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332B1 - 스프링클러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332B1
KR102127332B1 KR1020190160559A KR20190160559A KR102127332B1 KR 102127332 B1 KR102127332 B1 KR 102127332B1 KR 1020190160559 A KR1020190160559 A KR 1020190160559A KR 20190160559 A KR20190160559 A KR 20190160559A KR 102127332 B1 KR102127332 B1 KR 102127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ensing
sprinkler
protrusions
couple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기
이예종
임광훈
Original Assignee
(주)광운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운기업 filed Critical (주)광운기업
Priority to KR102019016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2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usi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 B05B1/26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with fixed defl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화재 발생 시 퓨즈로 열이 원활하게 전달되어 퓨즈가 설정된 온도에서 안정적으로 용융될 수 있도록 개선된 스프링클러를 개시한다.
스프링클러는, 유로를 가지는 본체와,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며, 열이 가해지면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열감지 유닛과,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한다. 이동 유닛은, 열감지 유닛이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면, 하향 이동하여,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디플렉터와, 디플렉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열감지 유닛이 본체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열감지 유닛에 의해 가압되어 유로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밸브를 포함한다. 디플렉터는, 밸브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홀을 가지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가이드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돌기들은, 밸브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제1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제1 돌기들과,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제2 돌기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Sprinkler}
본 발명은 건물 등의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는 건물 등의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소방수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작동방식에 따라 폐쇄형 습식(Wet system), 건식(Dry system), 일제살수식(一齊撒水式: Deluge system) 등으로 구별되고, 감응속도에 따라 표준반응형과 조기반응형 등으로 구별된다.
이 중 폐쇄형 습식(Wet system) 스프링클러의 헤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467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배치된 퓨즈(fuse)가 화재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용융되면, 열감지부가 스프링클러의 헤드의 본체로부터 이탈하고, 열감지부가 스프링클러의 헤드의 본체로부터 이탈하면 디플렉터가 하강하면서 소방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열감지부는 화재 시 퓨즈(fuse)에 열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감열판으로 구성되는데, 감열판에서 퓨즈로 열이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을 경우, 퓨즈가 용융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디플렉터를 스프링클러의 헤드의 본체와 연결하는 살수편에 의해 소방수가 간섭되어 스프링클러의 헤드를 중심으로 소방수가 고르게 분사되지 못하거나, 충분한 거리만큼 분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다른 스프링클러의 헤드에서 분사되는 소방수에 의해 퓨즈의 용융이 지연되거나 퓨즈가 더 이상 용융되지 않고 응고되는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46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 시 퓨즈로 열이 원활하게 전달되어 퓨즈가 설정된 온도에서 안정적으로 용융될 수 있도록 개선된 스프링클러를 제공한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소방수가 충분한 거리까지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개선된 스프링클러를 제공한다.
또한, 화재 발생 시 다른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되는 소방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개선된 스프링클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는, 유로를 가지는 본체; 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며, 열이 가해지면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열감지 유닛; 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열감지 유닛이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면, 하향 이동하여, 상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디플렉터; 와, 상기 디플렉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열감지 유닛이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열감지 유닛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밸브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홀을 가지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기들은, 상기 밸브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제1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제1 돌기들과,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제2 돌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돌기들과 상기 제2 돌기들은 상기 가이드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이드부의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들은 각각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반사면은 상기 가이드부의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중심축에 대해 회전되어 비틀린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각은 5° 보다 크고 45°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 길이보다 긴 제3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레그들(leg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복수의 레그들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레그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는 슬라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기들은 상기 복수의 레그들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레그와 상기 레그와 인접한 상기 제1 돌기 사이의 간격은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의 간격 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감지 유닛은,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밸런서와, 상기 밸런서의 하측에 배치되고, 외부의 열을 감지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열감지판과, 상기 열감지판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어 상기 열감지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싱과, 상기 열감지판의 내측과 상기 지지 부싱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감지판에 의해 전달된 열에 의해 용융되도록 구성되는 