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254B1 -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 - Google Patents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254B1
KR102126254B1 KR1020200016158A KR20200016158A KR102126254B1 KR 102126254 B1 KR102126254 B1 KR 102126254B1 KR 1020200016158 A KR1020200016158 A KR 1020200016158A KR 20200016158 A KR20200016158 A KR 20200016158A KR 102126254 B1 KR102126254 B1 KR 102126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stance
organic
concrete
friend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김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철 filed Critical 김종철
Priority to KR102020001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04B14/106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10Block or graft 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04B14/102Attapulgite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093Alu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0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in the an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2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halogen in the an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04B22/142Sulfates
    • C04B22/147Alkali-metal sulfates; Ammonium sulf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01Waste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88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different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32Polyethers, e.g. alkylphenol polyglycole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40Compounds containing silicon, titanium or zirconium or other organo-metallic compounds; Organo-clays; Organo-inorganic complexes
    • C04B24/42Organo-silic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6Aluminous cements
    • C04B28/065Calcium aluminosulfate cements, e.g. cements hydrating into ettring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1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082Anti-corrosive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corrosive pigment
    • C09D5/084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0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fouling agent
    • C09D5/1637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482Coating or impregnation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를 위한 조성물로서, 무기계 결합재 10 내지 60 중량% 및 유기계 성능개선제 4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메타카올린 20 내지 40 중량%, 염화바륨 20 내지 40 중량%,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10 내지 20 중량%, 티탄산바륨 5 내지 15 중량%, 탄산스트론튬 1 내지 10 중량%, 탄산아파타이트 1 내지 10 중량%, 아타풀자이트 1 내지 10 중량%, 황산리튬 1 내지 10 중량% 및 지르코알루미네이트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 폴리-카프로락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라텍스 10 내지 20 중량%, 폴리케톤 10 내지 20 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 및 디시클로헥실암모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여, 코팅층의 강도 특성과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화학성, 내수성, 내후성, 탈취성, 불연성, UV저항성,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Eco-friendly compositon of organic-inorganic hybrid for suface protection of concrete or metal structure and protecting method of suface of concrete or metal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팅층의 강도 특성과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화학성, 내수성, 내후성, 탈취성, 불연성, UV저항성,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성능저하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균열로, 균열이 발생하면 콘크리트 내부에 유해한 외기나 수분, 화학 성분이 침투하여 콘크리트의 성능저하가 더욱 촉진된다. 또한, 콘크리트 내부에 침투한 수분, 염화물 이온 등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에 부식이 발생하여 추가적인 균열이 발생하거나 콘크리트가 탈락하는 현상이 일어남과 동시에 철근 부식에 의해 철근 단면이 감소하여 성능이 저하됨으로써 구조물이 파손될 수도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을 보수하여 기능 유지 및 사용수명을 연장하여 안전과 경제성을 확보하는 기술 중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구조물 표면에 방호 피막을 형성하는 도막공법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를 일반적인 도막공법에는 에폭시계, 우레탄계 및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유기계 성분으로 이루어진 표면보호제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유기계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종래의 표면보호제의 경우는 가공성이 좋고 접착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율이 구조물과 매우 상이하고, 구조물 표면에만 접착되기 때문에 장기적인 접착성능을 발휘하지 못해 결국 표면보호제와 구조물의 계면에서 탈락되는 등 만족할 만한 성능을 모두 충족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수성 아크릴계열, SBR 라텍스 계열, 폴리우레탄 계열 등을 원료로 하는 표면보호제는 어느 정도의 습윤 조건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고 시멘트와의 결합성도 있어 기존 표면보호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검토되어 왔지만, 부식성분의 차단성능, 내수성, 내후성, 부착성 및 도막 자체의 역학적 성능(인장, 인열강도)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남아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유기계 성분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표면보호제는 경화 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과 경화 후의 다양한 환경요소, 특히 산성비, 자동차 배기가스에 의한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및 해양환경에서의 염소이온 등에 의해 도막제가 열화되며, 자외선에 의한 황변현상, 갈라짐, 부풀어 오름 현상에 의해 사용수명이 빠르게 떨어져 내구성의 확보에 어려움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893380호 등록특허 제10-191447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코팅층의 강도 특성과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화학성, 내수성, 내후성, 탈취성, 불연성, UV저항성,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을 장기간 보호할 수 있는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를 위한 조성물로서, 무기계 결합재 10 내지 60 중량% 및 유기계 성능개선제 4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메타카올린 20 내지 40 중량%, 염화바륨 20 내지 40 중량%,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10 내지 20 중량%, 티탄산바륨 5 내지 15 중량%, 탄산스트론튬 1 내지 10 중량%, 탄산아파타이트 1 내지 10 중량%, 아타풀자이트 1 내지 10 중량%, 황산리튬 1 내지 10 중량% 및 지르코알루미네이트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 폴리-카프로락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라텍스 10 내지 20 중량%, 폴리케톤 10 내지 20 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 및 디시클로헥실암모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는 알킬페놀 노볼락 수지 0.1 내지 5 중량% 및 미더덕껍질 분말 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술폰화된 폴리페닐실세스퀴옥산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14141872-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000 내지 15,000의 정수이다.
