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890B1 - 가변의 압축비 및/또는 가변 배기량을 가지는 엔진용 트랜스미션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의 압축비 및/또는 가변 배기량을 가지는 엔진용 트랜스미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890B1
KR102124890B1 KR1020177019230A KR20177019230A KR102124890B1 KR 102124890 B1 KR102124890 B1 KR 102124890B1 KR 1020177019230 A KR1020177019230 A KR 1020177019230A KR 20177019230 A KR20177019230 A KR 20177019230A KR 102124890 B1 KR102124890 B1 KR 102124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gear
transmission
transmission member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045A (ko
Inventor
로돌프 유공
실베인 비고
마티유 뒤슈맹
기욤 델로브레
브누아 슈벵크
Original Assignee
엠쎄으-5 데블로쁘망
라비 비아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쎄으-5 데블로쁘망, 라비 비아니 filed Critical 엠쎄으-5 데블로쁘망
Publication of KR20170118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4Engines with variable distances between pistons at top dead-centre positions and cylinder heads
    • F02B75/045Engines with variable distances between pistons at top dead-centre positions and cylinder heads by means of a variable connecting rod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4Engines with variable distances between pistons at top dead-centre positions and 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aligning or positioning
    • F16C23/02Sliding-contact bearings
    • F16C23/04Sliding-contact bearings self-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7/00Connecting-rods or like links pivoted at both ends; Construction of connecting-rod heads
    • F16C7/02Constructions of connecting-rods with constant length
    • F16C7/023Constructions of connecting-rods with constant length for piston engines, pum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9/00Bearings for crankshafts or connecting-rods; Attachment of connecting-rods
    • F16C9/04Connecting-rod bearings; Attachmen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22Internal 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가변의 압축비 및/또는 가변 배기량을 갖는 엔진용 트랜스미션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실린더 하우징(100) 내에, - 상기 엔진의 연소 실린더(110)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트랜스미션 부재(3)에 고정되는 연소 피스톤(2); - 트랜스미션 부재(3)의 제1랙과 맞물리고, 엔진의 크랭크축(9) 및 상기 연소 피스톤(2) 사이에서 동력의 전달을 제공하는 기어(5); - 상기 기어(5)와 제1단에서 결합하고, 상기 크랭크축(9)과 제1단에서 결합하는 커넥팅 로드(6); 및 - 기어(5)에 결합하고 제어 피스톤(12)에 고정되는 제어 부재(7)를 포함한다. 트랜스미션 장치(1)는 연소 피스톤(2) 및 트랜스미션 부재(3)가 주 방향으로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링크(A)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의 압축비 및/또는 가변 배기량을 가지는 엔진용 트랜스미션 장치{Transmission device of an engine, particularly for an engine with variable compression rate and/or variable displacement}
본 발명은 엔진용 트랜스미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변의 압축비 및/또는 가변 배기량을 갖는 엔진용 트랜스미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유럽 특허 EP1407125, 프랑스 특허 FR2867515 또는 FR2810696에 개시되어 있다. 그것은, 실린더 하우징 내에,
- 상기 엔진의 연소 실린더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트랜스미션 부재에 고정되는 연소 피스톤;
- 트랜스미션 부재의 제1랙과 맞물리고, 엔진의 크랭크축 및 상기 연소 피스톤 사이에서 동력의 전달을 제공하는 기어;
- 상기 기어와 제1단에서 결합하고, 상기 크랭크축과 제2단에서 결합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한다.
또한, 기어와 결합하는 제어 부재는 엔진 내에서 기어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 행정의 단을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엔진은, 필요하다면 가변할 수 있는 배기량 및 압축비를 얻을 수 있다.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으며 엔진 전체의 무게를 최적화하기 위해, 실린더 하우징은 다른 물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종종 스틸 크랭크축을 사용할 것을 선택하였고 반면 실린더 하우징은 종종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선택된다. 이런 경우에, 그리고 동작 동안에 엔진 구성요소의 가열의 결과로서 부품들의 다양한 물질들 사이의 차등 팽창(differential expansion)은 서로에 대해서 트랜스미션 장치의 운동하는 부재의 움직임을 초래한다.
따라서, 엔진의 동작 동안에, 이와 같이 트랜스미션 장치의 운동 부재는 초기에 원하는 디자인 위치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평형 위치(position of equilibrium)에 놓여진다.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트랜스미션 장치에서, 이런 평형 위치는 제어되지 않는다. 이는 트랜스미션 장치를 구성하는 다양한 운동 부재들 사이의 링크의 특성에 의해 강요된 차단도 및 자유도로부터 비롯된다. 이런 평형 위치는, 제어되지 않을 때, 운동하는 부재들의 구성 부품들의 과도한 마모를 초래할 수 있거나; 운행 소음원이 될 수 있다. 운동 부재들이 그들이 제공받는 방해의 특성에 따라 놓여질 수 있고 그들의 디자인 위치로부터 같이 벗어나는, 몇몇의 안정한 평형 위치는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각각 종래의 가변의 압축비를 갖는 엔진의 트랜스미션 장치의 어떤 운동하는 부재의 디자인 위치 및 평형 위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크랭크축(9)은 도 1a 및 1b에서 a, b, 및 c로 확인되는 3개의 실린더들을 구비하는, 실린더 하우징(100)의 베어링에 놓여진다. 각각의 실린더에서, 연소 피스톤(2a, 2b, 2c)은 트랜스미션 부재(3a, 3b, 3c)에 고정된다. 커넥팅 로드(6a, 6b, 6c)는 기어(5a, 5b, 5c) 및 크랭크축(9)에 각각 연결된다.
스틸로 이루어지는 크랭크축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실린더 하우징 보다 적게 팽창한다. 따라서, 커넥팅 로드가 연관된, 크랭크축의 크랭크 핀은 각각의 실린더들과 더 이상 완전히 정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도 1b에는 실린더들(a, b)과 연관된 운동 부재가 도 1a의 디자인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평형 위치에 놓여지는 것이 보여질 수 있는데, 도 1a에서 같은 실린더 어셈블리의 운동 부재는 실린더의 메인축에 평행하고 서로 정렬된다. 실린더(c)는 디자인 위치에 있다.