퓨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감지판은 원판 형상의 외곽부와, 상기 외각부에 대해 상기 중심축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싱은 상기 열감지판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 부싱이 상기 열감지판의 중심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부싱의 하면은 상기 열감지판의 외곽부의 하면에 대해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싱의 하면과 상기 열감지판의 외곽부의 하면 사이의 단차값은 1mm 보다 크고 10mm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열감지판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외부의 물이 상기 중심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감지판의 중심부와 상기 밸런서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싱은, 상기 퓨즈가 용융되어 상기 열감지판의 중심부와 상기 지지 부싱이 형성하는 공간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부싱의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 부싱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감지판은 상기 외곽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개홀 상에 배치되는 루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이동 가능한 밸브 로드와, 상기 밸브 로드의 일단에 마련되는 밸브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몸체의 상단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홈은 상기 밸브 몸체의 상단의 일 부분을 절개한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밸브 몸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퓨즈가 설정된 온도에서 안정적으로 용융되므로, 스프링클러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되는 소방수가 충분한 거리까지 고르게 분사되므로, 스프링클러의 화재 진압 성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스프링클러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스프링클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스프링클러에 포함된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스프링클러의 열감지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열감지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열감지판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스프링클러의 이동 유닛에 포함된 디플렉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디플렉터의 제1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디플렉터의 제2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디플렉터의 제3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밸브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상”에 형성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 및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있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즉, 상기 어떤 구성 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 및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스프링클러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3은 스프링클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스프링클러에 포함된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스프링클러의 열감지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10)는 건물의 내벽이나 천정 등에 설치된 배수관(1)의 단부에 체결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 유닛(200)과, 본체(100)의 일단에 결합되며, 열이 가해지면 본체(10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열감지 유닛(3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배수관(1)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110)과 제1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10)은 배수관(1)의 단부 내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수나사부(112)를 포함한다. 제1 수나사부(112)는 제1 프레임(110)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제1 프레임(110)의 하측에는 소켓부(114)가 마련된다. 소켓부(114)는 그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16)를 포함한다. 암나사부(116)에는 제2 프레임(120)이 나사 결합된다.
제1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배수관(1)을 통해 배수된 소방수를 제2 프레임(120)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 유로(118)가 마련된다. 제1 유로(118)는 소방수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그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진다.
제1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단턱(118a)이 형성된다. 단턱(118a)은 제1 프레임(110)의 내면으로부터 제1 유로(118)를 향해 돌출된다.
단턱(118a)은 후술할 밸브(220)와 접하여 밸브(220)에 의해 제1 유로(118)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턱(118a)에 의해 밸브(220)가 제1 유로(118)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거리가 제한된다.
단턱(118a)은 제1 프레임(11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거리(d)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밸브(220)가 적어도 제1 프레임(110)의 하단과 단턱(118a) 사이의 거리(d)만큼 이동해야 제1 유로(118)가 개방된다.
제2 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110)의 소켓부(114)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수나사부(122)를 포함한다. 제2 수나사부(122)는 제2 프레임(120)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소켓부(114)에 형성된 암나사부(116)와 나사 결합된다.
제2 프레임(120)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제2 프레임(120)의 내측에는 제1 프레임(110)을 통과한 소방수를 후술할 디플렉터(210)로 안내하는 제2 유로(124)가 마련된다.
제2 프레임(120)의 하부에는 걸림턱(126)이 형성된다. 걸림턱(126)은 후술할 지지판(320) 및 밸런서(330)와 함께 복수의 볼들(340)을 지지하여, 열감지 유닛(300)이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걸림턱(126)은 화재 발생 시, 열감지 유닛(300)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한 디플렉터(210)를 지지하여 디플렉터(210)가 본체(10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 유닛(200)은 열감지 유닛(300)이 본체(10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면, 하향 이동하여, 제2 유로(124)를 통해 배출되는 소방수를 분산시키는 디플렉터(210)와, 디플렉터(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열감지 유닛(300)이 본체(100)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열감지 유닛(300)에 의해 가압되어 제1 유로(118)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밸브(220)를 포함한다.
도 11은 스프링클러의 이동 유닛에 포함된 디플렉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가이드링을 삭제하고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7, 도 11을 참조하면, 디플렉터(210)는 밸브(22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홀(212a)을 가지는 가이드부(212)와, 가이드부(212)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가이드부(2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들(214, 216)을 포함한다.
가이드홀(212a)에는 후술할 밸브(220)의 밸브 로드(222)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된다.
