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811B1 - Smart pacemaking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pacemak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811B1
KR102125811B1 KR1020180003112A KR20180003112A KR102125811B1 KR 102125811 B1 KR102125811 B1 KR 102125811B1 KR 1020180003112 A KR1020180003112 A KR 1020180003112A KR 20180003112 A KR20180003112 A KR 20180003112A KR 102125811 B1 KR102125811 B1 KR 102125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t rate
user
smart
section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1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3734A (en
Inventor
김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팔피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팔피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팔피토
Priority to KR1020180003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811B1/en
Priority to PCT/KR2019/000317 priority patent/WO2019139342A1/en
Publication of KR2019009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7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8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2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sensors worn by the player, e.g. for measuring heart beat or leg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12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involving biosensors worn by the player, e.g. for measuring heart beat, limb a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은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기, 및 상기 심박수가 복수의 심박구간 중 어느 심박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상기 심박수와 연동되는 게임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상태 판단부로부터 상기 심박수와 상기 심박구간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게임 컨텐츠를 제어하는 게임 관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컨텐츠는 상기 복수의 심박구간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분되게 표시되는 복수의 심박영역, 및 상기 심박수가 속하는 심박구간에 대응되는 상기 심박영역에 위치되도록 표시되는 사용자 캐릭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게임을 제공함으로써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facemaking system includes a heart rate meter that measures a user's heart rate, and a stat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ich heart rate interval belongs to a plurality of heart rate intervals, and interlocks with the heart rate And a smart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game content and a game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the heart rate and the heart rate interval information from the status determination unit and controls the game content, wherein the game content includes the plurality of heart rate section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plurality of heart rate areas are displayed to be divided to correspond to each, and the user character displayed to be located in the heart rate area corresponding to the heart rate section to which the heart rate belongs, exercise by providing a visual game to the user It provides a smart face-making system that can improve the effect.

Description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Smart pacemaking system}Smart pacemaking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acemaking system.

다이어트를 실패하는 요인 중 하나는, 운동을 하더라도 몸의 변화가 눈에 보일 만큼 빠르지 않기 때문에 성취감을 느끼기 힘들다는 점이다. 또한, 식이요법을 병행하더라도 눈에 보이는 성과가 발휘되기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처음과 같은 의지를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One of the factors that cause diet to fail is that it is difficult to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because even though you exercise, your body changes are not as fast as you can see. 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maintain the same will as the first, since it takes a lot of time before the visible performance is exhibited even when diet is combined.

한편, 종래에 운동을 보조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운동으로 소모한 칼로리를 계산하여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운동량을 제공하는 방법들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운동 초기에는 다이어트 효과를 체감할 수 있으나, 운동하는 시간이 누적될수록, 과거와 동일한 운동량으로는 그 효과를 체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동량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제공하더라도, 사용자 편의성이 결여된다면 유의미한 데이터가 되지 못할뿐더러, 사용자에게 동기부여가 되지 못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part of a method for assisting exercise in the related art, methods for calculating and providing calories burned by exercise or measuring a user's heart rate have been disclosed. These methods can experience the effect of dieting at the beginning of exercise, but as the time to exercise accumulat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cannot be experienced with the same amount of exercise as in the past. In addition, even if data on the amount of exercise is accumulated and provided, it may not be meaningful data and may not be motivated to the user if user convenience is lacking.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운동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face-making system capable of continuously maintaining an exercise state in which a user can maximize an exercis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현재의 운동 페이스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face making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effect of exercise by allowing the user to visually check the current exercise pac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은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기, 및 상기 심박수가 복수의 심박구간 중 어느 심박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상기 심박수와 연동되는 게임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상태 판단부로부터 상기 심박수와 상기 심박구간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게임 컨텐츠를 제어하는 게임 관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컨텐츠는 상기 복수의 심박구간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분되게 표시되는 복수의 심박영역, 및 상기 심박수가 속하는 심박구간에 대응되는 상기 심박영역에 위치되도록 표시되는 사용자 캐릭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smart face-mak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rt rate measuring device that measures a user's heart rate, and a state determining unit to determine which heart rate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heart rate intervals belongs to the heart rate and the heart rate. And a smart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interlocked game content and a game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the heart rate and the heart rate interval information from the status determination unit and controls the game content, wherein the game content includes the plurality of heartbea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heartbeat regions displayed to be divided to correspond to the sections, and a user character displayed to be located in the heartbeat region corresponding to the heartbeat section to which the heart rate belongs.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캐릭터는 위치되는 상기 심박영역에 따라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charact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heartbeat area in which the user character is positioned.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특성은 공격력 또는 방어력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character may be attack power or defense power.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 컨텐츠는 적 캐릭터를 더 제공하고, 상기 적 캐릭터와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동일한 상기 심박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적 캐릭터가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game content further provides an enemy character, and the enemy character may be removed when the enemy character and the user character are located in the same heartbeat reg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 컨텐츠는 적 캐릭터를 더 제공하고, 상기 적 캐릭터가 상기 사용자 캐릭터와 동일한 상기 심박영역에서 일정 시간 이상 위치되면 상기 적 캐릭터가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game content further provides an enemy character, and if the enemy character is located in the same heart rate region as the user charact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enemy character may be removed.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 컨텐츠는 상기 심박수가 상기 복수의 심박구간 중 어느 심박구간에 속하는지에 따라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game content may provide compensation according to which heart rate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heart rate intervals belongs to the heart rate.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 컨텐츠는 상기 심박수가 특정한 상기 심박구간에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game content may pay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time that the heart rate is maintained in a specific heart rate sect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심박수 측정기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heart rate monitor may be a wearable device.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심박수 측정기는 광혈류 측정방식으로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heart rate monitor may measure a user's heart rate by a photo blood flow measurement method.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심박구간은 목표 심박수에 대한 근접비율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heart rate sect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a proximity ratio to a target heart rate.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목표 심박수는 220에서 사용자의 나이를 뺀 값에 운동강도를 곱한 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target heart rate may be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age of the user from 220 and multiplying the exercise intensity.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심박구간은 제1 심박구간 내지 제5 심박구간의 5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lurality of heart rate sections may be divided into 5 steps of the first heart rate section to the fifth heart rate sect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심박구간은 상기 목표 심박수의 50% 이상 60% 미만의 심박수가 속하고, 상기 제2 심박구간는 상기 목표 심박수의 60% 이상 70% 미만의 심박수가 속하며, 상기 제3 심박구간은 상기 목표 심박수의 70% 이상 80% 미만의 심박수가 속하고, 상기 제4 심박구간는 상기 목표 심박수의 80% 이상 90% 미만의 심박수가 속하며, 상기 제5 심박구간는 상기 목표 심박수의 90% 이상의 심박수가 속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heart rate section belongs to a heart rate of 50% or more and less than 60% of the target heart rate, and the second heart rate section belongs to a heart rate of 60% or more to less than 70% of the target heart rate, and the The third heart rate section belongs to a heart rate of 70% or more and less than 80% of the target heart rate, and the fourth heart rate section belongs to a heart rate of 80% or more and less than 90% of the target heart rate, and the fifth heart rate section of the target heart rate A heart rate of 90% or more may be included.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심박수가 상기 복수의 심박구간 중 어느 심박구간에 속하는지에 따라 음성 피드백을 생성하는 음성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mar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voice setting unit that generates voice feedback according to which heart rate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heart rate intervals belongs to.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성 설정부는 상기 심박수가 특정한 상기 심박구간에서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음성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voice setting unit may generate voice feedback according to a time during which the heart rate is maintained in a specific heart rate section.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lexical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being able to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운동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The smart facemak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the user to continuously maintain an exercise state in which an exercise effect can be max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재의 운동 페이스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xercise effect by allowing the user to visually check the current exercise 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페이스에 따라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njoy the game according to his or her exercise pace, thereby maximizing the exercise effect.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마트기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스마트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게임 컨텐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정보 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게임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스마트기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음성 피드백 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한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음성 피드백 선택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view showing a smart face-ma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the smart device shown in FIG. 1.
3 to 7 are views showing gam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device shown in FIG. 1.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rt screen of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smart facemaking system shown in FIG. 1.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smart facemaking system shown in FIG. 1.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ame selec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smart facemaking system shown in FIG. 1.
11 is a view showing a smart face-mak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the smart device illustrated in FIG. 11.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feedback setting screen of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smart facemaking system shown in FIG. 11.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feedback selec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smart facemaking system shown in FIG. 11.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smart facema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specification,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Further,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1 is a view showing a smart facemaking system 10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은 심박수 측정기(200), 및 스마트기기(300a)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heart rate meter 200 and a smart device 300a.