도 1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특히 높은 마찰을 받게되는 커넥팅 로드 베어링 및 피스톤 스커트의 I 및 II 높이에서, 이 제어되지 않은 평형 위치는 운동 부재의 가속화된 마모를 야기한다. 그리고 마찰은, 일반적으로, 엔진 효율성 및/또는 전달되는 동력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차등 팽창의 현상에 부가하여, 다른 현상들이 디자인 위치와 다른 평형 위치에 트랜스미션 장치의 운동 부재를 위치시키도록 야기하는 방해를 일으킬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과도한 작동 간격의 존재, 하중 하에서의 변형, 또는 부재의 마모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의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어떤 운동 부재들 사이에서 링크들의 특성을 결정하여서 트랜스미션 장치가 방해를 받는 때에 그런 부재들에 의해 차지하는 동작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크랭크축 및 실린더 하우징의 차등 팽창의 결과로서 로드 베어링 및/또는 피스톤 스커트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피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의 압축비 및/또는 가변 배기량을 갖는 엔진용 트랜스미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트랜스미션 장치는:
- 상기 엔진의 연소 실린더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트랜스미션 부재에 고정되는 연소 피스톤;
- 트랜스미션 부재의 제1랙과 맞물리고, 엔진의 크랭크축 및 상기 연소 피스톤 사이에서 동력의 전달을 제공하는 기어;
- 상기 기어와 제1단에서 결합하고, 상기 크랭크축과 제2단에서 결합하는 커넥팅 로드; 및
- 기어에 결합하고 제어 피스톤에 고정되는 제어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는 연소 피스톤 및 트랜스미션 부재가 주 방향으로 상기 실린더 하우징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연소 피스톤 스커트에서의 마찰의 형성은 방해를 받는 경우에도, 피스톤의 동작 위치의 완전한 제어에 의해 회피되거나 제한된다.
상기 기어 및 상기 커넥팅 로드 사이의 링크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환형 리니어 링크(annular linear link)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및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 사이의 링크는 주 방향으로 배치된 환형 리니어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및 상기 제어 부재 사이의 링크는 주 방향으로 배치된 환형 리니어 링크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어는 엔진의 길이 방향으로 트랜스미션 부재와 정렬하여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 커넥팅 로드는 길이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크랭크축의 차등 팽창으로부터의 결과들과 같은 방해들을 수용한다. 따라서, 커넥팅 로드 베어링 상의 마모 및 마찰은 회피되거나 감소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피스톤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 사이의 링크는 주 방향으로 배치된 환형 리니어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피스톤에 의해 형성된 중심을 구비한다.
제어 부재 및 제어 피스톤은 기어 및 실린더 하우징 사이의 기구적 링크의 폐쇄를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링크는 커넥팅 로드에 대한 기어의 주축을 따라서 각도 위치를 개선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기어 및 커넥팅 로드 사이의, 특히 커넥팅 로드 베어링에서 마찰의 보다 우수한 제어를 야기시킨다.
제1실시예에 의하면, 그리고 제어 부재의 회전 운동의 제어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 부재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 사이의 링크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직선 리니어 링크(straight linear link)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실시예의 대체 가능한 해결방안에 의하면, 제어 부재 및 실린더 하우징 사이의 링크는 주 방향으로 배치된 환형 리니어 링크를 포함한다.
단독으로 또는 결합에 의해 취하여지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하고 제한하지 않는 다른 특징은 :
상기 슬라이딩 링크는 :
- 주 방향으로 상기 연소 피스톤 및 상기 연소 실린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소 피스톤에 의해 형성되는 중심을 구비하는 환형 리니어 링크;
-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맞춤 링크(punctual link) 및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직선 리니어 링크로 구성된다.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3)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 사이의 직선 리니어 링크(A21)는 실린더 하우징(100)의 플레이트(41) 및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3) 위의 롤러(40) 베어링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 사이의 맞춤 링크는 리브 및 상기 리브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하나는 상기 롤러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에 배치된다.
- 상기 기어는 중심홀을 구비하고 구멍(bore)은 트랜스미션 축에 의해 커넥팅 로드 눈의 포지셔닝을 위해 개방되고 상기 기어 및 상기 커넥팅 로드 사이의 환형 리니어 링크는 :
- 상기 트랜스미션 축 위의 상기 커넥팅 로드의 병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커넥팅 로드 눈의 측면들 및 상기 기어의 중심홀의 내부면들 사이에 간격을 두는 것;
- 상기 중심홀 내에서 상기 커넥팅 로드의 선회를 위한 상기 커넥팅 로드 눈 구멍의 라운드진 윤곽에 의해 얻어진다.
- 상기 기어(5) 및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3) 사이의 환형 리니어 링크(C)는 하나가 다른 하나에서 결합되는 볼록하고(bulging) U 형상인 트랜스미션 부재(3)의 궤도(raceway)에 접촉하는 기어(5)의 롤 밴드(55)를 각각 포함한다.
- 상기 기어(5) 및 제어 부재(7) 사이의 환형 리니어 링크(D)는, 하나가 다른 하나에서 결합되는 볼록하고 U 형상인 제어 부재(7)의 궤도(70)에 접촉하는 기어(5)의 롤 밴드(55)를 각각 포함한다.
- 상기 제어 부재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 사이의 직선 리니어 링크는 제어 부재의 베어링 면 및 실린더 하우징의 면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제공되고, 하나는 길이 방향 축을 가지는 원통형이고, 다른 하나는 평평하다.
- 대체 가능한 해결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어 부재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 사이의 상기 환형 리니어 링크는 실린더 하우징의 매칭 홀에 접촉되는 구형 부분(spherical portion)으로 구성되는 바디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바디(91)는 상기 구형 부분의 반대 측에서 제어 부재의 탭 또는 홈과 각각 결합하는 홈 또는 탭을 구비한다.
실린더 하우징은 작동 간격을 보상하기 위한 가압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특별하고 제한되지 않는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을 참조할 때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들은 다음과 같다:
- 도 1a 및 1b는 종래의 엔진의 어떤 운동 부재의 디자인 위치 및 평형 위치를 각각 보여주는 개략도.
- 도 2는 가변의 압축비를 가지는 엔진의 기본 원리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미션 장치의 어느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 도 3c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미션 장치의 어느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측면도.
- 도 3d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미션 장치의 어느 구성요소들의 도 3c의 F축을 따르는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기어의 분해 사시도.
-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팅 로드의 사시도.
- 도 7 및 7a는 본 발명의 2 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 및 제어 피스톤을 보여주는 단면도.
-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엔진의 어떤 이동 구성 요소들의 평형 위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이하의 설명에서:
- 길이 방향은 크랭크축(9)의 주축에 의해 정의되는 방향이고;
- 주 방향은 연소 실린더(2)의 주축에 의해 정의되는 방향이고;
- 횡방향은 이전의 두 방향들에 수직의 방향으로 정의되는 방향으로 이하에서 정의된다.
