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797B1 -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 Google Patents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797B1
KR102124797B1 KR1020200015156A KR20200015156A KR102124797B1 KR 102124797 B1 KR102124797 B1 KR 102124797B1 KR 1020200015156 A KR1020200015156 A KR 1020200015156A KR 20200015156 A KR20200015156 A KR 20200015156A KR 102124797 B1 KR102124797 B1 KR 102124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mperature
power input
circuit break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찬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74Means for adjust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device will function to provide protection
    • H01H71/7427Adjusting only the electrotherm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발열시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배치되고, 전단부에 상기 전원입력부에 접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연결대면부가 형성된 연결판부가 구비된 가동스위칭부; 일측에 상기 가동스위칭부의 전단측이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가 형성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크로스바; 상기 가동스위칭부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전후 회전되되 전면부에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되는 트립부; 전단부가 상기 크로스바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되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가동스위칭부가 접점 연결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래치부;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 회전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 핸들부; 및 중앙부가 상기 연결판부의 전단부 상측에 연결되되 폭방향 양단부가 하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양단부가 상호 대향되는 내측방향으로 회전 변형되며 상기 하우징부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판부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면이 상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 바이메탈을 포함하는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bending press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발열시 안전성이 개선되는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가 흐르거나 회로 내에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전기선로의 개폐조작을 신속하게 전환시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제품 및 선로의 파손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차단기는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해 구동되며, 바람직하게는 과전류가 발생시 자동으로 전류가 단락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에는 열팽창율이 다른 두 금속판을 붙여 놓고 과전류로 인한 열이 가해질 경우 열팽창율이 작은 쪽으로 휘는 특성을 이용한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는 통상 회로에 전류가 공급되면 저항이 발생하여 상기 바이메탈이 가열되고, 일정한 기준 이상의 과다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바이메탈이 휘어지면서 인접하여 닿아있는 트립부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의 하부에 결합된 접촉단자가 입력터미널로부터 이격되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는 구조로 구동된다.
그러나, 종래의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는 내부의 결함 또는 외부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차단기의 케이스 내부에 높은 발열이 발생하더라도 차단기가 전류 흐름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단기의 주변온도에 관계없이 차단기가 단순히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만을 제공하므로 내부 결함시나 외부 화재 발생시 2차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142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발열시 안전성이 개선되는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배치되고, 전단부에 상기 전원입력부에 접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연결대면부가 형성된 연결판부가 구비된 가동스위칭부; 일측에 상기 가동스위칭부의 전단측이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가 형성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크로스바; 상기 가동스위칭부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전후 회전되되 전면부에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되는 트립부; 전단부가 상기 크로스바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되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가동스위칭부가 접점 연결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래치부;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 회전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 핸들부; 및 중앙부가 상기 연결판부의 전단부 상측에 연결되되 폭방향 양단부가 하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양단부가 상호 대향되는 내측방향으로 회전 변형되며 상기 하우징부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판부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면이 상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 바이메탈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연결판부의 전단부 폭방향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대향되는 폭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경사안내면이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경사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의 절곡된 양단부는 각 상기 경사안내면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열팽창계수에 의해 중앙부와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회전 변형되어 각 상기 경사안내면을 가압하며 내측방향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에 관계없이, 하우징부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 상승시 온도감지 바이메탈 양단부가 중앙부와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방향으로 회전 열변형되며 하우징부를 가압하여 연결판부가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므로 화재시 전류 흐름을 차단하여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둘째, 온도감지 바이메탈의 절곡된 양단부가 회전 열변형되어 하우징부에 폭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안내면을 가압하며 내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연결판부가 연동 상향 견인되어 전류 흐름을 차단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각 경사안내면의 폭방향 내측단으로부터 스토퍼돌기부가 상향 연장 돌설되어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온도감지 바이메탈의 절곡된 양단부가 면접촉 걸림됨에 따라 회전 범위가 제한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온 상태에서 전원입력부와 가동스위칭부가 상호 접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온 상태에서 전원입력부와 가동스위칭부가 상호 접점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오프 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온 상태에서 전원입력부와 가동스위칭부가 상호 접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온 상태에서 전원입력부와 가동스위칭부가 상호 접점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오프 