상기 폴리케톤은 240℃ 및 212N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FI)가 10 내지 100 g/10 min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으로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불순물 또는 열화부위를 제거하고 청소하는 단계; 청소된 부위에 속경성 퍼티재를 이용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정리된 바탕면에 표층 강화제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프라이머층에 상기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은 코팅층의 강도 특성과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화학성, 내수성, 내후성, 탈취성, 불연성, UV저항성,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과 보호층간의 부착강도를 높이고, 코팅층의 고강도 특성, 유연성 및 내충격성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신축 거동으로 인한 코팅층의 균열 및 박리를 막아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을 장기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유해 중금속의 용출이 없어 인체에 안전하고,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같은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에 의하면, 속건성의 우수한 강도특성 및 내구성을 나타냄으로써,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구조물의 사용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유기계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종래의 표면보호제와는 달리, 건조단계를 획기적으로 단축함으로써,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 구조물이라 함은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강 구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강 구조물뿐만 아니라, 주택, 아파트, 주차장 등의 건축구조물, 도로 및 고속도로뿐만 아니라 차량이 통행하는 시설 구조물(중앙 분리벽, 날개벽, 측구 콘크리트, 용벽 콘크리트), 농수로, 수로교 등의 수리구조물, 지하 및 지수 구조물, 화학시설물, 해양구조물 등을 포함하는 모든 구조물의 의미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를 위한 조성물로서, 무기계 결합재 10 내지 60 중량% 및 유기계 성능개선제 4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메타카올린 20 내지 40 중량%, 염화바륨 20 내지 40 중량%,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10 내지 20 중량%, 티탄산바륨 5 내지 15 중량%, 탄산스트론튬 1 내지 10 중량%, 탄산아파타이트 1 내지 10 중량%, 아타풀자이트 1 내지 10 중량%, 황산리튬 1 내지 10 중량% 및 지르코알루미네이트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 폴리-카프로락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라텍스 10 내지 20 중량%, 폴리케톤 10 내지 20 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 및 디시클로헥실암모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를 위한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은 무기계 결합재 10 내지 60 중량% 및 유기계 성능개선제 4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는 휨, 인장 및 부착강도를 향상시키고 작업성 및 내구성을 개선하며 고유동성(셀프 레벨링)을 갖게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에 대하여 40 내지 9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상기 친환경 기능개선 표면보호제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속건성의 우수한 강도특성 및 내구성을 나타냄으로써,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구조물의 사용기간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와 우수하게 혼합되어,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과 보호층간의 부착강도를 높여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신축 거동으로 인한 코팅층의 균열 및 박리를 막아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을 장기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메타카올린 20 내지 40 중량%, 염화바륨 20 내지 40 중량%,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10 내지 20 중량%, 티탄산바륨 5 내지 15 중량%, 탄산스트론튬 1 내지 10 중량%, 탄산아파타이트 1 내지 10 중량%, 아타풀자이트 1 내지 10 중량%, 황산리튬 1 내지 10 중량% 및 지르코알루미네이트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카올린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 메타카올린은 진흙의 형태로 산출되는 카올린(kaolin, 고령토)을 고온에서 소성시킨 후, 일정한 입도로 미분쇄한 것으로, 이산화규소와 산화알루미늄(Al2O3)을 주성분으로 함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카올린은 분말도가 5,000 내지 10,000 ㎠/g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충전성, 내충격성, 보온성 및 내화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메타카올린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 중량 대비 20 내지 4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카올린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상기한 성능은 개선되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염화바륨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속경성,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화바륨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충전성, 내오염성,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및 내화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염화바륨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 중량 대비 20 내지 4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바륨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상기한 성능은 개선되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속경성,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CaO 20 내지 30 중량%, Al2O3 40 내지 50 중량% 및 SiO2 3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고, 