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962B1 -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 - Google Patents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962B1
KR102128962B1 KR1020190068002A KR20190068002A KR102128962B1 KR 102128962 B1 KR102128962 B1 KR 102128962B1 KR 1020190068002 A KR1020190068002 A KR 1020190068002A KR 20190068002 A KR20190068002 A KR 20190068002A KR 102128962 B1 KR102128962 B1 KR 102128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frame portion
glasses
installation memb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 문 장
Original Assignee
(주)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선 filed Critical (주)시선
Priority to KR1020190068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2Side shields for protection of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8Anti-misting means, e.g. ventilating, heating; Wip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은: 렌즈가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구비되고, 코에 지지되는 코받침부와, 프레임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귀에 걸리는 다리부와, 프레임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프레임부와 눈 주변의 개방공간을 차단하는 이물질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은, 렌즈를 고정하는 프레임부에 이물질차단부를 구비하여 안경착용시 프레임부 주변의 개방공간을 차단시켜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사용자의 눈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질로부터 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GLASSES WITH FOREIGN SUBSTANCE B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부에 이물질차단부를 구비하여 안경착용시 프레임부 주변의 개방공간을 차단시켜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사용자의 눈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눈의 시력을 교정하거나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기구로서, 렌즈를 고정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려지는 다리부와, 프레임부의 중심부위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코에 걸려지는 코받침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경은 사용자의 눈의 전면만 차단하고, 눈 주변은 개방되어 있어 요즘들어 대기질이 좋지 않아지면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눈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지 못한다.
그런데, 기존의 안경은 미세먼지가 눈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방법이 없으며, 미세먼지가 눈에 유입되는 경우 안질을 유발하거나 눈이 충혈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갖는다. 물론, 안경 중에 사용자의 눈 주변까지 커버하는 스포츠용 고글이나 눈 보호용 안경이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무게가 무거우며, 렌즈에 도수를 넣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이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띠리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44109호(2013.05.02, 발명의 명칭: 먼지 등이 눈으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막이 형성된 보안경)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렌즈를 고정하는 프레임부에 이물질차단부를 구비하여 안경착용시 프레임부 주변의 개방공간을 차단시켜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사용자의 눈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질로부터 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은, 렌즈가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고, 코에 지지되는 코받침부; 상기 프레임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귀에 걸리는 다리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와 눈 주변의 개방공간을 차단하는 이물질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차단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형상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설치부재; 및 상기 설치부재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공간을 차단하도록 눈 주변에 밀봉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차단부는 실리콘을 포함한 연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부재에는 코에 거치되는 코거치부가 마련되고, 상기 코거치부는 상기 설치부재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차단부는 착탈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후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착탈부; 및 상기 제1착탈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설치부재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안착부에 의해 상기 설치부재에 밀착 지지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부에서 렌즈 설치부위의 후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돌부; 및 상기 테두리돌부에 걸림 밀착되도록 상기 설치부재의 전측 테두리에 함몰 형성되는 테두리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받침부에는 상기 제1착탈부 중에서 중심끼움돌기에 결합되는 분리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코받침부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연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차단부는 환기부에 의해 습기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환기부는,
상기 설치부재에서 내부와 외부를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 상기 관통홀부에 내측면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장착홈부; 및 상기 장착홈부에 설치되고, 환기공이 다수개 형성되는 필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부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감겨져 분리를 방지하는 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다리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밴드부재; 및 상기 밴드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밴드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은, 렌즈를 고정하는 프레임부에 이물질차단부를 구비하여 안경착용시 프레임부 주변의 개방공간을 차단시켜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사용자의 눈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질로부터 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차단부를 프레임부에 착탈부를 이용하여 분리 결합하므로 미세먼지 수치가 높을 경우에만 이물질차단부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차단부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코받침부를 분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코받침부의 손상시 나사결합 없이도 코받침부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의 전측에서 본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의 후측에서 본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에서, 이물질차단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에서, 코받침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에서, 코받침부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의 전측에서 본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의 후측에서 본 조립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에서, 이물질차단부를 보인 서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에서, 코받침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에서, 코받침부 조립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은, 프레임부(100), 코받침부(200), 다리부(300) 및 이물질차잔부(4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0)는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는 렌즈(미도시)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프레임부(100)는 경질로 이루어지고,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적용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다리부(300)가 힌지 결합되어 다리부(300)를 접거나 펼치도록 구성된다.
