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367B1 -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367B1
KR102125367B1 KR1020180071500A KR20180071500A KR102125367B1 KR 102125367 B1 KR102125367 B1 KR 102125367B1 KR 1020180071500 A KR1020180071500 A KR 1020180071500A KR 20180071500 A KR20180071500 A KR 20180071500A KR 102125367 B1 KR102125367 B1 KR 102125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ke oven
buffer
ris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684A (ko
Inventor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71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367B1/ko
Priority to PCT/KR2018/014595 priority patent/WO2019245115A1/ko
Publication of KR2019014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1/00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 C10B41/08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for the withdrawal of the distillation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7/00Arrangements for withdrawal of the distillation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는, 각각의 탄화실 내에서 발생된 가스를 가스 집합관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상승관, 및 복수개의 상승관을 서로 연결하고 가스를 일시적으로 집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버퍼 연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PRESSURE OF GAS IN COKE OVEN}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공정은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석탄을 장입하여 건류함으로써 코크스를 생산하는 공정이다.
코크스 공정에서는 석탄 장입시부터 석탄 건류가 완료될 때까지 코크스 오븐 가스가 발생된다.
코크스 오븐 가스는 탄화실과 연결된 상승관을 거쳐 가스 집합관에 포집되며, 가스 집합관에 포집된 코크스 오븐 가스는 유압기를 거쳐 화성 설비로 이송된 후 후속 공정에 다시 이용된다.
코크스 건류 중 발생하는 가스는 건류 초기에 가장 많으며 건류가 진행될수록 그 양이 줄어 압출 직전에는 거의 가스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가스를 포집하기 위해 가스 집합관은 일정 압력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가스 집합관의 압력이 건류 기간 중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건류 초기 대량으로 발생하는 가스를 포집하기에 한계가 있어 외부로 가스가 방산된다.
이에 따라, 코크스 오븐 가스의 포집 효율이 저하되고 고온의 가스로 인한 설비 열화, 가스 내 포함된 타르 등의 부착, 대기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건류 말기의 가스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는 오히려 가스 집합관의 흡입력이 높아 탄화실 내 압력을 음압(Negative Pressure)으로 만들어 외부 대기가 코크스 산화, 코크스 산화 시 발생한 열로 인한 설비 변형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생하는 가스 압력을 측정하여 가스 집합관의 압력을 제어하는 장치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코크스 오븐의 특성상 탄화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설치되어 있는 상승관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기 개수가 대규모로 늘어나 설비 투자 규모가 커지며, 고온 고분진 개소에 설치된 계측기들이 비정상 작동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잘 사용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각각의 탄화실에 원료탄 장입 직후와 장입 말기 가스 발생량 차이로 인한 가스 압력 편차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일정압력으로 유지되는 가스 집합관에서 효과적으로 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는, 복수개의 탄화실 각각에서 발생되는 코크스 오븐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는, 각각의 탄화실의 단부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탄화실 내에서 발생된 가스를 가스 집합관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상승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는, 복수개의 상승관을 서로 연결하고, 가스를 가스 집합관으로 이송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집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버퍼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 연결관은 연결부에 의해 상승관에 밀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버퍼 연결관의 단부에는 가스 집합관의 포집량 이상의 가스가 유입 시 가스를 방산하기 위한 리드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버퍼 연결관의 내측면은 버퍼 연결관 내 가스의 온도 유지를 위하여 내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승관에는 상승관의 개폐를 위한 개폐 유닛이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복수개의 상승관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상승관 단위 규모로 그룹화하는 단위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버퍼 연결관에는 버퍼 연결관 내 가스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계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버퍼 연결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는 버퍼 연결관과 이웃하는 버퍼 연결관을 서로 연결하는 예비 버퍼 연결관이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버퍼 연결관에는 버퍼 연결관 내 가스의 현열을 회수하기 위한 현열 회수장치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코크스 건류 중 발생하는 가스 압력의 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집합관의 압력을 따로 계측 및 제어하지 않더라도 외부로 가스 방산 또는 공기 흡입에 의한 고온의 가스로 인한 설비 열화, 가스 내 포함된 타르 등의 부착, 대기 오염 등을 유발하거나 코크스 품질 저하 및 코크스 오븐 설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온 고분진 개소에 취약한 계측기 설치 및 각각 상승관에서 압력 제어를 위한 설비에 투자를 하지 않더라도 가스 압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 투자비 절감 및 설비 트러블로 인한 조업 휴지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가 적용되는 처리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개폐 유닛이 개방된 일상 조업 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원료탄 장입 전 하나의 개폐 유닛이 일시적으로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의 버퍼 연결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에서 개폐 유닛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가 적용되는 처리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개폐 유닛이 개방된 일상 조업 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원료탄 장입 전 하나의 개폐 유닛이 일시적으로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의 버퍼 연결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는, 각각의 탄화실에 원료탄 장입 직후와 장입 말기 가스 발생량 차이로 인한 가스 압력 편차를 최소화시키 위한 장치이다.
