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197B1 -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197B1
KR102127197B1 KR1020190020854A KR20190020854A KR102127197B1 KR 102127197 B1 KR102127197 B1 KR 102127197B1 KR 1020190020854 A KR1020190020854 A KR 1020190020854A KR 20190020854 A KR20190020854 A KR 20190020854A KR 102127197 B1 KR102127197 B1 KR 102127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r
sliding plate
switchboar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병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020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 내부에 고정되는 크래들; 상측에 진공차단기 또는 진공전자접촉기가 안치되며 상기 크래들 상에서 이동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배전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전반{SWITCHGEAR}
본 발명은 차단기 또는 진공전자접촉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또는 변전소와 같은 산업 현장에는 전력의 운용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 배전반을 설치하며, 이러한 배전반 내부에는 각종 전자기기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배전반에는 진공차단기 또는 진공전자접촉기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진공차단기 본체 또는 진공전자접촉기 본체를 배전반 내부에 인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이송부가 배전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 또는 진공전자접촉기 본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배전반 내부에는 크래들이 고정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크래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의 인입 또는 인출은 통상적으로 배전반의 전방에 설치된 도어를 닫은 후 별도의 조작핸들을 배전반 외부에서 상기 이송부에 삽입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차단기 또는 진공전자접촉기가 격리 위치, 테스트 위치, 연결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스위치가 상기 배전반 내부에 배치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443호(기중차단기의 위치별 자동 잠금장치)는 이러한 스위치에 대한 기술적 사상을 게재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과도하게 복잡하게 구현되고 있어 제조비, 조립시간 등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62866호(발명의 명칭: 고압 진공 전자접촉기의 3-포지션 스위치구조)에는 상기 종래 고안에 비해 개선된 종래 기술을 게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개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한 스위치를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특허 또한 스위치 구조가 크래들에 고정되어 진공차단기 본체 또는 진공전자접촉기가 안치된 이송부의 이송을 감지하기 때문에, 상기 이송부와 크래들의 조립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위치 판단을 부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하게 격리 위치, 테스트 위치, 연결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배전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배전반 내부에 고정되는 크래들; 상측에 진공차단기 또는 진공전자접촉기가 안치되며 상기 크래들 상에서 이동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배전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크래들에 안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배치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에 나사산 연결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의 길이 방향인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송블록; 및 상기 제1 프레임 상에서 상기 이송블록과 체결되어 상기 이송블록의 이동에 따라 같이 이동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2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제2 프레임과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제1 센서;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최대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포지션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프레임에 볼트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볼트가 관통되도록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전방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포지션바의 일부가 이동 가능한 전방홀이 형성된 전방 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바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외부에 배치되는 제1 바; 및 상기 제1 바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상기 제1 바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전방 측면의 전방홀은 상기 제2 바의 폭과 대응되거나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바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의 길이는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와 제2 바가 형성하는 단턱이 상기 전방홀에 걸려서 상기 전방 측면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상기 제1 센서에 접촉되도록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에서 연장 형성되는 후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의 길이는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가 상기 전방홀에 걸려서 상기 전방 측면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상기 제2 센서에 접촉되도록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전방 측면과 대향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후방 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측면에 일단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타단이 배치되는 제1 탄성체와, 상기 후방 측면에 일단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타단이 배치되는 제2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탄성체의 타단과 제2 탄성체의 타단이 체결되는 홈이 형성된 체결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접촉 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측면의 양단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접촉 측면의 양단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위치부를 크래들이 아닌 이송부에 직접 배치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진공차단기 또는 진공전자접촉기의 격리 위치, 테스트 위치, 연결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에서 인입 인출될 수 있는 이송부에 스위치를 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유지, 보수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크래들에 이송부 및 스위치부가 배치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가 격리 위치에 있을 때의 상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위치부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가 테스트 위치에 있을 때의 상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위치부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가 연결 위치에 있을 때의 