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020B1 - 혼합용 니더 - Google Patents

혼합용 니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020B1
KR102127020B1 KR1020147028381A KR20147028381A KR102127020B1 KR 102127020 B1 KR102127020 B1 KR 102127020B1 KR 1020147028381 A KR1020147028381 A KR 1020147028381A KR 20147028381 A KR20147028381 A KR 20147028381A KR 102127020 B1 KR102127020 B1 KR 102127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ars
kneader
transpor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732A (ko
Inventor
다니엘 비떼
Original Assignee
리스트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스트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리스트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003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02Constructions or methods for cleaning the mixing or knea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6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having stirring elements connected to the stirrer shaft each by a single radial rod, other than open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9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 B01F27/09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with elements co-operating with receptacle wall or bottom, e.g. for scraping the receptac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01F27/70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comprising two or more shafts, e.g. in consecutive mix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01F27/707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the paddles co-operating, e.g. intermeshing, with elements on the receptac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2)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처리 공간(8)에서 점성 화합물 및 페이스트를 제어 전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는 상기 수송바들(4)이 배치되고, 샤프트 축(A)에 관해 회전하고, 수송바들(4)의 중심축(B)이 상기 샤프트 축(A)에 대하여 각도(7)로 작동하고, 샤프트 축(A) 방향으로 서로 따르는 수송바들(4.1, 4.2, 4.3)의 중심축(B)은 샤프트 축(A) 및 서로에 관하여 원주방향으로 오프셋을 실행해야 한다.

Description

혼합용 니더{Mixing kneader}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문에 따른 혼합용 니더에 관한 것이다.
공정 기술에서, 열 처리 또는 반작용 제어를 위한 교반 용기들은 긴 시긴동안 통상적이었다. 교반 용기가 계속 작동되면, 압력 용기가 초과 충진되거나 덜 채워질 수 있고, 원료 또는 생성물이 교반 용기에서 다른 드웰 타임(dwell time)에 영향 받기 쉽기 때문에, 교반 용기에서 충진 수준을 조절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충진의 수준 조절은 생성물 흐름동안 위어(weir)를 통하거나, 충진 수위 탐촉자(filling level probe)를 가지는 펌프 수단(pump solution)에 의해, 중량측정으로 일어난다.
삭제
점성 화합물 또는 페이스트들의 경우에, 교반기(stirrer)가 생성물 또는 원료를 강제로 제공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야하기 때문에, 중량측정에 의해 측정된 충진 수준 제어는 작동하지 않는다. 여기서, 강제적으로 전달하는 동안 생성되는 힘은 중력보다 크기 때문에, 충진 수준이 교반용기에서 얼마나 높은지에 대해 확정한다. 통상적인 예는 예를 들면, DE15 57 167 A1에 공개된 바와 같이, 전달 스크류(conveying screw)이다. 후자의 경우에, 생성물은 문지르는 용기 벽에 반대하여 가압된다. 그리고 나서, 스크류 측면은 스크류의 전달 방향의 방향으로 벽 마찰에 의해 방해되는 생성물을 민다. 상기 형태의 구조에서 충진 수준은 작은 스크류의 전달 양 및 회전 속도에 의해 정의된다. 스크류의 작은 전달 양은 정해진 스크류 형상들을 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충진 수준은 다양한 회전 속도에 따라 스크류에서 수정될 수 있다.
전달 속도가 스크류의 지름에 따라 이차식으로(quadratically) 증가한다는 것은 전달 스크류의 단점이다. 대형 교반 용기가 구성되는 경우, 높은 충진 수준을 설정하기 위해, 스크류 피치(screw pitch)는 매우 작아야 한다. 그러므로, 특히 자동으로 세척되는 경우, 일부 트윈-샤프트 스크류(twin-shaft screw)들의 경우로써, 샤프트는 매우 크고 무겁게 된다. 또한, 회전 속도는 크게 감소해야만 하고, 교반 용기의 교반 성능을 크게 제한한다.
