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529B1 -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 Google Patents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529B1
KR102175529B1 KR1020200081738A KR20200081738A KR102175529B1 KR 102175529 B1 KR102175529 B1 KR 102175529B1 KR 1020200081738 A KR1020200081738 A KR 1020200081738A KR 20200081738 A KR20200081738 A KR 20200081738A KR 102175529 B1 KR102175529 B1 KR 102175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ing
power input
armature
trip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찬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1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2463Electromagnetic mechanisms with plunger typ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01H71/524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the contact arm being pivoted on handle and mechanism spring acting between cradle and contact ar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의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일측이 상기 전원입력부에 선택적으로 접점 연결되는 콘텍판부가 구비된 가동스위칭부; 상기 콘텍판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크로스바; 일단이 하향 연장되고 타단이 후향 연장되도록 절곡되되, 상기 크로스바의 후단에 직립 배치되는 요크의 상단에 시소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아마츄어; 상기 아마츄어의 일단 전면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아마츄어의 타단이 하향 이동시 시소 회전되는 일단에 가압되어 전측으로 이동되는 트립바; 하단에 상기 트립바가 연결되되, 상기 트립바의 이동시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는 핸들장착부에 고정된 래치회전축을 기준으로 연동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의 전측에 구비되며 상단부가 상기 래치부에 걸려 구속되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핸들장착부에 고정된 크래들회전축을 기준으로 자유 회전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의 전측에 구비되어 링크 연결되며 전후 회전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링크부가 연결된 핸들부; 및 하단이 상기 아마츄어의 타단 상면에 대향 배치되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고정되는 고정단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자유단이 상기 아마츄어의 타단 상측에 구비되는 트립케이스에 형성된 관통홀의 테두리에 걸림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각 내측으로 굴곡 변형됨에 따라 구속력이 해제되어 하향 이동되는 상기 플런저에 의해 상기 아마츄어가 시소 회전되면서 상기 콘텍판부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내면이 외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 바이메탈이 구비된 온도감지 트립장치를 포함하는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trapezoid locking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성이 개선된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가 흐르거나 회로 내에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전기선로의 개폐조작을 신속하게 전환시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제품 및 선로의 파손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차단기는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해 구동되며, 바람직하게는 과전류가 발생시 자동으로 전류가 단락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에는 열팽창율이 다른 두 금속판을 붙여 놓고 과전류로 인한 열이 가해질 경우 열팽창율이 작은 쪽으로 휘는 특성을 이용한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는 통상 회로에 전류가 공급되면 저항이 발생하여 상기 바이메탈이 가열되고, 일정한 기준 이상의 과다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바이메탈이 휘어지면서 인접하여 닿아있는 트립부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의 하부에 결합된 접촉단자가 입력터미널로부터 이격되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는 구조로 구동된다.
그러나, 종래의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는 내부의 결함 또는 외부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차단기의 케이스 내부에 높은 발열이 발생하더라도 차단기가 전류 흐름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단기의 주변온도에 관계없이 차단기가 단순히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만을 제공하므로 내부 결함시나 외부 화재 발생시 2차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142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성이 개선된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의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일측이 상기 전원입력부에 선택적으로 접점 연결되는 콘텍판부가 구비된 가동스위칭부; 상기 콘텍판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크로스바; 일단이 하향 연장되고 타단이 후향 연장되도록 절곡되되, 상기 크로스바의 후단에 직립 배치되는 요크의 상단에 시소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아마츄어; 상기 아마츄어의 일단 전면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아마츄어의 타단이 하향 이동시 시소 회전되는 일단에 가압되어 전측으로 이동되는 트립바; 하단에 상기 트립바가 연결되되, 상기 트립바의 