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187A -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 Google Patents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187A
KR20170124187A KR1020160053761A KR20160053761A KR20170124187A KR 20170124187 A KR20170124187 A KR 20170124187A KR 1020160053761 A KR1020160053761 A KR 1020160053761A KR 20160053761 A KR20160053761 A KR 20160053761A KR 20170124187 A KR20170124187 A KR 20170124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iot
communication
data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주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4187A/ko
Publication of KR20170124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1Inter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or service data unit [SDU] definitions; Interfaces between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oT 장치 간에 통신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일치시킬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장치들 사이에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은 통신 서비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서비스부는 사용자에게 다수의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계층, 상기 응용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에 루트 정보를 제공하여, 프로토콜 계층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해당 프로토콜을 통해 파싱된 데이터를 응용 계층으로 전달하는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 및 상기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데이터에 통신 매체 정보를 제공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판단하여 상기 프로토콜 계층으로 루트 정보를 알려주는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은 여러 프로토콜을 하나의 플랫폼에 탑재하여 개발자가 플랫폼에 탑재된 프로토콜들을 API 형태로 가져다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oT 장치 간에 통신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일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IOT PLATFORM HAVING A FUNTION AUTOMATICALLY COMPATIBLE WITH THE COMMUNICATION PROTOCOL}
본 발명은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oT 장치 간에 통신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일치시킬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 사물 인터넷)은 모든 사물(things)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반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IoT는 유비쿼터스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인프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공간은 특정 기능이 내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환경과 사물에 심어져 환경이나 사물 그 자체가 지능화되는 것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IoT서비스는 우리에게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기술이다.
한편, IoT 기반의 장치들은 다양한 통신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사용한다. 따라서,IoT 기반의 장치들 간에 통신 프로토콜이 호환 되지 않는 경우,IoT 기반의 장치 간에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이 불가능 하다.
이렇게 IoT 기반의 장치들은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로 인해 장치 IoT 기반의간에 또는 IoT 기반의장치와 클라이언트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프로토콜 변환기를 두거나 개발자가 해당 장치들간에 프로토콜이 일치하도록 개발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IoT 플랫폼에 비해 여러 프로토콜을 하나의 플랫폼에 탑재하여 개발자가 플랫폼에 탑재된 프로토콜들을 API 형태로 가져다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IoT 플랫폼에 비해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oT 장치 간에 통신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일치시킬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IoT 장치들 사이에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은 통신 서비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서비스부는 사용자에게 다수의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계층, 상기 응용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에 루트 정보를 제공하여, 프로토콜 계층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해당 프로토콜을 통해 파싱된 데이터를 응용 계층으로 전달하는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 및 상기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데이터에 통신 매체 정보를 제공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판단하여 상기 프로토콜 계층으로 루트 정보를 알려주는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서비스부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에는 사용자 설정 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설정 파일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설정 파일은 상기 루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루트 정보는 상기 응용 계층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해당 프로토콜 스택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토콜 스택정보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oT 장치 간에 또는 IoT 장치와 클라이언트 간에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규약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해당 프로토콜 스택정보는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프로토콜 스택이 없는 경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해당 프로토콜 스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매체 정보는 외부 IoT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전송 매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토콜 계층은 상기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와 상기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루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토콜 계층은 해당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공통형식을 가지는 각각의 프로토콜 프레임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토콜 계층은 미리 만들어진 공통형식에 프로토콜의 정보만 제공하면, 데이터를 해당 프로토콜 스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oT 장치는 SCADA 시스템에 연결된 전력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은 종래 IoT 플랫폼에 비해 여러 프로토콜을 하나의 플랫폼에 탑재하여 개발자가 플랫폼에 탑재된 프로토콜들을 API 형태로 가져다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은 종래 IoT 플랫폼에 비해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oT 장치 간에 통신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일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부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부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네트워크 시스템은 개발자 컴퓨터(100), IoT 장치(200), IoT 플랫폼(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한다.
개발자 컴퓨터(100)는 일반적으로 IP 기반의 인터넷 통신을 사용하여 IoT 플랫폼(3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IoT 플랫폼(300)의 인터페이스부(320)는 인터넷 통신을 위해 TCP/IP 등과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IoT 장치(200)는IoT가 적용된 일반적인 사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종 센서, 제어 장치, 휴대폰, 냉장고, 청소기, 세탁기, 자동 판매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 장치(200)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또는 전력 관리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oT 장치(200)는 각종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및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 장치(200)는 IoT 플랫폼(300)을 통해 통신 프로토콜에 상관없이 다른 IoT 장치들과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oT 플랫폼(300)은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oT 장치(200) 간에 또는 IoT 장치와 클라이언트 간에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oT 플랫폼(300)은 내부의 통신 서비스부(360)를 통해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oT 장치(200) 간에 또는 IoT 장치와 클라이언트 간에 통신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호환할 수 있다.
