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016B1 -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016B1
KR102129016B1 KR1020190150565A KR20190150565A KR102129016B1 KR 102129016 B1 KR102129016 B1 KR 102129016B1 KR 1020190150565 A KR1020190150565 A KR 1020190150565A KR 20190150565 A KR20190150565 A KR 20190150565A KR 102129016 B1 KR102129016 B1 KR 102129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ngle
stone
wall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19015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에 고정되며,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석재 패널을 지지하는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로서, 건물의 벽체에 고정 부착되며,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벽체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앵글 유닛, 앵글 유닛 중 벽체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서포팅 유닛, 벽체에 삽입 고정되어 앵글 유닛의 일부에 관통하여 앵글 유닛을 고정하는 앵커링 유닛, 앵글 유닛의 타부와 서포팅 유닛을 동시 관통하여 앵글 유닛과 서포팅 유닛을 고정 부착 시키는 캐리지 유닛, 앵글 유닛의 일부 중 건물의 벽체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공되며, 앵글 유닛의 타부 중 서포팅 유닛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공되어, 소정의 압력 정보를 각각 센싱하는 프레스 센싱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Plate for adjusting angle of building stone equipped with function for monitoring variation of position}
본 발명은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에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하고,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통해 석재 패널 및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위치 변동 여부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이 구비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오늘날, 석재의 마감공법에 있어서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으로 나누어지며, 습식공법은 연결 철물과 채움 모르타르로 석재와 구조체를 일체화하여 석재를 벽체에 설치하는 공법을 말한다. 습식공법의 장점으로는 시공예가 많아 기술면에서 문제가 없다는 점이며, 단점으로는 구조체의 변경이 생겼을 때 붙임돌에도 균열 등의 변형이 생기며 외기온 및 습도의 변화에도 붙임돌이 휘거나 비틀림이 생긴다는 점이다. 이러하여, 습식 공법의 경우 주택 등 소규모 건물에 적합하다.
건식용법은 구조체에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연결재만 사용하여 석재를 벽체에 설치하는 공법을 말한다. 이때, 연결재라 함은 서로 떨어져 있는 석재와 구조체를 결속하여 구조체에 석재의 하중을 전달하는 철물 등을 말한다. 건식용법의 장점으로는 구조체의 긴결방법 등을 개선하면 고법을 다양화 시킬수 있다는 점이며, 건식용법의 단점으로는 돌 두께에 따라 풍압 등의 영향을 받으며 물체 등의 충격으로 붙임돌이 파손되기 쉽다는 점이다.
건식용법을 통한 연결재의 경우 여러가지 연결재의 종류 및 형태를 바꾸어 석재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한 시도가 여럿 존재해 왔었는데, 그 중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등록번호 제10-1808144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석재고정핀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앵글과 벽체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 주택용 석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석재고정핀과 회전방지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핀구멍과 체결구멍이 각각 상하 관통형으로 형성되고, 회전방지볼트와 조정너트에 의해 앵글에 결합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면서 결합되는 상판과 하판;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위치되고, 회전방지볼트가 중앙으로 통과되는 개루프 형태의 스틸밴드; 스틸밴드의 양단에서 석재고정핀을 향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판스프링; 판스프링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석재고정핀의 외주면을 감싸서 잡는 반원형의 탄성클립; 스틸밴드의 상하면에서 각각 상층과 하측을 향해 형성되는 돌기부; 상판과 하판에 각각 형성되고, 돌기부가 삽입되는 로케이트홀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등록번호 제10-1147446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의 경우, 발포성 단열재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건축물 벽체에 커튼 월 용도의 내외장재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단열재 시공용 앵글로,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하여 삼분한 중심 부위는 제1장공이 형성되 있으며 건축물 벽체에 평행을 이루며 대향하고, 길이 방향으로 삼분한 양측 부위는 건축물 벽체에 수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형상의 다리부를 이루며, 건축물 벽체에 접하는 양측 다리부의 각 단부는 첨예한 형상을 이루는 고정구 본체와 건축물 벽체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앵커볼트 및 앵커볼트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로 구성하되, 고정구 본체는 앵커볼트의 돌출한 단부가 제1장공을 관통하도록 양측 다리부의 첨예한 단부가 발포성 단열재를 뚫으며 건축물 벽체 표면에 근접하게 박히게 한 상태에서, 앵커볼트에 대한 너트의 나사 결합으로 양측 다리부의 단부가 건축물 벽체 표면에 밀착되어 지지를 받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시공용 앵글이다.
