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546B1 -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546B1
KR102129546B1 KR1020190126217A KR20190126217A KR102129546B1 KR 102129546 B1 KR102129546 B1 KR 102129546B1 KR 1020190126217 A KR1020190126217 A KR 1020190126217A KR 20190126217 A KR20190126217 A KR 20190126217A KR 102129546 B1 KR102129546 B1 KR 102129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swing
wearable
fo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근
이승만
Original Assignee
이강근
이승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근, 이승만 filed Critical 이강근
Priority to KR102019012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27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when used improperly, e.g. by giving a war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6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스윙을 연습할 때 신체에 착용되어 정자세를 가이드하는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체의 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넥밴드; 상기 웨어러블넥밴드에 구비되어 스윙과정에서 발생하는 목근육의 수축이나 이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공하면서 스윙시 목근육에 힘이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는 힘감지부; 상기 웨어러블넥밴드에 내장되고, 상기 힘감지부에서 인가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스윙시 목에 과도한 힘이 들어가는 것을 도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웨어러블넥밴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알림신호를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GUIED APPARATUS FOR SWING OF GOLF}
본 발명은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 스윙 연습시 몸에 과도하게 들어가는 힘이나 목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정자세를 도모할 수 있는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 골프가 일반적인 스포츠나 취미생활, 사업상 비즈니스등으로 일반인의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골프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실내,외 골프 연습장이나 퍼팅 연습장이 생겨나면서 스윙연습이나 퍼팅연습을 위한 많은 연습장치나 기구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운동은 기초가 가장 중요하고 기초가 튼튼하지 않으면 아무리 연습을 해도 실력이 향상되지 않는 것이며, 골프 또한 스윙연습이나 퍼팅연습은 많이 하면서도 스윙의 가장 기초가 되는 스윙자세는 골프 연습자들이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골프는 반복적인 스윙운동으로 스윙자세의 기초가 올바르게 형성되어야만 차후 필드에서 좋은 샷을 할 수 있으나, 처음 골프를 배울때 잘못된 습관으로 스윙을 하면 차후 교정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골퍼는 올바른 스윙자세를 익히기 위하여, 숙련된 코치로부터 교정을 받기도 하며, 거울 앞에서 수많은 스윙연습을 하게 되는데, 코치로부터 매번 교정을 받기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뿐만아니라, 거울을 보고 혼자 연습을 해도 전체적인 스윙자세는 알 수 있지만 미세한 부분은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골프 스윙시 가장 중요하면서도 간과하기 쉬운 부분은, 어드레스 자세에서 백스윙과 백스윙 탑, 다운스윙, 임팩트에 이르는 스윙의 과정에서 헤드가 움직이는 순간 중심축이 움직이므로 임팩트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우를 범하지 않기 위해서는 어드레스자세에서 임팩트 되는 순간까지 헤드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공을 쳐다보고 있도록 하고, 심지어는 임팩트 이후에도 공을 쳐다보고 있도록 하지만, 이 또한 혼자 연습하는 골퍼가 본인도 모르게 헤드업 되거나 중심축이 흔들리는 자세를 스스로 판단하고 교정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골프공의 스윙 시에는 특히 몸에 힘을 뺀 상태로 스윙을 해야만 헤드업되는 현상이나 자세의 중심축이 흔들림이 없이 자연스러운 스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올바른 스윙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3173호에 개시된 골프 스윙자세 교정장치가 있다.