게다가, 본 출원 발명에서, "방해(disturbances)"는 디자인 위치와 다른 평형 위치에서, 엔진이 구동할 때, 운동 부재에 생기는 모든 증상을 의미할 것이다. 그것은 예를 들면, 모든 것을 망라하지 않더라도, 마모 또는 그들의 정확한 디자인 치수로부터 벗어난 치수를 야기시키는 부재들의 제조 공차 또는 그런 부재들 사이에서 차등 팽창과 관련된 이동, 그것의 하중에서 변형과 관련된 이동 또는 과도한 작동 간격의 존재와 관련된 이동일 수 있다.
가변의 압축비 및/또는 가변 배기량를 가지는 엔진의 기본 원리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 2에서, 실린더 하우징(100)은 하나 이상의 연소 실린더(110)를 포함하는데, 연소 피스톤(2)은 트랜스미션 장치(1)를 통해서 크랭크축(9)의 회전을 야기시키는 가이드된 병진 운동(translation)에서 움직인다.
트랜스미션 장치는 연소 피스톤(2)에 고정되고 실린더 하우징(100)의 벽에 의해 지지되는 제1연결장치(4)와 우선적으로 결합하고 반면에 기어(5)의 제1측면과 결합하는 트랜스미션 부재(3)를 포함한다.
트랜스미션 부재(3)는, 그것의 면들 중 하나에 대형 랙을 구비하는데, 대형 랙의 이는 기어(5)의 이와 맞물린다.
기어(5)는 트랜스미션 축(62)을 통해서 커넥팅 로드(6)의 제1단에 연결된다. 커넥팅 로드(6)의 제2단은 크랭크축(9)에 연결되어서 트랜스미션의 운동을 수행한다.
기어(5)는 트랜스미션 부재(3)의 반대편의 제2측에서, 제2연결장치(4')와 결합된 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어 부재(7)의 랙과 결합한다.
제어 부재(7)는 실린더 하우징(100)의 제어 실린더(112)에서 가이드되는 제어 피스톤(12)으로 구성된 실린더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장치는 주 방향으로 제어 부재(7)의 병진 운동을 보장한다.
작동시, 연소 피스톤(2) 및 그것과 일체인 트랜스미션 부재(3)의 병진 운동은 연소 실린더(110)에서 혼합물의 연소에 의해 개시되고 유지된다. 이런 운동은 연소 피스톤(2) 및 연소 실린더(110) 사이에서 존재하는 링크, 및 링크장치(4)에 의해 가이드 된다. 그 운동은 기어(5) 및 커넥팅 로드(6)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에 전달되어 회전 중인 크랭크축(9)을 회전 운동시킨다. 제어 부재(7)의 위치는 제어 장치에 의해 주 방향으로 조절된다. 그것의 운동은 이 방향으로 제2연결장치(4')에 의해 가이드된다. 컨트롤러(7)의 운동은 연소 실린더(110) 내에서 연소 피스톤(2)의 스트로크의 단을 움직이게 하는 결과를 일으키도록 기어(5)의 회전을 야기한다. 엔진 압축비 및/또는 캐패시티는 따라서 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금 열거된 어떤 운동 부재들 사이의 링크의 특성은 그렇게 결정되어서, 트랜스미션 장치(1)가 방해를 받을 때에, 이런 부재들에 의해 차지된 동작 위치를 제어한다.
"동작 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링크들의 특성을 정의하는 차단도 및 자유도는 과도한 동작 마찰을 야기하지 않는 위치를 향하여 그들의 이상적인 디자인의 움직임에 상대적인 운동 부재들의 부품들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자유도 또는 이런 운동은 이 자유도 또는 운동이 요구되는 최소 공차 간격을 초과할 수 없을 정도까지 "멈취진"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예를 들면, 상호적으로 다른 기능적 자유도를 가지는 두 구성요소들 사이의 병진 운동을 멈추게 하기 위해, 멈춰지는 병진 운동의 방향으로 0.04 내지 0.2 mm의 최대 공차 간격이 허용된다.
가장 유리한 조합을 결정하도록 자유도 및/또는 차단도를 위해 각각의 링크와 각각의 링크 사이의 상호작용들이 연구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런 분석은 쉽지 않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도입 부분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의 다중 차단은 부품들에서 그것의 마모를 촉진하는 제약조건들의 개발을 야기할 수 있고, 그리고, 대조적으로, 과도한(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예상되는 기능과 관련하여) 자유도는 방해를 받는 상태에서 장치의 고장을 야기할 수 있는 점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에 의해 수행된 프로토타입 및 이를 통한 연구들은 그로 인해 방금 전술된 트랜스미션 장치(1)의 어떤 메인 링크들이, 이하의 사이에서 정교하게 결정되어야 하는 점을 보여준다:
- 연소 피스톤(2) 및 트랜스미션 부재(3)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 및 실린더 하우징(100) 사이의 링크.
- 기어(5) 및 커넥팅 로드(6) 사이의 링크.
- 기어(5) 및 트랜스미션 부재(3) 사이의 링크.
- 기어(5) 및 제어 부재(7) 사이의 링크.
이 링크들 각각의 정확한 특성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하의 문단에서 상세히 개시된다.
연소 피스톤(2) 및 트랜스미션 부재(3)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 및 실린더 하우징(100) 사이의 링크(A).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 피스톤(2) 및 트랜스미션 부재(3)의 어셈블리는 주 방향으로 실린더 하우징(10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링크(A)된다.
본질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슬라이딩 링크는 5개의 차단도를 제공하고 단일 병진 운동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따라서 주 방향으로 병진 이외의 트랜스미션 부재(3)의 어떠한 운동은 멈춰져야 한다. 다시 말해서, 링크장치(4)는 주 방향으로 병진 이외의 트랜스미션 부재(3)의 다른 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보다 구체적으로 트랜스미션 부재(3)의 연소 실린더(110) 및 이 실린더의 내부 벽에서 마찰을 유도하는 연소 피스톤(2)에서 선회 운동의 차단과 관련된다
링크의 부품들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런 슬라이딩 링크(A)는 바람직하게, 이하와 같이 세분화된다:
- 연소 피스톤(2) 및 중심이 주 방향으로 피스톤(2)에 의해 형성되는 연소 실린더(110) 사이의 환형 리니어 링크(A1).
- 트랜스미션 부재(3) 및 실린더 하우징(100)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맞춤 링크(A22)에 결합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직선 리니어 링크(A21).
