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667B1 - 양면 케이블 배치를 위한 가요성 케이블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면 케이블 배치를 위한 가요성 케이블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667B1
KR102484667B1 KR1020187001168A KR20187001168A KR102484667B1 KR 102484667 B1 KR102484667 B1 KR 102484667B1 KR 1020187001168 A KR1020187001168 A KR 1020187001168A KR 20187001168 A KR20187001168 A KR 20187001168A KR 102484667 B1 KR102484667 B1 KR 102484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ighway
delete delete
deck
quad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170A (ko
Inventor
버겔 바트-잔 반
레이우엔 헨크 잔 반
Original Assignee
아이에이취시 홀랜드 아이이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이취시 홀랜드 아이이 비.브이. filed Critical 아이에이취시 홀랜드 아이이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8001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4Cable-lay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3Pipe-lay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02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fixed on or to vessels
    • F16L1/203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fixed on or to vessels the pipes being wound spirally prior to la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02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fixed on or to vessels
    • F16L1/207Pipe handl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1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in or unde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선박의 갑판(13) 아래에 있는 저장 영역(22)으로부터 가요성 제품(10)을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20)은 선박의 좌현 측 또는 우현 측으로 케이블(10)을 안내하기 위한 갑판(10) 위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28)를 포함한다. 케이블은 좌현 측 또는 우현 측으로부터 인라인 쿼드런트(28)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갑판 아래의 위치에서 갑판 위의 위치인 좌현 측 또는 우현 측으로 가요성 제품(10)을 안내하며, 하이웨이 좌현 측 가이드(29) 및 하이웨이 우현 측 가이드(31)를 갖는 하이웨이(27); 및 저장 영역(22) 사이에서 그리고 하이웨이(27)의 좌현 측 가이드 또는 우현 측 가이드로 가요성 제품(10)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식 스풀링 시스템을 또한 포함한다. 하이웨이(27)는 인라인 쿼드런트의 좌현 측 입구 및 우현 측 입구로 연장된다.

Description

양면 케이블 배치를 위한 가요성 케이블 전달 시스템
본 발명은 양면 케이블 배치를 위한 가요성 케이블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파이프, 연결물(umbilicals) 등과 같은 가요성 제품을 해저와 같이 수역에 배치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케이블이 특정한 굽힘 반경 제한을 준수하여 구조적 및 기능적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쿼드런트(quadrant)가 사용된다. 상기 쿼드런트는 일반적으로 선박의 갑판에 있는 크레인, 윈치 또는 A-프레임을 사용하여 선박에 배치된다.
하나의 구조물에서 다른 구조물로 케이블을 설치할 때, 사용되는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케이블 저장소로부터 인출된다. 제1 단부를 구조물에 연결하는 것은 제2 단부에 대하여 해저에 위치한 해양 구조물 입구로 케이블을 조작한 다음 전기 연결을 위해 케이블을 상측으로 가져오는데 추가적인 길이가 필요하므로 다소 직선으로 이루어진다. 케이블 홀더로 기능하는 상기 쿼드런트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후 갑판에 일반적으로 배치되는 초과 길이를 제어 및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제2 해양 구조물에서 케이블을 당기는데 도움을 주도록 사용되며, 종종 "제2 단부 인입(pull-in)"으로 지칭된다.
종래의 쿼드런트 배치에서, 상기 쿼드런트가 오프라인으로 배치되고, 이는 하나의 해양 구조물에서 다른 해양 구조물로 케이블을 배치하는 동안에 케이블이 쿼드런트를 돌아다니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제2 단부에서, 쿼드런트 주위로 무거운 케이블을 조작하여 쿼드런트를 인라인으로 가져와야 한다. 동시에, 외부(overboard)에 매달려있는 케이블의 무게는 견인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쿼드런트를 배치하는 이러한 방식은 노동 집약적이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위험도가 높은 작업이다.
인라인 쿼드런트를 사용하는 경우, 케이블은 배치 작업 시작시에 케이블 주위에 묶여있고, 선박 선단(heading)을 선택하는 옵션이 일반적으로 인라인 쿼드런트 및 케이블 저장 영역(릴(들), 캐러셀(들) 등을 포함할 수 있음)으로부터 인라인 쿼드런트로 이동시키는 케이블 하이웨이에 의해 좌현 측 또는 우현 측으로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케이블은 쿼드런트의 좌현 측 또는 우현 측으로만 이어지는 케이블 하이웨이를 통해 쿼드런트 주위로 공급되고, 이후에 선박의 좌현 측 또는 우현 측 상의 장력 구동부로 공급된다. 우현 측 상에 쿼드런트를 공급하는 것은 좌현 측 장력 구동부를 통해 그리고 선미의 좌현 측 섹션 위에 제1 케이블 단부를 배치하는 것을 초래하며, 반대로, 좌현 측에 공급하는 것은 우현 측 장력 구동부를 통해 그리고 선미의 우현 측 섹션 위에 제1 케이블 단부를 배치하는 것을 초래한다. 쿼드런트로 케이블의 공급은 일 측에만 있고, 일반적으로 일 측 상에 장력 구동부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시스템에서는 선박의 다른 측 위에 케이블을 배치하기 위한 유연성이 없다.
