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452B1 -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452B1
KR102127452B1 KR1020180087277A KR20180087277A KR102127452B1 KR 102127452 B1 KR102127452 B1 KR 102127452B1 KR 1020180087277 A KR1020180087277 A KR 1020180087277A KR 20180087277 A KR20180087277 A KR 20180087277A KR 102127452 B1 KR102127452 B1 KR 102127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uttle device
control unit
upwardly extending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240A (ko
Inventor
방계환
Original Assignee
어업회사법인어진수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업회사법인어진수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업회사법인어진수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452B1/ko
Priority to PCT/KR2018/008591 priority patent/WO2020022542A1/ko
Publication of KR20200012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5/22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02P60/64

Abstract

본 발명은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산 생물 및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이 열과 행을 형성하면서 배치되는 개체 서식부; 상기 하우징이 행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상기 하우징이 열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상향 연장부와 상기 하우징이 열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상향 연장부와 상기 제1상향 연장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상향 연장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한 셔틀 장치; 상기 제1상향 연장부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에 배치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셔틀 장치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개체 서식부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Aquaculture stacked tank system for individual smart culture using shuttle apparatus}
본 발명은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을 따라 자동 먹이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셔틀 장치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셔틀 장치를 통해 수생 사육생물이 수용된 개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기준으로 수생 양식 생물의 사육상태를 자동으로 판별하며, 수생 양식 생물의 먹이 공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양식기술의 발전으로 양식 대상생물을 바다가 아닌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 도심지 등의 통제된 시설 내에서 다양한 종의 생물을 양식하는 개념의 양식방법도 등장하고 있다.
또한, 농업 분야에서 적용된 스마트팜과 같은 유사하 스마트 양식을 추진하고 있으며 미래의 식량산업으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향후 이러한 스마트형 수산 양식은 대세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어패류, 갑각류 등의 품종들이 다양한 양식 방법으로 양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육상에서 이루어지는 수조식 양식의 경우 사육밀도가 높거나 성장과정 중 대.소 차이가 클 경우 종간 공간 경쟁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때로는 동종 생물이나 이종 생물 간 공식(서로 잡아먹는 현상)으로 인해 사육생물의 폐사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 특히 갑각류 양식의 경우 허물을 벗는 생리적 행위가(탈피현상) 이루어져야 정상적인 성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탈피 현상은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나지 않으며 먼저 탈피한 개체는 갑각(껍질)이 단단하게 되기 까지는 2-4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탈피한 개체는 갑각이 연하기 때문에 탈피하지 않은 개체의 좋은 먹이로 공식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갑각류 양식의 경우 이러한 공식현상으로 인하여 생존율이 낮아 양식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다.
갑각류 중 부가가치가 높은 보리새우, 꽃게, 참게, 큰징거미새우 등은 공식현상이 높은 대표 종으로 공식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개체별 사육시스템의 개발이 수반되어야 양식산업화의 기반조성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개체별 사육은 사육생물을 각 각의 수조에 한마리씩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개체별 사육수조 시스템은 먹이를 각각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사육생물의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대형마트, 수산시장, 활어 시장에서는 소비자에게 어패류 등의 수산 생물을 판매할 목적으로 수조에 어패류를 혼합하여 사육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수조에서 수산 생물을 혼합 사육하는 경우, 사육되는 이종의 다수의 수산 생물들에게 종간 공간 경쟁에 의한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며, 때로는 동종생물이나 이종 생물 간 공식(서로 잡아먹는 현상)으로 인한 사육 수산 생물의 손실을 입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조의 공간을 나눠서 수산 생물을 사육하는 것이 좋지만, 공간상의 제약에 의해 수조의 공간을 나누는 것이 쉽지 않을 실정이다. 또한, 수조의 공간을 나눠서 수산 생물을 사육하는 경우, 나눠진 공간에서 사육되는 수산 생물을 각각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수조를 관리하는 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수조의 공간을 나눠서 수산 생물을 사육하는 경우, 나눠진 공간마다 먹이를 각각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수산 생물의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을 따라 자동 먹이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셔틀 장치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셔틀 장치를 통해 수생 사육생물이 수용된 개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기준으로 수생 양식 생물의 사육상태를 자동으로 판별하며, 수생 양식 생물의 먹이 공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은, 수산 생물 및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이 열과 행을 형성하면서 배치되는 개체 서식부; 상기 하우징이 행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상기 하우징이 열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상향 연장부와 상기 하우징이 열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상향 연장부와 상기 제1상향 연장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상향 연장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한 셔틀 장치; 상기 제1상향 연장부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에 배치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셔틀 장치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개체 서식부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은 제1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셔틀 장치의 운행 속도와,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셔틀 장치가 왕복 슬라이드 이동하는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은 제2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셔틀 장치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하우징을 촬영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영상에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수산 생물을 인식하여, 수산 생물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의 상기 하우징은 판독 가능한 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영상에서 상기 인식부를 인식하여, 상기 하우징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식부는 