환형 리니어 링크(A1)는 다른 모든 운동은 자유롭게 하고, 연소 피스톤(2)의 횡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2 방향으로의 병진 운동에 저항한다. 이는 연소 실린더(110)의 접촉면들과 연소 피스톤(2)의 접촉면들 사이의 최소의 마찰을 보장한다.
직선 리니어 링크(A21)는 트랜스미션 부재(3)의 횡 방향으로의 병진 운동과 연소 실린더(110)의 주 축을 따르는 회전 운동에 저항한다.
결국, 맞춤 링크(A22)는 길이 방향으로 트랜스미션 부재(3)의 병진 운동에 저항하는 슬라이딩 링크의 5번째의 차단도를 제공한다.
이는 유일하게 자유롭게 유지되는 실린더 하우징(100)에 상대적인 연소 피스톤(2) 및 트랜스미션 부재(3)에 형성된 어셈블리의 주 방향으로 병진 운동을 보장한다. 따라서 연소 피스톤의 스커트 및 실린더에서의 마찰은 방지되거나 제한된다. 이런 부재의 다른 5개의 가능한 자유도는 차단되고, 따라서 과도한 마찰 및/또는 소음 동작, 또는 그것의 마모를 야기할 수 있는 상황을 야기할 수 있는 부품들로의 어떠한 변형도 피할 수 있다.
기어(5) 및 트랜스미션 부재(3) 사이의 링크(C)
기어(5)가 트랜스미션 부재(3)에 형성된 대형 랙과 맞물리는 점이 상기되어야 한다. 이 점에서, 기어(5) 및 트랜스미션 부재(3) 사이의 링크(C)는 제1랙 및 피니언 링크를 포함한다.
이 랙 및 피니언 링크는 직선 리니어 링크로 정의될 수 있는데, 기어 톱니(toothing)는 톱니의 피치 원을 통과하는 기어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으로 표시되고 랙 톱니는 이의 압력 각, 보통 20°을 따르는 평면으로 표시된다. 이 링크는:
- 동일한 것을 정의하는 평면에서 2개의 병진 자유도
- 선의 방향에 의해 정의된 축을 위한 하나, 링크를 특징짓는 평면에 수직인 방향에 의해 정의된 다른 하나 2개의 회전 자유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어(5) 및 트랜스미션 부재(3) 사이의 링크(C)는 주 방향으로 배치된 환형 리니어 링크를 더 포함한다.
링크들의 이런 결합은 기어(5) 및 트랜스미션 부재(3) 사이에서 길이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상대적인 병진 운동의 차단을 야기하고, 트랜스미션 부재(3)에 상대적인 기어(5)의 메인 축 방향과 길이 방향을 따르는 회전 운동 및 메인 축을 따르는 병진 운동을 허용을 야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어(5)는 기어(5) 또는 제어 부재(7) 상의 중요한 제약조건을 유발하지 않고 트랜스미션 부재(3)의 대형 랙 상에서 중심을 유지하여야 한다. 기어(5) 및/또는 트랜스미션 부재(3)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심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알려진 해결수단에서, 트랜스미션 부재(3) 상의 기어(5)의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은 가능했었다. 이런 목적을 위해, 기어(5)의 이의 폭은 이런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감소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링크(C)에 의한 이런 병진 운동의 차단은 기어(5)의 이의 폭을 최적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트랜스미션 장치(1)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최대화되게 한다. 따라서 엔진 성능은 구성요소들의 전체 치수가 변화하지 않기 위해 개선된다(가장 성능이 뛰어난 엔진 토크 및 보다 높은 평가).
기어(5) 및 제어 부재(7) 사이의 링크(D)
트랜스미션 장치는 연소 실린더(110)에서 피스톤 행정의 단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부재(7)를 더 포함한다.
기어(5) 및 제어 부재(7) 사이의 링크(D)는 주 방향으로 배치된 환형 리니어 링크를 포함한다. 제어 부재(7)에는 기어(5)를 결합하는 대형 랙을 구비하고, 링크는 랙 및 피니언 링크를 더 포함한다.
이 링크의 위치는 위에서 보여진 링크(C)의 것과 완전히 유사하다. 그리고, 이로 인해 기어(5) 및/또는 제어 부재(7)는 역시, 서로에 대해서도 중심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링크들의 이런 결합은 기어(5) 및 제어 부재(7) 사이에서 길이 방향 및 횡방향으로 상대적인 병진 운동의 차단을 야기하고 트랜스미션 부재(3)에 상대적인 기어(5)의 메인 축 방향과 길이 방향을 따르는 회전 운동 및 메인 축을 따르는 병진 운동을 허용을 야기한다.
따라서 문제는 제약조건이 기어(5)에 적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전의 링크들이 동일하게 유지하는 평면으로부터 같이 이동하는 것을 야기하는 것이다.
링크들(A,C, 및 D)의 결합은 트랜스미션 부재(3), 기어(5) 및 제어 부재(7)를 실린더 하우징(100)에 대해 결정된 위치에서 정렬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어(5) 및 커넥팅 로드(6) 사이의 링크(B)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어(5) 및 커넥팅 로드(6) 사이의 링크(B)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환형 리니어 링크를 포함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환형 리니어 링크는 2개의 병진 운동을 방해한다. 이 경우에, 문제는 기어(5)에 대해 커넥팅 로드(6)의 메인 및 교차 방향으로 병진을 방해하는 것이다. 모든 다른 이동은 자유롭다.
기어에 대한 커넥팅 로드의 회전은 기어의 축의 주 방향으로의 병진 운동을 길이 방향의 축을 따르는 크랭크축(9)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이 요구된다.
기어(5)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의 커넥팅 로드 눈(61)의 병진 운동은, 연소 실린더(110)에 대해 크랭크축(9)의 차등 팽창의 결과로서, 로드 헤드(64)가 움직일 때, 커넥팅 로드(6)를 연소 실린더(110)의 축과 평행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트랜스미션 장치(1)에서 링크(6)의 평형 위치는 커넥팅 로드 베어링의 마모를 또한 방지 또는 제한 가능하게 하고 최대 동력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링크(B)는 커넥팅 로드(6) 및 기어(5) 사이에서 길이방향의 축, 횡방향의 축 및 메인 축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마지막 두 회전들(횡방향 축 중심 및 메인 축 중심)은 예를 들면 연소 실린더(110) 및 크랭크축(9) 사이에서 존재할 수 있는 수직 결함(perpendicularity defects)을 보완하고, 그리고 이 경우에 또한, 트랜스미션 장치(1)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킨다.