스크류 공간에서 충진 수준이 추가적으로 증가되는 경우, 반환 흐름(return flow)은 후방 측에서 지원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는 백킹-업 지점(backing-up point)의 상류로 완전히 채워지고, 그 결과, 반환 흐름이 스크류에서 발생한다. 반환 흐름 및 전달 속도는 정확하게 밖으로 서로 충전 수준의 균형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증가된다. 그리고, 스크류는 압력이 백킹 업을 상쇄하는 역류(back current)의 압력 증감율에 따른 전달 방향으로 압력을 생성한다. 그러므로, 증가된 충진 수준은 스크류에서 달성되고, 증가된 충진 수준이 동질이 아니지만, 유입영역에서 낮은 충진 수준이 있기 때문에, 스크류의 100%만은 백킹-업 지점의 정의된 길이에 걸쳐 상류로 충진된다. 또한, 상기 방볍의 결과로, 매우 큰 양의 에너지는 생성물로 소모된다.
감소된 시어 차이들(shear gaps)에 의해 스크류는 더 효율적으로 압력을 형상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더 작은 기계적 동력 손실이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100% 충진된 스크류의 영역은 더 짧아지고, 더 효율적인 충진 수준의 조절의 목적은 다시 충족되지 않는다.
충진 수준 조절 상황을 향상시키기 위해, 큰 부피의 니더들(하기 텍스트에 니더들)은 개발된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장치들은 혼합 니더들(mixing kneader)이고, 매우 폭넓은 다양한 목적을 위한 역할을 한다. 처음 언급되어진 것은 회분식(batchwise) 또는 연달아 발생하고, 진공하에서 종종 발생하는 용매 회수에 관한 증발이다. 예를 들면, 결과적으로, 증류 잔여물 , 특히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s)는 처리될뿐만 아니라, 화학 및 제약 생산으로부터 독성 또는 고 비점(high boiling)용매들을 가지는 생산 잔여물, 세척액과 중합용매, 접착제 및 밀폐용 화합물(sealing compounds)로부터 페인트 슬러지(paint sludges), 중합체 용액, 탄성 용액(elastomer solutions)이 처리된다.
또한, 장치를 이용하여 물-습윤 및/또는 용매-습윤 생성물을 건조하는 연속 또는 회분식 접촉은 진공하에서 종종 마찬가지로 실행된다. 무엇보다도 시용(application)은 안료, 염료, 정밀화학물질, 첨가제를 위해 의도된 것으로, 염, 산화물, 수산화물, 산화 방지제, 온도 민감성 제약 및 비타민 제품, 활성 물질, 중합체(polymer), 합성 고무, 고분자 현탁액, 라텍스(latex), 하이드로겔(hydrogels), 왁스, 살충제 및 염, 촉매, 슬래그 및 폐기물과 같은 화학 또는 제약 제품으로부터 잔여물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방법들은 산업용 슬러지, 오일 슬러지, 생물학적 슬러지, 종이 슬러지, 페인트 슬러지를 다루고, 일반적으로 딱딱한 접착성 페이스티 생성물(crusty viscously pasty products), 폐기물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다루기 위해, 블락 밀크(block milk), 설탕 대용품, 전분 유도체, 알긴산(alginates)등 과 같은 음식 제품에서 사용된다.
탈기(Degassing) 및/또는 탈휘발(devolatilizing)은 혼합 니더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합성 섬유용 액체 및 중합체 또는 엘라스토머 과립 또는 고체상태의 분발을 회전하여,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가 녹은 후, 중합체가 녹도록 적용된다.
중축합 반응(polycondensation reaction)은 혼합 니더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반적으로 계속 용융상태어서 이루어질 수 있고, 무엇보다도 폴리 아미드, 폴리 에스테르, 폴리 아세테이트, 폴리이 미드, 열가소성 수지, 엘라스토머, 실리콘, 우레아 수지, 페놀 수지, 세제 및 비료의 처리로 사용된다.
또한, 중합 반응(polymerization reaction)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 폴리올, 열가소성 중합체, 엘라스토머,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및 폴리아크릴아미드에 적용된다.
