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397B1 -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397B1
KR102126397B1 KR1020190147630A KR20190147630A KR102126397B1 KR 102126397 B1 KR102126397 B1 KR 102126397B1 KR 1020190147630 A KR1020190147630 A KR 1020190147630A KR 20190147630 A KR20190147630 A KR 20190147630A KR 102126397 B1 KR102126397 B1 KR 10212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 ring
lower mold
mold
upper mold
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원희
Original Assignee
인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원희 filed Critical 인원희
Priority to KR1020190147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05Edge deburring or smo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가 개시된다.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는,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성형을 위한 라운드 링의 버어(burr)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부에는 제1 삽입부가 형성되고 제1 삽입부의 측면에는 라운드 링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하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상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삽입부가 형성된 상부 금형과, 제2 삽입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부 금형에서 하부 금형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하부 금형에 안착된 라운드 링을 가압하며 제3 삽입부가 형성된 스트리퍼와, 일측은 제3 삽입부에 삽입 고정되며 타측은 스트리퍼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부 금형의 하강시 라운드 링에 삽입되며 가장자리에는 스트리퍼가 라운드 링을 가압한 상태에서 라운드 링에 형성된 버어를 가압 성형하는 라운드 홈부가 형성되는 펀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 금형에는 제1 삽입부의 내부와 안착면의 사이를 관통하는 제1 에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BURR OF BALL BERING}
본 발명은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의 제거 작동과 제조 품질의 향상이 가능한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베어링은 외륜, 내륜, 외륜과 내륜 사이에 위치하여 외륜과 내륜에 구름 접촉하면서 전동하는 복수개의 볼, 볼의 원주 방향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원형링 형상의 리테이너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리테이너는 베어링의 내륜과 외륜 사이에 있는 볼을 일정한 위치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베어링의 내륜과 외륜 궤도면에 균일하게 하중이 분배되도록 하고, 회전시 발생하는 마찰열, 토크 등을 최소화하여 저진동, 저소음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이러한 리테이너는, 금속판을 중공이 형성된 라운드 링 형상으로 블랭킹 가공한 형태의 링반제품을 볼이 장착되도록 일정부위를 볼록하게 성형하여 제작하는데, 블랭킹 가공시 링반제품의 내측단 및 외측단에 버어가 발생되어 볼 베어링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완성된 리테이너의 외측단의 버어는 별도의 작업공정을 통해 제거되지만 리테이너의 내측단의 버어는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라운드 링 형상의 링반제품이 하부 금형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하여 금형 작동 과정에서 손상이 발생되어 제조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23975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테이너 성형 제조를 위한 라운드 링의 버어를 용이하게 제거하고 제조 품질의 향상이 가능한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성형을 위한 라운드 링의 버어(burr)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부에는 제1 삽입부가 형성되고 제1 삽입부의 측면에는 라운드 링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하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상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삽입부가 형성된 상부 금형과, 제2 삽입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부 금형에서 하부 금형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하부 금형에 안착된 라운드 링을 가압하며 제3 삽입부가 형성된 스트리퍼와, 일측은 제3 삽입부에 삽입 고정되며 타측은 스트리퍼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부 금형의 하강시 라운드 링에 삽입되며 가장자리에는 스트리퍼가 라운드 링을 가압한 상태에서 라운드 링에 형성된 버어를 가압 성형하는 라운드 홈부가 형성되는 펀치부를 포함한다.
