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269B1 - 지그 장치 - Google Patents

지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269B1
KR102130269B1 KR1020180116065A KR20180116065A KR102130269B1 KR 102130269 B1 KR102130269 B1 KR 102130269B1 KR 1020180116065 A KR1020180116065 A KR 1020180116065A KR 20180116065 A KR20180116065 A KR 20180116065A KR 102130269 B1 KR102130269 B1 KR 102130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oving
tab
housing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440A (ko
Inventor
민두홍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18011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2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대상물과 접하는 이동축과, 하우징에 설치되고, 이동축과 나사결합되거나 이동축으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되는 조절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그 장치{JIG APPARATUS}
본 발명은 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을 목적한 높이에 배치, 고정시키기 위한 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그(jig)는 대상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 차량용 제품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됨에 있어서는 차량용 제품을 받치도록 설치되어 차량용 제품을 설정 높이 상에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배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 이러한 지그는 수동으로 핸들을 회전조작하는 등의 방식으로 높이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어, 높이를 변경 적용함에 있어서 조작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829022호(2018.02.07 등록, 발명의 명칭: 제품 고정용 지그 핀의 높이 추출 방법 및, 제품 고정용 핀 지그의 자동 셋팅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지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대상물과 접하는 이동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축과 나사결합되거나 상기 이동축으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되는 조절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간부가 형성되는 연장하우징부; 및 상기 연장하우징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조절전환장치가 설치되는 조절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축은,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둘레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축부; 상기 나사축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대상물과 접하는 대상접속부; 및 손으로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나사축부에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전환장치는, 상기 이동축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축과 접하게 설치되는 회동탭; 상기 이동축의 직선 이동 시 상기 회동탭이 상기 이동축에 밀려나 정방향으로 회동되며 나사결합이 해제되게 상기 회동탭을 지지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탭을 상기 이동축과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이동력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탭은, 탭본체부; 상기 탭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착탈부; 상기 탭본체부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이 결합되는 회동결합부; 상기 탭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과 접하며 상기 탭본체부의 역방향 회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 및 상기 탭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력조절부재와 접하여 역방향으로의 회동력을 받는 가압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이동축에 안착된 상기 대상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측정장치는, 상기 이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이동연장부; 및 상기 이동연장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축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대상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장치는, 조절전환장치가 이동축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이동축이 직선 이동력에 의해 목적한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고, 조절전환장치가 이동축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는 이동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력에 의해 목적한 위치로 보다 정밀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필요 시 이동축에 직선 이동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이동축 내지 대상물을 목적한 높이 근방으로 보다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축에 회전 이동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이동축 내지 대상물을 목적한 높이에 맞춰 보다 정확하게 이동,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의 조절전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의 이동축을 회전시키며 높이를 조절하는 사용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의 이동축을 직선 이동시키며 높이를 조절하는 사용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1)는 하우징(10), 이동축(20), 조절전환장치(30), 높이측정장치(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이동축(20)과 조절전환장치(30)를 수용함과 동시에, 이동축(20)과 높이측정장치(4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동축(20)은 대상물(2)을, 예를 들어 차량용 제품을,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서브프레임 등을 받쳐 지지하는 장치부로, 하우징(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대상물(2)에는 이동축(20)의 상부에 끼워져 안착될 수 있는 지그안착용 홀부(2a) 내지 홈부가 형성된다. 대상물(2)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그안착용 홀부(2a) 각각에 이동축(20)의 상부를 대응시킴으로써, 대상물(2)을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장치(1)의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고, 이동축(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거쳐 대상물(2)을 목적한 설정 높이에 배치, 고정시키게 된다.
조절전환장치(30)는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이동축(20)과 나사결합되거나 이동축(20)으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된다. 이동축(20)의 회전 이동 시 조절전환장치(30)는 이동축(20)과 나사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동축(20)의 직선 이동 시 조절전환장치(30)는 이동축(20)에 밀려나 회동 작동되며 이동축(20)과의 나사결합이 해제된다.