보다 일반적으로, 기어(5) 및 커넥팅 로드(6) 사이의 환형 리니어 링크(B)는 장치의 "낮은" 운동 부재들(커넥팅 로드(6), 크랭크축(9))의, 제1평면과 다르고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평면에서의 포지셔닝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장치(1)의 "높은" 운동 부재들(연소 피스톤(2), 트랜스미션 부재(3), 기어(5) 및 제어 부재(7))의, 제1평면에서, 포지셔닝을 해체 가능하게 한다.
엔진이 구동하고 기어(5)의 트랜스미션 부재(3) 및 제어 부재(7)와의 정렬 상태에 있는 방해로부터 독립적일 때, 상술한 링크들(A,B,C, 및 D)의 결합은 촉진을 야기한다. 기어(5) 및 커넥팅 로드(6) 사이의 링크는, 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기어(5)가 길이 방향 축을 따라서 크랭크축(9)의 움직임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방해하도록 충분히 자유롭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트랜스미션 장치(1)의 운동 부재들은 실린더 하우징(100)의 벽들과 관련된 길이 방향 축을 따라서 모두 위치되고, 종래 기술의 서술된 해결 수단에서의 경우에서와 같이, 커넥팅 로드를 통하여, 크랭크축(9)의 위치에 대하여 상대적이지 않다.
제어 부재(7) 및 실린더 하우징 (100) 사이의 링크(E)
제어 부재(7) 및 실린더 하우징(100) 사이의 링크(E)는, 그것의 하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직선 리니어 링크(E1)를 포함한다. 연결 구성요소(4')는 이 링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링크는 일면으로는 실린더 하우징(100)에 대해 제어 부재(7)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다른 일면으로는 이 부재의 메인 축, 즉 위에서 정의된 주 방향, 중심의 회전 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2개의 차단 자유도를 구비한다.
이 링크는 엔진을 트랜스미션 부재(7)의 주 방향으로 동작시키도록 요구되는 병진 운동을 자유롭게 하는 것을 또한 가능하게 한다.
횡방향으로 운동 부재들 사이에서 존재할 수 있는 기하학적 결함을 흡수하기 위해, 예를 들면 유럽 특허 EP1740810, EP1979591 또는 2014년 10월 13일의 프랑스 특허출원 FR14/59791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링크(E1)는 작동 간격 보정 시스템(running clearance compensating system)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어 부재(7)는 제어 실린더(112)에서 가이드되는 제어 피스톤(12)에 고정된다. 링크(E)는 환형 리니어 특성을 구비하고 주 방향으로 제어 피스톤(12)에 의해 형성된 중심을 구비하는 제어 실린더(112) 및 제어 피스톤(12) 사이의 링크(E2)를 또한 포함한다.
하지만, 주어진 속도 조정을 위해, 즉, 제어 피스톤(12)의 위치가 제어 실린더(112)에 고정될 때, 링크(E2)는, 차단된 주 방향으로 병진 자유도를 구비하여서, 단순한 볼 조인트로 축소시킨다.
이런 구성에서, 정점을 통과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그리고 횡 방향으로 실린더 하우징(100)에 대한 제어 부재(7)의 회전 운동은 보존된다. 이 움직임은 기계적인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트랜스미션 장치의 동작 동안에 발달되는 방해의 흡수를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링크들(A,C, 및 D)과 결합하는 링크들(E1, E2)의 결합은, 제어 부재(7) 및 제어 피스톤(12)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 및 실린더 하우징(100) 사이의 슬라이딩 링크를 보장한다.
제어 부재(7) 및 실린더 하우징 (100) 사이의 링크(E')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변형례에 의하면, 제어 부재(7) 및 실린더 하우징(100) 사이의 링크(E')는, 그것의 하부에서, 주 방향으로 배치된 환형 리니어 링크(E'1)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 구성요소(4)는 그러한 링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링크는 일면으로는 실린더 하우징(100)에 대해 제어 부재(7)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다른 일면으로는 길이 방향으로 제어 부재(7)의 하부의 병진 운동을 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2개의 차단 자유도를 구비한다.
이 링크는 엔진을 제어 부재(7)의 주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요구되는 병진 운동 및 주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어 부재의 회전 운동을 자유롭게 유지하는 것을 또한 가능하게 한다.
변형례(E)와 유사하게, 링크(E'1)는 작동 간격 보정 시스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링크(E')는 주 방향으로 제어 피스톤(12)에 의해 형성된 중심과 환형 리니어 특성을 구비하는 제어 실린더(112) 및 제어 피스톤(12) 사이의 링크(E'2)를 또한 포함한다.
하지만, 그리고 변형례(E)와 유사하게, 주어진 속도 조정을 위해, 이 링크(E'2)는 차단된 주 방향으로 병진 자유도를 구비하여서, 단순한 볼 조인트로 축소시킨다.
이런 구성에서, 주 방향으로 정점을 통과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실린더 하우징(100)에 대한 제어 부재(7)의 회전 운동은 보존된다. 이 움직임은 기계적인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해의 흡수를 가능하게 한다.
바로 앞서 개시된, 링크들(A,C, 및 D)과 결합하는 링크들(E'1, E'2)의 결합은, 제어 부재(7) 및 제어 피스톤(12)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 및 실린더 하우징(100) 사이의 슬라이딩 링크를 보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
도 3a, 3b, 3c, 및 3d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랜스미션 장치(1)의 특정 실시예를 보여준다.
연소 피스톤(2)은 가이드 스커트(23)를 구비한다. 가이드 스커트(23)가 연소 실린더(110)의 직경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경우일 때, 연소 피스톤(2) 및 연소 실린더(110) 사이의 링크는 그들 사이에서 환형 리니어 링크(A1)를 형성한다.
연소 피스톤(2)은 그 자체로 잘 알려진 스캐래퍼링, 압축링, 및 상단 압축링을 수용하는 홈을 구비하는 두꺼운 디스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링크의 품질은 가이드 스커트(23)에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의 강도를 제한하는 다소 볼록한 모양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실린더 하우징(100)의 벽(100) 및 트랜스미션 부재(3) 사이의 링크가 연결장치(4)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장치(4)는 리니어 환형 링크(A1) 및 맞춤 링크(A22)를 제공한다.