날씨와 해양 조건에 따라 이는 성능과 위험에 최적 조건이 될 수 없다. 상호-어레이(inter-array) 케이블 설치는 파도, 바람 및 전류와 같은 외란의 크기 및 방향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선박의 성능과 능력은 외란에 대한 각도에 강하게 의존하므로 오직 일 측으로부터 쿼드런트로 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은 여러 조건에서 최적 성능을 위해 선박을 배치하는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일 측에만 쿼드런트를 공급하는 한계로 인해 선박 선단을 선택할 때 유연성이 부족하면 예를 들어 선박 움직임을 일으키는 파도, 선박을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바람 및 특정 방향에서 잠긴 물체(예컨대, 쿼드런트)를 강제하는 전류와 같이, 선단에 대해 강한 예기치 않은 외란으로 인해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어떤 경우에는 작업이 느려지고, 중단되어야 하거나 또는 전혀 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수중 케이블을 배치하는 방법은 수중 케이블을 로딩하고 배치를 개선한 유럽 특허출원공개공보 EP 0919458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유럽 특허출원공개공보 EP 0919458A1호는 수중 케이블을 선박 상으로 로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a) 케이블 전달 선박에 케이블의 코일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케이블 배치 선박 선상에 전달 선박을 부유하는 단계를 요구한다. 유럽 특허출원공개공보 EP 0919458A1호는 케이블을 통해 코일로부터 물속으로 직선 라인의 케이블을 배치한다. 짧은 쿼드런트에 케이블 배치 쿼트런드가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양면 케이블 배치를 위한 가요성 케이블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선박의 갑판 아래의 저장 영역으로부터 가요성 제품을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은 선박의 좌현 측 또는 우현 측으로 가요성 제품을 안내하기 위해 갑판 위에 인라인 쿼드런트를 포함한다. 가요성 제품은 좌현 측 또는 우현 측 상의 인라인 쿼드런트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갑판 아래의 위치에서 좌현 측 또는 우현 측 상의 갑판 위의 위치로 가요성 제품을 안내하기 위해 하이웨이 좌현 측 가이드 및 하이웨이 우현 측 가이드를 구비한 하이웨이; 및 저장 영역 사이에서 그리고 하이웨이의 좌현 측 가이드 또는 우현 측 가이드로 가요성 제품을 안내하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을 또한 포함한다. 하이웨이는 인라인 쿼드런트의 좌현 측 입구 및 우현 측 입구로 연장된다. 가요성 제품은 예컨대, 케이블, 파이프, 연결물 등 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유연한 저장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고, 갑판 아래의 위치에서 인라인 쿼드런트의 어느 한 측 입구로 가요성 제품을 안내할 수 있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의 사용을 통해 선박의 어느 한 측으로부터 가요성 제품의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은 가요성 제품 및 편각, 굽힘 제한 등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요구 사항을 수용하면서 인라인 쿼드런트의 소망하는 입구 측으로 이어지는 하이웨이 좌현 측 가이드 또는 하이웨이 우현 측 가이드로 가요성 제품을 안내하는 복수의 상이한 저장 장치(릴, 캐러셀 및 턴테이블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저장을 위한 유연성을 허용하고, 선박의 좌현 측 또는 우현 측으로부터 가요성 제품의 배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은 시작 시에 및/또는 지속적인 작동 시에 많은 유연성을 허용한다. 다른 해상 상태 및/또는 환경 조건이 고려될 수 있으며, 선박은 현재 조건 하에서 성능 최적화하면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케이블을 배치 및/또는 구조물에 접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은 저장 영역으로부터 또는 저장 영역으로 가요성 제품을 안내하기 위한 하부 벤드; 선박에 대하여 하브 벤드를 틸팅 및/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하부 벤드 구동 시스템; 및 하이웨이의 우현 측 입구 또는 좌현 측 입구로 하부 벤드 사이의 가요성 제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한다. 하부 벤드는 선박에 대해 측 방향으로 이동 및/또는 틸팅될 수 있고, 이는 저장 장치로부터 다가오는 가요성 제품의 편각을 수용하고, 하부 벤드와 가이드 사이의 적절한 정렬을 수용한다. 선택적으로,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의 가이드는 우현 측 상에 있고, 하나의 가이드는 좌현 측 상에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하부 벤드를 틸딩 및/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하부 벤드 구동 시스템을 또한 포함한다. 하부 벤드 구동 시스템은 가요성 제품 요구 사항을 수용하면서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과 하이웨이를 통해 가요성 제품을 적절히 안내하기 위해 하부 벤드의 올바른 위치를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는 하나 이상의 상부 덕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상부 덕트는 갑판 위 그리고 인라인 쿼드런트의 소망하는 입구로 이어지는 하이웨이 가이드 중 하나로 가요성 제품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는 하나 이상의 상부 벤드; 고정된 롤러 트랙; 및/또는 하나 이상의 슈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가이드는 수동으로 정렬될 수 있어서,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에서 다수의 구동부를 조정할 필요가 없는 낮은 마찰 시스템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고정된 롤러 트랙을 사용하면 매우 낮은 마찰로 가요성 제품을 안내할 수 있다. 슈트를 사용하면 케이블에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벤드 및/또는 가이드는 하나 이상의 롤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롤러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을 통해 가요성 제품의 저-마찰 이동을 제공할 수 있고, 가요성 제품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벤드 구동 시스템은 선박의 우현 측과 좌현 측 사이에서 하부 벤드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트랙을 포함한다. 이는 다양한 저장 시스템과 작동하기 위한 적절한 정렬을 허용하고, 편각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은 하부 벤드 그리고 하이웨이의 좌현 측 가이드 또는 우현 측 가이드와 정렬시키기 위해 선박에 대해 가이드를 틸팅 및/또는 이동시키는 가이드 구동 시스템을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 시스템은 가이드의 적절한 정렬 및 위치설정을 보장할 수 있고, 또한 작동 중에 가이드가 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는 가요성 제품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면서 가요성 제품이 인라인 쿼드런트의 소망하는 측에 전달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이드 구동 시스템은 정렬을 돕고 가요성 제품의 굽힘 제한을 수용하며 편각을 제어하기 위해, 선박의 우현 측과 좌현 측 사이에서 가이드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선박의 우현 측 및 좌현 측 각각에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가이드는 별도의 구동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가이드와 하부 벤드 사이의 적절한 정렬을 위해 가이드와 하부 벤드 사이에서 연장되는 정렬 시스템을 또한 포함한다. 이는 하부 벤드와 가이드 사이의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을 통해 가요성 제품을 적절하게 안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수동 구동 시스템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가요성 제품을 수용하여 이를 저장 시스템 아래에서 이어진 하이웨이로 지향하게 하는 로딩 암; 및 저장 시스템 아래에서 이어진 하이웨이로부터 하이웨이의 좌현 측 가이드 또는 우현 측 가이드로 가요성 제품을 지향하게 하는 수직 벤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로딩 암은 수직 방향으로 및/또는 선회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턴테이블 및/또는 캐러셀을 포함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고, 이는 로딩 암이 턴테이블 및/또는 캐러셀로부터 하이웨이 및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으로 가요성 제품을 적절하게 지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웨이는 갑판 아래에서 선박의 우현 측 및 좌현 양쪽으로 연장되고, 시스템은 우현 측 및 좌현 측 하이웨이 각각에 하나 이상의 입구를 포함한다.