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936B1 -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 - Google Patents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936B1
KR102088936B1 KR1020190159719A KR20190159719A KR102088936B1 KR 102088936 B1 KR102088936 B1 KR 102088936B1 KR 1020190159719 A KR1020190159719 A KR 1020190159719A KR 20190159719 A KR20190159719 A KR 20190159719A KR 102088936 B1 KR102088936 B1 KR 102088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bimetal
trip
spaced apart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9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과전류의 발생시 신속하게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구동신뢰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배치되되, 전단부가 상기 전원입력부에 접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자화대면부가 후방으로 연장된 연결판부와, 후단부가 상기 연결판부의 후단부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판부와 교차되는 상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전단부에 제2자화대면부가 형성된 바이메탈을 포함하는 가동스위칭부; 일측에 상기 연결판부의 전단측이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가 형성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크로스바; 상기 제2자화대면부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전후 회동되되 전면에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된 트립부; 전단부가 상기 크로스바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되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연결판부가 접점 연결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래치부;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 핸들부; 및 하단부에 힌지부가 구비되고 상단부가 상기 바이메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되 상기 트립부의 전면에 이격 배치되며, 과전류 발생시 열변형된 상기 바이메탈에 의해 걸림되는 지연트립구간에서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후측으로 1차 회동된 후 상기 연결판부 및 상기 바이메탈에 동시에 흡인 자력이 발생하는 순시트립구간에서 2차 순시 흡인 회동되면서 상기 크로스바를 가압하는 상기 래치부가 상기 경사단턱과 이격되도록 상기 트립부를 연동 후퇴시키는 자성체 재질의 흡인회전자를 포함하는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bimetal instant trip typ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과전류의 발생시 신속하게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구동신뢰성이 개선된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가 흐르거나 회로 내에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전기선로의 개폐조작을 신속하게 전환시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제품 및 선로의 파손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차단기는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해 구동되며, 바람직하게는 과전류가 발생시 자동으로 전류가 단락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에는 열팽창율이 다른 두 금속판을 붙여 놓고 과전류로 인한 열이 가해질 경우 열팽창율이 작은 쪽으로 휘는 특성을 이용한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는 통상 회로에 전류가 공급되면 저항이 발생하여 상기 바이메탈이 가열되고, 일정한 기준 이상의 과다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바이메탈이 휘어지면서 인접하여 닿아있는 트립부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의 하부에 결합된 접촉단자가 입력터미널로부터 이격되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는 구조로 구동된다.
그러나, 종래의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는 상기 바이메탈이 변형되는 시간이 발생됨으로 인해 전류를 즉각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고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전류가 차단되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지연됨에 따라 차단기 내부의 구성부품뿐만 아니라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제품 및 선로의 파손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일부에서는 과전류가 발생시 전송되는 신호를 통해 트립바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영상변류기 방식의 차단기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변류기 방식의 차단기는 상기 영상변류기, 솔레노이드부,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이 복잡하고 고가의 부품을 포함하므로 차단기 자체의 제조단가 및 판매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잡한 부품이 상기 차단기의 내부에 조밀하게 설치되므로 제조난이도가 상승하며, 각 부품간이 과도하게 인접하여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142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과전류의 발생시 신속하게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구동신뢰성이 개선된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배치되되, 전단부가 상기 전원입력부에 접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자화대면부가 후방으로 연장된 연결판부와, 후단부가 상기 연결판부의 후단부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판부와 교차되는 상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전단부에 제2자화대면부가 형성된 바이메탈을 포함하는 가동스위칭부; 일측에 상기 연결판부의 전단측이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가 형성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크로스바; 상기 제2자화대면부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전후 회동되되 전면에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된 트립부; 전단부가 상기 크로스바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되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연결판부가 접점 연결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래치부;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 핸들부; 및 하단부에 힌지부가 구비되고 상단부가 상기 바이메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되 상기 트립부의 전면에 이격 배치되며, 과전류 발생시 열변형된 상기 바이메탈에 의해 걸림되는 지연트립구간에서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후측으로 1차 회동된 후 상기 연결판부 및 상기 바이메탈에 동시에 흡인 자력이 발생하는 순시트립구간에서 2차 순시 