연결장치(4)는 원통형 바디로 구성되는 롤러(40)를 포함하고 플레이트(41)의 각각의 면(48, 38)이 지지되고, 실린더 하우징(100) 및 트랜스미션 부재(3)로 고정된다. 롤러(40)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직선 리니어 링크(A21)를 제공한다. 연소 피스톤(2) 및 롤러(40)의 운동을 동기화하기 위해, 롤러(40)는 일 단에서 수직 모서리 상의 플레이트(41)에 관련된 랙(46)과 결합되는 기어(44)를 구비할 수 있다. 롤러의 제1 및/또는 제2피니언(44)은 트랜스미션 부재(3)의 랙(37)과 또한 맞물릴 수 있다. 맞춤 링크(A22)는 롤러(40)의 원통형 바디(42)에 가이드 리브(43)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43)는 피니언들(44) 사이의 원통형 바디의 가운데에 놓여질 수 있다. 가이드 리브(43)는, 일면으로는, 플레이트(41)에 형성된 제1수직홈(49) 및 트랜스미션 부재(3)의 면(38)에 형성된 제2수직홈(31)에서 수용되도록 디자인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롤러(40)의 가이드 리브(43)가 홈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홈들(49, 31)이 2개의 가이드 리브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도 4 및 5에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기어(5)는 하나의 부품으로 조립되는 2개의 반 기어들(R1, R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들은 내부에서 트랜스미션 축(62)에 의해 커넥팅 로드(6)를 위치시키기 위한 구멍(50)이 개방되는 중심홀(53)을 구비한다.
트랜스미션 축(62) 상에서 커넥팅 로드의 병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팅 로드 눈(61)의 측면들 및 중심홀의 내부면들 사이를 간격 두고 배치하는 것에 의해 기어(5) 및 커넥팅 로드(6) 사이의 환형 리니어 링크(B)는 제공된다.
트랜스미션 축(62)을 수용하는 커넥팅 로드 눈(61)의 구멍(63)에 라운드진 윤곽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제공된다. 이 윤곽은 주방향 및 횡방향 회전축을 따라서 커넥팅 로드(6)의 선회를 가능하게 한다. 커넥팅 로드(6)는 도 6에서 도시된다.
기어(51)는 트랜스미션 부재(3)의 대형 랙(35)의 이(34)에 맞물리는 제1톱니를 포함한다. 그것은 제어 부재(7)의 대형 랙(73)에 맞물리는 제2톱니(52)를 포함한다. 기어(5) 사이의 이런 배열, 및 각각, 제어 부재(7) 및 트랜스미션 부재(3)는 위에서 개시된 랙 및 피니언 링크들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런 배열은 기어(5)가 대형 랙(35, 73) 상에서 중심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환형 리니어 링크(C, D)를 또한 구비한다. 이런 추가적인 링크는 종래의 알려진 해결 수단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다. 각각의 톱니(51, 52)는 기어(5)의 피치 원과 동축의 홈(54)을, 가운데에서 구비한다. 각각의 홈(54) 내부에서, 볼록한 윤곽을 갖는 롤 밴드(55)가 고정된다. 예를 들면 도넛 형상(toroidal shaped)의 롤 밴드일 수 있다. 트랜스미션 부재(3) 및 제어 부재(7) 각각은 궤도(30, 70)를 각각 구비하는데, 롤 밴드(55)의 볼록한 부분과 매칭되는 U 형상은 도 3d에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볼록한 부분을 접촉하고 수용하도록 디자인된다.
대안적인 해결방안으로서, 트랜스미션 부재(3) 및 제어 부재(7)의 궤도들(30, 70)은 볼록할 수 있고, 기어(5)의 롤 밴드(55)는 매칭되는 U형상을 가진다.
도 4 및 5에서, 구멍(50)에 위치된 기어(5)의 회전축은 기어(5)의 피치원의 중심에 위치된다. 이 구성은 제어 부재(7)를 통해서만 엔진 압축비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연소 피스톤(2)의 운동학을 다양하게 하고 그것에 의하여 엔진의 제어를 얻기 위해서 기어(5)의 피치원의 중심의 회전 축을 옮기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및 7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어 구성(7)은 제어 피스톤(12)으로 고정된다. 볼록한 윤곽을 가질 수 있는, 제어 실린더(112)의 내부 면에 접촉하는 제어 피스톤(12)의 부분은 환형 리니어 링크(E2)를 형성한다.
이런 도면들에서, 실린더 하우징(100)는 엔진의 운동 부재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작동 간격을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가압 장치(90)를 또한 구비한다. 본 발명의 범위 이내에서, 가압 장치(90)는 실린더 하우징(100)의 일체화된 부분이라고 가정될 것이다.
제어 부재(7)는 실린더 하우징(100)의 가압 장치(90)와 연결된다.
이 링크의 구현의 바람직한 해결 수단에 대응되는 도 7은 길이 방향(E1)으로 일직선 리니어 링크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도면에서, 제어 부재(7)는 가압 장치(90)의 피스톤의 평평한 면과 접촉하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원통형의 지지면을 구비한다. 도시되지 않은 대체 가능한 해결 수단에서, 길이 방향 축을 따르는 원통형 면은 가압 장치의 피스톤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제어 부재(7) 상에 형성되는 평평한 면과 접촉될 수 있다.
도 7a는 이 링크의 실행수단의 바람직한 해결 수단의 변형례에 대응되는 환형 리니어 링크(E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형 부분으로 이루어진 바디(91)는 볼 조인트에 3개의 주 방향, 횡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서 회전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매칭 홀과 결합한다. 대형 톱니 반대편의 면 상에서, 제어 부재(7)는 내부에 바디(91)의 탭이, 구형 부분의 반대편의 측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홈을 구비한다. 이는 길이 방향의 축을 따르는 병진 운동을 차단하는데, 횡방향 축을 따르는 병진 운동은, 물론, 가압 장치(100)의 실린더 하우징에 접촉하는 제어 부재(7)에 의해 막혀진다. 물론, 홈을 바디(91) 상에 위치시키고, 탭을 제어 부재(7)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예로서 전술한 트랜스미션 장치(1)의 소정의 운동 부재들의 평형 위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종래기술의 엔진의 경우에 도 1b에서 보여진 구성요소에 의해 취해진 위치와는 대조적으로, 각각의 엔진 실린더-어셈블리:
- 연소 피스톤(2a, 2b, 2c) 및 트랜스미션 부재(3a, 3b, 3c)은 주 방향으로 배향되고, 따라서 연소 실린더(110)와의 마찰을 제한하고;
- 기어(5a, 5b, 5c)는 트랜스미션 부재(3a, 3b, 3c)의 중심에 있고;
- 커넥팅 로드(6a, 6b, 6c)는 주 방향으로 또한 배향되고, 따라서 힘의 효율적인 전달을 제공하고 커넥팅 로드 베어링 상의 마모를 제한한다는 점은 주목될 수 있다.