상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위치부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크래들에 이송부 및 스위치부가 배치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가 격리 위치에 있을 때의 상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위치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가 테스트 위치에 있을 때의 상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위치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가 연결 위치에 있을 때의 상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위치부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크래들(100), 이송부(200) 및 스위치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100)은 대략적으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으로서, 배전반 내부에 고정되어 후술할 이송부(200)와 상기 이송부(200) 상에 안치되는 진공차단기(미도시) 또는 진동전자접촉기(미도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래들(100)의 후방면에는 상기 이송부(200)에 의해 진공차단기 또는 진동전자접촉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110)이 외측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송부(200)는 상측에 진공차단기 또는 진공전자접촉기가 안치되며 상기 크래들(10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부(200)는 제1 프레임(210), 리드스크류(220), 이송블록(230) 및 제2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210)은 상기 크래들(100)에 안치되는 부분으로서, 거더 어셈블리라고도 명칭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210) 상에는 후술할 리드스크류(220)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리드스크류(2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작핸들(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20)는 상기 제1 프레임(210)에 배치되어 별도의 조작핸들이 체결되어 상기 조작핸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이송블록(230)은 상기 리드스크류(220)에 나사산 연결되어 상기 리드스크류(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220)의 길이 방향인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240)은 상기 제1 프레임(210) 상에서 상기 이송블록(230)과 체결되어 상기 이송블록(230)의 이동에 따라 같이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리드스크류(220)의 길이 방향은 진공차단기 또는 진공전자접촉기를 이송시키는 방향이며, 이러한 구조적인 측면에서 볼 때 전방은 배전반의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상기 전방의 반대 방향인 상기 터미널(110) 방향을 의미한다.
또는, 전, 후방은 리드스크류(220)의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격리 위치와 테스트 위치는 진공차단기 또는 진공전자접촉기가 배전반 후방에 배치된 터미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아니한 위치를 의미하며, 연결 위치는 진공차단기 또는 진공전자접촉기가 배전반 후방에 배치된 터미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위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격리 위치는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40)이 접촉한 상태를 의미하며, 연결 위치는 상기 제1 프레임(210)으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240)이 최대로 이격된 위치를 의미하며, 테스트 위치는 상기한 격리 위치와 연결위치를 제외한 중간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300)는 상기 이송부(200)에 배치되어 상기 크래들(100)에 이송부(200)의 조립 오차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상기 이송부(20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부(300)는 상기 이송부(200)의 이동에 따른 격리 위치, 연결 위치 및/또는 테스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부(300)는 고정 플레이트(310), 슬라이딩 플레이트(320), 제1 센서(330), 제2 센서(340) 및 포지션바(3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탄성체(360)와 제2 탄성체(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는 상기 제2 프레임(240)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2 프레임(24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된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는 상기 제2 프레임(240) 상에 고정되기 위해 상기 제2 프레임(240)에 적어도 한 군데 이상 볼트 결합될 수 있으며, 후술할 슬라이딩 플레이트(320)의 배치를 위해 상기 제2 프레임(24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는 상측면에 후술할 제1 탄성체(360)의 타단과 제2 탄성체(370)의 타단이 체결되는 홈이 형성된 체결돌기(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돌기(311)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볼트, 용접 등 기공지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는 후술할 슬라이딩 플레이트(320)의 접촉 측면(324)의 양단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면(3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면(312)을 따라 상기 접촉 측면(324)이 전, 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면(312)은 후술할 슬라이딩 플레이트(320)의 전, 후방 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는 상기 제2 프레임(240)과 고정 플레이트(310) 사이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에 체결되는 볼트가 관통되도록 장공(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공(321)은 상기 볼트의 갯수 만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공(321)의 장변은 상기 리드스크류(220)와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가 전,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는 전방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포지션바(350)의 일부가 이동 가능한 전방홀이 형성된 전방 측면(3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방 측면(322)은, 후술할 포지션바(350)와의 관계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를 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는 후술할 제1 탄성체(360)와의 관계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를 원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복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는 상기 전방 측면(322)과 대향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후방 측면(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후방 측면(323)은, 후술할 제2 탄성체(370)와의 관계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를 원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복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는 후술할 제1 센서(330) 또는 제2 센서(340)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접촉 측면(32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 측면(324)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의 전방 이동에 따라 연결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제2 센서(340)에 접촉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의 후방 이동에 따라 격리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제1 센서(330)에 접촉한다.
또한, 상기 접촉 측면(324)이 상기 제1 센서(330)와 제2 센서(340) 사이에 배치되면 테스트 위치이다.