QR 코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은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인식부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을 구별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은 상기 셔틀 장치는 먹이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향 연장부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를 바라보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셔틀 장치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먹이 공급 장치에서 상기 주입구로 먹이가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은 제3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셔틀 장치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하우징을 촬영하며, 상기 제3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영상에서 상기 하우징에 공급된 먹이를 인식하여, 상기 먹이 공급 장치의 먹이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의 상기 먹이 공급 장치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열려 있으며, 먹이가 저장될 수 있는 먹이 공급통과, 상기 제1상향 연장부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상향 연장부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제1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날개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먹이 공급통의 하부와 연통되는 상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부의 측면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측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의 상기 개체 서식부에서 동일한 행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의 주입구는, 동일한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날개부는,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의 주입구가 배치되는 선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의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는 출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출수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출수구가 위치한 부분을 구획하는 이중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이중 격벽은 제1격벽 및 제2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은 상기 제1격벽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출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격벽은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출수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격벽의 높이는 상기 제1격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제1격벽의 하부 출수구에서 출수되어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 사이의 공간을 지나 상기 제2격벽의 상단부를 넘어 상기 출수구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은 상기 개체 서식부의 최하단 행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서 출수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순환 수조와, 상기 순환 수조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개체 서식부의 최상단 행에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에 공급할 수 있는 펌프와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은 제4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제어부는, 상기 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의 수산 생물을 사육의 시작, 육성, 완료(생산)에 이르기까지 최소 단위의 수조에 개별적으로 해당 수산 생물에 대한 최상의 생태, 사육 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육 공간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부를 통해 수산 생물의 상태를 자동으로 판별함에 따라 수산 생물의 관리가 용이하며, 카메라부를 통해 하우징 내부의 먹이 상태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함에 따라, 수조의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인식부와 주입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셔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셔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먹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날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제어부, 제2제어부, 제3제어부, 제4제어부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셔틀 장치를 통해 수산 생물이 수용된 개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기준으로 수산 생물의 상태를 자동으로 판별하며, 수산 생물의 먹이 공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은, 하우징(110), 개체 서식부(120), 레일(130), 셔틀 장치(14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은 수산 생물 및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10)은 수산 생물이 사육될 수 있는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110)이 적층됨에 따라 분리되어 있는 복수 개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정육면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 직육면체,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적층형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이 위치한 공간의 크기나 환경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부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면은 개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면에는 거치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17)는 하부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보다 더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상기 하우징(110)을 적층할 때, 상부에 놓이는 하우징(110)의 거치부(117)가 하부에 놓이는 하우징(110)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어,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110)이 적층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은 판독 가능한 인식부(11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인식부(111)는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판독 가능한 상기 인식부(111)는 후술할 카메라부(150)가 상기 하우징(110)을 촬영하였을 때, 촬영된 영상을 통해 제어부(제2제어부(162))가 인식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인식부(111)는 QR 코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가 촬영된 영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을 관통하는 주입구(11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주입구(112)는 먹이가 상기 하우징(110)에 공급될 수 있는 입구가 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는 출수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13)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 하단부의 일 모서리에 위치되어 있는 삼각형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원형이나 사각형일 수도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 하단부의 일 변을 따라 개구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출수구(113)가 마련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이 적층되면, 상부의 하우징(110)에서 하부의 하우징(110)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출수구(113)는 배수구로 상기 