이런 구체적인 예에서 팽창과 관련된 상단 운동 부재들 및 하부 운동 부재들 변위에 의해 야기된 방해에도 불구하고 트랜스미션 장치(1)의 보여진 부재들은 실린더 하우징(100)에 대해 결정된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 도 8에서 보여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서술된 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들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형들이 실시예들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가변의 압축비 및 가변 배기량 중에서 하나 이상을 갖는 엔진용 트랜스미션 장치(1)로서,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1)는 실린더 하우징(100) 내에,
    - 상기 엔진의 연소 실린더(110)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트랜스미션 부재(3)에 고정되는 연소 피스톤(2);
    - 트랜스미션 부재(3)의 대형 랙과 맞물리고, 엔진의 크랭크축(9) 및 상기 연소 피스톤(2) 사이에서 동력의 전달을 제공하는 기어(5);
    - 상기 기어(5)와 제1단에서 결합하고, 상기 크랭크축(9)과 제2단에서 결합하는 커넥팅 로드(6); 및
    - 기어(5)에 결합하고 제어 피스톤(12)에 고정되는 제어 부재(7)를 포함하고,
    - 크랭크축(9)의 주축은 길이 방향을 정의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1)는:
    - 상기 연소 피스톤(2) 및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3)가 주 방향으로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링크(A)를 형성하고, 상기 주 방향은 상기 연소 실린더의 축에 의해 정의되고, 횡방향은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주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의해 정의되고, 슬라이딩 링크(A)는 5개의 차단도를 제공하고 상기 주 방향으로 단일 병진 운동을 허용하고;
    - 상기 기어(5) 및 상기 커넥팅 로드 사이의 링크(B)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환형 리니어 링크이고, 상기 환형 리니어 링크는 주 방향 및 횡방향으로 상대적인 병진 운동을 차단하고 모든 방향을 따르는 회전 운동과 길이 방향으로의 병진 운동을 허용하고;
    - 상기 기어(5) 및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3) 사이의 링크(C)는 랙, 피니언 및 주 방향으로 배치된 환형 리니어 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C)는 길이 방향 및 횡방향으로 상대적인 병진 운동을 차단하고 길이 방향 및 주 방향을 따르는 회전 운동을 허용하고;
    - 상기 기어(5) 및 상기 제어 부재(7) 사이의 링크(D)는 랙, 피니언 및 주 방향으로 배치된 환형 리니어 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D)는 길이 방향 및 횡방향으로 상대적인 병진 운동을 차단하고 길이 방향 및 주 방향을 따르는 회전 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링크(A)는 :
    - 상기 연소 피스톤(2) 및 상기 연소 실린더(110) 사이에 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소 피스톤(2)에 의해 형성되는 중심을 구비하는 리니어 환형 링크;
    -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3)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맞춤 링크 및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직선 리니어 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리니어 환형 링크는 길이 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상대적인 병진 운동을 차단하고 모든 다른 운동을 허용하고,
    상기 직선 리니어 링크는 횡방향으로의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3)의 병진 운동을 차단하고 주 방향을 따르는 회전 운동을 허용하고,
    상기 맞춤 링크는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3)의 병진 운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장치(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3)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 사이의 직선 리니어 링크는 실린더 하우징(100)의 플레이트(41) 및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3) 위의 롤러(40) 베어링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장치(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3)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 사이의 맞춤 링크는 리브(43) 및 상기 리브(43)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이드 홈(31)을 포함하고, 하나는 상기 롤러(40)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장치(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5)는 중심홀(53)을 구비하고 구멍(50)은 커넥팅 로드 눈(61)의 구멍(63)을 통해 수용되는 트랜스미션 축(62)에 의해 커넥팅 로드 눈(61)의 포지셔닝을 위해 개방되고 상기 기어(5) 및 상기 커넥팅 로드(6) 사이의 상기 환형 리니어 링크(B)는 :
    - 상기 트랜스미션 축(62) 상의 상기 커넥팅 로드 병진 운동을 위한 상기 커넥팅 로드(6)의 측면들 및 상기 기어(5)의 중심홀(53)의 내부면들 사이에 간격을 두는 것;
    - 상기 중심홀(53) 내에서 상기 커넥팅 로드(6)의 선회를 위한 상기 커넥팅 로드 눈(61)의 구멍(63)의 라운드진 윤곽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장치(1).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5) 및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3) 사이의 상기 환형 리니어 링크(C)는 하나가 다른 하나에서 결합되는 볼록하고 U 형상인 트랜스미션 부재(3)의 궤도(30)에 접촉하는 기어(5)의 롤 밴드(55)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장치(1).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5) 및 제어 부재(7) 사이의 상기 환형 리니어 링크(D)는 하나가 다른 하나에서 결합되는 볼록하고 U 형상인 제어 부재(7)의 궤도(70)에 접촉하는 기어(5)의 롤 밴드(55)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장치(1).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은 작동 간격을 보상하기 위한 가압 장치(9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장치(1).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77019230A 2014-12-12 2015-12-09 가변의 압축비 및/또는 가변 배기량을 가지는 엔진용 트랜스미션 장치 KR102124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62389A FR3029977B1 (fr) 2014-12-12 2014-12-12 Dispositif de transmission d'un moteur, notamment pour un moteur a taux de compression et/ou a cylindree variable.