또한, "석재 연결용 벽체 고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등록번호 제10-1706307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벽체에 부착된 단열재의 성능 및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면서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 석재 연결용 벽체 고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석재 연결용 벽체 고정장치는 단열재에 박혀서 벽체에 밀착되는 고정체와, 고정체의 중심부에서 벽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벽체에 가공된 앵커홀에 삽입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벽체브라켓과, 슬리브가 앵커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확장되도록 슬리브의 단부에 결합되는 쐐기와, 고정체에 석재브라켓이 연결되도록 석재패널이 설치될 방향으로 고정체에 배치되는 연결앵글 및 연결앵글이 고정체에 고정되도록 연결앵글을 관통하여 고정체에 결합되는 연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들 특허문헌들의 경우, 석재 시공용 석재 연결재의 단순한 구조변화와 형태 변화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과 석재의 고정방법 및 연결재의 변화에 대한 시도에 불과하다. 이들 연결재의 경우 고정이 이루어지면 내부를 관찰하거나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지진이나 바람의 영향으로 건물 자체의 변화가 생긴 경우, 석재에도 균열, 충격이 생겨 위험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번호 제10-1808144호 등록번호 제10-1147446호 등록번호 제10-1706307호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건식공법에서 석재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하여 수평, 수직 각도의 저항 값의 변화를 감시하고자 한다.
둘째, 석재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하여 부식이나 깨짐, 수평 유지 등을 센싱하여 건축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는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는 일부가 상기 건물의 벽체에 고정 부착되며, 타부는 상기 일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상기 벽체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앵글 유닛; 상기 앵글 유닛 중 상기 건물의 벽체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접촉되어 고정 부착되어, 상기 석재 패널을 홀딩하는 서포팅 유닛; 상기 건물의 벽체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앵글 유닛의 일부에 관통하여 상기 앵글 유닛을 체결 고정하는 앵커링 유닛; 상기 앵글 유닛의 타부와 상기 서포팅 유닛을 동시 관통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앵글 유닛으로부터 상기 서포팅 유닛을 고정 부착시키는 캐리지 유닛; 및 상기 앵글 유닛의 일부 중 상기 건물의 벽체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공되며, 상기 앵글 유닛의 타부 중 상기 서포팅 유닛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공되어, 소정의 압력 정보를 각각 센싱하는 프레스 센싱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상기 앵글 유닛은, 상기 앵글 유닛의 일부에 해당하여, 상기 건물의 벽체에 접촉하여 고정 부착되는 버티컬부; 및 상기 버티컬부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앵글 유닛의 타부에 해당하여, 상기 서포팅 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서포팅 유닛을 고정 부착하는 호리존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상기 서포팅 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장반경을 가지는 타원형의 개구를 형성하는 서포팅 홀을 형성하며, 상기 호리존탈부는, 상기 서포팅 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호리존탈 홀을 형성하여, 상기 캐리지 유닛은, 상기 서포팅 홀과 상기 호리존탈 홀을 동시 관통하여 제공되어,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호리존탈부를 압착 체결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상기 앵커링 유닛은, 상기 앵커링 유닛의 몸체를 형성되며, 상기 건물의 벽체와 상기 앵글 유닛을 결합 고정하도록 형성하는 앵커링 보디부; 상기 앵커링 보디부의 외주면에 이격되도록 둘러싸며, 상기 건물의 벽체의 내부에 상기 앙카 조인트와 함께 삽입 고정되는 앵커링 캡; 및 상기 앵커링 보디부의 타단에 제공되어, 상기 앵커링 보디부의 타단에 상기 앵글 유닛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앵커링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상기 캐리지 유닛은, 상기 캐리지 유닛의 몸체를 형성되며, 상기 서포팅 홀과 상기 호리존탈 홀 사이에 삽입되는 캐리지 보디부; 및 상기 캐리지 보디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호리존탈부와 상기 서포팅 유닛 상호간의 고정 압착력을 제공하는 캐리지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상기 서포팅 유닛은, 상기 서포팅 유닛의 타단에 상하로 관통되는 석재 고정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상기 앵커링 캡은, 상기 앵커링 캡의 표면에 관통되는 복수 개의 벽체 고정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상기 프레싱 센싱 유닛은, 복수 개의 도선이 상호 이격되도록 교차적으로 형성되는 교차 와이어부; 상기 교차 와이어부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하향 볼록하게 형성되는 전도성 소프트 연질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교차 와이어부의 상면을 동시 가압하는 프레싱부; 및 상기 프레싱부가 상기 교차 와이어부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교차 와이어부 상호 간에 형성되는 가변 저항값을 측정하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상기 프레싱 센싱 유닛은, 상기 버티컬부 중 상기 건물의 벽체에 접촉하는 부분에 제공되어, 상기 벽체로부터 상기 앵글 유닛의 수직 각도를 센싱하는 복수 개의 측벽 앵글 센싱부; 및 상기 호리존탈부의 상면에 제공되어, 상기 호리존탈부로부터의 상기 서포팅 유닛의 수평 각도를 센싱하는 복수 개의 석재 앵글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상기 프레싱 센싱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측벽 앵글 센싱부와 상기 복수 개의 석재 앵글 센싱부를 각각 소정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상기 소정의 영역 별로 개별적인 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코드 별로 상기 수직 각도 또는 상기 수평 각도의 익스펙티드 밸유(expected value)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앵글 유닛과 서포팅 유닛 사이에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하여 건축물과 석재 사이에 수평 유지를 감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둘째, 