이동시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는 핸들장착부에 고정된 래치회전축을 기준으로 연동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의 전측에 구비되며 상단부가 상기 래치부에 걸려 구속되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핸들장착부에 고정된 크래들회전축을 기준으로 자유 회전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의 전측에 구비되어 링크 연결되며 전후 회전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링크부가 연결된 핸들부; 및 하단이 상기 아마츄어의 타단 상면에 대향 배치되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고정되는 고정단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자유단이 상기 아마츄어의 타단 상측에 구비되는 트립케이스에 형성된 관통홀의 테두리에 걸림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각 내측으로 굴곡 변형됨에 따라 구속력이 해제되어 하향 이동되는 상기 플런저에 의해 상기 아마츄어가 시소 회전되면서 상기 콘텍판부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내면이 외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 바이메탈이 구비된 온도감지 트립장치를 포함하는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온도감지 바이메탈이 상협하광 형상으로 구비되어 단부가 관통홀의 테두리에 걸림되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내측으로 굴곡 열변형됨에 따라 구속이 해제된 플런저가 흡인단부를 가압함으로써 화재시 전류 흐름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둘째, 온도감지 바이메탈이 끼움 결합되는 고정홈부의 상단 내측에 돌설된 형합지지돌기가 고정단과 자유단이 절곡된 외측을 감싸 지지함에 따라 온도 변화로 인한 반복적인 굴곡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파단이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온도감지 바이메탈이 플런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플런저의 승강 위치를 선택적으로 구속함에 따라 온도감지 트립장치의 구성부품이 간소화되고 형상이 단순화되므로 조립편의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플런저의 하강시 고온감지표시부가 트립케이스 내부로 인입되어 고온 상태로 인한 차단기의 차단 동작을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며, 사용자가 차단 상태를 확인 후 고온감지표시부를 견인하기 전 플런저의 불필요한 승강 복귀가 방지되므로 차단기를 안전하게 재사용할 수 있어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정상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차단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에서 온도감지 트립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에서 온도감지 트립장치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정상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차단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온도감지 트립장치가 결합되는 커버부의 일부분이 부분 도시되며, 하우징부가 분리되어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에 표시된 14는 핸들장착부를 점선으로 도시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설명될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와 차단기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후술되는 전원입력부측이 전방이고 후술되는 부하출력부측이 후방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400)는 하우징부(10), 가동스위칭부(20), 크로스바(30), 아마츄어(50), 트립바(75), 래치부(70), 크래들(73), 핸들부(80) 및 온도감지 트립장치(49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10)는 상기 차단기(400)의 구성부품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절연성 및 불연성의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부(10)의 내부에는 각 구성부품이 장착 및 조립되도록 구획격벽, 설치홈 또는 홀이 형성된다. 각 상기 구성부품이 장착 및 조립된 상기 하우징부(10)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커버부(1)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1)에 상기 핸들부(80)의 상단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동작홀 및 상기 온도감지 트립장치(490)가 장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0)의 전측에는 전원측에 접속되는 전원입력부(11)가 구비되며, 후측에는 부하측과 연결되는 부하출력부(12)가 상기 전원입력부(11)와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전원입력부(11)의 후단부 상면에는 고정접점부(1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0)의 전후방향 사이에 상기 래치부(70)와 상기 크래들(73)이 축회전되도록 장착되는 핸들장착부(14)가 구비된다.
상기 핸들장착부(14)는 후술되는 래치회전축(71) 및 크래들회전축(73b)이 상기 하우징부(10)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며, 상단부에 상기 핸들부(80)가 힌지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핸들장착부(14)에는 후술되는 걸림링크(74), 가압바(83) 및 상기 트립바(75)의 구동반경 및 궤적에 대응하여 절개 개구되는 이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스위칭부(20)는 전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입력부(11)와 상기 부하출력부(12) 사이에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배치된다. 상기 가동스위칭부(20)는 콘텍판부(21a)와 가동접점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콘텍판부(21a)는 상기 크로스바(30)를 통해 가압된 상태에서 전단부가 상기 전원입력부(11)의 후단측과 상하로 대면 배치되도록 연장된다. 상기 가동접점부(22)는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선택적으로 접점 연결되도록 상기 콘텍판부(21a)의 전단부 하면에 구비된다. 