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402B1 - 차 인퓨저 및 이를 구비하는 차 음용 도구 - Google Patents

차 인퓨저 및 이를 구비하는 차 음용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402B1
KR102126402B1 KR1020190006376A KR20190006376A KR102126402B1 KR 102126402 B1 KR102126402 B1 KR 102126402B1 KR 1020190006376 A KR1020190006376 A KR 1020190006376A KR 20190006376 A KR20190006376 A KR 20190006376A KR 102126402 B1 KR102126402 B1 KR 102126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user
handle
space
mu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철
Original Assignee
양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철 filed Critical 양경철
Priority to KR1020190006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인퓨저는 액체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액체 공간을 제공하는 머그컵 - 상기 머그컵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머그컵 바닥부 및 상기 머그컵 바닥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액체 공간을 제공하는 머그컵 측면부를 포함함. - 에 탈착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찻잎이 수용될 수 있는 차 인퓨저에 있어서, 찻잎이 수용될 있는 공간인 찻잎 공간을 제공하는 인퓨저 본체부; 및 상기 인퓨저 본체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가 상기 머그컵 바닥부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머그컵 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퓨저 본체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액체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핸들부가 상기 머그컵 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 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 공간 상의 액체가 상기 찻잎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가 상기 머그컵과 이격되어 상기 인퓨저 본체부가 상기 액체 공간 상에 배치되지 못해, 상기 액체 공간 상의 액체가 상기 찻잎 공간으로 유입될 수 없으며,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부가 상기 머그컵 측면부 상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액체 공간 상에 수용되는 액체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핸들부와 상기 인퓨저 본체부 사이에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인 환기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 인퓨저 및 이를 구비하는 차 음용 도구 {TEA INFUSER AND TEA DRINKING INSTRU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 인퓨저 및 이를 구비하는 차 음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액체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액체 공간을 제공하는 머그컵에 탈착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찻잎이 수용될 수 있는 차 인퓨저 및 이를 구비하는 차 음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동서양에서는 차 문화의 발달과 함께 녹차, 홍차, 보이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가 발전되어 왔다. 또한 차의 맛을 좋게 하기 위해 차를 우려낸 방식이 발전하면서 차 문화는 복잡한 다도로 발전된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복잡한 다도를 지양하게 되고 일회용 티백에 차를 포장함으로써 간편함을 추구하고 있다.
반면 고급 차종을 즐기는 소비자층에서는 차 본연의 향과 풍미를 저감하는 일회용 티백에서 벗어나, 사기로 이루어진 차 음용 도구를 이용하고 있다. 차 음용 도구는 찻잎이 수용되는 차 인퓨저와 차 인퓨저가 거치되며 고온의 물이 수용되는 머그컵으로 이루지고 있다.
기존의 차 음용 도구(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2293.호, 2010. 03 .05, 공개)는 차 인퓨저가 머그컵의 상측 개구된 부분에 전체적으로 배치되었었다. 여기서, 머그컵 내의 고온의 물에 의한 고온의 공기가 차 인퓨저를 가열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차 인퓨저를 머그컵으로부터 제거할 때, 차 인퓨저에 의해 화상을 입거나 부상을 당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머그컵에 수용되는 고온의 물에 의해 가열된 고온 공기에 의해 차 인퓨저가 필요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화상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 인퓨저 및 이를 구비하는 차 음용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인퓨저는 액체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액체 공간을 제공하는 머그컵 - 상기 머그컵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머그컵 바닥부 및 상기 머그컵 바닥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액체 공간을 제공하는 머그컵 측면부를 포함함. - 에 탈착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찻잎이 수용될 수 있는 차 인퓨저에 있어서, 찻잎이 수용될 있는 공간인 찻잎 공간을 제공하는 인퓨저 본체부; 및 상기 인퓨저 본체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가 상기 머그컵 바닥부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머그컵 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퓨저 본체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액체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핸들부가 상기 머그컵 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 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 공간 상의 액체가 상기 찻잎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가 상기 머그컵과 이격되어 상기 인퓨저 본체부가 상기 액체 공간 상에 배치되지 못해, 상기 액체 공간 상의 액체가 상기 찻잎 공간으로 유입될 수 없으며,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부가 상기 머그컵 측면부 상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액체 공간 상에 수용되는 액체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핸들부와 상기 인퓨저 본체부 사이에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인 환기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일단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본체부 및 일단부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핸들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퓨저 본체부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핸들 본체부가 하측 방향으로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핸들 본체부를 지지하는 