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272B1 - 전자 결제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카드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결제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272B1
KR102126272B1 KR1020140061633A KR20140061633A KR102126272B1 KR 102126272 B1 KR102126272 B1 KR 102126272B1 KR 1020140061633 A KR1020140061633 A KR 1020140061633A KR 20140061633 A KR20140061633 A KR 20140061633A KR 102126272 B1 KR102126272 B1 KR 102126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method
information
payment
method information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604A (ko
Inventor
조문옥
김수년
박철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1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27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5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58Random or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01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 G06K7/1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time domain, e.g. using binary tree search or RFID responses allocated to a random time sl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전자 결제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카드 장치를 개시한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신호에 근거하여 전자카드 장치(110)의 동작을 활성화하고, 기 저장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 중 하나의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IC 칩에 저장하여, 결제 단말기(POS)와 전자 결제를 수행하는 전자 결제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결제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카드 장치{Method for Electronic Payment and Apparatus of Electronic Card Therefor}
본 실시예는 전자 결제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Offline)으로 결제하는 수단인 플라스틱 카드의 복제 및 보안문제로 인해 플라스틱 카드를 전자화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화된 전자카드는 카드 자체에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버튼 등을 추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나, 전자카드 장치 단독으로 존재하여 OTP(One Time Password) 기능이 내장되어 있거나, USB,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컴퓨터와 연결하여 결제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한편,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동하여 카드정보를 주고받는 Coin과 같은 기술이 존재하나, 이러한 기술은 마그네틱 처리방식으로 오프라인상의 결제 단말(POS: Point of Sale)에서 결제를 처리하는 구조라서 마그네틱 리더기를 통해 카드정보가 유출될 활률이 높다. 또한, 카드정보를 주고받는 Coin과 같은 기술은 카드정보를 제한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 결제하는데 제약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신호에 근거하여 전자카드 장치(110)의 동작을 활성화하고, 기 저장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 중 하나의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IC 칩에 저장하여, 결제 단말기(POS)와 전자 결제를 수행하는 전자 결제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전자 결제를 위해 복수의 결제수단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모듈; 상기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상기 복수의 결제수단정보 중 최종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최종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임시 기록하는 IC 칩; 및 상기 카드식별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자 결제를 위해 복수의 결제수단정보를 저장하는 결제수단 저장과정;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과정; 상기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기 저장된 상기 복수의 결제수단정보 중 최종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는 결제수단 추출과정; 상기 최종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IC 칩에 임시 기록하는 카드정보 기록과정; 및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상기 카드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카드정보 출력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드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저장된 결제수단정보를 전자카드 장치에 저장하여 전자결제를 수행함으로써, 모바일 결제를 기존의 결제 단말(POS: Point of Sale)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차별화된 결제수단을 전자카드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결제에 대한 이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모바일 결제의 주도권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전자카드 장치에 복수 개의 결제수단을 저장함으로써, 여러 개의 플라스틱 카드를 휴대할 필요가 없고, 통신사 입장에서는 여러 개의 플라스틱 카드를 대체하여 단말기와 결합한 신규 통신상품을 개발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자카드 장치에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버튼 등을 추가하고, 복수의 결제수단을 저장함으로써, 복수 개의 결제수단 정보(신용카드, 멤버쉽카드 등)들을 유연하게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장치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장치에 포함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장치에서 결제 수단을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장치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는 전자카드 장치(110)의 전면 및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의 (b)는 전자카드 장치(110)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카드 장치(110)는 상면의 일측에 사용자로부터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모듈(210)을 구비한다. 터치 입력모듈(210)은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으로 터치가 유지되는 롱(Long) 터치신호 또는 기 설정된 임계시간 미만으로 터치가 유지되는 숏(Short) 터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전자카드 장치(110)는 상면의 타측에 디스플레이 패널(250)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50)은 전자카드 장치(110) 내에 기 저장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 중 하나의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250)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에게 선명하게 카드식별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이-잉크 디스플레이 패널(E-Ink Display Panel)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카드 장치(110)는 하면의 일측에 전자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IC 칩(220)을 구비한다. IC 칩(220)은 카드식별정보를 임시 기록하는 집적회로로서, 기기록된 카드식별정보를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방식을 이용하여 결제 단말(POS: Point of Sale)로 전송하여 전자 결제를 수행한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카드 장치(110)의 측면은 기 설정된 두께(120)로 구현된다. 여기서, 기 설정된 두께(120)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카드와 동일한 두께 또는 얇은 두께일 수 있다. 예컨대, 전자카드 장치(110)는 기 설정된 두께(120)인 1 mm 이내로 구현되어 일반적인 플라스틱 카드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전자카드 장치(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모듈(230), 저전력 통신모듈(240)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260) 등의 모듈들은 기 설정된 두께(120)에 따라 초박형 또는 웨이퍼 레벨(Wafer Level)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장치(110)는 터치 입력모듈(210), IC 칩(Integrated Circuit Chip, 220), 전원모듈(230), 저전력 통신모듈(240), 디스플레이 패널(250)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를 포함한다.
