비해도 좋다.
도 22A, 도 22B 및 도 22C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절곡부(71)는,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를, 와이어(W)의 제1절곡 부위(WS1)보다 철근(S)측으로 위치시키는 한편,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를, 와이어(W)의 제2절곡 부위(WE1)보다 철근(S)측으로 위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도 22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철근(S)과 반대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부위인 제1절곡 부위(WS1)가 정상부(Wp)가 되기 때문에,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와 다른 한쪽의 단부(WE)가, 제1절곡 부위(WS1)로 형성되는 정상부(Wp)를 넘어 철근(S)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 이 때문에,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제1절곡 부위(WS1)에서 철근(S)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면,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가 철근(S)측을 향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절곡 부위(WS2) 및 제2절곡 부위WE2)가, 만곡된 형상이 되도록 절곡하는 절곡 수단을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철근(S)과 반대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부위는 제1절곡 부위(WS2)가 되기 때문에, 제1절곡 부위(WS2)가 정상부(Wp)가 되어,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와 다른 한쪽의 단부(WE)가, 제1절곡 부위(WS2)로 형성되는 정상부(Wp)를 넘어 철근(S)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2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가, 제1절곡 부위(WS1)보다 철근(S)측으로 위치하도록,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철근(S)측으로 절곡된다. 또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가, 제2절곡 부위(WE1)보다 철근(S)측으로 위치하도록,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이 철근(S)측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철근(S)을 결속한 와이어(W)에 있어서 철근(S)과 반대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는 제2절곡 부위(WE1)가 정상부(Wp)가 되도록 해도 좋고,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와 다른 한쪽의 단부(WE) 중의 어느 것도, 정상부(Wp)를 넘어 철근(S)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절곡된다.
도 23A, 도 23B, 도 23C, 도 23D 및 도 23E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구성에서는, 도 23A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B)는, 개구(4BW)의 단면 형상, 즉,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개구(4BW)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구성되고, 개구(4BW)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이 직선 형태로 구성된다. 병렬 가이드(4B)는, 개구(4BW)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를 지름 방향을 따라 배열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지름(r)의 복수 가닥의 분량보다 약간 긴 길이,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병렬 가이드(4B)는, 본 예에서는, 개구(4BW)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2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도 23B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C)는 개구(4CW)의 길이 방향이 직선 형태, 폭 방향이 삼각 모양으로 구성된다. 병렬 가이드(4C)는 복수 가닥의 와이어(W)가 개구(4CW)의 길이 방향으로 병렬되고, 폭 방향의 빗면으로 와이어(W)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구(4CW)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를 지름 방향을 따라 배열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지름(r)의 복수 가닥의 분량보다 긴 길이,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도 23C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D)는, 개구(4DW)의 길이 방향이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곡선 모양, 폭 방향이 원호형으로 구성된다. 즉, 개구(4DW)의 개구 형상이, 병렬되는 와이어(W)의 외형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병렬 가이드(4D)는, 개구(4DW)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를 지름 방향을 따라 배열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지름(r)의 복수 가닥의 분량보다 약간 긴 길이,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병렬 가이드(4D)는, 본 예에서는,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2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도 23D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E)는, 개구(4EW)의 길이 방향이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곡선 모양, 폭 방향이 원호형으로 구성된다. 즉, 개구(4EW)의 개구 형상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병렬 가이드(4E)는, 개구(4EW)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를 지름 방향을 따라 배열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지름(r)의 복수 가닥의 분량보다 약간 긴 길이,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병렬 가이드(4E)는, 본 예에서는,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2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도 23E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F)는, 와이어(W)의 가닥수에 맞춘 복수의 개구(4FW)로 구성된다. 각 와이어(W)는, 각각 1가닥씩 다른 개구(4FW)에 삽입된다. 병렬 가이드(4F)는, 각 개구(4FW)가, 와이어(W)의 지름(r)보다 약간 긴 지름(길이)(L1)을 구비하고, 개구(4FW)가 배열되는 방향에 의해, 복수 가닥의 와이어(W)가 병렬되는 방향을 규제한다.
도 24는 본 실시예의 가이드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가이드홈(52B)은, 와이어(W)의 지름(r)보다 약간 긴 폭(길이)(L1) 및 깊이(L2)를 구비한다. 한쪽의 와이어(W)가 통과하는 한쪽의 가이드홈(52B)과, 다른 한쪽의 와이어(W)가 통과하는 다른 한쪽의 가이드홈(52B) 사이에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라 구획 벽부가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50)는, 복수의 가이드홈(52B)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복수 가닥의 와이어가 병렬되는 방향을 규제한다.