흡인 회동되면서 상기 크로스바를 가압하는 상기 래치부가 상기 경사단턱과 이격되도록 상기 트립부를 연동 후퇴시키는 자성체 재질의 흡인회전자를 포함하되, 상기 흡인회전자는 상기 크로스바의 일측에 힌지 연결된 상기 힌지부로부터 후향 연장되어 상기 제1자화대면부와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는 제1흡인부와, 상기 제1흡인부의 후단부로부터 기설정된 이격각도로 상향 절곡 연장되되 상기 제2자화대면부와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는 제2흡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흡인부의 상단부에는 지연트립구간에서 열변형에 의해 휘어지는 상기 바이메탈의 후면에 의해 선택적으로 걸림 가압되어 1차 회동되도록 후측으로 연장 절곡되어 상기 바이메탈의 후면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되 상기 트립부의 전면에 대향 이격 배치되는 걸림절곡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흡인회전자가 제1자화대면부 및 그 후단부에 교차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된 제2자화대면부의 상측 전면에 대향 배치되어 과전류 유입시 각 자화대면부에 동시에 발생하여 고조된 흡인 자력을 통해 순간적으로 회전되므로 종래의 저항열을 통해 휘어지는 바이메탈보다 전류 차단속도가 빠른 차단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둘째, 흡인회전자의 상단부로부터 후측으로 연장 절곡되어 트립부의 전면에 대향 이격 배치되는 걸림절곡부가 열변형에 의해 휘어지는 바이메탈에 의해 걸림 연동되며 1차 회동된 후 흡인 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신속하게 2차 회동되므로 전류차단 속도가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셋째, 제1흡인부의 하부에 대향되는 연결판부의 하측에 자성체 재질의 증폭판부가 구비되어 지연트립구간에서 바이메탈에 의해 걸림 가압되어 1차 회동된 흡인회전자가 순시트립구간에서 제1자화대면부 및 증폭판부에 발생하는 더욱 증폭된 흡인 자력에 의해 가속되며 회동되므로 전류 차단속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흡인회전자의 회동시 걸림절곡부에 의해 트립부가 가압되어 연동 후퇴되면서 그의 전면에 지지된 래치부의 구속이 물리적으로 해제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전류가 차단되므로 영상변류기 등의 고가의 부품이 요구되지 않아 제조비용 절감 및 제품의 컴팩트화를 통한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의 커버가 분리되어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에서 하우징부를 제외한 구성부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a 및 도 4b 및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의 커버가 분리되어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에서 하우징부를 제외한 구성부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4a 및 도 4b 및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와 차단기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1100)는 하우징부(10), 가동스위칭부(1120), 크로스바(1130), 트립부(1140), 래치부(50), 핸들부(60) 및 흡인회전자(117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10)는 상기 차단기(1100)의 구성부품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절연성 및 불연성의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부(10)의 내부에는 각 구성부품이 설치 및 조립되도록 구획격벽, 설치홈 또는 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0)의 전측에는 전원측에 접속되는 전원입력부(11)가 구비되며 후측에는 부하측과 연결되는 부하출력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입력부(11)에는 고정접점부(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스위칭부(1120)는 상기 전원입력부(11)와 상기 부하출력부(12)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스위칭부(1120)는 연결판부(1121)와 바이메탈(1122)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결판부(1121)는 전단부가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인접하되 후방으로 연장된 제1자화대면부(1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의 전단부에는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접점 연결되는 가동접점부(1125)가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판부(1121)는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 및 그의 전단측에 구비된 상기 가동접점부(1125)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는 상기 가동접점부(1125)가 상기 고정접점부(13)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전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1122)은 후단부가 상기 연결판부(1121)의 후단부에 접촉 연결되되 상기 연결판부(1121)와 교차되는 상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전단부에 제2자화대면부(112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의 후단부와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의 후단부는 중첩되되 나사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10)에 고정된다. 이러한 바이메탈(1122)은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와 마찬가지로 전도성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전선(15)을 통해 상기 부하출력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판부(1121)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상기 가동접점부(1125)가 접촉되며, 상기 전원입력부(11), 상기 연결판부(1121), 상기 바이메탈(1122), 상기 전선(15) 및 상기 부하출력부(12)를 거쳐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와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는 전도성을 가지면서도 전류를 통해 자화되는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는 자화되면서도 전면 및 후면이 각각 상이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는 바이메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과전류를 통한 전류 저항열로 인해 상기 바이메탈(1122)의 온도가 상승되면 낮은 열팽창계수를 가진 후면측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판부(1121)의 전단부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크로스바(1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1130)는 상기 연결판부(1121)의 전단측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판부(1121)의 전단부가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11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판부(1121)의 전단부가 가압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의 전단부가 가압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크로스바(1130)는 상측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1133)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된다.