전자카드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신호에 근거하여 전자 결제에 필요한 모듈을 활성화하고, 기 저장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 중 하나의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결제 단말(POS)로 전송하여 전자 결제를 수행한다. 이하, 전자카드 장치(110)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터치 입력모듈(210)은 전자카드 장치(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터치신호를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모듈(210)은 롱(Long) 터치신호 또는 숏(Short) 터치신호를 입력받는다. 롱 터치신호는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으로 터치 입력모듈(210)에 터치가 유지되어 입력된 신호이고, 숏 터치신호는 기 설정된 임계시간 미만으로 터치 입력모듈(210)에 터치가 유지되어 입력된 신호이다.
터치 입력모듈(210)에서 롱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전자카드 장치(110)의 온 또는 오프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고, 터치 입력모듈(210)에서 숏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전자카드 장치(110)의 결제수단정보가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터치 입력모듈(210)은 정전식 방식의 터치패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항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등과 같이 터치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면 그 어떤 방식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IC 칩(220)은 카드식별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집적회로를 의미한다. IC 칩(220)은 기록된 카드식별정보를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방식을 이용하여 결제 단말(POS: Point of Sale)로 전송하여 전자 결제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IC 칩(22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의 제어에 따라 카드식별정보를 임시 기록하고, 기록된 카드식별정보는 수정 또는 삭제가 가능하다. IC 칩(22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포함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 중 하나의 결제수단정보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기록한다. 여기서, 카드식별정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서 선택된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카드번호 정보, 카드 유효일자 정보, 카드보안 정보 등 전자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전원모듈(230)은 전자카드 장치(110)의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230)은 일반적으로 최소 전원을 유지하고, 터치 입려모듈(210)에 롱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의 제어에 근거하여 전자카드 장치(110)에 포함된 저전력 통신모듈(240), 디스플레이 패널(250) 등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230)은 리튬 박막전지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카드 장치(110)에 구비될 수 있는(예: 두께 1 mm 이하) 초박형 전지라면 그 어떤 전지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저전력 통신모듈(240)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미도시)와 연결되고, 단말기(미도시)와 전자 결제를 위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통신모듈(240)은 비컨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연결되고, 단말기로부터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비컨신호는 맥어드레스, SSID 정보, 신호전송 시간정보, 신호세기 정보 등의 전파환경정보를 포함하고, 저전력 통신모듈(240)과 단말기 간에 보안 통신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저전력 통신모듈(240)은 결제수단정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전송하여 동기화되도록 한다. 여기서, 비컨신호를 이용하여 수신된 결제수단정보는 멤버쉽카드, 신용카드, 체크카드, 기프트카드, 할인카드 등의 결제 또는 적립을 위한 결제수단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저전력 통신모듈(24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의 제어에 따라 슬립 모드 또는 활성화 모드로 동작한다. 저전력 통신모듈(24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로부터 롱 터치신호에 근거하여 활성화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슬림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기 설정된 커버리지 영역으로 비컨신호를 송출하여 전자카드 장치(110)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미도시)를 검색한다.