도 25A, 도 25B는 본 실시예의 와이어 이송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5A에 나타내는 와이어 이송부(3B)는, 와이어(W)를 1가닥씩 이송하는 제1와이어 이송부(35a)와 제2와이어 이송부(35b)를 구비한다. 제1와이어 이송부(35a)와 제2와이어 이송부(35b)는, 각각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를 구비한다.
제1와이어 이송부(35a)와 제2와이어 이송부(35b)에서 이송된 1가닥씩의 와이어(W)는, 도 4A, 도 4B 혹은 도 4C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A), 혹은, 도 23A, 도 23B, 도 23C 혹은 도 23D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B~4E)와, 도 5에 나타내는 가이드홈(52)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다.
도 25B에 나타내는 와이어 이송부(3C)는 와이어(W)를 1가닥씩 이송하는 제1와이어 이송부(35a)와 제2와이어 이송부(35b)를 구비한다. 제1와이어 이송부(35a)와 제2와이어 이송부(35b)는, 각각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를 구비한다.
제1와이어 이송부(35a)와 제2와이어 이송부(35b)에서 이송된 1가닥씩의 와이어(W)는, 도 23E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F)와, 도 24B에 나타내는 가이드홈(52B)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다. 와이어 이송부(30C)에서는, 2가닥의 와이어(W)가 독립으로 가이드되기 때문에, 제1와이어 이송부(35a)와 제2와이어 이송부(35b)를 독립으로 구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2가닥의 와이어(W)를 이송하는 타이밍을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2가닥의 와이어(W) 중의 한쪽으로, 철근(S)을 권취하는 동작의 도중에, 다른 한쪽의 와이어(W)의 이송을 시작하여, 철근(S)을 권취하는 동작을 진행해도, 2가닥의 와이어(W)는, 동시에 이송된다. 또한, 2가닥의 와이어(W)의 이송을 동시에 시작하지만, 한쪽의 와이어(W)의 이송 스피드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의 이송 스피드가 상이한 경우에도, 2가닥의 와이어(W)는, 동시에 이송된다.
도 26~도 31은 다른 실시예의 파지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를 절곡하는 방향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컬 가이드부(5A)의 제1가이드부(50)에서 원호형으로 성형되는 와이어(W)는, 절단 배출 위치(P3)에서 병렬 가이드(4A)를 구성하는 고정날(60)과, 제1가이드부(50)의 가이드핀(53, 53b)의 3점으로, 원호의 외측의 2점과 내측의 1점의 위치가 규제되는 것에 의해 컬링성이 부여되어, 거의 원형의 루프(Ru)를 형성한다.
와이어 이송부(3A)로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여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에서는, 루프(Ru)의 지름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와이어(W)가 이동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단부(WS)를, 예비 절곡부(72)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와 반대인 외측으로 절곡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에 의한 와이어(W)의 이동 경로로부터, 와이어(W)의 단부(WS)를 퇴피시키고 있었다. 도 26, 도 27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와이어(W)의 단부(WS)를,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와 반대인 외측으로 절곡하는 경우에, 와이어(W)로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에 대해 내측을 향해 절곡한다. 도 28, 도 29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와이어(W)의 단부(WS)를,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와 반대인 외측으로 절곡하는 경우에, 와이어(W)로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에 대해 외측을 향해 절곡한다. 이 때문에, 파지부(70)는, 철근(S)에 권취되어, 와이어(W)의 루프(Ru)의 지름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와이어(W)가 이동하는 와이어(W)의 이동 경로(Ru3)로부터, 와이어(W)의 단부(WS)가 퇴피하는 소정의 방향으로 와이어(W)를 절곡하는 예비 절곡부(72a)를 구비한다.
도 26 및 도 27에서는, 예비 절곡부(72a)는, 고정 파지 부재(70C)의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와이어(W)로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 또한, 병렬 가이드(4A)의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방향(Ru2)에 대해, 내측을 향해 와이어(W)를 절곡하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에 의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C)로 와이어(W)를 파지하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W)의 단부(WS)가, 와이어(W)로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 또한, 병렬 가이드(4A)의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방향(Ru2)에 대해 내측을 향해 절곡된다. 또한, 와이어(W)의 단부(WS)가, 와이어(W)로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에 대해서는,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와 반대인 외측을 향해 절곡된다.