앵글 유닛과 벽체 사이에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하여 건축물과 앵글 조정 플레이트 사이의 압이 유지되는지를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셋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통해 외부로 송출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건축물의 안정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석재 앵글 센싱부를 포함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프레스 센싱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프레스 센싱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측벽 앵글 센싱부에 코드를 부여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측벽 앵글 센싱부, 석재 앵글 센싱부 및 신호감지부가 압력감지부를 통해 식별 번호 코드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화한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신호감지부를 포함한 앵커링 캡의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건물의 외벽에 각 주소가 할당된 건물 외벽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석재 앵글 센싱부를 포함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프레스 센싱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프레스 센싱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측벽 앵글 센싱부에 코드를 부여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측벽 앵글 센싱부, 석재 앵글 센싱부 및 신호감지부가 압력감지부를 통해 식별 번호 코드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화한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신호감지부를 포함한 앵커링 캡의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건물의 외벽에 각 주소가 할당된 건물 외벽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10)에 고정되어, 상기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 유닛(angle unit, 100), 서포팅 유닛(supporting unit, 200), 앵커링 유닛(anchoring unit, 300), 캐리지 유닛(carriage unit, 400), 프레스 센싱 유닛(press sensing unit, 500)을 포함하는 것을 주된 기술적 요소로 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자 기능하는 바가 상이한 것으로서 독립되면서도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되는 구도가 명확한 것들이다.
먼저, 앵글 유닛(100)의 경우, 그 일부가 건물의 벽체에 고정 부착되는 구성인데, 타부는 일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벽체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앵글 유닛(100)의 경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조정 플레이트의 일부를 형성하는데, 벽체(10)에 고정되어 절곡 되는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는, 벽체(10)로부터 30도, 45도, 90도 등으로 할 수 있으나, 벽체(10)의 각도가 지평선으로부터 수직한 각도이고, 석재 패널(20)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여기서의 각도는 벽체로부터 90도로 기립하되, 수평선과는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팅 유닛(200)의 경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접촉되어 고정 부착되어 석재 패널을 홀딩 하도록 형성된다.
서포팅 유닛(200)의 경우,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 유닛(100)의 일부에 해당하는 호리존탈부(110)와 오버랩 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팅 유닛(200)의 경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10)와는 수직하는 방향으로, 지평선과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며, 호리존탈부(100)와는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링 유닛(300)의 경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10)에 삽입 고정되는데, 앵글 유닛(100)의 일부에 관통하여 앵글 유닛(100)을 체결 고정되어 형성된다.
앵커링 유닛(300)의 경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벽체(10)로부터 수직하는 각도로 삽입 고정되며, 벽체(10)에 삽입되어지는 일단과 벽체(10)에 삽입되지 않는 말단으로 구성되며, 말단 중 벽체에 가장 가깝게 형성되는 부분이 앵글 유닛(100)을 관통하여 앵글 유닛(100)을 체결 고정하는 구성이다.
앵커링 유닛(300)은 도1내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에 삽입되는 일단의 단부가 타단의 단부의 지름보다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이는 벽체(10)와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앵커링 보디부(310)의 자세한 설명에서 구술하기로 한다.
캐리지 유닛(400)의 경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글 유닛(100)의 타부와 서포팅 유닛(200)을 동시 관통하도록 제공되어, 앵글 유닛(100)으로부터 서포팅 유닛(200)을 고정 부착시키도록 형성된다.
캐리지 유닛(400)의 경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리존탈부(110)와 서포팅 유닛(200)을 동시 관통하며, 캐리지 유닛(400)은 앵글 유닛(100)의 호리존탈부(110)와 서포팅 유닛(200)의 수평 조정 후 고정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스 센싱 유닛(500)의 경우, 앵글 유닛(100)의 일부 중 건물의 벽체(10)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공되며, 앵글 유닛(100)의 타부 중 서포팅 유닛(200)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공되어, 소정의 압력 정보를 각각 센싱 하도록 한다.
도3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 센싱 유닛(500)은 호리존탈부(110)의 벽체(10)와 대향하는 부분과 버티컬부(120)에 각각 제공되어, 소정의 압력 정보를 센싱 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소정의 압력 정보는 정적 압력과 동적 압력의 차를 이용한 센싱을 말하며, 압력 차의 정보는 출력되는 값을 이용하여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즉, 프레스 센싱 유닛(500)은 압력의 크기 변화가 없는 정적 압력의 경우 무한대의 저항 값을 가지지만, 압력의 크기가 변화하는 동적압력의 경우 저항 값이 발생하게 되며, 동적 압력의 저항 값은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관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앵글 유닛(100)의 경우, 버티컬부(120) 및 호리존탈부(110)을 포함할 수 있다.
