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138B1 - 레벨링 장치 - Google Patents

레벨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138B1
KR102125138B1 KR1020180105932A KR20180105932A KR102125138B1 KR 102125138 B1 KR102125138 B1 KR 102125138B1 KR 1020180105932 A KR1020180105932 A KR 1020180105932A KR 20180105932 A KR20180105932 A KR 20180105932A KR 102125138 B1 KR102125138 B1 KR 10212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leveling device
height
position senso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735A (ko
Inventor
한창수
김상호
이용석
선동익
이상근
박진성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1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02F3/7609Scraper blade mounted forwardly of the tractor on a pair of pivoting arms which are linked to the sides of the tractor, e.g. bulldozers
    • E02F3/7618Scraper blade mounted forwardly of the tractor on a pair of pivoting arms which are linked to the sides of the tractor, e.g. bulldozers with the scraper blade adjustable relative to the pivoting arms about a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02F3/80Component parts
    • E02F3/84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hydraulic drive systems
    • E02F3/844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hydraulic drive systems for positioning the blade, e.g. hydraulically
    • E02F3/845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hydraulic drive systems for positioning the blade, e.g. hydraulically using mechanical sensors to determine the blade position, e.g. inclinometers, gyroscopes, pendul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벨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벨링 장치는 설정 체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 하부에 제공되고, 지면에 대해 주행 가능하게 제공되는 주행 부재; 설정 폭 및 설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본체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위치가 조절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 상기 블레이드에 위치되어, 상기 블레이드 상에 설치된 지점의 높이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위치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높이가 조절되게 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벨링 장치{Leve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레벨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블레이드의 자세가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레벨링 장치에 과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는 지면에 건축물을 세우는 건설을 수행하기에 앞서, 또는 건출물을 세우는 과정에서 지면의 상태를 설정 상태로 만드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지면을 상태를 원하는 형태로 하기 위해서 불도저, 휠 로더 등과 같은 레벨링 장치가 사용된다.
레벨링 장치는 지면을 주행하면, 레벨링 장치의 전방에 위치되는 블레이드의 상태를 조절하여, 블레이드가 지면을 설정 상태로 만드는 형태로 작업을 수행한다. 레벨링 장치의 이와 같은 작업은 블레이드의 조작 상태에 따라 작업 결과가 달라지므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블레이드를 효과적으로 조작할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통상 숙련된 작업자 레벨링 장치를 운행한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자세가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레벨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블레이드의 높이가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레벨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양측에 제공되는 위치 센서를 통해 블레이드의 양측의 높이가 각각 조절될 수 있는 레벨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에 위치되는 블레이드 자세 센서를 통해 블레이드의 양측의 높이 및 블레이드가 롤 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는 레벨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제공되는 본체 자세 센서를 통해 본체가 기울어진 정도를 고려하여 블레이드의 자세가 조절될 수 있는 레벨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정 체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 하부에 제공되고, 지면에 대해 주행 가능하게 제공되는 주행 부재; 설정 폭 및 설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본체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위치가 조절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 상기 블레이드에 위치되어, 상기 블레이드 상에 설치된 지점의 높이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위치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높이가 조절되게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레벨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벨링 장치는 상기 블레이드에 위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자세를 감지하는 블레이드 자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피치 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피치 되는 정도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게 제공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블레이드 자세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 센서와 상기 블레이드 하단 사이가 지면에 수직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가 변경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블레이드 하단의 지면에 대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자세 센서는 전후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상기 블레이드가 롤 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블레이드 자세 센서가 제공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롤 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레이드가 롤 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센서는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게 제공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위치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의 양측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벨링 장치는 상기 본체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의 자세를 감지하는 본체 자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본체 자세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상기 본체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자세가 변경되는 것을 반영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위치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센서는 GPS로 제공되어, 좌표 값에 관한 정보를 제공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위치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에 의해 작업이 수행될 작업 대상 영역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작업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의 자세가 조절되도록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벨링 장치는, 전방 단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 단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블레이드가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피치 되게 움직이는 동력을 제공하는 피치 구동 부재; 상기 블레이드가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요 되게 움직이는 동력을 제공하는 요 구동 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가 전후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롤 되게 움직이는 동력을 제공하는 롤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치 구동 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본체에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피치 구동 부재의 타측 단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 구동 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요 구동 부재의 타측 단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 구동 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의 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롤 구동 부재의 타측 단부는 상기 롤 구동 부재의 일측 단부와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블레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 구동 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과 상기 블레이드가 연결된 지점과 상하 방향으로 동일한 축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에는 설정 길이를 갖는 지지 로드가 제공되고,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지지 로드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블레이드의 자세가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레벨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위치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블레이드의 높이가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레벨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블레이드의 양측에 제공되는 위치 센서를 통해 블레이드의 양측의 높이가 각각 조절될 수 있는 레벨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블레이드에 위치되는 블레이드 자세 센서를 통해 블레이드의 양측의 높이 및 블레이드가 롤 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는 레벨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본체에 제공되는 본체 자세 센서를 통해 본체가 기울어진 정도를 고려하여 블레이드의 자세가 조절될 수 있는 레벨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벨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레벨링 장치의 전방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레벨링 장치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레벨링 장치가 지면을 깎는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a-a'지점에서 블레이드가 피치되어, 블레이드의 높이가 제어되는 상태의 레벨링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a-a'지점에서 블레이드가 롤되어, 블레이드 좌우의 높이가 조절되게 제어되는 상태의 레벨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레벨링 장치가 지면을 설정 깊이로 깎고, 그 과정에서 발생된 흙을 쌓아 두는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레벨링 장치가 작업 대상 영역의 모양을 조절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b-b'지점에서 블레이드가 피치되어, 블레이드의 높이가 제어되는 상태의 레벨링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b-b'지점에서 블레이드가 롤되어, 블레이드 좌우의 높이가 조절되게 제어되는 상태의 레벨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레벨링 장치가 작업 대상 영역의 일측에 위치된 흙을 지면에 펴는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지(整地, ground leveling)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벨링 장치(10)는 본체(100), 주행 부재(110), 블레이드(200) 및 구동 유닛(400)을 포함한다.