저전력 통신모듈(240)은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와 보안 통신연결을 수행하고, 비컨신호를 이용하여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저전력 통신모듈(240)은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임계시간이 경과하면 활성화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이러한, 저전력 통신모듈(240)은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연결되고, 비컨신호를 이용하여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저전력 통신모듈(240)은 무선랜(WIFI), UWB(Ultra Wideband),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적외선 통신(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로부터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50)은 전자카드 장치(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카드식별정보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250)은 전원모듈(2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최소한 사용하여 카드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이-잉크 디스플레이 패널(E-Ink Display Panel)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패널(25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50)은 카드번호 정보, 카드 유효일자 정보, 카드보안 정보 등을 포함하는 카드식별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전자 결제를 위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를 저장하고, 전자카드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메모리(미도시)에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결제수단정보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결제수단정보는 암호화된 데이터 형태로 저장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터치 입력모듈(210)에서 롱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자카드 장치(110)의 동작을 활성화하여 메모리(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 중 마지막으로 사용된 최종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최종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출력되도록 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전자카드 장치(11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모듈(210)에 숏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메모리(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 중 마지막으로 사용한 최종 결제수단정보를 제외한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로테이션(Rotation)시켜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출력되도록 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로테이션으로 출력된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IC 칩(220)에 기록되도록 하여 전자 결제에 카드식별정보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터치 입력모듈(210)에서 롱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저전력 통신모듈(240)이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활성화 모드(Advertise Mode)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저전력 통신모듈(240)이 활성화 모드인 상태에서, 저전력 통신모듈(240)과 연결된 단말기(미도시)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된 결제수단정보와 기 저장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를 동기화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저전력 통신모듈(240)로부터 동기화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 중 신규로 등록된 최신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고, 최신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출력한다. 여기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출력된 카드식별정보를 IC 칩(220)에 임시 기록되도록 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저전력 통신모듈(240)이 활성화 모드인 상태에서, 터치 입력모듈(210)에서 롱 터치신호가 재입력된 경우, 저전력 통신모듈(240)이 활성화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저전력 통신모듈(240)이 슬립 모드인 경우, 전원모듈(230)에서 최소전원만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저전력 통신모듈(240)이 활성화 모드인 상태에서, 기 설정된 임계시간 동안 터치 입력모듈(210)에서 터치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저전력 통신모듈(240)이 활성화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50)이 오프(Off)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장치에 포함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전자카드 제어부(310), 터치입력 제어부(320), 출력 제어부(330), 데이터 변환부(340), IC 칩 제어부(350) 및 저장부(3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는 전자카드 장치(110) 내부에 구비된 각종 모듈(300)과 연동하여 전자카드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자카드 제어부(310)는 전자카드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제어부(310)는 터치입력 제어부(320)로부터 롱 터치신호가 수신된 경우, 저전력 통신모듈(240)을 슬립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50)을 온(On) 상태로 제어한다.
전자카드 제어부(310)는 전자카드 장치(11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입력 제어부(320)로부터 숏 터치신호가 수신된 경우, 저장부(360)에 기 저장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를 로테이션시켜 추출한다. 여기서, 전자카드 제어부(310)는 기 저장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를 순차적으로 추출하거나, 랜덤으로 추출할 수 있다.
전자카드 제어부(310)는 로테이션으로 추출된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출력 제어부(33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전자카드 제어부(310)는 추출된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IC 칩 제어부(350)로 전송하여 IC 칩(220)에 임시 기록되도록 한다.
전자카드 제어부(310)는 전자카드 장치(11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입력 제어부(320)로부터 롱 터치신호가 재수신된 경우, 저전력 통신모듈(310)을 활성화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50)을 오프(Off) 상태로 제어한다.
한편, 전자카드 제어부(310)는 전자카드 장치(11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임계시간 동안 터치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저전력 통신모듈(310)을 활성화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50)을 오프(Off) 상태로 제어한다.