버티컬부(120)의 경우, 도1내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글 유닛(100)의 일부에 해당하며, 건축물의 벽체(10)에 접촉하여 고정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버티컬부(120)의 경우, 그 일면이 벽체(10)와 접촉하며 벽체(10)로부터 대향하는 면으로 고정 부착되는 구성이다.
버티컬부(120)는 벽체와 고정이 되도록 앵커링 유닛(300)을 관통시키는 버티컬 홀(120h)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버티컬 홀(120h)은 버티컬부(120)에 포함되며 상하로 장반경의 형태를 가지며, 앵커링 유닛(300)이 버리컬 홀(120h)을 관통하도록 하여 앵글 유닛(100)과 벽체(10)와의 고정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호리존탈부(110)의 경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티컬부(120)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앵글 유닛(100)의 타부에 해당하는데, 서포팅 유닛(200)과 접촉하여 서포팅 유닛(200)과 평형을 이루도록 오버랩 되어 구성된다.
호리존탈부(110)의 경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티컬부(120)가 벽체(10)로부터 수평하는 각도로 벽체(10)에 고정되어질 때 호리존탈부(110)는 벽체(10)와 수직하는 각도로 고정되며, 지평선과는 수평하는 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팅 홀(200h1)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팅 유닛(200)에 제공되어, 수평 방향으로 장반경을 가지는 타원형의 개구를 형성한다.
도1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팅 홀(200h1)은 캐리지 유닛(400)을 관통하도록 하는 타원형을 개구를 형성하며, 서포팅 홀(200h1)에서 캐리지 유닛(400)의 위치에 따라, 벽체(10)와 석재 패널(20)의 간격 내지 방향의 변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리존탈 홀(110h)의 경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리존탈부(110)에 제공되며, 서포팅 홀(200h1)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캐리지 유닛(400)의 경우, 서포팅 홀(200h1)과 호리존탈 홀(100h)을 동시 관통하는데, 서포팅 유닛(200)과 호리존탈부(110)를 압착 체결시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리존탈 홀(100h)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팅 홀(200h1)과는 중첩되어 캐리지 유닛(400)을 관통시키며, 앵글 유닛(100)과 서포팅 유닛(200)의 유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서포팅 홀(200h1)은 앵글 유닛(100)으로부터 서포팅 유닛(200)의 유동적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벽체(10)와 앵글 유닛(100) 및 석재 패널(20) 사이의 위치 조정 역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앵커링 유닛(300)의 경우, 앵커링 보디부(310), 앵커링 캡(330) 및 앵커링 너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앵커링 보디부(310)의 경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링 유닛(300)의 몸체를 형성하며, 건축물의 벽체(10)와 앵글 유닛(100)을 결합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앵커링 보디부(310)의 경우, 벽체(10)에 삽입되는 일단과 버티컬부(120)의 버티컬 홀(120h)을 수직 관통하여 버티컬부(120) 외부로 돌출되는 타단으로 형성된다.
앵커링 캡(330)의 경우, 도1 내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링 보디부(310)의 외주면에 이격되도록 둘러싸며, 건물의 벽체(10)의 내부에 앵커링 유닛(300)과 함께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외주면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링 보디부(310)를 밀착되게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앵커링 보디부(310)는 일단에서 타단 중 일단이 벽체(10)에 삽입되는 형상이라면, 앵커링 캡(330)은 일단에서 타단까지 전체가 벽체(10)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10)에 앵커링 보디부(310)가 고정되는 시공시, 앵커링 보디부(310) 일단 중 직경이 넓어지는 단부에 앵커링 캡(330)의 일단이 외주면을 감싸 밀착되는 형태로 제공되어, 앵커링 보디부(310)가 삽입되는 건축물의 벽체(10)의 가장 내측에 벽체(10)와 앵커링 유닛(300)이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앵커링 너트부(320)의 경우, 앵커링 보디부(310)의 타단에 제공되는데, 앵커링 보디부(310)의 타단에서 앵글 유닛(100)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앵커링 너트부(320)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링 보디부(310)와 앵글 유닛(100)을 고정시키도록 앵커링 보디부(310)의 타단에 제공되며, 벽체(10)와 고정되는 버티컬부(120)의 내측과는 상반되는 버티컬부(120)의 외측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캐리지 보디부(410)의 경우, 캐리지 유닛(200)의 몸체를 형성하며, 서포팅 홀(200h1)과 호리존탈홀(110h) 사이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캐리지 너트부(420)의 경우, 캐리지 보디부(410)에 체결되는데, 호리존탈부(110)와 서포팅 유닛(200) 상호간의 고정 압착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캐리지 너트부(420)의 경우, 도1 내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팅 유닛의 서포팅 홀(200h1)과 호리존탈부(110)의 호리존탈 홀(110h)을 관통하는 캐리지 보디부(410)의 상부에 체결되도록 하며, 캐리지 너트부(420)의 체결로 앵글 유닛(100)과 서포팅 유닛(200)의 압착 고정 제공된다.