즉, 상기 가동접점부(22)와 상기 고정접점부(13)가 접촉되면 상기 전원측, 상기 전원입력부(11), 상기 가동스위칭부(20), 상기 부하출력부(12) 및 상기 부하측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바(30)는 상기 콘텍판부(21a)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크로스바(30)에는 상기 가동스위칭부(20)의 후단측이 수용되되 전단부가 전방 돌출되도록 개구된 트립구동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크로스바(30)에 가압력이 전달되면 상기 트립구동홈에 수용된 상기 콘텍판부(21a)가 가압력에 의해 하향 가압되며, 상기 가동접점부(22)와 상기 고정접점부(13)가 접점 연결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크로스바(30)가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콘텍판부(21a)를 가압하는 것을 예로써 도시하였으나, 상기 크로스바(30)는 상하방향으로 승강 구동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크로스바(30)가 후술되는 상기 핸들부(80)의 링크 구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콘텍판부(21a)를 가압할 수 있는 구조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아마츄어(50)는 일단이 하향 연장되고 타단이 후향 연장되도록 절곡되며, 상기 크로스바(30)의 후단에 직립 배치되는 요크(60)의 상단에 시소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아마츄어(50)는 둔각으로 절곡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아마츄어(50)의 일단이 상기 요크(60)의 전면과 대면 배치되는 구동단부(52)로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요크(60)의 상단측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흡인단부(53)로 형성된다. 즉, 상기 아마츄어(60)는 상기 구동단부(52)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흡인단부(53)가 일체로 후향 연장되도록 절곡 형성된다. 이하에서 상기 아마츄어(50)의 일단과 상기 구동단부(52)는 동일한 의미이고, 상기 아마츄어(50)의 타단과 상기 흡인단부(53)는 동일한 의미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마츄어(50)는 상기 차단기(400)가 전기적으로 정상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는 상태(이하 정상 상태)에서 상기 구동단부(52)가 상기 요크(60)의 전면측으로 인접하도록 복귀스프링(55)을 통해 탄발 지지된다. 그리고, 전원차단이 요구되는 상태(이하 차단 상태)에서 차단요인(예컨대, 과전류 또는 안전온도 이상의 고온)에 의해 상기 흡인단부(53)가 하향 이동되도록 구동되면 상기 요크(60)를 중심으로 상기 구동단부(52)가 전방측으로 시소 이동된다. 상기 아마츄어(50)는 둔각으로 절곡된 후 외력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되면서도 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립바(75)는 상기 구동단부(52)의 전면에 대향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인단부(53)가 하향 이동시 시소 회전되는 상기 구동단부(52)에 가압되어 전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트립바(75)는 후술되는 상기 래치부(70)의 하단을 양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트립바(75)가 전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래치부(70)가 연동된다.
상기 트립바(75)는 절연 재질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10)의 내부 양측폭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원입력부(11), 상기 부하출력부(12), 상기 가동스위칭부(20), 상기 요크(60), 및 상기 아마츄어(50)가 상기 하우징부(10)의 폭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되 적어도 하나의 아마츄어(50)가 시소 운동되면 상기 트립바(75)가 이동되어 전원이 차단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래치부(70)는 상기 요크(60)의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장착부(14)에 구비되는 상기 래치회전축(71)을 통해 상기 핸들장착부(14)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70)의 하단에 연결된 상기 트립바(75)가 상기 아마츄어(50)에 가압되어 전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래치부(70)의 상단부가 상기 래치회전축(71)을 중심으로 후측으로 연동 회전된다. 상기 래치부(70)의 상부에는 전향 돌설된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는 래치걸림돌기(7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래들(73)은 상기 래치부(70)의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장착부(14)에 구비되는 상기 크래들회전축(73b)을 통해 상기 핸들장착부(14)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크래들회전축(73b)은 상기 크래들(73)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후술되는 걸림링크(74)의 후방측 타단이 상기 크래들(73)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양측방향으로 가로질러 결합된다.
이때, 상기 차단기(400)의 정상 상태에서 상기 크래들(73)은 상단부가 상기 래치걸림돌기(72)에 걸려 동작이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400)의 차단 상태에서 상기 래치부(70)가 상기 래치회전축(7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래치걸림돌기(72)가 상기 크래들(73)의 상단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구속이 해제된다. 구속이 해제된 상기 크래들(73)은 상기 크래들회전축(73b)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핸들부(80)는 상기 핸들장착부(14)에 힌지 연결되어 전후 회전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크래들(73)과 링크 연결되는 링크부(81,82)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부는 제1링크부(81)와 제2링크부(82)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링크(74)의 전방측 일단이 상기 제1링크부(81)의 하단과 상기 제2링크부(82)의 상단을 동시에 양측방향으로 가로질러 결합된다. 즉, 상기 제1링크부(81)와 상기 제2링크부(82)는 상기 걸림링크(74)의 전방측 일단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된다.
