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271B1 - 손재활훈련용 장치 - Google Patents

손재활훈련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271B1
KR102127271B1 KR1020190037036A KR20190037036A KR102127271B1 KR 102127271 B1 KR102127271 B1 KR 102127271B1 KR 1020190037036 A KR1020190037036 A KR 1020190037036A KR 20190037036 A KR20190037036 A KR 20190037036A KR 102127271 B1 KR102127271 B1 KR 102127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finger portion
rings
hand
hand rehabil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좌준
박진희
반현주
성열주
박승준
박선현
정승한
김남희
Original Assignee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61H1/0288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61H2201/1638Holding means therefor

Abstract

실생활에 사용되는 손동작들(예 : 필기구 및 젓가락을 파지하는 동작)에 필요한 근육을 용이하게 자극할 수 있는, 손재활훈련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손재활훈련 장치는, 고정스트랩들을 포함하고, 검지, 중지, 약지, 소지 및 손등에 덧대어지고, 손가락의 관절에 해당되는 위치마다 고리가 구비된 제1 손가락부; 고정스트랩들을 포함하고, 엄지에 덧대어지고, 손가락의 관절에 해당되는 위치마다 고리가 구비된 제2 손가락부; 일측이 상기 제1 손가락부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손가락부와 힌지결합되는 막대고정기부; 및, 상기 제1 손가락부의 고리들 또는 상기 제2 손가락부의 고리들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고무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손재활훈련용 장치{APPARATUS OF HANDS REHABILITATION}
본 문건이 개시(Disclosure)하는 기술은, 손재활훈련용 장치(또는 장갑)과 관련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3078호에는, 손재활훈련시 사용되는 운동용 장갑이 게재되어 있다.
전술한 공보에 게재된 운동용 장갑은, 사용자가 손을 쥐었다 펼때, 손 근육에 자극이 갈 수 있도록, 장갑본체와, 장갑본체의 손가락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손톱 상방에 해당하는 장갑의 일지점에서 손등으로 이어지는 탄성밴드를 포함한다.
한편, 손재활훈련시, 실생활에 사용되는 손동작들(예 : 필기구 및 젓가락을 파지하는 동작)에 필요한 근육을 자극할 수 있다면, 환자에게 실질적으로 더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R 20-0325234 Y1 (2003.09.02. 공고)
실생활에 사용되는 손동작들(예 : 필기구 및 젓가락을 파지하는 동작)에 필요한 근육을 용이하게 자극할 수 있는, 손재활훈련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손재활훈련 장치는, 고정스트랩들을 포함하고, 검지, 중지, 약지, 소지 및 손등에 덧대어지고, 손가락의 관절에 해당되는 위치마다 고리가 구비된 제1 손가락부; 고정스트랩들을 포함하고, 엄지에 덧대어지고, 손가락의 관절에 해당되는 위치마다 고리가 구비된 제2 손가락부; 일측이 상기 제1 손가락부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손가락부와 힌지결합되는 막대고정기부; 및, 상기 제1 손가락부의 고리들 또는 상기 제2 손가락부의 고리들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고무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손가락부의 손등 부위에는, 고무줄저장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대고정기부는, 일측이 상기 제1 손가락부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손가락부와 힌지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막대와, 상기 막대의 단부에 구비되는 원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대는, 상기 몸체에서 인출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손가락부 및 상기 제2 손가락부에 구비된 고리 각각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손재활훈련 장치를 이용하면, 실생활에 사용되는 손동작들에 필요한 근육을 용이하게 자극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손재활훈련 장치는 고무줄을 손가락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시켜, 배경기술에 언급된 운동용 장갑보다, 다양한 형태로 손 근육을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는 실시예에 따른 손재활훈련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손재활훈련 장치(100)의 고리(124)들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손재활훈련 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는 실시예에 따른 손재활훈련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손재활훈련 장치(100)의 고리(124)들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손재활훈련 장치(100)는, 제1 손가락부(110), 제2 손가락부(120), 막대고정기부(130) 및 고무줄(140)을 포함한다.