핸들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 지지부는, 상기 핸들 지지부의 중단부가 상기 핸들 본체부의 하면과 이격되어, 상기 핸들 본체부와 함께 상기 환기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지지부는, 일단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핸들 본체부에 연결되는 제1 핸들 지지부 및 상기 제1 핸들 지지부와 이격되어 일단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핸들 본체부에 연결되는 제2 핸들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핸들 지지부와 상기 제2 핸들 지지부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머그컵 측면부의 상단에 접촉되며, 상기 액체 공간 상에 수용되는 액체의 열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환기 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환기 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인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퓨저 본체부는,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값 이하의 철분을 함유하는 제1 흙을 기초로 제조되는 자기이며, 상기 핸들 본체부는, 초벌되는 과정에서 흙이 자화되어 상기 핸들 본체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고정되도록,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값 이상의 철분을 함유하는 제2 흙을 기초로 제조되는 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퓨저 본체부와 상기 핸들 본체부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인퓨저 본체부와 상기 핸들 지지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퓨저 본체부는, 제1 흙으로 제작된 기물이 초벌되어 형성된 인퓨저 본체부 모체가 재벌되어 제조되고, 상기 결합부는, 유약이 상기 인퓨저 본체부 모체의 상단부에 도포된 후,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음용 도구는, 액체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액체 공간을 제공하는 머그컵; 및 상기 머그컵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찻잎이 수용될 수 있는 차 인퓨저;를 포함하고, 상기 차 인퓨저는, 찻잎이 수용될 있는 공간인 찻잎 공간을 제공하는 인퓨저 본체부 및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가 상기 머그컵 바닥부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머그컵 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퓨저 본체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액체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핸들부가 상기 머그컵 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 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 공간 상의 액체가 상기 찻잎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가 상기 머그컵과 이격되어 상기 인퓨저 본체부가 상기 액체 공간 상에 배치되지 못해, 상기 액체 공간 상의 액체가 상기 찻잎 공간으로 유입될 수 없으며,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부가 상기 머그컵 측면부 상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액체 공간 상에 수용되는 액체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핸들부와 상기 인퓨저 본체부 사이에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인 환기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머그컵은, 상기 머그컵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머그컵 바닥부, 상기 머그컵 바닥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액체 공간을 제공하는 머그컵 측면부 및 상기 머그컵 측면부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머그컵 측면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머그컵 측면부에 연결되는 머그컵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머그컵 측면부는, 소정의 흙으로 제작되는 사각형의 기물인 측면 기물의 일단부와 상기 측면 기물의 타단부가 서로 포개진 상태로 초벌 및 재벌되어 형성되고, 상기 머그컵 그립부는, 상기 측면 기물의 일단부와 상기 측면 기물의 타단부가 서로 포개진 부분에 연결되는 그립 기물이 초벌 및 재벌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 인퓨저 및 이를 구비하는 차 음용 도구에 따르면,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음용 도구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음용 도구가 구비하는 차 인퓨저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인퓨저가 제공하는 환기 공간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인퓨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음용 도구가 구비하는 머그컵의 전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그컵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음용 도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음용 도구는 액체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액체 공간을 제공하는 머그컵(100) 및 상기 머그컵(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찻잎이 수용될 수 있는 차 인퓨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그컵(1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머그컵 바닥부(110) 및 상기 머그컵 바닥부(1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액체 공간을 제공하는 머그컵 측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 인퓨저(200)는 찻잎이 수용될 있는 공간인 찻잎 공간(S210)을 제공하는 인퓨저 본체부(210) 및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에 고정되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가 상기 머그컵 바닥부(110)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의 상단에 연결되는 핸들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각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음용 도구가 구비하는 차 인퓨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퓨저 본체부(210)는 내측 방향으로 상기 찻잎 공간(S210)을 제공하며 상기 찻잎 공간(S210)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는 원 기둥의 컵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는 도자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는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값 이하의 철분을 함유하는 제1 흙을 기초로 제조되는 자기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값은 후술하는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값과 동일한 값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값은 후술하는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값 