선행기술은 건물 실내의 상면에 부착되어 회전하는 고정부에 설치되는 머리고정부가 스윙시 머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실내에 별도에 설치되는 보조기구를 통해 스윙 연습을 가이드하므로, 한정된 공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머리가 흔들리는 것만을 확인하고 교정할 수 있을 뿐, 스윙과정에서 몸에 과도하게 힘이 들어가는 것은 확인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31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골프 스윙의 연습시 스윙과정에서 머리가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스윙과정에서 목에 힘이 들어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몸에 힘을 빼도록 유도하여 올바른 스윙자세를 도모할 수 있는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되는 구성을 통해 스윙자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상의 제약이 없는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는, 골프스윙을 연습할 때 신체에 착용되어 정자세를 가이드하는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신체의 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넥밴드; 상기 웨어러블넥밴드에 구비되어 스윙과정에서 발생하는 목근육의 수축이나 이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공하면서 스윙시 목근육에 힘이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는 힘감지부; 상기 웨어러블넥밴드에 내장되고, 상기 힘감지부에서 인가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스윙시 목에 과도한 힘이 들어가는 것을 도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웨어러블넥밴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알림신호를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넥밴드는, 일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목에 착용되며, 일부분이 분할 형성되어 목근육에 들어가는 힘에 의해 분할부위의 길이가 팽창하는 분할형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힘감지부는, 상기 분할형밴드의 분할부위에 개재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분할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웨어러블넥밴드에 설치되어 상기 웨어러블넥밴드의 수평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수평계; 및 상기 웨어러블넥밴드에 마련되어 골프공의 타격이 완료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타격감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감지부재 및 상기 수평계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골프공의 타격과정에서 웨어러블넥밴드의 수평이 유지되는 것을 도출하여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는, 신체의 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넥밴드에 여러 감지부재들이 구비되므로 한정된 연습장이나 실내 등과 같은 공간의 제약이 없이 스윙자세를 확인하고 교정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웨어러블넥밴드에 구비되는 힘감지부가 스윙과정에서 목근육에 과도하게 힘이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여 확인함으로써 몸에 힘을 빼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수평계 및 타격감지부재의 구성을 통해 스윙과정에서 목의 움직임이나 수평유지 여부를 알람부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중심축의 흔들림이나 헤드업이 방지된 올바른 스윙자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넥밴드의 형태에 따라 힘감지부가 로드셀이나 압력센서로 구성되므로 스윙과정에서 목근육에 가해지는 힘을 원활하게 감지함으로써 몸에 힘을 빼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계가 웨어러블넥밴드의 수평도를 감지하면서 타격감지부재가 타격이 완료된 것을 감지하므로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지기 전까지의 중심축의 움직임이나 목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10)는, 골프스윙 연습시 신체에 착용되어 스윙과정에서의 자세를 확인하고 올바른 교정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넥밴드(100), 힘감지부(200), 제어부(300), 알람부(400), 수평계(500) 및 타격감지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넥밴드(100)는 골프 스윙의 연습 시 사용자의 신체 중 목에 착용되는 구성요소이며, 후술되는 힘감지부(200), 제어부(300), 알람부(400), 수평계(500) 및 타격감지부재(60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웨어러블넥밴드(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10)의 몸체를 구성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고 공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넥밴드(100)는 목에 착용되어 목의 둘레를 따라 목근육에 믹착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형밴드(110)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형밴드(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링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개구부를 통해 목에 착용되면서 목둘레를 따라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분할형밴드(110)는 일부분이 분할 형성되어 분할부위에 후술되는 힘감지부(2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스윙과정에서 목근육에 힘이 들어갈 경우 목의 팽창에 의해 분할부위가 길이가 벌어지는 형태로 팽창할 수 있다.
여기서, 분할형밴드(110)는 분할부위의 원활한 팽창을 위하여 비탄성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형성되어 목의 둘레를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분할형밴드(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분할된 구성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3개 이상의 복수로 분할된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넥밴드(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밴드(120)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일체형밴드(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링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개구부를 통해 목에 착용될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목둘레를 따라 밀착된 상태로 착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체형밴드(120)는 스윙과정에서 목근육에 힘이 들어갈 경우 목의 팽창에 의해 내측 둘레가 가압될 수 있다.
상기 힘감지부(200)는 전술한 웨어러블넥밴드(100)에 설치되어 스윙과정에서 발생하는 목근육의 수축이나 이완을 감지함으로써 목에 힘이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하여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스윙과정에서 몸에 힘이 들어갈 경우에는 목에도 힘이 들어가게 되는데, 힘감지부(200)는 목에 힘이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하여 감지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스윙과정에서 몸에 힘을 빼도록 유도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힘감지부(200)는 스윙과정에서 몸에 힘이 들어가지 않은 상태로 자연스러운 스윙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교정될 수 있도록 목에 힘이 들어갈 경우 감지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후술되는 알람부(400)를 통해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힘감지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웨어러블넥밴드(100)가 분할형밴드(110)로 구성될 경우에는 로드셀(210)로 구성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넥밴드(100)가 일체형밴드(120)로 구성될 경우에는 압력센서(220)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드셀(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형밴드(110)의 분할부우에 개재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목에 힘이 들어갈 경우 목의 팽창에 의해 분할부위에 벌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후술되는 제어부(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로드셀(210)은 분할형밴드(110)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밴드(120)의 내측 둘레에 설치되어 목근육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센서(220)는 복수를 이루면서 일체형밴드(120)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스윙과정에서 목근육에 힘을 줄 경우 목근육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후술되는 제어부(3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압력센서(220)는 FSR(Force Sensing Resistors)로 구성될 수 있다.
