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300B1 - 통신 시스템 및 뇌관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뇌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300B1
KR102129300B1 KR1020180172464A KR20180172464A KR102129300B1 KR 102129300 B1 KR102129300 B1 KR 102129300B1 KR 1020180172464 A KR1020180172464 A KR 1020180172464A KR 20180172464 A KR20180172464 A KR 20180172464A KR 102129300 B1 KR102129300 B1 KR 102129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ignal
charging
blasting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호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80172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300B1/ko
Priority to US16/627,486 priority patent/US11333475B2/en
Priority to PCT/KR2019/017766 priority patent/WO2020138798A1/ko
Priority to AU2019284132A priority patent/AU201928413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5Arrangements for electric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9/00Details of fuzes
    • F42C19/08Primers; Detonators
    • F42C19/12Primers; Detonators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2Bridge initiators
    • F42B3/121Initiators with incorporated integrated circuit
    • F42B3/122Programmable electronic delay init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5Arrangements for electric ignition
    • F42D1/05Electric circuits for bl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모선을 통해 서로 연결된 송신단 및 수신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단은, 상기 모선으로 인가되는 제1 전압을 이용하여 제1 신호를 상기 수신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모선으로 흐르는 기준 전류를 이용하여 제2 신호를 상기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모선을 통해 상기 제1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상기 제어 회로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전압의 피크 전압으로부터 기준 범위의 전압을 추출함으로써, 제2 전압을 생성하는 필터부; 및 상기 제2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추출하는 전압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뇌관 장치{COMMUNICATION SYSTEM AND DETONATOR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 및 뇌관 장치, 특히 수신단(즉, 뇌관 장치)으로 입력되는 기준 전압을 필터링함으로써,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뇌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공사를 위한 암반의 폭파, 폐건물 폭파 등의 공사에는 폭발물이 이용된다. 즉, 발파 대상물을 구간별로 구분하여 폭발물이 삽입되는 복수의 구멍들을 천공한다. 천공된 구멍들 각각에 폭발물을 삽입한 후 발파 시스템과 연결한다. 발파 시스템의 조작을 통해 폭발물을 폭파하여 발파 대상물을 폭파한다.
발파 시스템은 폭발물을 기폭시키는 기폭제인 뇌관과, 뇌관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 및 지령을 뇌관으로 전송하는 발파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발파 시스템의 뇌관으로는 주로 전자 뇌관이 사용된다. 전자 뇌관은 폭발물 측에 설치되며, 하나의 발파 장치에 복수의 전자 뇌관이 연결된다.
전자 뇌관은 발파 장치에서 지령이 전달되면 해당 발파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 뇌관이 동시에 작동하여 폭발물을 동시에 기폭시키는 구조와, 복수의 전자 뇌관이 서로 다른 지연시간으로 설정되어 복수의 전자 뇌관이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폭발물들은 순차적으로 기폭시키는 구조가 있다.
종래에는 복수의 폭발물을 동시에 기폭시키는 전자 뇌관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복수의 폭발물을 순차적으로 기폭시키는 전자 뇌관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16538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65878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65880호, 한국등록특허 제10-0733346호 및 일본공개특허 제2005-520115 등의 많은 문헌에서 전자 뇌관을 이용한 발파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신단으로 입력되는 기준 전압을 필터링함으로써,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뇌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모선을 통해 서로 연결된 송신단 및 수신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단은, 상기 모선으로 인가되는 제1 전압을 이용하여 제1 신호를 상기 수신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모선으로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제2 신호를 상기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모선을 통해 상기 제1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상기 제어 회로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전압의 피크 전압으로부터 기준 범위의 전압을 추출함으로써, 제2 전압을 생성하는 필터부; 및 상기 제2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추출하는 전압 측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토글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토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부는, 게이트 전극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1 전압에 따라,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서로 연결시키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압은, 상기 제1 전극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2 전극으로 출력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전압이 피크 전압 값을 갖는 기간 동안, 상기 제2 전압은 제1 전압 값을 갖고, 상기 제1 전압이 기저 전압 값을 갖는 기간 동안,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압 값과 상이한 제2 전압 값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 전압은, 상기 제1 전압 값을 갖고, 상기 제1 전압 값은, 상기 제2 전압 값보다 큰 값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전압 값 및 상기 제2 전압 값의 차이는, 상기 기준 범위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준 범위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제1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 및 상기 모선 사이에 배치되며, 충전 중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의 상기 충전부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충전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충전 스위치부로 상기 충전 중지 신호를 전송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관 장치는, 발파 장치로에 의해 제1 전압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신호를 모선을 통해 상기 발파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모선으로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제2 