코받침부(200)는 프레임부(100)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코에 지지되는 구성이다. 코받침부(200)는 연질로 이루어져 경질의 프레임부(100)의 중심부위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리부(300)는 프레임부(100)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구성이다. 다리부(300)는 경질재를 주로 사용하지만, 휘어짐에 강한 플렉시블한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이물질차단부(400)는 프레임부(10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프레임부(100)와 눈 주변의 개방공간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이물질차단부(400)는 수경에서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커버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안경 착용시 눈 주변의 개방공간을 차단하므로 눈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즘에는 대기질이 나빠지면서, 미세먼지, 황사 등의 이물질로 인하여 눈 질환이 증가하고, 눈에 충혈이 발생하는 빈도가 과거에 비해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프레임부(100)와 눈 주변 사이의 개방공간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성이 있다.
이물질차단부(400)는, 프레임부(100)의 형상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설치부재(410)와, 설치부재(41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개방공간을 차단하도록 눈 주변에 밀봉되는 차단부재(420)를 포함한다.
이물질차단부(400)는 실리콘을 포함한 연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치부재(410)에는 코에 거치되는 코거치부(430)가 마련될 수 있다. 코거치부(430)는 설치부재(4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부(100)와 다리부(300)는 경질로 이루어진다.
이물질차단부(400)는 착탈부(500)에 의해 프레임부(100)에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착탈부(500)는, 프레임부(100)의 후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착탈부(510)와, 제1착탈부(510)와 결합되도록 설치부재(4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착탈부(520)를 포함한다.
제1착탈부(510)는 돌기 또는 홈을 포함한다.
제1착탈부(510)는 프레임부(100)의 중심 가장자리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중심끼움돌기(512)와, 프레임부(100)의 상부 외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외측끼움돌기(514)를 포함한다.
중심끼움돌기(512)의 단부에는 상하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516)가 더 포함된다. 중심끼움돌기(512)에는 설치부재(410)의 코거치부(430)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이물질차단부(400)의 설치부재(410)가 프레임부(100)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을 도와준다.
제2착탈부(520)는 홈 또는 돌기를 포함한다.
제2착탈부(520)는 설치부재(410)의 중심 가장자리에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중심끼움홈(522)과, 설치부재(410)의 상부 외측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되는 외측끼움홈(524)을 포함한다.
중심끼움홈(522)에는 걸림돌기(516)가 걸려지는 결속홈(52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결속홈(526)은 걸림돌기(516)의 상하측 부위를 걸어줌에 따라 이물질차단부(4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안착부(600)에 의해 설치부재(410)에 밀착 지지된다.
안착부(600)는, 프레임부(100)에서 렌즈 설치부위의 후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돌부(610)와, 테두리돌부(610)에 걸림 밀착되도록 설치부재(410)의 전측 테두리에 함몰 형성되는 테두리홈부(620)를 포함한다.
테두리돌부(610)와 외측끼움돌기(514)는 렌즈설치부위의 중심을 기준으로 연속된 원주라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이물질차단부(400)의 설치부재(410)는 프레임부(100)에 틈새없이 긴밀하게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코받침부(200)에는 제1착탈부(510) 중에서 중심끼움돌기(512)에 결합되는 분리결합홈(210)이 구비될 수 있다.
분리결합홈(210)에는 걸림돌기(516)가 걸려지는 구속홈(21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속홈(212)은 걸림돌기(516)의 상하측 부위를 걸어줌에 따라 코받침부(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코받침부(200)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연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물질차단부(400)는 환기부(700)에 의해 습기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환기부(700)는, 설치부재(410)에서 내부와 외부를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710)와, 관통홀부(710)에 내측면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장착홈부(720)와, 장착홈부(720)에 설치되고, 환기공(732)이 다수개 형성되는 필터커버(730)를 포함한다.