FSR(Force Sensing Resistors)는 센서 표면에 힘을 증가시킬 때 감소하는 저항이 발생하는 중합체 필름(polymer film)으로서, 전도성의 고무와 비교할 때 전기적 이력 현상이 거의 없고, 피에조 필름(piezo film)과 비교할 때 진동 및 열의 영향이 거의 없으면서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이외에도, 압력센서(220)는 목근육의 팽창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220) 상에는 압축탄성재로 제조된 보호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보호층은 압력센서(220)의 접촉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목근육의 움직임 시 압력센서(2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압력센서(220)의 수신 감도를 높여줄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전술한 힘감지부(200)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스윙시 목에 과도한 힘이 들어가는 것을 도출하고, 후술되는 수평계(500) 및 타격감지부재(600)에서 인가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윙과정에서 헤드의 수평이 유지되는 것을 도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제어부(3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웨어러블넥밴드(10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서버나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장치에 탑재되어 힘감지부(200), 수평계(500) 및 타격감지부재(600)와 무선통신하면서 데이터를 인가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힘감지부(200)에서 감지되는 데이터가 설정된 기준을 초과할 경우 목에 과도하게 힘이 들어간 것으로 판단하고 후술되는 알람부(4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알람부(400)는 웨어러블넥밴드(100)에 설치되어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사용자에게 알림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알람부(400)는 경고음과 같은 청각적 신호로 알림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빛을 통해 시각적 신호로 알림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300)는 스윙연습시 힘감지부(200)를 통해 목에 힘이 과도하게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면서, 힘감지부(20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가 기준데이터를 초과할 경우 알람부(400)를 통해 알림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알람부(400)에서 알람신호가 발생할 경우 목에 과도하게 힘이 들어간 것을 인지하고 자세를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수평계(500)는 스윙과정에서 목이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여 중심축이 움직이지 않고록 함으로써 스윙시 헤드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수평계(500)는 웨어러블넥밴드(100)에 설치된 상태로 웨어러블넥밴드(100)의 수평도를 측정하여 디지털 신호로 제어부(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평계(500)는 영점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되어 웨어러블넥밴드(100)의 수평도 영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수평계(500)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통해 웨어러블넥밴드(100)의 수평도가 유지되지 않을 경우, 알람부(400)를 제어하여 알람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타격감지부재(600)는 스윙연습시 골프동의 타격이 완료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300)로 제공함으로써 웨어러블넥밴드(100)의 수평도가 유지되어야 하는 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즉, 제어부(300)는 스윙과정 중 수평도가 유지되어야 하는 구간인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지기 이전까지의 구간을 타격감지부재(6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구간에서 전술한 수평계(500)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웨어러블넥밴드(100)의 수평이 유지되는지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스윙구간에서 웨어러블넥밴드(100)의 수평유지가 되지 않을 경우, 알람부(400)를 작동시켜서 알람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타격감지부재(6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610) 및 수광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610)는 웨어러블넥밴드(100)에 설치되며, 레이저와 같은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수광부(620)는 발광부(610)에서 조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감지하면서 감지신호를 제어부(300)로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수광부(620)는 골프공에 인접된 상태로 배치되어 발광부(610)의 빛을 수광하면서 스윙에 의해 골프채가 수광부(620) 앞을 지나면서 발광부(610)의 빛을 차단할 경우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수광부(620)의 감지신호가 인가될 경우 골프공의 타격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발광부(610)는 웨어러블넥밴드(100)에 설치되지 않고 골프공에 인접된 상태로 수광부(620)와 함께 설치되어 수광부(620)와의 사이에 골프공을 배치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광부(620)는 골프공이 타격에 의해 이동할 경우 발광부(610)이 빛을 수광하면서 감지신호를 제어부(300)로 인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어부(300)는 타격감지부재(600)에 의해 감지되는 골프공의 타격 전까지 수평계(500)의 수평도가 유지되지 않을 경우, 알람부(400)를 통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며, 타격감지부재(600)에 의해 골프공의 타격이 감지될 경우에는 타격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수평계(500)의 수평도가 유지되지 않을 경우에도 경고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10)에 의하면, 신체의 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넥밴드(100)에 여러 감지부재들이 구비되므로 한정된 연습장이나 실내 등과 같은 공간의 제약이 없이 스윙자세를 확인하고 교정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특히 스윙과정에서 목근육에 과도하게 힘이 들어가는 것과 스윙과정에서 헤드의 움직임이나 수평유지 여부를 알람부(400)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몸에 힘을 빼도록 유도하여 올바른 스윙자세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