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은 가요성 제품을 하이웨이의 좌현 측 가이드 또는 우현 측 가이드를 향하도록 재지향시키는 수평 벤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수평 벤드를 향하는 하이웨이로 가요성 제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또한 포함한다. 수평 벤드 및 구동부로 가요성 제품을 구동할 수 있는 선택 사양의 기능은 가요성 제품을 저장하는데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하면서도 가요성 제품 요구 사항을 수용하면서 갑판 위로 그리고 인라인 쿼드런트의 소망하는 입구로 가요성 제품을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턴테이블 또는 캐러셀을 포함한다. 턴테이블, 캐러셀 및/또는 릴과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저장 시스템 및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을 보유함으로써, 가요성 제품을 위한 다양한 저장 옵션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특정 작업, 사용되는 가요성 제품, 저장 공간 및 저장 위치, 선박 등과 관련된 요구 사항 및/또는 제한 사항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선박 상에 있는 좌현 측 텐셔너 및 선박 상에 있는 우현 측 텐셔너를 또한 포함한다. 인라인 쿼드런트는 가요성 제품을 좌현 측 텐셔너 또는 우현 측 텐셔너로 안내한다. 이로써 선박의 좌현 측 또는 우현 측으로부터 가요성 제품을 배치할 수 있는 매우 유연한 시스템이 가능하므로, 현재 상황에 따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망하는 측에서 작업을 시작하고 접근할 수 있는 유연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갑판 및 갑판 아래의 저장 장치를 갖는 선박으로부터 가요성 제품을 배치하는 방법은 a)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을 저장 장치와 정렬 및/또는 갑판 상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의 소망하는 공급 측에 기초하여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을 정렬하는 단계; 및 b)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과 가이드를 통해 저장 장치로부터 갑판 상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의 소망하는 입구로 가요성 제품을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가요성 제품이 인라인 쿼드런트의 양 입구로 연장될 수 있고 따라서 선박의 어느 일 측으로부터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선박에서 가요성 제품 저장에 대한 유연성 및 작동의 유연성을 허용한다. 이를 통해 현재 해양, 환경 및 기타 조건에 따라 효과를 극대화하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운영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a)는 하부 벤드를 저장 장치와 정렬 및/또는 갑판 상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의 소망하는 공급 측에 기초하여 하부 벤드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단계 b)는 하부 벤드와 가이드를 통해 저장 장치로부터 인라인 쿼드런트의 소망하는 입구 주위로 가요성 제품을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a)는 인라인 쿼드런트의 소망하는 공급 측 및/또는 하부 벤드의 정렬에 기초하여 가이드를 정렬하는 단계 및/또는 선박의 좌현 측과 우현 측 사이에서 측 방향으로 가이드를 이동 및/또는 가이드를 틸팅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단계 b)는 선박의 좌현 측과 우현 측 사이에서 측 방향으로 하부 벤드를 이동 및/또는 하부 벤드를 틸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부 벤드 및/또는 가이드를 이동 및/또는 틸팅시키는 기능은 가요성 제품 제한 및 요구 사항을 수용하면서 다수의 유연한 저장 옵션으로부터 갑판 위의 인라인 쿼드런트의 소망하는 입구로 가요성 제품을 안내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a)는 저장 장치와 정렬하도록 및/또는 갑판 상에 있는 안라인 쿼드런트로 이어지는 하이웨이의 소망하는 공급 측에 기초하여 로딩 암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로딩 암은 캐러셀 또는 턴테이블과 같은 다른 저장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다양한 저장 장치로부터 가요성 제품을 안내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딩 암은 가요성 제품을 구동하는 것을 돕거나 및/또는 가요성 제품 상에 장력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a)는 좌현 측 가이드 또는 우현 측 가이드와 정렬하도록 벤드를 선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회를 허용함으로써, 단일 벤드가 사용될 수 있고, 소망하는 하이웨이 가이드 및 인라인 쿼드런트의 소망하는 입구로 가요성 제품을 적절하게 정렬 및 안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b)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과 가이드를 통해 캐러셀, 턴테이블 및/또를 릴로부터 갑판 상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의 소망하는 입구로 가요성 제품을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은 다수의 다른 저장 장치를 사용 가능하여서 더욱 유연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선박의 좌현 측 또는 우현 측 상에 있는 소망하는 텐셔너로 가요성 제품을 연장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선박의 우현 측과 좌현 측 상에 텐셔너를 구비하고 상기 두 텐셔너로 연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선박의 어느 한 측으로부터 가요성 제품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고, 다수의 다른 작동 조건에서 개시 및 지속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고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유연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2개의 해양 구조물을 케이블로 연결하는 동작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선박에 케이블을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선박의 측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은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의 제4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의 제5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a는 캐러셀 및 수평 반전 시스템을 사용하는 케이블 배치 및 저장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케이블 배치 및 저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a는 캐러셀 및 수직 반전 시스템을 사용하는 케이블 배치 및 저장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케이블 배치 및 저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a는 턴테이블 및 수평 반전 시스템을 사용하는 케이블 배치 및 저장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케이블 배치 및 저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a는 턴테이블 및 수직 반전 시스템을 사용하는 케이블 배치 및 저장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케이블 배치 및 저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은 전원 케이블(10)을 통해 2개의 해양 구조물(A, B)을 연결하는 동작의 개략도이다. 또한, 도 1은 선박(12)(및 종개 기술 선박(12')), 플로트-온 위험 영역(14), 블로우-온 위험 영역(16), 바람 화살표(17), 전류 지시 화살표(18), J-튜브(19) 및 북쪽 방향 화살표(N)를 포함한다. 방향 화살표(N), 바람 화살표(17) 및 전류 지시 화살표(18)는 예시 및 설명 목적으로만 표시된다. J-튜브(19)는 해양 구조물(A, B)의 개구이고, 상기 개구를 통해 케이블이 해양 구조물로 들어간다.
