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035B1 - 두개의-피스의 페어 리드를 갖는 견인 장치 - Google Patents

두개의-피스의 페어 리드를 갖는 견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035B1
KR102127035B1 KR1020167004675A KR20167004675A KR102127035B1 KR 102127035 B1 KR102127035 B1 KR 102127035B1 KR 1020167004675 A KR1020167004675 A KR 1020167004675A KR 20167004675 A KR20167004675 A KR 20167004675A KR 102127035 B1 KR102127035 B1 KR 102127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cable
fairlead
bottom bearing
bear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0228A (ko
Inventor
크리스토쁘 보렐
올리비에 꼬숑
Original Assignee
탈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탈레스 filed Critical 탈레스
Publication of KR20160040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66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owing underwater objects or vessels, e.g. fairings for tow-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68Tugs for towing
    • B63B2722/00
    • B63B2723/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데크 (10) 에 장착하도록 의도되고 윈치 (16), 케이블 (14) 및 페어 리드 (20) 를 포함하는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고, 케이블 (14) 은 윈치 (16) 의 작용 하에서 페어 리드 (20) 에서 순환하고, 페어 리드 (20) 는 프레임 (21) 및 적어도 제 1 및 제 2 섹터들을 포함하고, 섹터들은 섹터들의 각각에 형성된 채널에서 케이블 (14) 을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견인 장치는 케이블이 제 1 섹터에서 연장될 수 있는 제 1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포함된 축선을 중심으로 프레임 (21) 에 대해 제 2 섹터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자유도를 갖는 관절부를 포함하고, 제 1 섹터는 프레임 (21) 에 강성 연결되고 윈치 (16) 와 제 2 섹터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개의-피스의 페어 리드를 갖는 견인 장치{TOWING DEVICE WITH A TWO-PIECE FAIRLEAD}
본 발명은 선박의 데크에 구비되고 선박 뒤로 드래그되는 대상을 견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견인 장치는 종래에 윈치 (winch), 케이블 및 페어 리드를 포함하고, 케이블은 윈치의 작용 하에서 페어 리드에서 순환한다. 이러한 타입의 장치는 예를 들면 수중 음향 기기들의 분야에서 및 보다 구체적으로 견인형 액티브 소나들에 대해 실시된다. 이들 소나들은 일반적으로 잠수 가능한 대상 또는 "피쉬 (fish)" 에 통합된 발신 안테나 및 리니어 안테나 또는 "플루트 (flute)" 로 구성되는 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소나가 종속적인 견인 모드에서 사용될 때에, 피쉬 및 플루트는 선박에 의해 견인되도록 동일한 케이블에 고정된다.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선박의 선상에 위치된 소나의 장비 아이템들과 안테나들 사이에서 에너지 및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적 및/또는 광학적 도체들로 형성된 코어를 포함한다. 케이블의 코어는 일반적으로 케이블의 기계적 강도를 보장하는 금속 와이어들의 번들로 덮혀진다. 케이블의 구성은 케이블에 대해 최소 곡률 반경을 부여한다. 이러한 반경보다 작다면, 허용 불가능한 기계적 응력들이 발생하고 이들 요소들에 손상을 발생시킨다. 동일한 것이 리니어 안테나 타입의 견인형 안테나들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선박의 데크 상에 픽싱된 윈치는 소나가 비활성이고 안테나들이 선박의 선상에 적재될 때에 케이블이 와인딩될 수 있는 릴을 갖는다. 릴의 직경은 와인딩된 요소들이 최소 곡률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벤딩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견인형 요소들이 바다에 존재할 때에, 케이블은 그 효율적인 곡률 반경을 확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페어 리드에 의해 안내된다. 견인 중에, 선박은 그 속도 및 그 기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선박들의 다른 원치 않는 이동들은 바다 조건들이 열악할 때에, 특히 나쁜 기상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선박의 이러한 이동들은 선박의 축선에 대해 케이블의 방향의 변경을 발생시킨다. 방향의 변경들이 케이블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페어 리드는 선박에 대해 픽싱될 수 있고 선박의 후방을 향해 외부로 개방된 트럼펫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수중 음향 기기들에서, 페어 리드는 안테나들이 선박의 데크로 상승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조절되어야만 한다. 페어 리드는 예를 들면 그 상단 부분에 걸쳐 개방된다. 선박에는 페어 리드에 걸쳐 피쉬를 통과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관절형 아암이 구비될 수 있다.
기존의 장치들은 벌크형이고 관절형 아암의 이동을 위한 액츄에이터를 요구한다. 더욱이, 피쉬가 페어 리드에 걸쳐 통과될 때에, 견인형 요소들이 픽싱된 케이블이 페어 리드에서의 그 하우징을 탈출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안티 언리깅 방지 (anti-unrigging) 시스템들을 실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허 출원 FR2982579 로부터, 상기 언급된 단점들을 해결하는 해결책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그루브에서 케이블을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섹터들로부터 형성된 페어 리드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섹터들은 관절부들에 의해 서로 링크되고, 관절부는 케이블이 페어 리드에서 연장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수평 평면들에 위치된 회전 축선들을 중심으로 회전에서 자유도를 갖는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페어 리드는 선박이 기수를 변경할 때에 케이블의 방향의 큰 폭의 변경을 허용하도록 제 1 관절부에 직각인 수직 평면에 포함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에서의 자유도를 갖는 관절부에 의해 선박에 위치되도록 의도된 프레임에 링크된다. 윈치의 측에 위치된 섹터에서 케이블의 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키도록 그리고 릴에서 케이블의 선회들의 불량한 와인딩의 문제점들을 감소시키도록, 제 2 축선은 유리하게 케이블이 윈치의 측에서 그루브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지점에서 이러한 섹터의 그루브를 절단한다. 지금까지, 실제로, 케이블의 측방향 클리어런스는 페어 리드와 윈치 사이에 측방향 클리어런스 각도의 형성에 의해 윈치 측에 위치된 섹터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클리어런스는 특히 선박의 기수의 변경의 경우에 선회들의 와인딩의 불량한 제어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선박의 데크에 장착하도록 의도되고 윈치, 케이블 및 페어 리드를 포함하는 견인 장치를 제안하고, 케이블은 윈치의 작용 하에서 페어 리드에서 순환하고, 페어 리드는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하나의 제 2 섹터들을 포함하고, 섹터들은 섹터들의 각각에 형성된 채널에서 케이블을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장치는 케이블이 제 2 섹터에서 연장될 수 있는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포함된 축선을 중심으로 프레임에 대해, 피봇팅 섹터로 불리우는 제 2 섹터의 회전을 허용하는 자유도를 갖는 관절부를 포함하고, 픽싱된 섹터로 불리우는 제 1 섹터는 프레임에 고정되고 윈치와 제 2 섹터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구성은 케이블이 윈치 측으로 페어 리드를 떠나는 경우에 케이블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선회 와인딩 문제점들을 회피한다.