신호를 상기 발파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모선을 통해 상기 제1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상기 제어 회로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전압의 피크 전압으로부터 기준 범위의 전압을 추출함으로써, 제2 전압을 생성하는 필터부; 및 상기 제2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추출하는 전압 측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토글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토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부는, 게이트 전극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1 전압에 따라,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서로 연결시키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압은, 상기 제1 전극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2 전극으로 출력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전압이 피크 전압 값을 갖는 기간 동안, 상기 제2 전압은 제1 전압 값을 갖고, 상기 제1 전압이 기저 전압 값을 갖는 기간 동안,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압 값과 상이한 제2 전압 값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 전압은, 상기 제1 전압 값을 갖고, 상기 제1 전압 값은, 상기 제2 전압 값보다 큰 값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전압 값 및 상기 제2 전압 값의 차이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제1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 및 상기 모선 사이에 배치되며, 충전 중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의 상기 충전부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충전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충전 스위치부로 상기 충전 중지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기폭하는 기폭 회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지연 시간을 카운트하여 발파 신호 및 발파 전압을 상기 기폭 회로로 공급하고, 상기 기폭 회로는, 상기 발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파 전압을 점화옥으로 인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및 뇌관 장치는 수신단으로 입력되는 기준 전압을 필터링함으로써,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 효과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파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파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준 전압 및 제2 기준 전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폭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한다. 다만,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표현 여부에 불구하고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파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파 시스템(10)은 발파 장치(100), 뇌관 장치(200) 및 모선(300 및 400)을 포함할 수 있다.
발파 작업자는 발파 대상물(20)을 폭파하기 위하여, 발파 대상물(20)을 천공하고, 발파 구멍(30)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발파 작업자는 천공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발파 대상물(20)에 발파 구멍(30)들을 형성할 수 있다.
발파 작업자는 뇌관 장치(200)가 각각 부착된 폭발물(40)들을 복수의 발파 구멍(30)들에 삽입할 수 있다. 예컨대, 발파 작업자는 장입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뇌관 장치(200)가 부착된 폭발물(40)을 발파 구멍(30)에 삽입할 수 있다.
발파 장치(100) 및 뇌관 장치(200)는 모선(300 및 400)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발파 장치(100)는 모선(300 및 400)을 통해 다수의 뇌관 장치(200)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모선(300 및 400)는 주-모선(300) 및 부-모선(4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주-모선(300)은 발파 장치(100)에 직접 연결되는 배선이고, 부-모선(400)은 뇌관 장치(200)에 직접 연결되는 배선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주-모선(300) 및 부-모선(400)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발파 장치(100) 및 뇌관 장치(20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선(300 및 400)는 2선 유선 통신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발파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 장치(예컨대, 스마트 폰, 스캐너, 로거 등)를 이용하여, 뇌관 장치(200)를 스캔할 수 있다. 예컨대, 발파 작업자는 뇌관 장치(200)에 부착된 이미지 코드(QR 코드, 바코드 등)를 촬영하거나, 직접 로깅(logging) 함으로써, 뇌관 장치(200)를 스캔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 장치는 스캔된 뇌관 장치(200) 각각에 대한 뇌관 정보 및 초시 정보를 발파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발파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뇌관 장치(200) 각각에 대한 뇌관 정보 및 초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작업자는 발파를 개시하기 위하여, 발파 장치(100) 조작하여 제1 신호(예컨대, 제어 신호, 발파 명령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발파 장치(100)는 뇌관 장치(200)로 제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뇌관 장치(200)는 상술한 연결 관계에 기초하여, 모선(300 및 400)을 통해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신호는 각각의 뇌관 장치(200)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을 포함하는 발파 명령일 수 있다. 이때, 뇌관 장치(200)는 제1 신호에 포함된 기폭 초시의 카운트를 개시할 수 있다. 뇌관 장치(200)는 기설정된 지연 시간의 카운트가 완료되면 연결된 폭발물(40)을 기폭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파 장치(100)는 복수의 폭발물(40)을 기폭하여 발파 대상물(20)을 폭파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CST)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CST)은 송신단(100) 및 수신단(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CST)은 발파 시스템, 화제 경보 시스템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대표적으로 발파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통신 시스템(CST)을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파 시스템에 적용된 통신 시스템(CST)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한 범위에서 다른 실시예들(예컨대, 화제 경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시스템(CST)은 도 1에 도시된 발파 시스템(10)에서, 발파 장치(100) 및 뇌관 장치(200) 사이의 통신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송신단(100)은 도 1에 도시된 발파 장치(100)에 상응하는 구성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송신단(100)은 발파 장치(100)를 의미할 수 있다. 수신단(200)은 도 1에 도시된 뇌관 장치(200)에 상응하는 구성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수신단(200)은 뇌관 장치(200)를 의미할 수 있다.