분말도가 1,000 내지 5,000 ㎠/g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내크랙성, 재료분리 저항성, 내수성, 내오염성, 내마모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상기 무기계 결합재 중량 대비 10 내지 2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상기한 성능은 개선되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티탄산바륨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속경성,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티탄산바륨은 입자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800 nm이고, Ba/Ti의 비가 0.50 내지 0.99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강도 특성 및 충전성, 내후성, 탈취성, 내마모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티탄산바륨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탄산바륨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상기한 성능은 개선되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탄산스트론튬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속경성,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산스트론튬은 입자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150 nm이고, 평균 애스펙트비가 1 내지 1.3인 구형입자를 사용하고,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내화학성, 내후성, 불연성, 내염해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탄산스트론튬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스트론튬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상기한 성능은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탄산아파타이트는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속경성,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산아파타이트는 25 내지 50 중량%의 탄산기를 포함하고, pH가 6.0 내지 8.5의 범위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부착강도 특성 및 내충격성, 내오염성, 내화학성, 내후성, 탈취성,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탄산아파타이트는 상기 무기계 결합재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아파타이트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상기한 성능은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아타풀자이트는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속경성,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타풀자이트는 미정질이고 규산 4면체의 사슬구조에 의한 터널 구조를 갖고 있으며, 가볍고 기공성이 있는 극세 점토 광물로서,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도막의 치밀한 구조 형성에 기여하여 우수한 강도 특성과 내마모성, 내수성, 내후성, 탈취성, 불연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특히, 흡수성 및 흡착력이 뛰어나 이산화탄소나 암모니아 등의 가스를 흡착하여 악취를 통기시켜 제거하고,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아타풀자이트는 상기 무기계 결합재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타풀자이트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상기한 성능은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황산리튬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속경성,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황산리튬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강도 특성 및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화학성, 내수성, 내후성,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황산리튬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산리튬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상기한 성능은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지르코알루미네이트는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속경성,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르코알루미네이트는 상기 무기계 결합재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수성, 내후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르코알루미네이트는 상기 무기계 결합재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르코알루미네이트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상기한 성능은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는 휨, 인장 및 부착강도를 향상시키고,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화학성, 내수성, 내후성, 탈취성, 불연성, UV저항성,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갖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무기계 결합재와 우수하게 혼합되어 코팅층의 고강도 특성, 유연성 및 내충격성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신축 거동으로 인한 코팅층의 균열 및 박리를 막아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을 장기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 폴리-카프로락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라텍스 10 내지 20 중량%, 폴리케톤 10 내지 20 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 및 디시클로헥실암모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속경성,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특히,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술폰화된 폴리페닐실세스퀴옥산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속경성 및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후성, 불연성, UV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 중량 대비 20 내지 4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14141872-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000 내지 15,000의 정수이다.
