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245B1 - 센서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245B1
KR102129245B1 KR1020180078418A KR20180078418A KR102129245B1 KR 102129245 B1 KR102129245 B1 KR 102129245B1 KR 1020180078418 A KR1020180078418 A KR 1020180078418A KR 20180078418 A KR20180078418 A KR 20180078418A KR 102129245 B1 KR102129245 B1 KR 102129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usa
sensor
server
up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130A (ko
Inventor
오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칩스
Priority to KR102018007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2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센서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레거시(Legacy) 인터페이스와 비레거시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통합한 형태로서 다양한 센서와 연동 가능하며, 다양한 센서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서로 다른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고, 다양한 센서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없이도 외부 장치로부터 프로파일(Profile) 형태로 프로토콜을 읽어와서 내부 메모리로 로딩시켜서 다양한 센서 각각과 통신할 수 있는 센서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센서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Sensor Profile}
본 실시예는 원격에 위치한 센서의 프로토콜을 일괄적으로 업데이트 하도록 하는 센서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펌웨어(Firmware)는 롬(ROM: Read Only Memory)과 같은 저장소자에 기록되어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그램이다. 전세계에 널리 퍼져있는 건설장비, 토목장비, 선박 및 항공기 등과 같이 이동특성을 갖는 많은 장비들은 펌웨어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있다.
펌웨어의 불량으로 인해 장비들의 오동작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펌웨어의 업데이트가 요구되거나 장비들의 하드웨어가 업그레이드되는 과정에서도 펌웨어의 업데이트가 요구된다. 장비들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예컨대, 세계 각처에서 투입된 굴삭기나 휠로더나 콤보나 포트레인 등의 건설장비들은 대부분 교통과 글로벌 통신이 열악한 지역에 위치한다. 건설장비들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직접 현장에 가서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했다.
현장 업데이트가 어려운점을 고려하여 통신망을 이용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기술이 소개되고는 있으나 단순한 펌웨어 업데이트만을 소개하고 있을 뿐 업데이트에 대한 신뢰성이나 안정성을 보장하지는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센서가 네트워크와 연동하려고 하는 경우, 다양한 센서 종류에 맞게 환경설정을 해야한다. 다시 말해,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센서는 단순한 스위치 형태의 센서, 유선 센서, 무선 센서, 아날로그 센서, 디지털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존재한다.
동일한 센서라고 하더라도 모델명이 변경되면 네트워크와 연동하기 위해서는 센서와 관련된 프로그램,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등을 모두 변경해야 한다. 또한, 단순히 숫자화할 수 없는 센서(예컨대, LED 센서)등이 존재하며, 산업현장에서 센서와 관련된 설비를 임의로 변경하거나 설정(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을 변경할 수 없다. 전술한 센서의 정보 변경에 따라 네트워크의 환경 정보를 모두 변경하는 데에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센서와 관련된 정보인 통신, 프로토콜 등을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일종의 어댑터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레거시(Legacy) 인터페이스와 비레거시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통합한 형태로서 다양한 센서와 연동 가능하며, 다양한 센서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서로 다른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고, 다양한 센서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없이도 외부 장치로부터 프로파일(Profile) 형태로 프로토콜을 읽어와서 내부 메모리로 로딩시켜서 다양한 센서 각각과 통신할 수 있는 센서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주변 환경을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Sensor); 구비된 복수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각각과 연동하며,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Protocol)을 기반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USA(Universal Sensor Adaptor);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USA와 연동하며, 복수의 상기 USA 내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이 통신 가능 프로토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USA를 제어하는 호스트 서버(Host Server); 및 상기 센서에 대한 프로토콜을 프로파일(Profile) 형태로 상기 USA 및 상기 호스트 서버로 전송하는 로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센서에서 주변 환경을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 USA에서 구비된 복수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각각과 연동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USA에서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Protocol)을 기반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과정; 호스트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USA와 연동하며, 복수의 상기 USA 내에 저장된 복수의 상기 프로토콜이 통신 가능 프로토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호스트 서버에서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USA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레거시(Legacy) 인터페이스와 비레거시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통합한 형태로서 다양한 센서와 연동 가능하며, 다양한 센서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서로 다른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고, 다양한 센서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없이도 외부 장치로부터 프로파일(Profile) 형태로 프로토콜을 읽어와서 내부 메모리로 로딩시켜서 다양한 센서 각각과 통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USA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로컬 서버에서 기 등록된 프로토콜이 갱신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USA에서 새로운 센서가 접속하는 경우 프로토콜을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서버와 로컬 서버 간의 프로토콜 갱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서버와 로컬 서버 간의 새로운 센서가 접속하는 경우 프로토콜을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USA가 로컬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USA가 다른 USA와 연결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은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 USA(Universal Sensor Adaptor)(110-1,110-2,110-N), 로컬 서버(120), 네트워크(130), 호스트 서버(140)를 포함한다.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는 유무선으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각종 센서를 의미한다.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는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현장 상황을 센싱하는 제1 센서(101), 제2 센서(102), 제3 센서(103), 제4 센서(104), 제5 센서(105), 제6 센서(106)를 포함한다.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는 각종 현장 상황을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USA(110-1, 110-2, 110-N)로 전송한다.
복수의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는 주변 환경을 각각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USA(110-1, 110-2, 110-N)로 전송한다.