송신단(100)은 전압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단(200)으로 전송할 수 있고, 수신단(200)은 전류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단(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단(100) 및 수신단(200)은 모선(300 및 400, 도 1 참조)을 통해 서로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송신단(100)은 모선(300 및 400)의 전압(즉,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단(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단(200)은 모선(300 및 400)의 전압을 측정함으로서, 송신단(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단(200)은 송신단(10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응답하여, 송신단(100)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수신단(200)은 모선(300 및 400)로 흐르는 전류(즉, 기준 전류)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단(100)은 모선(300 및 400)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수신단(2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 따라, 통신 시스템(CST)은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파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파 장치(100)는 발파 제어부(110), 전압 공급부(120) 및 전류 측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에서는 발파 장치(100)에 연결된 주-모선(300)이 하나의 배선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주-모선(300)은 복수의 배선들로 구현될 수 있다.
발파 제어부(110)는 발파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발파 제어부(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압 공급부(120)는 발파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압 공급부(120)는 주-모선(300)으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압 공급부(120)는 주-모선(300)으로 제1 기준 전압(RV1)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기준 전압(RV1)은 0V 이상 100V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1 기준 전압(RV1)은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전압 공급부(120)는 복수의 배선들로 구현된 주-모선(300)으로 제1 기준 전압(RV1) 및 접지 전압(예컨대, 0V)를 공급할 수 있다.
전압 공급부(120)는 주-모선(300)로 제1 기준 전압(RV1)을 이용해 뇌관 장치(200, 도 1 참조)로 전원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신호 및 데이터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전압 공급부(120)는 제1 기준 전압(RV1)을 이용하여 펄스 신호를 주-모선(300)로 공급하고, 뇌관 장치(200)는 주-모선(300)에 연결된 부-모선(400, 도 1 참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펄스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압 공급부(120)는 뇌관 장치(200)로 신호 및 데이터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전류 측정부(130)는 발파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류 측정부(130)는 주-모선(300)으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전류 측정부(130)는 주-모선(300)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뇌관 장치(200)로부터 신호 및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뇌관 장치는 주-모선(300) 및 부-모선(400)으로 공급되는 기준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고, 전류 측정부(130)는 기준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에서 발파 제어부(110), 전압 공급부(120) 및 전류 측정부(130)가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발파 제어부(110), 전압 공급부(120) 및 전류 측정부(130) 중 적어도 일부는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발파 장치(100)는 발파 장치(100)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battery),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display panel)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관 장치(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뇌관 장치(200)는 충전 회로(210), 제어 회로(220) 및 기폭 회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서는 뇌관 장치(200)에 연결된 부-모선(400)이 하나의 배선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부-모선(400)은 복수의 배선들로 구현될 수 있다.
충전 회로(210)는 발파 장치(100, 도 1 참조)로부터 부-모선(400)을 통해 제1 기준 전압(RV1)을 공급받을 수 있다.
충전 회로(210)는 제어 회로(220)로부터 충전 중지 신호(CS)를 수신할 있다. 충전 회로(210)는 충전 중지 신호(CS)에 따라, 제1 기준 전압(RV1)을 충전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회로(210)는 충전 중지 신호(CS)가 공급되는 동안, 제1 기준 전압(RV1)의 충전을 중지할 수 있다.
즉, 충전 회로(210)가 제1 기준 전압(RV1)을 충전할 때, 뇌관 장치(200) 내에 충전 동작에 따른 백그라운드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 전류는 제어 회로(220)가 제2 신호를 발파 장치로 전송할 때, 전류 변화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신호 분석의 정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회로(220)는 제2 신호를 발파 장치(100)로 전송하는 동안, 충전 중지 신호(CS)를 충전 회로(210)로 전송함으로써, 백그라운드 전류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220)는 전류 변화 폭을 향상시켜 신호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충전 회로(210)는 충전된 전압에 기초하여, 제어 회로(220)로 구동 전압(DV)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어 회로(220)는 구동 전압(DV)을 기초로 구동될 수 있다.