고체, 액체 반응들 및 다상 반응들은 혼합 니더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이는 불산(hydrofluoric acid), 스테아 레이트(stearate), 시아네이트, 폴리포스페이트, 시아누르산(cyanuric acid), 셀룰로오스 유도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에테르, 폴리아세틸 수지, 설파니린산(sulfanilic acid), 구리 프달로시아닌(copper phthalocyanine), 전분 유도체,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설포네이트, 농약 및 비료의 처리에서 반작용에 적용한다.
또한, 반응은 고체/기체 방식(예를 들면, 카르복실화) 또는 액체/기체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아세테이트(acetate), 아지드(azide), 콜베-쉬미트 반응(Kolbe-Schmitt reaction), 예를 들면, 본(BON), 살리실산 나트륨(sodium salicylate), 파라하이드록시 벤조네이트(parahydroxybenzoate) 및 파라하이드록시벤조네이트 및 제약 제품에서 이용된다.
액체/액체 반응은 중화반응 및 에스테르 교환반응의 경우에 이루어진다.
상기 유형의 혼합 니더에서 용해 및/또는 가스제거는 합성 섬유,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셀룰로오스를 위해 용액들을 회전하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플러싱(flushing)으로 알려진 것은 안료의 처리 및/또는 생성에서 발생한다.
고체-스테이트 후-축합(Solid-state post-condensation)은 중합체 현탁액의 처리에서 응결하는(특히, 연속적으로) 중합체 혼합물, 실리콘 화합물, 밀봉 화합물, 비산재(fly ash)의 경우에, 염, 정밀 화학 물질(fine chemicals), 폴리올(polyol), 알콕사이드(alkoxide), 조제, 미싱(mixing)(연속식 및/또는 화분식)의 처리에서 용액에서의 용융 결정화, 용매를 가진 셀룰로오스 섬유등을 위한 섬유의 처리 등에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의 생성 및/또는 처리, 연속 슬러링(slurrying)에서 발생한다.
또한, 다기능 프로세스들(Multi-functional processes)은 가열, 건조, 용융, 결정화, 혼합, 가스제거, 반응 등 ? 모든 연속식 또는 화분식으로 혼합 니더에서 결합될 수 있다. 중합체, 엘라스토머, 무기물, 잔여물, 제약 생성물, 음식 생성물 및 인쇄 잉므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 및/또는 처리된다.
또한, 진공 승화/탈승화는 예를 들면,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염화금속, 유기금속화합물 등과 같은 화학적 전구물질이 정제되는 방식으로, 혼합 니더에서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약학적 중간 생성물들이 생성될 수 있다.
연속적인 캐리어(carrier)기체 탈승화는 유기 중간 생성물의 경우에 안트라퀴논 및 정말화학제품 등이 발생한다.
실질적으로 단일 샤프트 및 두 개의 샤프트 혼합 니더들 사이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예를 들면, 단일 샤프트 혼합 니더는 EP 91 105 497.1(EP 0 451 741 A1)에 개시된다. 복수의 샤프트 혼합 및 니딩 기계(kneading machine)는 CH-A 506 322, EP 0 517 068 B, DE 199 40 521 A1 또는 DE 101 60 535에 개시된다. 디스크들 사이에 배치된 방사상의 디스크 부재들 및 축방향 중심의 니딩 바(kneading bar)들은 샤프트 상에 설치된다. 프레임 형태의 혼합 및 니딩 구성요소들은 다른 샤프트에서 상기 디스크들 사이에 맞물린다. 상기 혼합 및 니딩 구성 요소들은 제 1 샤프트의 디스크들 및 니딩 바들을 세척한다. 양 샤프트들 상의 니딩 바(kneading bar)들은 하우징 내부 벽을 차례로 세척한다.