유리하게, 제 1 섹터는 제 1 단부를 포함하는 제 1 바닥 베어링 표면을 포함하고, 제 2 섹터는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표면들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는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결합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표면들을 형성한다.
유리하게, 제 1 바닥 베어링 표면 및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은 반원 섹션들을 갖고 축선은 각각 제 1 바닥 베어링 표면 및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의 반원 섹션들의 센터들에 의해 형성된 제 1 형상의 커브 및 제 2 형상의 커브 상에 위치된 지점들에서 결합 평면을 절단한다.
유리하게, 제 2 섹터는 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는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은 단일 피스이다.
유리하게, 제 2 섹터의 채널은 케이블이 제 2 섹터에서 연장될 수 있는 방향 및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플레어링된 형태를 갖고, 제 2 섹터의 채널은 제 2 세그먼트로부터 제 1 세그먼트로의 방향으로 넓어진다.
유리하게, 상기 섹터들의 채널들은 측방향으로 개방된다.
유리하게, 상기 섹터들의 채널들은 페어 리드의 바닥을 향해 개방된다.
유리하게, 장치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와이어-안내 장치를 포함하고, 와이어-안내 장치는 페어 리드와 윈치 사이에 개재되고, 윈치는 두개의 플랜지들에 의해 경계지워진 드럼을 포함하는 릴을 포함하고, 제 1 섹터의 채널은 측방향 개구를 포함하고, 개구는 릴의 두개의 플랜지들 중 하나의 연장부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개구는 다른 플랜지로부터 떨어지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향된다.
유리하게, 축선은 케이블이 제 1 섹터에서 연장될 수 있는 방향을 포함하는 제 1 평면에 포함된다.
예로써 주어진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을 정독한다면 본 발명은 보다 양호하게 이해되고 다른 이점들은 명백해질 것이고, 상기 설명은 첨부된 도면으로써 예시된다.
- 도 1 은 액티브 소나를 당기는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 도 2 는 선박의 데크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릴, 와이어-안내 장치 및 페어 리드 사이의 예시적인 배열을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 도 4a, 도 4b 및 도 4c 는 피봇팅 세그먼트가 그 평형의 위치에 존재할 때에 측면도로 (도 4a), 사시도로 (도 4b) 및 정면도로 (바다 측으로부터) (도 4c)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페어 리드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케이블은 도 4b 및 도 4c 에서만 도시되고,
- 도 5 는 고속으로 견인할 때에 페어 리드 내로 통과하는 케이블을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 도 6a, 도 6b 는 피봇팅 세그먼트가 좌현 측 위치에 존재할 때에 사시도로 (도 6a) 및 정면도로 (바다 측으로부터) (도 6b)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페어 리드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 도 7a 및 도 7b 는 사시도로 (도 7a) 및 측면도로 (도 7b) 페어 리드에서의 견인형 본체의 통로의 두개의 위상을 도시하고,
- 도 8 은 피봇팅 세그먼트가 평형의 위치에 존재할 때에 제 1 메인 방향 및 피봇팅 세그먼트의 회전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페어 리드의 두개의 세그먼트들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 도 9a 및 도 9b 는 각각 축선이 결합 평면을 바닥 베어링 표면들의 섹션들의 센터에 의해 형성된 커브에서 절단될 경우에 (도 9a) 및 이러한 커브에서부터 떨어진 경우에 (도 9b), 두개의 세그먼트들의 바닥 베어링 표면들의 단부의 프로젝션들 (projections) 의 위치들을 결합 평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명료성의 이익을 위해, 상이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요소들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될 것이다.
본 발명은 수상 선박 (surface vessel) 에 의한 소나의 견인과 관련되어 설명된다. 명백히 본 발명은 다른 견인형 요소들에 대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종종 피쉬로 불리우는 음향 발신 안테나 (12) 및 종종 플루트로 불리우는 음향 수신 안테나 (13) 를 포함하는 액티브 소나 (11) 를 당기는 선박 (10) 을 도시한다. 소나 (11) 는 또한 두개의 안테나들 (12 및 13) 을 당기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14) 을 포함한다. 케이블은 또한 선박과 소나 (11) 의 안테나들 (12 및 13) 사이에 신호들 및 파워 서플라이들의 라우팅을 보장한다.
안테나들 (12 및 13) 은 적절한 방식으로 케이블 (14) 에 기계적으로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및/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된다. 종래에, 수신 안테나 (13) 는 패시브 소나들에서 발견되는 안테나와 동일한 튜브 형태의 리니어 안테나, 따라서 플루트라는 명칭의 리니어 안테나로부터 형성되는 한편, 발신 안테나 (12) 는 피쉬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벌크형 구조로 통합된다. 수신 플루트는 케이블 (14) 의 단부에서 후방에 일반적으로 배열되고, 피쉬는 선박 (10) 에 가장 근접한 케이블 (14) 의 부분에 위치된다. 수중 음향 미션 중에, 안테나 (12) 는 물속으로 음파들을 발신하고 수신 안테나 (13) 는 안테나 (12) 의 음파들이 반사되는 타겟들로부터 기원하는 임의의 에코들을 픽업한다.
수신 안테나 (13) 는 일반적으로 케이블 (14) 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한편, 피쉬 (12) 는 그 자체로서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해, 케이블 (14) 은 피쉬 (12) 를 위한 고정 구역 (15)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구역에서 피쉬 (12) 를 기계적으로 고정하고 케이블 (14) 에 피쉬를 전기적으로 및/또는 광학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위치된다.