제어 회로(220)는 발파 장치(100)로부터 부-모선(400)을 통해 제1 기준 전압(RV1)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 회로(220)는 추가 배선을 통해 접지 전압(예컨대, 0V)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어 회로(220)는 발파 장치(100)로부터 모선(300 및 400)을 통해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신호는 발파 장치(100)에 의해 모선(300 및 400)로 인가되는 제1 기준 전압(RV1)을 이용한 펄스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제어 회로(220)는 제1 기준 전압(RV1)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회로(220)는 제1 기준 전압(RV1)의 피크 전압에서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을 추출함으로써, 제1 기준 전압(RV1)의 기저 전압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도 8에서 설명된다.
제어 회로(220)는 제1 신호에 응답하여, 발파 장치(100)로 모선(300 및 400)을 통해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신호는 기준 전류를 이용한 펄스 신호일 수 있다.
제어 회로(220)는 제2 신호를 발파 장치(100)로 전송하는 동안, 충전 중지 신호(CS)를 충전 회로(210)로 공급할 수 있다. 충전 회로(210)는 충전 중지 신호(CS)가 공급되는 동안, 제1 기준 전압(RV1)의 충전을 중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신호는 지연 시간을 포함하는 발파 명령일 수 있다. 이때, 제어 회로(220)는 제1 신호에 포함된 지연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제어 회로(220)는 지연 시간에 대한 카운트가 완료되면 발파 신호(BS)를 생성하고, 발파 신호(BS)를 기폭 회로(2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220)는 구동 전압(DV) 및 제1 기준 전압(RV1)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발파 전압(BV)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 회로(220)는 발파 전압(BV)을 기폭 회로(230)로 공급할 수 있다.
기폭 회로(230)는 발파 신호(BS)에 기초하여, 점화옥(234)으로 발파 전압(BV)을 공급할 수 있다. 점화옥(234)은 발파 전압(BV)이 공급되면 기폭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라 뇌관 장치(200)는 모선(300 및 400)을 통해 공급되는 전압으로부터 내부 회로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2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충전 회로(210)는 충전부(211) 및 충전 스위치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211)는 부-모선(400)을 통해 공급되는 제1 기준 전압(RV1)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부(211)는 충전된 제1 기준 전압(RV1)에 기초하여, 구동 전압(DV)을 제어 회로(220, 도 2 참조)로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부(211)는 제1 기준 전압(RV1)을 충전하기 위한 커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스위치부(212)는 모선(300 및 400)의 부-모선(400) 및 충전부(2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스위치부(212)는 충전 중지 신호(CS)에 따라 제1 기준 전압(RV1)의 충전부(211)로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스위치부(212)는 충전 중지 신호(CS)가 공급되는 동안, 턴-오프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충전 스위치부(212)는 P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회로(2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회로(220)는 필터부(221), 전압 측정부(222), 제어부(223) 및 제어 스위치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221)는 부-모선(400)으로 공급되는 제1 기준 전압(RV1)을 필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부(221)는 제1 기준 전압(RV1)의 피크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을 추출함으로써, 제1 기준 전압(RV1)의 기저 전압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방식에 따라 필터부(221)에 의해 필터링된 전압은 제2 기준 전압(RV2)로 정의된다. 즉, 필터부(221)는 제1 기준 전압(RV1)을 필터링함으로써, 제2 기준 전압(RV2)을 생성할 수 있다. 필터부(221)는 제2 기준 전압(RV2)을 전압 측정부(222)로 공급할 수 있다.