심박수 측정기(200)는 사용자의 신체 일 영역에서 심박수를 측정하는 부재이다. The heart rate meter 200 is a member that measures the heart rate in one area of the user's body.

여기서, 심박수 측정기(20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스마트밴드, 스마트워치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심박수 측정기(200)에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센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심박센서는 광혈류(PPG; Photo Plethysmo Graph) 측정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광혈류 측정방식은 LED를 이용하여 광을 신체 피부에 조사하면 신체 혈관에 흐르는 혈류량에 따라 반사되는 광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혈류량이 증가될수록 적혈구가 증가되어 광이 흡수됨으로써 반사되는 광량이 감소되며, 이러한 광량 감소를 이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광센서가 반사되는 광 변화를 전기신호의 변화로 바꾸되, 신호를 증폭시키고 MCU의 ADC를 이용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시키며 전기신호가 변화되는 패턴을 관찰하여 심박수를 계산할 수 있다.Here, the heart rate monitor 200 may be, for example,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band or a smart watch worn on a user's wrist. In addition, the heart rate monitor 200 may include a heart rate sensor that measures a user's heart rate, and such a heart rate sensor may use a photo blood flow (PPG) method. The photo blood flow measurement method uses the principle that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skin of the body using LEDs, the reflected light varies according to the blood flow in the body blood vessels. As the blood flow increases, the number of red blood cells increases and the amount of reflected light decreases as light is absorbed. It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heart rate using the reduction of the amount of light. Specifically, the optical sensor reflects the change in light reflected by the change in the electrical signal, amplifies the signal, converts it to a digital value using the MCU's ADC, and observes the pattern in which the electrical signal changes to calculate the heart rate.

한편, 심박수 측정기(200)에는 별도의 저장부가 포함되어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통신부를 통해 이러한 심박수 정보를 심박수 측정기(200)와 네트워크 연결된 스마트기기(300a)에 송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rt rate monitor 200 includes a separate storage unit to store the user's heart rat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heart rate information to the smart device 300a network-connected with the heart rate monitor 200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스마트기기(300a)는 심박수 측정기(200)로부터 사용자의 심박수를 수신하여 심박수가 복수의 심박구간 중 어느 심박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하고 이에 대응되는 게임 컨텐츠를 제어하는 부재이다.The smart device 300a is a member that receives a user's heart rate from the heart rate meter 200 and determines which heart rate interval belongs to a plurality of heart rate sections and controls game content corresponding thereto.

여기서, 스마트기기(300a)는 네트워크를 통해 심박수 측정기(200)와 연동되는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와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와 같은 고정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300a)는 이러한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고 러닝머신, 사이클과 같은 운동기구일 수도 있다.Here, the smart device 300a is a device that works with the heart rate monitor 200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and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S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2000, W-CDMA It may be any type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and a fixed terminal such as a desktop computer and a smart TV. In addition, the smart device 300a is not limited to such a terminal and may be an exercise machine such as a treadmill or a cycle.

한편, 스마트기기(300a)와 심박수 측정기(200) 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connecting the smart device 300a and the heart rate monitor 200 is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a 5G network,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and the Internet.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Bluetooth)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마트기기(300a)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스마트기기(300a)의 구성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the smart device 300a illustrated in FIG. 1.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device 300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is.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300a)는 상태 판단부(310), 표시부(320), 및 게임 관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mart device 3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state determination unit 310, a display unit 320, and a game management unit 330.

상태 판단부(310)는 심박수 측정기(200)가 측정한 사용자의 심박수가 복수의 심박구간 중 어느 심박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부분이다.The state determining unit 310 is a part that determines the heart rate of the user's heart rate measured by the heart rate meter 200 belongs to a plurality of heart rate intervals.

여기서, 복수의 심박구간은 미리 설정될 수 있는데 이는 목표 심박수의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먼저, 목표 심박수는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가 수행하려는 운동의 운동강도, 안정시 심박수 및 난이도에 따라 산출된 것으로, 다이어트에 유효한 운동이 수행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일련의 기준일 수 있다. 운동강도는 사용자 본인이 수행하려는 운동의 강도를 나타낸 것으로, 스마트기기(300a)는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운동강도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마트기기(300a)는 80%, 90% 및 100%의 운동강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난이도는 사용자 본인이 수행하려는 운동의 난이도로, 스마트기기(300a)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난이도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마트기기(300a)는 초보자 및 중급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Here, a plurality of heart rate sections may be set in advance, which may be described as a concept of a target heart rate. First, the target heart rat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user's age, the exercise intensity of the exercise the user intends to perform, and the heart rate and difficulty level at rest, and may be a set of criteria that guide effective exercise in the diet. The exercise intensity represents the intensity of the exercise the user himself intends to perform, and the smart device 300a may receive the exercise intensity from the user's input. For example, the smart device 300a may receive a user input selecting one of 80%, 90%, and 100% of exercise intensity. In addition, the difficulty is the difficulty of the exercise that the user himself or herself wants to perform, and the smart device 300a can receive the difficulty from the user input. For example, the smart device 300a may receive a user input selected from one of beginners and intermediates.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300a)는 초보자 난이도 및 중급자 난이도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목표 심박수를 산출할 수 있다. 초보자 난이도에서의 목표 심박수는 사용자의 나이와 수행하려는 운동강도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고, 중급자 난이도에서의 목표 심박수는, 나이 및 운동강도뿐만 아니라, 해당 사용자의 최대 심박수 및 안정시 심박수를 더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먼저, 초보자 난이도에서의 목표 심박수는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The smart device 3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calculate the target heart rate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beginner's difficulty and the intermediate's difficulty. The target heart rate at the beginner's difficulty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s age and the exercise intensity to be performed, and the target heart rate at the intermediate user's difficulty further considers the maximum heart rate and the resting heart rate of the user as well as the age and exercise intensity Can be calculated. First, the target heart rate in beginner difficulty may be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목표 심박수 = (220-나이) × 운동강도(%)Target heart rate = (220-age) × exercise intensity (%)

여기서, 220은 목표 심박수를 산출하기 위해 설정된 상수일 수 있으며, 운동강도가 100%일 때 목표 심박수는 최대 심박수라 볼 수 있다. 예시적으로, 31세의 사용자가 초보자 난이도 및 80%의 운동강도를 선택한 경우, 스마트기기(300a)는 수학식 1에 상기 사용자의 파라미터를 대입하여((220-31) × 0.8), 151의 목표 심박수를 산출할 수 있다.Here, 220 may be a constant set to calculate the target heart rate, and when the exercise intensity is 100%, the target heart rate may be regarded as the maximum heart rate. For example, when a 31-year-old user selects beginner difficulty and 80% exercise intensity, the smart device 300a substitutes the user parameter in Equation 1 ((220-31) × 0.8), 151 You can calculate your target heart rate.