물 속으로의 안테나들 (12 및 13) 의 론칭 및 물에서부터의 그 제거는 선박 (10) 의 데크 (17) 에 배열된 윈치 (16) 에 의해 행해진다. 도 3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윈치는 케이블 (14) 및 수신 안테나 (13) 의 와인딩을 허용하도록 치수 설정된 릴 (18) 을 포함한다. 윈치 (16) 는 또한 선박의 데크에 픽싱되도록 의도된 지지 프레임 (106) (도 2) 을 포함한다. 릴 (18) 은 케이블의 와인딩을 허용하도록 축선 (x) 을 중심으로 지지 프레임 (106) 에 대해 피봇 가능하다. 릴은 케이블이 와인딩되도록 의도된 드럼 (108) 을 포함한다. 드럼 (108) 은 드럼 (108) 의 와인딩 구역을 제한하도록 제공되는 두개의 플랜지들 (109, 110) 사이에서, 드럼의 회전 축선 (x) 을 따라 연장된다. 케이블의 와인딩 (14) 은, 예를 들면 이를 위해 제공된 후방 플랫폼 (19) 에서 선박 (10) 의 선상으로 (onboard) 피쉬 (12) 를 당기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페어 리드 (20) 는 릴 (18) 의 하류로 케이블 (14) 을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페어 리드 (20) 는 물 속으로의 그 강하 전에 케이블 (14) 을 위한 최종 안내 요소를 구성한다. 견인 중에, 케이블 (14) 의 경사는 선박 (10) 의 종축에 대해 변할 수 있다. 경사의 편차들은 선박의 기수 (heading) 및 속도의 변화들로 인해 및 또한 바다 조건들로 인해 현저하게 된다. 페어 리드 (20) 의 기능들 중 하나는 케이블 (14) 및 리니어 안테나에 대해 그들의 각각의 벤딩 반경들이 사전 규정된 하한값을 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케이블 (14) 은 예를 들면, 선박 (10) 의 선상에 위치된 소나의 장비 아이템과 안테나들 (12 및 13) 사이에 에너지 및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적 및/또는 광학적 도체들로부터 형성된 코어를 포함한다. 케이블 (14) 의 코어는 케이블 (14) 의 기계적 강도, 특히 그 당김 강도를 보장하는 금속 와이어들의 번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덮혀진다. 벤딩 하한값보다 낮다면, 케이블 (14) 의 구성 요소들의 영구적인 변형 또는 파괴 위험성이 존재한다. 동일한 것이 리니어 안테나에 대해서 적용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소들을 측면도로 (우현 측으로부터)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페어 리드 (20) 는 윈치 (16) 에 대해 바다 측으로 선박의 데크 (19) 에 위치되도록 의도된 프레임 (21) 을 포함한다. 데크 (19) 는 여기서 후방 플랫폼이다. 환언하면, 페어 리드는 윈치 (16) 에 대해 선박 (10) 의 후방을 향하여 픽싱된다. 도 2 의 예에서, 페어 리드는 선박 (10) 의 데크 (19) 에 대해 픽싱된다. 도면들의 실시형태에서, 페어 리드 (20) 및 윈치는 동일한 데크에 픽싱되지 않지만 변형예로서 동일한 데크에 배열될 수 있다. 페어 리드 (20) 는 프레임 (21) 에 링크된다. 릴 (18) 상에 케이블 (14) 을 정확하게 적재 (stow)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안내 장치 (22) 는 윈치 (16) 와 페어 리드 (20) 사이에 개재된다. 와이어-안내 장치는 릴 (18) 의 회전 축선 (x) 을 따라 병진 운동되어 릴 (18) 에 정확하게 케이블을 적재하도록 의도된다. 케이블 (14) 은 여기서 페어 리드 (20) 와 윈치 (16) 사이의 와이어-안내 장치 (22) 에 의해 안내된다. 변형예로서, 프레임 (21) 은 와이어 가이드 (22) 에 고정된다. 환언하면, 프레임 (21) 은 릴 (18) 의 축선에 평행하게 병진 운동들을 수행하여 릴 (18) 에 케이블 (14) 을 정확하게 적재하도록 의도된 와이어-안내 장치에 픽싱된다. 와이어 가이드 (22) 에 프레임 (21) 을 픽싱하는 경우에, 와이어 가이드는 전체적으로 릴 (18) 에 케이블 (14) 를 정확하게 적재하도록 릴 (18) 의 축선에 평행하게 병진 운동들을 수행하는 페어 리드 (20) 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어 리드 (20) 는 페어 리드 (20) 의 상류로부터 하류로 케이블 (14) 을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하의 본 특허 출원에서 픽싱된 섹터로 불리우는 제 1 섹터 (23), 및 피봇팅 섹터로 불리우는 제 2 섹터 (24) 를 포함한다. 이들 섹터들은 도 4a 및 도 4b 에서 볼 수 있다. 섹터들 (23, 24) 의 각각은 섹터 (23) 및 섹터 (24) 에 대해 채널 또는 퍼로우들 (25, 26) 을 포함한다. 이들 채널들은 케이블 (14) 을 하우징할 수 있다. 채널들은 페어 리드 (20) 를 따라 전체적으로 케이블 (14) 을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페어 리드 (20) 를 따라 전체적으로 케이블 (14) 을 안내할 수 있도록 서로 연장된다. 섹터들 (23, 24) 의 각각은 케이블 (14) 및 리니어 안테나 (13) 의 곡률을 허용한다. 섹터들 (23, 24) 은 사전 결정된 최소 곡률로 케이블 (14) 및 리니어 안테나 (13) 의 최소 곡률을 제한하도록 치수 결정되고 배열된다. 섹터들 (23, 24) 은 평면에서 케이블 (14) 의 방향의 변경을 허용하도록 치수 설정되고 배열된다. 이러한 방향의 변경은 도 4a 의 평면에서 수행된다. 페어 리드 (20) 는 이러한 방향의 변경 시에 케이블 (14) 의 곡률 반경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페어 리드는 사전 결정된 최소 곡률 반경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을 회피하게 할 수 있다.