전압 측정부(222)는 제2 기준 전압(RV2)을 측정할 수 있다. 전압 측정부(222)는 전압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신호(SG1)를 추출할 수 있다. 전압 측정부(222)는 제1 신호(SG1)를 제어부(223)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23)는 제1 신호(SG1)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3)는 제1 신호(SG1)에 응답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토글 신호(TS)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3)는 토글 신호(TS)를 제어 스위치부(224)로 전송하여 제어 스위치부(22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기준 전류(RI)의 흐름은 제어 스위치부(224)의 동작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2 신호는 기준 전류(RI)를 이용한 펄스 신호를 의미할 수 있고, 제어부(223)는 토글 신호(TS)를 이용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류(RI)는 뇌관 장치(200)로부터 발파 장치(100)로 모선(300 및 400)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 스위치부(224)는 모선(300 및 400)의 부-모선(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 스위치부(224)는 부-모선(400) 및 필터부(22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부(224)는 토글 신호(TS)에 따라 기준 전류(RI)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스위치부(224)는 토글 신호(TS)가 공급되는 동안, 턴-오프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 스위치부(224)는 P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23)는, 제2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충전 회로(210, 도 3 참조)로 충전 중지 신호(CS)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3)는 충전 회로(210)로부터 구동 전압(DV)을 공급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신호는 지연 시간을 포함하는 발파 명령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3)는 제1 신호에 포함된 지연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제어부(223)는 지연 시간에 대한 카운트가 완료되면 발파 신호(BS)를 생성하고, 발파 신호(BS)를 기폭 회로(2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23)는 구동 전압(DV) 및 제1 기준 전압(RV1)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발파 전압(BV)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3)는 발파 전압(BV)을 기폭 회로(230, 도 3 참조)로 공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22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준 전압(RV1) 및 제2 기준 전압(RV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필터부(221)는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트랜지스터(TR)는 N-채널 또는 P-채널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트랜지스터(TR)가 N-채널 트랜지스터인 실시예가 대표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부(221)는 제1 기준 전압(RV1)을 필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부(221)는 제1 기준 전압(RV1)의 피크로부터 기준 범위(VGS)의 전압을 추출함으로써, 제1 기준 전압(RV1)의 기저 전압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준 범위(VGS)는 기 설정된 값으로서,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소스 전압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제1 기준 전압(RV1)은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으로 공급될 수 있다. 구동 전압(DV)은 트랜지스터(TR)의 제1 전극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기준 전압(RV2)은 트랜지스터(TR)의 제2 전극으로 출력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은 제1 기준 전압(RV1)에 따라,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은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준 전압(RV1)은 피크 전압에 대응하는 피크 전압 값(VP) 또는 기저 전압에 대응하는 기저 전압 값(VB)을 가질 수 있다. 제1 기준 전압(RV1)이 기저 전압 값(VB)을 갖는 동안, 제1 기준 전압(RV1)의 기저 전압에 노이즈 전압(NV)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기간(P1) 동안, 제1 기준 전압(RV1)은 피크 전압 값(VP)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으로 피크 전압 값(VP)의 제1 기준 전압(RV1)이 공급되면, 트랜지스터(TR)는 턴-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으로 공급되는 구동 전압(DV)에 대응하는 제2 기준 전압(RV2)이 제2 전극으로 출력되며, 제1 기간(P1) 동안, 제2 기준 전압(RV2)은 제1 전압 값(V1)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구동 전압(DV)은 제1 전압 값(V1)을 가질 수 있다.
제2 기간(P2) 동안, 제1 기준 전압(RV1)은 기저 전압 값(VB)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트랜지스터(TR1)의 게이트 전극으로 기저 전압 값(VB)의 제1 기준 전압(RV1)이 공급되면, 트랜지스터(TR)는 턴-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간(P2) 동안, 제2 기준 전압(RV2)은 제1 전압 값(V1)과 상이한 제2 전압 값(V2)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전압 값(V2)은 접지 전압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제1 전압 값(V1) 및 제2 전압 값(V2)의 차이는 기준 범위(VGS)에 대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필터부(221)는 제1 기준 전압(RV1)의 피크(peak)로부터 기준 범위(VGS)의 전압을 추출하고, 제1 기준 전압(RV1)의 기저 전압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221)는 추출된 제2 기준 전압(RV2)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관 장치(200)는 상술한 노이즈 전압(NV)을 필터링함으로써, 신호 분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필터부(221)는 트랜지스터(TR)의 제2 전극에 연결되며, 제2 기준 전압(RV2)을 입력 받아 전압을 증폭시키는 출력 버퍼(output buff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폭 회로(2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폭 회로(230)는 기폭 다이오드(231), 기폭 커패시터(232), 기폭 스위치(233) 및 점화옥(234)을 포함할 수 있다.
발파 전압(BV)은 기폭 다이오드(231)를 거쳐 기폭 커패시터(232)로 공급될 수 있다.
기폭 커패시터(232)는 발파 전압(BV)을 저장할 수 있다.