중급자 난이도에서의 목표 심박수는 하기의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The target heart rate in intermediate difficulty may be calculated through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목표 심박수 = [(최대 심박수-안정시 심박수) × 운동강도(%)] Target heart rate = [(maximum heart rate-heart rate at rest) × exercise intensity (%)]

+ 안정시 심박수 + Heart rate at rest

여기서 최대 심박수는 상기 상수 220에서 사용자의 나이를 뺀 값일 수 있으며, 안정시 심박수는 심박수 측정기(200)가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분 동안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산출한 평균 심박수 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31세의 사용자가 중급자 난이도 및 80%의 운동강도를 선택한 경우, 스마트기기(300a)는 수학식 2에 상기 사용자의 파라미터를 대입하여 아래와 같이 (((220-31)-80) × 0.8) + 80, 167의 목표 심박수를 산출할 수 있다(사용자의 안정시 심박수는 예시적으로 80으로 가정). 이와 같이, 같은 사용자라 하더라도 초보자 및 중급자 선택에 따라 목표 심박수가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수준에 맞는 난이도를 선택하여 보다 효과적인 목표 심박수를 설정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난이도에 따라 목표 심박수를 산출하는 수학식이 달라지지 않을 수도 있다.Here, the maximum heart rate may be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user's age from the constant 220, and the heart rate at rest may be an average heart rat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user's heart 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minute. . For example, when the 31-year-old user selects the intermediate level of difficulty and 80% of exercise intensity, the smart device 300a substitutes the user parameter in Equation 2 as follows (((220-31)-80) × 0.8) + 80, 167 can calculate the target heart rate (assuming that the user's heart rate at rest is 80 for example). In this way, even if the same user, the target heart rate may be calcul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beginner's and intermediate's selection. Therefore, the user can set a more effective target heart rate by selecting a difficulty level suitable for his/her leve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equation for calculating the target heart rate may not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ifficulty.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300a) 내지는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은 사용자의 목표 심박수 및 구간상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심박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목표 심박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나이, 운동강도 및 난이도에 따라 산출될 수 있으며, 구간상수는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상수일 수 있다. 따라서, 심박구간 또한 사용자마다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심박구간은 복수의 유산소 운동 지방 연소 기준 구간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심박구간은 심박수를 기준으로 운동시 소비되는 지방 및 탄수화물의 양에 따라 운동의 강도를 심박수로 구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기기(300a) 내지는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은 축적되어 저장된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 운동 능력, 운동 기간, 이력 등에 기초하여 운동강도 및/또는 상기 구간상수를 결정하고 추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마다 복수의 유산소 운동 지방 연소 기준 구간이 최적화되어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smart device 300a or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determine a plurality of heartbeat intervals based on a user's target heart rate and interval constant. The target heart rate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user's age, exercise intensity, and difficulty,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ction constant may be a predetermined constant based on statistical data. Therefore, the heart rate section may also be determined differently for each user. Here, the plurality of heart rate sections may be a plurality of aerobic exercise fat burning reference sections. That is, the plurality of heart rate sections may be divided into the heart rate of exercise according to the amount of fat and carbohydrates consumed during exercise based on the heart rate.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device 300a or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a is accumulated and stored based on the user's exercise data, exercise ability, exercise period, history, etc., and the exercise intensity and/or the section Decide and recommend constants. Accordingly, a plurality of aerobic exercise fat combustion reference sections may be optimized and set for each user.

예시적으로, 복수의 심박구간은 목표 심박수에 대한 근접비율에 따라 제1 심박구간 내지 제5 심박구간의 5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heart rate sections may be divided into 5 steps of the first heart rate section to the fifth heart rate section according to the proximity ratio to the target heart rate.

제1 심박구간은 목표 심박수의 50% 이상 60% 미만(즉, 구간상수가 0.5~0.6)의 심박수로 수행되는 운동일 수 있다. 제1 심박구간의 운동은 신체운동의 대사가 시작되는 가장 하위영역이며 몸에 부담이 거의 되지 않기 때문에 운동 초보자나 체력이 떨어지는 이들의 운동 시작시점으로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심박구간에서는 지방 소모가 많이 되기는 하나 전체적인 운동량이 적기 때문에 지방의 소모량도 미미할 수 있다.The first heart rate section may be an exercise performed with a heart rate of 50% or more and less than 60% (ie, a section constant of 0.5 to 0.6) of the target heart rate. Exercise of the first heart rate section is the lowest region where metabolism of physical exercise begins, and may be preferable as a starting point of exercise for beginners or those with low physical fitness because the burden on the body is little. Although fat consumption is high in the first heart rate section, fat consumption may be insignificant because the total amount of exercise is low.

다음, 제2 심박구간는 목표 심박수의 60% 이상 70% 미만(즉, 구간상수가 0.6~0.7)의 심박수로 수행되는 운동일 수 있다. 옆 사람과 대화를 할 수 있는 강도며 제1 심박구간에 비해 많은 칼로리가 소비될 수 있다. 제2 심박구간에서는 살짝 땀이 나기 시작하며 살 빼기 위한 세포에서의 지방 연소가 시작되는 지점이므로 살을 빼기 위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Next, the second heart rate section may be an exercise performed with a heart rate of 60% or more and less than 70% of the target heart rate (that is, the section constant is 0.6 to 0.7). It's a strength to talk to the person next to you and can consume more calories than the first heart rate zone. In the second heart rate section, sweating starts slightly and fat burning starts in the cells to lose weight, so it can be said to be an area to lose weight.

다음, 제3 심박구간은 목표 심박수의 70% 이상 80% 미만(즉, 구간상수가 0.7~0.8)의 심박수로 수행되는 운동일 수 있다. 여기서, 제3 심박구간은 에어볼릭(Aerobic) 혹은 스?존(Sweat Zone)이라고도 하며, 땀이 많이 나는 산소소비 영역일 수 있다. 이 영역을 유지하며 운동을 하게 되면 심폐능력이 향상되어 체력상승의 효과를 볼 수도 있으며, 더 많은 칼로리가 소비되어 엔돌핀이 분비되므로 유산소 운동을 즐기는 이들에 있어서 러너스 하이(Runner's high) 상태라고 불리는 행복감을 줄 수 있다.Next, the third heart rate section may be an exercise performed with a heart rate of 70% or more and less than 80% (ie, a section constant of 0.7 to 0.8) of the target heart rate. Here, the third heart rate section is also referred to as an aerobic or a swath zone, and may be a sweating oxygen consumption area. If you exercise while maintaining this area, you can improve your cardiorespiratory abilities and see the effect of increasing your fitness, and endorphins are secreted as more calories are consumed, so happiness for those who enjoy aerobic exercise called Runner's high Can give

다음, 제4 심박구간는 목표 심박수의 80% 이상 90% 미만(즉, 구간상수가 0.8~0.9)의 심박수로 수행되는 운동일 수 있다. 이 영역은 운동에 있어 중요한 역치의 의미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한 주에 약 두 번 정도 이 영역에서 운동하는 것은 순발력과 전체적인 운동능력 향상에 아주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이 영역을 너무 많이 유지하는 것은 오버 트레이닝 되기 쉬울 수 있다.Next, the fourth heart rate section may be an exercise performed with a heart rate of 80% or more and less than 90% (ie, a section constant of 0.8 to 0.9) of the target heart rate. This area may be an area that includes the meaning of an important threshold in motion. Exercising in this area about twice a week can be a great help in improving your wits and overall athletic performance, but maintaining too much of this area can be easy to overtrain.

다음, 제5 심박구간는 목표 심박수의 90% 이상(즉, 구간상수가 0.9 이상)의 심박수로 수행되는 운동일 수 있으며, 고강도 트레이닝 영역이자 전문 트레이닝 영역일 수 있다. 제5 심박구간에서는 체온이 많이 상승하며 운동이 고되고 고통이 느껴질 수 있으며, 컨디션이 좋고 신체가 건강할 때 이 영역의 운동은 신체발달에 많은 자극을 주지만 페이스 조절을 잘 못하면 오버 트레이닝 되기 쉬울 수 있다.Next, the fifth heart rate section may be an exercise performed with a heart rate of 90% or more (ie, a section constant of 0.9 or more) of the target heart rate, and may be a high-intensity training area and a specialized training area. In the fifth heart rate zone, the body temperature rises a lot, and the movement may be painful and painful. When the physical condition is good and the body is healthy, the exercise in this area gives much stimulation to the body development, but if you cannot adjust the pace, it may be easy to overtrain. .