일반적으로, 샤프트들은 하우징, 원통형 코어 샤프트(core shaft)상에 배치된 디스크 세그먼트(disk segment)들에서 수평 배치로 회전한다. 디스크 세그먼트들의 형태는 차단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세그먼트 빈 공간들이 생성되고, 결과적으로, 생성물은 샤프트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바들 그렇지 않으면 수송바들이라고 하는 운반 구성요소들은 디스크 세그먼트들 상에 고정된다.
단일 샤프트 니더들의 경우에, 고정용 부붐들은 하우징에 고정되어, 디스크 세그먼트들, 바들 및 고정용 부품들은 샤프트의 키네마성 운동(kinematic movement)의 결과로 규칙적으로 서로 접하게 된다. 복수의 샤프트 니더들의 경우에, 접촉들은 디스크 부재들 및 중간샤프트(countershaft)의 바들 사이에서 발생한다. 디스크 세그먼트들은 샤프트 상에서 상쇄될 수 있고, 중간샤프트의 키네마성 운동에 따라 형태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니더들을 구성하기 위한 다수의 기하학적 가능성들이 있다.
니더들의 구조는 스크류 기계들에서 유래되어 왔다. 그러므로, 바들의 측면 모서리는 스크류 장치와 유사한 방식으로, 접해있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니더가 원하는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해, 개념상, 바들은 스크류 샤프트들의 접해있는 각도와 일치하는 각도로 디스크 세그먼트들 상에 배치된다.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 급격히 명백해진다 하더라도, 전달 로직(conveying logic)은 스크류 기계들의 전달 로직과 유사한 것으로 가정된다. 예를 들면, 더 빠른 회전 속도로 더 높은 충진 수준을 달성할 가능성은 스크류 장치들과 비교하여 크게 개선된다. 충진 수준은 상기 영역에서 100% 충진되는 니더없이 방출 스크류 전달을 통해 후방측에서 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충진 수준 프로파일(profile)은 길이에 걸쳐 매우 균일하고, 선형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향이 있지만, 생성물의 유동학적 특성들(rheological properties)마찬가지로 갑자기 변화하지 않는다면, 갑작스런 방법으로 결코 이루어 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바(bar)들의 접해있는 배치는 유사성으로 스크류 형상을 얻는다. 즉, 벽면 마찰은 이동에 필수적이다. “Axial transport in kneader reactors”, Daniel U. Witte, Antec 2007의 공개는 점성 생성물들의 경우에 니더들이 벽면 마찰의 결과로 전달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고정 구성요소를 가지는 바들 및 디스크 세그먼트들 또는 중심축의 바들 및 디스크 세그먼트들 의 접촉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모델(model)은 니더들의 전달 특성들 중 충분한 제 1 근사치를 나타낸다. 이는 스크류 장치 중 작은(nominal) 전달량 모델에 해당하는 간단한 특정 모델이다. 모델은 전달 챔버의 로컬(local) 충진 수준의 경우에, 생성물이 니딩 구성요소들(또한, 소위 연결부)가 접해있는 동안, 컨테이너 공간(container space)에서 빈 공간으로 빠져나가는 방법으로 니더의 전달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빈 공간들은 상류에 위치한 전달 챔버 또는 하류에 위치한 전달 챔버에 존재할 수 있다. 펄싱 운동(pulsing movement)의 형태는 니더의 길이에 걸쳐 충진 수준을 동등하게 하는 경향을 가지도록 생성된다. 그러므로 샤프트 방향에서 로컬 전달 용량은 로컬 충진 수준에 의존하고, 니더의 작은 전달 용량을 결정할 수 있도록 인접한 챔버들의 전달 용량으로 지역적으로(locally) 채워져야 한다.

샤프트 축에 관하여 바의 성정은 종래 기술에 충분히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WO 2010/034446 A2, CH 506 322 A 및 DE 21 23 956 A1에 공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EP 1 714 694는 두개의 생성물 흐름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샤프트 축에 대하여 다르게 성정된 수송바들, 심지어 구부러진 구성을 가지는 개별적인 전송바를 개시한다.