하우징(110)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수구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출수구(113)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출수구(113)가 위치한 부분으로 구획할 수 있는 이중 격벽(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 격벽(114)은 상기 출수구(113)의 인접 부분에서 종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상기 이중 격벽(114)은 제1격벽(115)과 제2격벽(1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115)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탈부착되게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격벽(115)은 상기 제1격벽(115)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출수구(115a)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출수구(115a)는 상기 제1격벽(115) 하부에서 상기 제1격벽(115)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상기 하부 출수구(115a)는 상기 하우징(110)의 물이 이동할 수 있는 배수부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구멍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격벽(116)은 상기 제1격벽(115)과 상기 출수구(1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격벽(116)도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탈부착되게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격벽(116)은 상기 제1격벽(115) 보다 높이가 낮은 것으로,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제1격벽(115)의 상기 하부 출수구(115a)에서 출수되어, 상기 제1격벽(115)과 상기 제2격벽(116) 사이의 공간을 지나 상기 제2격벽(116)의 상단부를 넘어 상기 출수구(113)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격벽(115)의 하부에 상기 하부 출수구(115a)를 마련하고, 상기 제1격벽(115) 보다 높이가 낮은 상기 제2격벽(116)을 배치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물의 높이를 상기 제2격벽(116)의 높이로 맞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격벽(116)의 높이를 변경하면,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물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격벽(115)은 상기 제1격벽(115)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출수구(115b)와 상기 상부 출수구(115b) 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오버 플로우 출수구(11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출수구(115b)와 상기 오버 플로우 출수구(115c)는 상기 제1격벽(115) 상부에서 상기 제1격벽(115)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물 또는 이물질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상기 상부 출수구(115b)와 상기 오버 플로우 출수구(115c)는 상기 하우징(110)의 물이 이동할 수 있는 배수부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구멍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수 공간 내의 수산 생물 등으로 인하여 상기 저수 공간 내의 물의 표면에 유막이나 비중이 작은 부유물이 떠다닐 수 있는데, 이러한 유막이나 부유물은 상기 제1격벽(115)의 상기 상부 출수구(115b)를 통하여 상기 출수구(113)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출수구(115b)는 상기 하부 출수구(115a)의 예비적인 출수구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출수구(115a)가 부유물이나 슬러지에 의해 막히게 되는 경우,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은 상기 상부 출수구(115b)를 통해 상기 출수구(113)로 배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격벽(115)은 상기 하부 출수구(115a) 및 상기 상부 출수구(115b) 외에도, 상기 오버 플로우 출수구(115c)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저수 공간의 수위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경우, 상기 오버플로우 출수구(115c)를 통하여서도 물이 출수(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물 또는 물과 함께 수산 생물이나 기타 상기 저수 공간에 설치된 구조물들이 상기 제1격벽(115) 위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개체 서식부(120)는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110)이 열과 행을 형성하면서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개체 서식부(120)는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110)이 적층된 것으로, 하나의 상기 하우징(110)이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면서 구획화된 수조이다.
상기 개체 서식부(120)는 도 1과 같이,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110)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면서 열을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110)이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면서 행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이 행을 형성하는 것은, 수평 방향으로 가로 및 세로의 행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110)이 열을 형성하면서 적층될 때, 하나의 열에서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110)의 이중 격벽(114)은 나란한 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이 적층될 때, 상부에 있는 하우징(110)의 출수구(113)에서 하부에 있는 하우징(110)의 저수 공간으로 물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하나의 열에서 인접하는 하우징(110)의 이중 격벽(114)이 나란한 선 상에 설치되면(상부에 있는 하우징(110)의 이중 격벽(114)과 하부에 있는 하우징(110)의 이중 격벽(114)이 나란한 선상에 설치되면), 상부에 있는 하우징(110)의 출수구(113)와 하부에 있는 하우징(110)의 출수구(113)가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하부에 있는 하우징(110)의 저수 공간으로 물이 차오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110)이 열을 형성하면서 적층될 때, 하나의 열에서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110)의 이중 격벽(114)은 나란한 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개체 서식부(120)의 최하단 행의 아래에는 상기 하우징(110)에서 출수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순환 수조(190)가 배치된다. 상기 순환 수조(190)에는 최하단 행의 상기 하우징(110)에서 출수되는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여과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기를 통해 물을 여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여과기에서 여과된 물은 상기 개체 서식부(120)의 최상단 행에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110)에 다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환 수조(190)에서부터 상기 개체 서식부(120)의 최상단 행에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110)까지 공급관(191)이 연장되어 있고, 펌프를 통해 상기 순환 수조(190)에서 여과된 물이 상기 개체 서식부(120)의 최상단 행에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110)에 다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130)은 상기 하우징(110)이 행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레일(130)은 상기 개체 서식부(120) 하부의 양측에서, 상기 개체 서식부(120)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10)이 행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130)은 후술할 상기 셔틀 장치(140)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이 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셔틀 장치(140)는 상기 레일(1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제1상향 연장부(141)와 제2상향 연장부(142)와 수평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는 상기 하우징(110)이 열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와 이격된 곳에서, 상기 하우징(110)이 열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의 하부에는 