상술한 예를 참조하면, 31세의 사용자가 초보자 난이도에서 80%의 운동강도를 설정한 경우, 스마트기기(300a) 내지는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은 151의 목표 심박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심박구간은 목표 심박수의 50%~60%이므로 75 bpm~90bpm으로 결정되고, 제2 심박구간는 목표 심박수의 60~70%이므로 90~105bpm으로 결정되며, 제3 심박구간은 목표 심박수의 70~80%이므로 105~120bpm으로 결정되고, 제4 심박구간는 목표 심박수의 80~90%이므로 120~135bpm으로 결정되며, 제4 심박구간은 목표 심박수의 90% 이상이므로 135bpm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심박구간은 사용자의 목표 심박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각각에 최적화된 심박구간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지방연소가 가장 효율적이면서 무리가 되지 않는 제2 심박구간와 제3 심박구간 역시 사용자 각각에 최적화되므로, 다이어트를 위한 최적의 운동강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본인의 목표 심박수를 통해 결정된 복수의 심박구간을 이용하여, 오버 트레이닝을 방지하기 위한 운동강도를 스스로 인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above example, when the 31-year-old user sets the exercise intensity of 80% at the beginner difficulty level, the smart device 300a or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a may calculate the target heart rate of 151.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heart rate is 50% to 60% of the target heart rate, it is determined to be 75 bpm to 90bpm, and the second heart rate section is determined to be 90 to 105bpm because it is 60 to 70% of the target heart rate, and the third heart rate section is the target heart rate. Since it is 70~80% of, it is decided to be 105~120bpm, and the fourth heart rate section is determined to be 120~135bpm because it is 80~90% of the target heart rate, and the fourth heart rate section is determined to be 135bpm or more because it is more than 90% of the target heart rate . As described above, the heart rate interval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target heart rate, so that the heart rate interval optimized for each user may be determined.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and third heart rate zones, which are the most efficient and do not overdo fat burning, are also optimized for each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optimal exercise intensity for diet, and the user's own target heart rate. By using a plurality of heart rate sections determined through,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exercise intensity for preventing over-training itself.

이러한 심박구간을 결정하는 것은 예시적으로 스마트기기(300a)의 상태 판단부(310)일 수 있으며, 상태 판단부(310)는 사용자의 심박수가 미리 산출된 복수의 심박구간 중 어느 심박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판단부(310)는 사용자의 심박수가 복수의 구간 중 어느 구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도 판단할 수 있다.Determining such a heart rate interval may be, for example, the state determining unit 310 of the smart device 300a, and the state determining unit 310 belongs to any heart rate interval among a plurality of heart rate sections in which the user's heart rate is calculated in advance. Can determine whether. Also, the status determining unit 310 may determine whi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the user's heart rate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표시부(320)는 사용자의 심박수와 연동되는 게임 컨텐츠를 표시하는 부분이다.The display unit 320 is a portion that displays game content linked to the user's heart rate.

여기서, 표시부(320)는 스마트기기(300a)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20)는 스마트기기(300a)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3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display unit 320 may display information on a series of operation states and operation results that occur during the functioning of the smart device 300a. Also, the display unit 320 may display a menu of the smart device 300a and user data input by the user. The display 32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CD (TFT-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active matrix organic LED (AMOLED), and a flexible display ) And a 3D display.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320)는 게임 실행에 따른 게임 컨텐츠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 날짜, 운동 시간, 심박수의 변화 및 평균 최대 심박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the display unit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display a game content screen according to a game execution, and display a smart face-making application. Therefore,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change of the user's exercise date, exercise time, heart rate, and average maximum heart rate through the application, thereby improving the exercise effect.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스마트기기(300a)의 표시부(320)에 표시되는 게임 컨텐츠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300a)의 게임 컨텐츠 및 게임 관리부(33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3 to 7 are views showing gam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0 of the smart device 300a illustrated in FIG. 1. Hereinafter, the game contents and the game management unit 330 of the smart device 300a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게임 관리부(330)는 상태 판단부(310)로부터 사용자의 심박수와 심박구간 정보를 전달받아 게임 컨텐츠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게임 관리부(330)가 제어하는 게임 컨텐츠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심박영역(340)과 사용자 캐릭터(350)를 제공할 수 있다. The game management unit 330 receives the user's heart rate and heart rate interval information from the status determination unit 310 and controls the game content. Here, the game content controlled by the game management unit 330 may provide a plurality of heart rate regions 340 and a user character 350 as illustrated in FIG. 3.

구체적으로, 복수의 심박영역(340)은 상태 판단부(310)에서 설명한 복수의 심박구간에 각각 대응되도록 표시부(320)에 구분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 심박영역(341)은 제1 심박구간을 나타내고, 제2 심박영역(342)은 제2 심박구간을 나타내며, 제3 심박영역(343)은 제3 심박구간을 나타내고, 제4 심박영역(344)은 제4 심박구간을 나타내며, 제5 심박영역(345)은 제5 심박구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심박영역(340)은 표시부(320) 상에서 서로 영역이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목표 심박수로부터 가장 먼 제1 심박구간에 대응되는 제1 심박영역(341)이 화면 맨 아래에 위치되고, 목표 심박수로부터 가장 근접한 제5 심박구간에 대응되는 제5 심박영역(345)이 화면 맨 위에 위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heartbeat regions 340 may be separate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0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heartbeat sections described in the state determining unit 310. That is, the first heart rate region 341 represents the first heart rate region, the second heart rate region 342 represents the second heart rate region, and the third heart rate region 343 represents the third heart rate region, and the fourth heart rate region. The region 344 may represent a fourth heart rate region, and the fifth heart rate region 345 may represent a fifth heart rate region. The plurality of heartbeat regions 34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0 to distinguish regions from each other, for example, a first heartbeat region 341 corresponding to a first heartbeat region farthest from a target heart rate is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nd a fifth heart rate region 345 corresponding to the fifth heart rate section closest to the target heart rate may be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한편, 사용자 캐릭터(350)는 사용자의 심박수와 연동되어 해당되는 심박영역(34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기기(300a)의 상태 판단부(310)는 심박수 측정기(200)로부터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받고 이러한 사용자의 심박수가 복수의 심박구간 중 어느 심박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데, 이때 게임 관리부(330)는 사용자 캐릭터(350)를 이러한 사용자 심박수와 연동시켜 복수의 심박영역(340) 중 특정 심박영역(34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술한 예제를 다시 참고하면, 사용자의 심박수가 110bpm이라 할 때 110bpm은 105~120bpm에 해당하는 제3 심박구간에 속하는바, 사용자 캐릭터(3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심박영역(343)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일 사용자가 운동 페이스를 줄임으로써 심박수를 감소시켜 심박수가 100bpm이 되었다고 할 때, 100bpm은 90~105bpm에 해당하는 제2 심박구간에 속하는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심박영역(343)에 위치되어 있던 사용자 캐릭터(350)가 하강하여 제2 심박영역(342)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심박수와 사용자 캐릭터(350)는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으며, 동일한 심박영역(340)에서도 상대적인 심박수 고저에 따라 높낮이가 달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Meanwhile, the user character 350 may be positioned on the corresponding heart rate region 340 in connection with the user's heart rate. Specifically, the state determining unit 310 of the smart device 300a receives the user's heart rate information from the heart rate meter 200 and determines which of the plurality of heart rate intervals the heart rate of the user belongs to, wherein the game management unit In operation 330, the user character 350 may be positioned in a specific heart rate region 340 among a plurality of heart rate regions 340 by interworking with the user heart rate. Referring back to the above example, when the user's heart rate is 110 bpm, 110 bpm belongs to a third heart rate section corresponding to 105 to 120 bpm, and the user character 350 has a third heart rate area (as shown in FIG. 3). 343). In this state, if the user decreases the heart rate by reducing the exercise pace and the heart rate reaches 100 bpm, 100 bpm belongs to the second heart rate section corresponding to 90 to 105 bpm, as shown in FIG. The user character 350 located at 343 may descend and be positioned in the second heart rate region 342. The heart rate of the user and the user character 350 may be interlocked in real time, and the height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lative heart rate in the same heart area 34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은 사용자에게 심박수와 연동된 게임을 제공함으로써 동기부여를 높이고 흥미를 유발시켜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can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by increasing motivation and inducing interest by providing the user with a game linked to the heart rate.

한편, 단순히 표시부(320) 상에 사용자 캐릭터(350)의 위치만 표시할 경우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동기가 덜 클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게임 관리부(330)는 게임 컨텐츠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상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if only the position of the user character 35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0, the motivation for the user's movement may be less. Accordingl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game management unit 330 may control the game content to provide compensation as illustrated in FIG. 5.