이하, 레벨링 장치(10)가 수평면 상에 위치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본체(100)와 블레이드(200)가 배열되는 전후 방향을 제1 방향(1)이라 하고, 수평면에 위치되고 제1 방향(1)에 수직한 좌우 방향(또는 폭 방향)을 제2 방향(2)이라 하고, 수평면에 수직한 상하 방향을 제3 방향(3)이라 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레벨링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레벨링 장치(10)가 수평면 상에 위치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레벨링 장치(10)는 지면 상의 흙에 대해 설정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레벨링 장치(10)는 주행하면서, 지면의 상부의 흙을 깎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일측에 위치된 흙을 지면에 펴는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체(100)는 레벨링 장치(10)의 골격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100)는 설정 체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체(100)는 사용자가 레벨링 장치(10)를 조작하기 위한 탑승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탑승 공간에는 레벨링 장치(10)의 동작 상태를 조작할 수 있는 입력부(도 3의 120)가 제공될 수 있다.
주행 부재(110)는 본체(100)에 연결되고 지면에 대해 주행 가능하게 제공되어, 레벨링 장치(10)가 위치 이동을 위해 주행 되게 할 수 있다. 주행 부재(110)는 본체(100)의 제2 방향(2) 양측 하부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주행 부재(110)는 캐터필러, 바퀴 등으로 제공되어, 레벨링 장치(10)는 불도저, 휠 로더 등일 수 있다.
블레이드(200)는 레벨링 장치(10)의 전방 영역에 위치되도록 본체(100)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흙에 대해 설정 작업을 수행한다. 블레이드(200)는 제2 방향(2)으로 설정 폭을 가지고, 제3 방향(3)으로 설정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레벨링 장치의 전방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레이드(200)는 연결 프레임(300)에 의해 본체(10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300)의 전방 단부는 블레이드(200)의 후면에 연결되고, 연결 프레임(300)의 후방 단부는 본체(10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300)의 전방 단부는 블레이드(200)의 후면에 제3 방향(3)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 프레임(300)의 전방 단부는 제1 방향(1) 및 제2 방향(2)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설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 프레임(300)의 전방 단부와 블레이드(200)의 후면을 연결하는 샤프트는 길이 방향이 제3 방향(3)으로 제공되고, 샤프트는 연결 부위가 볼 형상으로 제공되거나, 설정 유격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300)의 전방 단부는 블레이드(200)의 제2 방향(2) 중심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300)의 후방 단부는 제2 방향(2)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본체(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 프레임(300)의 후방 단부는 길이 방향이 제2 방향(2)으로 제공되는 샤프트에 의해 본체(100)에 연결되어, 연결 프레임(300)은 본체(1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300)의 후방 단부는 제2 방향(2)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분지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 프레임(300)은 U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프레임(300)의 각각의 후방 단부는 본체(100)에 대해 회전 가능 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유닛(400)은 블레이드(200)의 위치가 조절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구동 유닛(400)은 피치 구동 부재(410), 요 구동 부재(420) 및 롤 구동 부재(430)를 포함한다.
피치 구동 부재(410)는 블레이드(200)가 제2 방향(2)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P, 피치, pitch)되는 형태로 구동되어, 블레이드(200)의 제3 방향(3) 높이가 조절되게 한다. 피치 구동 부재(410)는 연결 프레임(300)이 본체(1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피치 구동 부재(410)는 길이가 가변 되는 실린더 구조로 제공되고, 일 측 단부는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연결 프레임(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300)의 후방 단부에는 위쪽 방향으로 설정 길이 돌출된 피치 연결부(310)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피치 구동 부재(410)의 타측 단부는 피치 연결부(310)에 연결될 수 있다.
피치 구동 부재(410)의 일측 단부는 본체(100)에 제2 방향(2)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다. 피치 구동 부재(410)의 타측 단부는 연결 프레임(300)에 제2 방향(2)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다. 피치 구동 부재(410)는 2개가 제공되고, 제2 방향(2)으로 서로 이격 되어 연결 프레임(300)의 분지된 후방 단부 각각과 본체(100)에 연결되게 제공될 수 있다. 피치 구동 부재(410)의 길이가 길어지게 구동되면, 연결 프레임(300)은 본체(100)에 대해 아래쪽으로 피치(P)되고, 이에 따라 연결 프레임(300)의 전방 단부에 연결된 블레이드(200)는 하방으로 피치(P)될 수 있다. 또한, 피치 구동 부재(410)의 길이가 짧아지게 구동되면, 연결 프레임(300)은 본체(100)에 대해 위쪽으로 피치(P)되고, 이에 따라 연결 프레임(300)의 전방 단부에 연결된 블레이드(200)는 상방으로 피치(P)될 수 있다.