바퀴(144)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바퀴(144)가 상기 레일(130)에 올려지면서 상기 셔틀 장치(140)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부(143)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의 상부에서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의 상부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의 상부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의 상부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셔틀 장치(140)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 상기 수평부(143)를 포함하면서, 역 U자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의 하부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의 하부는 상기 개체 서식부(120)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레일(130)에 각각 올려지게 되고, 상기 레일(130)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130)을 따라 상기 셔틀 장치(140)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개체 서식부(120)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셔틀 장치(140)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 사이의 이격공간에 상기 개체 서식부(120)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레일(130)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셔틀 장치(140)는 상기 카메라부(150)와 후술할 먹이 공급 장치(18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셔틀 장치(140)가 상기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개체 서식부(120)를 촬영하거나 먹이를 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부(150)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에 상기 카메라부(150)가 배치된다면, 상기 카메라부(150)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를 바라보면서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상기 카메라부(150)를 도시하지 않았으며, 상기 카메라부(150)는 상기 하우징(110)을 촬영할 수 있다면,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의 다양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에 상기 카메라부(150)가 배치된다면, 상기 카메라부(150)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를 바라보면서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카메라부(150)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150)를 배치하면,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 사이의 이격공간을 상기 개체 서식부(120)가 통과할 때, 상기 카메라부(150)를 통해 상기 개체 서식부(120)(상기 하우징(110))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카메라부(150)가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 배치될 때, 상기 카메라부(150)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하는 상기 카메라부(150)가 떨어져 있는 간격은 상기 하우징(110)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150)를 배치함으로써, 하나의 상기 카메라부(150)로 상기 개체 서식부(120)의 하나의 행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셔틀 장치(140)는 상기 먹이 공급 장치(1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를 바라보는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상기 주입구(1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레일(130)을 따라 상기 셔틀 장치(140)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상기 셔틀 장치(140)의 상기 먹이 공급 장치(180)에서 상기 주입구(112)로 먹이가 공급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에 수용되어 있는 수산 생물에 먹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먹이 공급 장치(180)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먹이 공급통(181), 회전축(182), 제1날개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먹이 공급 장치(180)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 각각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먹이 공급통(181)은 먹이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것으로, 수산 생물의 먹이가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먹이 공급통(181)은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하부가 열려 있어, 하부를 통해 먹이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82)은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에 결합될 수 있는 축으로, 후술할 상기 제1날개부(183)가 회전할 수 있는 축이 된다. 상기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상기 제1날개부(183)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2날개부(18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날개부(183)는 상기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182)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182)에는 상기 제1날개부(183)가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의 외측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탄성체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체는 스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날개부(183)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원래의 상태가 되는 것으로, 상기 제1날개부(183)에 힘을 가하면 상기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날개부(183)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회전축(182)에 마련되어 있는 탄성체에 의해 상기 제1날개부(183)에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제1날개부(183)는 원래의 상태(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상기 제1날개부(183)는 내부가 비어있는 것으로, 상기 제1날개부(183)는 상부홀(183a)과 측부홀(183b)을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홀(183a)은 상기 제1날개부(183)의 상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1날개부(183)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먹이 공급통(181)의 하부와 연통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날개부(183)가 힘을 받아 상기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날개부(183)의 상부홀(183a)은 하부가 열려있는 상기 먹이 공급통(181)과 나란하게 위치하면서 연통되고, 상기 먹이 공급통(181)에 있던 먹이가, 상기 제1날개부(183) 내부로 유입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날개부(183)의 측면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측부홀(18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홀(183b)은 먹이가 방출될 수 있는 곳으로, 상기 상부홀(183a)을 통해 유입된 먹이는 상기 측부홀(183b)을 통해 방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셔틀 장치(140)와 상기 먹이 공급 장치(180)를 통해 상기 개체 서식부(120)의 상기 하우징(110)에 먹이를 주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셔틀 장치(140)에 포함되는 상기 먹이 공급 장치(180)의 상기 제1날개부(183)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날개부(183)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셔틀 장치(140)가 상기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개체 서식부(120)가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과하면, 상기 제1날개부(183)는 상기 개체 서식부(120)의 상기 하우징(110) 측면에 접촉되면서 힘을 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은, 상기 주입구(112)만 외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그 외의 부분은 막혀있다.)