기폭 스위치(233)는 발파 신호(BS)를 수신할 수 있다. 기폭 스위치(233)는 발파 신호(BS)가 공급되는 동안 턴-온될 수 있다. 기폭 스위치(233)가 턴-온되면, 기폭 커패시터(232)에 저장된 발파 전압(BV)은 점화옥(234)으로 공급될 수 있다. 발파 신호(BS)는 지연 시간이 카운트 된 후에 기폭 스위치(233)로 공급되기 때문에, 점화옥(234)은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발파 전압(BV)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옥(234)은 고유의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점화옥(234)은 고유의 저항 값에 비례한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점화옥(234)은 전압이 인가될 때, 기폭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및 뇌관 장치는 수신단으로 입력되는 기준 전압을 필터링함으로써, 통신 및 신호 분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발파 시스템 20: 발파 대상물
30: 발파 구멍 40: 폭발물
100: 발파 장치 110: 발파 제어부
120: 전압 공급부 130: 전류 측정부
200: 뇌관 장치 210: 충전 회로
220: 제어 회로 230: 기폭 회로

Claims (17)

  1. 모선을 통해 서로 연결된 송신단 및 수신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모선으로 인가되는 제1 전압을 이용하여 제1 신호를 상기 수신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모선으로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제2 신호를 상기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모선을 통해 상기 제1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상기 제어 회로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전압의 피크 전압으로부터 기준 범위의 전압을 추출함으로써, 제2 전압을 생성하는 필터부; 및
    상기 제2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추출하는 전압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압이 피크 전압 값을 갖는 기간 동안, 상기 제2 전압은 제1 전압 값을 갖고,
    상기 제1 전압이 기저 전압 값을 갖는 기간 동안,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압 값과 상이한 제2 전압 값을 갖고,
    상기 구동 전압은, 상기 제1 전압 값을 갖고,
    상기 제1 전압 값은, 상기 제2 전압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토글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토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게이트 전극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1 전압에 따라,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서로 연결시키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압은, 상기 제1 전극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2 전극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값 및 상기 제2 전압 값의 차이는, 상기 기준 범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범위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제1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 및 상기 모선 사이에 배치되며, 충전 중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의 상기 충전부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충전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충전 스위치부로 상기 충전 중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발파 장치로에 의해 제1 전압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신호를 모선을 통해 상기 발파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모선으로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제2 신호를 상기 발파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모선을 통해 상기 제1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상기 제어 회로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전압의 피크 전압으로부터 기준 범위의 전압을 추출함으로써, 제2 전압을 생성하는 필터부; 및
    상기 제2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추출하는 전압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압이 피크 전압 값을 갖는 기간 동안, 상기 제2 전압은 제1 전압 값을 갖고,
    상기 제1 전압이 기저 전압 값을 갖는 기간 동안,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압 값과 상이한 제2 전압 값을 갖고,
    상기 구동 전압은, 상기 제1 전압 값을 갖고,
    상기 제1 전압 값은, 상기 제2 전압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토글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토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게이트 전극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1 전압에 따라,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서로 연결시키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압은, 상기 제1 전극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2 전극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값 및 상기 제2 전압 값의 차이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제1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 및 상기 모선 사이에 배치되며, 충전 중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의 상기 충전부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충전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충전 스위치부로 상기 충전 중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기폭하는 기폭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지연 시간을 카운트하여 발파 신호 및 발파 전압을 상기 기폭 회로로 공급하고,
    상기 기폭 회로는, 상기 발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파 전압을 점화옥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 장치.