상기 폴리-카프로락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카프로락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단량체인 카프로락톤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1:2 내지 3의 중량비로 반응기에 주입하고 상기 단량체 전체에 대하여, 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및 비스(2,6-디메톡시 벤조일)-트리메틸펜틸 포스핀 옥사이드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개시제 0.1 내지 1.0 중량비를 반응기에 주입시킨 후, 50 내지 300 기압, 283.15 K 내지 353.15 K 조건하에서 1 내지 168시간 동안 중합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휨, 인장 및 부착강도 등의 강도 특성 및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수성, 내후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폴리-카프로락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 중량 대비 20 내지 4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카프로락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라텍스는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라텍스는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내충격성, 내후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화학성, 내수성, 내후성,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라텍스는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 중량 대비 10 내지 2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라텍스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폴리케톤은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케톤은 240℃ 및 212N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FI)가 10 내지 100 g/10 min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화학성, 내수성, 내후성, 불연성,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효성사의 M330A(240℃, 212N에서 측정된 용융흐름지수: 60 g/10 min)을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폴리케톤은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 중량 대비 10 내지 2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케톤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수성, 내후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디시클로헥실암모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시클로헥실암모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접착 강도 특성과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화학성, 내후성,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디시클로헥실암모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시클로헥실암모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는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의 다른 성분들과 함께 혼합되어, 높은 강도 및 부착력으로 압축강도, 휨강도 및 부착강도 등의 강도적 성질을 더욱 개선할 수 있고,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알킬페놀 노볼락 수지 0.1 내지 5 중량% 및 미더덕껍질 분말 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페놀 노볼락 수지는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예를 들면, 상기 알킬페놀 노볼락 수지는 촉매 존재 하에 알킬페놀과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 제조된 것으로, 상기 알킬페놀과 포름알데히드는 1: 0.1 내지 0.2 몰비로 반응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페놀 노볼락 수지의 상기 알킬기는 C5 내지 C60 알킬기인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더덕껍질 분말은 상온에서 자연건조한 후 오븐을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시키고, 완전히 건조된 미더덕 껍질을 통상의 분쇄기, 바람직하게는 핀 밀링을 이용하여 분쇄한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더덕껍질 분말은 평균입경이 100 내지 300 ㎛인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은 무기계 결합재 10 내지 60 중량% 및 유기계 성능개선제 40 내지 90 중량%를 혼합하여 강제식 믹서, 연속식 믹서 또는 진공식 믹서로 소정시간(예를 들어 2 내지 10 분간)동안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을 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으로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불순물 또는 열화부위를 제거하고 청소하는 단계; 청소된 부위에 속경성 퍼티재를 이용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정리된 바탕면에 표층 강화제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프라이머층에 상기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불순물 또는 열화부위를 제거하고 청소하는 단계는 구조물의 불순물 또는 열화부위를 그라인더, 평삭기, 숏블라스터, 핸드 워터젯, 고압살수기 등으로 제거하고, 진공 흡입기 등으로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청소된 부위에 속경성 퍼티재를 이용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는 청소된 부위의 균열, 홈, 핀홀 등을 속경성 퍼티재를 이용하여 바탕면을 정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속경성 퍼티재는 에폭시 퍼티, 우레탄 퍼티 및 초속경 시멘트계 퍼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정리된 바탕면에 표층 강화제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의 부착력을 개선하고, 물의 침투와 염소이온 침투를 억제하며, 내수성 및 방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행될수 있다. 이때, 상기 표층 강화제는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 아크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형성된 프라이머층에 상기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붓, 롤러, 에어리스, 뿜칠 장비 등을 이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양생하는 단계 이후에는 내오염성, 피막강도, 내마모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은 코팅층의 강도 특성과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화학성, 내수성, 내후성, 탈취성, 불연성, UV저항성,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과 보호층간의 부착강도를 높이고, 코팅층의 고강도 특성, 유연성 및 내충격성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신축 거동으로 인한 코팅층의 균열 및 박리를 막아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을 장기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유해 중금속의 용출이 없어 인체에 안전하고,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같은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에 의하면, 속건성의 우수한 강도특성 및 내구성을 나타냄으로써,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구조물의 사용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유기계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종래의 표면보호제와는 달리, 건조단계를 획기적으로 단축함으로써,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강제식 믹서에 혼합한 후, 약 2분간 교반하여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비교용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 탄산아파타이트는 약 35 중량%의 탄산기를 포함하고, pH가 약 8.1인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하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술폰화된 폴리페닐실세스퀴옥산(n=11,000)을 사용하였다.