상세히, 정상 상태에서 상기 탄성수단(1133)의 탄발력보다 상기 크로스바(1130)가 하측으로 가압되는 힘이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바(1130)가 하향 가압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탄성수단(1133)은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경유부(1131)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상기 연결판부(1121)의 전단부가 구부러지면서 하향 가압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가동접점부(1125)가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접점 연결된다. 이때, 과전류가 발생하거나 상기 핸들부(60)의 조작을 통해 상기 크로스바(1130)를 가압하는 힘이 상실되면 상기 탄성수단(1133)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상기 크로스바(1130)가 상향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판부(1121)를 가압하던 가압력이 상실되므로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가 탄발복원력을 통해 펴지면서 상기 가동접점부(1125)가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이격된다.
한편, 상기 트립부(1140)는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에 형성된 회동단부(1140a)를 중심으로 전후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트립부(1140)의 전면에는 경사단턱(1141)이 전향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는 전단부(50a)가 상기 크로스바(1130)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며 후단부(50b)가 상기 트립부(1140)의 전면와 마주보는 길이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는 상기 경사단턱(1141)과 접촉 또는 이와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핸들부(60)는 상기 하우징부(10)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50)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61)가 하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회동방향이라 함은 상기 가동접점부(1125)와 상기 고정접점부(13)가 접촉되도록 동작되는 접속방향과 상기 가동접점부(1125)와 상기 고정접점부(13)가 이격되도록 동작되는 차단방향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접속방향을 전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설명 및 도시하고 차단방향을 후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상세히, 상기 핸들부(60)가 접속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61)가 하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61)는 상기 래치부(50)의 중앙측에 형성된 승강연결부(51)에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61)가 하향 이동되면 상기 래치부(50)가 연동 이동되되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상기 경사단턱(1141)의 경사진 상면에 면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상기 경사단턱(1141)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단부(50a)가 하향 회동되면서 래치가압부(1132)에 접촉 및 상기 크로스바(1130)를 가압하며,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상기 가동접점부(1125)가 접점 연결된다.
한편, 상기 흡인회전자(1170)는 상기 연결판부(1121)의 상면 및 상기 바이메탈(1122)의 전면에 동시에 대향 배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흡인회전자(1170)의 하단부에 힌지부(1171)가 구비되며 상단부가 상기 바이메탈(1122)의 상단에 이격되되 선택적으로 걸림 연결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흡인회전자(1170)의 상단부가 상기 트립부(1140)의 전면에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흡인회전자(1170)는 자성체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흡인회전자(1170)는 순철 또는 주철과 같이 강자성체인 철(Fe)성분이 다량 함유된 금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원입력부(11)를 통해 전류가 유입되면 상기 연결판부(1121)와 상기 바이메탈(1122)로 전류가 흐르면서 자화된다. 이때, 과전류가 유입되면 상기 연결판부(1121)와 상기 바이메탈(1122)이 유입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주변에 금속을 흡인하는 흡인 자력이 고조된다. 여기서,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자성체로 구비됨에 따라 흡인 자력에 의해 상기 힌지부(1171)를 중심으로 차단방향인 후측으로 흡인 회동된다.