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에서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커버가 분리되어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예로써 나타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와 차단기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200)는 하우징부(110), 가동스위칭부(20), 크로스바(30), 트립부(40), 래치부(50), 핸들부(60) 및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110)는 상기 차단기(200)의 구성부품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절연성 및 불연성의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부(110)의 내부에는 각 구성부품이 설치 및 조립되도록 구획격벽, 설치홈 또는 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측에는 전원측에 접속되는 전원입력부(111)가 구비되며 후측에는 부하측과 연결되는 부하출력부(112)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입력부(111)에는 고정접점부(1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스위칭부(20)는 상기 전원입력부(111)와 상기 부하출력부(112) 사이에 선택적인 전원연결을 위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스위칭부(20)는 연결판부(21)와 연장판부(2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결판부(21)는 전단부가 상기 고정접점부(113)와 인접하되 후방으로 연장된 연결대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면부(23)의 전단부에는 상기 고정접점부(113)와 접점 연결되는 가동접점부(25)가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판부(21)는 상기 연결대면부(23) 및 그의 전단측에 구비된 상기 가동접점부(25)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대면부(23)는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상기 고정접점부(113)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전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판부(22)는 후단부가 상기 연결판부(21)의 후단부에 접촉 연결되되 상기 연결판부(21)와 교차되는 상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전단부에 연장대면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면부(23)의 후단부와 상기 연장대면부(24)의 후단부는 중첩되되 나사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110)에 고정된다. 이러한 연장판부(22)는 상기 연결대면부(23)와 마찬가지로 전도성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전선(115)을 통해 상기 부하출력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고정접점부(113)와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접촉되며, 상기 전원입력부(111), 상기 연결판부(21), 상기 연장판부(22), 상기 전선(115) 및 상기 부하출력부(112)를 거쳐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면부(23)와 상기 연장대면부(24)는 전도성을 가지면서도 전류를 통해 자화되는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장대면부(24)는 자화되면서도 전면 및 후면이 각각 상이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는 바이메탈로서 형성될 수 있다. 즉, 과전류를 통한 전류 저항열로 인해 상기 연장판부(22)의 온도가 상승되면 낮은 열팽창계수를 가진 후면측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부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크로스바(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30)는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측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부가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부가 가압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대면부(23)의 전단부가 가압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크로스바(30)는 상측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된다.
상세히, 정상 상태에서 상기 탄성수단의 탄발력보다 상기 크로스바(30)가 하측으로 가압되는 힘이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바(30)가 하향 가압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탄성수단은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경유부(31)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부가 구부러지면서 하향 가압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상기 고정접점부(113)와 접점 연결된다. 이때, 과전류가 발생하거나 상기 핸들부(60)의 조작을 통해 상기 크로스바(30)를 가압하는 힘이 상실되면 상기 탄성수단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상기 크로스바(30)가 상향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판부(21)를 가압하던 가압력이 상실되므로 상기 연결대면부(23)가 탄발복원력을 통해 펴지면서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상기 고정접점부(113)와 이격된다.
한편, 상기 트립부(40)는 상기 연장대면부(24)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에 형성된 회전단부를 중심으로 전후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트립부(40)의 전면부에는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는 전단부(50a)가 상기 크로스바(30)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며 후단부가 상기 트립부(40)의 전면부와 마주보는 길이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는 상기 경사단턱과 접촉 또는 이와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핸들부(60)는 상기 하우징부(110)에 전후 회전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50)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61)가 하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회전방향이라 함은 상기 가동접점부(25)와 상기 고정접점부(113)가 접촉되도록 동작되는 접속방향과 상기 가동접점부(25)와 상기 고정접점부(113)가 이격되도록 동작되는 차단방향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접속방향을 전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설명 및 도시하고 차단방향을 후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상세히, 상기 핸들부(60)가 접속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61)가 하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61)는 상기 래치부(50)의 중앙측에 형성된 승강연결부에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61)가 하향 이동되면 상기 래치부(50)가 연동 이동되되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경사진 상면에 면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단부(50a)가 하향 회전되면서 래치가압부(32)에 접촉 및 상기 크로스바(30)를 가압하며, 상기 고정접점부(113)와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접점 연결된다.
한편, 상기 핸들부(60)는 바이메탈로서 구비된 상기 연장대면부(24)가 상기 트립부(40)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트립부(40)가 상기 회전단부를 중심으로 후퇴되어 상기 래치부(50)를 가압 지지하던 구속력이 상실되면 일측에 구비된 복귀수단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차단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복귀수단은 토션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60)의 하단부에 힌지 연결된 상기 가압부재(61)가 상향 이동되며, 상기 래치부(50)가 상기 크로스바(30) 및 상기 트립부(4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전류가 다시 접속되도록 상기 핸들부(60)가 접속방향으로 회전 조작되면 상기 가압부재(61)가 하향 이동되되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측으로 이동 및 그의 상면에 다시 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압부재(61)의 가압력이 계속 전달되면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50a)가 하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래치가압부(32)에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가 접촉 및 하측으로의 가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연결판부(21)가 하측으로 가압되며 상기 가동접점부(25)와 상기 고정접점부(113)가 다시 접촉되도록 조작된다.