구체적으로 게임 관리부(330)는 심박수가 어느 구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에 따라 사용자 계정과 연계된 게임 컨텐츠가 보상을 지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게임 관리부(330)는 심박수가 제2 심박구간 또는 제3 심박구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표시부(320) 상에서 사용자 캐릭터(350)가 제2 심박영역(342) 또는 제3 심박영역(343)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사용자 계정과 연계된 게임 컨텐츠가 추가 보상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게임 관리부(330)는 심박수가 제2 심박구간 또는 제3 심박구간에서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게임 컨텐츠의 보상을 차등 지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게임 관리부(330)는 심박수가 제1 심박구간에 진입한 이후부터 보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운동이 계속되어 제2 심박구간 또는 제3 심박구간에 진입하면, 제1 심박구간에서 제공하는 보상보다 많은 보상을 제공할 수 있고, 제2 심박구간 또는 제3 심박구간에 유지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더 많은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심박구간 또는 제3 심박구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하는 경우, 상기 보상 외에 추가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임 관리부(330)는 사용자가 게임 컨텐츠의 추가 보상을 획득하기 위해 유지해야 하는 심박구간 및 유지 시간을 추천하여 표시부(32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game management unit 330 may control the gam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user account to pay rewards according to which section the heart rate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when the heart r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a second heart rate section or a third heart rate section (the game manager 330), the user character 350 on the display unit 320 is the second heart rate zone 342 or the second heart rate zone. 3, if the heart rate area 343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gam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user account may be controlled to provide additional rewards. In addition, the game management unit 330 may differentially pay for the compensation of game contents according to the time that the heart rate is maintained in the second or third heart rate section. For example, the game management unit 330 may provide compensation after the heart rate enters the first heart rate section, and if the exercise continues and enters the second or third heart rate section, the first heart rate section More rewards may be provided than the rewards provided, and more rewards may be provided as the time maintained in the second or third heart rate interval increases. In addition, when the second heart rate section or the third heart rate sect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dditional compensation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pensation. In addition, the game management unit 330 may recommend and provide a heart rate interval and a maintenance time that the user needs to maintain in order to obtain additional rewards for game content through the display unit 320.

이처럼 사용자의 심박수에 따라 보상을 차등 지급하고, 추가 보상을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대 지방 연소 효율 구간인 제2 심박구간 또는 제3 심박구간에서 운동을 지속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기기(300a)는 사용자의 심박수가 제2 심박구간 또는 제3 심박구간에서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가중치를 두어 추가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수가 제2 심박구간 또는 제3 심박구간에서 1분간 유지된 경우에는 100포인트, 2~3분간 유지 시에는 200포인트, 3~5분간 유지 시에는 400포인트 등 보상의 차등 지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은 운동 목표 구간(예를 들어, 제2 심박구간 또는 제3 심박구간)에 단순 진입 시뿐만 아니라, 해당 구간에서의 유지 시간이 길어질수록 게임 보상을 증가시켜 주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최적의 운동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differentially paying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user's heart rate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obtain additional compensation, the user can be motivated to continue exercising in the second or third heart rate zone, which is the maximum fat burning efficiency interval. have. 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mart device 300a may provide additional compensation by weighting the user's heart rate according to the time maintained in the second or third heart rate interval. For example, if the user's heart rate is maintained for 1 minute in the 2nd or 3rd heart rate section, the reward is different, such as 100 points for 2 to 3 minutes, 200 points for 3 to 5 minutes, and 400 points for 3 to 5 minutes. Payment is possible. As described above,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a increases game compensation as well as when simply entering the exercise target s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heart rate section or the third heart rate section) as the retention time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increas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tivation for the user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optimal exercise state.

한편, 이러한 보상은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킬, 필살기, 무기 등과 같은 아이템이 될 수도 있으며, 또는 레벨, 경험치, 점수, 게임 내 재화 등에 대한 보상이 될 수도 있다. 또는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게임 외적으로 편의점 등에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 상품권 또는 교환권의 개념이 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Meanwhile, these rewards may be items such as skills, special moves, and weapons that can be used in the game, or may be rewards for levels, experience points, scores, and goods in the game. Alternatively, it may be possible to be a concept of a voucher or a voucher that can purchase an item at a convenience store outside the game in a different way.

한편, 스마트기기(300a)는 사용자의 운동 날짜, 운동 시간, 심박수의 변화 및 평균 최대 심박수를 사용자 계정과 연계하여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과 연계되어 기록된 상술한 운동 이력을 통해 본인의 운동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본인의 운동에 의해 획득한 게임 컨텐츠의 보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인의 운동량에 대한 데이터만으로 동기부여를 받는 것이 아니라, 게임 컨텐츠의 보상, 예를 들어, 경험치를 통해 성장하는 게임 컨텐츠의 캐릭터를 통해서도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으므로, 캐릭터와 함께 성장한다는 자아 효능감을 고취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smart device 300a may record a user's workout date, workout time, heart rate change, and average maximum heart rate in association with a user account. The user can grasp the amount of his exercise through the above-described exercise history recorded in connection with the user account, and can grasp the degree of compensation of game contents obtained by his exercise. Users are not only motivated by data on their own momentum, but can also be motivated through game content rewards, for example, characters from game contents that grow through experience, so self-efficacy to grow with characters Can inspire.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임 컨텐츠는 적 캐릭터(351)를 더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6 and 7, game content may further provide an enemy character 351.

이러한 적 캐릭터(351)는 사용자 캐릭터(350)와 동일한 심박영역(340)에 위치되거나 또는 일정 시간 동일 심박영역(340)에서 유지되는 경우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예제를 다시 참고하면 현재 사용자의 심박수가 100bpm이라 할 때 100bpm은 90~105bpm에 해당하는 제2 심박구간에 속하는바, 사용자 캐릭터(3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심박영역(342)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적 캐릭터(351)가 제3 심박영역(343)에 나타나는 경우 사용자는 게임 내에서 적 캐릭터(351)를 제거하기 위해 운동 페이스를 높여 심박수를 증가시켜야 하며, 예를 들어 심박수가 110bpm이 되었다고 할 때 110bpm은 105~120bpm에 해당하는 제3 심박구간에 속하는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캐릭터(350)는 적 캐릭터(351)의 위치와 동일한 제3 심박영역(343)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캐릭터(350)가 제3 심박영역(343)에 위치됨과 동시에 또는 일정 시간 제3 심박영역(343)에서 유지된 이후에 적 캐릭터(351)는 제거될 수 있다.The enemy character 351 may be removed when the user character 350 is located in the same heart rate region 340 or is maintained in the same heart rate region 340 for a predetermined time. Referring back to the above example, when the current user's heart rate is 100 bpm, 100 bpm belongs to the second heart rate section corresponding to 90 to 105 bpm, and the user character 350 is the second heart rate area (as shown in FIG. 6). 342). In this state, when the enemy character 351 appears in the third heart rate region 343, the user must increase the exercise pace to increase the heart rate in order to remove the enemy character 351 in the game. For example, the heart rate is 110 bpm. When it is said that 110bpm belongs to the third heart rate section corresponding to 105 to 120bpm, as shown in FIG. 7, the user character 350 is located in the third heart rate region 343, which is the same as the location of the enemy character 351. Can be. At this time, the enemy character 351 may be removed while the user character 350 is located in the third heart rate region 343 or after being held in the third heart rate region 343 for a predetermined time.

한편, 게임의 재미를 보다 높이기 위해 복수의 심박영역(340)에 대한 사용자 캐릭터(350)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 캐릭터(350)의 공격력 또는 방어력과 같은 사용자 캐릭터(350)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심박영역(343)에 사용자 캐릭터(350)가 위치될 때에는 공격력이 가장 강하도록 설정하고 제4 심박영역(344)과 제5 심박영역(345)에서는 사용자 캐릭터(350)가 필살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자 캐릭터(350)의 특성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게임에 더 몰입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심박영역(340)을 거치게 되어 운동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character 350, such as the attack power or defense power of the user character 350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character 350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heartbeat regions 340 in order to increase the fun of the game. Can. For example, when the user character 350 is positioned in the third heart rate region 343, the attack power is set to be the strongest, and in the fourth heart rate region 344 and the fifth heart rate region 345, the user character 350 is mortal.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characteristic change of the user character 350, such as to be able to use. In this case, the user can be more immersed in the game, and through various heart rate areas 340, the exercise effect can be improved.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화면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rt screen of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a illustrated in FIG. 1. Hereinafter, the start screen of the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스마트기기(300a)에서 스마트 페이스메이킹이 실행되면, 도 8과 같은 시작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시작 화면에는 사용자 정보 등록 아이콘(361), 게임 선택 아이콘(362), 결과보기 아이콘(363), 환경 설정 아이콘(364) 및 운동 시작 아이콘(365)이 출력될 수 있다. When smart facemaking is executed on the smart device 300a, a start screen as shown in FIG. 8 may be output. A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icon 361, a game selection icon 362, a view result icon 363, an environment setting icon 364, and an exercise start icon 365 may be displayed on the start screen.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정보 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 정보 등록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a shown in FIG. 1. Hereinafter,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사용자 정보 등록 아이콘(36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표시부(3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이름 아이콘(371)을 클릭하여 사용자 이름을 입력할 수 있고, 난이도 아이콘(372)을 클릭하여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나이 아이콘(373)을 클릭하여 사용자의 나이를 입력할 수 있고, 운동강도 아이콘(374)을 클릭하여 운동강도를 선택할 수 있다.When a user input for the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icon 361 is received, the display unit 320 may display a screen for registering a user account as shown in FIG. 9. The user can enter a user name by clicking the user name icon 371, and select a difficulty level by clicking the difficulty icon 372. In addition, the user's age can be input by clicking the age icon 373, and the exercise intensity can be selected by clicking the exercise intensity icon 374.