상기 제1날개부(183)가 힘을 받으면, 상기 제1날개부(183)는 상기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날개부(183)가 회전하면, 상기 상부홀(183a)과 상기 먹이 공급통(181)의 하부는 서로 연통되고, 상기 먹이 공급통(181)의 먹이는 상기 제1날개부(183)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은 상기 주입구(112) 이외의 부분이 막혀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날개부(183)에서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먹이가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셔틀 장치(140)가 상기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제1날개부(183)가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주입구(112) 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제1날개부(183)에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게 된다. (도 9 참조)
상기 제1날개부(183)에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게 되면, 상기 제1날개부(183)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제1날개부(183)에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제1날개부(183)의 측면은 상기 주입구(112) 내부로 들어가도록 회전된다.
도 9와 같이 상기 제1날개부(183)가 상기 주입구(112) 내부로 들어가면, 상기 제1날개부(183)의 상기 측부홀(183b)을 통해, 상기 제1날개부(183)의 내부 공간에 유입된 먹이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방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셔틀 장치(140)가 상기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날개부(183)가 상기 주입구(112)의 위치에서 벗어나면, 상기 제1날개부(183)는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과 접촉하여 다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체 서식부(120)에서 동일한 행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주입구(112)는 동일한 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날개부(183)는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주입구(112)가 배치되는 선과 나란하게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하나의 상기 먹이 공급 장치(180)는 상기 개체 서식부(120)에서 동일한 행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110)을 지나가게 되고, 하나의 상기 먹이 공급 장치(180)를 통해 상기 개체 서식부(120)에서 동일한 행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110)을 먹이를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카메라부(150)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141)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142)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부(150)를 통해 상기 개체 서식부(120)의 상기 하우징(110)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셔틀 장치(140)가 상기 레일(130)을 따라 왕복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카메라부(150)는 상기 개체 서식부(120)의 상기 하우징(110)을 반복적으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은, 상기 카메라부(1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수산 생물의 관리를 자동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은 제1제어부(161), 제2제어부(162), 제3제어부(163), 제4제어부(164)를 포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제어부(161), 상기 제2제어부(162), 상기 제3제어부(163), 상기 제4제어부(164)를 나눠서 기재하였으나, 하나의 제어부가 상기 제1제어부(161), 상기 제2제어부(162), 상기 제3제어부(163), 상기 제4제어부(164)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제어부가 상기 제1제어부(161), 상기 제2제어부(162), 상기 제3제어부(163), 상기 제4제어부(164)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161), 상기 제2제어부(162), 상기 제3제어부(163), 상기 제4제어부(164)는 서로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61), 상기 제2제어부(162), 상기 제3제어부(163), 상기 제4제어부(164)는 별도의 단말 장치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셔틀 장치(14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제어부(161), 상기 제2제어부(162), 상기 제3제어부(163), 상기 제4제어부(164)는 상기 카메라부(150)와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제어부(161), 상기 제2제어부(162), 상기 제3제어부(163), 상기 제4제어부(164)를 통해 수조 시스템을 자동화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제어부(161)는 상기 셔틀 장치(140)의 운행 속도와 상기 레일(130)을 따라 상기 셔틀 장치(140)가 왕복 슬라이드 이동하는 횟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10)에 수용되는 수산 생물은 다양한 생물이 수용될 수 있는데, 수용되는 수산 생물에 따라 상기 셔틀 장치(140)의 운행 속도와 상기 셔틀 장치(140)의 왕복 슬라이드 이동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산 생물이 성장되는 크기 시기에 따라 상기 셔틀 장치(140)의 운행 속도와 상기 셔틀 장치(140)의 왕복 슬라이드 이동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10)에 