코크스 오븐 본체(10) 내에는 원료탄으로서 예컨대, 석탄이 장입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탄화실(20)이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탄화실(20)에는 탄화실(20) 내부에서 석탄 장입 시부터 건류 완료 시까지 발생되는 코크스 오븐 가스를 가스 집합관(40)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상승관(30)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승관(30)은 효과적인 가스 이송을 위하여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3단으로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3단 이상 또는 3단 이하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탄화실(20) 내부에서 발생한 코크스 오븐 가스는 상승관(30)을 통해 가스 집합관(40)에 포집될 수 있다.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는, 복수개의 상승관(30)을 서로 연결하고 각 상승관(30)으로부터 이송되는 가스 압력을 완충할 있도록 각 상승관(30)의 가스를 가스 집합관(40)으로 이송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집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버퍼 연결관(100)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 연결관(1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관(30)의 상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지만, 상승관(30)의 하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버퍼 연결관(100)의 상단부에는 비상 시, 즉 가스 집합관(40)에 의하여 포집할 수 있는 포집량 이상의 가스가 버퍼 연결관(100)으로 유입될 시 가스를 외부로 방산하기 위한 리드(110)가 설치될 수 있다.
버퍼 연결관(100)의 일단부는 가스 집합관(40)과 연결되어 각 상승관(30)의 가스를 가스 집합관(40)으로 이송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버퍼 연결관(100)의 타단부는 연결부(200)에 의해 단위 그룹 상승관(30) 각각의 일단부에 밀폐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버퍼 연결관(100)의 타단부는 가스 집합관(40)과 연결될 수 있다.
버퍼 연결관(100)은 원활한 가스 이송을 위하여 상승관(30)의 재질로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버퍼 연결관(100)의 내측면은 버퍼 연결관(100) 내 가스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내화물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버퍼 연결관(100)에는 버퍼 연결관(100) 내 가스의 현열을 회수하기 위한 현열 회수장치(미도시)가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승관(30)에는 상승관(30)을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 유닛(300)이 설치될 수 있다.
개폐 유닛(300)은 상승관(30)의 효과적인 개폐를 위하여, 다단으로 설치된 상승관(30) 중 맨 윗단 상승관(30)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 유닛(300)은 석탄 장입 시 탄화실(20) 내 가스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승관(30)을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 유닛(300)은 일상 조업 시, 즉 석탄 장입 후 석탄 건류 시 상승관(30) 내 가스를 버퍼 연결관(100)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상승관(30)을 개방시킬 수 있다.
개폐 유닛(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미도시)에 의하여 상승관(3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위치하게 되면 상승관(30)을 닫아 주게 된다.
또한, 개폐 유닛(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미도시)에 의하여 90도 회전하여 상승관(30)의 내측면에 위치하게 되면 상승관(30)을 열어 주게 된다.