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값은 0일 수 있으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는 백자 흙에 의해 구현된 인퓨저 본체부 모체(M210)가 초벌 및/또는 재벌되어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값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의 측면에는 다수의 관통홀(h2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의 하면에도 다수의 관통홀(h2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h210)을 통해 상기 액체 공간에 수용되어있는 물이 상기 찻잎 공간(S210)으로 유동되거나 상기 찻잎 공간(S210)에서 우러난 물이 액체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220)는 일단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에 고정되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본체부(221) 및 일단부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핸들 본체부(221)에 연결되어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핸들 본체부(221)가 하측 방향으로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핸들 본체부(221)를 지지하는 핸들 지지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지지부(222)는 일단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핸들 본체부(221)에 연결되는 제1 핸들 지지부(222a) 및 상기 제1 핸들 지지부(222a)와 이격되어 일단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핸들 본체부(221)에 연결되는 제2 핸들 지지부(222b)를 구비할 수 있다.
핸들 본체부(221)의 일단부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핸들 본체부(221)는 상기 핸들 본체부(221)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 본체부(221)는 상기 핸들 지지부(222)와 연결되는 부분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핸들 본체부(221)는 도자기일 수 있다.
상기 핸들 본체부(221)는 초벌 및/또는 재벌되는 과정에서 흙이 자화되어 상기 핸들 본체부(221)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에 고정되도록,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값 이상의 철분을 함유하는 제2 흙을 기초로 제조되는 자기일 수 있다.
상기 핸들 지지부(222)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부터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핸들 본체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흙으로 빚어진 기물이 초벌되어 제조되는 차 인퓨저(200) 모체가 소정의 온도로 재벌이 되어 차 인퓨저(200)가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지지부(222)는 상기 차 인퓨저(200) 모체가 초벌 및/또는 재벌이 되는 과정에서의 고온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핸들 지지부(222)는 칸탈 선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핸들 지지부(222)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액체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핸들부(220)가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 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 공간 상의 액체가 상기 찻잎 공간(S2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220)가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220)가 상기 머그컵(100)과 이격되어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가 상기 액체 공간 상에 배치되지 못해, 상기 액체 공간 상의 액체가 상기 찻잎 공간(S210)으로 유입될 수 없을 수 있다.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가 제1 위치여서 상기 핸들부(220)가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 상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액체 공간 상에 수용되는 액체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핸들부(220)와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 사이에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핸들부(220)는 외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인 환기 공간(S221)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핸들 본체부(221)의 일단부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의 내면에 연결되며, 상기 핸들 본체부(221)의 중단부는 상기 핸들 본체부(221)의 일단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의 외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핸들 본체부(221)는 상기 핸들 본체부(221)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지지부(222)의 일단부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와 연결되고, 상기 핸들 지지부(222)의 타단부는 상기 핸들 본체부(221)의 중단부의 하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지지부(222)는 상기 핸들 지지부(222)의 중단부가 상기 핸들 본체부(221)의 하면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 지지부(222)와 상기 핸들 본체부(221)의 하면이 함께 상기 환기 공간(S221)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환기 공간(S221)은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의 둘레 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 핸들 지지부(222a)와 상기 제2 핸들 지지부(222b)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의 상단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간 상에 수용되는 액체의 열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환기 공간(S221)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핸들 지지부(222a)와 상기 제2 핸들 지지부(222b)는 상기 환기 공간(S221)과 연통되는 공간인 연통 공간(S222)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인퓨저가 제공하는 환기 공간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핸들 지지부(222a)와 상기 제2 핸들 지지부(222b)는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의 상단에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핸들 지지부(222a)의 타단부와 상기 핸들 본체부(221)가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핸들 지지부(222b)의 타단부와 상기 핸들 본체부(221)가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핸들 지지부(222a)와 상기 제2 핸들 지지부(222b) 사이에 연통 공간(S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간에 가열된 물이 유입되는 경우, 가열된 물에 의해 공기가 가열될 수 있다.