수용되는 수산 생물의 종류와 수산 생물의 성장 시기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에 공급되는 먹이의 양이 달라질 수 있는데, 상기 제1제어부(141)는 상기 셔틀 장치(140)의 운행 속도 및 왕복 슬라이드 이동 횟수를 조절하여, 먹이의 공급 횟수 및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제어부(141)는 상기 카메라부(150)에서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이와 같은 점을 판단하면서, 상기 셔틀 장치(140)의 운행 속도와 상기 셔틀 장치(140)의 왕복 슬라이드 이동 횟수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2제어부(162)는 상기 카메라부(150)의 촬영 영상에서 상기 하우징(110)에 수용되어 있는 수산 생물을 인식하여, 수산 생물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레일(130)을 따라 상기 셔틀 장치(140)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카메라부(150)는 상기 하우징(110)을 촬영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제2제어부(162)는 촬영 영상에서 수산 생물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제어부(162)는 촬영 영상에서 수산 생물을 인식하여, 수산 생물의 상태를 파악한다. 가령, 촬영 영상에서 수산 생물의 움직임이 전혀 없는 경우, 상기 제2제어부(162)는 수산 생물에 이상이 있다고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새우와 같은 수산 생물이 탈피한 경우, 상기 제2제어부(162)는 탈피물을 인식하여, 수산 생물의 탈피가 진행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162)는 상기 카메라부(150)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수산 생물을 인식할 때, 상기 하우징(110)에 포함되는 판독 가능한 상기 인식부(111)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를 구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식부(111)는 QR 코드일 수 있는데, 상기 제2제어부(162)는 상기 카메라부(15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여, 복수 개의 하우징(110) 중 어떠한 하우징(110)의 촬영 영상인지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제어부(162)는 상기 카메라부(15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인식부(111)를 인식하여 상기 하우징(110)을 구별하고, 각각의 상기 하우징(110)의 촬영 영상을 분리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제어부(162)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을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은, 상기 하우징(110)에 수용되어 있는 수산 생물의 개체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2제어부(162)는 상기 인식부(111)를 통해 어떠한 개체가 촬영되었는지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제어부(162)를 통해 개체별 자동 영상 촬영 및 저장, 분석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은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11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170)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하우징(110)이 배치되는 열과 행으로 표시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제어부(162)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표시부(170)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가령, 특정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수산 생물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표시부(170)에서 특정 하우징(110)에 대한 표시를 다르게 하여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제어부(162)는 상기 인식부(111)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110)을 구별하며, 이를 바탕으로 상기 표시부(170)에서 상기 하우징(110)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시부(170)는 별도의 단말 장치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셔틀 장치(14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70)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이상 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제어부(163)는 상기 카메라부(150)의 촬영 영상에서 상기 하우징(110)에 공급된 먹이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10)에서 수산 생물에게 먹이를 지나치게 많이 공급하거나, 적게 공급하면 수산 생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제어부(163)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부(150)의 촬영 영상에서 상기 하우징(110) 공급된 먹이를 인식하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먹이 공급 장치(180)를 제어하게 된다.
가령, 상기 하우징(110)에 먹이가 지나치게 많이 공급된 경우, 상기 먹이 공급 장치(180)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에 먹이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의 주입구(111)를 닫히게 하여 먹이 공급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방법으로 상기 먹이 공급 장치(18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10)에 먹이가 없는 경우, 상기 먹이 공급 장치(180)에서 공급되는 먹이의 양을 늘리거나, 먹이가 공급되는 횟수를 늘릴 수도 있다.