도 1에 도시된 동작은 레이아웃 케이블(10)로 구조물(A)에서 구조물(B)로 항해하는 선박(12)을 포함한다. 선박(12)은 케이블의 제1 단부를 좌현 측(portside) 위에 놓는다. 전류 지시 화살표(1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류는 B에서 A로 서쪽 방향으로 흐른다. 바람 화살표(17)는 북동 방향으로 바람이 불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플로트-온 위험 영역(14)은 구조물(A) 바로 남쪽에 도시되고, 블로우-온 위험 영역(16)은 구조(B)의 북서쪽에 도시된다. 플로트-온 위험 영역(14)은 그 당시의 전류로 인해 구조물(A) 쪽으로 선박(12)이 부유할 가능성이 더 큰 영역을 나타내는 구조물(A) 근처의 영역이다. 블로우-온 위험 영역(16)은 구조물(B) 근처의 영역이고, 상기 영역에서 선박(12)은 바람 상태로 인해 구조물(B) 쪽으로 이동될 가능성이 더 크다. 플로트-온 위험 영역(14) 및 블로우-온 위험 영역(16)은 선박(12)이 구조물들(A 및 B) 쪽에서 플로트-온 되거나 블로우-온되는 경향이 있는 예시적인 표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영역으로서 도시되고, 정확한 위치 및 크기 등은 상태(예컨대, 바람, 파도 및 전류의 방향 및 강도)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케이블(10)은 J-튜브(19)를 통해 구조물들(A 및 B)에 연결되기 때문에, 선박(12)은 이들 각각의 지점에서 각각의 구조물에 접근해야 한다. 선박(12')은 우현(starboardside)에서만 케이블을 배치할 수 있는 과거의 선박입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선박(12')이 해양 구조물(B)과 중첩되는 블로우-온 위험 영역(16)에서 상기 구조물(B)의 J-튜브(19)에 접근해야하므로, 선박(12')이 J-튜브(19)에 대한 이상적인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따라서, 매우 위험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12)은 좌현 측 입구 또는 우현 측 입구로부터 인라인 쿼드런트를 공급할 수 있는 케이블 하이웨이를 갖는 케이블 배치 시스템을 포함하여, 선박(12)의 어느 한 측면으로부터 케이블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12)은 선박 자체를 구조물(B)에 인접한 덜 위험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고, 상기 경우에 블로우-온 위험 영역(16)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블 하이웨이 및 좌현 측 입구 또는 우현 측 입구로부터 공급될 수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와 함께 케이블(10)을 배치함으로써, 선박(12)은 현재 상태에 적응할 수 있어서, 다양한 상태에서 덜 위험한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능력은 일 측에서만 케이블을 배치할 수 있었던 과거의 선박(12')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a는 릴(24)을 갖는 케이블 저장 영역(22)으로부터 케이블(10)을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20)을 갖는 선박(12)의 측 단면도이고, 도 2b는 선박(12)의 갑판(13)의 평면도이다. 역으로, 시스템(20)은 케이블(10)을 당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20)은 좌현 및 우현 측면 텐셔너(26), 케이블 하이웨이(27), 인라인 쿼드런트(28) 및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을 포함한다.
케이블 저장 영역(22)은 선박(12)의 갑판(13) 아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릴(24)을 갖는 가요성 제품 저장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5개의 릴(24)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시스템은 더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캐러셀 및/또는 턴테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대체 케이블 저장 장치는 도 8a 내지 도 11b와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은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을 통해 케이블 저장 영역(22)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은 케이블(10)을 갑판(13)으로부터 또는 갑판(13)으로 안내하며, 상기 케이블은 케이블 하이웨이(27)에서 인라인 쿼드런트(28)로 또는 인라인 쿼드런트(28) 주위로 연장되어서 최종적으로 소망하는 좌현 측 또는 우현 측 텐셔너(26)로 연장된다.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과 인라인 쿼드런트(28) 사이에서 케이블 하이웨이(27)의 트랙은 예컨대, 50미터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케이블은 우현 측 입구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28)에서 우현 가이드(31)를 통해 케이블 하이웨이(27)로 공급되어서, 좌현 측에 케이블 단부를 배치시키고, 좌현 측 텐셔너(26)를 사용한다. 대안적으로,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은 좌현 측 입구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28)에서 좌현 측 가이드(29)를 통해 케이블 저장 영역(22)에서 케이블 하이웨이(27)로 케이블을 안내할 수 있고, 이는 우현 측 텐셔너(26)의 사용을 초래한다. 이는 선박(12)의 양 측에 케이블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고, 선박(12)이 다양한 환경 및 수질 조건 하에서 더 적은 위험으로 더 나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도 3a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b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은 케이블 입구(33) 및 롤러(34)를 갖는 하부 벤드(32), 가이드(36), 하부 벤드 구동 시스템(38), 가이드 구동부(40), 텐셔너(42) 및 측면 이동 트랙(44)을 포함한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는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좌현 측 가이드(29)와 우현 측 가이드(31) 및 갑판(13)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가이드(36)는 2개의 상부 덕트(36)를 포함한다. 하나의 상부 덕트(36)는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우현 측 가이드(29)를 향해 연장되어서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우현 입구로 이어지고, 하나의 상부 덕트(36)는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좌현 측 가이드(31)를 향해 연장되어서 선박(12)의 갑판(13) 상에 위치된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좌현 측 입구로 이어진다.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좌현 측 가이드(29) 및 우현 측 가이드(31)는 갑판(13) 아래에서 케이블 하이웨이(27) 상의 갑판(13) 위로 케이블(10)을 안내한다.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입구 측에 기초하여 소망하는 가이드(29, 31)가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가이드(36)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상부 덕트(36)일 수 있다. 하부 벤드 구동부(38) 및/또는 가이드 구동부(40)는 예컨대, 선형 구동부일 수 있다.