복수의 돌기들(214, 216)은 가이드부(212)의 외면으로부터 수직 방향 상측, 즉 제1 유로(118)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제1 돌기들(214) 및 복수의 제2 돌기들(216)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돌기들(214)은 수직 방향 상측으로 제1 길이(L1)를 가지며, 복수의 제2 돌기들(216)은 수직 방향 상측으로 제1 길이(L1)보다 큰 제2 길이(L2)를 가진다.
복수의 돌기들(214, 216)은 가이드부(2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돌기들(214, 216) 사이에는 복수의 분사홀들(217)이 형성된다.
화재 발생 시, 열감지 유닛(300)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고, 디플렉터(210)가 제2 프레임(12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본체(100)에 걸린 상태에서 제2 유로(124)를 통과한 소방수는 디플렉터(210)에 의해 방사형으로 넓게 분산되어 분사된다.
자세하게 소방수의 일부는 디플렉터(210)에 결합된 밸브(220)의 상단에 부딪친 후, 복수의 돌기들(214, 216) 또는 복수의 분사홀들(217)을 통해 외측으로 분사되며, 소방수의 다른 일부는 직접 복수의 돌기들(214, 216) 또는 복수의 분사홀들(217)을 통해 외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홀들(217)을 통과한 소방수는 스프링클러(10) 본체(100)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반경 내에 분사되고, 복수의 돌기들(214, 216)을 통과한 소방수는 스프링클러(10) 본체(100)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반경 내에 분사된다. 즉, 복수의 돌기들(214, 216)을 통과한 소방수가 복수의 분사홀들(217)을 통과한 소방수보다 스프링클러(10) 본체(100)로부터 더 멀리까지 분사된다.
또한, 복수의 돌기들(214, 216) 중 제1 돌기들(214)보다 길이가 더 긴 제2 돌기들(216)을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가 제1 돌기들(214)을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보다 더 멀리 분사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돌기들(214, 216)의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됨으로써, 스프링클러(10) 본체(100)로부터 더 멀리까지 고르게 소방수가 분사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에서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두 종류의 돌기들(214, 216)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세 종류 이상의 돌기들도 적용이 가능하다.
복수의 제1 돌기들(214)과 복수의 제2 돌기들(216)은 가이드부(2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2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방수가 고르게 분사된다.
디플렉터(210)는 가이드부(212)의 외면으로부터 수직 방향 상측, 즉 제1 유로(118)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이드부(2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레그들(legs, 218)과, 복수의 레그들(218)의 상단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링(219)을 포함한다. 복수의 레그들(218)은 수직 방향 상측으로 제2 길이(L2)보다 큰 제3 길이(L3)를 가진다.
복수의 돌기들(214, 216) 중 제2 돌기들(216)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제1 돌기들(214)이 복수의 레그들(218)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레그(218)는 제1 돌기들(2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가이드부(212)의 원주 방향으로 레그(218)와 제1 돌기들(214) 사이의 간격(G1)은 서로 인접한 제1 돌기(214)와 제2 돌기(216) 사이의 간격(G2)보다 좁다.
화재 발생 시 디플렉터(210)는 레그(218)에 의해 본체(100)의 하단에 걸려 지지되고, 이 때 본체(100) 하단과 디플렉터(2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소방수가 분사되는데 일부의 소방수가 레그(218)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만약 제1 돌기들(214)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2 돌기들(216)이 레그(218)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되면, 소방수가 레그(218)에 의해 차단되는 현상이 더 커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2 돌기들(216)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제1 돌기들(214)이 복수의 레그들(218)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 링(219)은 제2 프레임(120)의 내주면(120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슬라이드 링(219)은 열감지 유닛(300)이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114)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드 링(219)은 열감지 유닛(300)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되면 제2 프레임(120)의 내주면(120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26)과 접촉하여 지지된다. 슬라이드 링(219)이 걸림턱(126)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제2 유로(124)와 디플렉터(210) 사이에 분사공간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소방수가 분사될 수 있다.
밸브(220)는 가이드부(212)의 가이드홀(212a)을 관통하여 가이드부(212)에 결합되는 밸브 로드(222)와, 밸브 로드(222)의 일단에 마련되는 밸브 몸체(224)와, 밸브 몸체(224)의 외측에 결합되는 실링부재(226)와, 밸브 로드(222)의 타단에 마련되는 지지헤드(228)와, 지지헤드(228)와 가이드부(212)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 로드(222)는 가이드홀(212a)을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밸브 몸체(224)는 디플렉터(210)의 내측에 배치되며, 밸브 몸체(224)의 외주면에는 밸브 몸체(224)의 원주 방향을 따라 장착홈(224a)이 마련된다.
