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342B1 - 여과포 자동 세척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여과포 자동 세척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342B1
KR102130342B1 KR1020180065743A KR20180065743A KR102130342B1 KR 102130342 B1 KR102130342 B1 KR 102130342B1 KR 1020180065743 A KR1020180065743 A KR 1020180065743A KR 20180065743 A KR20180065743 A KR 20180065743A KR 102130342 B1 KR102130342 B1 KR 102130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cloth
gear
press system
fil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367A (ko
Inventor
경규혁
Original Assignee
경규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규혁 filed Critical 경규혁
Priority to KR1020180065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34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2Removal of the filter cakes
    • B01D25/34Removal of the filter cakes by moving, e.g. rotating, the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127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with one or more movable filter bands arranged to be clamped between the press plates or between a plate and a frame during filtration, e.g. zigzag endless filte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2Removal of the filter cakes
    • B01D25/325Removal of the filter cakes 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bumps
    • B01D25/327Removal of the filter cakes 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bumps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프레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여과판을 감싸고 있는 여과포를 회전시키는 방식에 의해 여과포에 부착된 케이크의 자동 탈리 및 동시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포 자동 세척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터 프레스 시스템에 있어서, 양 측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한 쌍의 걸이부(100)에 의해 주 프레임(10)에 걸쳐져서 수평 이동되는 복수의 여과판(50); 및 여과판(50)의 전후면을 상하로 감싸면서 순환 고리 형태로 장착되되 여과포 지지봉(70)에 의해 상측과 하측이 각각 지지되는 여과포(60);를 포함하며, 걸이부(100)의 내측에 걸이부(100)가 연장되는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인 기어(110); 메인 기어(110)에 회전 가능하게 동축 결합되는 래칫 기어(120) 및 래칫 기어(120)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서만 메인 기어(110)를 회동시키는 래칫 키(122); 래칫 기어(120)가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랙 체인(200); 메인 기어(110)의 회전에 따른 타이밍을 조절하는 타이밍 기어(180); 및 적어도 하나의 여과포 지지봉(70)의 단부에 구비되되 타이밍 벨트(185)에 의해 타이밍 기어(180)에 권취되어 여과포(60)의 롤(Roll) 회전을 지원하는 지지 기어(190);를 더 포함하며, 압착되기 전의 상태로 여과판(5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메인 기어(110)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여과포(60)들이 순차적으로 롤 회전하도록 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여과포 자동 세척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A filter press system equipped with an automatic filter cloth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필터 프레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여과판을 감싸고 있는 여과포를 회전시키는 방식에 의해 여과포에 부착된 케이크의 자동 탈리 및 동시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포 자동 세척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골재, 식품, 화학, 제철, 수산물, 제약, 또는 페인트 등을 취급하는 산업체의 경우 발생되는 폐수에서 유독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정화 또는 회수하여 소정의 허용 한계 수질로 처리하는 폐수처리 공정이 필수적이다.
유독물질 또는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폐수처리 공정으로는 물리적 처리 또는 미생물학적 처리가 있는데 처리 과정에서 부유물, 슬러리 등이 발생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유물, 슬러리 등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그 부피가 크고 무겁다. 따라서, 폐수처리 과정에서 부유물, 슬러리(Slurry) 등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 과정이 포함된다.
탈수 과정에 사용되는 장치 중 하나로 필터 프레스(Filter Press) 시스템이 있다. 필터 프레스는 액체 속에 포함되어 있는 고체를 액체와 고체로 각각 분리 여과하는 산업용의 가압식 여과장치로, 여과포(Filter Cloth)가 구비된 여과판에 압력을 가하여 탈수 공정을 행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필터 프레스는 액체 상태의 탈수 대상물인 슬러리를 펌프 등에 의해 가압하여 여과실로 공급하며, 여과실로 공급된 슬러리는 복수의 여과판을 이용하여 압착함으로써 탈수하게 되고, 이러한 탈수공정에 의해 고,액체 상태였던 슬러리는 여액(탈수액)과 케이크(Cake)로 분리된다.