이때, 상기 걸림링크(74)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중앙부의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부(10)의 폭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마주보게 형성된 'ㄷ'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링크(74)의 양단부 중 전방측 일단이 상기 링크부(81,82)에 결합되고 후방측 타단이 상기 크래들(73)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크래들(73)과 상기 링크부(81,82)는 상기 걸림링크(74)의 중앙부 길이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구속되어 연동 동작된다.
상기 제2링크부(82)의 하단에는 상기 크로스바(30)를 하향 가압하는 가압바(83)가 폭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가압바(83)는 상기 제2링크부(82)의 측방향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핸들부(80)에는 상기 링크부(81,82)에 상측으로의 탄발력을 제공하는 견인스프링(84)이 구비된다. 상기 견인스프링(84)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이 상기 가압바(8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핸들장착부(14)의 상단측에 고정된다.
상기 온도감지 트립장치(490)는 상기 흡인단부(53)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차단기(400)를 차단 상태로 전환하도록 동작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차단기(400)는 정상 상태에서 상기 래치걸림돌기(72)에 상기 크래들(73)의 상단부가 걸림 구속된다. 이때, 상기 크래들(73)은 상기 걸림링크(74)를 통해 상기 링크부(81,82)와 링크 연결되므로 상기 링크부(81,82)와 상기 크래들(73) 간의 이격간격이 상기 걸림링크(74)의 중앙부 길이에 대응하여 구속된다. 따라서, 상기 크래들(73)이 상기 걸림링크(74)에 의해 상기 크래들회전축(73b)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지지되는 힘을 통해 상기 래치걸림돌기(72)에 걸림된 구속력이 증가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래치부(70)는 상기 크래들(73)과 상기 링크부(81,82) 간의 링크 결합 구조를 통해 상기 래치회전축(71)을 중심으로 상단부가 전방측으로 견인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부(70)의 하단부에 연결된 상기 트립바(75)의 중심이 실질적으로 상기 래치회전축(71)과 수직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부(80)의 상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부(81,82)가 하향 이동되되, 상기 링크부(81,82)는 상기 걸림링크(74)에 의해 상호 링크 연결된 부분이 상기 크래들(73)측으로 후향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부(81)와 상기 제2링크부(82)가 상하로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둔각으로 배열되며, 하강되는 상기 가압바(83)에 상기 크로스바(30)가 가압되면서 상기 콘텍판부(21a)가 상기 전원입력부(11)와 접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마츄어(50)는 상기 구동단부(52)가 상기 복귀스프링(55)을 통해 상기 요크(60)의 전면에 인접하도록 탄발 견인되므로, 상기 구동단부(52)와 상기 트립바(75)가 불필요하게 접촉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차단기(400)가 차단 상태에서 상기 아마츄어(50)가 시소 이동되면서 상기 구동단부(52)가 상기 트립바(75)를 전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래치부(70)는 상기 래치회전축(7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래치걸림돌기(72)가 상기 크래들(73)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된다.
구속력이 해제된 사이 크래들(73)은 상기 크래들회전축(73b)을 중심으로 상단부가 전방으로 회전되며, 상기 견인스프링(8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링크부(81)의 상단부와 상기 제2링크부(82)의 하단부 사이 간격이 좁아진다. 이때, 상기 링크부(81,82)에서 상기 걸림링크(74)의 전방측 일단이 결합된 부분이 전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링크부(81)와 상기 제2링크부(82) 사이 각도가 좁아지며, 상기 가압바(83)가 상향 이동된다.
상기 가압바(83)가 상향 이동되면 상기 크로스바(30)를 가압하던 힘이 해제되며, 상기 콘텍판부(21a)가 상기 전원입력부(11)와 이격되도록 상측으로 탄발 이동됨에 따라 전원이 단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에서 온도감지 트립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에서 온도감지 트립장치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차단기(400)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온도감지 트립장치(490)를 통해 전원이 차단되도록 작동된다. 상기 온도감지 트립장치(490)는 플런저(491) 및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도감지 트립장치(490)의 각 구성부품은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는 트립케이스(493)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트립케이스(493)는 상기 아마츄어(50)의 상측에 구비되며 몸체부(493a) 및 트립커버(493g)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493a)의 내부에는 상기 플런저(491)가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연장부(493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연장부(493c)는 후술되는 상기 플런저(491)의 로드부(491a)가 관통되도록 상기 트립케이스(493)에 형성된 관통홀(493b)의 테두리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내부에 승강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연장부(493c)에는 후술되는 상기 플런저(491)의 정렬핀(491c)이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절개된 정렬슬롯홈(493e)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런저(491)는 상기 가이드연장부(493c)에 삽입되되 하단이 상기 흡인단부(53)의 상면에 대향 배치되며 하측으로 탄발 지지된다.