복수개의 상승관(3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상승관(30) 단위 규모로 그룹화하는 단위 그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5개의 상승관(30)을 하나의 단위 그룹으로 구성하고, 단위 그룹을 하나의 버퍼 연결관(100)으로 연결하고 있지만, 단위 그룹의 상승관(30)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버퍼 연결관(100)에는 버퍼 연결관(100) 내의 가스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계(120)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계(120)에서 측정된 가스 압력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가스 집합관(40)의 가스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버퍼 연결관(10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는 버퍼 연결관(100)과 이웃하는 버퍼 연결관(100)을 서로 연결하고, 버퍼 연결관(100)의 가스 압력 완충력 초과 시 가스 압력을 추가적으로 완충하기 위한 예비 버퍼 연결관(130)이 연결될 수 있다.
예비 버퍼 연결관(130)은 가스 압력의 효과적인 완충을 위하여 버퍼 연결관(10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버퍼 연결관(100)의 중앙부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비 버퍼 연결관(130)은 복수개의 버퍼 연결관(100)을 서로 연결하여, 버퍼 연결관(130)을 다단으로 가스 압력을 완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예비 버퍼 연결관(130)이 복수개 일 경우, 다시 예비 버퍼 연결관(130)과 이웃하는 예비 버퍼 연결관(130)을 예비 버퍼 연결관(130)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비 버퍼 연결관(130)은 버퍼 연결관(10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버퍼 연결관(100)의 중앙부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수개의 탄화실(20) 내에는 원료탄으로서 석탄이 장입되며, 탄화실(20) 내부에는 석탄의 장입에 의하여 코크스 오븐 가스가 발생된다.
탄화실(20) 내에서 발생한 코크스 오븐 가스는 탄화실(20) 상부에 설치된 상승관(30)을 통과한 후 가스 집합관(40)에 포집된다.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의 경우에는, 예컨대 탄화실(20) 5개의 간격으로 장입이 진행되게 되며, 예컨대, 1번 탄화실(20)에 장입이 완료되면, 다음은 6번 탄화실(20)에 장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2번~5번 탄화실(20)의 경우에는 그 이전 장입된 석탄의 건류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탄화실(20) 내에서 장입된 석탄은 가열되기 시작하여 코크스 오븐 가스를 방출하는데, 코크스 오븐 가스는 석탄의 장입 초기 대량으로 발생하기 시작하며 건류 시간이 일정 이상 지난 후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된다.
한편, 종래기술에서는 단일 탄화실에서 발생한 코크스 오븐 가스는 해당 상승관으로만 지나가기 때문에 상승관의 용량 부족이나 집합 본관에서의 흡입력이 부족하여 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산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일정한 규모의 단위 그룹 상승관(30)끼리 버퍼 연결관(1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퍼 연결관(100)은 상승관(30)과 가스 집합관(40)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상승관(30)을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 규모로 그룹화한 단위 그룹 상승관(30)을 서로 연결한다.
즉, 버퍼 연결관(100)이 단위 그룹 상승관(30)(예컨대, 5개의 상승관)을 서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단위 그룹의 각 상승관(30)으로부터 이송되는 가스를 가스 집합관(40)으로 이송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집합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위 그룹의 각 상승관(30)으로부터 이송되는 가스 압력이 버퍼 연결관(100)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완충될 수 있으므로, 각 탄화실(20)에서 발생하는 가스 압력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버퍼 연결관(100)에 의하여 탄화실(20) 및 각 상승관(30)에서 처리할 수 있는 가스 처리 규모가 증가하게 되어 대기중으로 방산되는 가스의 양이 없게 된다.
예컨대, 탄화실(20) 5개 간격으로 장입 작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5개의 탄화실 중 장입이 진행된 1번 탄화실(20)의 가스 발생량은, 인접한 2번 내지 5번 탄화실들(20)의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1번 탄화실(20)에 인접한 2번 내지 5번 탄화실(20)에 연결된 각 상승관(30)의 가스 처리 용량이 1번 탄화실(20)에 연결된 상승관(30)의 처리 용량보다 증가하게 된다.
즉, 2번 내지 5번 탄화실(20)에 연결된 각 상승관(30)의 가스 처리 용량이 1번 탄화실(20)에 연결된 상승관(30)의 처리 용량에 비하여 여유 있게 된다.