또한, 하기 폴리-카프로락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단량체인 카프로락톤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1:2의 중량비로 반응기에 주입하고 상기 단량체 전체에 대하여, 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및 비스(2,6-디메톡시 벤조일)-트리메틸펜틸 포스핀 옥사이드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개시제 0.8 중량비를 반응기에 주입시킨 후, 약 150 기압, 353.15 K 조건하에서 120 시간 동안 중합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하기 폴리케톤은 효성사의 M330A(240℃, 212N에서 측정된 용융흐름지수: 60 g/10 min)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20014141872-pat00003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비교용 표면 보호제 조성물에 대하여 KS F 4936에 의한 중성화 촉진시험을 수행하였고, KS M 2274에 의하여 촉진내후성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KS F 4936에 의하여 부착강도, 도막형성 겉모양, 내투수성,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 및 투습도 시험을 수행하였고, KS M ISO 2812에 의하여 내약품성(황산, 염산, 수산화나트륨)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KS D 6711에 의하여 내충격성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주택공사 전문시방-2006에 의하여 내오염성 시험을 수행하였고, 먹는 물 수질공정 시험법에 의하여 음용수용출 46개 항목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500g연필로 도막을 긁어 스크레치가 나지 않는 정도를 측정하여 연필경도시험을 실시하여 각각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14141872-pat00004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비교용 표면 보호제 조성물은 모두 도막형성 후의 겉모양은 이상 없이 나타났고, 모두 촉진내후성, 내투수성, 내약품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였으며, 먹는 물 수질공정 시험법에 의하여 음용수용출 46개 항목 시험 결과 모두 용출 없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비교용 표면 보호제 조성물보다 중성화 저항성 및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이 매우 우수하고, 낮은 투습도, 높은 부착강도 및 연필경도를 갖는 바, 성능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비교용 표면 보호제 조성물에 대하여 국토교통부고시 제 2015-744호에 의하여 불연성 및 가스유해성 시험을 수행하였고, KS F 2813에 의하여 내마모성 시험을 수행하였고, AASHTO TP 60에 의하여 열팽창계수 시험을 수행하였고, KFIA-FI-1004에 의하여 암모니아 가스검지관에 따른 탈취성 시험을 수행하였고, 수도용 자재 및 제품의 위생안전기준 공정시험방법(환경부 고시 제 2015-103)에 의하여 중금속 용출시험을 수행하여 각각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14141872-pat00005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비교용 표면 보호제 조성물과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를 위한 조성물로서,
    무기계 결합재 10 내지 60 중량% 및 유기계 성능개선제 4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메타카올린 20 내지 40 중량%, 염화바륨 20 내지 40 중량%,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10 내지 20 중량%, 티탄산바륨 5 내지 15 중량%, 탄산스트론튬 1 내지 10 중량%, 탄산아파타이트 1 내지 10 중량%, 아타풀자이트 1 내지 10 중량%, 황산리튬 1 내지 10 중량% 및 지르코알루미네이트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 폴리-카프로락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라텍스 10 내지 20 중량%, 폴리케톤 10 내지 20 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 및 디시클로헥실암모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계 성능개선제는
    알킬페놀 노볼락 수지 0.1 내지 5 중량% 및 미더덕껍질 분말 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술폰화된 폴리페닐실세스퀴옥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0014141872-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000 내지 15,000의 정수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케톤은 240℃ 및 212N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FI)가 10 내지 100 g/10 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으로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불순물 또는 열화부위를 제거하고 청소하는 단계; 청소된 부위에 속경성 퍼티재를 이용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정리된 바탕면에 표층 강화제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프라이머층에 상기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
KR1020200016158A 2020-02-11 2020-02-11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 KR102126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158A KR102126254B1 (ko) 2020-02-11 2020-02-11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158A KR102126254B1 (ko) 2020-02-11 2020-02-11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254B1 true KR102126254B1 (ko) 2020-06-24

Family

ID=7140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158A KR102126254B1 (ko) 2020-02-11 2020-02-11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2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348B1 (ko) * 2021-08-17 2021-09-30 한국유지보수(주) 고습윤 환경에 노출된 수처리 콘크리트 구조물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표면보호 코팅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습윤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 시공방법
KR102474761B1 (ko) * 2021-07-28 2022-12-07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표면강화층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측벽에 접합되는 유기계 방수층
KR102483530B1 (ko) * 2022-11-08 2023-01-03 콘스타주식회사 함수율이 높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 및 보수용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함수율이 높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 및 보수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1195A (ja) * 2008-06-20 2010-01-07 Asuton:Kk コンクリートの補修方法