높이측정장치(40)는 이동축(20)에 안착된 대상물(2)의 높이를 측정하는 장치부로, 이동축(20)과 함께 이동되면서 이동축(20)에 안착된 대상물(2)의 높이를 측정한다. 여기서, 높이측정장치(40)로 대상물(2)의 높이를 측정함에 있어서는, 단부를 대상물(2)에 직접 접촉시켜 측정할 수도 있고, 하우징(10)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바닥부 등을 기준지점으로 설정하고, 기준지점과의 거리에 따라 높이를 측정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은 연장하우징부(11)와 조절하우징부(13)를 포함한다.
연장하우징부(11)는 이동축(2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장치부로,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된다. 연장하우징부(11)의 내부에는 이동축(2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간부(12)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연장하우징부(11)의 측부에는 높이측정장치(40)의 이동연장부(41)(이하 설명)가 통과할 수 있는 연장슬릿부(18)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연장슬릿부(18)는 이동연장부(41)가 이동축(20)과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축(20)과 동일한 상하방향 변위로 이동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동연장부(41)는 연장슬릿부(18)에 의해 가이드되어 측방향으로의 유동,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만 안정되게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높이측정장치(40)의 측정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조절하우징부(13)는 조절전환장치(30)가 설치되는 장치부로, 조절전환장치(30)를 수용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연장하우징부(11)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하우징부(13)는 탭수용부(14)와 가압재수용부(17)를 포함한다.
탭수용부(14)는 조절전환장치(30)의 회동탭(31)이 수용되는 공간부로, 이동축(20)을 중심으로 하여 복수개가 설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조절전환장치(30)의 개수, 너비에 따라 탭수용부(14)는 이동축(20)을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탭수용부(14)의 하부를 제1내면부(15)라 하고, 탭수용부(14)의 상부를 제2내면부(16)라 한다. 가압재수용부(17)는 조절전환장치(30)의 이동력조절부재(38)가 설치되는 공간부로, 제2내면부(16) 상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동력조절부재(38)는 코일스프링의 구조를 가지며, 가압재수용부(17)는 코일스프링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홈부의 형상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축(20)은 나사축부(21), 대상접속부(22), 핸들부(23)를 포함한다.
나사축부(2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형상을 가지고, 하우징(10)의 가이드공간부(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나사축부(21)의 둘레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부는 하우징(10)의 연장하우징부(11)에 삽입되고, 상부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다. 대상접속부(22)는 대상물(2)과 접하는 부분으로,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되는 나사축부(21)의 상부에 형성된다.
대상접속부(22)의 상부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축소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대상접속부(22)의 상부는 상측으로 뾰족한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대상물(2)에 형성된 지그안착용 홀부(2a)에 그보다 축소된 너비를 가지는 대상접속부(22)의 상단부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지그안착용 홀부(2a)의 하단부가 이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는 대상접솝부(22)의 상부 부분에 걸쳐지면서, 대상물(2)을 안착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이동축(20)는 대상물(2)을 설정 위치, 설정 높이에 안정되게 구속, 하단지지할 수 있다.
핸들부(23)는 손으로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나사축부(21)에 결합된다. 사용자는 핸들부(23)를 파지한 상태로 이동축(20)에 용이하게 회전력을 가할 수 있고, 핸들부(23)와 이동축(20)이 함께 회전하면서 이동축(20)의 승하강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핸들부(23)를 정방향으로 회전 시 이동축(20)이 이와 동일한 각변위로 함께 회전되면서 그 회전변위에 비례한 만큼 상향 이동된다. 또한, 핸들부(23)를 역방향으로 회전 시 이동축(20)이 이와 동일한 각변위로 함께 회전되면서 그 회전변위에 비례한 만큼 하향 이동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의 조절전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의 이동축을 회전시키며 높이를 조절하는 사용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의 이동축을 직선 이동시키며 높이를 조절하는 사용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전환장치(30)는 회동탭(31), 회동축(37), 이동력조절부재(38)를 포함한다.