USA(110-1, 110-2, 110-N)는 범용 센서 어댑터로서,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와 네트워크(130)를 기반으로 연동성을 변환한다. USA(110-1, 110-2, 110-N)는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로부터 수신한 다양한 센싱 정보를 변환하여 동시에 외부로 전송 가능하다. USA(110-1, 110-2, 110-N)는 센서 정보를 일차적으로 가공하는데, 비정형 데이터(예컨대, 이미지)를 정형화(예컨대, 숫자화)한다.
USA(110-1, 110-2, 110-N)는 다양한 프로토콜에 대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플랫폼화한다. USA(110-1, 110-2, 110-N)는 센서 프로토콜을 네트워크(130)(예컨대, 인터넷) 상에서 자유롭게 갱신할 수 있다. 예컨대, USA(110-1, 110-2, 110-N)는 TCP/IP를 이용하여 하드웨어 플랫폼이 범용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면, TCP/IP와 유기적으로 연동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프로토콜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USA(110-1)는 다른 USA(110-2, 110-N)들과도 통신할 수 있다. 원격지에 있는 산업요원이 센서A, 센서B, 센서C의 순서를 바꾸거나 새로운 센서D를 추가하는 경우, 산업요원이 현장에 직접 방문하여 새로운 센서D에 대한 프로토콜을 등록해주고, 호스트 서버(140) 내의 센서D에 대한 프로토콜도 직접 업로드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USA(110-1, 110-2, 110-N), 호스트 서버(140)는 부팅시마다 로컬 서버(120)로부터 프로토콜을 읽어오기 때문에 센서D가 추가되더라도 프로토콜이 갱신된다.
USA(110-1, 110-2, 110-N) 또는 호스트 서버(140)는 별도의 프로토콜 서버로부터 각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센서 모델별로 프로토콜을 별도의 로컬 서버(120)로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노트북, PC)로 다운로드하여 USA(110-1, 110-2, 110-N)로 입력하거나 호스트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USA(110-1, 110-2, 110-N)는 장거리 무선 통신, 와이파이(Wi-Fi), 이더넷(유선), 시리얼 버스, 블루투스 중 선택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USA(110-1, 110-2, 110-N)는 다양한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와 연동하기 위한 디바이스 개념의 하나의 로컬 서버 플랫폼이다. USA(110-1, 110-2, 110-N)는 다양한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일종의 알고리즘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블럭을 포함한다.
USA(110-1, 110-2, 110-N)는 커뮤니케이션 핸들러, 메시지 생성부, 셀프 오거나이져(Self Organizer)를 포함한다. USA(110-1, 110-2, 110-N)는 커뮤니케이션 핸들러를 이용하여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USA(110-1, 110-2, 110-N)는 메시지 생성부를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메시지를 파싱하고 변환한다. USA(110-1, 110-2, 110-N)는 셀프 오거나이져를 이용하여 와이파이로 통신하다가 센호세기가 약해지면 블루투수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USA(110-1, 110-2, 110-N)는 다양한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USA(110-1, 110-2, 110-N)는 레거시(Legacy) 인터페이스와 비레거시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통합하여 내부적으로 각각의 서로 다른 프로토콜에 맞춰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어댑터를 의미한다.
USA(110-1, 110-2, 110-N)는 자동으로 프로토콜 테이블(212a)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한다. USA(110-1, 110-2, 110-N)는 프로토콜 테이블(212a)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지않고, 로컬 서버(120) 내에 저장된 프로파일(Profile)만으로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USA(110-1, 110-2, 110-N)는 다른 USA와 통신을 할 때, 복수의 USA 중 특정 USA의 프로파일이 변경되는 경우, 나머지 USA 장치들도 부팅을 해서 프로파일을 수신하도록 한다.
USA(110-1, 110-2, 110-N)는 구비된 복수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이용하여 복수의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 각각과 연동한다. USA(110-1, 110-2, 110-N)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Protocol)을 기반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USA(110-1, 110-2, 110-N)는 새로운 센서(107)가 접속하면, 새로운 센서(107)로부터 새로운 센서코드(예컨대, 센서코드 Xi)를 부여받는다. USA(110-1, 110-2, 110-N)는 프로토콜 테이블(212a) 내에 새로운 센서코드(예컨대, 센서코드 Xi)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USA(110-1, 110-2, 110-N)는 확인 결과, 새로운 센서코드(예컨대, 센서코드 Xi)가 미 등록된 경우, 호스트 서버(140)로 새로운 센서코드(예컨대, 센서코드 Xi)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USA(110-1, 110-2, 110-N)는 호스트 서버(140)로부터 프로토콜 응답 신호를 다운로드한다. USA(110-1, 110-2, 110-N)는 프로토콜 응답 신호로부터 새로운 센서코드(예컨대, 센서코드 Xi)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예컨대, 프로토콜 Yi)을 추출하여 프로토콜 테이블(212a) 내에 등록한다.
로컬 서버(120)는 각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저장한다. 로컬 서버(120)에 저장된 프로토콜이 하나의 문서 형태로 저장된다. 로컬 서버(120)는 임베디드 웹 서버(Embedded Web Server)를 의미한다.
로컬 서버(120)에는 각각의 USA(110-1, 110-2, 110-N)에서 사용되는 센서들의 프로토콜이 프로파일 형태로 등록된다. 로컬 서버(120)는 USA(110-1, 110-2, 110-N)에서 연동하는 각각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들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정보가 프로파일화되어 있다.