하부 벤드 구동부(38)는 케이블(10)과 릴(24)(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편각(fleet angle)을 제어하여 릴(24) 또는 다른 케이블 저장 장치와 정렬되도록 하부 벤드(32)를 측 방향으로 및/또는 틸팅되게 구동시킨다. 가이드 구동부(40)는 케이블(10) 상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을 통해 케이블(10)을 구동하도록 작용한다. 정렬은, 케이블(10)의 적절한 굽힘 제한 요건을 유지하고 케이블(10) 상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소망하는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입구로 이어지는 소망하는 케이블 하이웨이(27)의 가이드(29, 31)로 케이블(10)이 안내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케이블(10)은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을 통해 케이블 저장 영역(22)으로부터 케이블 입구(33), 하부 벤드(32) 및 가이드(36)를 통과하여 케이블 하이웨이(27) 상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입구로, 인라인 쿼드런트(28) 주위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소망하는 텐셔너(26) 중 하나로 연장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벤드(32)는 트랙(44)에 있는 선박(12)의 좌현 측과 우현 측 사이에서 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하부 벤드 구동부(38)에 의해 구동되는 움직임으로 틸팅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틸팅 이동은 능동적으로 구동될 수 없지만, 소망하는 케이블 하이웨이(27)의 가이드(29, 31) 및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입구로 연장되는 케이블의 이동에 의해 제어된다. 다른 가능한 위치와 정렬 위치를 보여주기 위해 하부 벤드(32)의 많은 상이한 위치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유사하게는, 상부 덕트(36)는 하부 벤드(32)와의 적절한 정렬을 위해 틸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36)는 선박(12)의 좌현 측과 우현 측 사이에서 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및/또는 케이블에 의해 수동적으로 구동되는 이동 및/또는 구동부에 의해 능동적으로 구동되는 이동에 의해 틸팅될 수 있다. 이들 이동은, 스마트 스풀 시스템(30)이 케이블 저장 영역(22) 내의 임의의 릴(24) 또는 다른 케이블 저장 장치와 적절하게 정렬되도록 하고, 갑판(13) 아래의 케이블 저장 영역(22)에서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소망하는 가이드(29, 31)로 케이블(10)을 안내하며, 이후에 굽힘 반경 제한과 같은 적절한 로프 요건을 제어하면서 갑판(13) 상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입구로 케이블을 안내하도록 한다. 하부 벤드(32)의 트랙(44)에서 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편각을 제어하기 위해 소망하는 릴(24)(또는 다른 케이블 저장 장치)과의 정렬을 허용한다. 2개의 상부 덕트(36)는 갑판(13) 위로 이어지는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소망하는 가이드(29 또는 31) 그리고 이후에 인라인 쿼드런트(28)와 적절히 정렬되는 것을 허용한다. 틸팅은 하부 벤드(32)와 가이드(36) 사이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한다.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입구로 이어지는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좌현 측 가이드(29) 또는 우현 측 가이드(31)를 공급할 수 있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을 사용함으로써, 선박(12)은 선박(12)의 양 측면으로부터 케이블을 배치 또는 픽업을 수용할 수 있고, 해저 동작 및 구조물에 접근하여 현재 상태에 따라 최적의 성능과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은 케이블 저장 및 케이블(10)의 레이아웃 또는 픽업에서의 유연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동작 및 환경 조건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선박(12)을 위한 보다 유연한 케이블 배치 시스템(20)을 제공한다.
도 4 내지 도 7은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의 상이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유사한 부품들의 도면부호는 도 3a 및 도 3b의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과 유사하게 표시된다.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은 각각 하부 벤드(32), 가이드(36), 하부 벤드 구동 시스템(38) 및 측면 이동 트랙(44)을 포함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가이드(36)는 2개의 상부 벤드(52)를 포함하되, 하나는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좌현 측 가이드(29)에 위치하고, 하나는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우현 측 가이드(31)에 위치한다. 각각의 상부 벤드(52)는 가이드 구동부(40)를 구비한다. 하부 벤드 구동 시스템(38)에 의해 구동되는 하부 벤드(32)는 선박(12)의 좌현 측과 우현 측 사이에서 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틸팅 이동은 수동적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능동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은 도 3a 및 도 3b의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케이블(10)은 케이블 저장 영역(22)(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입구(33)에서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으로 진입하고, 케이블 저장 영역(22)으로부터 케이블(10)의 편각을 적절히 제어하기 위해 하부 벤드(32)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공급 측에 기초하여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소망하는 가이드(29, 31)에 따라 좌현 측 또는 우현 측 상부 벤드(52)가 사용된다. 상부 벤드(52) 및 하부 벤드(32) 각각은 갑판(13) 아래의 케이블 저장 영역(22) 사이로, 케이블 하이웨이(27)의 가이드(29 또는 31) 및 갑판(13) 위의 인라인 쿼드런트(28)로 케이블(10)을 안내하기 위해 서로 정렬하도록 틸팅된다.
케이블은 하부 벤드(32)의 롤러(34)에 의해 안내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부 벤드(52)는 또한 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들은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을 통해 케이블의 저-마찰 이동을 보장할 수 있고, 케이블(1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의 가이드(36)가 그 자신의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고, 정렬 연장부(62)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하부 벤드(32)는 오직 측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및/또는 틸팅하도록 구동된다. 가이드(36)는 케이블(10) 및 정렬 연장부(62)를 통해 수동적으로 정렬되어서, 케이블 상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 내의 다수의 구동부를 조정할 필요가 없는 저 마찰 시스템을 초래한다.
도 6은 좌현 측 입구 또는 우현 측 입구로부터 인라인 쿼드런트(28)을 공급하기 위해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좌현 측 가이드(29) 또는 우현 측 가이드(31)로 케이블을 안내할 수 있는 고정된 롤러 트랙을 포함하는 가이드(36)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부 벤드(32)는 구동부(38)에 의해 측 방향 및/또는 틸팅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이후에, 케이블(10)은 고정된 롤러 트랙에 의해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측으로 이어지는 소망하는 케이블 하이웨이(27)의 가이드(29, 31)로 안내된다.