상세히, 상기 플런저(49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길이방향 중앙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링 형상의 걸림단(491e)이 돌설되되, 상기 걸림단(491e)의 상측으로 고온감지표시부(491d)가 상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온감지표시부(491d)는 상기 트립케이스(493)의 외측으로 노출되되, 선택적으로 승강됨에 따라 상기 차단기(400)의 차단 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 가능한 표식으로 기능한다. 상기 고온감지표시부(491d)의 상면에는 'ㅡ'자 단면형상의 그립돌출부가 일체로 상향 연장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트립케이스(493)의 상면과 상기 걸림단(491e) 사이에 압축스프링(491f)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스프링(491f)은 상기 차단기(400)의 정상 상태에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에 의해 상기 플런저(491)의 승강 위치가 상측으로 구속되면 상기 트립케이스(493)의 상면, 즉 상기 트립커버(493g)와 상기 걸림단(491e) 사이에서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400)의 차단 상태에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이 열변형됨에 의해 상기 플런저(491)에 가해지던 구속력이 해제되면 상기 압축스프링(491f)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상기 플런저(491)가 하향 탄발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491)가 상기 아마츄어(50)를 시소 회전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걸림단(491e)의 하단으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이 결합되는 결합지지부(491g)가 하향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지지부(491g)는 고정홈부(491h)와 형합홈부(491k)를 포함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지지부(491g)의 단면적은 상기 관통홀(493b)의 내경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홈부(491h)는 후술되는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의 고정단(492a)이 끼움 고정되도록 상기 플런저(491)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후측으로 함몰된 홈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형합홈부(491k)는 상기 고정홈부(491h)의 양단으로부터 후술되는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의 자유단(492b)의 길이 및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지지부(491g)의 외면에 하향 함몰된 홈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이 사익 고정홈부(491h)에 끼움 고정되되 상기 자유단이 열변형 굴곡되어 상기 형합홈부(491k)에 형합되면 상기 결합지지부(491g)의 외면과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의 외면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윤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지지부(491g)의 하단으로 상기 로드부(491a)가 하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부(491a)는 단부가 상기 흡인단부(53)의 상측에 대면 배치되되, 상기 플런저(491)의 하강시 상기 흡인단부(53)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단으로 기능한다. 상기 로드부(491a)는 단면적이 상기 관통홀(493b)의 내경 및 상기 결합지지부(491g)의 단면적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플런저(491)는 상기 고온감지표시부(491d), 상기 결합지지부(491g) 및 상기 로드부(491a)가 일체형인 바(bar)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491)의 길이방향 상하단 즉, 상기 고온감지표시부(491d)와 상기 로드부(491a)가 상기 트립케이스(493)의 상하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로드부(491a)가 하측으로 탄발 이동되면 상기 고온감지표시부(491d)가 상기 트립케이스(493)의 내부로 하강 인입되면서 차단 상태를 외부에서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은 상기 고정단(492a) 및 상기 자유단(492b)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단(492a)은 내외면이 각각 상하측을 바라보게 배치되되 상기 플런저(491)에 형성된 고정홈부(491h)에 끼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자유단(492b)은 상기 고정단(492a)의 양단으로부터 내면이 마주보게 하향 절곡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정상 상태에서 상기 자유단(492b)은 양단 사이 간격이 상기 고정단(492a)의 양측폭을 초과하는 상협하광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은 상기 고정단(492a)과 상기 자유단(492b)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은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492b)의 각 내면이 외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492b)의 각 외면이 각 내면보다 크게 열팽창됨에 따라 내측으로 굴곡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은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범위에서 상기 자유단(492b)의 양단 사이 간격이 상기 관통홀(493b)의 내경을 초과하도록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은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형합홈부(491k)에 형합되는 상기 자유단(492b)의 외면 사이 간격이 상기 관통홀(493b) 내경 미만으로 굴곡 변형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은 상기 차단기(400)의 정상 상태에서 각 상기 자유단(492b)이 단부로 갈수록 이격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절곡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493b)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이 고정된 상기 플런저(491)의 승강 위치가 상측으로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492b) 사이 간격이 