따라서,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에서,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의 단부(WS)가,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에 간섭하지 않는 것에 의해, 와이어(W)의 단부(WS)가 와이어(W)에 말려드는 것이 억제된다.
도 28 및 도 29에서는, 예비 절곡부(72a)는, 고정 파지 부재(70C)의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와이어(W)로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 또한, 병렬 가이드(4A)의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방향(Ru2)에 대해, 외측을 향해 와이어(W)를 절곡하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에 의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C)로 와이어(W)를 파지하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W)의 단부(WS)가, 와이어(W)로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 또한, 병렬 가이드(4A)의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방향(Ru2)에 대해 외측을 향해 절곡된다. 또한, 와이어(W)의 단부(WS)가, 와이어(W)로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에 대해서는,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와 반대인 외측을 향해 절곡된다.
따라서,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에서,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의 단부(WS)가,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에 간섭하지 않는 것에 의해, 와이어(W)의 단부(WS)가 와이어(W)에 말려드는 것이 억제된다.
도 26~도 29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대해,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에 의한 와이어(W)의 이동 경로로부터, 와이어(W)의 단부(WS)를 퇴피시킬 수 있으면, 와이어(W)의 단부(WS)를,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측으로 절곡해도 좋다. 도 30 및 도 31에서는, 컬 가이드부(5A)의 제1가이드부(50)에 마련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의 위치를 규제하는 길이 규제부(74)가, 와이어(W)의 단부(WS)를 와이어(W)로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 또한, 병렬 가이드(4A)의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방향(Ru2)에 대해, 외측으로 가이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와이어(W)를 이송하여 와이어(W)의 단부(WS)를 길이 규제부(74)에 당접시키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W)의 단부(WS)가, 와이어(W)로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 또한, 병렬 가이드(4A)의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방향(Ru2)에 대해 외측을 향해 절곡된다.
따라서,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의 단부(WS)가, 와이어(W)로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에 대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측을 향해 간섭하지 않도록 절곡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와이어(W)의 단부(WS)가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에서, 와이어(W)의 단부(WS)가 와이어(W)에 말려드는 것이 억제된다.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서는, 복수 가닥의 와이어(W)를 동시에 이송하는 구성 대신에, 1개씩 와이어(W)를 이송하여 철근(S)에 권취하고, 복수의 와이어를 권취한 후, 복수의 와이어를 역방향으로 이송하여 철근(S)에 권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짧은 와이어(W)를 수용하는 매거진을 구비하고, 복수 가닥씩 와이어(W)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매거진을 본체부에 구비하지 않고, 외부의 독립된 와이어의 공급부로부터 와이어를 공급받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은, 결속물로서 배관 등을 와이어로 결속하는 결속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들고 다닐 수 있는 운반 가능형 철근 결속기(1A)를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거치형의 결속기여도 좋다.
상기한 실시예의 일부 또는 모두는, 이하의 부기와 같이 기재될 수 있다.
(부기 1)
와이어를 풀어낼 수 있는 수용부(매거진);
상기 수용부로부터 풀려나온 와이어를 송출하는 와이어 이송부;
상기 와이어 이송부로부터 송출된 와이어에 컬링성을 부여하여 결속물의 주위에 권취하는 컬 가이드부; 및
상기 컬 가이드부에서 결속부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를 파지하여 비트는 것에 의해 결속물을 결속하는 결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부는, 결속물을 결속한 후의 와이어의 단부가, 결속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는 와이어의 정상부보다 결속물측으로 위치하도록 와이어를 절곡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결속기.
(부기 2)
상기 절곡부는, 와이어를 절곡할 때 절곡의 지지점이 되는 지지점부와, 상기 지지점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와이어를 절곡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부기 1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3)
상기 절곡부는, 결속물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결속물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점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와이어를 결속물측으로 절곡하는 부기 2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4)
상기 결속부는, 와이어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파지부로 파지된 와이어를 절곡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5)
상기 절곡부는, 와이어가 비틀어지기 전에 상기 파지부로 파지된 와이어를 절곡하는 부기 4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6)
상기 절곡부는, 상기 파지부의 주위에 마련되고, 상기 파지부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부기 4 또는 5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7)
상기 절곡부는, 상기 파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여 마련되는 부기 6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8)
상기 지지점부는, 상기 파지부에 마련되는 부기 4 내지 7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결속기.