여기서, 과전류 발생시 열변형된 상기 바이메탈(1122)에 의해 후술되는 걸림절곡부(1175)가 걸림되는 지연트립구간에서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상기 바이메탈(1122)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후측으로 1차 회동된다. 이때, 지연트립구간은 상기 가동스위칭부(1120)에 유입되는 전류값이 정상허용전류값 대비 100% 이상이며 600% 미만인 구간을 의미한다.
즉, 과전류 발생구간 중 지연트립구간에서 상기 바이메탈(1122)의 온도가 상승되면 상기 바이메탈(1122)이 낮은 열팽창계수를 가진 후면측으로 휘어지면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상기 바이메탈(1122)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힌지부(1171)를 중심으로 후측으로 1차 회동된다.
이때, 지연트립구간이 기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상기 바이메탈(1122)에 의해 상기 트립부(1140)의 조정나사(1145)가 가압되어 연동 후퇴됨에 따라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상기 경사단턱(1141)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래치부(50)를 가압 지지하던 구속력이 상실된다. 이를 통해, 상기 크로스바(1130)에 가해지던 가압력이 제거되며,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가 탄발 복원되어 펼쳐지면서 상기 가동접점부(1125)와 상기 고정접점부(13)가 이격됨에 따라 전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동스위칭부(1120)에 유입되는 전류값이 정상허용전류값 대비 각각 200% 및 300%인 경우 각각 약 60초 및 10초 후 열변형된 상기 바이메탈(1122)에 의해 상기 트립부(1140)가 연동 후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립부(1140)의 상단부에는 상기 바이메탈(1122)의 상단 후면에 대향 배치되도록 조정나사(1145)가 전후방향으로 관통 배치되어 고정되되, 과전류 발생구간 중 지연트립구간에서 상기 바이메탈(1122)이 휘어지며 상기 조정나사(1145)의 전단부에 가압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정나사(1145)가 상기 트립부(1140)의 상단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되어 전후방향 위치가 미세 조정될 수 있다.
한편, 과전류 발생시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상기 바이메탈(1122)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후측으로 1차 회동된 후 상기 연결판부(1121) 및 상기 바이메탈(1122)에 동시에 흡인 자력이 발생하는 순시트립구간에서 2차 순시 흡인 회동된다. 이때, 순시트립구간은 상기 가동스위칭부(1120)에 유입되는 전류값이 정상허용전류값 대비 600% 이상인 구간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연결판부(1121) 및 상기 바이메탈(1122)에 흡인 자력이 발생하는 것과,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 및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에 흡인 자력이 발생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과전류 발생구간 중 지연트립구간에서 상기 바이메탈(1122)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힌지부(1171)를 중심으로 후측으로 1차 회동된 상태의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순시트립구간에서 흡인 자력에 의해 상기 바이메탈(1122)과는 독립적으로 후측으로 2차 순시 흡인 회동된다. 이때, 순시트립구간에서 상기 바이메탈(1122)이 과전류에 의해 열변형되며 휘어지는 속도보다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흡인 자력에 의해 회동되는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회동되면 상기 트립부(1140)가 상기 흡인회전자(1170)에 형성된 걸림절곡부(1175)에 의해 가압되며 순간적으로 연동 후퇴된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상기 경사단턱(1141)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래치부(50)를 가압 지지하던 구속력이 상실된다. 이를 통해, 상기 크로스바(1130)에 가해지던 가압력이 제거되며,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가 탄발 복원되어 펼쳐지면서 상기 가동접점부(1125)와 상기 고정접점부(13)가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인회전자(1170)는 상기 힌지부(1171), 제1흡인부(1172), 제2흡인부(1174), 걸림절곡부(1175) 및 걸림돌기부(1176)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힌지부(1171)는 상기 크로스바(1130)의 상면측에 힌지축을 통해 힌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은 상기 힌지부(1171)에 헐겁게 끼워 맞춰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자화대면부의 흡인 자력에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신속하게 흡인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흡인부(1172)는 상기 힌지부(1171)로부터 후향 연장되며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와 마주보게 이격 배치된다.