제1 손가락부(110)는 소정 두께를 갖고, 검지, 중지, 약지, 소지 및 손등의 상부에 덧대어진다. 제1 손가락부(110)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스트랩(112)이 구비된다. 하나의 고정스트랩(112)은 손가락 끝, 손등, 손목 중 어느 하나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손가락부(110)는 실리콘 등과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3D 프린터에 의하여, 합성수지 재질로 맞춤 제작될 수도 있다. 제1 손가락부(110)가 하드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경우, 잘 접힐 수 있도록, 손가락 관절에 해당되는 부위에는 절개선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 손가락부(110)에는 복수 개의 원형 고리(114)가 구비된다. 고리(114)는 제1 손가락부(110)가 착용자의 손에 덧대어질 때, 손가락 관절에 해당되는 곳에 위치한다.
제2 손가락부(120)는 소정 두께를 갖고, 엄지의 상부에 덧대어진다. 제2 손가락부(120)에는 고정스트랩(122)이 구비된다. 고정스트랩(122)은 손가락 끝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제2 손가락부(120)는 실리콘 등과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3D 프린터에 의하여, 하드한 합성수지 재질로 맞춤 제작될 수도 있다. 제2 손가락부(120)가 하드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경우, 잘 접힐 수 있도록, 손가락 관절에 해당되는 부위에는 절개선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 손가락부(120)에는 복수 개의 원형 고리(124)가 구비된다. 고리(124)는 제2 손가락부(120)가 착용자의 손에 덧대어질 때, 손가락 관절에 해당되는 곳에 위치한다.
막대고정기부(130)는 일측이 제1 손가락부(110)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제2 손가락부(120)와 힌지결합되는 몸체(132)와, 몸체(132)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막대(134)와, 막대(134)의 단부에 구비되는 원통(13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원통(136)은 펜 등의 필기구를 파지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착용자가 파지하고자 하는 물체에 따라 원통(136)의 형태가 다소 변형될 수 있다. 예컨데, 원통(136)은 클립 등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막대(134)는 몸체(132)에서 인출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필기구를 파지하지 않을 때는, 막대(134)를 몸체(132)로 밀어 넣을 수 있다.
고무줄(1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하나의 고무줄(140)은 제1 손가락부(110)의 고리(114)들 또는 제2 손가락부(120)의 고리(124)들에 결합된다. 하나의 예로서, 고무줄(140)은 5개가 구비되어, 각 손가락마다, 각 손가락과 나란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고무줄(140)이 제1 손가락부(110) 또는 제2 손가락부(120)에 결합될 때, 고무줄(140)의 양단부에는 고리(114, 124)의 지름보다 큰 매듭이 형성된다.
한편, 제1 손가락부의 손등 부위에는, 고무줄저장함(11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고무줄저장함(116)이 구비되면, 여분의 고무줄 및 탄성계수가 다른 고무줄을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제1 손가락부(110) 및 제2 손가락부(120)에 구비된 고리(114, 124) 각각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착용자는 고무줄(140)을 손가락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시켜, 다양한 형태로 손 근육을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손재활훈련 장치(100)를 이용하면, 실생활에 사용되는 손동작들에 필요한 근육을 용이하게 자극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 전반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손재활훈련용 장치
110 : 제1 손가락부
112 : 고정스트랩
114 : 고리
116 : 고무줄저장함
120 : 제2 손가락부
122 : 고정스트랩
124 : 고리
130 : 막대고정기부
132 : 몸체
134 : 막대
136 : 원통
140 : 고무줄