하부 금형에는 제1 삽입부의 내부와 안착면의 사이를 관통하는 제1 에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금형에는 제2 삽입부와 상부 금형의 측면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에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스트리퍼에는 제3 삽입부와 스트리퍼의 측면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3 에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금형의 제1 삽입부의 저면에는 마그네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 금형은, 하부 금형 바디와, 하부 금형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에는 제1 삽입부가 형성되고, 제1 삽입부의 측면 상부에는 라운드 링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서브 금형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금형 바디에는 제1 삽입부의 내부와 상기 안착면의 사이를 관통하는 제1 에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금형은 홀더에 설치되어 승강되며, 상부 금형과 홀더의 사이 위치에서 상부 금형의 외측 둘레에는 쿠션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운드 링의 블랭킹 가공 과정에서 라운드 링을 안정적으로 위치 규제시킨 상태에서 라운드 링에 버어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리테이너의 제조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운드 링의 버어 제거 과정을 위한 금형 작동 과정에서 공기 압축에 의해 발생된 압력에 의해 라운드 링이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리테이너의 제조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금형과 홀더의 사이에 쿠션커버를 설치하여, 상부 금형에 설치된 쿠션부재의 일부가 탈락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탈락된 조각이 라운드 링에 접촉되어 제품 찍힘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조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에 라운드 링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라운드 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의 상부 금형이 하강되어 라운드 링의 버어 제거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펀치부에 라운드 홈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에 라운드 링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라운드 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장치(100)는, 상부에는 제1 삽입부(13)가 형성되고 제1 삽입부(13)의 측면에는 라운드 링(12)이 안착되는 안착면(11)이 형성되는 하부 금형(10)과, 하부 금형(10)의 상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삽입부(21)가 형성된 상부 금형(20)과, 제2 삽입부(21)에 삽입 고정되어 상부 금형(20)에서 하부 금형(10)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하부 금형(10)에 안착된 라운드 링(12)을 가압하며 제3 삽입부(51)가 형성된 스트리퍼(50)와, 일측은 제3 삽입부(51)에 삽입 고정되며 타측은 스트리퍼(5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부 금형(20)의 하강시 라운드 링(12)에 삽입되며 가장자리에는 스트리퍼(50)가 라운드 링(12)을 가압한 상태에서 라운드 링(12)에 형성된 버어를 가압 성형하는 라운드 홈부(61)가 형성되는 펀치부(60)를 포함한다.
하부 금형(10)은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로 성형되는 반제품인 라운드링(12)이 안착되는 안착면(11)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면(11)은 하부 금형(10)에 형성되는 제1 삽입부(13)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라운드링(12)의 저면이 안착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부(13)는 안착면(11)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라운드링(12)에 형성되는 관통홀(12a)의 내경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하부 금형(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펀치부(60)가 라운드링(12)의 관통홀(12a)을 통과하여 제1 삽입부(13)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하부 금형(10)의 하부에는 완충재(15)가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부 금형(20)과 하부 금형(10)의 사이에서 라운드링(12)이 가압되는 과정에서 하부 금형(10)에 가해지는 충격의 완화 작용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의 하부 금형(10)은 하부 금형 바디(14)와, 하부 금형 바디(14)의 내부에 삽입되며 제1 삽입부(13)와 안착면(11)이 형성된 서브 금형 바디(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금형 바디(16)와 하부 금형 바디(14)의 사이에는 완충재(15)가 삽입되는 바, 상부 금형(20)이 하부 금형(10)의 안착면(11)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완충재(15)는 서브 금형 바디(16)의 하부와 하부 금형 바디(14)의 저면 사이에 스프링부재로 설치되는 것을 에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완충재(15)는 스프링부재로 설치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우레탄 등의 탄성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하부 금형(10)에는 제1 에어홀(18)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에어홀(18)은, 서브 금형 바디(16)의 제1 삽입부(13)와 안착면(11)의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에어홀(18)은 일측은 제1 삽입부(13)의 내부에 연통되고 타측은 안착면(11)의 외부로 외기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바, 상부 금형(20)이 하부 금형(10)으로 하강하여 라운드 링(12)을 가압하는 작용 과정에서 공기 압축에 의해 발생된 압력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제1 에어홀(18)은 안착면(11) 위치에서 라운드 링(12)이 안착된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압축에 의해 발생된 압력이 라운드링(12)에 작용하지 않고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하여, 라운드링(12)의 유동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라운드링(12)의 제조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한편, 하부 금형(10)의 상부에는 상부 금형(20)이 홀더(30)에 설치된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부 금형(20)은 홀더(30)에 연결부재(40)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40)는 일측은 홀더(3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부 금형(20)에 삽입된 상태로 후술하는 펀치부(60)에 연결될 수 있다. 참조 번호 41은 연결부재(40)의 일측과 타측 위치에 홀더(30)와 펀치부(60)를 각각 연결하는 볼트부재를 말한다.