더불어, 상기 제2흡인부(1174)는 제1흡인부(1172)의 후단부로부터 기설정된 이격각도로 상향 절곡 연장되되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와 마주보게 이격 배치된다. 즉, 상기 제2흡인부(1174)는 상기 제1흡인부(1172)로부터 연장된 금속판이 기설정된 절곡점을 중심으로 꺾인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절곡부(1175)는 상기 제2흡인부(1174)의 상단부에 지연트립구간에서 열변형에 의해 휘어지는 상기 바이메탈(1122)의 후면에 의해 선택적으로 걸림 가압되어 1차 회동되도록 후측으로 연장 절곡되며, 상기 바이메탈의 후면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되, 후면이 상기 트립부(1140)의 전면에 대향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흡인부(1174)로부터 일체로 연장 절곡된 상기 걸림절곡부(1175)는 'ㄷ'자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어 과전류 발생시 열변형되는 상기 바이메탈(1122)의 전후면을 감싸며 이격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트립부(1140)의 전면에 이격 배치되며 절곡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절곡부(1175)는 상기 제2흡인부(1174)의 상단에 폭방향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1175b)와, 상기 연장부(1175b)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바이메탈(1122) 및 상기 트립부(1140)의 사이로 절곡지게 연장되는 절곡부(1175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 상기 절곡부(1175a)의 전면이 상기 바이메탈(1122)의 후면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절곡부(1175a)의 후면이 상기 트립부(1140)의 전면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1175b)가 상기 바이메탈(1122)과 상호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흡인회전자(1170)는 자성체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차단기(1100)의 순시트립을 위한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단일의 부품으로 형성되며 단순히 절곡되는 심플한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제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이메탈(1122)의 후면과 상기 걸림절곡부(1175) 간의 이격간격은 상기 걸림절곡부(1175)와 상기 트립부(1140)의 전면 간의 이격간격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과전류 발생구간 중 지연트립구간에서 열변형되어 휘어지는 상기 바이메탈(1122)에 의해 상기 걸림절곡부(1175)가 걸림 연동됨에 따라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상기 힌지부(1171)를 중심으로 1차 회동된다. 이때,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1차 회동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절곡부(1175)와 상기 트립부(1140)가 상호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과전류 발생구간 중 순시트립구간에서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의 흡인 자력을 통해 상기 제1흡인부(1172)가 하측으로 당겨짐과 동시에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의 흡인 자력을 통해 상기 제2흡인부(1174)가 후측으로 당겨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절곡부(1175a)의 후면이 상기 트립부(1140)의 전면을 가압한다.
이때, 상기 제1흡인부(1172)와 상기 제2흡인부(1174)가 흡인 자력을 통해 당겨지는 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전방향에 대응된다. 이와 같이,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그의 하측 및 후측의 두방향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으로 흡인되므로 하나의 면에서 발생하는 흡인 자력을 통해 흡인되는 구조보다 흡인 자력이 작용하는 면적이 증가되어 정확하면서도 순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ㄷ'자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바이메탈(1122)의 전후면을 감싸며 이격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트립부(1140)의 전면에 이격 배치되며 절곡 연장된 상기 걸림절곡부(1175)에 의해 과전류 발생시 흡인 자력이 작용되는 면적이 더욱 증가하므로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신속하게 회전되면서 이와 연결된 상기 트립부(1140)를 연동 후퇴시키므로 전류가 일시에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인회전자(1170)는 전류의 흐름에 의해 상기 연결판부(1121)와 상기 바이메탈(1122)이 자화되더라도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 전후 회동되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기 흡인회전자(1170)는 정상허용전류 범위를 초과한 지연트립구간에서 열변형되는 상기 바이메탈(1122)에 의해 1차 회동되되 상기 걸림절곡부(1175)의 후면과 상기 트립부(1140)의 전면이 상호 이격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순시트립구간에서는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상기 연결판부(1121) 및 상기 바이메탈(1122)에 형성되는 흡인 자력에 의해 반드시 흡인 회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연트립구간에서 상기 바이메탈(1122)에 의해 걸림 가압되어 1차 회동된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순시트립구간에서 흡인 자력에 의해 2차 순시 회동되도록, 상기 바이메탈(1122) 및 상기 조정나사(1145)의 전단부 간의 이격간격(d1)은 상기 걸림절곡부(1175)의 후면 및 상기 트립부(1140)의 전면 간의 이격간격(d2)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이메탈(1122)의 