한편, 파지란, 한쌍의 파지 부재로 와이어가 움직일 수 없도록 끼우는 상태뿐만 아니라, 한쌍의 파지 부재의 사이에서 와이어가 움직일 수 있는 체결로 칭하는 상태도 포함한다.
본 출원은, 2015년 7월 2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특원 2015-145283, 2016년 7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특원 2016-136067을 기초로 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1A: 철근 결속기
2A: 매거진
20: 릴
3A: 와이어 이송부(이송 수단)
4A: 병렬 가이드(이송 수단)
5A: 컬 가이드부(이송 수단)
6A: 절단부
7A: 결속부(결속 수단)
8A: 결속부 구동 기구
30L: 제1이송 기어
30R: 제2이송 기어
31L: 이빨부
31La: 이뿌리원
32L: 제1이송 홈부
32La: 제1경사면
321b: 제2경사면
31R: 이빨부
31Ra: 이뿌리원
32R: 제2이송 홈부
32Ra: 제1경사면
32Rb: 제2경사면
33: 구동부
33a: 이송 모터
33b: 전달 기구
34: 변위부
50: 제1가이드부
51: 제2가이드부
52: 가이드홈
53: 가이드핀
53a: 퇴피 기구
54: 고정 가이드부
54a: 벽면
55: 가동 가이드부
55a: 벽면
55b: 축
60: 고정날
61: 회전날
61a: 축
62: 전달 기구
70: 파지부
70C: 고정 파지 부재(한쪽의 파지 부재)
70L: 제1가동 파지 부재(다른 한쪽의 파지 부재)
70R: 제2가동 파지 부재
71: 절곡부(절곡 수단)
71a, 71b: 절곡부
80: 모터
81: 감속기
82: 회전축
83: 가동 부재
W: 와이어

Claims (15)

  1.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 와이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와이어 이송 수단;
    상기 와이어 이송 수단으로부터 상기 와이어를 결속물 주위를 루프로 권취하도록 구성된 컬(curl) 가이드;
    상기 결속물 주위에 권취된 상기 와이어를 파지하는 파지 수단을 포함하고, 와이어를 비틀어 상기 결속물을 결속하도록 구성되는 결속 수단; 및
    상기 결속물을 결속하는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결속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와이어의 정상부보다 상기 결속물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와이어를 절곡하는 절곡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절곡 수단은, 상기 와이어가 절곡될 때 벤딩 지점인 지지점부와, 상기 지지점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와이어를 절곡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점부는 상기 파지 수단에 제공되고,
    상기 절곡 수단은, 상기 와이어가 비틀어지기 전에, 상기 파지 수단에 의해 파지된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와이어의 정상부보다 결속물 근처에 위치하도록 상기 와이어를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이송 수단은, 와이어의 이송 방향을 정/역으로 전환하는 이송 모터를 갖고,
    상기 와이어 이송 수단은, 상기 파지 수단에 의해 와이어를 파지한 후, 상기 이송 모터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를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수단은 상기 와이어의 비틀어지는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와이어를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결속물에 접근하는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결속물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여 상기 지지점부를 지지점으로 와이어를 결속물측으로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파지 수단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파지 수단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파지 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수단은, 와이어를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 부재를 구비하고,
    한쪽의 파지 부재는, 다른 한쪽의 파지 부재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다른 한쪽의 파지 부재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른 한쪽의 파지 부재는, 상기 한쪽의 파지 부재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한쪽의 파지 부재의 상기 철부가 들어가는 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한쪽의 파지 부재는, 상기 한쪽의 파지 부재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한쪽의 파지 부재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철부와, 상기 한쪽의 파지 부재의 철부가 들어가는 요부를 구비한 예비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절곡부는, 상기 컬 가이드에 의해 루프로 컬된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의 지름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와이어가 이동하는 와이어의 이동 경로로부터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후퇴하는 방향으로 와이어를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절곡부는, 상기 한 쌍의 파지 부재의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의 단부를, 상기 한쪽의 파지 부재측으로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절곡부는, 상기 한 쌍의 파지 부재의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의 단부가, 와이어의 다른 부분과 간섭하지 않도록 와이어를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7036610A 2015-07-22 2016-07-21 결속기 KR102130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18851A KR102414608B1 (ko) 2015-07-22 2016-07-21 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45283 2015-07-22