석재 고정홀(200h2)의 경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팅 유닛(200)의 타단에 상하로 관통되어 구성된다.
석재 고정홀(200h2)은 서포팅 홀(200h)과는 이격되어 형성되며, 서포팅 유닛(200)의 타단에 상하로 관통되는 구멍을 가지며, 석재 패널(20)을 고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체 고정홀(331)의 경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링 캡(300) 표면에 관통되는 복수개의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벽체 고정홀(331)의 경우, 시공시 앵커링 보디부(310)의 일단의 단부로 앵커링 캡(330)의 일단이 외주면을 감쌀 때, 일단에서부터 복수개의 홀로 이어진 절개로 인해 앵커링 보디부(310)에 앵커링 캡(330)의 밀착 고정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프레스 센싱 유닛(5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 와이어부(510), 프레싱부(520) 및 압력 감지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교차 와이어부(5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싱 센싱 유닛에 제공되어, 복수개의 도선이 상호 이격되도록 교차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교차 와이어부(510)는 그 모습이 마치 교차 되어있는 빗살 모양을 하는 형상이며, 전류가 상시 통하는 도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싱부(520)의 경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 와이어부(510)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하향 볼록하게 형성되는 전도성 소프트 연질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에 의하여 교차 와이어부(510)의 상면을 동시 가압하는 구성이다.
프레싱부(520)의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 볼록하게 형성되며, 내부가 전도성 파티클 입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교차 와이어부(510)에 압력을 가하는데, 교차 와이어부(510)와 만나는 하향 볼록한 부분은 플렉시블(flexible)한 표면 성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 감지부(530)의 경우, 프레싱부(520)가 교차 와이어부(510)를 가압하는 경우, 교차 와이어부(510) 상호 간에 형성되는 가변 저항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압력 감지부(530)의 가변 저항값의 경우, 정적압력과 동적압력의 전위차가 존재하지 않으면, 전위차에 변화가 없어 저항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를 0으로 표시하고, 전위차에 변화가 생겨 저항값이 존재하게 되면, 이를 숫자 혹은 컴퓨터 코드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압력 감지부(530)의 경우, 외부의 변화로부터 전위차의 변화가 생성되지 않는 상시 저항을 0으로 설정하고 외부의 변화로 전위차의 변화가 가해져 저항값에 변화가 일어나면 저항의 변화 값을 숫자형식으로 변환하여 가변 저항값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가변 저항 값의 경우, 식별 번호 코드(C)로 표시되어 보여 지도록 할 수 있으며, 예컨대 1V은 1000이라는 숫자 코드로, 50V은 50000이라는 숫자 코드로도 보여 질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예시로 식별 번호 코드(C)는 다양한 숫자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프레스 센싱 유닛(500)은, 도3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 앵글 센싱부(550)와 석재 앵글 센싱부(540)로 구성된다.
측벽 앵글 센싱부(550)와 석재 앵글 센싱부(540)의 경우, 압을 사용하여 가변 저항값을 측정하는 프레스 센싱 유닛(500)을 가지지만, 위치에 의해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 앵글 센싱부(550)의 경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버티컬부(120) 중 건물의 벽체(10)에 접촉하는 부분에 제공되어, 벽체(10)로부터 앵글 유닛(100)의 수직각도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측벽 앵글 센싱부(550)의 경우, 버티컬부(120)와 벽체(10) 사이의 고정 결합력 유지를 감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측벽 앵글 센싱부(550)에 변화가 오게 되는 경우, 벽체(10)와 앵글 유닛(100)의 고정력의 변화를 나타내며, 이는 벽체(10)와 앵글 유닛(100)의 고정 결합력에 흠이 생긴 것을 의미하게 된다.
석재 앵글 센싱부(540)의 경우,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리존탈부(110)로부터 서포팅 유닛(200)의 수평 각도를 센싱하며, 복수개로 구성된다.