상기 제3제어부(163)도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인식부(111)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을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제어부(162)가 상기 하우징(110)을 구별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3제어부(163)는, 상기 카메라부(150)에서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개체 별 맞춤형 먹이공급 급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제어부(163)는 개체별 먹이 공급 급식 스케쥴을 설정하여, 상기 먹이 공급 장치(18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4제어부(164)는 상기 하우징(1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상기 펌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4제어부(164)를 통해 상기 펌프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에 공급되는 물의 양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제어부(164)는 상기 카메라부(150)에서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수질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순환 수조(190)에 배치되어 있는 여과기를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 가령, 상기 카메라부(15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부유물이나 유막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4제어부(164)는 이를 인식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여과기의 작동을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110)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여과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의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셔틀 장치(140)는 상기 레일(130)을 따라 왕복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셔틀 장치(140)의 상기 카메라부(150)를 통해 상기 개체 서식부(120)의 상기 하우징(110)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카메라부(150)로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제어부(제1제어부(161), 제2제어부(162), 제3제어부(163), 제4제어부(164))는 수산 생물의 사육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를 통해 수산 생물의 상태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고,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하우징(110) 내부의 수질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하우징을 통해 수산 생물을 분리하여 사육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종의 수산 생물 사육의 시작, 육성, 완료(생산)에 이르기까지 최소 단위의 수조에 개별적으로 해당 수산 생물에 대한 최상의 생태, 사육 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육 공간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부를 통해 수산 생물의 상태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카메라부를 통해 하우징 내부의 먹이 상태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부를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자동으로 하우징 내부에서 수용된 수산 생물을 관리함에 따라, 수조의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하우징 111...인식부
112...주입구 113...출수구
114...이중 격벽 115...제1격벽
116...제2격벽 117...거치부
120...개체 서식부 130...레일
140...셔틀 장치 141...제1상향 연장부
142...제2상향 연장부 143...수평부
144...바퀴 150...카메라부
161...제1제어부 162...제2제어부
163...제3제어부 164...제4제어부
170...표시부 180...먹이 공급 장치
181...먹이 공급통 182...회전축
183...제1날개부 183a...상부홀
183b...측부홀 184...제2날개부
190...순환 수조 191...공급관

Claims (13)

  1. 수산 생물을 사육할 수 있는 적층형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수산 생물 및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이 열과 행을 형성하면서 배치되는 개체 서식부;
    상기 하우징이 행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상기 하우징이 열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상향 연장부와 상기 하우징이 열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상향 연장부와 상기 제1상향 연장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상향 연장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한 셔틀 장치;
    상기 제1상향 연장부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에 배치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셔틀 장치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개체 서식부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와 상기 제2상향 연장부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과하며,
    제2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셔틀 장치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하우징을 촬영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영상에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수산 생물을 인식하여, 수산 생물의 상태를 판별하며,
    상기 하우징은 판독 가능한 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영상에서 상기 인식부를 인식하여, 상기 하우징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셔틀 장치의 운행 속도와,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셔틀 장치가 왕복 슬라이드 이동하는 횟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QR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인식부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을 구별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장치는 먹이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향 연장부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를 바라보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셔틀 장치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먹이 공급 장치에서 상기 주입구로 먹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제3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셔틀 장치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하우징을 촬영하며,
    상기 제3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영상에서 상기 하우징에 공급된 먹이를 인식하여, 상기 먹이 공급 장치의 먹이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공급 장치는, 상기 제1상향 연장부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열려 있으며, 먹이가 저장될 수 있는 먹이 공급통과,