회동탭(31)은 이동축(20)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을 구비하여 이동축(20)과 접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탭(31)은 탭본체부(32), 나사착탈부(33), 회동결합부(34), 스토퍼부(35), 가압접속부(36)를 포함한다.
탭본체부(32)는 회동탭(31)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하나의 블럭 형상을 가지고 하우징(10)의 탭수용부(14)에 설치된다. 나사착탈부(33)는 이동축(20)과 나사결합되는 장치부로, 도 5 상에서 탭본체부(32) 중 이동축(20)과 접하는 우측단부에 형성된다. 나사착탈부(33)에는 이동축(20)의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회동결합부(34)는 회동축(37)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나사착탈부(33)와 이격된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가장자리부가 라운딩된 형상을 가진다. 탭본체부(32)는 회동결합부(34)를 관통한 회동축(37)의 양단부를 조절하우징부(13)에 결합함으로써, 탭수용부(14) 상에 그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회동축(37)은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탭본체부(32)는 나사축부(21)의 상향 이동 시 회동축(37)을 중심으로 나사착탈부(33)가 상향 이동되는 회동을 하게 된다.
스토퍼부(35)는 탭본체부(32) 중 제1내면부(15)와 접하는 장치부로, 탭본체부(32)의 하향 회동을 구속한다. 탭본체부(32)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스토퍼부(35)는 제1내면부(15)와 접하게 되고 더이상의 하향 회동이 저지된다. 스토퍼부(35)에 의해 나사착탈부(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축부(21)를 향하는 설정 각도로 하향 복귀,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나사축부(21)와 나사착탈부(33) 간의 나사결합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접속부(36)는 이동력조절부재(38)와 접하는 장치부로, 탭본체부(32) 중 제2내면부(16)와 마주하는 일측부에 형성된다. 제2내면부(16) 상에는 가압재수용부(17)가 형성되고, 이동력조절부재(38)의 일단부는 가압재수용부(17)에 수용되고, 이동력조절부재(38)의 타단부는 가압접속부(36)와 접한다. 탭본체부(32)는 가압접속부(36)에 의해 이동력조절부재(38)와 접한 채 하향 회동력을 지속적으로 받는다.
회동축(37)은 회동탭(31)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동축(20)이 상방으로 직선 이동 시 나사축부(21)에 형성된 수나사산은 나사착탈부(33)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밀어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착탈부(33)를 비껴가게 된다. 이때, 회동탭(31)은 회동축(37)을 중심으로 상향 회동되며 이동축(20)과의 나사결합이 해제된다.
이동력조절부재(38)는 회동탭(31)을 이동축(20)과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한다. 이동력조절부재(38)로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5 상에서 이동력조절부재(38)는 회동축(37)의 우측에서 가압접속부(36)를 하향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회동탭(31)은 이동력조절부재(38)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이동축(20)과 나사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핸들부(23)를 이용해 이동축(20)을 회전 조작 시, 이동축(20)의 회전변위에 비례하여 이동축(20)의 승강이동 및 대상물(2)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축(20)에 이동력조절부재(38)의 탄성력보다 강한 상향 이동력이 작용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축(20)과 회동탭(31)간의 나사결합이 해제되면서 이동축(20)의 상향 이동이 개시되고, 이와 동시에 회동탭(31)이 이동축(20)의 수나사산 외부로 밀려나며 상향 회동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이동축(20)에 이동력조절부재(38)의 탄성력보다 강한 상향 이동력이 작용시키는 조작은, 사용자가 핸들부(23)를 파지한 채 상측으로 당기거나 밀어올림으로써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축(20)에 작용하던 상향 이동력이 해제되거나, 이동력조절부재(38)의 탄성력보다 약한 상향 이동력이 작용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탭(31)이 이동축(20)과 나사결합되게 하향 회동 및 복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부(23)에 회전력을 가하면 이동축(2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하게 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측정장치(40)는 이동연장부(41), 높이측정센서(42), 표시부(43)를 포함한다.