100 : 웨어러블넥밴드
110 : 분할형밴드
120 : 일체형밴드
200 : 힘감지부
210 : 로드셀
220 : 압력센서
300 : 제어부
400 : 알람부
500 : 수평계
600 : 타격감지부재
610 : 발광부
620 : 수광부

Claims (6)

  1. 골프스윙을 연습할 때 신체에 착용되어 정자세를 가이드하는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신체의 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넥밴드;
    상기 웨어러블넥밴드에 구비되어 스윙과정에서 발생하는 목근육의 수축이나 이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공하면서 스윙시 목근육에 힘이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는 힘감지부;
    상기 웨어러블넥밴드에 내장되고, 상기 힘감지부에서 인가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스윙시 목에 과도한 힘이 들어가는 것을 도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웨어러블넥밴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알림신호를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넥밴드는,
    일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목에 착용되며, 일부분이 분할 형성되어 목근육에 들어가는 힘에 의해 분할부위의 길이가 팽창하는 분할형밴드를 포함하는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힘감지부는,
    상기 분할형밴드의 분할부위에 개재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분할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웨어러블넥밴드에 설치되어 상기 웨어러블넥밴드의 수평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수평계; 및
    상기 웨어러블넥밴드에 마련되어 골프공의 타격이 완료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타격감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감지부재 및 상기 수평계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골프공의 타격과정에서 웨어러블넥밴드의 수평이 유지되는 것을 도출하여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
KR1020190126217A 2019-10-11 2019-10-11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 KR102129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217A KR102129546B1 (ko) 2019-10-11 2019-10-11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217A KR102129546B1 (ko) 2019-10-11 2019-10-11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546B1 true KR102129546B1 (ko) 2020-07-08

Family

ID=7160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217A KR102129546B1 (ko) 2019-10-11 2019-10-11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5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440B1 (ko) 2021-10-13 2022-07-13 이승구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575791B1 (ko) 2023-04-12 2023-09-07 이승구 골프 스윙 연습채
KR102617496B1 (ko) 2023-04-12 2023-12-27 이승구 골프 스윙 연습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173A (ko) 2008-01-29 2009-08-03 김영애 골프 스윙자세 교정장치
KR20150131816A (ko) * 2014-05-16 201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173A (ko) 2008-01-29 2009-08-03 김영애 골프 스윙자세 교정장치
KR20150131816A (ko) * 2014-05-16 201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440B1 (ko) 2021-10-13 2022-07-13 이승구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575791B1 (ko) 2023-04-12 2023-09-07 이승구 골프 스윙 연습채
KR102617496B1 (ko) 2023-04-12 2023-12-27 이승구 골프 스윙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546B1 (ko) 골프스윙 연습용 가이드장치
US20110306435A1 (en) Golf swing action correcting unit, and a golf swing action correc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081469B1 (ko) 골프 스윙 동작 보정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동작보정 장치
US201002611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correct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motion correcting apparatus
US7766757B2 (en) Golf swing device
JPH03258273A (ja) ゴルフ練習器
JP5909514B2 (ja) バスケットボールショット判定システム
US201502025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scores made by a player
US10668355B2 (en) Signaling device and apparatus
US7648422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200901115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golf swing
US20060014589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golf club swing speed
US20040077438A1 (en) Racket orientation indicato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of operation
US10369447B2 (en) Golf training system
KR101765322B1 (ko) 자세 교정 장치
KR101646558B1 (ko)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KR101337757B1 (ko) 스윙 연습 골프채
US20170065868A1 (en) Control device, holder, sensor set,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2077972B1 (ko) 골프스윙 알림장치
KR100933306B1 (ko) 골프 스윙 교정기
KR20200138612A (ko)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1867165B1 (ko) 헤드업 자세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골프스윙 어드바어저
TW202030003A (zh) 可集成或是安置於高爾夫球桿上的感測指向裝置
KR102281323B1 (ko) 미러 스윙 타깃
KR100336415B1 (ko) 골프자세 교정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