후면과 상기 걸림절곡부(1175) 간의 이격간격은 상기 걸림절곡부(1175)와 상기 트립부(1140)의 전면 간의 이격간격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바이메탈(1122) 및 상기 조정나사(1145)의 전단부 간의 이격간격(d1)은 지연트립구간에서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열변형되는 상기 바이메탈(1122)에 의해 걸림 가압되어 1차 회동되는 회동범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절곡부(1175)의 후면 및 상기 트립부(1140)의 전면 간의 이격간격(d2)은 1차 회동된 상태의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흡인 자력에 의해 2차 순시 흡인 회동되는 회동범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흡인회전자(1170)는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와 상기 제1흡인부(1172) 사이의 이격간격, 그리고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와 상기 제2흡인부(1174) 간의 이격간격이 기산출된 간격값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기산출된 간격값이라 함은 기설정된 정상허용전류 범위 및 차단이 요구되는 차단전류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기(1100)가 정상 구동되도록 상기 흡인 자력이 상기 흡인회전자(1170)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간격 범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차단전류가 작은 값으로 측정될 경우 상기 이격간격은 좁게 형성되며 차단전류가 큰 값으로 측정될 경우 상기 이격간격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산출된 간격값과 실제 테스트를 통해 작동되는 간격이 상이할 경우, 상기 힌지부(1171)를 중심으로 상기 제1흡인부(1172)와 상기 제2흡인부(1174)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차단기(1100)의 구동이 정밀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단기(1100)가 과전류 발생시 명확하게 차단 작동되도록 하여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흡인부(1172)와 상기 제2흡인부(1174)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차단전류값에 따라 다양한 차단기에 호환 적용이 가능하므로 호환성 및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흡인부(1174)의 길이는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의 길이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절곡부(1175)의 형성 위치가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의 최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1130)가 상향 이동시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함께 상향 이동되더라도 상기 걸림절곡부(1175)가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에 상호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를 통해, 상기 연결판부(1121)가 상기 크로스바(1130)로 인해 임의로 가압됨이 방지되므로 전류의 차단상태가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기(1100)는 지연트립구간에서 상기 바이메탈(1122)에 의해 걸림 가압되어 1차 회동된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순시트립구간에서 흡인 자력에 의해 2차 순시 회동시 가속되도록, 상기 제1흡인부(1172)의 하부에 대향되는 상기 연결판부(1121)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구비되는 자성체 재질의 증폭판부(118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증폭판부(1180)는 영구자석으로서 구비됨이 가장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순철 또는 주철과 같이 강자성체인 철(Fe)성분이 다량 함유된 금속으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자화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과전류 발생구간 중 순시트립구간에서 상기 제1흡인부(1172)에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에 상기 증폭판부(1180)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이 더욱 증폭되어 더해짐으로써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상기 힌지부(1171)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속도가 현저히 증가된다.
한편, 상기 핸들부(60)는 상기 하우징부(10)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되, 상기 래치부(50)를 가압 지지하던 구속력이 상실되면 일측에 구비된 복귀수단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차단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복귀수단은 토션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60)의 하단부에 힌지 연결된 상기 가압부재(61)가 상향 이동되며, 상기 래치부(50)가 상기 크로스바(1130) 및 상기 트립부(114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부(50)가 상기 크로스바(1130)를 가압하는 힘이 상실되면 상기 탄성수단(1133)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상기 크로스바(1130)가 상향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판부(1121)를 가압하던 가압력이 상실되므로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가 탄발복원력을 통해 펴지면서 상기 가동접점부(1125)가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이격된다. 더불어, 상기 크로스바(1130)의 상면측에 힌지 연결된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상기 크로스바(1130)에 연동되어 상향 이동된다.
