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448B1 -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 Google Patents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448B1
KR102128448B1 KR1020180105942A KR20180105942A KR102128448B1 KR 102128448 B1 KR102128448 B1 KR 102128448B1 KR 1020180105942 A KR1020180105942 A KR 1020180105942A KR 20180105942 A KR20180105942 A KR 20180105942A KR 102128448 B1 KR102128448 B1 KR 102128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olt
bracket
coupling portion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744A (ko
Inventor
김용덕
정대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0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4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주상 변압기용 행거밴드는 밴드부, 볼트부, 볼트 결합부, 제1 브라켓 결합부, 보조 결합부 및 제2 브라켓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부는 띠 형상을 가져 전주의 둘레에 체결된다. 상기 볼트부는 상기 밴드부의 일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볼트 결합부는 상기 밴드부의 타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볼트 결합부에는 상기 볼트부를 수용하는 관통홀이 정의된다. 상기 제1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밴드부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어 제1 볼트홀을 구비한다. 상기 보조 결합부는 상기 제1 브라켓 결합부에 이격되어 상기 밴드부의 외측 둘레에 고정되고, 상기 보조 결합부에는 걸림홈들이 정의된다. 상기 제2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걸림홈들에 걸리는 구조를 가져 상기 보조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브라켓 결합부에는 제2 볼트홀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HANGER BAND FOR POLE TRANSFORMER}
본 발명은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에 주상 변압기를 고정시키는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지면에 설치되는 일반 변압기와 전주에 설치되는 주상변압기(pole transformer)로 구분된다. 주상변압기는 배전선로를 따라 세워진 전주에 행거 밴드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주상 변압기는 전원 공급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적정 전압으로 감압하여 전원 사용처로 공급한다.
한편, 주상 변압기에는 행거 밴드와 결합되는 브라켓이 설치된다. 따라서, 전주의 둘레에 행거 밴드가 설치되고, 주상 변압기의 브라켓을 행거 밴드에 결합시키면 주상 변압기는 전주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주상 변압기를 전주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전주의 상부에는 상부 행거 밴드 및 전주의 하부에는 하부 행거 밴드가 설치되며, 주상 변압기의 상부에는 상부 브라켓 및 주상 변압기의 하부에는 하부 브라켓을 걸치하여, 전주의 상부 및 하부 각각을 전주에 고정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상 변압기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보다 수월해지고, 주상 변압기의 상하부 지지구조에 따라 상이한 구조를 갖는 브라켓들에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행거 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주 및 주상 변압기에 설치된 브라켓에 결합되어 주상 변압기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주상 변압기용 행거(hanger) 밴드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행거 밴드는 밴드부, 볼트부, 볼트 결합부, 제1 브라켓 결합부, 보조 결합부 및 제2 브라켓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부는 띠 형상을 가져 전주의 둘레에 체결된다. 상기 볼트부는 상기 밴드부의 일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볼트 결합부는 상기 밴드부의 타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볼트 결합부에는 상기 볼트부를 수용하는 관통홀이 정의된다.
상기 제1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밴드부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어 제1 볼트홀을 구비한다. 상기 보조 결합부는 상기 제1 브라켓 결합부에 이격되어 상기 밴드부의 외측 둘레에 고정되고, 상기 보조 결합부에는 걸림홈들이 정의된다.