KR101155861B1 (ko) * 2012-04-25 2012-06-20 유한회사 한스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
JP2015229707A (ja) * 2014-06-04 2015-12-21 Dic株式会社 ラジカル重合性組成物、コンクリート補修材及び道路用プライマー
KR101893380B1 (ko) 2018-02-06 2018-08-30 주식회사 삼한개발 열악한 환경하의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보호용 친환경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마감 공법
KR101914473B1 (ko) 2018-03-05 2018-11-02 임환명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친환경 기능성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마감 공법
KR102063011B1 (ko) * 2019-08-05 2020-01-06 송상훈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 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1195A (ja) * 2008-06-20 2010-01-07 Asuton:Kk コンクリートの補修方法
KR101155861B1 (ko) * 2012-04-25 2012-06-20 유한회사 한스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
JP2015229707A (ja) * 2014-06-04 2015-12-21 Dic株式会社 ラジカル重合性組成物、コンクリート補修材及び道路用プライマー
KR101893380B1 (ko) 2018-02-06 2018-08-30 주식회사 삼한개발 열악한 환경하의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보호용 친환경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마감 공법
KR101914473B1 (ko) 2018-03-05 2018-11-02 임환명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친환경 기능성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마감 공법
KR102063011B1 (ko) * 2019-08-05 2020-01-06 송상훈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761B1 (ko) * 2021-07-28 2022-12-07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표면강화층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측벽에 접합되는 유기계 방수층
KR102306348B1 (ko) * 2021-08-17 2021-09-30 한국유지보수(주) 고습윤 환경에 노출된 수처리 콘크리트 구조물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표면보호 코팅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습윤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 시공방법
KR102483530B1 (ko) * 2022-11-08 2023-01-03 콘스타주식회사 함수율이 높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 및 보수용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함수율이 높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 및 보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254B1 (ko)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
KR101773920B1 (ko) 고등급 방수 칼라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 보수공법
KR101366514B1 (ko) 콘크리트 함수율 100% 습윤상태에서 프라이머 없이 시공이 가능한 무기질계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마감재 도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재 시공방법
KR101835081B1 (ko) 균열저감 효과가 우수한 고등급 저온 경화형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11704B1 (ko) 시인성이 우수한 상온경화형 차선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148187B1 (ko)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ㆍ보강용 기능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보수ㆍ보강 시공방법
KR100890558B1 (ko) 통기성 부여와 내수성 증진을 위한 아크릴 에멀젼 및 킬레이트를 첨가시킨 메탈 실리케이트와 다원자 이온 충전제를 혼입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및 염해방지 친환경 표면보호공법
KR101804867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9549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중성화 및 염해 방지용 시멘트 모르타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공법
KR102056127B1 (ko) 친환경 기능개선 표면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ㆍ마감 시공방법
KR102072939B1 (ko) 고점도 고탄성 크랙 보수용 퍼티재를 이용한 아파트 외벽의 보수 공법
KR101004613B1 (ko) 유연성을 가진 수용성 아크릴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기존 및 신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및 중성화 방지 공법
KR101766286B1 (ko) 내오존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도장공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다층도막
KR102178145B1 (ko) 단면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2249829B1 (ko) 친환경 아크릴계 항균 및 불연 고강도 내구성 도막형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항균 및 불연 도막형 바닥재 시공공법
KR100631485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및 강 구조물의 내구성 증대 및 중성화와염해방지를 위한 속경화 피막 형성 공법
KR10240214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방지 및 에너지 절감 도장방법
KR102119756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49032B1 (ko) 복합 도막구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및 수명연장 공법
KR101804353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상도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오염성 강화용 콘크리트 또는 강재 보호용 표면처리 공법
KR102091173B1 (ko) Frp 리바 매립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구조체 보강공법
KR10148297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알칼리 회복용 침투성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복구공법
KR10077262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볼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방법
KR102067736B1 (ko) 기능성 수성에폭시 하도재 및 아라미드섬유 혼입 폴리머 모르타르와 은나노 적용 표면보호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KR102525769B1 (ko) 콘크리트 외벽의 중성화 및 미세균열 방지 도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