방향의 변경은 도 4b 및 도 4c 에서 45°내지 90°이다. 이러한 배열은 선박 (10) 에 실질적으로 수평한 제 1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각도와 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는 제 2 방향으로 케이블 (14) 을 스위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각도는 여기서 45°내지 90°이다. 릴 (18) 과 페어 리드 (20) 사이의 수평한 제 1 방향은 예를 들면 케이블 (14) 이 페어 리드 (20) 의 상류에서 취하는 방향이다. 제 2 방향은 예를 들면 케이블 (14) 이 물 속으로 진입할 때에 케이블 (14) 이 페어 리드 (20) 의 하류에서 취하는 방향이다. 90°의 방향의 변경은 선박 (10) 이 정지되거나 또는 견인형 본체가 잠수될 때 얻어진다. 따라서 케이블 (14) 은 물 속에 수직으로 잠긴다. 선박 (10) 이 속도를 높이면, 케이블 (14) 은 도 5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방향의 변경의 기울기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갖고, 도 5 에 지면의 평면에서 케이블 (14) 의 방향은 페어 리드 (20) 의 상류에서 그리고 하류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봇팅 섹터 (24) 는 선박 (10) 이 기수를 변경할 때에 케이블 (14) 의 임의의 폭의 방향의 변경을 허용하도록 선박 (10) 에 대해 관절형 접합된다. 그러한 관절부는, 특히 해양 주변 측으로 페어 리드 (20) 의 길이를 따라 전체적으로 케이블 (14) 의 양호한 안내를 허용하고, 케이블 및 안테나가 페어 리드를 따라 안내될 때, 특히 선박 (10) 의 기수의 변경의 경우, 케이블 및 안테나에서의 응력들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페어 리드 (20) 는 프레임 (21) 에 대해 피봇팅 섹터 (24) 의 회전을 허용하는, 축선 (28) 을 중심으로의 회전 시에 자유도를 갖는 관절부 (27) 를 포함한다. 픽싱된 섹터 (23) 는 프레임 (21) 에 고정된다. 회전 시에 자유도를 갖는 관절부는 또한 피봇 링크로 불리운다. 도면들의 실시형태에서, 관절부 (27) 는 섹터 (24) 및 프레임 (21) 을 링크한다. 프레임 (21) 은 릴 (18) 에 케이블 (14) 의 정확한 적재를 허용하는, 예를 들면 후방 플랫폼 (19) 과 같은 선박의 데크 또는 와이어 가이드에 픽싱될 수 있다. 축선 (28) 은 도면들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서, 케이블이 픽싱된 섹터 (23) 에서 연장될 수 있는 제 1 메인 방향을 포함하는 제 1 평면 (29) 에 포함된다. 제 1 평면 (29) 은 도 4a 의 평면이고 이는 또한 도 4c 에 도시된다. 섹터의 지점에서 메인 방향은 픽싱된 섹터 (23) 가 섹터의 상응하는 지점에서 케이블 (14) 을 안내하도록 의도되는 메인 방향이다. 이는 또한 케이블의 축선이 통과하는 방향이고, 상기 케이블은 섹터 (23) 의 상응하는 지점으로 이러한 섹터 내에서 안내된다.
축선 (28) 은 또한 케이블 (14) 이 피봇팅 섹터 (24) 에서 연장될 수 있는 제 2 메인 방향을 포함하는 제 2 평면 (30) 에 포함된다. 이러한 제 2 메인 방향은 제 2 섹터 (23) 가 섹터 (24) 의 지점에서 케이블 (14) 을 안내하도록 의도된 메인 방향이다. 이는 또한 페어 리드의 어떤 측의 케이블에 가해지는 부하들이 평면에 위치될 때 이러한 섹터 내로 안내되는 케이블 (14) 의 축선이 섹터 (24) 의 상응하는 지점에서 통과하는 방향이다. 이때 피봇팅 섹터 (24) 는 그 평형의 위치에 존재한다.
섹터들 (23, 24) 은 피봇팅 섹터 (24) 가 평형의 위치에 존재할 때 평면들 (29, 30) 이 일치하도록 배열된다. 제 2 섹터 (24) 는 페어 리드의 상류에 그리고 하류에서 받는 케이블 (14) 의 부하들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될 때에 도 4a, 도 4b, 도 4c 에 도시된 평형의 위치를 점유한다. 이는 특히 선박이 일정한 기수를 따르는 경우이다. 환언하면, 제 1 및 제 2 채널들 (25, 26) 은 피봇팅 섹터 (24) 가 또한 안착 위치로 불리우는 그 평형의 위치를 점유할 때에 제 1 평면 (29) 에서 케이블을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제 2 평면 (30) 은 특히 선박 (10) 이 그 기수를 변경할 때에 제 1 평면 (29) 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평면 (30) 의 경사는 관절부 (27) 가 피봇될 때 얻어진다. 피봇팅 섹터 (24) 는 그 평형의 위치 중 어느 한 측으로 케이블 (14) 에 가해진 부하들의 방향의 함수로서 관절부 (27) 를 중심으로 피봇된다. 도 6a 및 도 6b 에서, 피봇팅 섹터는 그 평형의 위치의 외측에 위치되고 그 평형의 위치에 대해 우현을 향해 피봇되었다. 일반적으로, 섹터들은 제 1 섹터가 그 평형의 위치에 존재할 때에 제 2 평면 (30) 이 선박의 수직 평면으로 되도록 배열된다. 제 2 평면 (30) 은 관절부 (27) 가 예를 들면 기수의 변경 시에 피봇될 때에 선박의 수직 평면에 대해 경사진다. 이러한 수직 평면은, 도면들의 실시형태에서, 케이블이 제 1 섹터에서 연장될 수 있는 제 1 방향을 포함하는 제 1 평면 (29) 이지만 또 다른 수직 평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픽싱된 섹터 (23) 는 피봇팅 섹터 (24) 와 윈치 (16) 사이에서 개재된다. 픽싱된 섹터 (23) 는 평면 (29) 에서 케이블 (14) 을 안내한다. 픽싱된 섹터 (23) 는 따라서 케이블이 윈치 (16) 측으로 페어 리드 (20) 를 떠난다면 케이블 (14) 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릴에 양호하게 인접하게 와인딩되는 선회를 위해, 케이블 (14) 은 윈치 (16) 측으로 페어 리드를 떠날 때에 릴의 축선에 수직인 평면과 형성되는 각도를 최소화하여 제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페어 리드가 와이어 가이드에 고정되는 경우에 평면 (29) 이 릴 (18) 의 회전 축선에 수직하도록 픽싱된 섹터 (23) 를 간단히 위치시킴으로써 이러한 각도가 제로로 되도록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컴팩트하고, 그 평형의 위치에 대해 축선 (28) 을 중심으로 피봇팅 섹터에 의해 형성된 각도로 종속 제어되는 (slave) 컴플렉스 와이어-안내 장치를 제공하거나 또는 윈치 측으로 페어 리드를 떠날 시에 케이블의 임의의 측방향 클리어런스 각도를 감소시키도록 릴과 페어 리드 사이에 상당한 간격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페어 리드 (20) 와 윈치 (16) 사이의 케이블 (14) 의 위치를 용이하게 관리하고 따라서 컴팩트하면서 릴 (18) 에서 케이블 (14) 의 선회들의 불량한 와인딩의 문제점들을 회피하는 장치를 가능하게 한다. 픽싱된 세그먼트 (23) 는 또한 윈치 측으로 페어 리드 (20) 를 떠날 때에 케이블 (14) 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예각들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또한 장치의 컴팩트성에 기여한다.