Claims (5)

  1. 고정스트랩들을 포함하고, 검지, 중지, 약지, 소지 및 손등에 덧대어지고, 손가락의 관절에 해당되는 위치마다 고리가 구비된 제1 손가락부;
    고정스트랩들을 포함하고, 엄지에 덧대어지고, 손가락의 관절에 해당되는 위치마다 고리가 구비된 제2 손가락부;
    일측이 상기 제1 손가락부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손가락부와 힌지결합되는 막대고정기부; 및,
    상기 제1 손가락부의 고리들 또는 상기 제2 손가락부의 고리들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고무줄;을 포함하는, 손재활훈련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가락부의 손등 부위에는,
    고무줄저장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재활훈련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고정기부는,
    일측이 상기 제1 손가락부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손가락부와 힌지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막대와,
    상기 막대의 단부에 구비되는 원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재활훈련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는, 상기 몸체에서 인출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재활훈련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가락부 및 상기 제2 손가락부에 구비된 고리 각각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재활훈련용 장치.

KR1020190037036A 2019-03-29 2019-03-29 손재활훈련용 장치 KR102127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036A KR102127271B1 (ko) 2019-03-29 2019-03-29 손재활훈련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036A KR102127271B1 (ko) 2019-03-29 2019-03-29 손재활훈련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271B1 true KR102127271B1 (ko) 2020-06-29

Family

ID=7140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036A KR102127271B1 (ko) 2019-03-29 2019-03-29 손재활훈련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271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5896A (en) * 1977-12-02 1979-08-28 Hunt Alvin W Instrument holder for use on disabled hands
KR200325234Y1 (ko) 2003-02-18 2003-09-02 한도엠에스(주) 장갑 악력기
US20040186402A1 (en) * 2003-03-17 2004-09-23 Marc Bennett Digit-supporting therapeutic device for the hand
US20080000010A1 (en) * 2006-06-13 2008-01-03 Erickson Spencer K Grip enhancing glove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grip that enables a user to maintain a prolonged grip without incurring undesirable effects
KR20110032852A (ko) * 2009-09-24 2011-03-30 김영기 손가락 재활 운동장치
JP2012249674A (ja) * 2011-05-31 2012-12-20 Univ Of Electro-Communications 手指伸展運動支援装置
JP2014057763A (ja) * 2012-09-19 2014-04-03 Mutsuko Tomita 指機能回復訓練装置
US20140325739A1 (en) * 2013-05-02 2014-11-06 Daniel L. Miller Multi-Function Glove
KR101541082B1 (ko) * 2015-01-23 2015-08-03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 재활 운동 시스템 및 방법
US20180338553A1 (en) * 2014-05-14 2018-11-29 Dean R. Marriott Gloves for Adjusting and Controlling Resistance to Hand Movement, and Related Methods Thereof
JP2019004996A (ja) * 2017-06-21 2019-01-17 涼 酒井 手指訓練用器具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5896A (en) * 1977-12-02 1979-08-28 Hunt Alvin W Instrument holder for use on disabled hands
KR200325234Y1 (ko) 2003-02-18 2003-09-02 한도엠에스(주) 장갑 악력기
US20040186402A1 (en) * 2003-03-17 2004-09-23 Marc Bennett Digit-supporting therapeutic device for the hand
US20080000010A1 (en) * 2006-06-13 2008-01-03 Erickson Spencer K Grip enhancing glove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grip that enables a user to maintain a prolonged grip without incurring undesirable effects
KR20110032852A (ko) * 2009-09-24 2011-03-30 김영기 손가락 재활 운동장치
JP2012249674A (ja) * 2011-05-31 2012-12-20 Univ Of Electro-Communications 手指伸展運動支援装置
JP2014057763A (ja) * 2012-09-19 2014-04-03 Mutsuko Tomita 指機能回復訓練装置
US20140325739A1 (en) * 2013-05-02 2014-11-06 Daniel L. Miller Multi-Function Glove
US20180338553A1 (en) * 2014-05-14 2018-11-29 Dean R. Marriott Gloves for Adjusting and Controlling Resistance to Hand Movement, and Related Methods Thereof
KR101541082B1 (ko) * 2015-01-23 2015-08-03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 재활 운동 시스템 및 방법
JP2019004996A (ja) * 2017-06-21 2019-01-17 涼 酒井 手指訓練用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9896B2 (ja) 人間の手、手首及び前腕の関節及び筋肉に応力を加え且つこれらを鍛える装置
Capener The hand in surgery
EP3357473A3 (en) Wearable finger rehabilitation apparatus
US10388180B1 (en) Finger restraining device for keyboard
US10672291B2 (en) Apparatus for improving the technical ability related to the use of a musical instrument, in particular for training the fingers of a hand
JP6312908B1 (ja) 手指訓練用器具
AU2005203027A1 (en) Functional hand splint
ES2909094T3 (es) Dispositivo de varios dedos para ejercicios de mano
JPH08318006A (ja) 運動システム
US8118719B1 (en) Exercise method for the arms
KR102127271B1 (ko) 손재활훈련용 장치
CN206961360U (zh) 一种指力练习盘
US2014022817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rengthening the thenar muscles
RU159697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рук
KR20180041308A (ko)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
US20190000710A1 (en) Thoracic Spine Mobilization/ Manipulation Practitioner Support Tool
CN108261731B (zh) 指尖练习器
Quarrier et al. Adaptations for trombone performance: ergonomic interventions
JP6375472B2 (ja) 手袋
RU206310U1 (ru) Кистевой эспандер
JP2014087389A (ja) 腱鞘炎予防ストレッチ器具
Ragoo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pool and billiards assistive device for the physically challenged
US20020065172A1 (en) Wrist, hand, and finger exercise device
JP4424837B2 (ja) 箸遣い補助装置
JP2018094339A (ja) 手首と指が動かせ、軽い作業や手話ができる上肢保持装具(左型装具、右型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