가열된 공기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를 가열시킬 수도 있고, 외부에 직접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열된 공기는 상기 핸들부(220)로 유동될 수 있다.
핸들부(220)로 유동된 상기 가열된 공기(a10)는 상기 연통 공간(S222)을 통해 상기 환기 공간(S22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환기 공간(S221)에 이동된 공기(a10)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만일, 상기 환기 공간(S221)이 없다면, 가열된 공기는 상기 핸들부(220)에 가로막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공기에 의해 상기 핸들부(220)는 계속해서 가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찻잎이 어느 정도 우러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머그컵(100)으로부터 상기 차 인퓨저(2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가열된 차 인퓨저(200)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인퓨저(200)는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상 입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인퓨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차 인퓨저(200)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와 상기 핸들부(220)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결합부(230)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와 상기 핸들부(220)를 서로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는 제1 흙으로 제작된 기물이 초벌되어 형성된 인퓨저 본체부 모체(M210)가 재벌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핸들 본체부(221)는 제2 흙으로 제작된 기물이 초벌되어 형성된 핸들 본체부 모체(M221)가 재벌되어 제조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인퓨저 본체부 모체(M210)의 상단부에 유약(f10)이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 지지부(222)가 연결되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 부분과 상기 핸들 지지부(222)가 연결되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 부분과 대향되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 부분을 서로 비교하였을 때, 상기 핸들 지지부(222)가 연결되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 부분에 상기 유약(f10)이 더 큰 너비(W)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유약(f10)은 상기 결합부(230)가 광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종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지지부(222)가 연결되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 부분에 상기 유약(f10)을 더 넓게 도포하여,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가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와 상기 핸들부(220) 본체부 사이 공간은 세척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부분에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의 외면에 묻은 오염물이 세척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분에 유약(f10)을 도포함으로써, 오염물질이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의 외면을 오염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핸들 지지부(222a)의 일단부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 모체(M210)의 상단부의 외면에 삽입될 수 있다.
마찬 가지로 상기 제 2 핸들 지지부(222)의 일단부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 모체(M210)의 상단부의 외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 본체부 모체(M221)의 일단부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의 내면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 본체부 모체(M221)의 중단부 및 상기 핸들 지지부(222)의 타단부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핸들 지지부(222)는 상기 핸들 본체부 모체(M221)가 지면 방향으로 쳐지지 않도록 상기 핸들 본체부 모체(M221)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 본체부 모체(M221)와 상기 인퓨저 본체부 모체(M210)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재벌)시켜, 상기 차 인퓨저(200)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약이 응고되면서 결합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30)가 형성되면서, 상기 핸들 본체부(221)와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핸들 지지부(222)와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본체부 모체(M221)의 철분이 자화되면서, 상기 핸들 본체부(221)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210)에 강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음용 도구가 구비하는 머그컵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그컵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머그컵(100)은 액체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액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차 인퓨저(200)는 상기 머그컵(100)에 탈착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찻잎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머그컵(100)은 상기 머그컵(1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머그컵 바닥부(110), 상기 머그컵 바닥부(1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액체 공간을 제공하는 머그컵 측면부(120) 및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에 연결되는 머그컵 그립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는 소정의 흙으로 제작되는 사각형의 기물인 측면 기물(M120)의 일단부와 상기 측면 기물(M120)의 타단부가 서로 포개진 상태로 초벌 및 재벌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그컵 그립부(130)는 상기 측면 기물(M120)의 일단부와 상기 측면 기물(M120)의 타단부가 서로 포개진 부분에 연결되는 그립 기물이 초벌 및 재벌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그컵 그립부(130)는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머그컵 그립부(130)는 반 고리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머그컵 그립부(13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6(a)를 참조하면, 흙을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의 기물인 바닥 기물(M110)이 제작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흙을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의 기물인 측면 기물(M120)이 제작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 기물(M12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포개지도록 상기 바닥 기물(M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면 기물(M120)의 일단부와 상기 측면 기물(M120)의 타단부가 서로 포개지도록 상기 바닥 기물(M110)의 둘레면을 에워 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기물(M120)의 일단부와 상기 측면 기물(M120)의 타단부가 서로 포개진 부분에 손잡이 형태의 기물인 손잡이 기물(M13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 기물(M120)의 상단부에 유약(f20)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기물(M120)의 내면에 유약(f20)이 도포될 수 있다.