또한, IoT 플랫폼(300)은 내부에 인터페이스부(320), 제어부(340), 통신 서비스부(360) 및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380)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320)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oT 장치(200)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320)는 IoT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IoT 장치(200)의 정보 및 데이터를 통신 서비스부(360)로 전송하거나 또는 통신 서비스부(360)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IoT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IoT 플랫폼(300)의 인터페이스부(320), 통신 서비스부(360) 및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380)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 서비스부(360)는 내부에 메모리부(362)를 구비하며,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oT 장치(200) 간에 또는 IoT 장치와 클라이언트 간에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부(362)에는 사용자 설정 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설정 파일은 IoT 장치(200)들이 어떤 프로토콜 스택(Stack)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루트(Rout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380)는 다양한 프로토콜 스택(Stack)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토콜 스택(Stack)은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oT 장치 간에 또는 IoT 장치와 클라이언트 간에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규약을 나타내며, Modbus 프로토콜, DNP 프로토콜, CANopen 프로토콜, MQTT 및 Coa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은 각종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및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Zigbee, NFC, 블루투스, 와이파이, SUN, LAN 네트워크, 와이브로(Wibro) 네트워크, 이동통신 3G 네트워크, 이동통신 4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부(36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부(36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부(360)는 응용 계층(371),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2), 프로토콜 계층(373),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4), 이더넷 데이터 링크 계층(375) 및 이더넷 물리 계층(376)을 포함한다.
응용 계층(371)은 파일 및 메일 전송과 원격 데이터베이스의 접속 등의 응용 서비스를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응용 계층(371)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하위 계층인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2)로 전달한다.
여기서, 응용 계층(371)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하위 계층인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2)는 하위 계층인 프로토콜 계층(373)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응용 계층(371)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는 공통된 데이터 형식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응용 계층(371)에서는 하위 계층으로부터 순수한 데이터만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응용 계층(371)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외부 장치 즉, IoT 장치(200)의 정보에 대한 데이터의 이력을 메모리부(362)에 저장하였다가 회신이 필요한 경우 루트 정보를 메모리부(362)에 저장된 데이터의 이력에서 조회하여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때, 루트 정보는 응용 계층(371)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해당 프로토콜 스택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2)는 응용 계층(371)과 프로토콜 계층(373) 사이에 위치하며, 응용 계층(371)에서 사용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와 데이터를 전달하면,루트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데이터가 어떤 프로토콜 스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2)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응용 계층(371)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에 루트 정보를 제공하여 하위 프로토콜 계층(373)으로 전달한다. 또한,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2)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토콜 계층(373)으로부터 해당 프로토콜을 통해 파싱(Parsing)된 데이터를 상위 응용 계층(371)으로 전달한다.
프로토콜 계층(373)은 해당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위 계층인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2)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공통형식을 가지는 각각의 프로토콜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프로토콜 계층(373)은 미리 만들어진 공통형식에 프로토콜의 정보만 제공하면, 데이터를 해당 프로토콜 스택으로 쉽게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4)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상위 프로토콜 계층(373)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어떤 전송 매체를 통해 외부 IoT 장치로 송신할 것인지에 대한 통신 매체 정보를 알려준다.
또한,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4)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판단하여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루트 정보를 알려 주고, 상위 프로토콜 계층(373)으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더넷 데이터 링크 계층(375)은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4)에서 받은 데이터를 이더넷 물리 계층(376)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이더넷 데이터 링크 계층(375)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될 때 전송로 역할을 한다.
이더넷 물리 계층(376)은 IoT 장치(200) 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해 이더넷 데이터 링크(375)를 활성화 하고, 이더넷 데이터 링크 계층(375)에서 형성된 데이터를 전기신호 또는 광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 및 수신한다. 예를 들면, 허브, 라우터, 네트워크 카드 및 케이블 등의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부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부의 이더넷 물리 계층(376)은 외부 IoT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외부 IoT 장치와 물리적 연결을 만든다(S11).