요 구동 부재(420)는 블레이드(200)가 제3 방향(3)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Y, 요, Yaw)되는 형태로 구동되어, 블레이드(200)가 향하는 방향이 조절되게 한다.
요 구동 부재(420)는 길이가 가변 되는 실린더 구조로 제공되고, 일 측 단부는 연결 프레임(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블레이드(200)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요 구동 부재(420)는 2개가 제공되어, 제2 방향(2)으로 설정거리 이격 되게 위치될 수 있다.
요 구동 부재(420)의 일측 단부는 연결 프레임(300)에 제2 방향(2)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요 구동 부재(420)의 일 측 단부는 피치 연결부(310)에 연결될 수 있다. 요 구동 부재(420)의 일측 단부가 연결된 지점은 피치 구동 부재(410)의 타측 단부가 연결된 지점의 아래쪽에 위치될 수 있다.
요 구동 부재(420)의 타측 단부는 블레이드(200)에 제3 방향(3)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요 구동 부재(420)의 타측 단부는 제1 방향(1) 및 제2 방향(2)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설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요 구동 부재(420)의 타측 단부와 블레이드(200)의 후면을 연결하는 샤프트는 길이 방향이 제3 방향(3)으로 제공되고, 샤프트는 연결 부위가 볼 형상으로 제공되거나, 설정 유격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요 구동 부재(420)의 타측 단부는 연결 프레임(300)이 블레이드(200)에 연결된 지점과 제2 방향(2)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요 구동 부재(420)의 타측 단부는 연결 프레임(300)이 블레이드(200)에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제2 방향(2)으로 서로 반대되는 지점에서 블레이드(200)에 연결될 수 있다.
요 구동 부재(420)의 길이가 길어 지거나 짧아지면, 블레이드(200)는 연결 프레임(300)에 대해 요(Y, Yaw) 될 수 있다. 또한, 요 구동 부재(420)가 2개 제공될 때, 2개의 요 구동 부재(420)는 하나는 길이가 짧아지고, 하나는 길이가 길어 지는 형태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롤 구동 부재(430)는 블레이드(200)가 제1 방향(1)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R, 롤, Roll)되는 형태로 구동되게 한다. 롤 구동 부재(430)는 길이가 가변 되는 실린더 구조로 제공되고, 일 측 단부는 연결 프레임(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블레이드(200)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롤 구동 부재(430)의 일측 단부는 연결 프레임(300)과 블레이드(200)가 연결된 지점과 제3 방향(3)으로 동일한 축 상에 위치되도록 연결 프레임(3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프레임(300)의 전방 단부에는 위쪽 방향으로 설정 길이 돌출된 롤 연결부(320)가 제공될 수 있다. 롤 연결부(320)는 연결 프레임(300)과 블레이드(200)가 연결된 지점과 제1 방향(1)으로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롤 구동 부재(430)의 일측 단부는 롤 연결부(320)에 연결되어, 연결 프레임(300)과 블레이드(200)가 연결된 지점에 대해 제3 방향(3)으로 동일한 축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롤 구동 부재(430)의 일측 단부는 연결 프레임(300)에 제3 방향(3)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롤 구동 부재(430)의 일측 단부는 제1 방향(1) 및 제2 방향(2)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설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롤 구동 부재(430)의 일측 단부와 연결 프레임(300)을 연결하는 샤프트는 길이 방향이 제3 방향(3)으로 제공되고, 샤프트는 연결 부위가 볼 형상으로 제공되거나, 설정 유격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롤 구동 부재(430)이 타측 단부는 롤 구동 부재(430)의 일측 단부에 대해 제2 방향(2)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블레이드(200)에 연결될 수 있다. 롤 구동 부재(430)의 타측 단부는 블레이드(200)에 제3 방향(3)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롤 구동 부재(430)의 타측 단부는 제1 방향(1) 및 제2 방향(2)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설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롤 구동 부재(430)의 타측 단부와 블레이드(200)를 연결하는 샤프트는 길이 방향이 제3 방향(3)으로 제공되고, 샤프트는 연결 부위가 볼 형상으로 제공되거나, 설정 유격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롤 구동 부재(430)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구동되면, 블레이드(200)는 연결 프레임(300)에 대해 롤(R) 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레벨링 장치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레벨링 장치(10)에는 제어기(130)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130)는 레벨링 장치(1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센서(500)가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레벨링 장치(10)의 구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500)는 레벨링 장치(1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감지한 후, 제어기(130)에 제공할 수 있다. 센서(500)는 위치 센서(510), 블레이드 자세 센서(520) 및 본체 자세 센서(53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서(510)는 블레이드(200)에 위치되어 위치 센서(510)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 예로, 블레이드(200)의 상부에는 설정 길이를 갖는 지지 로드(511)가 제공되고, 위치 센서(510)는 지지 로드(511)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위치 센서(510)는 GPS 수신기로 제공되어, 블레이드(200)에 설치된 지점의 위치에 관한 좌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치 센서(510)는 제2 방향(2)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블레이드(200)의 외쪽에 제1 위치 센서(510a)가 제공되고, 블레이드(200)의 오른쪽에 제2 위치 센서(510b)가 제공될 수 있다.