유약(f20)이 도포된 기물들을 초벌 및 재벌하여 머그컵(100)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약(f20)이 응고되어 오염방지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머그컵(100)은 오염이 방지되는 오염방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는 상기 제1 흙인 백자흙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의 외면은 쉽게 오염될 수 있다.
상기 오염방지부(140)는 물이 수용되는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의 내면과 사람들이 입을 대는 상기 머그컵 측면부(120)의 상단부에 형성됨으로써, 차를 음용하는 사람의 위생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기물이란, 흙을 메질하는 토련 단계가 진행된 흙을 이용하여 소정의 형태를 가지는 물체를 의미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머그컵 110 : 머그컵 바닥부
120 : 머그컵 측면부 130 : 머그컵 그립부
140 : 오염 방지부 200 : 차 인퓨저
210 : 인퓨저 본체부 220 : 핸들부
230 : 결합부

Claims (6)

  1. 액체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액체 공간을 제공하는 머그컵 - 상기 머그컵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머그컵 바닥부 및 상기 머그컵 바닥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액체 공간을 제공하는 머그컵 측면부를 포함함. - 에 탈착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찻잎이 수용될 수 있는 차 인퓨저에 있어서,
    찻잎이 수용될 있는 공간인 찻잎 공간을 제공하는 인퓨저 본체부; 및
    상기 인퓨저 본체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가 상기 머그컵 바닥부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머그컵 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퓨저 본체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액체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핸들부가 상기 머그컵 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 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 공간 상의 액체가 상기 찻잎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가 상기 머그컵과 이격되어 상기 인퓨저 본체부가 상기 액체 공간 상에 배치되지 못해, 상기 액체 공간 상의 액체가 상기 찻잎 공간으로 유입될 수 없으며,
    상기 핸들부는,
    일단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본체부 및 일단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핸들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퓨저 본체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핸들 본체부가 하측 방향으로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핸들 본체부를 지지하는 핸들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 지지부는,
    일단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핸들 본체부에 연결되는 제1 핸들 지지부 및 상기 제1 핸들 지지부와 이격되어 일단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핸들 본체부에 연결되는 제2 핸들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부가 상기 머그컵 측면부 상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액체 공간 상에 수용되는 액체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핸들부와 상기 인퓨저 본체부 사이에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인 환기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핸들 지지부는,
    상기 핸들 지지부의 중단부가 상기 핸들 본체부의 하면과 이격되어, 상기 핸들 본체부와 함께 상기 환기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 핸들 지지부와 상기 제2 핸들 지지부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머그컵 측면부의 상단에 접촉되며,
    상기 액체 공간 상에 수용되는 액체의 열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환기 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환기 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인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차 인퓨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퓨저 본체부는,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값 이하의 철분을 함유하는 제1 흙을 기초로 제조되는 자기이며,
    상기 핸들 본체부는,
    초벌되는 과정에서 흙이 자화되어 상기 핸들 본체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고정되도록,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값 이상의 철분을 함유하는 제2 흙을 기초로 제조되는 자기인,
    차 인퓨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퓨저 본체부와 상기 핸들 본체부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인퓨저 본체부와 상기 핸들 지지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퓨저 본체부는,
    제1 흙으로 제작된 기물이 초벌되어 형성된 인퓨저 본체부 모체가 재벌되어 제조되고,
    상기 결합부는,
    유약이 상기 인퓨저 본체부 모체의 상단부에 도포된 후,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어 형성되는,
    차 인퓨저.