장착홈(224a)에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226)가 결합된다. 실링부재(226)는 열감지 유닛(300)이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0)의 내면에 접촉되어 제1 유로(118)를 밀폐한다. 자세하게 실링부재(226)는 장착홈(224a)과 제1 프레임(110)의 내면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제1 유로(118)를 안정적으로 밀폐한다.
실링부재(226)는 내열성, 내유성(耐油性), 내노화성, 내후성, 내오존성, 전기적 특성이나 비(非)점착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불소 계열의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22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실링부재(226)와 제1 프레임(110)의 내면 사이에는 윤활 물질이 주입될 수 있다. 윤활 물질은 열 및 산화 안정성,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불소계 그리스(grease)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29)는 지지헤드(228)와 가이드부(212)의 외면 사이에서 압축 가능하게 배치된다. 탄성부재(229)는 밸브 로드(222)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열감지 유닛(300)이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로드(222)는 열감지 유닛(300)에 의해 가압되어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배치되고, 탄성부재(229)는 밸브 로드(222)의 지지헤드(228)에 의해 가압되어 가이드부(212)의 외면과 지지헤드(228)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배치된다.
화재 발생 시 열에 의해 퓨즈가 용융되면 열감지 유닛(300)이 미세하게 하강하고, 열감지 유닛(300)이 미세하게 하강함에 따라 후술할 복수의 볼들(340)과 밸런서(33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한 지지력이 점차 약해지게 된다. 복수의 볼들(340)과 밸런서(33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한 지지력이 탄성부재(229)의 인장력보다 약해지면, 탄성부재(229)가 인장되면서 열감지 유닛(300)을 밀어내어 본체(100)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탄성부재(229)는 지지헤드(228)를 통해 밸브 로드(222)를 하강시키고, 밸브 로드(222)가 하강하면, 밸브 로드(222)의 일단에 결합된 밸브 몸체(224)가 하강하면서 제1 유로(118)로부터 분리되고 제1 유로(118)가 개방된다.
이동 유닛(200)은 제2 프레임(120)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재(23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부재(230)는 열감지 유닛(300)이 본체(100)로부터 이탈하는 과정에서 디플렉터(210)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레그들(218)을 수용하여 감싸는 가이드돌기들(232)을 포함한다.
열감지 유닛(300)은, 중심축(310)과, 중심축에 결합되는 지지판(320)과, 중심축(310)에 결합되고 지지판(320)의 하측에 배치되는 밸런서(330)와, 지지판(320)과 밸런서(33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들(340)을 포함한다. 중심축(310)과 지지판(3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320)은 원판 형상을 가지고, 지지판(320)의 원주 단부에는 복수의 지지홈들(322)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지지홈(322)은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지지판(320)의 원주 단부로부터 지지판(320)의 중심을 향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면(322a)을 포함한다. 따라서 밸런서(330)가 하강하면, 복수의 볼들(340)이 각각 복수의 지지홈들(322)을 따라 지지판(32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낙하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면(322a)은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각(θ1)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340)이 가이드면(322a)을 따라 지지판(32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밸런서(330)는 중심축(310)에 결합되는 축결합부(332)와 축결합부(332)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커버부(334)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결합부(332)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각(θ2)을 가지는 경사면(332a)을 포함한다. 경사면(332a)은 복수의 볼들(340)과 접하는 축결합부(332)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밸런서(33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볼들(340)이 경사면(332a)을 따라 하측으로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커버부(334)는 열감지 유닛(300)이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턱(126)과 접촉하여 제2 유로(124)를 폐쇄한다.
열감지 유닛(300)은, 밸런서(3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외부의 열을 감지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열감지부(350)와, 열감지부(35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중심축(310)에 결합되어 열감지부(350)를 지지하는 지지 부싱(360)과, 지지 부싱(360)에 의해 지지되고 열감지부(350)에 의해 전달된 열에 의해 용융되도록 구성되는 퓨즈(370)를 포함한다.
열감지부(350)는 복수의 열감지판들(352, 354, 356)을 포함한다. 복수의 열감지판들(352, 354, 356)은 열전달 효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 등의 재질을 가진 얇은 판으로 마련되며 그 중심부가 중공된 디스크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열감지판들(352, 354, 356)은 중심축(310)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열감지판(352), 제2 열감지판(354) 및 제3 열감지판(356)을 포함한다.