블레이드 자세 센서(520)는 블레이드(200)에 위치되어, 블레이드(200)의 자세를 감지한다. 일 예로, 블레이드 자세 센서(520)는 관성 측정 장치(Inertial Measurement Unit, IMU)로 제공되어, 블레이드(200)의 속도, 방향, 중력 및 가속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블레이드(200)의 요(Y), 롤(R), 피치(P)를 감지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체 자세 센서(530)는 본체(100)에 위치되어, 본체(100)의 자세를 감지한다. 일 예로, 본체 자세 센서(530)는 관성 측정 장치(Inertial Measurement Unit, IMU)로 제공되어, 본체(100)의 속도, 방향, 중력 및 가속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본체(100)의 요(Y), 롤(R), 피치(P)를 감지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센서(500)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블레이드(200)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위치 센서(510)는 위치 센서(510)가 제공되는 지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어기(130)에 제공할 수 있다.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위치에 관한 정보에는 지면에 대한 높이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높이 값을 기초로 하여, 피치 구동 부재(410)를 제어하여, 블레이드(200)의 높이(또는, 블레이드(200)의 하단이 지면과 이격된 거리, 또는 블레이드(200)의 하단부가 지면을 향해 들어간 깊이)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블레이드 자세 센서(520)가 제공하는 정보를 블레이드(200)의 높이 제어에 반영할 수 있다. 블레이드(200)의 높이는 제2 방향(2)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피치(P)되는 형태로 조절되어, 블레이드(200)가 높이 조절을 위해 이동하는 경로는 호(arc)를 이루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200)가 피치(P)되는 정도 및 블레이드(200)가 수평면에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위치 센서(510)와 블레이드(200) 하단 사이의 지면에 수직한 제3 방향(3)의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 자세 센서(520)는 블레이드(200)가 제3 방향(3)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피치(P)된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제어기(130)에 제공하고, 제어기(130)를 이를 반영하여 블레이드(200)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기(130)는 위치 센서(510)와 블레이드(200) 하단 사이의 제3 방향(3) 거리가 블레이드(200)가 피치(P)됨에 따라 변경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블레이드(200) 하단의 지면에 대한 제3 방향(3) 높이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센서(500)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블레이드(200)의 좌측의 높이와 우측의 높이가 각각 조절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블레이드(200)의 좌측에 위치되는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블레이드(200)의 좌측이 설정 높이가 되고, 블레이드(200)의 우측에 위치되는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블레이드(200)의 우측이 설정 높이가 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기(130)는 롤 구동 부재(430)를 제어하여, 블레이드(200)가 롤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자세 센서(520)는 블레이드(200)가 제1 방향(1)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롤(R) 된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제어기(130)에 제공하고, 제어기(130)는 이를 이용해 롤 구동 부재(430)를 제어하여, 블레이드(200)가 롤(R) 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0)는 블레이드 자세 센서(520)가 제공하는 정보 및 블레이드(200)의 양측에 위치된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블레이드(200)가 롤(R) 되는 정도 및 블레이드(200)이 양측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요 구동 부재(420)를 제어하여, 블레이드(200)가 제3 방향(3)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요(Y) 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요 구동 부재(420)를 제어하는데, 블레이드 자세 센서(520)가 제공하는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 구동 부재(420)는 블레이드(200)가 요(Y) 된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제어기(130)에 제공하고, 제어기(130)는 이를 기초로 블레이드(200)의 요(Y) 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본체 자세 센서(530)가 제공하는 정보를 블레이드(200)의 자세 제어에 반영할 수 있다. 본체(100)가 위치된 지면에 의해 본체(100) 수명면에 대해 기울어 지면, 본체(100)와 블레이드(200)가 연결되는 방향은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 지게 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200)가 수평면에 대해 피치(P)되는 정도, 위치 센서(510)와 블레이드(200) 하단 사이의 제3 방향(3)으로의 거리, 블레이드(200)의 하단과 지면이 이격된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기(130)는 본체(100)가 기울어진 정도를 반영하여, 블레이드(200)의 피치 상태, 블레이드(200)의 롤 상태 또는 블레이드(200)의 요 상태가 조절되게 구동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30)는 메인 제어부(131) 및 구동 제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31)는 레벨링 장치(1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131)는 입력부(1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센서(500)가 제공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레벨링 장치(1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반영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제어부(131)는 CPU,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32)는 구동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제어부(132)는 전자 유압 밸브 등으로 제공되어, 메인 제어부(131)가 제공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에 따라 구동 유닛(400)의 동작 상태를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0)는 표시부(140)를 통해, 센서(500), 입력부(120) 등에서 입력되는 신호, 제어기(130)에 의한 레벨링 장치(10)의 제어 상태, 레벨링 장치(10)의 동작 상태 등과 같은 정보가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부(140)는 탑승 공간에 위치되는 모니터 등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레벨링 장치가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레벨링 장치가 지면을 깎는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레벨링 장치(10)는 현재 