상기 제2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걸림홈들에 걸리는 구조를 가져 상기 보조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브라켓 결합부에는 제2 볼트홀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홈들은 서로 이격된 제1 걸림홈 및 제2 걸림홈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2 브라켓 결합부는 제1 측벽, 제2 측벽 및 제3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제1 걸림홈에 수용되는 제1 걸림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제1 측벽과 마주하고,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제2 걸림홈에 수용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3 측벽은 상기 제1 측벽을 상기 제2 측벽에 연결하여 상기 밴드부와 마주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볼트홀은 상기 제3 측벽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볼트홀은 상기 밴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볼트홀의 상기 제3 측벽의 너비 방향으로 확장된 장홀(long hole)의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1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밴드부와 수직으로 결합된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볼트홀은 상기 제1 브라켓 연결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라켓 결합부 및 상기 제2 브라켓 결합부는 다수로 교번적으로 상기 밴드부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밴드부와 상기 볼트부는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는 상기 볼트 결합부를 관통한 상기 볼트부와 결합되는 너트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홀의 주변에는 상기 볼트 결합부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너트부가 진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너트부의 진입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행거밴드의 밴드부에 주상변압기의 상부 브라켓 결합용 제1 브라켓 결합부와 주상변압기의 하부 브라켓 결합용 제2 브라켓 결합부가 결합되므로, 행거밴드는 주상 변압기의 상하부 지지구조에 따라 상이한 구조를 갖는 브라켓들에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브라켓 결합부는 밴드부에 고정된 보조 결합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행거 밴드의 사용 용도에 따라 행거 밴드에 제2 브라켓 결합부가 필요가 없을 경우에, 행거 밴드로부터 제2 브라켓 결합부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행거밴드를 이용하여 전주에 주상 변압기를 고정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자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 밴드들에 의해 전주에 고정된 주상변압기들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행거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행거밴드의 볼트부와 볼트 결합부가 너트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너트를 이용하여 행거밴드의 볼트부와 볼트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 밴드들에 의해 전주에 고정된 주상변압기들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주(EP)에 제1 주상변압기(10) 및 제2 주상변압기(20)가 설치된다. 제1 및 제2 주상변압기들(10, 20)은 전원 공급처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적정 전압으로 감압하여 감압된 전력이 전원 사용처로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행거 밴드들(100, 100-1)에 의해 제1 및 제2 주상변압기들(10, 20)이 전주(EP)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주상변압기들(10, 20)의 각각에 상부 브라켓(BK1) 및 하부 브라켓(BK2)이 설치되고, 두 개의 행거 밴드들(100, 100-1) 중 상측에 위치한 하나가 전주(EP)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브라켓(BK1)과 결합되고, 두 개의 행거 밴드들(100, 100-1) 중 하측에 위치한 다른 하나가 전주(EP)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 브라켓(BK2)에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행거 밴드들(100, 100-1)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나, 두 개의 행거 밴드들(100, 100-1)의 각각이 상부 브라켓(BK1)과 결합되는 구조는 하부 브라켓(BK2)과 결합되는 구조와 상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행거 밴드들(100, 100-1)의 각각은 밴드부(110), 제1 브라켓 결합부(120) 및 제2 브라켓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두 개의 행거 밴드들(100, 100-1)의 각각의 제1 브라켓 결합부(120)는 제1 결합구조로 제1 볼트(30)에 의해 상부 브라켓(BK1)과 결합된다. 또한, 두 개의 행거 밴드들(100, 100-1)의 각각의 제2 브라켓 결합부(130)는 제2 결합구조로 제2 볼트(20)에 의해 하부 브라켓(BK2)과 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결합구조는 상기 제2 결합구조와 상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결합구조에서는 제1 볼트(30)의 길이 방향이 제1 방향이라고 하면, 상기 제2 결합구조에서는 제2 볼트(20)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행거 밴드들(100, 100-1)의 각각은 상부 브라켓(BK1) 결합용뿐 만 아니라 하부 브라켓(BK2) 결합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주상 변압기의 상부 및 하부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행거 밴드들을 일원화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행거 밴드들(100, 100-1)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두 개의 행거 밴드들(100, 100-1) 중 상부 브라켓(BK1)과 결합된 행거밴드(10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행거밴드(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행거밴드(100)는 밴드부(170), 볼트부(140), 볼트 결합부(150), 제1 브라켓 결합부들(120), 보조 결합부들(160), 제2 브라켓 결합부들(130), 및 너트부(145)를 포함한다.