도 7은 하부 벤드(32)로부터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좌현 측 가이드(29) 또는 우현 측 가이드(31)로 케이블(10)을 안내하며, 이후에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입구로 케이블(10)을 안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슈트를 포함하는 가이드(36)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의 실시예들에서,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 및 구체적으로 가이드(36)는 동일한 디자인 및 오직 하나의 구동 시스템(38)에 의해 하부 벤드(32)로부터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소망하는 가이드(29, 31) 및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입구로 케이블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가이드(36)에 사용된 롤러로 인해 매우 낮은 마찰로 이를 수행할 수 있으며, 도 7의 슈트는 케이블 상의 비틀림 없이 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a는 케이블 저장 시스템(22) 및 수평 반전 시스템을 위한 캐러셀(60)을 사용하는 케이블 배치 시스템(20)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케이블 배치 시스템(20) 및 저장 시스템(22)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갑판(13), 케이블 하이웨이(27)(좌현 측 가이드(29) 및 우현 측 가이드(31)를 구비함), 캐러셀(60) 및 캐러셀 가이드 슈트(62)와 수평 벤드(64)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을 구비한 선박(12)을 포함한다. 캐러셀(60)은 스핀들 주위로 케이블(10)을 고정하고, 캐러셀(60)의 상부를 통해 케이블을 인출한다.
케이블 하이웨이(27)는 갑판(13) 아래 선박(12)의 우현 측 및 좌현 측 상에서 수평 벤드(64)로 그리고 이후에 갑판(13) 위에서 좌현 측 가이드(29) 또는 우현 측 가이드(31)를 통해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좌현 측 입구 또는 우현 측 입구로 연장된다. 캐러셀 가이드 슈트(62)는 사용된 캐러셀(60)의 개수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며, 임의의 캐러셀(60)로부터 케이블 하이웨이(27)로의 좌현 측 입구 또는 케이블 하이웨이(27)로의 우현 측 입구로 편각을 제어하면서 케이블(10)을 안내할 수 있다. 이후에, 케이블(10)은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어느 측면에 진입하여 반대 측을 빠져나가는지에 따라서 수평 벤드(64) 주위를 이동한다. 수평 벤드(64)로부터, 케이블(10)은 선박(12) 상의 다른 방향으로 재지향되고(일반적으로, 선박(12)의 전방으로 재지향되지만 후방으로 재지향될 수 있음), 케이블은 케이블 하이웨이(27)의 가이드들(29 또는 31) 중 하나를 통해 갑판(13) 위로 이동한다. 일단 갑판 위에서, 케이블(10)은 케이블 하이웨이(27) 상에서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입구(우현 측 또는 좌현 측)로 이동하고, 이후에, 도 2a 및 도 2b에 대하여 기술된 동일한 방식(갑판 위의 부품들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지 않음)으로 소망하는 텐셔너(26)로 이동한다. 캐러셀 가이드 슈트(62) 및/또는 케이블 하이웨이 가이드(29, 31)는 케이블 요구 사항(굽힘 반경 제한 등)이 충족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틸팅될 수 있다(일부 경우에 이동될 수 있음).
도 9a는 케이블 저장 시스템(22)을 위한 캐러셀(60)을 사용하고 수직 반전 시스템을 사용하는 케이블 배치 시스템(20)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좌현 측 가이드(29)와 우현 측 가이드(31)를 구비한 케이블 하이웨이(27), 캐러셀(60) 및 로딩 암(70)과 수직 벤드(72)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을 포함한다.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케이블 저장 영역은 복수의 캐러셀(60)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케이블(10)은 로딩 암(70)을 사용하여 캐러셀(60)로부터 당겨진다. 로딩 암(70)은 임의의 캐러셀(60)로부터 케이블(10)을 수용하도록 선회할 수 있고, 캐러셀(60)로부터 인출되는 각도로 정렬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하나 이상의 로딩 암(70)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로딩 암(70)은 캐러셀(60)에 대해 케이블(10)을 구동하고, 적절한 편각을 유지하면서 케이블 상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구동부 및/또는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가적인 가이드는 케이블(10)을 캐러셀로부터 로딩 암(70)으로 지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케이블(10)을 케이블 저장 장치로 안내하는 것을 돕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케이블 속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조건 하에서 편각을 유지하고 케이블(10)을 로딩 암(70)에 전달하는 것을 돕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후에, 케이블(10)은 로딩 암(70)으로부터 케이블 하이웨이(27)로 지향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 로딩 암은 캐러셀(60) 아래에서 선박(12)의 단부를 향해 작동된다. 이후에, 케이블은 케이블 하이웨이(28)의 좌현 측 가이드(29) 또는 우현 측 가이드(31)를 통해 갑판 위의 위치로 케이블(10)을 안내할 수 있는 수직 벤드(72)를 사용하여 갑판(13) 위로 재지향된다. 이후에, 케이블(10)은 갑판 위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입구 측으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소망하는 텐셔너로 전달된다.
수직 벤드(72)는 케이블의 보전성(integrity)에 대한 요건을 유지하면서 가이드들(29, 31) 중 하나에 케이블(10)을 안내하기 위해 선박의 좌현 측과 우현 측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수직 벤드는 도 3a 내지 도 7에 도시된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 실시예들 중 하나와 유사할 수 있고, 소망하는 가이드들(29, 31)을 통해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소망하는 측으로 적절하게 전달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측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및/또는 틸팅될 수 있다.
도 10a는 수평 반전 시스템을 갖는 하부 갑판 턴테이블(80)로 구성된 케이블 저장 시스템(22)을 구비한 케이블 배치 시스템(20)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케이블 배치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케이블 저장 시스템(22)은 2개의 턴테이블(80)을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더 많거나 적은 턴테이블 또는 다른 케이블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가이드들(29, 31)을 갖는 케이블 하이웨이(27) 및 수평 벤드(82)와 구동부(84)를 갖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을 포함한다.