한편, 홀더(30)와 상부 금형(20)의 사이에는 쿠션부재(25)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부 금형(20)에는 제2 삽입부(21)가 형성되며, 쿠션부재(25)는 제2 삽입부(21)의 내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부재(25)는 스프링 또는 우레탄 등의 탄성력을 갖는 소정의 탄성부재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금형(20)의 하강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부 금형(20)과 홀더(30)의 사이 위치에서 상부 금형(20)의 외측에는 쿠션커버(23)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쿠션커버(23)는 상부 금형(20)의 제2 삽입부(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우레탄 재질의 쿠션부재(25)가 상부 금형(20)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된 압력에 의해 일부분이 조각으로 탈락하여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부 금형(20)이 하부 금형(10)을 가압하는 작동 과정에서 발생된 압력이 쿠션부재(25)에 작용되는 경우, 종래 쿠션부재(25)의 일부분이 압력에 의해 탈락되어 홀더(30)와 상부 금형(20)의 사이 위치에서 외부로 낙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탈락된 조각이 라운드링(12)에 접촉하여 제품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쿠션커버(23)를 상부 금형(20)과 홀더(30)의 사이 위치에서 상부 금형(20)의 상부 표면 둘레를 커버하도록 부착하는 바, 쿠션부재(25)의 탈락된 조각이 낙하되지 않도록 하여 라운드링(12)의 성형 과정에서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부 금형(20)의 제2 삽입부(21)에는 제2 에어홀(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에어홀(24)은 일측은 제2 삽입부(21)의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부 금형(20)의 외표면에서 외기와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에어홀(24)이 상부 금형(20)에서 제2 삽입부(21)를 외기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바, 상부 금형(20)과 하부 금형(10)의 가압 작동 과정에서 발생된 압력을 외기로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부 금형(20)의 하부에는 스트리퍼(5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트리퍼(50)는 상부 금형(20)의 제2 삽입부(21)에 삽입 고정되어 상부 금형(20)에서 하부 금형(10)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트리퍼(50)는 하부 금형(10)에 안착면(11)에 안착된 라운드 링(12)의 표면을 가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리퍼(50)에는 제3 삽입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삽입부(51)는 스트리퍼(50)의 돌출된 단부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펀치부(60)의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제3 삽입부(51)의 저면에는 상부 금형(20)을 통과한 연결부재(40)가 돌출되는 바 펀치부(60)가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스트리퍼(50)에는 제3 에어홀(5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에어홀(53)은 일측은 제3 삽입부(51)와 연통되고 타측은 스트리퍼(50)의 외표면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에어홀(53)은 스트리퍼(50)의 일측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2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에 제3 에어홀(53)이 형성되는 바, 상부 금형(20)의 하강에 의한 라운드 링(12)의 성형 작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공기 압축에 의해 발생된 압력이 외부로 안정적으로 빠져나가 해소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금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펀치부(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은 스트리퍼(50)의 제3 삽입부(5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부재(40)에 볼트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스트리퍼(50)의 하부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의 상부 금형이 하강되어 라운드 링의 버어 제거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부(60)는 하부 금형(10)에 안착된 라운드 링(12)에 삽입되어 하부 금형의 제1 삽입부(1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펀치부(60)는 상부 금형(20)의 하강 작동 과정에서 함께 하강되어 라운드 링(12)에 삽입되는 것으로, 라운드 링(1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라운드 링(12)에 형성된 버어(burr)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펀치부(60)에는 라운드 홈부(6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펀치부에 라운드 홈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홈부(61)는 스트리퍼(50)가 라운드 링(12)을 가압한 상태에서 라운드 