다음으로, 압착을 해제하고 서로 압착된 여과판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하는 과정에서 케이크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여과판에 부착된 여과포에 의해 슬러리가 통과하며 여과가 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케이크가 여과포 등에 부착되어 탈리되지 않는 등의 배출 문제 뿐만 아니라 여과포의 눈막힘으로 여과 효율이 떨어져 지속적으로 성능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여과포에서 미쳐 제거되지 않은 오염물을 청소하기 위한 세척 과정 및 관련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기술인 특허 문헌1의 "회전식 여과포를 갖는 필터프레스"에는 상기 필터판의 외측에는 순환 고리 모양의 여과포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포는 여과포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이송하는 회전식 여과포를 갖는 필터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 구동수단은, 여과포 회전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전달축과, 상기 전달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각각의 필터판 상측에 결합된 상부 회전축 및 상기 상부 회전축과 이송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필터판의 하측에 결합된 하부축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포는 상기 상부 회전축 및 하부축의 외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이송 체인에 결합핀과 너트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성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여과포를 회전하기 위하여 여과포 회전모터 및 관련 동력 전달축을 포함하는 별도의 여과포 구동수단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3228호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터 프레스의 동작 과정에서 압착 및 여과가 끝난 후에 여과판이 이격되어 원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점을 이용하여, 여과판을 이동하기 위한 동력만으로 다수의 여과포를 순차적으로 상하 롤 회전시킴과 동시에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크의 탈리 및 여과포의 눈막힘 현상을 개선하여 작업시간의 절약 및 여과 효율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필터 프레스 시스템은,
양 측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한 쌍의 걸이부에 의해 주 프레임에 걸쳐져서 수평 이동되는 복수의 여과판; 및 상기 여과판의 전후면을 상하로 감싸면서 순환 고리 형태로 장착되되, 여과포 지지봉에 의해 상측과 하측이 각각 지지되는 여과포;를 포함하며, 상기 걸이부의 내측에 상기 걸이부가 연장되는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인 기어; 상기 메인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동축 결합되는 래칫 기어 및 상기 래칫 기어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서만 상기 메인 기어를 회동시키는 래칫 키; 수평 방향으로 정렬 고정되어 상기 래칫 기어가 치합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랙 체인; 상기 메인 기어에 동축으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 기어의 회전에 따른 타이밍을 조절하는 타이밍 기어;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여과포 지지봉의 단부에 구비되되 타이밍 벨트에 의해 상기 타이밍 기어에 권취되어 상기 여과포의 롤(Roll) 회전을 지원하는 지지 기어;를 더 포함하며, 여과판 이동부가 상기 여과판을 압착되기 전의 상태로 이격시키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 기어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여과포가 롤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하로 회전되는 상기 여과포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여과포에 대해 소정의 경사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판 이동부의 구동력은 마지막으로 압착되었다가 가장 처음으로 이격되기 시작하는 상기 여과판의 상기 메인 기어에만 전달되도록 하고, 소정 길이의 연결줄에 의해 서로 연결된 여과판들이 후속하여 순차적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포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상기 여과포 지지봉 중 하나는 상기 지지 기어가 구비되는 구동측이고, 다른 하나는 피구동측으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터 프레스 시스템은, 필터 프레스의 동작 과정에서 압착 및 여과가 끝난 후에 여과판이 이격되어 원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점을 이용하여, 여과판을 이동하기 위한 동력 이외에 추가적인 동력장치 없이도 다수의 여과포를 순차적으로 상하 롤 회전시킴과 동시에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크의 탈리가 용이하고 여과포의 눈막힘 현상을 개선하여 작업시간의 절약 및 여과 효율을 높여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스 시스템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스 시스템의 여과판 및 여과포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스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스 시스템의 세부 작동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여과포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필터 프레스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프레스 시스템의 여과판 및 여과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다. 또한, 도 3 내지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스 시스템의 작동 과정, 주요 구성 및 세부 작동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필터 프레스 작업공정은 실린더 전진-여과판 압착-슬러리펌프 가동-여과-실린더 후진-여과판 이송-케이크 탈리 배출 동작이 반복적으로 실행되는데, 필터 프레스의 특성상 복수의 여과판(50)을 압착판(30)에 의해 전체적으로 가압하여 압착하게 되고, 여과가 끝나면 챔버 내의 여과판(50) 및 여과포(60)로부터 케이크를 털어내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케이크는 일반적으로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떨어지게 되지만,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과판(50)을 감싸고 있는 여과포(60)를 상하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케이크를 자동으로 털어내는 동시에 세척까지 동시에 자동으로 진행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실린더(20)의 구동에 따른 압착판(30)에 의해 여과판(50)을 압착하는 경우에는 여과판(50)의 이송에 별도의 동력이 사용되지 않으며, 여과판(50)을 원래의 위치로 이격 이송하는 경우에 여과판 이동부(40)에 의해 여과판(50)을 단순히 이송하는 동력만을 이용하여 여과판(50)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여과포(60)가 상하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물을 제거하고, 이 과정에서 세척함으로써 자동으로 케이크 탈리 공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판(50)은 필터 프레스의 몸체에서 주 프레임(10)에 얹혀져 다양한 이송 수단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슬러리를 압착시킨 후 탈수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여과판(50)은 소정 크기의 판 형상일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일렬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여과판(50)들은 여과판(50)들 사이로 슬러리가 공급되고,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여과판(50)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슬러리를 가압하여 여액 및 케이크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과판(50)은 슬러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여과판(50)의 소정의 위치에는 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리가 응집된 상태에서 펌프(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여과판(50)으로 이송되었을 때 이를 수용하여 탈수처리하기 위한 슬러리 유입구(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러리 유입구(51)의 하측으로는 여과액 배출구(52)가 형성된다.