지형(PL)을 디자인 면(DS)까지 깎는 작업(즉, 절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현재 지형(PL)과 디자인 면(DS) 사이의 높이차는 도 5의 경우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레벨링 장치(10)는 블레이드(200)가 지면을 향해 하방으로 피치(P)되어 높이가 낮아진 상태로 이동하도록 제어되어, 디자인 면(DS)에 대응되게 흙을 절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어기(130)는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블레이드(200)가 피치(P)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0)는 블레이드 자세 센서(520)가 제공하는 블레이드(200)가 피치(P)된 정도에 관한 정보를 고려하여, 블레이드(200)가 피치(P)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벨링 장치(1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200)의 하단이 디자인 면(DS)에 대응되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레벨링 장치(10)는 블레이드(200)를 상방으로 피치(P)시키도록 제어되어, 블레이드(200)의 전면에 모인 흙을 작업 대상 영역의 외측에 위치된 영역에 쌓아 두는 동작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0)는 블레이드(200)의 양측의 높이가 조절되게, 블레이드(200)의 롤(R)상태를 제어하여, 경사진 형태로 절토 작업이 이루어 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0)는 블레이드(200)의 요(Y)상태를 제어하여, 곡선 구간을 이동하면서 절토 작업이 이루어 지게 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의 a-a'지점에서 블레이드가 피치되어, 블레이드의 높이가 제어되는 상태의 레벨링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레벨링 장치(10)는 작업 대상 영역을 주행하면서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작업면(WS)이 현재 지형(PL)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블레이드(200)가 하방으로 피치되어 블레이드(200)의 하단이 작업면(WS)에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제어된다. 이 때, 블레이드(200)가 수평면에 수직한 방향에 대해 설정 각도(θ1)만큼 기울어짐에 따라 블레이드(200)의 하단에서 위치 센서(510)까지의 제3 방향(3)으로의 거리가 달라진다. 이에 따라, 제어기(130)는 블레이드(200)가 기울어 지는 각도를 고려하여 센서(510)와 블레이드(200)하단 사이의 제3 방향(3)으로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130)는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높이 값에서 센서(510)와 블레이드(200)하단 사이의 제3 방향(3)으로의 거리를 뺀 값이 작업면(WS)의 높이 값이 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제어기(130)가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높이 값을 통해 블레이드(200)의 하단의 높이를 측정 및 제어하는 방법은 이와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c는 도 4a의 a-a'지점에서 블레이드가 롤되어, 블레이드 좌우의 높이가 조절되게 제어되는 상태의 레벨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레벨링 장치(10)는 블레이드(200)의 좌측 하단의 작업 높이(A)와 우측 하단의 작업 높이(B)가 상이하게 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링 장치(10)는 도로의 인터체인지(IC), 도로의 곡선 구간 등과 같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형태의 디자인 면(DS)을 만드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기(130)는 제1 위치 센서(510a)가 제공하는 제어 전 높이 값(a') 및 제2 위치 센서(510b)가 제공하는 제어 전 높이 값(b')을 통해, 블레이드(200)의 좌측 하단의 높이와 우측 하단의 높이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기(130)는 블레이드(200)를 롤 시켜, 블레이드(200)의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이 각각 좌측 작업 높이(A) 및 우측 작업 높이(B)가 되게 한다. 이 때, 제어기(130)는 제1 위치 센서(510a)가 제공하는 정보가 좌측 작업 높이 값(a)이 되고, 제2 위치 센서(510b)가 제공하는 정보가 우측 작업 높이 값(b)이 되는 형태로 블레이드(200)를 설정 각도(θ2)만큼 롤 시켜, 좌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200)가 피치되는 각도((θ1) 및 롤 되는 각도(θ2)에 의해 블레이드(200)의 하단에서 위치 센서(510)까지의 제3 방향(3)으로의 거리가 달라짐에 따라, 제어기(130)는 블레이드(200)의 피치 구동 및 롤 구동이 서로 연동되어 반영되게 블레이드(200)를 제어할 수 있다.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높이 값의 기준이 되는 높이를 편의를 위해 기준높이(RF)로 도시하였다. 편의를 위해 기준높이(RF)는 작업 높이(A, B)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편의를 위한 것이며 제3 방향(3)의 위치 관계는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레벨링 장치가 지면을 설정 깊이로 깎고, 그 과정에서 발생된 흙을 쌓아 두는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레벨링 장치(10)는 현재 지형(PL)을 디자인 면(DS)까지 깎고,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흙을 쌓아 두는 작업(즉, 절토 및 이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현재 지형(PL)과 디자인 면(DS) 사이의 높이차이로 인해, 레벨링 장치(10)는 작업 대상 영역을 한번 주행하면서, 작업 대상 영역을 현재 지형(PL)에서 디자인 면(DS)으로 깎을 수 없다. 이에 따라, 레벨링 장치(10)는 블레이드(200)가 지면을 향해 하방으로 피치(P)되어 높이가 낮아진 상태로 이동하도록 제어되어, 흙을 절토하여 작업면(WS)이 만들어 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어기(130)는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블레이드(200)가 피치(P)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0)는 블레이드 자세 센서(520)가 제공하는 블레이드(200)가 피치(P)된 정도에 관한 정보를 고려하여, 블레이드(200)가 피치(P)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레벨링 장치(10)가 이동됨에 따라, 본체(100)에 대한 블레이드(200)하단의 위치가 작업면(WS)에 대응하여 위치되도록, 제어기(130)는 센서(500)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블레이드(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0)는 레벨링 장치(10)의 이동 속력이 설정 속력보다 낮아지면, 블레이드(200)가 상방으로 설정값 만큼 피치(P)되게 하여, 블레이드(200)가 지면을 절토하는 깊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0)는 디자인 면(DS)의 높이에 대응하여 작업이 이루어 지도록 블레이드(200)의 양측의 높이가 조절되게, 블레이드(200)의 롤(R)상태를 제어하여, 경사진 형태로 절토 작업이 이루어 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0)는 블레이드(200)의 요(Y)상태를 제어하여, 곡선 구간을 이동하면서 절토 작업이 이루어 지게 할 수 있다. 이후, 레벨링 장치(10)는 블레이드(200)를 상방으로 피치(P)시켜, 블레이드(200)의 전면에 모인 흙을 작업 대상 영역의 외측에 위치된 영역에 쌓아 두는 동작이 이루어 지게 제어될 수 있다. 레벨링 장치(10)는 이와 같이 흙을 절토한 후 블레이드(200)에 모인 흙을 쌓는 동작을 수회 반복하여 현재 지형(PL)을 디자인 면(DS)으로 만들 수 있다.