석재 앵글 센싱부(540)가 센싱하는 수평 각도의 경우, 앵글 유닛(100)의 호리존탈부(110)와 서포팅 유닛(200)의 사이의 압을 의미하며, 수평 각도를 통해 앵글 유닛(100)과 서포팅 유닛(200)의 각도 변화 및 호리존탈부(110)와 석재 패널(20)사이의 포지션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프레스 센싱 유닛(500)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측벽 앵글 센싱부(530)와 석재 앵글 센싱부(540)가 각각 소정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구획된 영역 별로 개별적인 코드를 부여받아, 코드 별로 수직 각도 또는 수평 각도의 익스펙티드 밸유(expected value)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소정의 영역이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프레스 센싱 유닛(500)을 측근에 위치하는 그룹으로 영역을 구분할 수 있으며, 3개 구역, 4개 구역 등으로 나누어 구분 지을 수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누어진 그룹에 따라 구획별로 개별적 코드가 주어지며, 코드의 주소는 ad1, ad2, ad3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코드 별로 각각의 익스펙티드 밸유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프레스 센싱 유닛(500)의 경우, 각각 하나가 외부 압력에 의한 저항 값을 표시할 수 있지만, 구획을 나누어 그룹 별 평균값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ad1, ad2, ad3, ad4로 나누어진 구획별로 각각의 익스팩티드 밸유를 산출하며, 산출된 익스팩티드 밸유를 다른 구획과 비교 분석하여 구획별로 압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압의 차이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의 차이이며, 구획별로 다르게 측정될 수 있으며, 이는 가변 저항값을 바탕으로 상기 저항값을 0으로 산출하여 포지션 변동이 일어날 경우, 식별 번호 코드(C)로 표시되도록 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 앵글 센싱부(550)와 석재 앵글 센싱부(540), 신호감지부(550)는 압력감지부(530)를 통하여 식별 번호 코드(C)로 표출되며, 이는 외부의 표시 가능한 단말기 등으로 표시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스 센싱 유닛(500)의 경우, 개별적인 코드로부터 산출된 익스펙티드 밸유를 통해 건축물의 벽체(10)와 앵글 유닛(100) 및 앵글 유닛(100)과 서포팅 유닛(200)의 유기적인 결합에 따른 가변 저항 값을 센싱하며, 이는 벽체(10)와 석재 패널(20)의 균열 및 유착(謬錯)등의 센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앵커링 캡(330)의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링 캡(330)내부에 신호감지부(340)를 포함하여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소기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신호감지부(340)의 경우,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류가 통하는 도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앵커링 캡(330)의 일단에서 말단까지 갈지자(之)형태로 지나가는 구성으로,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선의 형태는 여러 실시예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감지부(340)의 경우, 앵커링 유닛(330)과 벽체(10)의 포지션 변동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전류가 통하는 도선이 앵커링 보디부(310)와 앵커링 캡(330)사이를 지나가는 구성이다.
신호감지부(340)의 경우, 도선에 전류가 간헐적으로 흐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전류의 흐름으로 인한 전기의 과다 사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신호감지부(340)의 경우, 도선에 전류가 간헐적으로 흘러 벽체(10)의 이상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유입과 유출 차이를 통하여 이상 신호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신호감지부(340)의 경우, 도선에 전류의 유출입을 감지하며, 전류의 유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벽체(10) 및 앵글 유닛(300)의 포지션 변화로 인해 전류의 유출에 변화가 나타날 경우, 이를 벽체(10)의 수리 및 보수의 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경우,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10)에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이하, 앵글 조정 플레이트이라 한다.)로 인해, 석재 패널(20)이 고정되어 있는데, 이때, 석재 패널(20)과 앵글 조정 플레이트를 복수개의 섹터로 구획하여 건물의 전체적인 이상유무를 감지하도록 한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10)를 구획별로 나누어 영역별로 각 주소를 부여할 수 있으며, 구획된 영역에는 석재 패널(20)과 앵글 조정 플레이트를 하나 이상 포함하게 된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된 영역별로 물리적인 별개의 주소를 할당하게 되는데, 여기서의 주소는 Z1, Z2, Z3, Z4으로 한다.
주소를 할당 받은 각 영역의 앵글 조정 플레이트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이는 건물의 이상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소정의 네트워크는 본 실시예의 경우, 도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예컨대, 도선, 근거리 통신망 및 네트워크 통신망 등으로 연결되어 질 수도 있다.
이는 건물의 벽체(10)손상은 어느 한 곳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구획별로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벽체(10)의 어느 한 지점의 손상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획되어 주소로 할당되어진 것이다.
건물의 경우 하나의 결함이 발견되면 다른 곳의 결함도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형태를 띄므로, 앵글 조정 플레이트의 각 개별적 신호감지부(340)만을 측정할 경우보다 구획별로 신호를 측정하여 구획된 영역별 손상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물의 결함이 확인될 경우 전체 보수를 진행하기 보다, 구획된 공간의 보수만을 진행하여 건물 수리의 정확성 및 비용절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석재 패널(20)및 앵글 조정 플레이트로 구성된, Z1, Z2, Z3, Z4의 구획들은, 각 영역별 익스펙티드 밸유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는 영역별 벽체(10)의 결함여부를 파악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역기서, 익스펙티드 밸유는, 석재 앵글 센싱부(540)와 측벽 앵글 센싱부(550), 신호감지부(340)의 총 평균값을 기본으로 하며, 이는 벽체(10)와 앵글 조정 플레이트, 석재 패널(20)사이의 총체적인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석재 앵글 센싱부(540), 측벽 앵글 센싱부(550), 신호감지부(340) 각각의 신호에 대한 익스펙티드 밸유도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벽체(10)및 석재 패널(20)중 어느 한 곳의 이상신호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즉,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재 앵글 센싱부(540), 측벽 앵글 센싱부(550) 및 신호감지부(340)의 총 평균값 및 각 영역별 익스펙티드 밸유에 대해 식별 번호 코드(C)로 표시될 수 있다.