터치입력 제어부(320)는 터치 입력모듈(210)로부터 터치신호를 획득하고, 전자카드 제어부(310)에서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수행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 제어부(320)는 터치 입력모듈(210)에서 롱 터치신호 또는 숏 터치신호를 획득한다. 여기서, 롱 터치신호는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으로 터치 입력모듈(210)에 터치가 유지되어 입력된 신호이고, 숏 터치신호는 기 설정된 임계시간 미만으로 터치 입력모듈(210)에 터치가 유지되어 입력된 신호이다.
터치입력 제어부(320)는 획득된 롱 터치신호 또는 숏 터치신호를 전자카드 제어부(310)로 전송하여 전자카드 장치(110)의 전자 결제를 위한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출력 제어부(330)는 전자카드 제어부(310)로부터 카드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카드식별정보가 디스플레이 패널(25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카드식별정보는 카드번호 정보, 카드 유효일자 정보, 카드보안 정보 등 전자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출력 제어부(330)는 전자카드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카드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전자 결제가 가능한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번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340)는 저전력 통신모듈(240)이 활성화 모드에서 단말기(미도시)와 비컨신호를 이용하여 동기화하는 경우, 저전력 통신모듈(240)로부터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260)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한다.
데이터 변환부(340)는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를 기 설정된 방식으로 암호화하거나 전자카드 제어부(310)에서 고속으로 판독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IC 칩 제어부(350)는 전자카드 제어부(310)로부터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IC 칩(220)에 임시 기록되도록 제어한다. IC 칩(220)은 IC 칩 제어부(350)에 의해 임시 기록된 카드식별정보를 결제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하여 전자 결제를 수행한다.
저장부(360)는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360)는 데이터 변환부(340)에서 변환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360)는 전자카드 제어부(310)로부터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암호화된 기 저장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를 로테이션시켜 제공하여 판독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기재된 저장부(36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60) 내에 포함된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암호화된 복수 개의 결게수단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면, 별도의 메모리(미도시)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자카드 장치(110)는 터치 입력모듈(210)을 이용하여 롱 터치신호를 입력받는다(S410). 롱 터치신호는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으로 터치 입력모듈(210)에 터치가 유지되어 입력된 신호이다.
전자카드 장치(110)는 롱 터치신호에 근거하여 저전력 통신모듈(240)을 슬립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S420). 전자카드 장치(110)는 저전력 통신모듈(240)을 활성화한 후 디스플레이 패널(250)을 온 상태로 제어한다.
전자카드 장치(110)는 비컨신호를 이용하여 저전력 통신모듈(240)과 연결되는 단말기(미도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30).
단계 S430을 확인한 결과, 저전력 통신모듈(240)과 연결되는 단말기(미도시)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카드 장치(110)는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를 동기화한다(S432). 전자카드 장치(110)는 동기화된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출력한다(S434). 예컨대, 전자카드 장치(110)는 동기화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 중 신규로 등록된 최신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고, 최신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출력한다.
단계 S430을 확인한 결과, 저전력 통신모듈(240)과 연결되는 단말기(미도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카드 장치(110)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출력한다(S440). 예컨대, 전자카드 장치(110)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 중 마지막으로 사용된 최종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최종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출력되도록 한다
전자카드 장치(110)는 터치 입력모듈(210)을 이용하여 숏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기 저장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 중 하나의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출력한다(S460). 전자카드 장치(110)는 숏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기 저장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 중 마지막으로 사용한 최종 결제수단정보를 제외한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로테이션(Rotation)시켜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전자카드 장치(110)는 로테이션으로 출력된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IC 칩(220)에 기록하여 전자 결제에 카드식별정보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전자카드 장치(110)는 터치 입력모듈(210)을 이용하여 롱 터치신호를 재입력받는 경우(S470), 롱 터치신호에 근거하여 저전력 통신모듈(240)을 활성화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S472). 전자카드 장치(110)는 저전력 통신모듈(240)이 슬립 모드이면, 최소 전원만을 이용하고, 전자카드 장치(110)의 동작을 중지한다(S474).