블레이드(200)가 설정 각도 피치 또는 롤되게 제어되는 구체적 방법은 도 4b, 도 4c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는 레벨링 장치가 작업 대상 영역의 모양을 조절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레벨링 장치(10)는 현재 지형(PL)을 디자인 면(DS)에 대응되게 모양을 조절하는 작업(즉, 형상 조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은 현재 지형(PL)과 디자인 면(DS) 사이에 높이 차이는 크지 않은 상태에서, 지면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작업이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200)에 의해 조작되는 흙은 양이 전술한 작업에 비해 적다. 이에 따라, 제어기(130)는 레벨링 장치(1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200) 하단이 디자인 면(DS)에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제어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20) 하단의 위치에 대응하여 목표로 하는 디자인 면(DS)에 대응되게 절토 또는 흙이 펴지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작업 수행을 위한 블레이드(200)의 제어는 작업 대상이 되는 지면에 대한 레벨링 장치(10)의 위치에 의해 제어기(130)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레벨링 장치(10)를 운행하는 사용자의 입력부에 의한 블레이드(200) 조작과 함께 또는 이를 보조하는 형태로, 제어기(130)에 의한 블레이드(200)의 제어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일 예로, 제어기(130)에는 작업이 이루어질 영역에 대한 좌표 값, 각각의 좌표 값에 해당되는 영역에서 수행되어야 할 작업 등에 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는 작업 현장에 대한 시방서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1)좌표에 해당되는 작업 대상 영역에는 2m의 깊이로 절토가 이루어 지고, (2,2)좌표에 해당되는 작업 대상 영역에는 0.5m의 깊이로 절토가 이루어 지는 등의 정보가 제어기(130)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어기(130)는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수행할 작업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좌표 상에 레벨링 장치(10)가 위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좌표에서 이루어 질 작업에 대응하여 블레이드(200)의 자세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레벨링 장치(10)가 (1,1)좌표에 해당되는 영역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기는 블레이드(200)를 아래쪽으로 설정 값만큼 피치(P) 시켜 절토를 수행하고, 레벨링 장치(10)가 작업 대상 영역 밖으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되면 블레이드(200)를 위쪽으로 설정 값만큼 피치 시켜 블레이드(200)에 모인 흙을 작업 대상 영역 밖에 쌓는 동작이 이루어 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토 및 이송 작업은 현재 지형(PL)이 디자인 면(DS)에 대응하여 2m로 절토 될 때까지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레벨링 장치(10)가 (2,2)좌표에 해당되는 영역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기는 블레이드(200)를 아래쪽으로 설정값 만큼 피치(P) 시켜 절토를 수행하고, 레벨링 장치(10)가 작업 대상 영역 밖으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되면 블레이드(200)를 위쪽으로 설정값 만큼 피치 시켜 블레이드(200)에 모인 흙을 작업 대상 영역 밖에 쌓는 동작이 이루어 지게 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의 b-b'지점에서 블레이드가 피치되어, 블레이드의 높이가 제어되는 상태의 레벨링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b 레벨링 장치(10)는 작업 대상 영역을 주행하면서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디자인 면(DS)이 현재 지형(PL)보다 위쪽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블레이드(200)가 상방으로 설정 각도(θ3) 피치시켜 블레이드(200)의 하단이 디자인 면(DS)에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제어된다. 블레이드(200)의 피치 방향이 상방인 외에, 블레이드(200)의 제어 방법은 도 4b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c는 도 6a의 b-b'지점에서 블레이드가 롤되어, 블레이드 좌우의 높이가 조절되게 제어되는 상태의 레벨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레벨링 장치(10)는 블레이드(200)를 상방으로 피치 시키면서, 블레이드(200)의 좌측 하단의 작업 높이(C)와 우측 하단의 작업 높이(B)가 상이하게 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기(130)가 제1 위치 센서(510a)가 제공하는 제어 전 높이 값(c') 및 제2 위치 센서(510b)가 제공하는 제어 전 높이 값(c')을 통해, 블레이드(200)의 좌측 하단의 높이와 우측 하단의 높이를 산출하고, 1 위치 센서(510a)가 제공하는 정보가 좌측 작업 높이 값(c)이 되고, 제2 위치 센서(510b)가 제공하는 정보가 우측 작업 높이 값(c)이 되게 하여 블레이드(200)를 설정 각도(θ4)만큼 롤되게 하는 방법은 도 4c에서 상술한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레벨링 장치가 작업 대상 영역의 일측에 위치된 흙을 지면에 펴는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레벨링 장치(10)는 쌓여 있는 흙을 지면에 펴는 작업(즉, 펼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은 현재 지형(PL)이 디자인 면(DS)보다 낮은 경우 발생한다. 이 경우, 별개의 트럭 등이 운반하여 온 후 작업 대상 영역 부근에 흙을 적재하여 두면, 레벨링 장치(10)는 흙을 지면에 펴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레벨링 장치(10)가 흙이 쌓여 있는 곳에 위치되면, 제어기(130)는 블레이드(200)를 하방으로 피치(P) 시켜, 블레이드(200)의 높이가 쌓여 있는 흙보다 낮아지게 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200)의 전면에는 흙이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레벨링 장치(10)는 주행을 개시하여, 블레이드(200)의 전면에 위치된 흙이 작업 대상 영역에 펴지게 할 수 있다. 흙을 펴기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어기(130)는 블레이드(200) 하단이 현재 지형(PL)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200)의 앞쪽에 위치된 흙은 블레이드(200)의 아래쪽으로 통해 블레이드(200) 밖으로 이동되어, 현재 지형(PL)상에 펴질 수 있다. 현재 지형(PL)과 디자인 면(DS) 사이의 높이 차이가 설정 값 이하인 경우, 레벨링 장치(10)는 블레이드(200)하단이 디자인 면(DS)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도록 제어되는 상태로 이동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지형(PL)과 디자인 면(DS) 사이의 높이 차이가 설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 처음 작업이 수행될 때에는 레벨링 장치(10)는 블레이드(200)하단이 현재 지형(PL)과 디자인 면(DS)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어되는 상태로 이동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이 적어도 1회 수행된 이후, 현재 지형(PL)과 디자인 면(DS) 사이의 높이 차이가 설정 값 이하가 되면, 레벨링 장치(10)는 블레이드(200)하단이 디자인 면(DS)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도록 제어되는 상태로 이동되게 제어될 수 있다.