로컬 서버(120)는 각각의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와 USA(110-1, 110-2, 110-N)와 매칭되는 인터페이스를 조합해서 프로파일을 변경해 놓는다. 로컬 서버(120)는 USA(110-1, 110-2, 110-N) 간의 재부팅 경로를 미리 설정해 놓는다. 즉, 산업현장에서는 안정성을 위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경로가 설정된 리니어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로컬 서버(120)는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에 대한 프로토콜을 프로파일(Profile) 형태로 USA(110-1, 110-2, 110-N) 및 호스트 서버로 전송한다. 로컬 서버(120)는 센서 제조사 서버와 연동하여 기 저장된 프로토콜을 지속적으로 갱신한다.
로컬 서버(120)는 다양한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로컬 DB(122)를 포함한다. 로컬 DB(122)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한다. 로컬 DB(122)는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의미한다.
로컬 DB(122)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을 이용하여 구현되거나,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로컬 DB(122)는 프로토콜을 구분하기 위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진다.
네트워크(130)는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130)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5G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호스트 서버(14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호스트 서버(140)는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에 대응하는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의미한다.
호스트 서버(140)는 웹서버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장치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호스트 서버(140)는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로컬 서버(120) 및 USA(110-1, 110-2, 110-N)와 통신한다.
호스트 서버(140), USA(110-1, 110-2, 110-N) 각각에 센서에 대한 프로토콜을 저장한다. 호스트 서버(140)와 USA(110-1, 110-2, 110-N)는 로컬 서버(120)를 참조(통신하기 전에 로컬 서버(120)를 먼저 검토하는 것을 의미)한다. 호스트 서버(140)와 USA(110-1, 110-2, 110-N)는 로컬 서버(120)를 참조하여 새로운 프로토콜을 수신한다.
호스트 서버(140)에서 새로운 프로토콜을 먼저 확인한 경우, 다른 USA들에 저장된 프로토콜을 모두 새로운 프로토콜로 갱신한다. 호스트 서버(140)와 USA(110-1, 110-2, 110-N)는 통신을 하기 전에 로컬 서버(120)를 먼저 검토한다. 호스트 서버(140)와 USA(110-1, 110-2, 110-N)에도 프로토콜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새로운 프로토콜이 갱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호스트 서버(140)와 USA(110-1, 110-2, 110-N)는 로컬 서버(120)를 먼저 참조한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 설치된 센서를 교체할 때, 먼저 센서와 연동하는 설비의 전원을 오프한다. 이후, 해당 설비(예컨대, USA)는 부팅할 때마다 로컬 서버(120)를 참조한다. 프로토콜은 로컬 서버(120)에 지속적으로 갱신되며, 호스트 서버(140)는 USA(110-1, 110-2, 110-N)가 수백 개인 경우, 수백 개의 USA를 모두 제어할 필요없이 호스트 서버(140)에서 제어하면 모든 USA의 프로토콜이 한번에 변경할 수 있다.
호스트 서버(140) 또는 USA(110-1, 110-2, 110-N)가 로컬 서버(120)를 참조하면 시그널이 끊어지는 경우 없이, 프로토콜이 업데이트 과정에서 꼬일 경우가 없이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호스트 서버(140) 입장에서는 복수의 USA(110-1, 110-2, 110-N) 중 특정 USA(110-1, 110-2, 110-N)의 장치하고 특정 센서하고 통신하는 센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통신을 위해 로컬 서버(120)를 참조해야 한다. 호스트 서버(140)가 부팅할 때, 로컬 서버(120)를 읽어서 서버 메모리(314)로 읽어 온다.
호스트 서버(140)는 호스트 DB(142)에 프로토콜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만, 일차적으로 호스트 DB(142)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부팅시 먼저, 로컬 서버(120)로부터 읽어와서 서버 메모리(314) 상에 저장해 놓고, 저장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USA(110-1, 110-2, 110-N)와 통신한다.
일반적으로 서버는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플래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프로토콜을 바꿀 수 없다. 즉, 일반적인 서버에서는 프로토콜을 고정시켜서 사용한다. 일반적인 서버에서 프로토콜을 고정시켜서 통신하는 경우, 새로운 센서 또는 하드웨어가 연동성이 떨어지나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서버(140)는 프로토콜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없다.
호스트 서버(140)는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해서 UI를 이용해서 로컬 서버(120)로부터 프로토콜을 내부 메모리인 서버 메모리(314)에 업데이트한다.
호스트 서버(140)는 네트워크(130)를 기반으로 USA(110-1, 110-2, 110-N)와 연동한다. 호스트 서버(140)는 복수의 USA(110-1, 110-2, 110-N) 내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이 통신 가능 프로토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USA(110-1, 110-2, 110-N)를 제어한다.
호스트 서버(140)는 USA(110-1, 110-2, 110-N)로부터 프로토콜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호스트 DB(142)를 검색하여 새로운 센서코드(예컨대, 센서코드 Xi)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예컨대, 프로토콜 Yi)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호스트 서버(140)는 확인 결과, 새로운 센서코드(예컨대, 센서코드 Xi)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예컨대, 프로토콜 Yi)이 존재하는 경우, 호스트 DB(142)로부터 새로운 센서코드(예컨대, 센서코드 Xi)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예컨대, 프로토콜 Yi)을 서버 메모리(314)로 읽어와서 프로토콜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응답 신호로 USA(110-1, 110-2, 110-N)로 전송한다.