    상기 제1상향 연장부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상향 연장부 또는 상기 제2상향 연장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제1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날개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먹이 공급통의 하부와 연통되는 상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부의 측면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측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 서식부에서 동일한 행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의 주입구는, 동일한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날개부는,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의 주입구가 배치되는 선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는 출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출수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출수구가 위치한 부분을 구획하는 이중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이중 격벽은 제1격벽 및 제2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은 상기 제1격벽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출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격벽은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출수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격벽의 높이는 상기 제1격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제1격벽의 하부 출수구에서 출수되어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 사이의 공간을 지나 상기 제2격벽의 상단부를 넘어 상기 출수구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 서식부의 최하단 행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서 출수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순환 수조와,
    상기 순환 수조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개체 서식부의 최상단 행에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에 공급할 수 있는 펌프와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제4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제어부는,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KR1020180087277A 2018-07-26 2018-07-26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KR102127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277A KR102127452B1 (ko) 2018-07-26 2018-07-26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PCT/KR2018/008591 WO2020022542A1 (ko) 2018-07-26 2018-07-30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277A KR102127452B1 (ko) 2018-07-26 2018-07-26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40A KR20200012240A (ko) 2020-02-05
KR102127452B1 true KR102127452B1 (ko) 2020-06-26

Family

ID=6918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277A KR102127452B1 (ko) 2018-07-26 2018-07-26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7452B1 (ko)
WO (1) WO20200225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462B1 (ko) 2022-07-05 2023-04-06 문종성 IoT 기반의 곤충 키트를 구비한 교육형 스마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652B1 (ko) * 2021-12-16 2022-08-11 어업회사법인 설수산 주식회사 어류 양식 자동화 시스템
CN114793980B (zh) * 2022-04-08 2022-12-02 青岛浩赛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综合养殖平台的自动化养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882B1 (ko) * 2007-04-03 2008-04-1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조식 어류 양식장의 사료 정량 공급 자동화 시스템
KR101814288B1 (ko) * 2016-08-17 2018-01-03 김영구 3차원 분석을 이용한 양식장 사료 급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7744A (en) * 1982-09-30 1984-08-28 Mark C. Davidson Apparatus and method for raising lobsters
JPH07114564B2 (ja) * 1988-06-07 1995-12-13 松山株式会社 果樹園管理装置
KR100675791B1 (ko) * 2005-02-04 2007-02-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육상어류양식장용 자동먹이공급시스템
JP4069132B2 (ja) * 2005-09-26 2008-04-02 学校法人西沢学園 水槽、及びオーバーフロー排水管
EP2263452B1 (en) * 2009-06-16 2012-12-05 TECNIPLAST S.p.A. Automated system for controlled distribution of substances to animal containment devices in an animal housing facility
KR101185863B1 (ko) * 2011-03-24 2012-09-27 대한민국 양식빌딩용 다단원형수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882B1 (ko) * 2007-04-03 2008-04-1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조식 어류 양식장의 사료 정량 공급 자동화 시스템
KR101814288B1 (ko) * 2016-08-17 2018-01-03 김영구 3차원 분석을 이용한 양식장 사료 급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462B1 (ko) 2022-07-05 2023-04-06 문종성 IoT 기반의 곤충 키트를 구비한 교육형 스마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2542A1 (ko) 2020-01-30
KR20200012240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452B1 (ko)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US63434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target and non-target species harvested from waterbodies
US3255731A (en) Apparatus for rearing tropical fish
KR101738672B1 (ko) 토·양봉겸용 벌통
CN106719241A (zh) 一种便于捕鱼的养殖池
Harboe et al. Design and operation of an incubator for yolk‐sac larvae of Atlantic halibut
CN106719242B (zh) 一种双室水产养殖鱼池
JP5150972B2 (ja) 甲殻類の飼育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飼育された甲殻類
KR101773291B1 (ko) 피쉬펌프를 이용한 양식생물 수확 및 배급시스템
JP6216725B2 (ja) 浮上槽及び仔稚魚管理方法
CN212637845U (zh) 一种带有储存仓的打渔船
KR101272500B1 (ko) 회전식 탈부착 칸막이형 수조
KR102554257B1 (ko) 먹이공급이 편리한 벌통용 먹이공급판
CN208370736U (zh) 一种新型打窝钓箱
TWM526268U (zh) 立體式魚菜共生系統
CN213246432U (zh) 一种石斑鱼繁育系统
CN110731298A (zh) 一种水母养殖用外挂饲养缸
KR101479839B1 (ko) 관상어 번식 축양용 복합수조
KR20170058709A (ko) 일체형 번식축양 양어시설
CN213695337U (zh) 一种新型的聚乙烯深海养殖设备中的投料装置
CN110558254B (zh) 一种基于云计算的智能养殖清理方法及其系统
CN115399264B (zh) 水产养殖洗鱼除虫系统
JPH07322788A (ja) 海水魚の飼育方法及びその装置
CN106259203A (zh) 一种水蛭养殖装置及生态养殖方法
CN110301390A (zh) 一种活食喂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