익스펙티드 밸유의 경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영역별로 산출되며, 이는 상시 압력을 0으로 표시하며 변화하는 압력값에 대하여 식별 번호 코드(C)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감지부(340)의 경우, 전류의 변화 값을 감지하고 가변 전류에 대한 변화되는 값을 인식하는 압력감지부(530)를 가진다.
압력감지부(530)의 경우, 신호감지부(340)도 같은 식별 번호 코드(C)로 나타나도록 하기 위하여 유입구에서부터 유출구까지 전류의 변화 값이 없을 경우를 0으로 표시하며, 전류의 유출입 과정에서 전류 흐름의 변화 값이 발생할 경우, 이를 숫자로 표시하도록 한다.
식별 번호 코드(C)의 경우, 외부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 및 노트북 등에 익스펙티드 밸유를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 받은 식별 번호 코드(C)로부터 벽체(10)와 앵글 유닛(100)의 수직 각도, 앵글 유닛(100)과 서포팅 유닛(200)의 수평 각도 및 신호감지부(340)의 포지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프레스 센싱 유닛(500)의 경우, 통신망 및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외부 단말기와 네트워킹하며, 외부 단말기에 식별 번호 코드(C)가 숫자 서식으로 표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벽체
20: 석재 패널
C: 식별 번호 코드
100: 앵글 유닛
110: 호리존탈부
110h: 호리존탈 홀
120: 버티컬 부
120h: 버티컬 홀
200: 서포팅 유닛
200h1: 서포팅 홀
200h2: 석재 고정홀
300: 앵커링 유닛
310: 앵커링 보디부
320: 앵커링 너트
330: 앵커링 캡
331: 벽체 고정홀
340: 신호감지부
400: 캐리지 유닛
410: 캐리지 보디부
420: 캐리지 너트부
500: 프레스 센싱 유닛
510: 교차 와이어부
520: 프레싱부
530: 압력 감지부
540: 석재 앵글 센싱부
550: 측벽 앵글 센싱부

Claims (10)

  1. 건물의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석재 패널을 지지하는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에 있어서,
    일부가 상기 건물의 벽체에 고정 부착되며, 타부는 상기 일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상기 벽체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앵글 유닛(angle unit);
    상기 앵글 유닛 중 상기 건물의 벽체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접촉되어 고정 부착되어, 상기 석재 패널을 홀딩하는 서포팅 유닛(supporting unit);
    상기 건물의 벽체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앵글 유닛의 일부에 관통하여 상기 앵글 유닛을 체결 고정하는 앵커링 유닛(anchoring unit);
    상기 앵글 유닛의 타부와 상기 서포팅 유닛을 동시 관통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앵글 유닛으로부터 상기 서포팅 유닛을 고정 부착시키는 캐리지 유닛(carriage unit); 및
    상기 앵글 유닛의 일부 중 상기 건물의 벽체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공되며, 상기 앵글 유닛의 타부 중 상기 서포팅 유닛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공되어, 소정의 압력 정보를 각각 센싱하는 프레스 센싱 유닛(press sens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스 센싱 유닛은,
    복수 개의 도선이 상호 이격되도록 교차적으로 형성되는 교차 와이어부;
    상기 교차 와이어부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하향 볼록하게 형성되는 전도성 소프트 연질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교차 와이어부의 상면을 동시 가압하는 프레싱부; 및
    상기 프레싱부가 상기 교차 와이어부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교차 와이어부 상호 간에 형성되는 가변 저항값을 측정하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 유닛은,
    상기 앵글 유닛의 일부에 해당하여, 상기 건물의 벽체에 접촉하여 고정 부착되는 버티컬 부; 및
    상기 버티컬 부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앵글 유닛의 타부에 해당하여, 상기 서포팅 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서포팅 유닛을 고정 부착하는 호리존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장반경을 가지는 타원형의 개구를 형성하는 서포팅 홀을 형성하며,
    상기 호리존탈부는,
    상기 서포팅 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호리존탈 홀을 형성하여,
    상기 캐리지 유닛은,
    상기 서포팅 홀과 상기 호리존탈 홀을 동시 관통하여 제공되어,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호리존탈부를 압착 체결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유닛은,
    상기 앵커링 유닛의 몸체를 형성되며, 상기 건물과 상기 앵글 유닛을 결합 고정하도록 형성하는 앵커링 보디부;
    상기 앵커링 보디부의 외주면에 이격되도록 둘러싸며, 상기 건물의 벽체의 내부에 앙카 조인트와 함께 삽입 고정되는 앵커링 캡; 및
    상기 앵커링 보디부의 타단에 제공되어, 상기 앵커링 보디부의 타단에 상기 앵글 유닛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앵커링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유닛은,
    상기 캐리지 유닛의 몸체를 형성되며, 상기 서포팅 홀과 상기 호리존탈 홀 사이에 삽입되는 캐리지 보디부; 및
    상기 캐리지 보디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호리존탈부와 상기 서포팅 유닛 상호간의 고정 압착력을 제공하는 캐리지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유닛은,