호스트 서버(140)는 새로운 센서코드(예컨대, 센서코드 Xi)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예컨대, 프로토콜 Yi)이 미존재하는 경우, 로컬 서버(120)로부터 새로운 센서코드(예컨대, 센서코드 Xi)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예컨대, 프로토콜 Yi)을 수신하여 서버 메모리(314)로 읽어온 후 프로토콜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응답 신호로 USA(110-1, 110-2, 110-N)로 전송한다.
호스트 서버(140)는 로컬 서버(120)로부터 프로토콜 갱신 신호를 수신하면, 프로토콜 갱신 신호를 기반으로 호스트 DB(142)에 기 등록된 프로토콜 중 갱신이 필요한 프로토콜을 갱신한 후 갱신 프로토콜로 구분한다.
호스트 서버(140)는 USA(110-1, 110-2, 110-N)와 통신하여 USA(110-1, 110-2, 110-N) 내에 저장된 프로토콜 중 갱신 필요 프로토콜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호스트 서버(140)는 확인 결과, 갱신 필요 프로토콜이 존재하는 경우, 갱신 프로토콜을 USA(110-1, 110-2, 110-N)로 전송하여, USA(110-1, 110-2, 110-N)의 프로토콜 테이블(212a)에 저장된 프로토콜이 갱신되도록 한다.
USA(110-1, 110-2, 110-N)와 호스트 서버(140)가 리부팅할 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로컬 서버(120)로부터 프로파일을 다시 읽어서 프로파일을 갱신한다.
호스트 서버(140)와 USA(110-1, 110-2, 110-N)는 부팅할 때, 프로파일이 갱신되었다고 인식하면, 로컬 서버(120)로부터 프로파일을 내부 메모리로 가져와서 통신 대상을 확인한 후 통신 대상과 통신한다.
호스트 서버(140)와 USA(110-1, 110-2, 110-N)는 로컬 서버(120)로부터 프로파일을 계속 복사해서 움직이면서 동일한 시간표(기준표)를 만든다. 호스트 서버(140)와 USA(110-1, 110-2, 110-N)는 로컬 서버(120)로부터 프로토콜을 참조 방식으로 업데이트 한다. 호스트 서버(140)와 USA(110-1, 110-2, 110-N)는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컨피그레이션(Configuration) 정보를 변경한다.
USA(110-1, 110-2, 110-N)와 호스트 서버(140)는 기 설정된 주기 또는 부팅할 때마다 내부에 저장된 프로토콜을 먼저 확인하지 않고 일차적으로 로컬 서버(120)로 접속한 후 로컬 서버(120)에 저장된 프로토콜을 읽어와서 내부 메모리로 로드시키는 형태로 매번 새롭게 프로토콜을 갱신한다.
USA(110-1, 110-2, 110-N)와 호스트 서버(140)는 로컬 서버(120)에 저장된 프로토콜을 프로파일 형태로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로 로드시키며, 내부 메모리로 로드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와 통신한다.
USA(110-1)가 다른 USA(110-2, 110-N)와 통신할 때, 복수의 USA(110-1, 110-2, 110-N) 중 어느 하나의 USA(예컨대, 110-2)에 저장된 프로토콜이 변경된 경우, 나머지 USA(110-1, 110-N)들이 기 설정된 주기 또는 부팅 시 로컬 서버(120)에 저장된 프로파일을 읽어와서 내부 메모리로 로드시키는 형태로 프로토콜을 갱신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USA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USA(110-1, 110-2, 110-N)는 센서 인터페이스부(202), 어댑터 제어부(211), 어댑터 메모리(212), 전력 제공 컨트롤러(213), 커넥터(221), 출력부(222),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204)를 포함한다. USA(110-1, 110-2, 110-N)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SA(110-1, 110-2, 110-N)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2에 도시된 USA(110-1, 110-2, 110-N)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USA(110-1, 110-2, 110-N)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데이터 버스(Data BUS)로 연결된다.
센서 인터페이스부(202)는 다양한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와 연동하기 위한 디지털 입력(216), 디지털 인터페이스(217), 아날로그 센서(218), 카메라 인터페이스(219)를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부(202)는 복수의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 각각과 연동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216,217,218,219)를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부(202)는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216,217,218,219) 중 특정 인터페이스로부터 특정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
어댑터 제어부(211)는 USA(110-1, 110-2, 110-N)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USA(110-1, 110-2, 110-N)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어댑터 제어부(211)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어댑터 제어부(211)는 프로토콜 테이블(212a) 중 특정 센싱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정 프로토콜을 추출한다. 어댑터 제어부(211)는 특정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특정 센싱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변환한다.
어댑터 제어부(211)는 어댑터 메모리(212)에 기억된 복수종류의 센서프로토콜 중에서 센서 인터페이스(202)에 접속된 센서에 대응하는 센서프로토콜을 선택하고, 선택한 센서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접속된 센서와 통신한다.
어댑터 제어부(211)는 접속된 센서에서 취득한 센서신호를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204)를 사이에 두고 로컬 네트워크로 출력한다.