내측으로 인접해지도록 굴곡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홈부(491h)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고정단(492a)과 상기 자유단(492b)이 절곡된 외면이 형합 지지되도록 내면이 라운드진 형합지지돌기(491m)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차단기(400)의 작동시 반복적으로 열변형되는 상기 고정단(492a)과 상기 자유단(492b)의 절곡 부분을 상기 형합지지돌기(491m)의 내면에 감싸여지면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에 반복적인 굴곡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파단이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온도는 70~100℃ 범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과전류가 발생한 상태가 아니더라도 화재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의 상승으로 인한 위험이 감지되면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이 굴곡 변형됨에 따라 상기 콘텍판부(21a)를 상기 전원입력부(11)로부터 분리하여 전류의 흐름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2차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므로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차단기(400)의 정상 상태에서 한쌍의 상기 자유단(492b)이 상기 관통홀(493b)의 테두리에 걸림된다. 이때,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이 상협하광의 사다리꼴로 형성되므로 상기 압축스프링(491f)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491)가 하향 탄발 지지되더라도 상기 자유단(492b)에 의해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로드부(491a)의 단부가 상기 아마츄어(50)의 상면, 즉 상기 흡인단부(53)와 이격되도록 상기 플런저(491)가 상향 구속될 수 있다.
이때,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492b)의 내외면간의 열팽창률 차이에 의해 내측으로 인접해지도록 굴곡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자유단(492b)의 상기 형합홈부(491k)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형합홈부(491k)는 상기 자유단(492b)의 두께와 대응되는 깊이 및 상기 자유단(492b)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유단(492b)이 굴곡 변형되어 상기 형합홈부(491k)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지지부(491g)의 외면과 상기 자유단(492b)의 외면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윤곽을 가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형합홈부(491k)에 상기 자유단(492b)이 삽입되면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과 상기 결합지지부(491g)의 연속적인 외면 단면적이 상기 관통홀(493h)의 내경 미만이 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491)를 상향 구속하는 구속력이 해제되므로 상기 압축스프링(491f)의 탄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지지부(491g)가 상기 관통홀(493b)을 통해 하향 탄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부(491a)가 하향 이동되어 상기 흡인단부(53)를 가압하며, 상기 아마츄어(50)가 시소 회전되면서 전술된 차단 상태의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콘텍판부(21a)가 상기 전원입력부(11)로부터 이격되면서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온감지표시부(491d)와 상기 로드부(491a)는 실질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로드부(491a)가 하향 이동되면 상기 고온감지표시부(491d)가 상기 트립케이스(493)의 내부로 인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고온감지표시부(491d)가 상기 트립케이스(493)의 외측으로 돌출된 높이를 통해 상기 차단기(400)의 차단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범위로 냉각되면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492)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되 각 상기 자유단(492b)이 상기 관통홀(493b)의 내주에 접촉 지지되어 벌어진 상태로 대기된다. 이때, 상기 차단기(400)의 재구동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고온감지표시부(491d)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그립돌출부를 견인하면, 상기 자유단(492b)이 상기 관통홀(493b)의 상측으로 이탈됨과 동시에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관통홀(493b)의 테두리 외측에 걸림된다. 이를 통해, 상기 차단기(400)가 재구동 가능한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플런저(491)가 상기 압축스프링(491f)을 통해 항시 하향 탄발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차단기(400)의 차단 상태를 확인 후 상기 고온감지표시부(491d)를 수동으로 견인하기 전 상기 플런저(491)의 불필요한 승강 복귀가 방지된다. 이를 통해, 상기 차단기(400)를 안전하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어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차단기(400)는 과전류를 감지하는 과전류감지수단(40)을 통해 전류가 차단되도록 동작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흡인단부(53)의 하부에 상기 과전류감지수단(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과전류에 의해 상기 과전류감지수단(40)이 자화됨에 따라 상기 흡인단부(53)가 상기 과전류감지수단(40)측으로 흡인되면서 전술된 차단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400)는 과전류상태 뿐만 아니라 고온 상태에서도 전류가 신속하게 차단되므로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400: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11: 전원입력부 12: 부하출력부
20: 가동스위칭부 30: 크로스바
40: 과전류 감지수단 50: 아마츄어
60: 요크 70: 래치부
73: 크래들 75: 트립바
490: 온도감지 트립장치 491: 플런저
492: 온도감지 바이메탈

Claims (5)