케이블 배치 시스템(20)은 턴테이블(80)이 구동부(84)를 사용하여 측으로부터 케이블을 해제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구동부(84)는 또한 수직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케이블이 턴테이블(80)을 벗어날 때 구동부(84)가 케이블을 따라갈 수 있게 함으로써 적절한 편각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직 이동은 트랙, 리프트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에, 케이블은 수평 벤드(82)를 향해 턴테이블(80) 위로 지향되고, 수평 벤드는 케이블 하이웨이(27) 중 하나를 향해 갑판(13) 위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입구 측으로 케이블(10)을 재지향시킨다.
도 11a는 수직 반전 시스템을 갖는 턴테이블(80)로 구성된 케이블 저장 시스템(22)을 구비한 케이블 배치 시스템(20)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턴테이블(80) 및 로딩 암(70)과 수직 벤드(72)를 갖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을 포함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 된 실시예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되, 로딩 암(70)이 턴테이블(80)을 벗어나는 케이블(10)에 대한 적절한 편각을 유지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추가적인 기능을 갖는다.
도 8a 내지 도 11b는 케이블 저장 시스템(22) 및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상기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은 이러한 대안적인 케이블 저장 시스템(22)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캐러셀(70) 및/또는 턴테이블(80)을 사용하는 것은 케이블(10)을 위한 유연한 저장 해결책을 허용하고, 일부 경우에 릴(24)보다 많은 케이블의 저장이 다루어질 수 있다. 케이블 배치 시스템(20) 및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의 다른 실시예들은 갑판(13) 아래에서 캐러셀(70) 및/또는 턴테이블(80)로부터 적절하게 풀리는 것을 허용하고, 편각 및 굽힘 반경 제한과 같은 적절한 로프 특성을 유지하면서 갑판 위의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좌현 측 가이드(29) 또는 우현 측 가이드(31)를 통해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입구 측으로 전달하는 것을 허용한다.
요약하면, 케이블 배치 시스템(20)은 갑판 아래의 저장 영역에서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입구로 케이블(10)을 전달하는 케이블 하이웨이(27)로 케이블(10)을 안내하기 위해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을 사용함으로써 가요성 케이블 저장 시스템(22)을 갖는 선박의 어느 한 측으로 케이블을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은 케이블 제한(굽힘 반경 제한, 편각 등)을 수용하면서 갑판(13) 아래의 다양한 다른 케이블 저장 장치로부터 갑판 위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좌현 측 입구 또는 우현 측 입구로 케이블(10)을 안내할 수 있다.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은 릴(24), 캐러셀(70), 턴테이블(80) 및/또는 다른 케이블 저장 장치가 케이블 저장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편각을 제어하고,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입구로 이어지는 위치의 케이블 하이웨이(27)로 케이블을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은 다양한 특정의 케이블 저장 시스템(22)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수용하며 특정의 케이블 요구 사항을 수용하기 위해 이동 및/또는 틸팅될 수 있는 수평 및/또는 수직 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은 측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및/또는 틸팅될 수 있는 하부 벤드(32) 및 케이블 (10)을 갑판(13) 아래로부터 갑판(13) 위의 소망하는 위치로 이어진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소망하는 좌현 측 가이드(29) 또는 우현 측 가이드(31)로 가져오는데 사용되는 가이드(36)를 포함한다. 하부 벤드(32)의 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편각을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틸팅은 하부 벤드(32)가 가이드(36)와 적절하게 정렬하는 것을 허용한다. 가이드(36)는 인라인 쿼드런트(28)에 대한 좌현 측 입구 또는 우현 측 입구로 이어지는 케이블 하이웨이(27)의 소망하는 측으로 케이블(10)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갑판(13) 위에서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입구로 케이블 적절하게 구동 및/또는 안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구동부, 암 및/또는 가이드를 사용한다.
좌현 측 가이드(29)와 우현 측 가이드(31)를 갖는 케이블 하이웨이(27)를 사용하여 좌현 측 입구 또는 우현 측 입구로부터 인라인 쿼드런트(28)로 케이블(10)을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선박(12)은 좌현 측 또는 우현 측으로부터 케이블을 배치할 수 있다. 이는 선박(12)이 변화하는 해양 상태 또는 조건에 따라 작동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인 방식으로 작동을 시작 및/또는 계속할 때 더 많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이는 또한 선박(12)이 구조물에 접근하는데 높은 유연성을 제공하여서, 선박(12)의 어느 한 측으로부터 접근이 가능하고, 현재의 해양 상태에 기초하여 성능 및 위험 최소화를 위한 최적의 위치에 선박이 배치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릴(24), 캐러셀(70) 및 턴테이블(80)로 구성된 케이블 저장 시스템(22)을 도시하였지만, 다른 케이블 저장 장치 및/또는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저장 장치의 개수, 설정 및 위치는 예를 들어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시스템 요구 사항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 및 다른 부품들의 배열은 또한 예를 들어 설명의 목적이며, 케이블 저장 영역(22)으로부터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입구 측으로 케이블의 안내 및 구동을 수용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구동부 및 이동 시스템은 또한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만 도시되는 것이며, 구동 및/또는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유형의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파이프, 연결물, 로프, 선, 와이어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가요성 제품(이에 제한되지는 않음)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저장 영역이 케이블 저장 영역으로 참조되고 기술되며, 하이웨이가 케이블 하이웨이로 참조되지만, 이들은 오직 예시의 목적이며, 사용되는 임의의 가요성 제품에 대한 저장 영역/하이웨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고 등가물이 구성 요소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수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서 본 발명의 교시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적응시키도록 많은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첨부 된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할 것이다.