제1 열감지판(352)은 원판 형상의 외곽부(352a)와, 외곽부(352a)에 대해 중심축(310)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심부(352b)를 포함한다. 중심부(352b)의 내측에는 퓨즈(370)을 수용하기 위한 퓨즈 수용부(351)가 형성된다.
제2 열감지판(354) 및 제3 열감지판(356)은 제1 열감지판(352)의 외곽부(352a)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제2 열감지판(354)은 외곽부(352a)의 외주면에 헐겁게 결합되고, 제3 열감지판(356)은 외곽부(352a)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열감지 유닛(300)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할 경우에, 제2 열감지판(354)과 제3 열감지판(356)은 제1 열감지판(352)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도 8은 제1 열감지판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1 열감지판(352)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부(352a)에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홀들(353)과, 복수의 절개홀들(353) 상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루버들(355)을 포함한다. 복수의 절개홀들(353)과 복수의 루버들(355)은 외곽부(352a)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복수의 루버들(355)은 외곽부(352a)와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1 열감지판(352)과 외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넓힘으로써 열교환 효율 증가시킨다. 즉, 화재 발생 시 외부의 열이 제1 열감지판(352)을 통해 효율적으로 퓨즈(370)에 전달된다.
복수의 절개홀들(353)은 외부 공기가 복수의 루버들(355)의 일면을 타고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여 복수의 루버들(355)과 외부 공기와의 열전달이 더욱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루버(355)의 개수가 많을수록 또는 루버(355)의 피치(Pitch, P, 폭)가 작을수록 외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는 장점은 있으나, 루버(355)의 개수가 지나치게 많거나 피치(P)가 지나치게 작게 되면, 제1 열감지판(352)의 표면을 흐르는 공기의 유속이 루버(355)의 영향으로 줄어들어 압력이 강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전체적인 열전달 효율의 저하로 이어진다. 따라서 루버(355)의 개수와 피치(P)의 적절한 조정이 필요하며, 특히 피치(P)는 0.5mm 이상 3.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절개홀들(353)과 복수의 루버들(355)은 제2 열감지판(354) 및 제3 열감지판(356)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절개홀들(353)과 복수의 루버들(355)이 제2 열감지판(354) 및 제3 열감지판(356)에 마련될 경우, 열감지부(350)의 열전달 효율은 전체적으로 더 높아지게 될 것이다.
제1 열감지판(352)의 중심부(352b)의 내측에는 퓨즈(370)가 배치된다. 퓨즈(370)는 열에 의해 쉽게 용융될 수 있는 납 등의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싱(360)은 제1 열감지판(352)의 중심부(352b)의 내측에 삽입되고, 중심축(310)의 하단에 결합되어 퓨즈(370)를 지지한다. 또한, 지지 부싱(360)이 중심축(310)의 하단에 결합되므로, 열감지부(350)가 밸런서(330)와 지지 부싱(36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 부싱(360)에 의해 지지되고, 중심축(3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지지 부싱(360)이 제1 열감지판(352)의 중심부(352b)에 삽입되어 중심축(310)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 부싱(360)의 하면은 제1 열감지판(352)의 외곽부(352a)의 하면에 대해 단차지게 배치된다. 즉, 지지 부싱(360)의 하면이 열감지판(352)의 외곽부(352a)의 하면보다 더 상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지지 부싱(360)의 하면이 제1 열감지판(352)의 외곽부(352a)의 하면에 대해 단차지게 배치되면, 화재 발생 시 다른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되는 소방수가 지지 부싱(360)에 도달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다른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되는 소방수에 의해 용융 중의 퓨즈(370)가 냉각되어 응고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지지 부싱(360)의 하면과 제1 열감지판(352)의 외곽부(352a)의 하면 사이의 단차값(S)은 1mm 보다 크고 10mm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값(S)이 1mm이하인 경우, 다른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되는 소방수를 차단하는 효과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단차값(S)이 10mm 이상인 경우, 다른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되는 소방수를 더욱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지만, 열감지부(350)의 길이가 길어지고, 이는 스프링클러의 전체적인 길이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어, 설치 공간 상의 제약이 따를 수 있다.