어댑터 제어부(211)는 어댑터 메모리(212)에 기억된 복수종류의 센서프로토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경신 센서프로토콜을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204)를 사이에 두고 로컬 네트워크에서 취득하여 메모리 기억내용을 갱신 센서프로토콜로 갱신한다.
어댑터 제어부(211)는 새로운 센서에 대응하는 새로운 센서프로토콜을 로컬 네트워크에서 통신인터페이스를 사이에 두고 취득하여 새로운 센서프로토콜을 어댑터 메모리(212)에 등록한다.
어댑터 제어부(211)는 센서프로토콜 갱신 처리 시 갱신 센서프로토콜을 로컬 네트워크 상에서 탐색하여 로컬 네트워크 상에 갱신 센서프로토콜이 존재하는 경우, 로컬 네트워크에서 갱신 센서프로토콜을 취득한다.
어댑터 제어부(211)는 부팅시 센서프로토콜 갱신 처리 실행한다. 어댑터 제어부(211)는 설정된 갱신 스케줄에 따라 센서프로토콜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
어댑터 제어부(211)는 새로운 센서를 특정하는 센서코드가 설정된 경우에 새로운 센서프로토콜을 어댑터 메모리(212)에 등록하여 센서코드에 관련된 센서프로토콜을 로컬 네트워크 상에서 탐색하여, 탐색으로 얻어진 센서코드를 새로운 센서프로토콜로 로컬 네트워크에서 취득한다.
어댑터 메모리(212)는 USA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서, 프로토콜 테이블(212a)을 저장한다. 어댑터 메모리(212)는 복수의 센서(101, 102, 103, 104, 105, 106) 각각과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토콜을 프로토콜 테이블(212a)형태로 저장한다.
전력 제공 컨트롤러(213)는 USA(110-1, 110-2, 110-N)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력 제공 컨트롤러(213)는 센서 인터페이스부(202), 어댑터 메모리(212), 어댑터 제어부(211) 및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부(204)로 전력을 공급한다.
커넥터(221)는 다른 USA와 연결되며, 다른 USA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출력부(222)는 다른 USA로 데이터를 출력한다.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204)는 유선부(214), 무선부(215)를 포함한다.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부(204)는 어댑터 제어부(211)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로 센싱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로컬 서버에서 기 등록된 프로토콜이 갱신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서버(120)의 로컬 DB(122)에 등록된 프로토콜이 갱신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로컬 서버(120)가 로컬 DB(122)에 등록된 프로토콜이 갱신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① 로컬 서버(120)는 외부로부터 프로토콜 갱신 신호를 수신한다. 로컬 서버(120)는 프로토콜 갱신 신호를 기반으로 로컬 DB(122)에 기 등록된 프로토콜 중 갱신이 필요한 프로토콜을 갱신한다. 로컬 서버(120)는 기 등록된 프로토콜 중 갱신된 프로토콜을 갱신 프로토콜로 구분한다.
② 로컬 서버(120)의 로컬 제어부(312)는 USA(110-1, 110-2, 110-N)의 어댑터 제어부(211)와 통신하여 갱신 필요 프로토콜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③ USA(110-1, 110-2, 110-N) 내의 어댑터 메모리(212)에 갱신 필요 프로토콜이 존재하는 경우, 로컬 서버(120)의 로컬 제어부(312)는 갱신 프로토콜을 USA(110-1, 110-2, 110-N)로 전송한다.
④ USA(110-1, 110-2, 110-N)의 어댑터 제어부(211)는 로컬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갱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기 저장된 프로토콜을 갱신한다.
USA(110-1, 110-2, 110-N)는 서로 다른 복수의 센서 노드 간 자유로운 통신을 수행한다. USA(110-1, 110-2, 110-N)는 프로토콜 테이블(212a)에 통신을 수행하는 각 센서 노드의 프로토콜을 저장하고 갱신하는 구조를 갖는다.
각 센서 노드는 매 부팅 시 USA(110-1, 110-2, 110-N)와 통신하여 USA(110-1, 110-2, 110-N) 내의 프로토콜 테이블(212a)을 참조한다. 대부분의 통신 프로토콜은 각 센서 노드에 저장된 채로 가변되지 않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는 매 부팅 시(및 일정 시간 간격마다) 로컬 서버(120) 내의 로컬 DB(122)을 프로토콜 테이블(212a)로 불러온 후 참조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USA(110-1, 110-2, 110-N)는 로컬 서버(120)로부터 갱신 센서프로토콜과 새로운 센서프로토콜의 적어도 한쪽을 취득한다. 로컬 서버(120)는 USA(110-1, 110-2, 110-N)와 공통의 로컬 네트워크 상에 설정되어 복수종류의 센서프로토콜이 등록된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122)를 갖는다.
USA(110-1, 110-2, 110-N)는 부팅시 로컬 DB(122)를 참조하여 로컬 DB(122)에 갱신 센서프로토콜이 존재하는 경우, 로컬 서버(140)에서 갱신 센서프로토콜을 취득한다.
USA(110-1, 110-2, 110-N)는 설정된 갱신스케줄에 따라 로컬 DB(122)를 참조하여 로컬 DB(122)에 갱신 센서프로토콜이 존재하는 경우, 로컬 서버(120)에서 갱신 센서프로토콜을 취득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USA에서 새로운 센서가 접속하는 경우 프로토콜을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A(110-1, 110-2, 110-N)는 새로운 센서(107)가 접속하는 경우, 로컬 서버(120)로부터 새로운 센서(107)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다운로드한다.