한편, 전자카드 장치(110)는 터치 입력모듈(210)에서 기 설정된 임계시간 동안 터치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S480), 전자카드 장치(110)의 동작을 중지한다(S474).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장치에서 결제 수단을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자카드 장치(110)는 기 입력된 터치신호(예: 롱 터치신호)에 근거하여 활성화된 상태에서 숏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S510),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현재 출력된 카드식별정보를 제외한 하나의 결제수단정보를 복호화 한다(S520). 다시 말해, 전자카드 장치(110)는 현재 출력되는 결제수단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결제수단정보 중 하나의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결제수단정보를 복호화한다.
전자카드 장치(110)는 복호화된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출력하고(S530), 출력된 카드식별정보를 IC 칩(220)에 임시 기록되도록 하여 기 저장된 카드식별정보를 갱신한다(S540).
전자카드 장치(110)는 숏 터치신호를 연속적으로 입력받는 경우, 단계 S510 내지 단계 S540의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여 기 저장된 결제 수단을 출력함으로써, 전자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자 결제분야에 적용되어, 모바일 결제를 기존의 결제 단말(POS: Point of Sale)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고, 여러 개의 플라스틱 카드를 휴대할 필요가 없으며, 복수 개의 결제수단 정보(신용카드, 멤버쉽카드 등)들을 유연하게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10: 전자카드 장치
210: 터치 입력모듈 220: IC 칩
230: 전원모듈 240: 저전력 통신모듈
250: 디스플레이 패널 260: 마이크로 프로세서
310: 전자카드 제어부 320: 터치입력 제어부
330: 출력 제어부 340: 데이터 변환부
350: IC 칩 제어부 360: 저장부

Claims (13)

  1. 전자 결제를 위해 복수의 결제수단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모듈;
    상기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저전력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키며, 상기 저전력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와의 동기화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결제수단정보로서 신규로 등록된 최신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상기 복수의 결제수단정보 중 중 마지막으로 사용된 최종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며, 각 결제수단정보가 추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결제수단정보 중 상기 각 결제수단정보를 제외한 어느 하나의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최신 결제수단정보, 상기 최종 결제수단정보 혹은 상기 어느 하나의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임시 기록하는 IC 칩; 및
    상기 카드식별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모듈로부터 숏(Short)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상기 복수의 결제수단정보 중 상기 최종 결제수단정보를 제외한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드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비컨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통신하는 저전력 통신모듈;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저전력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킨 후 상기 저전력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상기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와 복수의 결제수단정보를 동기화하고, 상기 복수의 결제수단정보 중 신규로 등록된 최신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동기화된 복수 개의 결제수단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최신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가 상기 IC 칩에 임시 기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모듈로부터 롱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전력 통신모듈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활성화 모드(Advertise Mode)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모듈로부터 상기 롱 터치신호가 재입력된 경우, 상기 저전력 통신모듈을 상기 활성화 모드에서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전원모듈이 최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기반의 전자카드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임계시간 동안 상기 터치 입력모듈로부터 상기 터치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저전력 통신모듈을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드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C 칩은,
    임시 저장된 상기 카드식별정보를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방식을 이용하여 결제 단말(Point of Sale)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드 장치.