EP 0 274 668 A1는 수송바들이 전송 샤프트에 관하여 다른 각도로 배치 될뿐만 아니라 서로에 관하여 다르게 상쇄될 수 있는 니딩 혼합기(kneading mixer)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성물 처리 및 전달 용량에 관하여 종래의 혼합기(kneader)들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처리되는 생성물에 관하여 더 유연하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항의 특징 부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상술한 게시에서 전달 모델의 중요한 전제조건은 니닝 또는 수송 바들의 수평을 이루는 배치는 점성 화합물 및 페이스트의 경우에 전달 특성이 불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바(bar)의 영입각(angle of attack)의 방법으로만 기하학적으로 영향을 준다. 이 경우, (감는 각으로 알려진)연속하는 디스크 행(disk row)들 사이의 바(bar)들의 영입각 및 바(bar)들의 배치각은 분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제는 무엇보다도 영입각 및 감는 각이 동일하지 않은 배치들이다. 이는 영입각이 니더의 요구되는 전달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감는 각은 샤프트의 회전 움직임을 통해 원하는 결합력 분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샤프트 축을 따라 연속하는 바(bar)들의 중심점들 사이의 각도와 다른 샤프트 축에 대하여 수송바들의 각도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샤프트 축에 대하여 각각의 수송바들에 의해 형성되는 영입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를 수 있다.
단일 샤프트 니더(kneader)들 경우에, 감는 각도 및 영입각은 원하는 만큼 분리될 수 있다. 이는 구조적 문제를 야기하지는 않는다. 복수의 샤프트 니더들 경우에, 결합 부재들이 샤프트 움직임에 접선방향으로 결합하지만 카운터샤프트(countershaft)의 샤프트 움직임으로 내려가고, 정의된 회전 각도 후 다시 나가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니더가 회전 부재들 사이에 최소 간극(play)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샤프트의 감기에 관하여 바(bar)들의 회전은 불가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문제는 감는 각도가 원하는대로 선택되면서, 각각의 경우 원하는 영입각을 가지는 바가 적어두 두개의 구획들로 나눠지는 방법으로 해결된다. 여기서, 두 개의 바는 샤프트 부재들 사이의 간극이 다시 최소로 되도록 서로가 하나의 선을 따라 디스크에 장착된 혼합 챔버를 이등분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생성물 처리 및 전달 용량에 관하여 종래의 혼합기(kneader)들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처리되는 생성물에 관하여 더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니더(kneader)를 통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은 수송바들이 부부적으로 도시된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니더에 대해 수송바들의 또 다른 배치가 부분적으로 도시된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니더에 대해 수송바들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가 부분적으로 도시된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이점, 특징 및 세부사항은 도면을 이용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따르는 설명의 결과로 나타낸다.
도 1은 니더(kneader)를 통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은 수송바들이 부부적으로 도시된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니더에 대해 수송바들의 또 다른 배치가 부분적으로 도시된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니더에 대해 수송바들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가 부분적으로 도시된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따르면, 샤프트(2)은 샤프트(2), 디스크 부재들(disk elements)(3)이 배치된 하우징(1)에서 회전한다. 수송바들(4)은 상기 디스크 부재들(3)상에 배치된 하우징 내부벽을 닦는다.
수송바들(4) 및 디스크 부재들(3)은 샤프트(2)에 대하여 생성물 공간(8)으로 하우징 내부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고정 구성요소들(5)와 상호작용한다.
12로 표시되는 쇄선을 이용하여 다음 도 2 내지 도 4에 대한 보는 방향(viewing direction)과 단면을 나타낸다.
샤프트(2)는 샤프트 축(A)에 관해 회전한다. 각 수송바(4)는 수송바(4)의 중심점(M)을 통해 작동하는 중심축(B)을 포함한다.