표시부(320)는 목표 심박수 표시창(375)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난이도, 나이 및 운동강도에 기초하여 산출된 목표 심박수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등록 아이콘(376)을 클릭하면 입력한 사용자 정보가 스마트기기(300a)에 저장되어 사용자 계정의 등록이 완료될 수 있고, 재입력 아이콘(377)을 클릭하면, 사용자 이름, 난이도, 나이, 운동강도가 초기화될 수 있다.The display 320 may display a target heart rate calculated based on the difficulty, age, and exercise intensity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target heart rate display window 375. For example, when the user clicks the registration icon 376, the entered user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mart device 300a, and registration of the user account can be completed. When the user re-enters the icon 377, the user name, Difficulty, age and exercise intensity can be reset.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게임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선택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ame selec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a shown in FIG. 1. Hereinafter, the game se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게임 선택 아이콘(36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선택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게임 목록 아이콘(381)을 클릭하여 복수의 게임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인벤토리 아이콘(382)을 클릭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획득한 보상, 예를 들어 아이템의 보유 현황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스코어 표시창(383)은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획득한 점수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점수는 사용자가 운동을통해 획득한 보상이 점수인 경우 획득할 수 있으며, 보상의 종류는 게임 컨텐츠마다 상이할 수 있다. 골드 표시창(383)은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의 보상이 골드 즉, 게임 머니인 경우, 획득한 게임 머니를 출력할 수 있다. 다운로드 아이콘(385)은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컨텐츠가 스마트기기(300a)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다운로드 아이콘(38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스마트기기(300a)는 해당 게임 컨텐츠를 온라인으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When a user input for the game selection icon 362 is received, a game selection screen may be output as shown in FIG. 10. The user can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game contents by clicking the game list icon 381. When the inventory icon 382 is clicked on, the reward acquired by the user from the gam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retention status of the item may be output. In addition, the score display window 383 may output the score obtained by the user from the gam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Such a score may be obtained when the reward obtained by the user through exercise is a score, and the type of the reward may be different for each game content. The gold display window 383 may output the acquired game money when the reward of the game selected by the user is gold, that is, game money. The download icon 385 may be activated when the gam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s not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300a.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download icon 385, the smart device 300a may download the corresponding game content from onlin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b)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b)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11 is a view showing a smart facemaking system 100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Prior to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contents overlapping with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b)은 심박수 측정기(200)와 스마트기기(300b) 외에 음향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ounder 400 in addition to the heart rate meter 200 and the smart device 300b.

여기서, 음향기(400)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스마트기기(300b)로부터 음성 피드백을 수신하여 음향 또는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음향기(400)는 블루투스 헤드셋일 수 있으며, 스마트기기(300b)에 포함되는 스피커의 개념일 수도 있다.Here, the sounder 400 may receive voice feedback from the smart device 300b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and output the sound or sound. For example, the sounder 400 may be a Bluetooth headset, or may be a concept of a speaker included in the smart device 300b.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스마트기기(300b)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300b)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300b)는 상태 판단부(310), 표시부(320), 및 게임 관리부(330) 외에 음성 설정부(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the smart device 300b illustrated in FIG. 11. Hereinafter, the smart device 3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As illustrated in FIG. 12, the smart device 300b may further include a voice setting unit 390 in addition to the status determination unit 310, the display unit 320, and the game management unit 330.

음성 설정부(390)는 사용자의 심박수가 복수의 심박구간 중 어느 심박구간에 속하는지 및 심박수가 해당 심박구간에서 얼마나 오랜 시간 유지되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음성 피드백을 생성하고, 음성 피드백을 음향기(400)에 제공할 수 있다. 음향기(400)는 음성 피드백을 수신하여 음향 또는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The voice setting unit 390 generates different voice feedbacks according to which of the plurality of heartbeat intervals the user's heartbeat interval belongs to and how long the heart rate is maintained in the corresponding heartbeat interval, and the voice feedback sounder 400 ). The sounder 400 may receive voice feedback and output sound or sound.

예시적으로, 음성 설정부(390)는 심박수가 복수의 심박구간 중 제2 심박구간에 진입하면, 제1 음성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심박구간의 진입은 준비운동을 마치고 본격적인 운동이 시작됨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음성 피드백은 "워밍업이 끝났습니다. 지금부터 유산소 운동 모드입니다. 지금부터 지방연소가 시작됩니다."일 수 있다. 또한 음성 설정부(390)은 심박수가 제2 심박구간보다 낮아지는 경우, 제2 음성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음성 피드백은 심박수가 제2 심박구간에 진입한 이후, 제2 심박구간보다 낮아지는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음성 피드백은 "지금부터 유산소 운동 모드가 해제됩니다."일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효율적인 지방연소 시간을 파악하며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voice setting unit 390 may generate a first voice feedback when the heart rate enters a second heart rate section among a plurality of heart rate sections. Entry into the second heart rate zone may mean that the warm-up exercise has started and the full-fledged exercise begins. For example, the first voice feedback may be, "Warming up is over. Aerobic exercise mode is starting now. Fat burning is starting now." In addition, when the heart rate is lower than the second heart rate interval, the voice setting unit 390 may generate a second voice feedback. The second voice feedback may be generated when the heart rate is lower than the second heart rate interval after entering the second heart rate interval. As an example, the second voice feedback may be "Aerobic exercise mode is released from now on." It may enable the user to grasp an effective fat burning time and adjust exercise intensity.

또한, 음성 설정부(390)는 일정 시간 동안 제3 심박구간을 유지하면 페이스를 유지시키는 의미로서 제3 음성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음성 피드백은 "파이팅!! 잘하고 있어."일 수 있으며, 엔돌핀이 발생하는 러너스 하이 상태를 유지시켜 사용자의 러닝 페이스를 잡아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voice setting unit 390 may generate a third voice feedback as a meaning of maintaining the pace when the third heart rate interval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the third voice feedback may be "fighting!! I'm doing well." It can maintain the runner's high state where endorphins occur, and capture the user's running pace.

또한, 음성 설정부(390)는 제4 심박구간에 돌입하면 제4 음성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음성 피드백은 "조금만 페이스를 낮추세요."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오버페이스로 부상이나 흥미를 잃지 않게 페이스를 낮추도록 유도할 수 있다.Also, the voice setting unit 390 may generate a fourth voice feedback when entering the fourth heart rate section. For example, the fourth voice feedback may be "slightly lower the pace." It may induce the user to lower the pace without losing injury or interest with the overface.

또한, 음성 설정부(390)는 미리 설정된 시간(ex. 3분) 동안 제2 심박구간에 진입하지 못하거나 제2 심박구간에서 제3 심박구간에 진입하지 못하고 유지하는 경우에는 제5 음성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음성 피드백은 "조금만 페이스를 높이세요."일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voice setting unit 390 fails to enter the second heart rate s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ex. 3 minutes) or fails to enter the third heart rate section in the second heart rate section, the voice setting unit 390 provides the fifth voice feedback. Can be created. For example, the fifth voice feedback may be "Please increase your pace a little."