채널들 (25, 26) 은 제 1 및 제 2 메인 방향들에서 섹터들 (23, 24) 을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된다. 채널들은 측방향으로 개방되고, 즉 채널들은 각각의 평면들 (29, 30) 에 수직한 축선들 (31, 32) 을 따라 개방된다. 환언하면, 채널들은 피봇팅 섹터가 그 평형의 위치에 존재할 때에 제 1 평면 (29) 에 수직으로 축선들 (31, 32) 을 따라 개방된다. 평면 (30) 에서 피봇팅 섹터 (24) 가 축선 (28) 에 대해 요동한다. 제 1 평면 (29) 은 수직 평면이다. 수직 및 수평 방향들은 프레임 (21) 이 이러한 플랫폼에 위치될 때에 플랫폼 (19) 의 평면에, 즉 선박의 데크에 평행하도록 의도된 평면을 규정하는 프레임 (1) 의 플린스 (201) 에 대해 규정된다.
채널 (25) 은 개방된, 즉 측방향으로 형성된 (laterally emerging) C 형태의 섹션이다. 채널 (26) 은 여기서, 도 6a 에 참조된 프로파일형 본체 (33) 에 형성된 그루브이다. 개구들 (34, 35) 은 무엇보다도 도 7a 및 도 7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쉬 (12) 의 픽싱 (36a, 36b) 을 허용하여 페어 리드 (20) 를 따라 통과하도록 의도된다 피쉬 (12) 는 따라서 선박 (10) 의 선상으로 상승되고 페어 리드 (20) 와 윈치 (16) 사이의 케이블로부터 후킹 해제될 수 있다. 선박 (10) 에 대한 피쉬 (12) 의 위치는 완전히 공지되고 제어될 수 있다. 단지 피쉬 (12) 의 위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파라미터는 윈치 (16) 의 제어이다. 따라서 선박 (10) 의 선상에서 피쉬를 조작하기 위해, 특히 케이블 (14) 로부터 피쉬를 부착하고 피쉬를 후킹 해제하기 위해 관절형 아암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단일한 케이블을 따라 이질적인 대상들을 견인하는 데 적절하다. 변형예로서, 피쉬의 픽싱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의도된 개구들은 바닥 개구들이고 또는 다르게는 페어 리드는 양쪽 타입들의 개구들을 포함한다. 채널들은 피봇팅 섹터가 그 평형의 위치에 존재할 때에 하향으로 지향된 수직 축선에서 개방된다. 상향 방향 및 하향 방향은 각각 수직 방향에서 플린스 (201) 로부터 세그먼트들을 향하는 방향 및 하향으로 진행하는 방향이다. 바닥 개구들은 와이어-안내 중에 윈치에 대한 페어 리드의 위치에 관계 없이 채널들로부터 케이블의 탈출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픽싱된 섹터 (23) 는 케이블 (14) 이 안착될 수 있는 제 1 바닥 베어링 표면 (37) 을 포함하고, 이는 도 6a 및 도 8 에서 알 수 있다. 피봇팅 섹터 (24) 는 케이블 (14) 이 안착될 수 있는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을 포함하고, 이는 도 6a 및 도 6b 및 도 8 에서 알 수 있다. 도 8 은 선박이 실질적으로 직선의 기수를 따를 때에, 즉 피봇팅 섹터 (24) 가 그 평형의 위치에 존재할 때에 케이블 (14) 의 축선을 통해 통과하는 평면에서 단면도로 페어 리드 (20) 를 도시한다. 이러한 평면은 제 1 평면 (29) 이다.
제 1 및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들 (37, 38) 은 페어 리드 (20) 하측을 향해 센터링된 제 1 및 제 2 곡률들을 평면들 (29 및 30) 에서 갖는다. 이들은 평면들 (29 및 30) 에서 섹터들 (23, 24) 을 따라 제 1 및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들 (37, 38) 의 바닥들에 의해 형성된 상기 형상의 커브에 대한 곡률이다. 바닥 베어링 표면들 (37, 38) 의 바닥들은 피봇팅 섹터가 그 평형의 위치에 존재할 때에 수직 평면에서 가장 낮은 위치들을 점유하는 이들 표면들의 지점들이다. 표면들 (37, 38) 의 바닥들은 각각의 평면들 (29, 30) 에 존재한다.
바닥 베어링 표면들 (37, 38) 은 평면들 (29 및 30) 에서 그 곡률들이 케이블에 대해 최소 허용 가능한 곡률 반경과 적어도 동등한 곡률 반경들을 모든 지점들에서 갖도록 치수 설정된다. 두개의 세그먼트들 (23, 24) 은 적어도 피봇팅 섹터 (24) 가 그 평형의 위치에 위치될 때에 제 1 및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들에 의해 형성된 바닥 베어링 표면이 최소 허용 가능한 곡률 반경과 적어도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되고 위치된다. 페어 리드 (20) 는 따라서 사전 결정된 최소 값으로 케이블의 최소 곡률을 제한하고 페어 리드를 떠날 때에 케이블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예각들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곡률들이 반드시 원호형일 필요는 없다. 픽싱된 부분의 바닥 표면은, 변형예로서 플랫형 곡률을 가질 수 있고, 즉 일직선 라인으로 연장되는 바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바닥 표면의 곡률 반경은 무한대이다.