밴드부(170)는 띠 형상을 갖는다. 행거 밴드(100)에서 밴드부(170)는 전주(EP)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어 전주(EP)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밴드부(170)의 일 단부에 배치된 볼트부(140)가 밴드부(170)의 타단부에 배치된 볼트 결합부(150)와 결합된다. 이 경우에, 밴드부(170)는 폐루프(closed loop)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폐루프의 형상의 내부에 전주(도 1의 EP)가 위치되어 밴드부(170)가 전주의 둘레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밴드부(170)는 다수의 부분들로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부분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부분들은 연결핀(175)에 의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밴드부(170)의 연결핀(175)에 의해 힌지 결합된 부분들이 힌지 이동되어 밴드부(170)의 전체 형상이 보다 개방될 수 있으므로, 밴드부(170)를 전주의 둘레에 체결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볼트부(140)는 밴드부(17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볼트부(140)는 밴드부(170)와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볼트부(140)는 밴드부(170)에 고정될 수 있다. 볼트부(140)의 겉면에는 너트부(145)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나사홈의 구조와 결합될 수 나사산/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결합부(150)는 관통홀(155)을 구비하여 밴드부(170)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밴드부(170)가 전주(도 1의 EP)의 둘레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경우에, 볼트 결합부(150)는 볼트부(140)와 마주할 수 있으며, 관통홀(155)의 내부로 볼트부(140)가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155)을 관통한 볼트부(140)에 너트부(145)를 체결하고, 너트부(145)를 조이는 경우에 볼트 결합부(150) 및 볼트부(140) 간에 체결이 구현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결합부들(120)은 밴드부(170)의 외측 둘레에 서로 이격되어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행거밴드(100)에서 제1 브라켓 결합부들(120)은 주상 변압기(도 1의 10)의 상부 브라켓(도 1의 BK1)과 결합되는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밴드부(170)에서 제1 브라켓 결합부들(120)의 위치들은 서로 상이하나, 제1 브라켓 결합부들(120)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브라켓 결합부들(120) 중 하나의 제1 브라켓 결합부(12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 브라켓 결합부(120)는 밴드부(170)의 외측 둘레에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브라켓 결합부(120)는 밴드부(170)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브라켓 결합부(120)에는 제1 볼트(도 1의 30)와 결합되는 제1 볼트홀(BH1)이 정의되며, 제1 볼트홀(BH1)은 제1 브라켓 결합부(12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정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볼트홀(BH1)의 길이 방향은 제1 브라켓 결합부(120)의 폭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보조 결합부들(160)은 밴드부(170)의 외측 둘레에 서로 이격되어 결합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밴드부(170)에서 보조 결합부들(160)은 제1 브라켓 결합부들(120)과 교번적으로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조 결합부들(160)의 위치들은 서로 상이하나, 보조 결합부들(160)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보조 결합부들(160) 중 하나의 보조 결합부(16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나머지 보조 결합부들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된다.
보조 결합부(160)는 제1 브라켓 결합부(120)와 이격되어 밴드부(170)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조 결합부(160)는 밴드부(170)와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조 결합부(160)는 제2 브라켓 결합부(130)를 밴드부(17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보조 결합부(160)에는 걸림홈들이 정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결합부(160)에는 제1 걸림홈(H1), 제2 걸림홈(H2) 및 제3 걸림홈(H3)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걸림홈(H1)은 보조 결합부(160)의 상단에 정의되고, 제2 걸림홈(H2)은 보조 결합부(160)의 상단에서 제1 걸림홈(H1)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정의된다. 또한, 제3 걸림홈(H3)은 보조 결합부(160)의 하단에 정의되어 제1 걸림홈(H1)의 아래에 정의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4 걸림홈(미도시)은 보조 결합부(160)의 하단에 정의되어 제2 걸림홈(H2)의 아래에 정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걸림홈들의 위치들은 서로 상이하나, 걸림홈들의 구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홈들 중 제1 걸림홈(H1)의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결합부(160)의 외측은 제1 걸림부(P1)가 인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며, 보조 결합부(160)의 개구된 부분과 연결된 보조 결합부(160)의 내측이 일 깊이로 제거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결합부(160)에는 외부로 노출된 부분과 이에 연결되는 내측 부분에 단차가 형성되어 제1 걸림홈(H1)이 보조 결합부(160)에 정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결합부들(130)은 밴드부(170)의 외측 둘레에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고, 제2 브라켓 결합부들(130)은 보조 결합부들(160)에 일대일 대응하여 결합되어 밴드부(170)의 외측 둘레에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 브라켓 결합부들(130)은 밴드부(170)와 제1 브라켓 결합부들(120)과 교번적으로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행거밴드(100)에서 제2 브라켓 결합부들(130)은 주상 변압기(도 1의 10)의 하부 브라켓(도 1의 BK2)과 결합되는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밴드부(170)에서 제2 브라켓 결합부들(130)의 위치들은 서로 상이하나, 제2 브라켓 결합부들(130)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2 브라켓 결합부들(130) 중 하나의 제2 브라켓 결합부(13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 브라켓 결합부(130)는 제1 측벽(131), 제2 측벽(132) 및 제3 측벽(133)을 포함한다.