또한, 여과판(50)의 하부에는 연결구(53)가 형성되어 소정 길이의 연결줄(미도시)에 의해 서로 여과판(50)들이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 및 여과가 끝난 후에 다시 여과판(50)들을 원래의 상태로 위치하기 위하여 여과판 이동부(40)에 의해 이송될 때에, 마지막으로 압착되었다가 가장 처음으로 이격 이송되기 시작하는 여과판(50)에만 구동력을 전달하여 이송함으로써, 연결줄에 의해 연결된 여과판(50)들이 후속하여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여과포(60)는 여과판(50)의 전후면으로 장착되어 실린더(20)의 작동과 슬러리의 유입에 따라 미처리된 슬러리를 압착시켜 이를 탈수시키게 되며, 여과판(50)은 여과포(60)가 덧씌워진 상태에서 다수 개가 서로 인접되어 구비되며, 여과포(60)의 형상은 여과판(5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펌프에 의해 슬러리 유입구(51)로 유입된 슬러리가 압착되고 여과포(60)에 의해 탈수되었을 때, 케이크로 성형된 슬러리를 제외한 여과액이 여과액 배출구(5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각 여과판(50)은 여과판(50)의 양 측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한 쌍의 걸이부(100)에 의해 평행한 한 쌍의 주 프레임(10)에 걸쳐지되, 실린더(20)에 의해 구동되는 압착판(30)에 의해 주 프레임(10)을 따라서 헤드앤드(24)까지 서로 압착되거나(도 3의 (a)), 압착판(30)이 복귀된 후 주 프레임(10)의 일 측에 구비되는 여과판 이동부(40)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도 3의 (b)), 주 프레임(10)을 따라서 수평 이동되어 각 여과판(50)들이 이격 배치되는 압착전의 상태로 복귀된다(도 3의 (c)).
여과판 이동부(40)는 주 프레임(10)의 일 측에 구비되되 소정의 구동수단이 구비되어 주 프레임(10)을 따라서 수평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과판 이동부(40)는 실린더(20)에 의해 구동되는 압착판(30)에 의해서 헤드앤드(24) 쪽(도 3의 A 방향)으로 여과판(50)이 압착되는 과정에는 구동되지 않지만, 압착 및 여과가 끝난 후에 여과판을 원래의 상태로 돌려놓는 과정에서 작동되며, 여과판(50)의 후면 예컨대, 여과판(50)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걸이부(100)의 후면에 위치되어, 여과판(50)이 압착되기 전의 원래의 위치까지 (도 3의 B 방향 쪽으로) 이송시키고 다시 돌아와 다음으로 이격되면서 이송되어야 할 여과판(50)의 후면에 다시 위치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여과판 이동부(40)에 의해 맨 앞의 여과판(50) 만을 이송시키는 한 번의 과정만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연결줄에 의해 연결된 여과판(50)들이 후속하여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과포(60)는 여과판(50) 각각의 전면과 후면에 장착되는데, 여과판(50)의 전후면을 상하로 감싸면서 순환 고리 형태로 장착되되 여과포 지지봉(70)에 의해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수평 지지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여과포(60)는 상부 프레임(미도시)과 하부 프레임(미도시) 각각에 수평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여과포 지지봉(70)에 의해 상측과 하측이 각각 지지되되, 여과판(50) 사이에 배치되며 여과판(50) 각각의 전후면을 상하로 감싸면서 순환 고리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여과포(60)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여과포 지지봉(70) 중 하나는 구동측으로 하기의 지지 기어(190)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피구동측으로 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주 프레임(10) 이외에도, 상측과 하측의 여과포 지지봉(7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가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및 이들 프레임들을 수직으로 연결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미도시)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걸이부(100)는 여과판(50)의 양 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어 평행한 한 쌍의 주 프레임(10)에 걸쳐지도록 구성되므로, 여과판(50)이 주 프레임(10)에 얹혀질 수 있게 된다.
걸이부(100)의 내측에는 걸이부(100)가 연장되는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인 기어(110)와, 메인 기어(110)에 회전 가능하게 동축 결합되는 래칫(Rachet) 기어(120)와, 래칫 기어(120)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서만 메인 기어(110)를 회동시키는 래칫 키(122)가 위치한다.