또한, 상기 회전단부측에도 상기 트립부(40)의 회전각도를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후측방향으로 회전된 후 즉각적으로 상기 복귀수단을 통해 위치가 복귀된다.
한편,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은 중앙부(171)가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부 상측에 연결되되 폭방향 양단부(172,173)가 하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중앙부(171)는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부 및 상기 가동접점부(25)와 리벳 연결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은 상기 차단기(200)의 온/오프 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양단부(172,173)가 상호 대향되는 내측방향으로 회전 열변형되며 상기 하우징부(110)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판부(21)가 상기 전원입력부(111)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면이 상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라 함은 상기 하우징부(110) 내부의 공기온도와 상기 하우징부(110) 내부에 배치된 각 구성요소들의 온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은 구리 재질의 평판이 상부에 배치되고 구리 재질보다 열팽창계수가 낮은 철 재질의 평판이 하부에 배치되어 상호간 접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폭방향 양단부(172,173)가 중앙부(171)와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방향으로 회전 열변형되며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안전온도는 70~100℃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0℃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과전류에 의한 온도 상승이 아닌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 상승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폭방향 양단부(172,173)가 회전 열변형 이동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110)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판부(21)가 상향 연동 견인됨에 따라 상기 연결판부(21)가 상기 전원입력부(111)로부터 상호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절곡된 폭방향 양단부(172,173)의 각 폭방향 길이는 상기 전원입력부(111)에 구비된 고정접점부(113)와 상기 연결대면부(23)의 전단부에 상기 고정접점부(113)와 접점 연결되는 가동접점부(25) 간의 이격 거리를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110)에는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부 폭방향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대향되는 폭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경사안내면(116a)이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경사안내부(11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절곡된 폭방향 양단부(172,173)는 각 상기 경사안내면(116a)에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열팽창계수에 의해 굴곡되어 각 상기 경사안내면(116a)을 가압하며 내측방향으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각 상기 경사안내부(116)에는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절곡된 폭방향 양단부(172,173)가 걸림되도록 각 상기 경사안내면(116a)의 폭방향 내측단으로부터 기설정된 연장높이로 상향 연장 돌설되는 스토퍼돌기부(116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절곡된 폭방향 양단부(172,173)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중앙부(171) 양단 경계선을 기준으로 회전 열변형되어 상기 중앙부(171)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절곡된 양단부(172,173)의 하면이 각 상기 스토퍼돌기부(116b)의 외측면에 면접촉되어 걸림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스토퍼돌기부(116b)에 인접한 상기 경사안내면(116a)의 폭방향 내측단 상면에는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절곡된 폭방향 양단부(172,173)가 안착되도록 안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60)가 접속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폭방향 양단부(172,173)이 각 상기 경사안내면(116a)의 폭방향 외측단측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고정접점부(113)와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접점 연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60)가 접속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폭방향 양단부(172,173)가 열팽창계수에 의해 중앙부(171)와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폭방향 내측으로 회전 열변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폭방향 양단부(172,173)가 상기 경사안내면(116a)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이 상향 이동된다. 이를 통해,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에 연결된 상기 연결판부(23)가 상향 이동되어 상기 고정접점부(113)와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상호 분리된다.
즉,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차단기(200)의 온 상태에서도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부(113)와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상호 분리되어 전류 흐름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에서부터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으로 재하강하면 상기 고정접점부(113)와 상기 가동접점부(25) 상호 접점 연결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60)가 차단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정접점부(113)와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상호 분리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핸들부(60)가 차단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인 경우에도 상기 고정접점부(113)와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상호 분리된다.