제1 측벽(131)은 제1 걸림홈(H1)에 수용되는 제1 걸림부(P1)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걸림부(P1)가 제1 걸림홈(H1)에 수용되는 경우에, 제1 측벽(131)은 보조 결합부(160)에 결합된다.
제2 측벽(132)은 제1 측벽(131)과 마주한다. 또한, 제2 측벽(132)에는 제2 걸림홈(H2)에 수용되는 제2 걸림부(P2)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2 걸림부(P2)가 제2 걸림홈(H2)에 수용되는 경우에, 제2 측벽(132)은 보조 결합부(160)에 결합된다.
제3 측벽(133)은 제1 측벽(131)을 제2 측벽(132)에 연결하여 밴드부(170)와 마주한다. 또한, 제3 측벽(133)에 제2 볼트(도 1의 20)와 결합되는 제2 볼트홀(BH2)이 정의되며, 제2 볼트홀(BH2)은 제3 측벽(133)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정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볼트홀(BH1)은 제1 브라켓 결합부(120)의 폭 방향으로 제1 브라켓 결합부(120)를 관통하는 형상이므로, 제1 볼트홀(BH1)의 길이 방향은 밴드부(170)가 제1 브라켓 결합부(120)과 연결된 부위에 대해 대략적으로 수평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3 측벽(133)은 밴드부(170)와 마주하므로, 제2 볼트홀(BH2)의 길이 방향은 밴드부(170)와 제2 브라켓 결합부(130)과 연결된 부위를 향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3 측벽(133)의 정면방향에서 볼 때 제2 볼트홀(BH2)은 제3 측벽(133)의 너비 방향으로 확장된 장홀(long hol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밴드(100)를 이용하여 주상 변압기(도 1의 10)를 전주(도 1의 EP)의 하단부 고정용 하부 브라켓(도 1의 BK2)과 결합될 때, 전주(도 1의 EP)의 상단부보다 하단부의 원주 폭이 다소 크더라도, 전주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간의 원주폭의 차이에 대응되도록 제2 볼트홀(BH2)에 결속되는 볼트를 제2 볼트홀(BH2)의 확장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볼트가 제2 볼트홀(BH2)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행거 밴드(100)는 주상 변압기(도 1의 10)의 상부 브라켓(도 1의 BK1)과 결합되는 제1 브라켓 결합부(120) 및 하부 브라켓(도 1의 BK2)과 결합되는 제2 브라켓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따라서, 행거 밴드(100)는 주상 변압기의 상부 브라켓(도 1의 BK1) 또는 하부 브라켓(도 1의 BK2)의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행거 밴드(100)가 주상 변압기의 상부 브라켓 결합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행거 밴드(100)에서 하부 브라켓 결합용으로 사용되는 제2 브라켓 결합부(130)가 필요 없으므로, 행거 밴드(100)에서 제2 브라켓 결합부(130)는 보조 결합부(160)로부터 착탈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행거밴드(100)를 이용하여 전주(도 1의 EP)에 주상 변압기를 고정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자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행거밴드의 볼트부와 볼트 결합부가 너트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밴드부(170)의 일 단부에는 볼트부(140)가 구비되고, 밴드부(170)의 타 단부에는 볼트 결합부(150)가 구비된다. 볼트부(140)는 볼트 결합부(150)에 정의된 관통홀(155)을 관통한다.