  10. 전자카드 장치의 전자 결제방법에 있어서,
    전자 결제를 위해 복수의 결제수단정보를 저장하는 결제수단 저장과정;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과정;
    상기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저전력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키며, 상기 저전력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와의 동기화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결제수단정보로서 신규로 등록된 최신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상기 복수의 결제수단정보 중 중 마지막으로 사용된 최종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며, 각 결제수단정보가 추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결제수단정보 중 상기 각 결제수단정보를 제외한 어느 하나의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는 결제수단 추출과정;
    상기 최신 결제수단정보, 상기 최종 결제수단정보 혹은 상기 어느 하나의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식별정보를 IC 칩에 임시 기록하는 카드정보 기록과정; 및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상기 카드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카드정보 출력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드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수단 추출과정은,
    상기 터치 입력과정에서 숏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기 저장된 상기 복수의 결제수단정보 중 상기 최종 결제수단정보를 제외한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드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저전력 통신모듈에서 비컨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통신하는 저전력 통신과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결제수단 추출과정은,
    상기 터치 입력과정에서 롱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전력 통신모듈을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킨 후 상기 단말기와 복수의 결제수단정보를 동기화하고, 상기 복수의 결제수단정보 중 신규로 등록된 최신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카드식별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드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수단 추출과정은,
    상기 터치 입력과정에서 롱 터치신호가 재입력되거나, 기 설정된 임계시간 동안 상기 터치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저전력 통신모듈을 상기 활성화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드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방법.
KR1020140061633A 2014-05-22 2014-05-22 전자 결제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카드 장치 KR102126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633A KR102126272B1 (ko) 2014-05-22 2014-05-22 전자 결제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633A KR102126272B1 (ko) 2014-05-22 2014-05-22 전자 결제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604A KR20150135604A (ko) 2015-12-03
KR102126272B1 true KR102126272B1 (ko) 2020-06-26

Family

ID=5487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633A KR102126272B1 (ko) 2014-05-22 2014-05-22 전자 결제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0593B (zh) * 2016-06-29 2024-04-05 布洛克公司 预交易处理技术
KR101953273B1 (ko) * 2016-11-29 2019-03-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집적회로 칩이 탑재된 전자식 카드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610B1 (ko) * 2012-02-23 2014-01-22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0319A (ja) * 1998-08-11 2000-07-18 Citibank Na 金融取引および情報取引のための最新式プラスチックカ―ド
KR100876091B1 (ko) * 2007-02-28 2008-12-26 한국정보통신서비스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분산형 결제용 트랜잭션 포인트 단말장치
KR101470843B1 (ko) * 2011-10-18 2014-12-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610B1 (ko) * 2012-02-23 2014-01-22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604A (ko)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0747B1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カード
CN105452987B (zh) 管理使用电子设备的低功率模式的近场通信
KR101598371B1 (ko) 스마트멀티카드
KR101965120B1 (ko) 모바일 결제 거래를 수행하도록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운용하는 장치 및 방법
CN106056015B (zh) 利用射频识别标签评估外围设备的电池电位
CN103886455A (zh) 数字钱包设备以及包括虚拟卡和数字钱包设备的系统
CN102511129A (zh) 近场无线通信装置、以及其控制方法
CN109478904A (zh) 一种nfc业务处理方法、终端及nfc芯片
TW201320639A (zh) 能夠近場通訊的裝置及用於選擇近場通訊目標的方法
US10128912B2 (en) Efficient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ag detection and related methods
KR101525106B1 (ko) 근거리 무선태그 실장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5962A (ko) 역방향 nfc 결제를 위한 사용자 장치, nfc 결제 단말기, 그를 포함하는 역방향 nfc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1103734A1 (zh) 终端设备的近场通信实现方法及实现近场通信的终端设备
US9768835B2 (e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WO2016023496A1 (zh) 电子名片信息交换方法和装置
KR102126272B1 (ko) 전자 결제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카드 장치
KR102232375B1 (ko) 전자카드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및 장치
US20190066094A1 (en) Smart multi-card capable of simultaneously using plurality of card output schemes, and payment or accumulation method using same
CN103326858A (zh) 基于时间方式的nfc动态口令芯片及其工作方法
CN202916871U (zh) 一种nfc系统
EP4145875A1 (en) Smart card shar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7437952B (zh) 增强型近场通信装置、其操作方法和通信装置
CN106295731A (zh) 一种基于智能通讯终端的感应式信息传输系统及方法
CN109815749A (zh) 控制se的系统、方法及芯片
CN203350881U (zh) 电子签名设备和电子签名验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