그 다음, 이더넷 데이터 링크 계층(375)는 외부 IoT 장치와의 물리적 연결을 통해 외부 IoT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S12).
이어서,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4)는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380)에 수신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이 있는지 확인한다(S13).
여기서,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4)는 수신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이 있는 경우, 응용 계층(371)으로 전송 가능한 프로토콜이 있다고 판단한다(S14). 이때,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4)는 수신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이 없는 경우, 데이터를 해당 프로토콜로 변환할 수 없으므로 에러 발생으로 처리한다(S18).
그 다음, 프로토콜 계층(373)은 수신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메모리부(362)에 저장한다(S15).
이어서,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2)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프로토콜 스택으로 자동 변환한다(S16). 이때,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2)는 해당 프로토콜 스택을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380)에서 읽어올 수 있다.
그 다음, 응용 계층(371)은 응용 프로그램에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2)로부터 프로토콜이 변환된 데이터를 적용한다(S17).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네트워크 시스템은 개발자 컴퓨터(100), IoT 장치(200), IoT 플랫폼(300), 네트워크(400) 및 인터넷 서버(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인터넷 서버(5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인터넷 서버(500)는 다양한 프로토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여기서, IoT 플랫폼(300)은 인터넷 서버(500)를 통해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38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프로토콜 정보들을 제공 받아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380)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부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부의 이더넷 물리 계층(376)은 외부 IoT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외부 IoT 장치와 물리적 연결을 만든다(S21).
그 다음, 이더넷 데이터 링크 계층(375)는 외부 IoT 장치와의 물리적 연결을 통해 외부 IoT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S22).
이어서,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4)는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380)에 수신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이 있는지 확인한다(S23). 여기서,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4)는 수신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이 있는 경우, 응용 계층(371)으로 전송 가능한 프로토콜이 있다고 판단한다(S24).
만약, 수신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이 없는 경우, IoT 플랫폼(300)의 제어부(360)는 IoT 플랫폼(300)과 인터넷 서버(500)를 연결시킨다(S28). 이어서, IoT 플랫폼(300)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인터넷 서버(500)로부터 해당 프로토콜을 제공 받아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380)에 저장하고(S29), 응용 계층으로 전송 가능한 프로토콜을 판단하는 단계(S24)로 돌아간다.
그 다음, 프로토콜 계층(373)은 수신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메모리부(362)에 저장한다(S25).
이어서,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2)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프로토콜 스택으로 자동 변환한다(S26). 이때,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2)는 해당 프로토콜 스택을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380)에서 읽어올 수 있다.
그 다음, 응용 계층(371)은 응용 프로그램에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372)로부터 프로토콜이 변환된 데이터를 적용한다(S27).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은 종래 IoT 플랫폼에 비해 여러 프로토콜을 하나의 플랫폼에 탑재하여 개발자가 플랫폼에 탑재된 프로토콜들을 API 형태로 가져다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은 종래 IoT 플랫폼에 비해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OT 장치 간에 통신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일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개발자 컴퓨터 200: IoT 장치
300: IoT 플랫폼 320: 인터페이스부
340: 제어부 360: 통신서비스부
362: 메모리부 380: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
400: 네트워크

Claims (12)

  1. IoT 장치들 사이에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은 통신 서비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서비스부는 사용자에게 다수의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계층;
    상기 응용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에 루트 정보를 제공하여, 프로토콜 계층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해당 프로토콜을 통해 파싱된 데이터를 응용 계층으로 전달하는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 및
    상기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데이터에 통신 매체 정보를 제공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판단하여 상기 프로토콜 계층으로 루트 정보를 알려주는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비스부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에는 사용자 설정 파일이 저장되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 파일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 받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 파일은 상기 루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루트 정보는 상기 응용 계층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해당 프로토콜 스택정보를 나타내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스택정보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oT 장치 간에 또는 IoT 장치와 클라이언트 간에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규약을 나타내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프로토콜 스택정보는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프로토콜 스택이 없는 경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해당 프로토콜 스택을 업데이트하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매체 정보는 외부 IoT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전송 