또한, 너트부(145)는 관통홀(155)을 관통한 볼트부(140)에 결합되고, 너트부(145)가 볼트 결합부(150)를 죄여 볼트부(140) 및 볼트 결합부(150)가 상호 간에 결합된다. 너트부(145)를 이용한 볼트부(140) 및 볼트 결합부(150) 간에 결합력에 의해 밴드부(170)의 양단부들이 결속되어 밴드부(170)는 띠 형상으로 구현되어 전주(도 1의 EP)의 둘레에 결속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관통홀(155)은 장홀(long hole)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볼트부(140)를 장홀 내에서 장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전주(도 1의 EP)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볼트부(140)를 볼트 결합부(1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관통홀(155)에는 너트부(145)의 진입 방향으로 너트부(145)의 진입을 방지하는 걸림턱(157)이 정의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은 너트를 이용하여 행거밴드의 볼트부와 볼트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볼트부(140)가 볼트 결합부(150)의 관통홀(155)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부(145)가 관통홀(155) 측으로 제공된다.
볼트 결합부(150)의 일 측으로부터 너트부(145)가 관통홀(155) 측으로 진입하는 제1 방향(DR1)을 정의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관통홀(155)의 주변에는 제1 방향(DR1)으로 진입하는 너트부(145)의 진입을 방지하는 걸림턱(157)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걸림턱(157)은 볼트 결합부(150)에 관통홀(155)을 형성할 때, 관통홀(155)을 정의하는 바닥면(156)보다 더 깊은 깊이로 걸림턱(157)을 형성하여 바닥면(156) 및 걸림턱(157) 간에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너트부(145)가 제1 방향(DR1)으로 진입하여 볼트부(140)와 체결될 때, 너트부(145)의 외측면은 바닥면(156) 및 걸림턱(157) 간에 형성된 단차면에 접촉되어 너트부(145)가 제1 방향(DR1)으로의 더 이상의 진입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너트부(145)를 볼트부(140)의 끝 부분까지 체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너트부(145)를 이용하여 볼트부(140) 및 볼트결합부(150) 간의 체결 작업이 보다 수월해지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볼트부(140)가 밴드부(170)에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므로, 별도의 볼트를 너트부(145)에 체결시키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볼트부(140) 및 너트부(145) 간의 체결 작업이 보다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너트부(145)는 볼트부(140)에 기 체결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에, 행거밴드(100)에서 너트부(145)는 볼트부(140)와 기 체결된 상태이므로, 볼트부(140)와 체결된 너트부(145)를 관통홀(155)에서 너트부(145)보다 큰 직경을 갖는 부분을 통해 관통홀(155)에 인입시킨 후에, 너트부(145)를 관통홀(155)에서 너트부(145)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부분으로 이동시킨 후에 너트부(145)를 걸림턱(157)까지 조여 볼트부(145) 및 볼트 결합부(150) 간의 체결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EP: 전주 10: 제1 주상 변압기
BK1: 상부 브라켓 BK2: 하부 브라켓
100: 행거 밴드 120: 제1 브라켓 결합부
130: 제2 브라켓 결합부 160: 보조 결합부
BH1: 제1 볼트홀 BH2: 제2 볼트홀
140: 볼트부 150: 볼트 결합부
145: 너트부

Claims (11)

  1. 전주 및 주상 변압기에 설치된 브라켓에 결합되어 주상 변압기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주상 변압기용 행거(hanger) 밴드에 있어서,
    띠 형상을 가져 전주의 둘레에 체결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일 단부에 결합된 볼트부;
    상기 밴드부의 타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부를 수용하는 관통홀이 정의된 볼트 결합부;
    상기 밴드부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어 제1 볼트홀을 구비하는 제1 브라켓 결합부;
    상기 제1 브라켓 결합부에 이격되어 상기 밴드부의 외측 둘레에 고정되고, 걸림홈들이 정의된 보조 결합부; 및
    상기 걸림홈들에 걸리는 구조를 가져 상기 보조 결합부에 결합되고, 제2 볼트홀을 구비하는 제2 브라켓 결합부를 포함하는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들은 서로 이격된 제1 걸림홈 및 제2 걸림홈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제1 걸림홈에 수용되는 제1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과 마주하고, 상기 제2 걸림홈에 수용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을 상기 제2 측벽에 연결하여 상기 밴드부와 마주하는 제3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트홀은 상기 제3 측벽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트홀은 상기 밴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트홀의 상기 제3 측벽의 너비 방향으로 확장된 장홀(long hole)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6.