FR1462389 2014-12-12
PCT/FR2015/053391 WO2016092211A2 (fr) 2014-12-12 2015-12-09 Dispositif de transmission d'un moteur, notamment pour un moteur a taux de compression et/ou a cylindree vari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045A KR20170118045A (ko) 2017-10-24
KR102124890B1 true KR102124890B1 (ko) 2020-06-19

Family

ID=5246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230A KR102124890B1 (ko) 2014-12-12 2015-12-09 가변의 압축비 및/또는 가변 배기량을 가지는 엔진용 트랜스미션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787960B2 (ko)
EP (1) EP3230569B1 (ko)
JP (2) JP2018505335A (ko)
KR (1) KR102124890B1 (ko)
CN (1) CN107438706B (ko)
ES (1) ES2774954T3 (ko)
FR (1) FR3029977B1 (ko)
WO (1) WO201609221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5195A (zh) * 2016-09-09 2016-12-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风口板调节机构及具有其的空调器
FR3081525B1 (fr) * 2018-05-25 2020-05-08 MCE 5 Development Vilebrequin pour un moteur a rapport volumetrique variable pilote
FR3081929B1 (fr) 2018-06-04 2020-09-18 MCE 5 Development Dispositif de chemise pour verin de commande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FR3081928B1 (fr) * 2018-06-04 2021-01-15 MCE 5 Development Assemblage multifonctionnel incluant une platine de synchronisation pour le guidage d’un piston de combustion dans un moteur a taux de compression variable
CN112177772A (zh) * 2020-08-26 2021-01-05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活塞防撞击结构及可变压缩比发动机
US11603911B2 (en) * 2021-03-12 2023-03-14 Proseal Uk Limited Rotary to linear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0970A (en) * 1976-11-10 1979-10-16 Mccandless John H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4034808C2 (de) 1989-11-10 2001-08-23 Volkswagen Ag Kurbeltrieb, insbesonder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H08498Y2 (ja) * 1989-11-22 1996-01-10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構造
JPH0633935A (ja) * 1992-07-15 1994-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成形軸受
JPH10299780A (ja) 1997-04-29 1998-11-10 Daido Metal Co Ltd すべり軸受
FR2763097B1 (fr) * 1997-05-09 1999-09-03 Vianney Paul Rabhi Dispositif permettant de controler la position de la cremaillere de commande d'un moteur a cylindree variable
FR2786530B1 (fr) 1998-11-26 2001-01-19 Vianney Rabhi Dispositif de transmission mecanique pour moteur a cylindree variable
FR2810696B1 (fr) * 2000-06-22 2002-12-1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Moteur a combustion interne a rapport volumetrique et cylindree variables
FR2827634B1 (fr) 2001-07-18 2003-10-03 Vianney Rabhi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dispositifs de transmission mecanique pour moteur a cylindree variable
FR2867515B1 (fr) 2004-03-11 2006-06-02 Vianney Rabhi Dispositif de reglage pour moteur a rapport volumetrique variable
CA2598967C (en) * 2005-02-24 2010-10-05 John W. Fitzgerald Variable stroke premixed charg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FR2896553B1 (fr) * 2006-01-26 2008-05-02 Vianney Rabhi Vilbrequin pour moteur a rapport volumetrique variable.
FR2896535B1 (fr) * 2006-01-26 2008-05-02 Vianney Rabhi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et de lubrification par projection d'huile pour moteur a rapport volumetrique variable
FR2896539B1 (fr) * 2006-01-26 2008-05-02 Vianney Rabhi Dispositif presseur pour moteur a rapport volumetrique variable.
FR2914950B1 (fr) * 2007-04-16 2012-06-15 Vianney Rabhi Dispositif permettant de mesurer directement sur le piston le rapport volumetrique effectif d'un moteur a taux de compression variable.
FR2914951B1 (fr) * 2007-04-16 2012-06-15 Vianney Rabhi Dispositif electrohydraulique de pilotage en boucle fermee du verin de commande d'un moteur a taux de compression variable.
FR2933141B1 (fr) * 2008-06-27 2011-11-11 Vianney Rabhi Dispositif de levee de bille a vis pour moteur a taux de compression variable.
US8220422B2 (en) * 2009-08-25 2012-07-17 Manousos Pattakos Rack gear variable compression ratio engines
FR2956452B1 (fr) * 2010-02-17 2012-04-06 Vianney Rabhi Compresseur a piston a double effet guide par un rouleau et entraine par une roue dentee et des cremailleres
FR2984399B1 (fr) * 2011-12-16 2014-01-31 MCE 5 Development Piste de roulement a fixation par clip pour moteur a taux de compression variable
US9316251B2 (en) * 2011-12-19 2016-04-19 Mce-5 Development Clip-fastened raceway for a variable compression ratio engine
US9464661B2 (en) * 2012-09-27 2016-10-11 W. H. Barnett, JR. Pony rod, connecting rod, and crosshead assemblies and method
FR3027051B1 (fr) 2014-10-13 2016-11-25 MCE 5 Development Dispositif de compensation des jeux de fonctionnement d'un mote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0569B1 (fr) 2019-12-04
CN107438706A (zh) 2017-12-05
US20170350316A1 (en) 2017-12-07
JP2018505335A (ja) 2018-02-22
WO2016092211A2 (fr) 2016-06-16
WO2016092211A3 (fr) 2016-08-25
US20200378301A1 (en) 2020-12-03
CN107438706B (zh) 2020-07-07
EP3230569A2 (fr) 2017-10-18
US11512628B2 (en) 2022-11-29
ES2774954T3 (es) 2020-07-23
US10787960B2 (en) 2020-09-29
FR3029977A1 (fr) 2016-06-17
JP2021046861A (ja) 2021-03-25
FR3029977B1 (fr) 2018-11-30
KR20170118045A (ko)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890B1 (ko) 가변의 압축비 및/또는 가변 배기량을 가지는 엔진용 트랜스미션 장치
JP5912360B2 (ja) ロッキングジョイントアセンブリ
US7575535B2 (en) Friction drive device and transmission using the friction drive device
CN102046466B (zh) 支撑组件
US4433596A (en) Wabbler plate engine mechanisms
KR20010080573A (ko) 가변 체적 변위형 엔진을 위한 기계식 동력 전달 장치
US7891327B2 (en) Valve-stroke controls
EP2546480A1 (en) Tappet roller bearing
CN108026911A (zh) 压缩空气供应装置的双活塞压缩机
JP5971422B2 (ja) 内燃機関の複リンク式ピストンクランク機構
EP3048350B1 (en) Butterfly valve with modified scotch yoke connection
WO2006091752A2 (en) Lash adjustment for piston rollers
US4688439A (en) Wabble plate engine mechansim
JP6218963B2 (ja) 燃料高圧ポンプ及び圧力制御装置
US9243556B2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vehi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7239791A (ja) 複リンク式エンジンの軸受構造
CN105452605A (zh) 用于液流机械的可变几何形状功率转化
US2807253A (en) Poppet valve guide
CN204041145U (zh) 驱动装置
RU2411407C2 (ru) Шатунно-поршневая группа
JP2015075114A (ja) デスモドロミック型弁制御装置
JP4103228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5321724B2 (ja) リンク機構の軸受構造
RU2730196C1 (ru) Десмодромный кулачковый привод клапана газ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механизма с регулировкой степени открытия клапана
RU2387843C1 (ru) Кривошипно-кулисная поршневая маши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