한편, 평행한 한 쌍의 주 프레임(10)의 일 측 또는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정렬 고정되도록 랙 체인(200)이 구비되어, 주 프레임(10)을 따라 하기의 래칫 기어(120)가 랙 체인(200)에 치합되어 랙-피니언 구동방식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메인 기어(110)는 여과판(50)이 주 프레임(10)에 걸쳐지도록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일 측 또는 양 측의 걸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걸이부(100)가 연장되는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래칫 기어(120)는 메인 기어(110)에 공회전 가능하게 동축 결합되며, 래칫 기어(120)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서만 메인 기어(110)를 회동시키는 래칫 키(122)와 함께 작동하게 된다.
즉, 주 프레임(10)을 따라 여과판(50)이 이동함에 따라, 래칫 기어(120)는 주 프레임(10)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정렬 고정되는 랙 체인(200)에 취합되어 회전하면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이때, 압착판(30)의 압착에 의해 여과판(50)이 압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래칫 기어(120)는 공회전을 하게 되므로 메인 기어(110)에는 어떠한 구동력이 작용하지 않지만, 압착과 여과가 끝난 후 원래 상태로 복원되기 위하여 여과판(50)들이 이격 이송되는 과정에서는 구동되지 않아 운동이 정지된 상태의 랙 체인(200) 상에서 치합되어 회전하게 되는 래칫 기어(120)는 래칫 키(122)에 의해 메인 기어(11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메인 기어(110)를 회동하도록 한다.
또한, 걸이부(100)의 내측에는 메인 기어(110)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타이밍 기어(180)가 구비되며, 타이밍 기어(180)에 연결되는 타이밍 벨트(185) 및 지지 기어(190)가 걸이부(10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걸이부(100), 타이밍 기어 및 타이밍 벨트들의 크기를 고려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위치는 걸이부(100)와의 관계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타이밍 기어(180)는 메인 기어(110)의 회전에 따른 여과포(60)의 회전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지지 기어(190)는 적어도 하나의 여과포 지지봉(70)의 단부에 구비됨으로써, 타이밍 벨트(185)에 의해 타이밍 기어(180)에 권취되어 메인 기어(110)의 회전시에 여과포(60)의 롤(Roll) 회전을 지원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래칫 기어(120)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메인 기어(110)에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면, 타이밍 기어(180) 및 타이밍 벨트(185)에 의해 지지 기어(190)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측과 하측의 여과포 지지봉(70)을 축으로 여과포(60)가 여과판(50)을 둘러싼 상태로 상하로 롤 회전하게 되면서 탈리되지 않은 케이크 또는 오염물이 제거되도록 한다.
한편, 주 프레임(10)의 상측에, 예컨대 압착된 여과판(50)이 원래 위치로 이동하는 행정 거리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는 물 분사장치(300)를 포함한다. 즉, 여과판(50)이 원래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 동안에만 물을 분사하도록 한다.
물 분사장치(300)는 도시된 비와 같이 주 프레임(1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거나, 주 프레임(10)을 따라 여과판(50)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면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물 분사장치(300)는 여과판(50)이 원래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특히 상하로 롤 회전하게 되는 여과포(60)에 대해 소정의 경사로 물을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여과포(60)에서 제대로 탈리되지 않은 케이크 또는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주 프레임
20 : 실린더
30 : 압착판
40 : 여과판 이동부
50 : 여과판
60 : 여과포
70 : 여과포 지지봉
80 : 수직 가이드
100 : 걸이부
110 : 메인 기어
120 : 래칫 기어
122 : 래칫 키
170 : 지지봉 삽입부
180 : 타이밍 기어
185 : 타이밍 벨트
190 : 지지 기어
200 : 랙 체인
300 : 물 분사장치

Claims (4)

  1. 필터 프레스 시스템에 있어서,
    양 측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한 쌍의 걸이부(100)에 의해 주 프레임(10)에 걸쳐져서 수평 이동되는, 복수의 여과판(50); 및
    상기 여과판(50)의 전후면을 상하로 감싸면서 순환 고리 형태로 장착되되 여과포 지지봉(70)에 의해 상측과 하측이 각각 지지되는 여과포(60);를 포함하며,
    상기 걸이부(100)의 내측에 상기 걸이부(100)가 연장되는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인 기어(110);
    상기 메인 기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칫 기어(120) 및 상기 래칫 기어(120)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서만 상기 메인 기어(110)를 회동시키는 래칫 키(122);
    상기 래칫 기어(120)가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랙 체인(200);
    상기 메인 기어(110)의 회전에 따른 타이밍을 조절하는 타이밍 기어(180);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여과포 지지봉(70)의 단부에 구비되되, 타이밍 벨트(185)에 의해 상기 타이밍 기어(180)에 권취되어 상기 여과포(60)의 롤(Roll) 회전을 지원하는 지지 기어(190);를 더 포함하며,