    상기 서포팅 유닛의 타단에 상하로 관통되는 석재 고정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캡은,
    상기 앵커링 캡의 표면에 관통되는 복수 개의 벽체 고정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센싱 유닛은,
    상기 버티컬 부 중 상기 건물의 벽체에 접촉하는 부분에 제공되어, 상기 벽체로부터 상기 앵글 유닛의 수직 각도를 센싱하는 복수 개의 측벽 앵글 센싱부; 및
    상기 호리존탈부의 상면에 제공되어, 상기 호리존탈부로부터의 상기 서포팅 유닛의 수평 각도를 센싱하는 복수 개의 석재 앵글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센싱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측벽 앵글 센싱부와 상기 복수 개의 석재 앵글 센싱부를 각각 소정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상기 소정의 영역 별로 개별적인 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코드 별로 상기 수직 각도 또는 상기 수평 각도의 익스펙티드 밸유(expected value)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KR1020190150565A 2019-11-21 2019-11-21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KR102129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565A KR102129016B1 (ko) 2019-11-21 2019-11-21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565A KR102129016B1 (ko) 2019-11-21 2019-11-21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016B1 true KR102129016B1 (ko) 2020-07-01

Family

ID=7160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565A KR102129016B1 (ko) 2019-11-21 2019-11-21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2912A (zh) * 2021-05-17 2021-07-23 苏州美瑞德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预制墙板调平设计结构及调平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869Y1 (ko) * 2003-04-30 2003-07-23 이수억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KR101147446B1 (ko)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KR101706307B1 (ko) 2016-07-28 2017-02-13 강민영 석재 연결용 벽체 고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02116B1 (ko) * 2017-06-29 2017-11-28 김형진 건축물 외벽의 패널 부착용 구조물
KR101808144B1 (ko) 2017-07-26 2017-12-12 (주)천일건축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869Y1 (ko) * 2003-04-30 2003-07-23 이수억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KR101147446B1 (ko)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KR101706307B1 (ko) 2016-07-28 2017-02-13 강민영 석재 연결용 벽체 고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02116B1 (ko) * 2017-06-29 2017-11-28 김형진 건축물 외벽의 패널 부착용 구조물
KR101808144B1 (ko) 2017-07-26 2017-12-12 (주)천일건축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2912A (zh) * 2021-05-17 2021-07-23 苏州美瑞德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预制墙板调平设计结构及调平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261B1 (ko) 배관 지지장치
KR102129016B1 (ko) 포지션 변동 추적 기능을 구비한 석재용 앵글 조정 플레이트
CN206192267U (zh) 一种自动监测三向测缝仪
CN103528494B (zh) 一种电涡流徐变变形量测量装置
NO993975L (no) Elektrodeinnretning til et korrosjonsmÕlesystem til Õ detektere korrosjon i et metall innleiret i et element av ioneledende materiale, i særdeleshet betong
CN102095363B (zh) 一种用于检测沥青路面动力响应的多维传感器
CN109386298A (zh) 一种带有监测设备的预制隧道钢拱架
US20210396625A1 (en) Building strain monitoring system
RU135391U1 (ru) Контрольно-измерительный пункт
CN105464227A (zh) 一种具有阻火隔热防水的变形缝带
CN112324999A (zh) 一种直埋保温管定位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TWI670489B (zh) 牆面飾材監測系統及其方法
CN208520956U (zh) 手摇式绝缘绳耐压试验架
JP5714873B2 (ja) 取付部材
CN205317224U (zh) 梁柱节点的监测仪器的安装装置
US20230375107A1 (en) Plumbing routing system and method
CN220708603U (zh) 一种压力传感器及周界入侵探测系统
CN214173993U (zh) 抗震支吊架连接构件力学性能试验实用夹具
CN216050595U (zh) 一种金属屋面抗风性能检测的风洞测试系统
CN215136302U (zh) 一种具有快速定位功能的消防装置
JP2016045136A (ja) 金属線でなるセンサーの製造方法、結露監視システム、結露監視方法、及び、結露監視プログラム
CN109540221A (zh) 一种墙体裂缝综合监测预警系统
KR20120033750A (ko) 금속기와 지붕의 피뢰장치
CN207248244U (zh) 一种温度与湿度参数的定点检测装置
CN218211864U (zh) 一种金属屋面系统抗风性能现场评估的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