필터커버(73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7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터(740)는 필터커버(730)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거나 열 융착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필터(740)는 필터커버(730)의 측면에 끼움방식 또는 걸림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필터커버(730)는 결합부(750)에 의해 장착홈부(72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결합부(750)는, 필터커버(730) 또는 장착홈부(720)의 일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752)와, 결합돌기(752)에 결합되도록 장착홈부(720) 또는 필터커버(730)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754)을 포함한다.
이때, 필터커버(730)는 경질로 이루어진다.
다리부(300)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감겨져 분리를 방지하는 밴드부(8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밴드부(800)는, 다리부(30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밴드부재(810)와, 밴드부재(810)를 연결하고, 밴드부재(810)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820)를 포함한다.
밴드부재(810)는 다리부(300)의 단부에 내측과 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설치공에 끼워져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밴드부재(810)는 다리부(300)의 단부에 감겨져 설치될 수도 있다.
밴드부재(810)를 탄력밴드로서, 탄성고무에 외측면을 천으로 직조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조절부재(820)는 밴드부재(810)를 길이를 조절한 후 고정하도록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은, 렌즈를 고정하는 프레임부에 이물질차단부를 구비하여 안경착용시 프레임부 주변의 개방공간을 차단시켜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사용자의 눈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질로부터 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차단부를 프레임부에 착탈부를 이용하여 분리 결합하므로 미세먼지 수치가 높을 경우에만 이물질차단부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차단부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코받침부를 분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코받침부의 손상시 나사결합 없이도 코받침부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프레임부 200 : 코받침부
210 : 분리결합홈부 300 : 다리부
400 : 이물질차단부 410 : 설치부재
420 : 차단부재 430 : 코거치부
500 : 착탈부 510 : 제1착탈부
512 : 중심끼움돌기 514 : 외측끼움돌기
516 : 걸림돌기 520 : 제2착탈부
522 : 중심끼움홈 524 : 외측끼움홈
600 : 안착부 610 : 테두리돌부
620 : 테두리홈부 700 : 환기부
710 : 관통홀부 720 : 장착홈부
730 : 필터커버 732 : 환기공
740 : 필터 750 : 결합부
752 : 결합돌기 754 : 결함홈
800 : 밴드부 810 : 밴드부재
820 : 조절부재

Claims (8)

  1. 렌즈가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귀에 걸리는 다리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와 눈 주변의 개방공간을 차단하는 이물질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차단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형상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설치부재; 및
    상기 설치부재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공간을 차단하도록 눈 주변에 밀봉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차단부는 환기부에 의해 습기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환기부는,
    상기 설치부재에서 내부와 외부를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
    상기 관통홀부에 내측면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장착홈부;
    상기 장착홈부에 설치되고, 환기공이 다수 형성되는 필터커버; 및
    상기 필터커버의 측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커버는 결합부에 의해 상기 장착홈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필터커버 또는 상기 장착홈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도록 상기 장착홈부 또는 상기 필터커버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커버에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필터가 설치된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설치부재에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필터와 상기 필터커버가 설치된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차단부는 실리콘을 포함한 연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부재에는 코에 거치되는 코거치부가 마련되고,
    상기 코거치부는 상기 설치부재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는 코에 지지되는 코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차단부는 착탈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후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착탈부; 및
    상기 제1착탈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설치부재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안착부에 의해 상기 설치부재에 밀착 지지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부에서 렌즈 설치부위의 후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돌부; 및