상기에서 설명한 음성 설정부(390)의 여러 음성 피드백은 일 실시예로서, 상위 또는 하위 심박구간에 돌입할 때마다 및/또는 특정 심박구간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서로 다른 음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효율 및 동기부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컨디션에 맞은 심박수를 기준으로 그에 부합하는 음성 피드백을 듣기 때문에 보다 직관적으로 실효성이 있는 운동을 할 수 있다.The various voice feedbacks of the voice setting unit 390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as different voice feedbacks each time the user enters the upper or lower heart rate interval and/or as a certain time elapses in a specific heart rate interval. Thereb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exercise efficiency and motivation. The user can exercise more intuitively and effectively because he/she hears voice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heart rate based on the condition.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b)은 음성 피드백과 동시에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게임 컨텐츠 보상의 지급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provide payment of game content reward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at the same time as voice feedback.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수가 제3 심박구간에서 3~5분 유지되고 있는 경우, 추가 보상 포인트의 지급과 함께 헤드셋을 통해 "파이팅! 잘하고 있어"의 제3 음성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게임에 집중하여 자신의 운동 상태를 체크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음향기(400)를 통해 음성 피드백을 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운동 상태를 효과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s heart rate is maintained for 3 to 5 minutes in the third heart rate section, a third voice feedback of "fighting! I'm doing well" may be provided through the headset with payment of additional reward points. Therefore, the user can listen to the voice feedback through the sounder 400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check his or her athletic state by focusing on the game, so that the athletic state can be effectively check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b)은 스마트기기(300b)가 생성한 음성 피드백의 종류 및 횟수와 심박수가 유지된 구간의 종류 및 지속 시간에 기초하여 게임 보상을 차등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의 “워밍업이 끝났습니다. 지금부터 유산소 운동 모드입니다. 지금부터 지방연소가 시작됩니다.”의 제1음성 피드백과, 1번의 "파이팅!! 잘하고 있어."의 제3 음성 피드백을 수신하면서 제3 심박구간에서 총 5분 이상 유지된 경우(제1 경우)와 1번의 제1 음성 피드백과, 1번의 제3 음성 피드백과 1번의 "조금만 페이스를 낮추세요."의 제4 음성 피드백과 1번의 “지금부터 유산소운동 모드가 해제됩니다.”의 제2 음성 피드백을 수신하면서 제3 심박구간에서 총 5분 이상 유지된 경우(제2 경우)를 비교해 보면, 제1 경우와 제2 경우 모두 제3 심박구간에서 총 5분 이상으로 유지시간이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제2 경우는 제1 경우에 비하여 운동 상태에 심한 변동이 있었던 상태이므로, 안정적으로 제3 심박구간에서 운동상태가 유지되는 제1 경우에 비하여 게임 컨텐츠 보상이 적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differentially pay game rewards based on the type and number of voice feedbacks generated by the smart device 300b and the type and duration of the section in which the heart rate is maintained. have. For example, #1 “Warming up is over. Aerobic exercise mode from now on. If you received more than 5 minutes in the 3rd heart rate section while receiving the 1st voice feedback of “Fat burning starts now” and the 3rd voice feedback of “Fighting!! ) And 1st voice feedback, 1st 3rd voice feedback, 1st 4th voice feedback of "Please lower your pace a little." and 2nd voice of "Aerobic exercise mode is canceled from now on." Comparing the case where the total of 5 minutes or more in the third heart rate section is received while receiving the feedback (the second case), even if the first and second cases are equal to the total duration of 5 minutes or more in the third heart rate section, In the second case, since the exercise state is significantly changed compared to the first case, game content compensation may be less than in the first case in which the exercise state is stably maintained in the third heart rate section.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b)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음성 피드백 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1에 도시한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b)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음성 피드백 선택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음성 피드백 관련 화면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feedback setting screen of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b shown in FIG. 11, and FIG. 14 is a voice feedback selection of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smart facemaking system 100b shown in FIG. It is a drawing showing a screen. Hereinafter, a screen related to voice feedback of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음성 피드백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표시부(32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피드백 설정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음성 선택 아이콘(39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표시부(32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선택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음성 중 원하는 음성에 대한 선택 아이콘(392)을 클릭하여 마음에 드는 음성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은 일반적인 기계음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좋아하는 연예인, 가족, 지인 등의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20)는 선택 아이콘(39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도 13에 도시된 음성 피드백 설정 화면을 다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300b)는 미리 듣기 아이콘(393)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성에 대한 미리 듣기용 음성을 음향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voice feedback icon, the display unit 320 may output a voice feedback setting screen as illustrated in FIG. 13.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voice selection icon 391, the display unit 320 may output a voice selection pop-up window as shown in FIG. The user can select a favorite voice by clicking a selection icon 392 for a desired voice among a plurality of voices. For example, the voice may include not only a general mechanical sound, but also voices of a user's favorite celebrity, family, acquaintance, and the like. Upon receiving the user input for the selection icon 392, the display unit 320 may output the voice feedback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3 again. In addition, when the smart device 300b receives a user input for the preview icon 393, the smart device 300b may transmit a voice for previewing the voic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sounder 400.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 100b)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 100b)의 구동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smart face-making systems 100a and 10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riving method of the smart face-making systems 100a and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 100b)은 심박수 측정 단계(S101), 심박구간 결정 단계(S102), 속하는 심박구간 판단 단계(S103), 심박구간 유지 판단 단계(S10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smart face-making systems 100a and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a heart rate measurement step (S101), a heart rate interval determination step (S102), a heart rate interval determination step (S103), and a heart rate interval maintenance. It may include a judgment step (S104).

먼저, 심박수 측정기(200)는 사용자의 신체 일 영역에서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S101). 이때, 사용자는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 100b)에 기등록된 사용자일 수 있으며, 심박수 측정기(200)는 측정한 심박수를 스마트기기(300a, 300b)로 전송할 수 있다.First, the heart rate meter 200 may measure the heart rate in a region of the user's body (S101). At this time, the user may be a user pre-registered with the smart face-making systems 100a and 100b, and the heart rate meter 200 may transmit the measured heart rate to the smart devices 300a and 300b.

다음, 스마트기기(300a, 300b)는 사용자의 목표 심박수 및 구간상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심박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S102). 복수의 심박구간은 복수의 유산소 운동 지방 연소 기준 구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목표 심박수는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가 수행하려는 운동의 운동강도 및 난이도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심박구간 결정은 예를 들어 스마트기기(300a, 300b)의 상태 판단부(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Next, the smart devices 300a and 300b may determine a plurality of heart rate intervals based on the user's target heart rate and interval constant (S102). The plurality of heart rate sections may be a plurality of aerobic exercise fat burning reference sections. For example, the target heart rate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s age, the exercise intensity and difficulty of the exercise the user intends to perform. The heart rate interval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by, for example, the state determining unit 310 of the smart devices 300a and 300b.

다음, 스마트기기(300a, 300b)는 심박수가 복수의 심박구간 중 어느 심박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3). 이때, 이러한 판단은 스마트기기(300a, 300b)의 상태 판단부(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와 심박구간 정보는 스마트기기(300a, 300b)의 게임 관리부(330)와 음성 설정부(39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게임 컨텐츠가 제공되어 표시부(320)에 표시되고 음성 피드백이 음향기(40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Next, the smart devices 300a and 300b may determine which heart rate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heart rate intervals is included (S103 ).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state determining unit 310 of the smart devices 300a and 300b. In addition, the user's heart rate information and heart rate sec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game management unit 330 and the voice setting unit 390 of the smart devices 300a and 300b, and corresponding game content is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320 And voice feedback may be output by the sounder 400.