유리하게, 제 1 바닥 베어링 표면 (37) 및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은 실질적으로 인접한다. 환언하면, 이들은, 특히 피봇팅 세그먼트 (24) 가 평형의 위치를 점유할 때에 기능적 유극 내에서 인접한다. 기능적 유극은 제 2 피봇팅 세그먼트가 축선 (28) 을 중심으로 피봇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두개의 베어링 표면들을 분리하는 공간이다. 환언하면, 픽싱된 부분과 피봇팅 부분 사이에 분리 구역은 결합 평면으로 불리우는 평면 (P1) 에 대해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제 1 바닥 베어링 표면 (37) 은 제 1 단부 (39) 를 포함하고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은 제 1 단부 (39) 에 실질적으로 인접한 제 2 단부 (40) 를 포함한다. 이들 단부들 (39, 40) 은 결합 평면 (P) 에서 실질적으로, 즉 기능적 유극 내에서 연장되는 표면들을 포함한다. 환언하면, 제 1 및 제 2 단부들 (39, 40) 은 특히 피봇팅 세그먼트가 평형의 위치에 존재할 때에 기능적 유극에 상응하는 간격만큼 분리된 두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들에 인접한 표면들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유리하게, 도 4a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평면 (P) 은 축선 (28) 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결국, 피봇팅 세그먼트 (24) 가 축선 (28) 을 중심으로 피봇될 때에, 두개의 실질적으로 인접한 단부들 (39, 40) 은 서로 평행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로 인접한 단부들은 기능적 유극에 의해서만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 1 세그먼트가 피봇될 때에 두개의 세그먼트들이 너무 멀리 이격되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제 2 섹터 (24) 가 경사질 지라도, 케이블, 및 무엇보다도 피쉬가 두개의 세그먼트들 사이로 빠지는 것을 회피하고 또한 바닥 베어링 표면 (37, 38) 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연속성은 안테나 또는 케이블에 손상을 줄 위험성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바닥 베어링 표면 (37) 및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은 그것들이 규정하는 메인 방향들에 수직인 평면들에서, 특히 제 1 및 제 2 단부들 (39, 40) 에서 결합 평면 (P) 에 평행한 평면들에서 반원의 섹션들을 갖는다. 원형 섹션들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반원을 형성한다. 바닥 베어링 표면들 (37, 38) 은 따라서 관련된 섹터 (23, 24) 를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되는 반원의 섹션을 갖는 퍼로우 형상을 각각 경계 짓는다. 표면들 (37, 38) 의 바닥들은 평면들 (29, 30) 에 위치되기 때문에, 표면들의 바닥들은 피봇팅 세그먼트 (24) 가 그 평형의 위치에 존재할 때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형상의 표면을 형성한다.
섹터들의 단부들이 챔퍼링될 때에 관련된 섹터들의 진입 및 진출 구역들에서 챔퍼링을 포함하지 않고 그리고 그것들이 결합 평면 (P) 에 평행한 평면들에서 넓어질 때에 페어 리드의 진입 및 진출 구역들을 제외하고는 반원의 섹션들은 대부분의 관련된 섹터 (23, 24) 에 걸쳐 실질적으로 픽싱된 반경을 갖는다. 세그먼트들의 단부들을 챔퍼링하는 것은 케이블에 손상을 줄 임의의 위험성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정한 반경은 피봇팅 세그먼트가 그 평형의 위치에 존재할 때에 두개의 베어링 표면들 사이에 단차의 형성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바닥 베어링 표면 (37) 및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의 반원의 섹션들의 센터들은 각각 픽싱된 세그먼트 (23) 를 따라 제 1 형상의 커브 (41) 및, 피봇팅 세그먼트 (24) 를 따라 제 2 형상의 커브 (42) 를 형성한다. 이들 커브들은 상응하는 바닥 베어링 표면의 반경과 반원의 섹션의 반경의 합과 동등한 반경을 상응하는 세그먼트의 각각의 지점에서 갖는다. 이러한 형상의 커브들 (41, 42) 은 임의의 챔퍼링된 단부 구역들을 제외하고는 모든 세그먼트들 (23, 24) 을 거쳐 연장된다.
유리하게, 도 8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축선 (28) 은 두개의 형상의 커브들 (41, 42) 상에 실질적으로 위치된 지점 (I) 에서 결합 평면 (P) 을 절단한다. 환언하면, 반원의 섹션들 (37, 38) 의 센터들에 의해 형성된 상기 형상의 커브들 (41, 42) 이 약간 연장된다면, 그것들은 두개의 세그먼트들 (23, 24) 사이의 유극에서 조우한다. 이러한 특징은 두개의 바닥 베어링 표면들 (37, 38) 사이에 불연속성을 최소화시키고 제 2 세그먼트의 요동 시에 두개의 바닥 베어링 표면들 (37, 38) 사이에 단차의 형성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케이블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날카로운 에지들의 형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도 9a 및 도 9b 에 예시되고, 여기서 피봇팅 세그먼트 (24) 가 그 평형의 위치에 존재할 때 결합 평면 (P) 상에서 바닥 베어링 표면들 (37, 38) 의 단부들 (39, 40) 의 위치 (P1) 의 프로젝션 (이들 프로젝션들은 일치함), 및 그것이 축선 (28) 을 중심으로 피봇될 때에 피봇팅 세그먼트의 단부 (40) 의 위치 (P2) 의 프로젝션이 도시되고, 각각 도 9a 는 축선 (28) 이 커브들 (41, 42) 의 교차부 (C) 에 상응하는 지점 (I) 에서 결합 평면을 절단할 경우이고 도 9b 는 지점 (I) 이 이러한 교차부 (C) 로부터 오프셋될 경우이다. 보다 명료성을 위해, 위치 (P2) 는 도 9a 의 위치 (P1) 로부터 오프셋되었지만, 그것들은 실제로 겹쳐지고 지점 (I) 을 중심으로 형성된 각도만큼만 오프셋된다. 페어 리드가 요동할 때에 축선 (28) 이 커브들 (41 및 42) 의 교차부에서 결합 평면을 절단하지 않는 도 9b 의 경우에, 비연속성이 바닥 베어링 표면들 (37 및 38) 사이에서 존재한다.
도면들의 실시형태에서,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은 유리하게 단일 피스이다.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은 단일 피스 또는 서로 고정된 부분들의 세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부분들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그리고 값싼 장치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변형예로서,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은 복수의 상호 이동식 바닥 베어링 표면들로 형성된다. 그것들은 예를 들면 제 2 평면 (30) 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선들을 중심으로 회전에서의 자유도를 갖는 관절부들에 의해 관절형 접합된다.
유리하게, 도 8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섹터 (24) 에 형성된 채널 (26) 은 케이블 (14) 이 제 2 섹터 (24) 에서 연장될 수 있는 제 2 방향, 예를 들면 제 2 메인 방향 및 축선 (28) 을 포함하는 제 2 평면 (30) 으로 플레어링된 형태를 갖고, 채널 (26) 은 제 2 세그먼트 (24) 로부터 제 1 세그먼트 (23) 로의 방향으로 넓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견인 속도가 케이블에 적용되는 부하들을 제한함으로써 변화할 때에 케이블의 곡률의 변경을 허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 피봇팅 섹터 (24) 는 케이블이 지지될 수 있는 제 2 상단 베어링 표면 (44) 을 포함한다. 제 2 상단 베어링 표면 (44) 은 실질적으로 평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8 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상단 베어링 표면 (44) 은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의 곡률에 대해, 즉 페어 리드의 상단을 향해 센터링된 반대의 곡률을 제 2 평면 (30) 에서 갖는다. 상단 베어링 표면들 (43, 44) 은 케이블이 페어 리드의 상단을 향해 만곡될 때, 케이블의 곡률이 최소 곡률 반경과 적어도 동등한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을 보장하도록 치수 설정되고 배열된다. 케이블 (14) 은 이들 두개의 상단 베어링 표면들 (43, 44)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높이들은 플린스 (201) 에 대해 규정된 수직 방향에서 규정된다. 따라서, 높은 속도로 견인 중에 부하들이 페어 리드의 피봇팅 부분에서의 케이블에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제한된다. 상단 및 바닥 베어링 표면들은 결합 평면 (P) 에 평행한 절단 평면에서 반원의 섹션들을 가질 수 있다.