  6. 액체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액체 공간을 제공하는 머그컵; 및
    상기 머그컵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찻잎이 수용될 수 있는 차 인퓨저;를 포함하고,
    상기 차 인퓨저는,
    찻잎이 수용될 있는 공간인 찻잎 공간을 제공하는 인퓨저 본체부 및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가 머그컵 바닥부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머그컵 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퓨저 본체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액체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핸들부가 상기 머그컵 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 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 공간 상의 액체가 상기 찻잎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가 상기 머그컵과 이격되어 상기 인퓨저 본체부가 상기 액체 공간 상에 배치되지 못해, 상기 액체 공간 상의 액체가 상기 찻잎 공간으로 유입될 수 없으며,
    상기 핸들부는,
    일단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인퓨저 본체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본체부 및 일단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핸들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퓨저 본체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핸들 본체부가 하측 방향으로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핸들 본체부를 지지하는 핸들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 지지부는,
    일단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핸들 본체부에 연결되는 제1 핸들 지지부 및 상기 제1 핸들 지지부와 이격되어 일단부가 상기 인퓨저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핸들 본체부에 연결되는 제2 핸들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부가 상기 머그컵 측면부 상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액체 공간 상에 수용되는 액체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핸들부와 상기 인퓨저 본체부 사이에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인 환기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핸들 지지부는,
    상기 핸들 지지부의 중단부가 상기 핸들 본체부의 하면과 이격되어, 상기 핸들 본체부와 함께 상기 환기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 핸들 지지부와 상기 제2 핸들 지지부는,
    상기 인퓨저 본체부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머그컵 측면부의 상단에 접촉되며,
    상기 액체 공간 상에 수용되는 액체의 열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환기 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환기 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인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차 음용 도구.
KR1020190006376A 2019-01-17 2019-01-17 차 인퓨저 및 이를 구비하는 차 음용 도구 KR102126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376A KR102126402B1 (ko) 2019-01-17 2019-01-17 차 인퓨저 및 이를 구비하는 차 음용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376A KR102126402B1 (ko) 2019-01-17 2019-01-17 차 인퓨저 및 이를 구비하는 차 음용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402B1 true KR102126402B1 (ko) 2020-07-08

Family

ID=71601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376A KR102126402B1 (ko) 2019-01-17 2019-01-17 차 인퓨저 및 이를 구비하는 차 음용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4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70Y1 (ko) * 1998-02-04 2000-09-01 윤영노 일회용 차(茶)의 추출용기
WO2015182800A1 (ko) * 2014-05-29 2015-12-03 정영민 차 추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70Y1 (ko) * 1998-02-04 2000-09-01 윤영노 일회용 차(茶)의 추출용기
WO2015182800A1 (ko) * 2014-05-29 2015-12-03 정영민 차 추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26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s in a microwave oven
EP2515720B1 (en) Tea cu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ea cup
KR102126402B1 (ko) 차 인퓨저 및 이를 구비하는 차 음용 도구
JP2015047209A (ja) コーヒードリッパー
CN210055501U (zh) 一种茶壶
KR101720015B1 (ko)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CN105615520A (zh) 具有洗茶和滤茶功能的防滑防尘茶杯
CN204467653U (zh) 一种茶壶
JP3673944B2 (ja) お茶の淹れ方
KR200418154Y1 (ko) 일체형 거름망을 구비한 다구
CN201536908U (zh) 改良的品茗用的茶壶
CN218651246U (zh) 一种易于清理的陶瓷茶壶
US1472901A (en) Coffeepot
KR200434951Y1 (ko) 일회용 찻컵
CN220256203U (zh) 一种防烫陶瓷茶壶
US2480232A (en) Coffee brewer filter
CN217185557U (zh) 一种多功能茶艺壶
CN107307699A (zh) 一种环保日用陶瓷茶壶
CN213216519U (zh) 一种侧把煮茶壶
KR200342877Y1 (ko) 찻잎 거름장치가 있는 찻잔
CN209965954U (zh) 饮料制作装置
JP3076826U (ja) コーヒーメーカー
TWM469834U (zh) 泡茶杯
JP3096795U (ja) 茶飲み用具
TWM638961U (zh) 定時泡茶器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