이동연장부(41)는 높이측정센서(42)를 설치가능한 설치면을 제공하는 장치부로, 하우징(10)의 연장슬릿부(18)를 내외부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일단부는 이동축(2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된다. 이동축(20)의 회전, 직선 이동 시 이동연장부(41)는 연장슬릿부(18)를 따라 이동축(20)의 직선 이동 변위에 대응되는 변위만큼 직선 이동된다.
높이측정센서(42)는 대상물(2)의 높이를 측정하는 장치부로, 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된 이동연장부(41)의 단부에 설치되고, 이동축(20)과 함께 이동되면서 대상물(2)의 높이를 측정한다. 높이측정센서(42)는 하우징(10)의 저면부를 기준으로 하여 대상물(2)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고, 하우징(10)의 저면부를 기준으로 하여 높이측정센서(42) 자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동축(20)의 길이에 해당되는 대상물(2)과의 거리를 합산하는 과정을 거쳐 대상물(2)의 높이를 측정할 수도 있다.
도 1, 도 2에는 높이측정센서(42)로는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를 적용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높이측정센서(42)로서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를 적용하는 경우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의 단부를 대상물(2)에 직접 접촉시키는 조작 등을 거쳐 대상물(2)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측정센서(42)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축(20)과 함께 이동되면서 그 이동 변위에 대응하여 대상물(2)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면, 또는 대상물(2)의 높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접촉식 센서,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부(43)는 높이측정센서(42)에서 측정된 대상물(2)의 높이에 관한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부이다. 표시부(43)에 표시된 수치를 토대로 대상물(2)의 높이에 관한 정보를 육안으로,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대상물(2)이 목적한 높이에 위치되었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대상물(2)의 높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표시부(43)에 표시된 수치를 토대로 이동축(20)의 높이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장치(1)에 의하면, 조절전환장치(30)가 이동축(2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이동축(20)이 직선 이동력에 의해 목적한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고, 조절전환장치(30)가 이동축(20)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는 이동축(2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력에 의해 목적한 위치로 보다 정밀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 시 이동축(20)에 직선 이동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이동축(20) 내지 대상물(2)을 목적한 높이 근방으로 보다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축(20)에 회전 이동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이동축(20) 내지 대상물(2)을 목적한 높이에 맞춰 보다 정확하게 이동,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지그 장치 2 : 대상물
10 : 하우징 11 : 연장하우징부
12 : 가이드공간부 13 : 조절하우징부
14 : 탭수용부 15 : 제1내면부
16 : 제2내면부 17 : 가압재수용부
18 : 연장슬릿부 20 : 이동축
21 : 나사축부 22 : 대상접속부
23 : 핸들부 30 : 조절전환장치
31 : 회동탭 32 : 탭본체부
33 : 나사착탈부 34 : 회동결합부
35 : 스토퍼부 36 : 가압접속부
37 : 회동축 38 : 이동력조절부재
40 : 높이측정장치 41 : 이동연장부
42 : 높이측정센서 43 : 표시부

Claims (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대상물과 접하는 이동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축과 나사결합되거나 상기 이동축으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되는 조절전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조절전환장치가 설치되는 조절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전환장치는,
    상기 이동축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축과 접하게 설치되는 회동탭; 및
    상기 회동탭을 상기 이동축과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이동력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하우징부는,
    상기 회동탭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하부에 제1내면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내면부가 형성되는 탭수용부; 및
    상기 제2내면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력조절부재가 설치되는 가압재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탭은,
    탭본체부;
    상기 탭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탭본체부가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내면부와 접하며 상기 탭본체부의 하향 회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 및
    상기 탭본체부 상에 상기 제2내면부와 마주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력조절부재와 접하여 하향 회동력을 받는 가압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축에 상기 이동력조절부재의 탄성력보다 강한 상향 이동력이 작용하면, 상기 회동탭이 상기 이동축의 수나사산 외부로 밀려나며 상향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축과 상기 회동탭간의 나사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이동축의 상향 이동이 개시되고,
    상기 이동축에 작용하던 상향 이동력이 해제되거나, 상기 이동력조절부재의 탄성력보다 약한 상향 이동력이 작용하면, 상기 회동탭이 하향 회동되며 상기 이동축과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간부가 형성되는 연장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하우징부는,
    상기 연장하우징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은,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둘레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축부;
    상기 나사축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대상물과 접하는 대상접속부; 및
    손으로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나사축부에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전환장치는,
    상기 이동축의 직선 이동 시 상기 회동탭이 상기 이동축에 밀려나 정방향으로 회동되며 나사결합이 해제되게 상기 회동탭을 지지하는 회동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탭은,
    상기 탭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착탈부; 및
    상기 탭본체부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이 결합되는 회동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에 안착된 상기 대상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측정장치는,
    상기 이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이동연장부; 및
    상기 이동연장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축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대상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장치.