또한, 상기 접촉 측면(324)의 양단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의 내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의 가이드면(312)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330)는 상기 제2 프레임(240)이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240)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센서(340)는 상기 제2 프레임(240)이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최대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24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330)와 제2 센서(34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센서(330)는 격리 위치 감지를 위해, 상기 제2 센서(340)는 연결 위치 감지를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센서(330)는 상기 제2 센서(34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포지션바(350)는 상기 제1 프레임(210)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지션바(350)는 제1 바(351), 제2 바(352) 및/또는 후크부(35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바(351), 제2 바(352) 및 후크부(353)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지션바(35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바(351)는 상기 제1 프레임(210)에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바(352)는 상기 제1 바(35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상기 제1 바(351)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의 전방 측면(322)의 전방홀은 상기 제2 바(352)의 폭과 대응되거나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바(35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상기 제1 바(351)의 길이는 상기 제2 프레임(240)이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351)와 제2 바(352)가 형성하는 단턱이 상기 전방홀에 걸려서 상기 전방 측면(322)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를 상기 제1 센서(330)에 접촉되도록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353)는 상기 제2 바(352)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바(351)와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바(352)의 길이는 상기 제2 프레임(240)이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353)가 상기 전방홀에 걸려서 상기 전방 측면(322)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를 상기 제2 센서(340)에 접촉되도록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351)의 가압 또는 후크부(353)의 가압으로 인해 이동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20)는 제1 탄성체(360)와 제2 탄성체(37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체(360)는 상기 전방 측면(322)에 일단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에 타단이 배치되며, 상기 제2 탄성체(370)는 상기 후방 측면(323)에 일단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에 타단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체(360) 및/또는 제2 탄성체(370)는 코일 스프링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양단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 측면(322), 후방 측면(323) 및 체결돌기(3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다음과 같이 구동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200)가 격리 위치에 있다.
즉,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40)은 상호 접촉해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210) 상에 고정된 포지션바(350)의 제1 바(351)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의 전방 측면(322)을 외측에서 후방 쪽으로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는 후방 쪽으로 이동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의 접촉 측면(324)이 상기 제1 센서(330)에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에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가 후방으로 밀린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1 탄성체(360)는 압축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탄성체(370)는 인장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200)가 테스트 위치에 있다.
즉,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40)은 상호 이격되고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210) 상에 고정된 포지션바(350)의 제1 바(351)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의 전방 측면(322)과 이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는 후방에서 중앙 쪽으로 이동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의 접촉 측면(324)이 상기 제1 센서(330)와 제2 센서(340) 모두에 접촉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격리 상태에서 압축된 상기 제1 탄성체(360)와 인장된 상기 제2 탄성체(370)가 원상태로 복귀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 또한 중앙으로 이동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200)가 연결 위치에 있다.
즉,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40)은 상호 최대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210) 상에 고정된 포지션바(350)의 제2 바(352)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의 전방 측면(322)을 내측에서 전방 쪽으로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는 전방 쪽으로 이동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의 접촉 측면(324)이 상기 제2 센서(340)에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에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20)가 전방으로 밀린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1 탄성체(360)는 인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탄성체(370)는 압축되어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이송부(200) 자체에 이송부(200)의 변위를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부(300)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에서 크래들(100)과 이송부(200)의 조립오차가 있어도 이송부(200)의 이동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송부(200)는 인출입이 용이하여 스위치부(30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크래들 110: 터미널
200: 이송부 210: 제1 프레임
220: 리드스크류 230: 이송블록
240: 제2 프레임 300: 스위치부
310: 고정 플레이트 311: 체결돌기
312: 가이드면 320: 슬라이딩 플레이트
321: 장공 322: 전방 측면
323: 후방 측면 324: 접촉 측면
330: 제1 센서 340: 제2 센서
350: 포지션바 351: 제1 바
352: 제2 바 353: 후크부
360: 제1 탄성체 370: 제2 탄성체

Claims (15)

  1. 배전반 내부에 고정되는 크래들;