USA(110-1, 110-2, 110-N)가 로컬 서버(120)로부터 프로토콜을 다운로드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① USA(110-1, 110-2, 110-N)는 새로운 센서(107)가 접속하면, 새로운 센서(107)로부터 ‘센서코드 Xi’를 부여받는다.
② USA(110-1, 110-2, 110-N) 내의 어댑터 제어부(211)는 어댑터 메모리(212)의 프로토콜 테이블(212a)(센서코드,프로토콜)을 검색하여 ‘센서코드 Xi’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③ 프로토콜 테이블(212a) 내에 ‘센서코드 Xi’가 테이블에 기 등록되어 있지않은 경우, USA(110-1, 110-2, 110-N) 내의 어댑터 제어부(211)는 로컬 서버(120)로 ‘센서코드 Xi’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④ 로컬 서버(120) 내의 로컬 제어부(312)는 호스트 DB(142)를 검색하여 ‘센서코드 Xi’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Yi’를 읽어온다. 로컬 서버(120) 내의 로컬 제어부(312)는 ‘프로토콜 Yi’를 프로토콜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응답 신호로서 USA(110-1, 110-2, 110-N)로 전송한다.
⑤ USA(110-1, 110-2, 110-N) 내의 어댑터 제어부(211)는 로컬 서버(120)로부터 ‘프로토콜 Yi’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응답 신호를 다운로드 한다. 다시 말해, USA(110-1, 110-2, 110-N) 내의 어댑터 제어부(211)는 로컬 서버(120) 내의 로컬 DB(122)로부터 추출한 ‘프로토콜 Yi’를 다운로드 하여, 어댑터 메모리(212) 내의 프로토콜 테이블(212a)에 등록한다.
USA(110-1, 110-2, 110-N)는 로컬 서버(120)로부터 갱신 센서프로토콜과 새로운 센서프로토콜의 적어도 한쪽을 취득한다. 로컬 서버(140)는 USA(110-1, 110-2, 110-N)와 공통의 로컬 네트워크 상에 설정되어 복수종류의 센서프로토콜이 등록된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122)를 갖는다.
USA(110-1, 110-2, 110-N)는 새로운 센서를 특정하는 센서코드가 설정된 경우에 로컬 DB(122)를 참조하여 센서코드에 관련된 센서프로토콜을 새로운 센서프로토콜로 로컬 서버(120)에서 취득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서버와 로컬 서버 간의 프로토콜 갱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서버(140)와 로컬 서버(120)간에 등록된 프로토콜이 갱신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호스트 서버(140)가 호스트 DB(142)에 등록된 프로토콜이 갱신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① 호스트 서버(140)는 외부로부터 프로토콜 갱신 신호를 수신한다. 호스트 서버(140)는 프로토콜 갱신 신호를 기반으로 호스트 DB(142)에 기 등록된 프로토콜 중 갱신이 필요한 프로토콜을 갱신한다. 호스트 서버(140)는 기 등록된 프로토콜 중 갱신된 프로토콜을 갱신 프로토콜로 구분한다.
② 호스트 서버(140)의 호스트 제어부(512)는 로컬 서버(120)의 로컬 제어부(312)와 통신하여 갱신 필요 프로토콜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③ 로컬 서버(120) 내의 로컬 메모리(314)에 갱신 필요 프로토콜이 존재하는 경우, 호스트 서버(140)의 호스트 제어부(512)는 갱신 프로토콜을 로컬 서버(120)로 전송한다.
④ 로컬 서버(120)의 로컬 제어부(312)는 호스트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갱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기 저장된 프로토콜을 갱신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서버와 로컬 서버 간의 새로운 센서가 접속하는 경우 프로토콜을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서버(120)는 새로운 센서(107)가 접속하는 경우, 호스트 서버(140)로부터 새로운 센서(107)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다운로드한다.
로컬 서버(120)가 호스트 서버(140)로부터 프로토콜을 다운로드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① 로컬 서버(120)는 새로운 센서(107)가 접속하면, 새로운 센서(107)로부터 ‘센서코드 Xi’를 부여받는다.
② 로컬 서버(120) 내의 로컬 제어부(312)는 로컬 메모리(314)의 로컬 DB(122)(센서코드,프로토콜)을 검색하여 ‘센서코드 Xi’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③ 로컬 DB(122) 내에 ‘센서코드 Xi’가 테이블에 기 등록되어 있지않은 경우, 로컬 서버(120) 내의 로컬 제어부(312)는 호스트 서버(140)로 ‘센서코드 Xi’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④ 호스트 서버(140) 내의 호스트 제어부(512)는 호스트 DB(142)를 검색하여 ‘센서코드 Xi’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Yi’를 읽어온다. 호스트 서버(140) 내의 호스트 제어부(512)는 ‘프로토콜 Yi’를 프로토콜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응답 신호로서 로컬 서버(120)로 전송한다.
⑤ 로컬 서버(120) 내의 로컬 제어부(312)는 호스트 서버(140)로부터 ‘프로토콜 Yi’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응답 신호를 다운로드 한다. 다시 말해, 로컬 서버(120) 내의 로컬 제어부(312)는 호스트 서버(140) 내의 호스트 DB(142)로부터 추출한 ‘프로토콜 Yi’를 다운로드 하여, 로컬 메모리(314) 내의 로컬 DB(122)에 등록한다.