KR1020180116065A 2018-09-28 2018-09-28 지그 장치 KR102130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065A KR102130269B1 (ko) 2018-09-28 2018-09-28 지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065A KR102130269B1 (ko) 2018-09-28 2018-09-28 지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440A KR20200036440A (ko) 2020-04-07
KR102130269B1 true KR102130269B1 (ko) 2020-08-05

Family

ID=7029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065A KR102130269B1 (ko) 2018-09-28 2018-09-28 지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2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101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부품별 범용이 가능한 조립용 지그
KR20230055761A (ko) *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지그장치용 유니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793A (ja) * 1999-08-19 2001-03-06 Daiho Constr Co Ltd 地中掘削機
KR100749048B1 (ko) * 2006-08-04 2007-08-13 안종식 건축용 수직 서포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034B1 (ko) * 2016-11-28 2021-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사이드 폴딩부 높이 측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793A (ja) * 1999-08-19 2001-03-06 Daiho Constr Co Ltd 地中掘削機
KR100749048B1 (ko) * 2006-08-04 2007-08-13 안종식 건축용 수직 서포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101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부품별 범용이 가능한 조립용 지그
KR102474419B1 (ko) * 2020-12-18 2022-12-06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부품별 범용이 가능한 조립용 지그
KR20230055761A (ko) *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지그장치용 유니트
KR102569353B1 (ko) * 2021-10-19 2023-08-2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지그장치용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440A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269B1 (ko) 지그 장치
US7610690B2 (en) Measurement stand for holding a measuring instrument
US8739427B2 (en) Manual thickness measurement gage
US9046456B2 (en) Indentation tester
EP2149772A1 (en) Digital displacement measuring instrument
US10011034B2 (en) Cutting plotter
CN106931854B (zh) 一种内环槽直径测量装置
US10119848B2 (en) Inspection machine and attachment jig therefor
KR20060074077A (ko) 3축 굽힘 실험용 지그
CN106152908B (zh) 一种用于轴瓦的检具
JP2005034733A (ja) グラビア塗布装置およびグラビア塗布方法
JPH1137915A (ja) 硬さ試験機
CN113932686A (zh) 高层建筑楼板厚度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110328605B (zh) 治具、研磨装置及样品块的研磨方法
KR20180107493A (ko) 두께 측정장치
KR101906519B1 (ko) 샤프트의 홈 측정장치
JP5436390B2 (ja) 可変プーリのバックラッシュ測定装置
KR101480229B1 (ko) 센터 마운트 및 그를 구비한 볼바 시스템
CN108917812B (zh) 检测器调节装置及其操作方法
JP4465690B2 (ja) 基板の垂直保持装置
KR102010063B1 (ko) 센서밀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측정장치
CN217764942U (zh) 一种齿轴零件的测量定位装置
JPH10138070A (ja) シリンダ式ワーク押付け固定装置
CN210741307U (zh) 一种过桥箱轴承孔的圆跳动检测装置
KR20180131043A (ko) 직진도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