지지 부싱(360)은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362)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362)은 지지 부싱(360)의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지지 부싱(360)의 하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화재 발생 시 용융된 퓨즈는 배출홀(362)을 통해 중심부(352b)와 지지 부싱(360)이 형성하는 공간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1 열감지판(352)의 중심부(352b)와 밸런서(330)의 하면 사이에는 스페이서(380)가 배치된다. 스페이서(38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단열 재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외부의 열은 제1 열감지판(352)을 통해 퓨즈(370)로 집중될 수 있다.
도 10은 제1 열감지판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감지판(352)은 외곽부(352a)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커버(3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359)는 화재 발생 시 다른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된 소방수가 지지 부싱(360)에 도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한한다. 따라서 다른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되는 소방수에 의해 용융 중의 퓨즈(370)가 냉각되어 응고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화재 발생 시 스프링클러(100)에 의해 소방수가 분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에 의해 발생된 열이 복수의 열감지판들(352, 354, 356)에 의해 퓨즈(370)로 전달되고, 퓨즈(370)가 가열되어 일정 이상의 온도가 되면 퓨즈(370)가 용융되어 점차 그 부피(높이)가 감소한다.
퓨즈(370)의 부피가 감소하면, 퓨즈(370) 상부의 열감지부(350) 및 밸런서(33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밸런서(33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복수의 볼들(340)이 지지판(32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림턱(126)으로부터 이탈하여 본체(100) 밖으로 낙하한다.
복수의 볼들(340)이 본체(100) 밖으로 낙하하면서, 탄성부재(229)의 인장력에 의해 열감지 유닛(300)이 전체적으로 본체(100)로부터 이탈하여 낙하하고, 지지판(320)과 접촉하고 있던 가이드부재(230) 역시 하측으로 이동하여 본체(100)로부터 이탈한다.
열감지 유닛(300)의 이탈과 동시에 탄성부재(229)는 지지헤드(228)를 통해 밸브 로드(222)를 하강시키고, 밸브 로드(222)가 하강하면, 밸브 로드(222)의 일단에 결합된 밸브 몸체(224)가 하강하면서 제1 유로(118)로부터 분리되고 제1 유로(118)를 개방한다. 이 때 제1 유로(118)는 밸브 몸체(224)에 결합된 실링부재(226)가 제1 프레임(110)의 하부를 완전히 빠져나가야 개방되고, 소방수는 개방된 제1 유로(118)를 통해 제2 유로(124)로 흐를 수 있다.
밸브(220)가 제1 유로(118)를 개방함과 동시에, 디플렉터(210)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디플렉터(210)의 슬라이드 링(219)이 제2 프레임(120)의 내주면(120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다가 걸림턱(126)과 접촉하여 지지되면, 디플렉터(210)가 본체(100)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면서, 제2 유로(124)와 디플렉터(210) 사이에 분사공간이 형성된다.
제1 유로(118) 및 제2 유로(124)를 통과한 소방수는 디플렉터(210)를 통해 방사형으로 분사된다.
이하에서는 디플렉터의 변형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도 11에 도시된 디플렉터(21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디플렉터의 제1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플렉터(1210)는 가이드부(1212)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가이드부(12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들(1214)과 복수의 돌기들(1214)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홀들(1217)을 포함한다.
복수의 돌기들(1214) 중 적어도 하나는 가이드부(1212)의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복수의 돌기들(1214)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중심축(C)에 대해 회전되어 비틀린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돌기들(1214)은 각각 소방수의 분사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반사면(1214a)을 포함하고, 반사면(1214a)은 가이드부(1212)의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2 유로(124)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 소방수 중 일부는 반사면(1214a)에 의해 반사되어 그 분사되는 방향이 전환된다. 따라서 반사면(1214a)에 의해 반사된 소방수가 반사면(1214a)에 인접한 분사홀들(1217)을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와 일부 구간에서 중첩되고, 스프링클러(10) 본체(100)로부터 더 멀리까지 고르게 분사될 수 있다.
반사면(1214a)이 가이드부(1212)의 반경 방향과 이루는 경사각, 즉 비틀림각(t)은 5° 보다 크고 45°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비틀림각(t)이 5° 이하이면, 반사면(1214a)에 의해 반사되는 소방수의 양이 적어 실질적인 반사 효과, 즉 스프링클러(10) 본체(100)로부터 더 멀리까지 고르게 소방수가 분사되는 효과를 거의 얻을 수 없다. 반대로 비틀림각(t)이 45° 이상이면, 반사면(1214a)에 의해 반사된 소방수의 일부가 가이드부(1212)의 중심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다.