블레이드(200)가 설정 각도 피치 또는 롤되게 제어되는 구체적 방법은 도 6a, 도 6b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벨링 장치(10)는 센서(500)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조작을 보조하여 블레이드(200)의 자세가 조절되어, 레벨링 장치(10)를 통해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벨링 장치(10)는 위치 센서(510)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블레이드(200)의 높이가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벨링 장치(10)는 블레이드(200)의 양측에 제공되는 위치 센서(510)를 통해 블레이드(200)의 양측의 높이가 각각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벨링 장치(10)는 블레이드(200)에 위치되는 블레이드 자세 센서(520)를 통해 블레이드(200)의 양측의 높이 및 블레이드(200)가 롤 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벨링 장치(10)는 본체(100)에 제공되는 본체 자세 센서(530)를 통해 본체(100)가 기울어진 정도를 고려하여 블레이드(200)의 자세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 110: 주행 부재
200: 블레이드 300: 연결 프레임
400: 구동 유닛 410: 피치 구동 부재
420: 요 구동 부재 430: 롤 구동 부재

Claims (13)

  1. 설정 체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 하부에 제공되고, 지면에 대해 주행 가능하게 제공되는 주행 부재;
    설정 폭 및 설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본체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위치가 조절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
    상기 블레이드에 위치되어, 상기 블레이드 상에 설치된 지점의 높이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위치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높이가 조절되게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에 위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자세를 감지하는 블레이드 자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피치 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피치되는 정도에 따라 높이가 호(arc)를 이루는 경로를 따라 조절되게 제공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호의 경로를 이루는 피치 동작으로 인해, 상기 블레이드가 수평면에 수직한 방향에 대해 설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에서 상기 위치 센서까지의 높이 방향 거리가 달라지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블레이드가 피치됨에 따라 기울어지는 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위치 센서와 상기 블레이드 하단 사이의 높이 방향 거리를 산출하되, 상기 위치 센서가 제공하는 높이 값에서 상기 위치 센서와 상기 블레이드 하단 사이의 높이 방향 거리를 뺀 값이 작업면의 높이가 되도록 제어하는 레벨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자세 센서는 전후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상기 블레이드가 롤 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블레이드 자세 센서가 제공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롤 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레이드가 롤 되는 정도를 제어하는 레벨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게 제공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위치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의 양측의 높이를 제어하는 레벨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장치는 상기 본체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의 자세를 감지하는 본체 자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본체 자세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상기 본체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자세가 변경되는 것을 반영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레벨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GPS로 제공되어, 좌표 값에 관한 정보를 제공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위치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에 의해 작업이 수행될 작업 대상 영역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작업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의 자세가 조절되도록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레벨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장치는,
    전방 단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 단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레벨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블레이드가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피치 되게 움직이는 동력을 제공하는 피치 구동 부재;
    상기 블레이드가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요 되게 움직이는 동력을 제공하는 요 구동 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가 전후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롤 되게 움직이는 동력을 제공하는 롤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레벨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 구동 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본체에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피치 구동 부재의 타측 단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벨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 구동 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요 구동 부재의 타측 단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벨링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 구동 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의 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롤 구동 부재의 타측 단부는 상기 롤 구동 부재의 일측 단부와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블레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벨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 구동 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과 상기 블레이드가 연결된 지점과 상하 방향으로 동일한 축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 프레임에 연결되는 레벨링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에는 설정 길이를 갖는 지지 로드가 제공되고,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지지 로드의 상부에 위치되는 레벨링 장치.