링(12)의 자랑자리에 형성된 버어를 가압 성형하는 것으로, 스트리퍼(50)의 제3 삽입부(51)의 내벽면에 접한 위치에서 펀치부(60)의 가장자리 위치에 인입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라운드 홈부(61)는 상부 금형(20)이 하강하여 스트리퍼(50)의 단부를 가압하고 펀치부(60)가 라운드 링(1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라운드 링(12)의 버어(burr)가 형성된 위치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라운드 링(12)은 상부 금형(20)의 하강 작동시에 스트리퍼(50)에 안정적으로 위치 규제된 상태에서 펀치부(60)에 형성된 라운드 홈부(61)의 가압 작용에 의해 버어의 제거 작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하부 금형(10)의 제1 삽입부(13)의 내부에는 마그네틱부재(7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라운드 링(12)의 버어 제거 작업 과정과 펀치부(60)의 타발 작업 과정에서 탈락된 금속 재질의 조각 들을 용이하게 포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마그네틱부재(70)는 제1 삽입부(13)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4개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마그네틱부재(70)는 4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탈락된 조각을 용이하게 회사 가능하도록 적절한 개수로 변경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장치(100)는, 라운드 링(12)의 블랭킹 가공 과정에서 라운드 링(12)을 안정적으로 위치 규제시킨 상태에서 라운드 링(12)에 버어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리테이너의 제조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라운드 링(12)의 버어 제거 과정을 위한 금형 작동 과정에서 공기 압축에 의해 발생된 압력에 의해 라운드 링(12)이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리테이너의 제조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부 금형과 홀더의 사이에 쿠션커버(23)를 설치하여, 상부 금형에 설치된 쿠션부재의 일부가 탈락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탈락된 조각이 라운드 링에 접촉되어 제품 찍힘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조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하부 금형 11...안착면
12...라운드링 12a,,관통홀
13...제1 삽입부 14...하부 금형 바디
15...완충재 16...서브 금형 바디
18...제1 에어홀 20...상부 금형
21...제2 삽입부 23...쿠션커버
25...쿠션부재 30...홀더
40...연결부재 50...스트리퍼
51...제3 삽입부 53...제3 에어홀
60...펀치부 61...라운드 홈부
70...마그네틱부재

Claims (6)

  1.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성형을 위한 라운드 링의 버어(burr)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부에는 라운드링(12)에 형성되는 관통홀(12a)의 내경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제1 삽입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13)의 외측 상부에는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로 성형되는 반제품인 라운드 링(12)이 안착되는 안착면(11)이 형성되는 하부 금형(10);
    상기 하부 금형(10)의 상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삽입부(21)가 형성되고, 제2 삽입부(21)를 외기와 연통되도록 일측은 제2 삽입부(21)의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은 외표면에서 외기와 연통되게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에어홀(24)이 형성되는 상부 금형(20);
    상기 상부 금형(20)의 제2 삽입부(21)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상부 금형(20)에서 상기 하부 금형(10)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금형(10)에 안착된 상기 라운드 링(12)을 가압하며 제3 삽입부(51)가 형성된 스트리퍼(50);
    일측은 상기 제3 삽입부(51)에 삽입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스트리퍼(5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금형(20)의 하강시 상기 라운드 링(12)에 삽입되며, 가장자리에는 상기 스트리퍼(50)가 상기 라운드 링(12)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라운드 링(12)에 형성된 버어를 가압 성형하는 라운드 홈부(61)가 형성되는 펀치부(60);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금형(10)은
    하부 금형 바디(14);
    상기 하부 금형 바디(14)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에는 상기 제1 삽입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13)의 측면 상부에는 상기 라운드 링(12)이 안착되는 안착면(11)이 형성되는 서브 금형 바디(16);
    상기 서브 금형 바디(16)와 하부 금형 바디(14)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부 금형(20)이 하부 금형(10)의 안착면(11)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하는 완충재(15);