호스트 서버(140)는 네트워크(130)에서 설정되어 복수종류의 센서프로토콜이 등록된 호스트 DB(142)를 포함한다.
로컬 서버(140)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호스트 DB(142)를 참조하여 호스트 DB(142)에 갱신 센서프로토콜이 존재하는 경우, 호스트 서버(140)에서 갱신 센서프로토콜을 취득한다.
호스트 DB(142)는  인터넷상에 설정되어 복수종류의 센서프로토콜을 저장한다.
로컬 서버(140)는 로컬 DB(122)에 등록되어있지 않은 센서프로토콜을 호스트 서버(140)에서 취득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USA가 로컬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A(110A)는 로컬 서버(12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거나 로컬 DB(122)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로컬 DB(122)를 포함하는 USA(110A)는 서로 다른 복수의 USA(110-1, 110-2)와 자유로운 통신을 수행한다. USA(110A)는 로컬 DB(122)에 통신을 수행하는 각 센서 노드의 프로토콜을 저장하고 갱신하는 구조를 갖는다.
복수의 USA(110-1, 110-2, 110-N)가 로컬네트워크 상에 설정되어 복수의 USA(110-1, 110-2, 110-N) 중 적어도 하나의 USA(110A)가 로컬 서버(140)로 동작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복수의 USA(110-1, 110-2)는 매 부팅 시 USA(110A)와 통신하여 USA(110A) 내의 로컬 DB(122)를 참조한다. 서로 다른 복수의 USA(110-1, 110-2)는 매 부팅 시(및 일정 시간 간격마다) 로컬 서버(120) 내의 로컬 DB(122)을 내부의 프로토콜 테이블(212a)로 불러온 후 참조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USA(110A)와 서로 다른 복수의 USA(110-1, 110-2) 동일한 산업현장 내의 LAN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USA가 다른 USA와 연결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로컬 DB(122)를 포함하는 로컬 서버(120)와 복수의 USA(110-1, 110-2) 동일한 산업현장 내의 LAN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USA(110-1, 110-2) 중 어느 하나의 USA(110-2)는 하위 개념의 USA(110B)와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USA(110-1, 110-2) 중 어느 하나의 USA(110-2)는 하위 개념의 USA(110B)는 자유로운 통신을 수행한다.
USA(110-1, 110-2, 110-N)는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204)를 다른 센서 아답터의 센서 인터페이스(202)에 접속 가능하다.
하위 개념의 USA(110B)는 역시 범용 센서 어댑터로서, 센서(101, 102, 103, 104) 연동한다. USA(110B)는 센서(101, 102, 103, 104)로부터 수신한 다양한 센싱 정보를 변환하여 동시에 USA(110-2)로 전송 가능하다. USA(110B)는 센서 정보를 일차적으로 가공하는데, 비정형 데이터를 정형화한다.
USA(110B)는 역시 매 부팅 시(및 일정 시간 간격마다) 로컬 서버(120) 내의 로컬 DB(122)을 내부의 프로토콜 테이블(212a)로 불러온 후 참조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102,103,104,105,106: 센서
110-1, 110-2, 110-N: USA
120: 로컬 서버 130: 네트워크
140: 호스트 서버 142: 호스트 DB
202: 센서 인터페이스
204: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
211: 어댑터 제어부 212: 어댑터 메모리
212a: 프로토콜 테이블
213: 전력 제공 컨트롤러 221: 커넥터
222: 출력부
312: 로컬 제어부 314: 로컬 메모리
512: 호스트 제어부 514: 호스트 메모리

Claims (14)

  1. 주변 환경을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Sensor);
    구비된 복수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각각과 연동하며,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Protocol)을 기반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USA(Universal Sensor Adaptor);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USA와 연동하며, 복수의 상기 USA 내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이 통신 가능 프로토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USA를 제어하는 호스트 서버(Host Server); 및
    상기 센서에 대한 프로토콜을 프로파일(Profile) 형태로 상기 USA 및 상기 호스트 서버로 전송하는 로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USA는,
    복수의 상기 센서 각각과 연동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중 특정 인터페이스로부터 특정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
    복수의 상기 센서 각각과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토콜을 프로토콜 테이블(Protocol Table) 형태로 저장하는 어댑터 메모리;
    상기 프로토콜 테이블 중 상기 특정 센싱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정 프로토콜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센싱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변환하는 어댑터 제어부; 및
    상기 어댑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로 상기 센싱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SA와 상기 호스트 서버는,
    기 설정된 주기 또는 부팅할 때마다 내부에 저장된 프로토콜을 먼저 확인하지 않고 일차적으로 상기 로컬 서버로 접속한 후 상기 로컬 서버에 저장된 프로토콜을 읽어와서 내부 메모리로 로드시키는 형태로 매번 새롭게 프로토콜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USA와 상기 호스트 서버는,
    상기 로컬 서버에 저장된 프로토콜을 프로파일 형태로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로 로드시키며, 상기 내부 메모리로 로드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센서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SA가 다른 USA와 통신할 때, 복수의 USA 중 어느 하나의 USA에 저장된 프로토콜이 변경된 경우, 나머지 USA들이 기 설정된 주기 또는 부팅 시 상기 로컬 서버에 저장된 프로파일을 읽어와서 내부 메모리로 로드시키는 형태로 프로토콜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SA는,
    다른 USA와 연결되며, 상기 다른 USA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커넥터;
    상기 다른 USA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부, 상기 어댑터 메모리, 상기 어댑터 제어부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제공 컨트롤러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SA는,
    새로운 센서가 접속하면, 상기 새로운 센서로부터 새로운 센서코드를 부여받고, 상기 프로토콜 테이블 내에 상기 새로운 센서코드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새로운 센서코드가 미 등록된 경우, 상기 호스트 서버로 상기 새로운 센서코드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서버는,
    상기 USA로부터 프로토콜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호스트 DB를 검색하여 상기 새로운 센서코드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새로운 센서코드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호스트 DB로부터 상기 새로운 센서코드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서버 메모리로 읽어와서 상기 프로토콜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응답 신호로 상기 USA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서버는,