도 13은 디플렉터의 제2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플렉터(2210)는 가이드부(2212)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가이드부(22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들(2214)과 복수의 돌기들(2214)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홀들(2217)을 포함한다.
복수의 돌기들(2214) 중 적어도 하나는 가이드부(22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2214a, 2214b)를 포함한다.
단차부(2214a, 2214b)는 가이드부(2212)의 축방향을 따라 그 높이가 다른 제1 부분(2214a)과 제2 부분(2214b)을 포함하며, 제2 부분(2214b)이 제1 부분(2214a)에 비해 더 높게 배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더 높은 위치를 통과한 소방수가 더 멀리까지 분사되므로, 제2 부분(2214b)을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가 제2 부분(2214b)보다 높이가 낮은 제1 부분(2214a)을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보다 더 멀리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2214)의 단부의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스프링클러(10) 본체(100)로부터 더 멀리까지 고르게 소방수가 분사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앞서 설명한 복수의 돌기들(214, 216)의 길이가 서로 다름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4는 디플렉터의 제3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플렉터(3210)는 레그(3218)의 일단으로부터 본체(100)의 내면을 향해 가이드부(321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는 슬라이드 돌기(3218a)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돌기(3218a)는 본체(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미도시)에 결합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한 슬라이드 돌기(3218a)는 제2 프레임(12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126)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슬라이드 돌기(3218a)가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걸림턱(126)에 걸려 지지되면, 디플렉터(3210)가 본체(100)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면서, 제2 유로(124)와 디플렉터(3210) 사이에 분사공간이 형성된다.
도 15는 밸브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밸브(22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220)는 밸브 로드(1222)와, 밸브 로드(1222)의 일단에 마련되는 밸브 몸체(1224)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1224)의 상면은 소방수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유로(124)를 통과한 소방수의 일부는 오목하게 형성된 밸브 몸체(1224)의 상면에 부딪쳐 그 반경방향 외측으로 분산되어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밸브 몸체(1224)의 상면에는 복수의 배출홈(1226)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배출홈(1226)은 밸브 몸체(1224)의 상면의 단부에 배치되고, 밸브 몸체(1224)의 상면의 일 부분을 절개한 형상을 가진다.
배출홈(1226)은 밸브 몸체(1224)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이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개가 열 십자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출홈(1226)은 밸브 몸체(1224)의 반경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가이드면(1226a)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유로(124)를 통과한 소방수의 일부는 오목하게 형성된 밸브 몸체(1224)의 상면에 부딪쳐 그 반경 방향 외측으로 분사되는데, 이 중 일부는 밸브 몸체(1224)의 상면에 부딪친 후 그 반경 방향 외측이 아닌 상측 방향으로 다시 반사되면서, 제2 유로(124)를 통해 배출되는 소방수와 충돌하여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간섭 현상은 스프링클러를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의 도달 반경을 줄어들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소방수의 도달 반경은, 스프링클러를 중심으로 360도 방향으로 분사되는 소방수가 지면에서 형성하는 원의 반경을 의미한다.