  1.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의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일측이 상기 전원입력부에 선택적으로 접점 연결되는 콘텍판부가 구비된 가동스위칭부;
    상기 콘텍판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크로스바;
    일단이 하향 연장되고 타단이 후향 연장되도록 절곡되되, 상기 크로스바의 후단에 직립 배치되는 요크의 상단에 시소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아마츄어;
    상기 아마츄어의 일단 전면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아마츄어의 타단이 하향 이동시 시소 회전되는 일단에 가압되어 전측으로 이동되는 트립바;
    하단에 상기 트립바가 연결되되, 상기 트립바의 이동시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는 핸들장착부에 고정된 래치회전축을 기준으로 연동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의 전측에 구비되며 상단부가 상기 래치부에 걸려 구속되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핸들장착부에 고정된 크래들회전축을 기준으로 자유 회전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의 전측에 구비되어 링크 연결되며 전후 회전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링크부가 연결된 핸들부; 및
    하단이 상기 아마츄어의 타단 상면에 대향 배치되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고정되는 고정단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자유단이 상기 아마츄어의 타단 상측에 구비되는 트립케이스에 형성된 관통홀의 테두리에 걸림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각 내측으로 굴곡 변형됨에 따라 구속력이 해제되어 하향 이동되는 상기 플런저에 의해 상기 아마츄어가 시소 회전되면서 상기 콘텍판부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내면이 외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 바이메탈이 구비된 온도감지 트립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고정단이 수평으로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부와, 상기 고정홈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자유단의 길이 및 두께에 대응하여 하향 함몰된 형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은 상기 자유단의 양단 사이 간격이 상기 고정단의 양측폭을 초과하는 상협하광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형합홈부에 형합되는 상기 자유단의 외면 사이 간격은 상기 관통홀의 내경 미만이되, 상기 안전온도 미만에서 복원된 상기 자유단의 양단 사이 간격은 사이 관통홀의 내경을 초과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부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고정단과 상기 자유단이 절곡된 외면이 형합 지지되도록 내면이 라운드진 형합지지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4.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의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일측이 상기 전원입력부에 선택적으로 접점 연결되는 콘텍판부가 구비된 가동스위칭부;
    상기 콘텍판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크로스바;
    일단이 하향 연장되고 타단이 후향 연장되도록 절곡되되, 상기 크로스바의 후단에 직립 배치되는 요크의 상단에 시소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아마츄어;
    상기 아마츄어의 일단 전면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아마츄어의 타단이 하향 이동시 시소 회전되는 일단에 가압되어 전측으로 이동되는 트립바;
    하단에 상기 트립바가 연결되되, 상기 트립바의 이동시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는 핸들장착부에 고정된 래치회전축을 기준으로 연동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의 전측에 구비되며 상단부가 상기 래치부에 걸려 구속되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핸들장착부에 고정된 크래들회전축을 기준으로 자유 회전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의 전측에 구비되어 링크 연결되며 전후 회전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링크부가 연결된 핸들부; 및
    하단이 상기 아마츄어의 타단 상면에 대향 배치되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고정되는 고정단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자유단이 상기 아마츄어의 타단 상측에 구비되는 트립케이스에 형성된 관통홀의 테두리에 걸림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각 내측으로 굴곡 변형됨에 따라 구속력이 해제되어 하향 이동되는 상기 플런저에 의해 상기 아마츄어가 시소 회전되면서 상기 콘텍판부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내면이 외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 바이메탈이 구비된 온도감지 트립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플런저는
    상단부가 상기 트립케이스의 상부로 돌출되고 하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걸림단이 돌설되며 상기 트립케이스의 상면과 상기 걸림단 사이에 탄발 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이 구비되는 고온감지표시부와,
    상기 걸림단의 하단으로 연장되되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이 결합되는 결합지지부와,
    상기 결합지지부의 하단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상기 아마츄어의 일단 상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로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5.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의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일측이 상기 전원입력부에 선택적으로 접점 연결되는 콘텍판부가 구비된 가동스위칭부;
    상기 콘텍판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크로스바;
    일단이 하향 연장되고 타단이 후향 연장되도록 절곡되되, 상기 크로스바의 후단에 직립 배치되는 요크의 상단에 시소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아마츄어;