    상기 서브 금형 바디(16)에는 제1 삽입부(13)의 내부와 상기 안착면(11) 위치에서 라운드 링(12)이 안착된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사이를 관통하는 제1 에어홀(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10)의 상기 제1 삽입부(13)의 저면에는 마그네틱부재(70)가 설치되는,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20)은 홀더(30)에 연결부재(40)에 의해 설치되어 승강되며,
    상기 상부 금형(20)과 상기 홀더(30)의 사이 위치에서 상기 상부 금형(20)의 외측 둘레에는 설치되는 쿠션커버(23);
    상기 홀더(30)와 상부 금형(20) 사이 제2 삽입부(2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쿠션부재(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
KR1020190147630A 2019-11-18 2019-11-18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 KR102126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30A KR102126397B1 (ko) 2019-11-18 2019-11-18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30A KR102126397B1 (ko) 2019-11-18 2019-11-18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397B1 true KR102126397B1 (ko) 2020-06-24

Family

ID=7140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630A KR102126397B1 (ko) 2019-11-18 2019-11-18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86687A (zh) * 2023-08-28 2023-09-22 江苏南方精工股份有限公司 内翻边推力垫片外径模外压毛刺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7882A (ja) * 1994-10-27 1996-05-14 Honda Motor Co Ltd プレス金型の除塵装置
KR101239751B1 (ko) 2010-12-23 2013-03-06 (주)삼호엔지니어링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제조장치
KR20150001098U (ko) * 2013-09-04 2015-03-12 제니스 주식회사 전기밥솥용 내솥의 벌징 가공장치
KR20160022773A (ko) * 2014-08-20 2016-03-02 페인툴 인터내셔널 홀딩 에이쥐 버를 가지는 압인되거나 정밀-블랭킹된 부품의 전단 에지의 형상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7882A (ja) * 1994-10-27 1996-05-14 Honda Motor Co Ltd プレス金型の除塵装置
KR101239751B1 (ko) 2010-12-23 2013-03-06 (주)삼호엔지니어링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제조장치
KR20150001098U (ko) * 2013-09-04 2015-03-12 제니스 주식회사 전기밥솥용 내솥의 벌징 가공장치
KR20160022773A (ko) * 2014-08-20 2016-03-02 페인툴 인터내셔널 홀딩 에이쥐 버를 가지는 압인되거나 정밀-블랭킹된 부품의 전단 에지의 형상화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86687A (zh) * 2023-08-28 2023-09-22 江苏南方精工股份有限公司 内翻边推力垫片外径模外压毛刺机构
CN116786687B (zh) * 2023-08-28 2023-11-14 江苏南方精工股份有限公司 内翻边推力垫片外径模外压毛刺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547B1 (ko) 금형 장치
CN102869893B (zh) 用于圆柱滚动元件的轴向保持架
KR102126397B1 (ko)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어 제거 장치
US20080105095A1 (en) Punch stripper and press tool
KR100921138B1 (ko)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리테이너 제조 방법
CN106734626B (zh) 金属罐罐体拉伸机的模具包结构
JP4805273B2 (ja) ツールパックアセンブリー
US20170089392A1 (en) Machined cage for thrust ball bearing, design method of the same, and thrust ball bearing including the cage
JP2005147364A (ja) ころ軸受用保持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39751B1 (ko)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제조장치
GB2092239A (en) A bearing sleeve
CN109562434A (zh) 在辊单元的周缘部具有垃圾回收通路的压模加工用铸型金属模具
CN101435467B (zh) 一种高速静音精密轴承保持架及其生产工艺
JP3725540B2 (ja) 絞られた金属カップの高速成型のための工具装置並びに方法
KR102160812B1 (ko) 볼 베어링 리테이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7595A (ko)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버르제거장치
CN215143885U (zh) 一种椭圆保持器生产用自定位冲孔模具
CN207479325U (zh) 一种圆锥滚子轴承用保持器一体化制作组合模具
KR101619807B1 (ko) 롤러베어링의 케이지 제조용 상부금형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제조방법
CN211938622U (zh) 一种门板冲孔模具
JPH0344346Y2 (ko)
US4194277A (en) Method and device for stamping ball retainers
KR20170140046A (ko) 천공작업 예방장치 및 시스템
CN110587224A (zh) 一种滚针轴承保持架成型工艺
CN111536148A (zh) 包括卷边压接到轴承圈中的一个轴承圈的凸缘的轴承及制造该轴承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