매체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계층은 상기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와 상기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루트 정보를 저장하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계층은 해당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토콜 컨버터 매니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공통형식을 가지는 각각의 프로토콜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계층은 미리 만들어진 공통형식에 프로토콜의 정보만 제공하면, 데이터를 해당 프로토콜 스택으로 변환하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는 SCADA 시스템에 연결된 전력기기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KR1020160053761A 2016-05-02 2016-05-02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KR20170124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761A KR20170124187A (ko) 2016-05-02 2016-05-02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761A KR20170124187A (ko) 2016-05-02 2016-05-02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187A true KR20170124187A (ko) 2017-11-10

Family

ID=6038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761A KR20170124187A (ko) 2016-05-02 2016-05-02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418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829A (ko) * 2017-02-01 2018-08-09 한국과학기술원 IoT 기기의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95161A (ko) * 2018-02-05 2019-08-14 아즈빌주식회사 통신 제어 컨트롤러
WO2019168341A1 (ko) * 2018-02-27 2019-09-06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통합 iot 모듈 및 이를 이용한 iot 기반의 설비 환경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47661B1 (ko) * 2018-12-17 2019-11-22 (주)에스유지 IoT플랫폼 MOBIUS기반의 항만 지하 매설물 현황 관제 시스템
KR20200005130A (ko) *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코아칩스 센서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86549A (ko) * 2019-01-09 2020-07-17 주식회사 코아칩스 통합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
KR20200090652A (ko) * 2020-07-08 2020-07-29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통합 IoT 모듈 및 이를 이용한 IoT 기반의 설비 환경 통합 관리 시스템
EP4297377A1 (en) * 2022-06-23 2023-12-27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protocol compatibility
EP4102315A4 (en) * 2020-07-14 2024-03-27 Ilpum Corp. DEVICE AND METHOD FOR LINKING CONVENTIONAL FIELDBUS-BASED AUTOMATIC CONTROL SYSTEMS WITH IO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829A (ko) * 2017-02-01 2018-08-09 한국과학기술원 IoT 기기의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95161A (ko) * 2018-02-05 2019-08-14 아즈빌주식회사 통신 제어 컨트롤러
WO2019168341A1 (ko) * 2018-02-27 2019-09-06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통합 iot 모듈 및 이를 이용한 iot 기반의 설비 환경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05130A (ko) *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코아칩스 센서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047661B1 (ko) * 2018-12-17 2019-11-22 (주)에스유지 IoT플랫폼 MOBIUS기반의 항만 지하 매설물 현황 관제 시스템
KR20200086549A (ko) * 2019-01-09 2020-07-17 주식회사 코아칩스 통합 센서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스템
KR20200090652A (ko) * 2020-07-08 2020-07-29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통합 IoT 모듈 및 이를 이용한 IoT 기반의 설비 환경 통합 관리 시스템
EP4102315A4 (en) * 2020-07-14 2024-03-27 Ilpum Corp. DEVICE AND METHOD FOR LINKING CONVENTIONAL FIELDBUS-BASED AUTOMATIC CONTROL SYSTEMS WITH IOT
EP4297377A1 (en) * 2022-06-23 2023-12-27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protocol compati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4187A (ko)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US9503957B2 (en) Low cost mesh network capability
EP3208974A1 (en)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CN108111999B (zh) 设备分享请求和控制方法及电子设备、存储介质
CN101986648A (zh) 一种tcp选项的协商方法、装置及网络设备
CN110166414B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系统
US20100202451A1 (en) Modified internet protocol (ip) data packet for asynchronous ip communications
CN113810271A (zh) 一种物联网网关南向设备接口代理装置及实现方法
KR20190008595A (ko) Non-TCP/IP 기반의 네트워크상의 IoT 기기와 oneM2M 표준 기반의 IoT 서버 상호간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10645184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gateway, and controller
EP13091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selection of electronic services using infrared and a network address identification
KR20080088535A (ko) 모바일 터미널 및 모바일 터미널의 작동 방법
CN113132218B (zh) 一种家庭网关访问方法、装置、系统处理器及存储介质
CN117176633A (zh) 一种总线跨设备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4774275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
US994282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EP3451717A1 (en) Message pushing system, client equipment and message pushing method thereof
EP2427026A1 (en) Data transmitting method, terminal processor and terminal device in zigbee network
US9386620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emergency communication services
JP6813110B1 (ja) 通信装置、プログラム、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EP13091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selection of electronic services using infrared communication
KR20100044434A (ko) 유비쿼터스 서브네트워크 연동을 위한 브로커
JP2007172048A (ja) ポーリング通信システム及びサーバシステム
CN111447599B (zh) 一种基于多链路复用的机器人通讯方法和系统
KR20180094343A (ko) 데이터 처리 중계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