즉, 상기 핸들부(60)가 차단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차단기(200)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에 관계없이 상기 고정접점부(113)와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상호 분리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200)에는 중앙부(171)가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부 상측에 연결되되 폭방향 양단부(172,173)가 하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며 하면이 상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이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양단부(172,173)가 상호 대향되는 내측방향으로 회전 열변형되며 상기 하우징부(10)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판부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어 전류 흐름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차단기(200)의 온/오프 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하우징부(110)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 상승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양단부(172,173)가 중앙부(171)와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방향으로 회전 열변형되며 상기 하우징부(10)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판부(21)가 상기 전원입력부(11)로부터 이격되므로 화재시 전류 흐름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절곡된 양단부(172,173)가 상기 하우징부(110)에 폭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안내면(116a)을 가압하며 내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결판부(21)가 연동 상향 이동되어 전류 흐름을 차단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경사안내면(116a)의 폭방향 내측단으로부터 스토퍼돌기부(116b)가 상향 연장 돌설되어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절곡된 양단부(172,173)가 면접촉되어 걸림됨에 따라 회전 범위가 제한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170)의 중앙부(171)가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부 및 상기 가동접점부(25)와 리벳 연결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70)이 상기 차단기(100)에 설치되는 간편한 조립구조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 하우징부 116: 경사안내부
116a: 경사안내면 116b: 스토퍼돌기
20: 가동스위칭부 30: 크로스바
40: 트립부 50: 래치부
60: 핸들부 170: 온도감지 바이메탈
200: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Claims (5)

  1.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배치되고, 전단부에 상기 전원입력부에 접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연결대면부가 형성된 연결판부가 구비된 가동스위칭부;
    일측에 상기 가동스위칭부의 전단측이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가 형성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크로스바;
    상기 가동스위칭부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전후 회전되되 전면부에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되는 트립부;
    전단부가 상기 크로스바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되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가동스위칭부가 접점 연결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래치부;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 회전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 핸들부; 및
    중앙부가 상기 연결판부의 전단부 상측에 연결되되 폭방향 양단부가 하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양단부가 상호 대향되는 내측방향으로 회전 변형되며 상기 하우징부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판부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면이 상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 바이메탈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연결판부의 전단부 폭방향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대향되는 폭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경사안내면이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경사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의 절곡된 양단부는 각 상기 경사안내면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열팽창계수에 의해 중앙부와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회전 변형되어 각 상기 경사안내면을 가압하며 내측방향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경사안내부에는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의 절곡된 양단부가 걸림되도록 각 상기 경사안내면의 폭방향 내측단으로부터 상향 연장 돌설되는 스토퍼돌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의 절곡된 양단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중앙부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며, 각 상기 스토퍼돌기부의 외측면에 면접촉되어 걸림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의 절곡된 양단부의 각 길이는 상기 전원입력부에 구비된 고정접점부와 상기 연결대면부의 전단부에 상기 고정접점부와 접점 연결되는 가동접점부 간의 이격 거리를 초과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0200015156A 2020-02-07 2020-02-07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24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156A KR102124797B1 (ko) 2020-02-07 2020-02-07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156A KR102124797B1 (ko) 2020-02-07 2020-02-07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797B1 true KR102124797B1 (ko) 2020-06-19

Family

ID=7113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156A KR102124797B1 (ko) 2020-02-07 2020-02-07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7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524B1 (ko) * 2020-07-02 2020-11-06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클립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75529B1 (ko) * 2020-07-02 2020-11-06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CN112744078A (zh) * 2021-01-19 2021-05-04 宝武杰富意特殊钢有限公司 低压平板车的换轨取电装置以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27Y1 (ko) 2003-11-18 2004-02-11 신동아전기(주) 누전차단기
KR20040074429A (ko) * 2003-02-18 2004-08-25 엘지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20130019370A (ko) * 2010-02-26 2013-02-26 주식회사 고마츠라이트 제작소 브레이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429A (ko) * 2003-02-18 2004-08-25 엘지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200341427Y1 (ko) 2003-11-18 2004-02-11 신동아전기(주) 누전차단기
KR20130019370A (ko) * 2010-02-26 2013-02-26 주식회사 고마츠라이트 제작소 브레이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524B1 (ko) * 2020-07-02 2020-11-06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클립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75529B1 (ko) * 2020-07-02 2020-11-06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CN112744078A (zh) * 2021-01-19 2021-05-04 宝武杰富意特殊钢有限公司 低压平板车的换轨取电装置以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797B1 (ko)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EP1672663B1 (en) Shape memory alloy trip mechanism for arc/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ion
US3358099A (en) Bimetallic-strip and rockable-spring actuated snap-acting switch device
US2508637A (en) Combined plug and circuit breaker
KR102088936B1 (ko)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
EP0164690A2 (en) Thermal-type overcurrent relay
US4109226A (en) Disconnect switch with reset mechanism
US4146855A (en) Low profile multi-pole circuit breaker having multiple toggle springs
US2150012A (en) Circuit breaker
US7236082B2 (en) Circuit breaker structure
KR102124799B1 (ko) 열팽창 스프링형 온도감지 차단기
KR910008011B1 (ko) 회로차단기의 과전류 트립장치
KR102124798B1 (ko) 크로스바 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24796B1 (ko) 평판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35903B1 (ko) 하우징부 인서트형 온도감지 차단기
US20110080250A1 (e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having free trip mechanism
KR102135899B1 (ko) 트립부 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US2813946A (en) Circuit breakers
US2469976A (en) Mechanism for sequential contact switches
KR102142352B1 (ko) 트립부 걸림형 온도감지 차단기
US4124833A (en) Overcurrent protection equipment
JP2814012B2 (ja) 電流制御用のスイツチ装置
US2052564A (en) Circuit breaker
KR102287486B1 (ko) 회로기판을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US3061697A (en) Thermal and magnetic tri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