따라서, 버퍼 연결관(100)에 의하여 단위 그룹 상승관(30)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1번 탄화실(20)에 연결된 상승관(30)의 가스 처리 용량의 부족량을 2번 내지 5번 탄화실(20)에 연결된 상승관(30)의 가스 처리 용량으로 보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번 내지 5번 탄화실(20)로부터 각 상승관(30)을 통하여 이송되는 각 가스 압력이 버퍼 연결관(100)에서 일시적으로 집합하면서 서로 완충될 수 있다.
즉, 단위 그룹 상승관(30)이 버퍼 연결관(1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각 탄화실(20)로부터 각 상승관(30)으로 이송되는 가스가 버퍼 연결관(100)에서 서로 완충되기 때문에, 각 상승관(30)간의 가스 압력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탄화실(20)에서 처리할 수 있는 가스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탄화실(20)에 발생되는 코크스 오븐 가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원료탄으로 석탄 장입 시 탄화실(20) 상부에 존재하는 장입구를 열어 석탄을 장입하게 되는데, 이때 탄화실(20) 내부에 코크스 오븐 가스가 존재하면 반응하거나 화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개폐 유닛(300)을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탄 장입 전 해당 탄화실(20)로 연결되는 상승관(30)을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석탄 장입 직전 탄화실(20)을 밀봉하고 석탄을 장입한 후, 코크스 오븐 가스가 발생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유닛(300)을 개방하여 일상적인 가스 처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버퍼 연결관(100)의 상부에 설치된 리드(110)에 의하여 비상 시, 즉 즉 가스 집합관(40)에 의하여 포집할 수 있는 포집량 이상의 가스가 버퍼 연결관(100)으로 유입 시 가스를 방산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연결관(100)과 인접한 버퍼 연결관(100)을 예비 버퍼 연결관(130)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비 버퍼 연결관(130)에 의하여 버퍼 연결관(100)을 다단 구조로 연결하여 버퍼 연결관(100)의 가스 압력 완충력을 초과하여 가스가 이송될 경우에 예비 버퍼 연결관(130)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가스 압력을 완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에서 개폐 유닛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성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개폐 유닛(300)은 상승관(30)의 효과적인 개폐를 위하여 다단으로 설치된 상승관(30) 중 중앙단 상승관(30)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 유닛(300)은 상승관(30) 내부에 설치되어 상승관(30)을 밀폐하기 위한 개폐판(310), 개폐판(310)에 결합되어 개폐판(310)을 개폐 가능하게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축(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폐 유닛(300)은 회전축(32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회전축(320)의 회전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판(310)의 형상과 크기는 상승관(30)을 용이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상승관의 내부 단면과 동일한 직경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10)은 개폐판(310)에 결합되고, 회전축(320)의 일단부는 회전축(320)의 회전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승관(30)의 외부로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조절부(330)는 조업 시퀀스와 연계되어 개폐판(310)에 의하여 상승관(30)을 자동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계폐 유닛(300)은 상승관(30)의 효과적인 개폐를 위하여, 다단으로 설치된 상승관(30) 중 중앙단 상승관(30)의 중간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판(310)은 조절부(330)에 의하여 상승관(3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위치하게 되면 상승관(30)을 닫아 주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개폐판(31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330)에 의하여 상승관(3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면 상승관(30)을 열어 주게 된다.