    상기 새로운 센서코드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 미존재하는 경우,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상기 새로운 센서코드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수신하여 서버 메모리로 읽어온 후 상기 프로토콜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프로토콜 응답 신호로 상기 USA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SA는,
    상기 호스트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토콜 응답 신호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프로토콜 응답 신호로부터 상기 새로운 센서코드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추출하여 프로토콜 테이블 내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서버는,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프로토콜 갱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프로토콜 갱신 신호를 기반으로 호스트 DB에 기 등록된 프로토콜 중 갱신이 필요한 프로토콜을 갱신한 후 갱신 프로토콜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서버는,
    상기 USA와 통신하여 상기 USA 내에 저장된 프로토콜 중 갱신 필요 프로토콜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갱신 필요 프로토콜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갱신 프로토콜을 상기 USA로 전송하여, 상기 USA의 프로토콜 테이블에 저장된 프로토콜이 갱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센서 제조사 서버와 연동하여 기 저장된 프로토콜을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
  14. 복수의 센서에서 주변 환경을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
    USA에서 구비된 복수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각각과 연동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USA에서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Protocol)을 기반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과정;
    호스트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USA와 연동하며, 복수의 상기 USA 내에 저장된 복수의 상기 프로토콜이 통신 가능 프로토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호스트 서버에서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USA를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 중 특정 인터페이스로부터 특정 센싱 테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과정은,
    복수의 상기 센서 각각과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토콜을 프로토콜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어댑터 메모리로부터 상기 프로토콜 테이블 중 상기 특정 센싱 테이터에 대응하는 특정 프로토콜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센싱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센싱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하는 방법.
KR1020180078418A 2018-07-05 2018-07-05 센서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129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418A KR102129245B1 (ko) 2018-07-05 2018-07-05 센서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418A KR102129245B1 (ko) 2018-07-05 2018-07-05 센서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130A KR20200005130A (ko) 2020-01-15
KR102129245B1 true KR102129245B1 (ko) 2020-07-02

Family

ID=6915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418A KR102129245B1 (ko) 2018-07-05 2018-07-05 센서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124B1 (ko) * 2020-06-12 2021-02-26 주식회사 인터엠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 시스템 내의 이기종 디바이스 간의 프로토콜 변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3354A (ja) * 1999-10-25 2003-04-0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Ce装置用ファームウエアのダウンロー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458B1 (ko) * 2001-05-14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가능한 가전기기의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방법
KR100929797B1 (ko) * 2007-12-21 2009-12-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센서네트워크상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방법
KR101019822B1 (ko) * 2008-12-04 2011-03-0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KR20170124187A (ko) * 2016-05-02 2017-11-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3354A (ja) * 1999-10-25 2003-04-0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Ce装置用ファームウエアのダウンロ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130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306262U (zh) 具有自我描述的现场设备
CN204631568U (zh) 控制过程条件的控制系统和配置控制系统现场设备的系统
CN105704234A (zh) 智能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US9202439B2 (en) Display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and HMI system
CN102662697B (zh) 一种软件升级方法及装置
CN110365510A (zh) 一种可对网络节点批量ota升级的物联网网关及ota升级方法
CN101919290A (zh) 无线和有线网络设计的方法和配置适配器
CN105389249B (zh) 异常日志生成配置方法及异常日志生成配置装置
CN103942061A (zh) 电池固件更新方法、便携式电子装置及充电电池模块
CN103324501A (zh) 无线传感器网络节点软件高效远程更新方法
CN105635108A (zh) 具有应用包分类器的防火墙
US99163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processing static test data of rail transit vehicle
KR102351620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지능형 설비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932952B (zh) 一种智能家居产品的控制系统、控制方法及升级方法
CN102752396B (zh) 嵌入式传感服务器及其数据控制方法
CN105487877A (zh) 一种版本更新方法、系统及基站
KR102129245B1 (ko) 센서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5622986A (zh) 传感器通讯协议解析方法、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2033517A (zh) 一种环境监控单元的软件升级方法及设备
US10868880B2 (en) Control system with persistent and transient data stores for registration, production and status data for networked devices
KR102159875B1 (ko) 통합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
TWI740159B (zh) 機器的控制方法、控制裝置及系統
CN114019821A (zh) 智能家居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8076094B (zh) 字典协议终端设备
KR101893592B1 (ko)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