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1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밴드부와 수직으로 결합된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용 행거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트홀은 상기 제1 브라켓 연결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 결합부 및 상기 제2 브라켓 결합부는 다수로 교번적으로 상기 밴드부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와 상기 볼트부는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결합부를 관통한 상기 볼트부와 결합되는 너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주변에는 상기 볼트 결합부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너트부가 진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너트부의 진입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KR1020180105942A 2018-09-05 2018-09-05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KR102128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942A KR102128448B1 (ko) 2018-09-05 2018-09-05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942A KR102128448B1 (ko) 2018-09-05 2018-09-05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744A KR20200027744A (ko) 2020-03-13
KR102128448B1 true KR102128448B1 (ko) 2020-06-30

Family

ID=6993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942A KR102128448B1 (ko) 2018-09-05 2018-09-05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325B1 (ko) * 2021-04-25 2021-07-06 김건우 변압기 고정장치
CN116936225B (zh) * 2022-12-12 2024-07-19 张家界林德建设工程有限公司 变压器装配支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226Y1 (ko) 2006-06-29 2006-09-12 (주) 나우엔지니어링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
KR100890469B1 (ko) 2008-10-01 2009-03-31 동재감리 주식회사 배전용 전기설비의 관리효율을 높인 전신주
KR101554855B1 (ko) 2015-07-23 2015-09-22 (주)이림엔지니어링 변전용 변압기의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152A (ko) * 2011-07-27 2013-02-06 한국전력공사 변압 장치를 전신주에 고정시키는 행거 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226Y1 (ko) 2006-06-29 2006-09-12 (주) 나우엔지니어링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
KR100890469B1 (ko) 2008-10-01 2009-03-31 동재감리 주식회사 배전용 전기설비의 관리효율을 높인 전신주
KR101554855B1 (ko) 2015-07-23 2015-09-22 (주)이림엔지니어링 변전용 변압기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744A (ko)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448B1 (ko) 주상 변압기용 행거 밴드
CN102314814B (zh) Led箱体、led显示屏及维护工具
US7307213B1 (en) Horizontal electrical box with internal mounting arrangement
JP2011171617A (ja) 鉄道車両の電線ケーブル導入部防水装置
US10024345B2 (en) Fixing device for a circuit plate to a carrier,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fixing a circuit plate to a carrier
US20160230416A1 (en) Handle
US20100078532A1 (en) Prefabricated mounting bracket assembly
BR0211692B1 (pt) sistema, elemento de aperto e contra-elemento para união de elementos perfilados.
KR20120086543A (ko) 단일 조임스크류를 갖는 접지용구
KR101306098B1 (ko) 태양 전지 모듈용 클램프
KR200432250Y1 (ko) 착탈이 용이한 클램프
JP5880236B2 (ja) 配線ダクトのコード類引出装置
US7813144B2 (en) Control apparatus
US9490618B2 (en) Electrical splice box
JP3210941U (ja) 電気配管や電気ボックス等の取付治具
KR20130004201U (ko) 케이블 클리트 조립체
KR20060123870A (ko)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KR20190125614A (ko) 케이블 행거장치
KR100453145B1 (ko) 가공지선 지지대의 접지선 연결 구조
CN206877765U (zh) 一种新型防拆绝缘子
JP2009281423A (ja) 被取付物を取付用レールに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金具
KR200489954Y1 (ko) 수배전반용 프레임 연결 브래킷
JP2002291537A (ja) オプション取付構造
KR101031867B1 (ko) 배전 박스용 연결구
JP5185215B2 (ja) ガス栓の取付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