JPJP-P-2015-145283 2015-07-22
JPJP-P-2016-136067 2016-07-08
JP2016136067 2016-07-08
PCT/JP2016/071416 WO2017014268A1 (ja) 2015-07-22 2016-07-21 結束機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851A Division KR102414608B1 (ko) 2015-07-22 2016-07-21 결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562A KR20180052562A (ko) 2018-05-18
KR102130394B1 true KR102130394B1 (ko) 2020-07-06

Family

ID=578344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851A KR102414608B1 (ko) 2015-07-22 2016-07-21 결속기
KR1020177036610A KR102130394B1 (ko) 2015-07-22 2016-07-21 결속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851A KR102414608B1 (ko) 2015-07-22 2016-07-21 결속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3) US10906086B2 (ko)
EP (1) EP3327220A4 (ko)
JP (3) JP6737274B2 (ko)
KR (2) KR102414608B1 (ko)
CN (2) CN112576043B (ko)
AU (2) AU2016296572B2 (ko)
BR (1) BR112017027386B1 (ko)
CA (2) CA3047264C (ko)
CL (1) CL2017003252A1 (ko)
IL (2) IL256417B (ko)
NZ (1) NZ738553A (ko)
RU (1) RU2689108C1 (ko)
TW (3) TWI742739B (ko)
WO (1) WO2017014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56950T3 (es) 2015-07-22 2021-09-28 Max Co Ltd Máquina atadora
JP6750354B2 (ja) 2015-07-22 2020-09-02 マックス株式会社 リール
DK3326921T3 (da) 2015-07-22 2022-08-15 Max Co Ltd Bindemaskine
JP6953979B2 (ja) * 2017-10-06 2021-10-27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6891799B2 (ja) * 2017-12-22 2021-06-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イル用成形装置
CN108678386B (zh) * 2018-07-11 2023-11-24 山东万世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钢筋捆扎机
JP7275506B2 (ja) 2018-09-07 2023-05-18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EP3719239A3 (en) 2019-03-11 2021-01-06 Max Co., Ltd. Binding machine
JP7367313B2 (ja) * 2019-03-11 2023-10-24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CN110142721B (zh) * 2019-06-28 2021-04-27 东莞利富高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汽车线束安装固定机构
CN110984586B (zh) * 2019-11-22 2021-09-03 安徽省贵安建筑安装有限公司 一种建筑钢筋混泥土用的钢筋捆绑装置
JP7427994B2 (ja) 2020-02-10 2024-02-06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EP3862511A1 (en) * 2020-02-10 2021-08-11 Max Co., Ltd. Binding machine
JP7427992B2 (ja) * 2020-02-10 2024-02-06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2022027264A (ja) 2020-07-31 2022-02-10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7920A (ja) * 1984-04-13 1985-10-31 東京電力株式会社 結束装置
US4865087A (en) * 1988-05-03 1989-09-12 Ingersoll-Rand Company Wire tying mechanism
MY130074A (en) 1992-02-28 2007-05-31 Bentac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ying one more articles
JPH06167115A (ja) * 1992-11-30 1994-06-14 Takahashi Eng:Kk 棒材の結束装置
DE4396373T1 (de) * 1992-12-14 1996-03-21 Cecil Gwilliam Jones Bindevorrichtung sowie Gerät und Verfahren zum Binden der Bindevorrichtung
JP3393684B2 (ja) * 1993-08-16 2003-04-07 株式会社エスディーコーポレーション 物品の結束方法及び結束装置
EP0810153B1 (en) 1995-02-17 2001-11-07 Japan Automatic Machine Co., Ltd. Article binding method and apparatus
EP0751269B1 (en) 1995-06-30 2000-09-20 Max Co., Ltd. Wire guide mechanism for a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and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EP1415917B1 (en) * 2001-07-19 2017-09-06 Max Co., Ltd. Reinforcing steel bar tying machine