다음, 스마트기기(300a, 300b)는 심박수가 특정 심박구간에서 일정 시간 유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4). 이때, 이러한 판단은 스마트기기(300a, 300b)의 상태 판단부(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정보가 게임 관리부(330)와 음성 설정부(390)에 제공되어 대응되는 게임 컨텐츠가 표시부(320)에 표시되고 음성 피드백이 음향기(40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Next, the smart devices 300a and 300b may determine whether the heart rate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specific heart rate section (S104). At this time, this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state determining unit 310 of the smart devices 300a and 300b, and such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game management unit 330 and the voice setting unit 390, and corresponding game contents are displayed. Displayed at 320 and voice feedback may be output by the sounder 400.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100a, 100b)의 구동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driving method of the smart face-making systems 100a and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but this is for specifically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mart face-ma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common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aid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by the knowledgeable pers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00a, 100b :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
200 : 심박수 측정기
300a, 300b : 스마트기기
310 : 상태 판단부
320 : 표시부
330 : 게임 관리부
340 : 심박영역
350 : 사용자 캐릭터
360 : 적 캐릭터
390 : 음성 설정부
400 : 음향기
100a, 100b: Smart Face Making System
200: heart rate meter
300a, 300b: smart devices
310: state determination unit
320: display unit
330: game management department
340: heart rate zone
350: user character
360: enemy character
390: voice setting unit
400: sounder

Claims (15)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기; 및
상기 심박수가 복수의 심박구간 중 어느 심박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상기 심박수와 연동되는 게임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상태 판단부로부터 상기 심박수와 상기 심박구간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게임 컨텐츠를 제어하는 게임 관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컨텐츠는 상기 복수의 심박구간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분되게 표시되는 복수의 심박영역, 및 상기 심박수가 속하는 심박구간에 대응되는 상기 심박영역에 위치되도록 표시되는 사용자 캐릭터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심박구간은 사용자별 목표 심박수 및 구간상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되, 상기 목표 심박수는 상기 사용자의 나이, 운동강도 및 난이도에 따라 산출되고, 상기 구간상수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 운동 능력, 운동 기간 및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게임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심박영역 중 특정 심박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게임 컨텐츠의 보상을 차등 지급하고, 상기 게임 컨텐츠의 추가 보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유지해야 하는 심박영역 및 유지시간을 추천하며,
상기 게임 컨텐츠는 적 캐릭터를 더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상기 적 캐릭터가 제공된 심박영역에 위치되거나,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상기 적 캐릭터가 제공된 심박영역에서 일정 시간 이상 위치되면 상기 적 캐릭터가 제거되며,
상기 복수의 심박구간은 제1 심박구간 내지 제5 심박구간의 5단계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심박구간은 상기 목표 심박수의 50% 이상 60% 미만의 심박수가 속하고, 상기 제2 심박구간은 상기 목표 심박수의 60% 이상 70% 미만의 심박수가 속하며, 상기 제3 심박구간은 상기 목표 심박수의 70% 이상 80% 미만의 심박수가 속하고, 상기 제4 심박구간은 상기 목표 심박수의 80% 이상 90% 미만의 심박수가 속하며, 상기 제5 심박구간은 상기 목표 심박수의 90% 이상의 심박수가 속하고,
상기 특정 심박영역 및 상기 추가 보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유지해야 하는 심박영역은 최대 지방 연소 구간인 상기 제2 심박구간 또는 상기 제3 심박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
A heart rate meter that measures a user's heart rate; And
The heart rate section to determine which of the plurality of heart rate intervals belongs to the heart rate sec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game content linked to the heart rate, and the heart rate and the heart rate information from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to receive the game A smart device including a game management unit that controls content;
Including,
The game content provides a plurality of heartbeat regions that are separately display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heartbeat zones, and a user character displayed to be located in the heartbeat zone corresponding to the heartbeat zone to which the heart rate belongs,
The plurality of heart rate section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target heart rate and section constant for each user, and the target heart rat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user's age, exercise intensity, and difficulty, and the section constant is the user's exercise data, exercise capability,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exercise duration and history,
The game management unit differentially pays the compensation of the game content according to the time that the user character is maintained in a specific heart rate area among the plurality of heart rate areas, and must be maintained by the user character to obtain additional compensation of the game content Heart rate zone and retention time are recommended,
The game content further provides an enemy character, and the enemy character is removed when the user character is located in the heartbeat area provided with the enemy character, or when the user character is located in the heart rate area provided with the enemy charact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plurality of heart rate sections are divided into 5 steps of the first heart rate section to the fifth heart rate section,
The first heart rate section belongs to a heart rate of 50% or more and less than 60% of the target heart rate, and the second heart rate section belongs to a heart rate of 60% or more and less than 70% of the target heart rate, and the third heart rate section is the A heart rate of 70% or more and less than 80% of a target heart rate belongs, and the fourth heart rate section includes a heart rate of 80% or more and less than 90% of the target heart rate, and the fifth heart rate section is a heart rate of 90% or more of the target heart rate Belongs to,
Smart pacema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rt rate region that the user character must maintain in order to obtain the specific heart rate region and the additional reward is the second heart rate region or the third heart rate region, which is the maximum fat burning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캐릭터는 위치되는 상기 심박영역에 따라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character is a smart face-ma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istic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heart rate region is loc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특성은 공격력 또는 방어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character is a smart face ma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ack power or defen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수 측정기는 웨어러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eart rate monitor is a smart face ma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wearab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수 측정기는 광혈류 측정방식으로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eart rate meter is a smart facema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measures the user's heart rate by a photo blood flow measurement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심박수가 상기 복수의 심박구간 중 어느 심박구간에 속하는지에 따라 음성 피드백을 생성하는 음성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device further comprises a voice setting unit for generating voice feedback according to which of the plurality of heart rate intervals belongs to the heart rate interv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설정부는 상기 심박수가 특정한 상기 심박구간에서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음성 피드백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페이스메이킹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4,
The voice setter generates a smart feedback according to the time that the heart rate is maintained in a specific heart rate section.
KR1020180003112A 2018-01-10 2018-01-10 Smart pacemaking system KR1021258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112A KR102125811B1 (en) 2018-01-10 2018-01-10 Smart pacemaking system
PCT/KR2019/000317 WO2019139342A1 (en) 2018-01-10 2019-01-09 Smart pacemak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112A KR102125811B1 (en) 2018-01-10 2018-01-10 Smart pacemak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734A KR20190093734A (en) 2019-08-12
KR102125811B1 true KR102125811B1 (en) 2020-06-25

Family

ID=6721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112A KR102125811B1 (en) 2018-01-10 2018-01-10 Smart pacemaking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5811B1 (en)
WO (1) WO2019139342A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8394A (en) * 1997-11-04 1999-05-18 Omron Corp Training device, training method and game program recording medium for training device
KR101586661B1 (en) * 2010-09-30 2016-01-22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Exercise management system interlocking with smart phone
KR20110065432A (en) * 2011-05-27 2011-06-15 오태원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biometric information
KR20140015679A (en) * 2012-07-06 2014-02-07 (주)에스엔 3d health avatar service system using emotion-complex sensor
KR101781179B1 (en) * 2015-11-09 2017-09-2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Method for game service and apparatus executing the method
KR20170106582A (en) * 2016-03-11 2017-09-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reality associated game system that quantity of motion is reflected game charac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734A (en) 2019-08-12
WO2019139342A1 (en)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7420B2 (en) Optical data capture of exercise data in furtherance of a health score computation
US110338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fitness equipment and exercise
McCormick et al. Self-regulation in endurance sport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US9430617B2 (en) Content suggestion engine
CN107077648B (en) Virtual alliance platform for athletic activities and online training platform
CN103007493B (en) Athletic performanc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20220051780A1 (en) System, Mobile Application and Process for an Advanced Recovery Device
EP2316541A1 (en) Exercise community system
TW201212977A (en) Monitoring and tracking athletic activity
CN105013166B (en) The instant messages exchange system and method for Xian Shang sports teams
Oyebode et al. Nourish your tree! Developing a persuasive exergame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mong adults
US118266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fitness equipment and exercise
JP2022527767A (en) Methods and equipment for insulin administration guidance and decision support for exercise in diabetics
KR20220052240A (en) System for assisting training and method thereof
KR20210141975A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ersonalized exercise volume
Bentvelzen et al. Tailor My Zwift: How to Design for Amateur Sports in the Virtual World
KR102125811B1 (en) Smart pacemaking system
Friel The Triathlete's Training Bible: The World's Most Comprehensive Training Guide
Podlivaev Model wrestlers in freestyle women's wrestling
Mulas et al. Everywhere race!: A social mobile platform for sport engagement and motivation
US20220117498A1 (en) System for assisting training and method thereof
KR101906172B1 (en) Smart pacemaking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Morris Wellness@ Work
Choong et al. UNDERSTANDING THE REQUIREMENTS OF RUNNERS TO DESIGN A VIRTUAL GROUP RUNNING SYSTEM
Taylor et al. Third-Party Health and Fitness Ap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