20: 탄화실
30: 상승관
100: 버퍼 연결관
110: 리드
120: 압력계
130: 예비 버퍼 연결관
200: 연결부
300: 개폐 유닛

Claims (9)

  1. 복수개의 탄화실 각각에서 발생되는 코크스 오븐 가스를 처리하는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탄화실의 단부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탄화실 내에서 발생된 가스를 가스 집합관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상승관, 및
    상기 복수개의 상승관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가스를 상기 가스 집합관으로 이송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집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버퍼 연결관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상승관은 하나의 상기 버퍼 연결관에 모두 연결되어 있는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연결관은 연결부에 의해 상기 상승관에 밀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연결관의 단부에는 상기 가스 집합관의 포집량 이상의 가스가 유입 시 가스를 방산하기 위한 리드가 설치되는 것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연결관의 내측면은 상기 버퍼 연결관 내 가스의 온도 유지를 위하여 내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관에는 상기 상승관의 개폐를 위한 개폐 유닛이 설치되는 것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상승관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상승관 단위 규모로 그룹화하는 단위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연결관에는 상기 버퍼 연결관 내 가스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계가 설치되는 것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연결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는 상기 버퍼 연결관과 이웃하는 버퍼 연결관을 서로 연결하는 예비 버퍼 연결관이 설치되는 것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연결관에는 상기 버퍼 연결관 내 가스의 현열을 회수하기 위한 현열 회수장치가 설치되는 것인,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KR1020180071500A 2018-06-21 2018-06-21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KR102125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500A KR102125367B1 (ko) 2018-06-21 2018-06-21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PCT/KR2018/014595 WO2019245115A1 (ko) 2018-06-21 2018-11-26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500A KR102125367B1 (ko) 2018-06-21 2018-06-21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684A KR20190143684A (ko) 2019-12-31
KR102125367B1 true KR102125367B1 (ko) 2020-06-22

Family

ID=6898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500A KR102125367B1 (ko) 2018-06-21 2018-06-21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5367B1 (ko)
WO (1) WO201924511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256Y1 (ko) * 1999-12-28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크스오븐의 탄화실내 압력 제어장치
KR101450849B1 (ko) * 2013-04-29 2014-10-23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 상승관 배가스의 현열 회수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136U (ja) * 1991-08-12 1993-02-23 黒崎炉材株式会社 コークス炉上昇管
KR100939340B1 (ko) * 2003-06-27 2010-01-29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가스 포집설비의 벤졸 포집탑 데미스터 차압해소장치
US7278831B2 (en) * 2003-12-31 2007-10-09 The Boc Grou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pumping and abatement for vacuum process chambers
KR101442919B1 (ko) * 2012-12-14 2014-09-23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압력 제어 장치
KR101870710B1 (ko) * 2016-11-01 2018-07-19 주식회사 포스코 헌열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크스 오븐 설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256Y1 (ko) * 1999-12-28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크스오븐의 탄화실내 압력 제어장치
KR101450849B1 (ko) * 2013-04-29 2014-10-23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 상승관 배가스의 현열 회수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684A (ko) 2019-12-31
WO2019245115A1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9901B2 (en) Closed retort charcoal reactor system
CN105841999B (zh) 一种优化的煤集样器
KR102125367B1 (ko) 코크스 오븐 가스 처리 장치
WO2024087555A1 (zh) 一种风电叶片卧式回收反应装置及风电叶片回收方法
CN108844369A (zh) 用于模拟锂电池正极材料烧结实验的箱式炉
CN105478248B (zh) 一种稻壳内杂质的分离方法
CN207751314U (zh) 窑炉盘根密封装置
CN211420049U (zh) 一种焦炉荒煤气余热利用装置
CN109097080B (zh) 一种用于煤干馏的炉壁管壁间接传热的外热式回转炉
CN101893383B (zh) 一种工业炉抽真空并充填惰性气体的方法及装置
CN206736166U (zh) 一种干熄焦炉炉顶装焦除尘气体热量回收装置
CN109575955A (zh) 一种自动免维护焦炉桥管压力测量系统及方法
CN102374788A (zh) 一种可缩小横截面温差的窑炉缓冷区结构
CN202267372U (zh) 一种可缩小横截面温差的窑炉缓冷区结构
CN208894238U (zh) 一种柔性连接的模块化粉末活性炭再生炉
CN107265488B (zh) 一种二步法生产γ型氧化铝的工艺装置与方法
CN206654884U (zh) 一种焦炉系统
CN105940290A (zh) 一种血涂片的干燥方法、装置及推片机
CN112665377A (zh) 旋转式钟罩炉
CN206019373U (zh) 一种固体物料冷却装置
CN105694918B (zh) 一种旋转热解炉
CN216998201U (zh) 一种石膏蒸汽烘干煅烧窑自密封喂料排汽装置
CN215217029U (zh) 一种陶瓷生产用坯体干燥装置
CN105505410B (zh) 一种回转干馏炉给料装置及其给料方法
CN108786775A (zh) 一种柔性连接的模块化粉末活性炭再生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