US7255135B2 (en) * 2001-07-25 2007-08-14 Max Co., Ltd. Reinforcing steel bar typing machine
JP4747455B2 (ja) * 2001-07-30 2011-08-17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の結束線クランプ装置
JP4016784B2 (ja) * 2001-09-28 2007-12-05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リール
JP3624873B2 (ja) * 2001-10-29 2005-03-02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の結束線捩り装置
CN2652552Y (zh) 2003-10-17 2004-11-03 李国昌 钢筋捆绑扎线器
JP2005170489A (ja) * 2003-12-15 2005-06-30 Sanyo Special Steel Co Ltd 棒鋼・鋼管のワイヤ自動結束機
JP4570972B2 (ja) * 2005-01-26 2010-10-27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棒鋼、鋼管のワイヤ自動結束機
JP4710438B2 (ja) * 2005-07-01 2011-06-29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JP5126101B2 (ja) * 2008-05-19 2013-01-23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JP5532610B2 (ja) 2008-05-19 2014-06-25 マックス株式会社 ワイヤリール及び鉄筋結束機
JP5045547B2 (ja) 2008-05-19 2012-10-10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TWI500843B (zh) 2008-05-19 2015-09-21 Max Co Ltd 鐵筋捆紮機
JP5149127B2 (ja) * 2008-11-08 2013-02-20 秀明 石橋 鉄筋結束機
CN201329968Y (zh) * 2008-11-24 2009-10-21 杨祖玉 钢丝绳夹具
JP5309947B2 (ja) * 2008-12-12 2013-10-09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のワイヤ端部保持機構
TWI516415B (zh) * 2008-12-12 2016-01-11 美克司股份有限公司 鐵筋捆紮機
GB0908106D0 (en) * 2009-05-11 2009-06-24 Tymatic Ltd Machine for binding reinforcement bars
BRPI1012031B8 (pt) * 2009-05-27 2022-09-06 Jbj Mechatronic Aps Método e aparelho de amarração para amarrar um arame ao redor de um ou mais objetos
EP4066764A1 (en) 2012-02-27 2022-10-05 Fractyl Health, Inc. Heat ablation systems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DE102012216831A1 (de) 2012-09-19 2014-03-20 Wobben Propertie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tomatischen Verdrillen von Metalldrähten, insbesondere zum Verbinden benachbarter, vorzugsweise sich überkreuzender Strukturelemente
DK3326921T3 (da) 2015-07-22 2022-08-15 Max Co Ltd Bindemaskine
ES2856950T3 (es) 2015-07-22 2021-09-28 Max Co Ltd Máquina atado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738553A (en) 2019-04-26
JP2020143573A (ja) 2020-09-10
TW201840453A (zh) 2018-11-16
US20210114080A1 (en) 2021-04-22
US10906086B2 (en) 2021-02-02
BR112017027386B1 (pt) 2022-11-22
US11779998B2 (en) 2023-10-10
CA3047264A1 (en) 2017-01-26
KR102414608B1 (ko) 2022-06-30
IL292178B2 (en) 2023-05-01
CA2990150C (en) 2019-08-20
AU2019253850B2 (en) 2021-12-09
CN112576043B (zh) 2022-10-28
TW202039312A (zh) 2020-11-01
JPWO2017014268A1 (ja) 2018-08-16
KR20200083662A (ko) 2020-07-08
CA3047264C (en) 2023-10-24
IL256417A (en) 2018-02-28
US11779997B2 (en) 2023-10-10
BR112017027386A2 (ko) 2018-08-21
AU2019253850A1 (en) 2019-11-14
RU2019114424A (ru) 2019-07-15
EP3327220A4 (en) 2019-02-27
JP2021183802A (ja) 2021-12-02
CN107735537B (zh) 2020-12-04
RU2689108C1 (ru) 2019-05-23
IL292178A (en) 2022-06-01
AU2016296572A1 (en) 2018-01-18
AU2016296572B2 (en) 2019-07-25
TWI742739B (zh) 2021-10-11
IL256417B (en) 2022-05-01
WO2017014268A1 (ja) 2017-01-26
EP3327220A1 (en) 2018-05-30
JP7147937B2 (ja) 2022-10-05
CA2990150A1 (en) 2017-01-26
JP6919747B2 (ja) 2021-08-18
CN107735537A (zh) 2018-02-23
US20210138527A1 (en) 2021-05-13
US20180161848A1 (en) 2018-06-14
JP6737274B2 (ja) 2020-08-05
KR20180052562A (ko) 2018-05-18
CN112576043A (zh) 2021-03-30
TW201718341A (zh) 2017-06-01
TWI700220B (zh) 2020-08-01
CL2017003252A1 (es) 2018-06-22
IL292178B1 (en) 2023-01-01
TWI642599B (zh) 2018-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394B1 (ko) 결속기
KR102142497B1 (ko) 결속기
JP7004029B2 (ja) 結束機
WO2017014275A1 (ja) 結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