배출홈(1226)은 제2 유로(124)를 통과한 소방수를 밸브 몸체(1224)의 반경 방향으로 직접 안내하여, 상술한 간섭 현상을 저감시킴으로써, 스프링클러를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의 도달 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스프링클러
100. 본체
110. 제1 프레임
200. 이동 유닛
210. 디플렉터
220. 밸브
230. 가이드부재
300. 열감지 유닛
310. 중심축
320. 지지판
330. 밸런서
340. 볼
350. 열감지부
360. 지지 부싱
370. 퓨즈
380. 스페이서

Claims (22)

  1. 유로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며, 열이 가해지면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열감지 유닛; 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열감지 유닛이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면, 하향 이동하여, 상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디플렉터; 와,
    상기 디플렉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열감지 유닛이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열감지 유닛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밸브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홀을 가지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기들은, 상기 밸브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제1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제1 돌기들과,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제2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이동 가능한 밸브 로드와,
    상기 밸브 로드의 일단에 마련되는 밸브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몸체의 상단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홈은 상기 밸브 몸체의 상단의 일 부분을 절개한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밸브 몸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가이드면을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들과 상기 제2 돌기들은 상기 가이드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스프링클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이드부의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스프링클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들은 각각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반사면은 상기 가이드부의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스프링클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중심축에 대해 회전되어 비틀린 형상으로 배치되는 스프링클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각은 5° 보다 크고 45°보다 작은 스프링클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 길이보다 긴 제3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레그들(legs)을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복수의 레그들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링을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레그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는 슬라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마련된 스프링클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기들은 상기 복수의 레그들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스프링클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레그와 상기 레그와 인접한 상기 제1 돌기 사이의 간격은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의 간격 보다 좁은 스프링클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13. 제1항에 있어서,
    열감지 유닛은,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밸런서와,
    상기 밸런서의 하측에 배치되고, 외부의 열을 감지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열감지판과,
    상기 열감지판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어 상기 열감지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싱과,
    상기 열감지판의 내측과 상기 지지 부싱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감지판에 의해 전달된 열에 의해 용융되도록 구성되는 퓨즈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판은 원판 형상의 외곽부와, 상기 외곽부에 대해 상기 중심축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싱은 상기 열감지판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 부싱이 상기 열감지판의 중심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부싱의 하면은 상기 열감지판의 외곽부의 하면에 대해 단차지게 배치되는 스프링클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싱의 하면과 상기 열감지판의 외곽부의 하면 사이의 단차값은 1mm 보다 크고 10mm 보다 작은 스프링클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판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외부의 물이 상기 중심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판의 중심부와 상기 밸런서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싱은, 상기 퓨즈가 용융되어 상기 열감지판의 중심부와 상기 지지 부싱이 형성하는 공간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부싱의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을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 부싱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스프링클러.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판은
    상기 외곽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개홀 상에 배치되는 루버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이동 가능한 밸브 로드와,
    상기 밸브 로드의 일단에 마련되는 밸브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몸체의 상단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홈이 형성된 스프링클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홈은 상기 밸브 몸체의 상단의 일 부분을 절개한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밸브 몸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가이드면을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KR1020190160559A 2019-12-05 2019-12-05 스프링클러 KR102127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559A KR102127332B1 (ko) 2019-12-05 2019-12-05 스프링클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559A KR102127332B1 (ko) 2019-12-05 2019-12-05 스프링클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332B1 true KR102127332B1 (ko) 2020-06-26

Family

ID=7113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559A KR102127332B1 (ko) 2019-12-05 2019-12-05 스프링클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3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374Y1 (ko) * 2003-03-18 2003-06-27 이영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프링클러헤드
JP2007267791A (ja) * 2006-03-30 2007-10-18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100937931B1 (ko) * 2009-03-04 2010-01-21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퓨즈형 스프링클러
JP4740081B2 (ja) * 2006-09-26 2011-08-03 株式会社立売堀製作所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1804301B1 (ko) * 2017-07-10 2017-12-04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374Y1 (ko) * 2003-03-18 2003-06-27 이영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프링클러헤드
JP2007267791A (ja) * 2006-03-30 2007-10-18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4740081B2 (ja) * 2006-09-26 2011-08-03 株式会社立売堀製作所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0937931B1 (ko) * 2009-03-04 2010-01-21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퓨즈형 스프링클러
KR101804301B1 (ko) * 2017-07-10 2017-12-04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7467B2 (en) Compact pendant sprinkler head
KR101184678B1 (ko) 퓨즈형 스프링클러 헤드
US5234059A (en) Frangible bulb sprinkler head
CA3018950C (en) Residential concealed sprinkler
TWI694848B (zh) 滅火灑水器之導流器
KR102127332B1 (ko) 스프링클러
JP4511235B2 (ja) 閉鎖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US6976544B2 (en) Sprinkler
JP7229561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US20210016120A1 (en) Sprinkler Head
KR200403464Y1 (ko) 내충격 및 내진성의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US11311759B2 (en) Sprinkler head
KR20170021965A (ko) 스프링클러 헤드
JP2019187774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018166854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200403462Y1 (ko)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JP5683423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2018166855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2506904B1 (ko) 스프링클러 헤드
US20150136432A1 (en) Fire sprinkler with improved protective shell
JP4054747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6034680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1804301B1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장치
KR200267134Y1 (ko)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프렉터 변형방지장치
JP7195958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