바닥 및 상단 베어링 표면들의 반원의 섹션들은 채널들 (25, 26) 의 내부를 향해 센터링된다.
유리하게,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싱된 섹터 (23) 에 형성된 측방향 개구 (34) 는 릴 (18) 의 두개의 플랜지들 중 하나 (109) 의 연장부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개구 (34) 는 릴 (18) 의 다른 플랜지 (110) 로부터 떨어지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축선 (31) 을 따라 지향되어 페어 리드 (20) 내로 통과하는 케이블 (14) 이 와이어-안내 중에 채널로부터 개구 (34) 로 탈출하거나 또는 와이어-안내 중에 개구 (34) 에 의해 편향될 수 없다. 환언하면, 채널 (25) 은 플랜지 (109) 를 향해 개방된다. 개구 (34) 는 플랜지 (109) 의 연장부에 위치되는 픽싱된 부분 (23) 의 측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도 3 에서, 채널 (25) 은 우현 측을 향해 개방되고, 따라서 개구 (34) 는 릴 (18) 상에 케이블의 다양한 층들의 와인딩 중에, 우현 측에서 페어 리드 (20) 와 릴 (18) 사이의 케이블 (14) 의 임의의 편향을 갖지 않도록 릴 (18) 의 우현 플랜지 (109) 와 정렬되어 위치된다. 이러한 특징은 페어 리드와 릴 사이의 케이블의 편향들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측방향 개구를 구비한 케이블을 수용하는 데 적합한 채널을 갖는 픽싱된 섹터, 또는 픽싱된 센터 및/또는 관절형 섹터를 갖거나 또는 갖지 않고 요동하는, 임의의 타입의 페어 리드에 대해 채용될 수 있다. 이들 구성들은 청구되지 않는다.
피봇팅 세그먼트 (24) 의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및 상단 베어링 표면 (44) 은 도 4c 에 참조된 벽들 (45, 46) 에 의해 각각의 측에 링크되거나 또는 분리된다. 벽 (26) 은 개구 (35) 를 통해 바닥 베어링 표면 (38) 에 링크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벽 (26) 은 개구 (35) 를 포함한다. 이들 벽들 (45, 46) 은 피봇팅 세그먼트 (24) 가 그 평형의 위치에 존재할 때, 예를 들면 수직이다. 이들 벽들 사이의 간격은 바닥 베어링 표면들 (37, 38) 에 의해 경계지워진 채널들에 수용될 수 있는 케이블 직경들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선택되고, 케이블들은 피봇팅 세그먼트 (24) 가 피봇될 때에 이들 벽들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종래 기술 분야와 상이한 청구되지 않은 실시형태에서, 페어 리드는 프레임에 고정된 섹터를 갖지 않는다. 페어 리드는 케이블이 이러한 섹터에서 연장되는 제 1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수용된 축선을 중심으로 프레임에 대해 섹터의 회전을 허용하는 자유도를 갖는 관절부에 의해 프레임에 링크된 피봇팅 섹터를 포함한다.

Claims (10)

  1. 선박 (10) 의 데크에 장착하도록 의도되고 윈치 (16), 케이블 (14) 및 페어 리드 (20) 를 포함하는 견인 장치로서,
    상기 케이블 (14) 은 상기 윈치 (16) 의 작용 하에서 상기 페어 리드 (20) 에서 순환되고,
    상기 페어 리드 (20) 는 프레임 (21)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섹터 (23)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섹터 (24)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터 (23) 및 상기 제 2 섹터 (24) 는 상기 제 1 섹터 및 상기 제 2 섹터의 각각에 형성된 채널 (25, 26) 에서 상기 케이블 (14) 을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견인 장치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 2 섹터 (24) 에서 연장될 수 있는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 (30) 에 포함된 축선 (28) 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 (21) 에 대해 상기 제 2 섹터 (24) 의 회전을 허용하는 자유도를 갖는 관절부 (27)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터 (23) 는 상기 프레임 (21) 에 고정되고 상기 윈치 (16) 와 상기 제 2 섹터 (24)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 1 섹터 (23) 는 제 1 단부 (39) 를 포함하는 제 1 바닥 베어링 표면 (37)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섹터 (24) 는 제 2 단부 (40) 를 포함하는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14) 은 상기 제 1 바닥 베어링 표면 (37) 및 상기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상에 안착 (rest) 될 수 있고,
    상기 제 1 단부 (39) 및 상기 제 2 단부 (40) 는 상기 축선 (28) 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결합 평면 (P) 에 의해 분리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표면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닥 베어링 표면 (37) 및 상기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은 반원의 섹션들을 갖고,
    상기 축선 (28) 은 각각, 상기 제 1 바닥 베어링 표면 (37) 및 상기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의 상기 반원의 섹션들의 센터들에 의해 형성된 제 1 형상의 커브 (41) 및 제 2 형상의 커브 (42) 에 위치된 지점에서 상기 결합 평면 (P) 을 절단하는, 견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은 단일 피스인, 견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터 (24) 의 상기 채널 (26) 은 상기 케이블 (14) 이 상기 제 2 섹터 (24) 에서 연장될 수 있는 방향 및 상기 축선 (28) 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 (30) 에서 플레어링된 형태를 갖고,
    상기 제 2 섹터 (24) 의 상기 채널 (26) 은 상기 제 2 섹터 (24) 로부터 상기 제 1 섹터 (23) 로의 방향으로 넓어지는, 견인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터 (23) 및 상기 제 2 섹터 (24) 의 상기 채널들 (25, 26) 은 측방향으로 개방되는, 견인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터 (23) 및 상기 제 2 섹터 (24) 의 상기 채널들 (25, 26) 은 상기 페어 리드 (20) 의 바닥을 향해 개방되는, 견인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와이어-안내 장치 (22) 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안내 장치 (22) 는 상기 페어 리드 (20) 와 상기 윈치 (16)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윈치 (16) 는 두개의 플랜지들 (109, 110) 에 의해 경계지워진 드럼 (108) 을 포함하는 릴 (18)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터 (23) 의 상기 채널 (25) 은 측방향 개구 (34) 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 (34) 는 상기 릴 (18) 의 상기 두개의 플랜지들 (109, 110) 중 하나의 플랜지 (109) 와 정렬하여 연장되고,
    상기 개구 (34) 는 상기 두개의 플랜지들 (109, 110) 중 나머지 다른 플랜지 (110) 로부터 떨어지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향되는, 견인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 (28) 은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 1 섹터 (23) 에서 연장될 수 있는 방향을 포함하는 제 1 평면 (29) 에 포함되는, 견인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14) 은 상기 제 1 바닥 베어링 표면 (37) 및 상기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과 직접적으로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 1 바닥 베어링 (37) 표면 및 상기 제 2 바닥 베어링 표면 (38) 에 안착될 수 있는, 견인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 (28) 은 상기 선박 (10) 의 상기 데크에 평행하도록 구성된 상기 견인 장치의 평면의 수직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경사져 있는, 견인 장치.