KR1020180172464A 2018-12-28 2018-12-28 통신 시스템 및 뇌관 장치 KR102129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464A KR102129300B1 (ko) 2018-12-28 2018-12-28 통신 시스템 및 뇌관 장치
US16/627,486 US11333475B2 (en) 2018-12-28 2019-12-16 Communication system and detonator
PCT/KR2019/017766 WO2020138798A1 (ko) 2018-12-28 2019-12-16 통신 시스템 및 뇌관 장치
AU2019284132A AU2019284132B2 (en) 2018-12-28 2019-12-16 Communication system and deton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464A KR102129300B1 (ko) 2018-12-28 2018-12-28 통신 시스템 및 뇌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300B1 true KR102129300B1 (ko) 2020-07-02

Family

ID=7112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464A KR102129300B1 (ko) 2018-12-28 2018-12-28 통신 시스템 및 뇌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33475B2 (ko)
KR (1) KR102129300B1 (ko)
AU (1) AU2019284132B2 (ko)
WO (1) WO2020138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254B1 (ko) * 2018-12-28 2020-10-21 주식회사 한화 뇌관 장치, 뇌관 장치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시스템
CN111912309B (zh) * 2020-07-15 2021-07-20 东北大学 一种基于高压脉冲电爆炸的硬岩预损伤与破裂方法
CN114577076B (zh) * 2022-04-07 2023-09-01 北京宏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冲激引信噪声消除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796A (ko) * 2010-02-10 2011-08-18 원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전자식 지연 뇌관 장치 및 전자식 뇌관 발파 시스템
KR20130010655A (ko) * 2011-07-19 2013-01-29 메탈젠텍 주식회사 스터링 엔진의 실린더장치
KR101293801B1 (ko) * 2013-01-30 2013-08-06 주식회사 한화 전자 뇌관의 지연시간 제어 방법
KR20130129724A (ko) * 2012-05-21 2013-11-29 원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전자식 뇌관 발파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605337A (en) * 1962-02-03 1991-12-18 Telefunken Patents Verwertungs An electronic proximity fuze
GB9423313D0 (en) * 1994-11-18 1995-01-11 Explosive Dev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tonation means
KR100509273B1 (ko) * 2002-08-05 2005-08-23 류정하 전기 발파기의 지연 발파 제어 방법 및 장치
US7617775B2 (en) * 2003-07-15 2009-11-17 Special Devices, Inc. Multiple slave logging device
PE20110493A1 (es) * 2009-12-30 2011-07-22 Ind Minco S A C Sistema de retraso de alta precision
US9568294B2 (en) * 2013-03-08 2017-02-14 Ensign-Bickford Aerospace & Defense Company Signal encrypted digital detonator system
KR101339081B1 (ko) * 2013-09-02 2013-12-09 강대진 전기 발파기와 스파크 기폭기를 사용하는 비전기식 뇌관의 기폭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796A (ko) * 2010-02-10 2011-08-18 원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전자식 지연 뇌관 장치 및 전자식 뇌관 발파 시스템
KR20130010655A (ko) * 2011-07-19 2013-01-29 메탈젠텍 주식회사 스터링 엔진의 실린더장치
KR20130129724A (ko) * 2012-05-21 2013-11-29 원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전자식 뇌관 발파 시스템
KR101293801B1 (ko) * 2013-01-30 2013-08-06 주식회사 한화 전자 뇌관의 지연시간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284132A1 (en) 2020-07-16
US11333475B2 (en) 2022-05-17
US20210333076A1 (en) 2021-10-28
AU2019284132B2 (en) 2021-07-15
WO2020138798A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300B1 (ko) 통신 시스템 및 뇌관 장치
RU2009130046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кважинным трактором
KR101293801B1 (ko) 전자 뇌관의 지연시간 제어 방법
WO2011027991A2 (ko)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기준시간 설정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전자식 뇌관
CN104297777A (zh) 全自动地震勘探数字信号遥爆系统及其遥爆方法
EP3500818B1 (en) Electronic detonator-exploder system
CN112393653A (zh) 一种提高抗干扰性能的电子雷管爆破控制系统
KR102168254B1 (ko) 뇌관 장치, 뇌관 장치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시스템
DE102016116567A1 (de) Elektronischer Detonator
US20170310102A1 (en)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CA2393565A1 (en) Method for programming and triggering electronic detonators
KR101336424B1 (ko) 전자 뇌관의 기폭 회로
CN212300137U (zh) 一种电子雷管抗电磁干扰装置
CN106052495B (zh) 远程电子起爆器
AU2014356322A1 (en) Electronic detonator
AU2002212331B2 (en) Sensor for monitoring electronic detonation circuits
WO2017018826A2 (ko) 외부환경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된 전력공급회로
EP3660529A1 (en) Device for detecting the load state of driving power supply
CN112556521A (zh) 一种提高通信抗干扰性能的电子雷管
CN105182214A (zh) 基于1-wire通信的电子标签在位状态的检测电路及方法
CN205980968U (zh) 一种远程电子起爆器
CN104764924A (zh) 高压mosfet电流采样电路
KR101387371B1 (ko) 다채널 발파전원 출력장치를 이용한 노천발파공법
JP2014169832A (ja) 発破時刻検出装置
US9396144B2 (en)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