Claims (28)

  1. 선박의 갑판 아래의 저장 영역으로부터 가요성 제품을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은,
    선박의 좌현 측 또는 우현 측으로 가요성 제품을 안내하며, 좌현 측 입구와 우현 측 입구를 구비하고, 갑판 위에 배치된 인라인 쿼드런트(28);
    갑판 아래의 위치에서 갑판 위의 위치에 있는 좌현 측 또는 우현 측으로 가요성 제품을 안내하기 위해, 하이웨이 좌현 측 가이드(29)와 하이웨이 우현 측 가이드(31)를 구비한 하이웨이(27)로, 상기 하이웨이(27)는 인라인 쿼드런트의 좌현 측 입구와 우현 측 입구로 연장되는, 하이웨이(27); 및
    저장 영역 사이에서 그리고 하이웨이의 좌현 측 가이드(29) 또는 우현 측 가이드(31)로 가요성 제품을 안내하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은,
    저장 영역으로부터 가요성 제품을 수용하여 저장 영역 아래에서 이어진 하이웨이로 지향시키는 로딩 암(70); 및
    저장 영역 아래에서 이어진 하이웨이로부터 하이웨이의 좌현 측 가이드 또는 우현 측 가이드로 가요성 제품을 지향시키는 수직 벤드(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암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및/또는 선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턴테이블(80) 또는 캐러셀(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선박 상에 있는 좌현 측 텐셔너(26); 및
    선박 상에 있는 우현 측 텐셔너(26)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인라인 쿼드런트(28)는 가요성 제품을 좌현 측 텐셔너 또는 우현 측 텐셔너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갑판 및 상기 갑판 아래에 있는 저장 장치를 갖는 선박에 가요성 제품을 배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a)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을 저장 장치와 정렬 및/또는 갑판 상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공급 측에 기초하여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을 정렬하는 단계; 및
    b)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30)과 가이드(29, 31)를 통해 저장 장치로부터 갑판 상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입구로 가요성 제품을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단계 a)는 저장 장치와 정렬하도록 및/또는 갑판 상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28)로 이어지는 하이웨이(27)의 소망하는 공급 측에 기초하여 로딩 암(70)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단계 b)는 스마트 스풀링 시스템과 가이드를 통해 캐러셀(60) 및/또는 턴테이블(80)로부터 갑판 상에 있는 인라인 쿼드런트(28)의 소망하는 입구로 가요성 제품을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87001168A 2015-06-15 2016-06-14 양면 케이블 배치를 위한 가요성 케이블 전달 시스템 KR102484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4967A NL2014967B1 (en) 2015-06-15 2015-06-15 Flexible cable delivery system for two sided cable laying.
NL2014967 2015-06-15
PCT/EP2016/063654 WO2016202809A1 (en) 2015-06-15 2016-06-14 Flexible cable delivery system for two sided cable lay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170A KR20180017170A (ko) 2018-02-20
KR102484667B1 true KR102484667B1 (ko) 2023-01-04

Family

ID=5378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168A KR102484667B1 (ko) 2015-06-15 2016-06-14 양면 케이블 배치를 위한 가요성 케이블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2) EP3307615B1 (ko)
KR (1) KR102484667B1 (ko)
CN (1) CN107750316B (ko)
DK (2) DK3693260T3 (ko)
NL (1) NL2014967B1 (ko)
WO (1) WO2016202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8078B1 (en) * 2016-12-23 2018-07-02 Tideway B V Device and method for paying out an elongated flexible article from a vessel
NL2018179B1 (en) * 2017-01-16 2018-07-26 Tideway B V Device and method for reeling in a cable from a source and temporarily storing the cab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2527A1 (en) * 2012-01-05 2013-07-11 Saipem S.P.A. Laying of conduit at sea using horizontal reel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19458A1 (en) * 1997-11-21 1999-06-02 CABLE & WIRELESS PLC Loading and laying underwater cable
GB0302279D0 (en) * 2003-01-31 2003-03-05 Stolt Offshore Ltd Pipelaying vessel
CN201952147U (zh) * 2010-11-30 2011-08-31 大连华锐股份有限公司 一种起重设备用排绳装置
CN102730161B (zh) * 2012-07-05 2014-10-29 蔡旭江 一种河道、湖泊污水原生态治理方法的装置系统
US8747025B2 (en) * 2012-11-14 2014-06-10 J. Ray Mcdermott, S.A. Offshore cable laying method
DE102013201860A1 (de) * 2013-02-05 2014-08-07 Terex Cranes Germany Gmbh Verfahren zur Beeinflussung einer auf einen Seiltrieb wirkenden Seilwindenkraft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eines derartigen Verfahre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2527A1 (en) * 2012-01-05 2013-07-11 Saipem S.P.A. Laying of conduit at sea using horizontal re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7615A1 (en) 2018-04-18
KR20180017170A (ko) 2018-02-20
EP3307615B1 (en) 2020-04-15
EP3693260B1 (en) 2021-12-01
WO2016202809A1 (en) 2016-12-22
CN107750316B (zh) 2020-03-17
DK3693260T3 (da) 2022-01-03
DK3307615T3 (da) 2020-07-13
EP3693260A1 (en) 2020-08-12
CN107750316A (zh) 2018-03-02
NL2014967B1 (en) 201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4948B (zh) 用于布置离岸管线的海上布管系统及其安装方法
EP2659173B1 (en) Marine pipeline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s
US6371694B1 (en) Vessel for laying rigid pipes at great depth
AU2008337324B2 (en) A pipe laying apparatus and method
EP2615343A2 (en) Marine pipeline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s
WO2004068012A2 (en) Pipelaying vessel
EP3558810B1 (en) Device and method for paying out an elongated flexible article from a vessel
JP7244599B2 (ja) タグボート
KR102484667B1 (ko) 양면 케이블 배치를 위한 가요성 케이블 전달 시스템
WO2010052690A2 (en) Pipelay vessel
AU2012334019B2 (en) Towing device with a hinged fairlead
JP4590442B2 (ja) ケーブル等の長尺体を水底に敷設する装置
EP4376237A2 (en) Vessel and method for offshore cable laying
US10399647B2 (en) Mechanism and arrangement for static and dynamic adjustment of submersible pumps associated with a floating platform
NO20120392A1 (n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ongate article, and a method of operation
NL2027624B1 (en) Method and device for overboarding from a vessel a jointed elongated flexible article
NL2024241B1 (en) Vessel and method for offshore cable laying
JP5558212B2 (ja) 水底ケーブルの布設装置及び布設方法
JP5048306B2 (ja) ケーブル繰り出し装置,繰り出し方法,ケーブル巻回装置及び巻回方法
JPH09308037A (ja) 水底ケーブルの布設方法
WO2023021282A1 (en) Method for deploying an elongate member and tensioner system
JPH01103111A (ja) 海底ケーブル布設船用ローラガイドウエ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