    상기 테두리돌부에 걸림 밀착되도록 상기 설치부재의 전측 테두리에 함몰 형성되는 테두리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부에는 상기 제1착탈부 중에서 중심끼움돌기에 결합되는 분리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코받침부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연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감겨져 분리를 방지하는 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다리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밴드부재; 및
    상기 밴드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밴드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
KR1020190068002A 2019-06-10 2019-06-10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 KR102128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02A KR102128962B1 (ko) 2019-06-10 2019-06-10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02A KR102128962B1 (ko) 2019-06-10 2019-06-10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962B1 true KR102128962B1 (ko) 2020-07-08

Family

ID=7159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002A KR102128962B1 (ko) 2019-06-10 2019-06-10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9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505B1 (ko) 2020-10-30 2021-06-10 (주)디어마인 안경용 보호 쉴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안경
KR20210156544A (ko) *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 스마텍플러스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고글
KR20220124340A (ko) * 2021-03-03 2022-09-14 주식회사 스포컴 프레임 분리에 따라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1244A (ko) * 2005-02-14 2006-08-18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안경 유지 밴드와 그 유지 밴드가 부착된 안경
JP3152412U (ja) * 2009-05-19 2009-07-30 株式会社アックス フード付き眼鏡類
KR101574963B1 (ko) * 2014-03-27 2015-12-08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렌즈의 각도조절과 가스켓의 탈, 부착이 가능한 방진용 안경
KR101751483B1 (ko) * 2016-09-13 2017-06-27 이규원 김서림이 방지된 고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1244A (ko) * 2005-02-14 2006-08-18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안경 유지 밴드와 그 유지 밴드가 부착된 안경
JP3152412U (ja) * 2009-05-19 2009-07-30 株式会社アックス フード付き眼鏡類
KR101574963B1 (ko) * 2014-03-27 2015-12-08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렌즈의 각도조절과 가스켓의 탈, 부착이 가능한 방진용 안경
KR101751483B1 (ko) * 2016-09-13 2017-06-27 이규원 김서림이 방지된 고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544A (ko) *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 스마텍플러스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고글
KR102367657B1 (ko) 2020-06-18 2022-03-02 주식회사 스마텍플러스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고글
KR102263505B1 (ko) 2020-10-30 2021-06-10 (주)디어마인 안경용 보호 쉴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안경
WO2022092392A1 (ko) * 2020-10-30 2022-05-05 (주)디어마인 안경용 보호 쉴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안경
JP2023502160A (ja) * 2020-10-30 2023-01-20 ディアマイ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眼鏡用保護シールド及びそれを備えた機能性眼鏡
KR20220124340A (ko) * 2021-03-03 2022-09-14 주식회사 스포컴 프레임 분리에 따라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
KR102497582B1 (ko) * 2021-03-03 2023-02-15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프레임 분리에 따라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962B1 (ko)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갖는 안경
EP2191736B1 (en) Wearable protective device
JPH03228763A (ja) レンズ交換可能なゴーグル
WO1998038544A9 (en) Protective eyewear with adjustable strap
AU6440598A (en) Protective eyewear with adjustable strap
US20100281605A1 (en) Ear muffs
US20070113325A1 (en) Goggle with interchangeable baffles
US20050128426A1 (en) Goggles with replaceable lens
KR100857295B1 (ko) 안경 프레임에 탈착가능한 보호용 측면보호물
US6789271B2 (en) Eye protection
US10948741B2 (en) Nasal mask structure for eyeglasses
KR101946990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탈부착 보조안경테가 구비된 안경
BRPI0712849A2 (pt) àculos de seguranÇa incluindo um acessàrio de cabo flexÍvel
KR20190063325A (ko) 다기능 안경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JP4974785B2 (ja) 保護眼鏡
JP3550429B2 (ja) ゴーグルにおける矯正眼鏡の取付装置
JP3229051U (ja) 眼鏡
BRPI0712545A2 (pt) àculos de seguranÇa
EP0429899A2 (en) Venting system for eyeglasses
KR200487652Y1 (ko) 운동용 고글
KR20180001030U (ko) 좌우 클립장치와 부분차광판으로 구성된 클립보안경
AU2009101391A4 (en) Ear Muffs
KR200348190Y1 (ko) 개량형 수경
KR20170069371A (ko) 시력 보정용 고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