  13. 본체에 대하여 호를 이루는 경로로 위치가 조절되는 블레이드에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 상에 설치된 지점의 높이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위치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의 위치가 조절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높이가 조절되게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에 위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자세를 감지하는 블레이드 자세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는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피치 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호의 경로를 이루는 피치 동작으로 인해, 상기 블레이드가 수평면에 수직한 방향에 대해 설정 각도 만큼 기울어져,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에서 상기 위치 센서까지의 높이 방향 거리가 달라지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블레이드가 피치됨에 따라 기울어지는 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위치 센서와 상기 블레이드 하단 사이의 높이 방향 거리를 산출하되, 상기 위치 센서가 제공하는 높이 값에서 상기 위치 센서와 상기 블레이드 하단 사이의 높이 방향 거리를 뺀 값이 작업면의 높이가 되도록 제어하는 레벨링 모듈.
KR1020180105932A 2018-09-05 2018-09-05 레벨링 장치 KR102125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932A KR102125138B1 (ko) 2018-09-05 2018-09-05 레벨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932A KR102125138B1 (ko) 2018-09-05 2018-09-05 레벨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735A KR20200027735A (ko) 2020-03-13
KR102125138B1 true KR102125138B1 (ko) 2020-07-07

Family

ID=6993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932A KR102125138B1 (ko) 2018-09-05 2018-09-05 레벨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1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0060A (ja) 2000-08-29 2002-03-08 Komatsu Ltd 油圧ショベル
JP2010539478A (ja) * 2007-09-12 2010-12-16 トプコン ポジショニング システムズ, インク. 統合された全地球的航法衛星システム・センサおよび慣性センサを有する自動ブレード制御システム
JP2017172187A (ja) * 2016-03-23 2017-09-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モータグレーダの制御方法、モータグレーダおよびモータグレーダの作業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3369B2 (ja) * 1995-02-14 2004-10-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ブレード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0060A (ja) 2000-08-29 2002-03-08 Komatsu Ltd 油圧ショベル
JP2010539478A (ja) * 2007-09-12 2010-12-16 トプコン ポジショニング システムズ, インク. 統合された全地球的航法衛星システム・センサおよび慣性センサを有する自動ブレード制御システム
JP2017172187A (ja) * 2016-03-23 2017-09-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モータグレーダの制御方法、モータグレーダおよびモータグレーダの作業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735A (ko)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6988B2 (ja) 作業機械の制御装置、作業機械及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JP6062115B1 (ja) 作業車両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作業車両
US92283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a path for a machine
US8498806B2 (en) Hydraulic shovel positional guid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6025372B2 (ja) 油圧ショベルの掘削制御システム及び掘削制御方法
US94879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pass depth in view of excess materials
WO2012127912A1 (ja) 作業機制御システム、建設機械及び作業機制御方法
EP3635181B1 (en) Blade control below design
WO2013047179A1 (ja) ブレード制御システムおよび建設機械
CN111936706B (zh) 平整模式集成
US20130158819A1 (en) Implement control system for a machine
CN107306500B (zh) 作业机械的控制装置、作业机械以及作业机械的控制方法
US11485029B2 (en) Working robot
JPWO2016133225A1 (ja) 作業車両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作業車両
CN109196168B (zh) 工作装置控制装置及作业机械
CN113785092B (zh) 用于控制作业机具位置的系统
JP2017008719A (ja) 油圧ショベルの掘削制御システム
US202200494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work machine including work implement
US20160160472A1 (en) System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Component
JP2023524450A (ja) 静水圧旋回動作作動、監視、および制御システム
US11505918B2 (en) System for remapping a control signal for excavator arm movement to a rotatory degree of freedom of a tool
US9541420B2 (en) System for determining error in a sensed machine position
KR102125143B1 (ko) 블레이드 능동 제어 레벨링 장치
JP2017180079A (ja) 作業機械の制御装置、作業機械及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KR102125138B1 (ko) 레벨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