    상기 아마츄어의 일단 전면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아마츄어의 타단이 하향 이동시 시소 회전되는 일단에 가압되어 전측으로 이동되는 트립바;
    하단에 상기 트립바가 연결되되, 상기 트립바의 이동시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는 핸들장착부에 고정된 래치회전축을 기준으로 연동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의 전측에 구비되며 상단부가 상기 래치부에 걸려 구속되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핸들장착부에 고정된 크래들회전축을 기준으로 자유 회전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의 전측에 구비되어 링크 연결되며 전후 회전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링크부가 연결된 핸들부; 및
    하단이 상기 아마츄어의 타단 상면에 대향 배치되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고정되는 고정단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자유단이 상기 아마츄어의 타단 상측에 구비되는 트립케이스에 형성된 관통홀의 테두리에 걸림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각 내측으로 굴곡 변형됨에 따라 구속력이 해제되어 하향 이동되는 상기 플런저에 의해 상기 아마츄어가 시소 회전되면서 상기 콘텍판부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내면이 외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 바이메탈이 구비된 온도감지 트립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플런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정렬핀이 돌설되며,
    상기 트립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상기 정렬핀의 승강 이동 높이를 제한하는 정렬슬롯홈이 수직방향으로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0200081738A 2020-07-02 2020-07-02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75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738A KR102175529B1 (ko) 2020-07-02 2020-07-02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738A KR102175529B1 (ko) 2020-07-02 2020-07-02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529B1 true KR102175529B1 (ko) 2020-11-06

Family

ID=7357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738A KR102175529B1 (ko) 2020-07-02 2020-07-02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52677A (zh) * 2023-08-01 2023-12-01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评估风景名胜区游客满意度的监控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595A (ko) * 1998-08-21 2000-03-1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KR200341427Y1 (ko) 2003-11-18 2004-02-11 신동아전기(주) 누전차단기
KR101818197B1 (ko) * 2017-08-28 2018-01-12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102124797B1 (ko) * 2020-02-07 2020-06-19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595A (ko) * 1998-08-21 2000-03-1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KR200341427Y1 (ko) 2003-11-18 2004-02-11 신동아전기(주) 누전차단기
KR101818197B1 (ko) * 2017-08-28 2018-01-12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102124797B1 (ko) * 2020-02-07 2020-06-19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52677A (zh) * 2023-08-01 2023-12-01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评估风景名胜区游客满意度的监控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535B1 (ko)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
US6400250B1 (en) Safety switch
US6664884B1 (en) Dual-circuit switch structure with overload protection
KR102175529B1 (ko) 사다리꼴 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1857239B1 (ko) 차단기
KR102155219B1 (ko) 아마츄어 관통형 온도감지 차단기
US20040037020A1 (en) Switch structure with overload protection
KR102169502B1 (ko) 트립유닛형 온도감지 차단기
CN112020754B (zh) 过压保护设备
KR102155226B1 (ko) 아마츄어 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1777614B1 (ko) 차단기의 접점 상태 표시 장치
US3183328A (en) Electric switch with contact weld check means
US6461195B2 (en) Safety electric plug with overcurrent protective means
KR102175514B1 (ko) 스프링 회전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75512B1 (ko) 레버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75524B1 (ko) 클립구속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067391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2142601B1 (ko) 아마츄어 결합형 온도감지 차단기
CN113488816B (zh) 智能安全插座及智能插座插头组件
CN212257320U (zh) 一种断路器的脱扣系统以及一种断路器
KR102169494B1 (ko) 핸들 우산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69503B1 (ko) 플런저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69495B1 (ko) 버튼 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55223B1 (ko) 아마츄어 걸림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42353B1 (ko)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