니딩 바(kneading bar)(4)의 표면은 소위 전달하는 각도인 각도(7)로 작동한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표면(9)는 중심축(B)에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작동한다. 그러나, 연속하는 수송바들(4)의 표면(9)은 다른 시간대에 제품에서 활성되는 결과로, 정의된 양(a 또는 b)dp 의해 원주 방향으로 각 경우에 오프셋 배치된다. 여기서 강조되는 것은 니더에서 생성물 공간(8)이 정의된 양으로만 채워진다는 것이며, 반면, 남아있는 부분은 여유 공간(free space)으로써, 제품이 없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샤프트(2)가 화살표(x)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송바(4.1)은 우선적으로 제품에서 나오지만, 그 후 특정 회전 후 생성물 공간(8)에서 제품과 다시 접촉하게 처음으로 온다. 수송바(4.2)에 의한 시간 지연 방식이 이어지고, 수송바(4.3)에 의한 시간 지연 방식으로 차례로 이어진다. 결과적으로, 제품 처리 및 전달 속도 뿐만 아니라, 샤프트의 힘 흡수(force absorption) 모두가 영향을 받는다.
6은 감는 각도(winding angle)을 나타낸다. 연속하는 디스크 행들(disk rows) 사이 바들(bars)의 배열 각도이다. 도 2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감는 각도(6)는 전달 각도(7)에 해당한다.
반대로, 이것은 도 3에서 다르다. 감는 각도(6)은 전달 각도(7)보다 크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수송바들(4.1, 4.2, 4.3)의 오프셋(offset)들은 실직적으로 더 크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각 수송바는 단계식 방법으로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 배치되는 구획(10.1, 10.2)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서로를 따라가는 수송바들 중 서로 대향하는 상기 구획들의 중심축은 샤프트 축에 대하여 같은 각도를 가진다. 또한, 감는 각도(6) 및 전달 각도(7)는 도 4에 도시되며, 연속하는(follow one another) 수송바들 중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구획들의 각도(11)가 도시된다.
1 하우징(Housing)
2 샤프트
3 디스크 부재(Disk element)
4 수송바들
5 고정 구성요소들
6 감는 각도
7 전달 각도
8 생성물 공간
9 표면
10 구획들
11 각도
12 단면
A 샤프트 축
B 중심축
M 중심점
x 회전 방향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shaft)(2)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처리 공간(8)에서 점성 화합물 및 페이스트(pastes)의 제어 전달(controlled transport)을 위한 혼합용 니더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상에는 수송바들(transport bars)(4)이 부착되어 있는 디스크 소자들(3)이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는 샤프트 축(shaft axis)(A)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수송바들(4)의 중심축들(B)은 상기 샤프트 축(A)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수송바들(4)은 계단식 방식으로 배치된 두 개 이상의 구획들(10.1, 10.2)로 나뉘어지고, 상기 샤프트 축(A)의 방향으로 연속하는 상기 수송바들(4)의 중심축들(B)은 원주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 니더.
  2. 제 1항에 있어서,
    연속하는 상기 수송바들(4)의 구획들(10.1, 10.2)의 중심축들은 상기 샤프트 축(A)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 니더.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7028381A 2012-04-24 2013-04-19 혼합용 니더 KR102127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3565A DE102012103565A1 (de) 2012-04-24 2012-04-24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viskosen Massen und Pasten
DE102012103565.2 2012-04-24
PCT/EP2013/058143 WO2013160196A1 (de) 2012-04-24 2013-04-19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viskosen massen und pas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32A KR20150003732A (ko) 2015-01-09
KR102127020B1 true KR102127020B1 (ko) 2020-07-09

Family

ID=4846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381A KR102127020B1 (ko) 2012-04-24 2013-04-19 혼합용 니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50131401A1 (ko)
EP (1) EP2841190B1 (ko)
JP (1) JP6278362B2 (ko)
KR (1) KR102127020B1 (ko)
CN (1) CN104245107B (ko)
DE (1) DE102012103565A1 (ko)
IN (1) IN2014MN01894A (ko)
WO (1) WO2013160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0141B1 (en) * 2018-12-04 2023-10-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ontinuous process for producing foamable cellulo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9024A (en) 1972-11-21 1977-08-02 Heinz List Heat exchanger
US4650338A (en) 1983-12-05 1987-03-17 Dipl. Ing. H. List Industrielle Verfahrenstechnik Mixing and kneading machine
US4824257A (en) 1987-05-06 1989-04-25 List Ag Kneader-mixer
EP0274668B1 (de) 1986-12-19 1992-07-22 List AG Knetmisch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744A (en) * 1909-03-11 1909-06-22 Perry L Blystone Mortar-mixer.