    압착되기 전의 상태로 상기 여과판(5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기어(110)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여과포(60)들이 순차적으로 롤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여과포 세척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하로 회전되는 상기 여과포(60)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여과포(60)에 대해 소정의 경사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장치(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포 자동세척 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여과판(50)은 가장 처음으로 이격되기 시작하는 여과판(50)이 구동력을 받으면 순차적으로 후속 여과판(50)에 상기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소정 길이의 연결줄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여과포 세척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60)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상기 여과포 지지봉(70) 중 하나는 상기 지지 기어(190)가 구비되는 구동측이고, 다른 하나는 피구동측으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여과포 세척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


KR1020180065743A 2018-06-08 2018-06-08 여과포 자동 세척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 KR102130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743A KR102130342B1 (ko) 2018-06-08 2018-06-08 여과포 자동 세척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743A KR102130342B1 (ko) 2018-06-08 2018-06-08 여과포 자동 세척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367A KR20190139367A (ko) 2019-12-18
KR102130342B1 true KR102130342B1 (ko) 2020-07-06

Family

ID=6905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743A KR102130342B1 (ko) 2018-06-08 2018-06-08 여과포 자동 세척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0504B2 (en) * 2020-05-20 2022-03-22 James T. Crawford, III Low air leakage, secure clean room with reduced contamination and secure chemical resistance
CN112755656A (zh) * 2021-01-19 2021-05-07 上海同臣环保有限公司 一种分组拉开逐块清洗的压滤机滤布清洗机构
KR102472873B1 (ko) * 2022-03-29 2022-12-01 (주)태영필트레이션시스템 여과포를 악취 유발 물질 분해 미생물의 담체로 활용한 탈취 기능이 적용된 필터 프레스 탈수기
CN114618198B (zh) * 2022-04-11 2024-01-09 江苏懿锋水处理有限公司 一种板框压滤机的出料辅助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119B1 (ko) 2001-08-31 2004-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패널 적재용 파레트
KR100446067B1 (ko) 2002-03-27 2004-09-01 김용식 필터 프레스의 여과판 이송장치
JP5950207B2 (ja) 2012-12-25 2016-07-13 株式会社石垣 フィルタープレ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228B1 (ko) * 2009-07-10 2012-02-20 크라텍주식회사 회전식 여과포를 갖는 필터프레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119B1 (ko) 2001-08-31 2004-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패널 적재용 파레트
KR100446067B1 (ko) 2002-03-27 2004-09-01 김용식 필터 프레스의 여과판 이송장치
JP5950207B2 (ja) 2012-12-25 2016-07-13 株式会社石垣 フィルタープレ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367A (ko)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342B1 (ko) 여과포 자동 세척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
KR101983101B1 (ko) 여과포 진동 또는 회전 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
KR102130335B1 (ko)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
CN208002058U (zh) 一种辣椒清洗装置
KR20210004303A (ko)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
CN201260913Y (zh) 压滤机
CN109228476A (zh) 一种改进型的固液过滤分离装置
CN112777908B (zh) 一种污泥带式压滤装置及其工作方法
KR101113228B1 (ko) 회전식 여과포를 갖는 필터프레스
KR100910385B1 (ko) 열매의 씨앗 분리장치
CN210736501U (zh) 一种连续深度脱水设备
CN112370831A (zh) 一种具有防堵塞功能压滤机
CN109399298A (zh) 一种花纹板清洗专用重卷机及操作方法
CN204434441U (zh) 移动式污泥脱水装置
CN201316568Y (zh) 一种带式压滤机
CN105561662B (zh) 一种压滤机
CN115193873A (zh) 废旧金属铝碎料回收用分拣设备
KR100835534B1 (ko) 슬러지 탈수용 여과포 세척장치
CN104258621B (zh) 多层卷压滤带式污泥深度脱水机
CN211552372U (zh) 一种火锅底料生产用高效蔬菜振动除水机
CN112607993A (zh) 一种带式压滤浓缩一体污泥压滤机
KR200392337Y1 (ko) 필터 프레스의 케익 제거구조
CN214597440U (zh) 一种压滤机给料装置
CN204159112U (zh) 多层卷压滤带式污泥深度脱水机
CN214339935U (zh) 一种姜加工用压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