    상측에 진공차단기 또는 진공전자접촉기가 안치되며 상기 크래들 상에서 이동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크래들에 안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배치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에 나사산 연결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의 길이 방향인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송블록; 및
    상기 제1 프레임 상에서 상기 이송블록과 체결되어 상기 이송블록의 이동에 따라 같이 이동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2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제2 프레임과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제1 센서;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최대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포지션바;를 포함하는 배전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프레임에 볼트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볼트가 관통되도록 장공이 형성되는 배전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전방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포지션바의 일부가 이동 가능한 전방홀이 형성된 전방 측면을 더 포함하는 배전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바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외부에 배치되는 제1 바; 및
    상기 제1 바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상기 제1 바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바;를 포함하는 배전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전방 측면의 전방홀은 상기 제2 바의 폭과 대응되거나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바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배전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의 길이는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와 제2 바가 형성하는 단턱이 상기 전방홀에 걸려서 상기 전방 측면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상기 제1 센서에 접촉되도록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배전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에서 연장 형성되는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배전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의 길이는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가 상기 전방홀에 걸려서 상기 전방 측면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상기 제2 센서에 접촉되도록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배전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전방 측면과 대향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후방 측면을 더 포함하는 배전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측면에 일단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타단이 배치되는 제1 탄성체와,
    상기 후방 측면에 일단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타단이 배치되는 제2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배전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탄성체의 타단과 제2 탄성체의 타단이 체결되는 홈이 형성된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는 배전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접촉 측면을 더 포함하는 배전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측면의 양단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접촉 측면의 양단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면을 더 포함하는 배전반.
KR1020190020854A 2019-02-22 2019-02-22 배전반 KR102127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54A KR102127197B1 (ko) 2019-02-22 2019-02-22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54A KR102127197B1 (ko) 2019-02-22 2019-02-22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197B1 true KR102127197B1 (ko) 2020-06-26

Family

ID=7113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854A KR102127197B1 (ko) 2019-02-22 2019-02-22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1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490A (ko) * 2009-03-11 2010-09-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대차 인입출 방지장치
KR20110037793A (ko) * 2009-10-07 2011-04-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KR101148797B1 (ko) * 2011-02-24 2012-05-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3 포지션 위치검출장치
KR101668026B1 (ko) * 2015-01-22 2016-10-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인출 방지 장치를 갖는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490A (ko) * 2009-03-11 2010-09-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대차 인입출 방지장치
KR20110037793A (ko) * 2009-10-07 2011-04-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KR101148797B1 (ko) * 2011-02-24 2012-05-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3 포지션 위치검출장치
KR101668026B1 (ko) * 2015-01-22 2016-10-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인출 방지 장치를 갖는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8271B2 (en) Position switch and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KR100740996B1 (ko)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구 장치
US9431184B2 (en) Circuit breaker
EP2204832B1 (en) Position indicating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KR102127197B1 (ko) 배전반
CN102820164A (zh) 用于真空断路器的位置检测器
KR200442291Y1 (ko) 기중차단기 및 그에 사용되는 링크
KR100844274B1 (ko) 고압 진공 전자접촉기의 3-포지션 스위치 구조
KR20120137110A (ko)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CN207850667U (zh) 一种按钮开关开合寿命检测装置
KR101669907B1 (ko) 진공차단기 인입출 인터록 장치
KR20180077920A (ko)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장치
US6506985B2 (en) Slide switch including reciprocating to reciprocating movement between actuator assembly and displaced movable contact structure
CN108493067B (zh) 断路器系统及手车式断路器
KR101942379B1 (ko) 차단기의 동작확인용 스위치
CN109307836B (zh) 一种基于断路器特性的检测装置的检测方法
KR100947190B1 (ko) 터미널 삽입장치용 삽입불량 판정장치
CN201726061U (zh) 断路器手车限位装置
CN217543335U (zh) 刀闸状态检测装置
CN209680582U (zh) 兼容多型号断路器的自动检测设备
CN220189597U (zh) 一种晶圆盒平移机构
CN216435757U (zh) 一种应用于弧线传动条刀闸的磁感应传感器装置
CN215768959U (zh) 带有导向板的连接器端子测试仪器
CN210100057U (zh) 用于设备间的定位结构及设备组合
CN116674985B (zh) 一种储能锂电池组bms自动采样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