US1199721A (en) * 1915-11-10 1916-09-26 Francis W Tully Glove-stretcher.
GB1199721A (en) * 1966-06-30 1970-07-22 Nii Shinnoi Promy Device for Continuous Preparation of Mixtures
CH506322A (de) * 1969-03-17 1971-04-30 List Heinz Mehrspindelige Misch- und Knetmaschine
DE2123956C3 (de) * 1970-05-20 1979-09-20 Heinz Dipl.-Ing. Pratteln List (Schweiz) Misch- und Knetmaschine
CH583061A5 (ko) * 1972-10-18 1976-12-31 List Heinz
CH558512A (de) * 1972-11-21 1975-01-31 List Heinz Waermeaustauscher.
CH672749A5 (ko) * 1986-12-19 1989-12-29 List Ag
CH680196A5 (ko) * 1988-02-16 1992-07-15 List Ag
JPH01148731U (ko) * 1988-04-05 1989-10-16
CH686406A5 (de) * 1990-04-11 1996-03-29 List Ag Kontinuierlich arbeitender Mischkneter.
DE4118884A1 (de) * 1991-06-07 1992-12-10 List Ag Mischkneter
US5519470A (en) * 1994-03-04 1996-05-21 Xerox Corporation Cross mixing paddle wheel
DE19536944A1 (de) * 1995-10-04 1997-04-10 List Ag Mischkneter
DE19940521C2 (de) 1999-08-26 2003-02-13 List Ag Arisdorf Mischkneter
DE10160535A1 (de) 2001-12-10 2003-06-18 List Ag Radial oder axial reinigende Mischbarren
AU2002302530A1 (en) * 2001-04-25 2002-11-18 List Ag Mixer bars cleaning in a radial or axial manner
DE502005006692D1 (de) * 2005-04-20 2009-04-09 Buss Sms Canzler Gmbh Grossvolumiger Mischer / Reaktor
DE102008048580B4 (de) * 2008-09-23 2014-08-21 List Holding Ag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von mechanischen, chemischen und/oder thermischen Prozess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9024A (en) 1972-11-21 1977-08-02 Heinz List Heat exchanger
US4650338A (en) 1983-12-05 1987-03-17 Dipl. Ing. H. List Industrielle Verfahrenstechnik Mixing and kneading machine
EP0274668B1 (de) 1986-12-19 1992-07-22 List AG Knetmischer
US4824257A (en) 1987-05-06 1989-04-25 List Ag Kneader-mix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15378A (ja) 2015-05-28
EP2841190A1 (de) 2015-03-04
CN104245107A (zh) 2014-12-24
IN2014MN01894A (ko) 2015-07-10
DE102012103565A1 (de) 2013-10-24
WO2013160196A1 (de) 2013-10-31
JP6278362B2 (ja) 2018-02-14
KR20150003732A (ko) 2015-01-09
CN104245107B (zh) 2016-05-18
US20150131401A1 (en) 2015-05-14
EP2841190B1 (de)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43577A1 (en) Device for carrying out mechanical, chemical, and/or thermal processes
JP6065364B2 (ja) 混練機
CA2463750C (en) Kneader
KR102381186B1 (ko) 생성물의 기계적, 화학적 및/또는 열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CN108236910B (zh) 一种搅拌装置和一种卧式双轴自清洁反应器
KR102127020B1 (ko) 혼합용 니더
US20040145964A1 (en) Mixer bars cleaning in a radial or axial manner
JP5826175B2 (ja) モノマー、プレポリマー、ポリマー又はそれらの混合物を処理する方法及びその設備
JP6472443B2 (ja) 混合物の処理方法
JP2015509444A (ja) 物理的、化学的及び/又は熱的工程を実行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