KR1020167004675A 2013-08-02 2014-07-30 두개의-피스의 페어 리드를 갖는 견인 장치 KR102127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01860A FR3009271B1 (fr) 2013-08-02 2013-08-02 Dispositif de remorquage a chaumard en deux parties
FR1301860 2013-08-02
PCT/EP2014/066359 WO2015014886A1 (fr) 2013-08-02 2014-07-30 Dispositif de remorquage a chaumard en deux par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228A KR20160040228A (ko) 2016-04-12
KR102127035B1 true KR102127035B1 (ko) 2020-06-25

Family

ID=5002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675A KR102127035B1 (ko) 2013-08-02 2014-07-30 두개의-피스의 페어 리드를 갖는 견인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26047B2 (ko)
EP (1) EP3027498B1 (ko)
KR (1) KR102127035B1 (ko)
AU (1) AU2014298521B2 (ko)
CA (1) CA2920282C (ko)
FR (1) FR3009271B1 (ko)
SG (1) SG11201600804PA (ko)
WO (1) WO20150148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73834A4 (en) 2015-11-12 2019-07-31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URGICAL SYSTEM WITH TRAINING OR ASSISTANCE FUNCTION
FR3057241B1 (fr) * 2016-10-06 2018-11-30 Thales Chaumard a ouverture automatique et dispositif de remorquage comprenant le chaumard
CN107757825B (zh) * 2017-11-17 2023-12-12 广州碧海新能源有限公司 一种用于海洋平台船舶的临时锚回收系统
CN107719585B (zh) * 2017-11-17 2023-12-29 广州碧海新能源有限公司 一种海洋平台
CN107953971A (zh) * 2017-12-02 2018-04-24 马鞍山海明船舶配件有限公司 一种船舶停泊靠岸装置
CN108974255B (zh) * 2018-07-13 2023-08-08 浙江海洋大学 一种船舶系泊装置
DE102019203090A1 (de) * 2019-03-06 2020-01-09 Atlas Elektronik Gmbh Wasserfahrzeug mit einem Schleppsonar
CN113247183A (zh) * 2021-07-01 2021-08-13 安徽亚太锚链制造有限公司 一种大型轮船的锚链锁定装置
CN114604361A (zh) * 2022-03-25 2022-06-10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安装有无底座液压绞车的船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7526A (en) 1966-11-16 1967-10-17 Cymmer Thomas Guide for faired cable
US3892386A (en) 1973-11-05 1975-07-01 Smith Berger Mfg Corp Marine towing line guide
FR2982579A1 (fr) 2011-11-10 2013-05-17 Thales Sa Dispositif de remorquage a chaumard articu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1261A (ja) 1996-05-16 1997-11-25 Ntn Corp 補助動力付き自転車用遊星ローラ式減速機
JPH09301267A (ja) * 1996-05-16 1997-11-25 Fukushima Seisakusho:Kk フェアリー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7526A (en) 1966-11-16 1967-10-17 Cymmer Thomas Guide for faired cable
US3892386A (en) 1973-11-05 1975-07-01 Smith Berger Mfg Corp Marine towing line guide
FR2982579A1 (fr) 2011-11-10 2013-05-17 Thales Sa Dispositif de remorquage a chaumard artic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7498A1 (fr) 2016-06-08
US9926047B2 (en) 2018-03-27
KR20160040228A (ko) 2016-04-12
WO2015014886A1 (fr) 2015-02-05
US20160185426A1 (en) 2016-06-30
CA2920282C (en) 2020-12-22
AU2014298521A1 (en) 2016-03-03
AU2014298521B2 (en) 2017-04-20
EP3027498B1 (fr) 2017-12-20
SG11201600804PA (en) 2016-03-30
CA2920282A1 (en) 2015-02-05
FR3009271B1 (fr) 2016-11-04
FR3009271A1 (fr) 2015-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035B1 (ko) 두개의-피스의 페어 리드를 갖는 견인 장치
US10079418B2 (en) Flexible terahertz waveguide comprising a dielectric waveguide core which is supported within a segmented tube by dielectric threads
AU2012334019B2 (en) Towing device with a hinged fairlead
EP2583123B1 (en) Marine seismic survey system and method for active steering of source arrays in such a system
CN102884353B (zh) 将管道从铺设船铺设到水体床上的铺设方法,以及铺设船
EP2420866B1 (en) Connecting device for wide tow seismic survey
US11040758B2 (en) Device and method for paying out an elongated flexible article from a vessel
US10183729B2 (en) Water surface autonomous vessel
CA2996537A1 (en) A drum for a towed antenna, and incorporation thereof in a winch or a ship
KR102484667B1 (ko) 양면 케이블 배치를 위한 가요성 케이블 전달 시스템
JP2016132406A (ja) 水中航走体揚収システム
KR101784845B1 (ko) 선박 연결구조물
US5996525A (en) Bellmouth exit angle adapter
JP6102638B2 (ja) 水底ケーブルの布設システムおよび水底ケーブルの布設方法
KR20170041079A (ko) 수중 예인형 중성부력 광복합 케이블
JPH06278687A (ja) 水中移動体連結用ケーブル捩れ吸収装置
US6806423B1 (en) Grounding device for high speed water vehicles
JPH09308037A (ja) 水底ケーブルの布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