더욱이, 상기 걸림돌기부(1176)는 상기 제1흡인부(1172)의 전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지게 상향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크로스바(1130)의 상부에는 고정돌기부(1134)가 일체로 상향 연장 돌설되어 상기 걸림돌기부(1176)의 전면에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1100)는 양단부가 상기 걸림돌기부(1176) 및 상기 고정돌기부(1134)에 각각 걸림 연결되는 복원스프링(1177)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걸림돌기부(1176)는 상기 고정돌기부(1134)의 후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부(1176)의 전면과 상기 고정돌기부(1134)의 후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복원스프링(1177)의 신장되기 전의 초기 길이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부(1176)는 상기 제1흡인부(1172)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힌지부(1171)를 감싸되 상기 제1흡인부(1172)와 예각을 형성하며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되는 간격조절부(1176a)의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상향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돌기부(1176)의 전면과 상기 고정돌기부(1134)의 후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복원스프링(1177)의 초기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걸림돌기부(1176)의 전후방향 형성위치가 상기 간격조절부(1176a)의 길이 및 배치각도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원스프링(1177)은 양단이 상기 고정돌기부(1134) 및 상기 걸림돌기부(1176)에 걸림되어 상기 흡인회전자(1170)의 후측방향으로의 회동시 신장되며 반대방향으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원스프링(1177)의 양단부에는 상기 고정돌기부(1134) 및 상기 걸림돌기부(1176)에 각각 걸림 연결되기 위한 고리부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복원스프링(1177)의 탄성복원력이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의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 및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에서 발생하는 흡인 자력보다 크고, 과전류 상태에서는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 및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에서 발생하는 흡인 자력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상기 힌지부(1171)를 중심으로 2차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접점부(1125)가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이격되어 전류 흐름이 차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 및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에서 발생하는 흡인 자력이 상실됨에 따라 상기 복원스프링(117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초기 배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인회전자(1170)의 초기 배치 위치라 함은 상기 제1흡인부(1172)가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와 이격되고 상기 제2흡인부(1174)가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류가 다시 접속되도록 상기 핸들부(60)가 접속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 상기 가압부재(61)가 하향 이동되되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상기 경사단턱(1141)측으로 이동 및 그의 상면에 다시 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압부재(61)의 가압력이 계속 전달되면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50a)가 하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래치가압부(1132)에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가 접촉 및 하측으로의 가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연결판부(1121)가 하측으로 가압되며 상기 가동접점부(1125)와 상기 고정접점부(13)가 다시 접촉되도록 조작된다.
또한, 상기 회동단부(1140a)측에도 상기 트립부(1140)의 회전각도를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상기 경사단턱(114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후측방향으로 회동된 후 즉각적으로 상기 복귀수단을 통해 위치가 복귀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1100)는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 및 그 후단부에 교차되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2자화대면부(1124)의 상측 전면에 대향 배치된다. 그리고, 과전류 유입시 각 자화대면부에 동시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을 통해 순간적으로 후방으로 회전됨으로써 종래의 저항열을 통해 휘어지는 바이메탈보다 전류 차단속도가 빠른 차단기(1100)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과전류 발생구간 중 지연트립구간에서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열변형에 의해 휘어지는 상기 바이메탈(1122)에 의해 걸림 연동되며 1차 회동된 상태에서 순시트립구간에서 흡인 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2차 회동됨에 따라 전류 흐름이 종래에 비해 더욱 빠른 속도로 차단되므로 작동정밀성 및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인회전자(1170)의 제2흡인부(1174) 상단부로부터 후측으로 연장 절곡되어 상기 트립부(1140)의 전면에 대향 이격 배치되는 상기 걸림절곡부(1145)가 열변형에 의해 휘어지는 상기 바이메탈(1122)에 의해 걸림 연동되며 1차 회동된 후 흡인 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2차 회동되므로 전류차단 속도가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흡인부(1172)의 하부에 대향되는 상기 연결판부(1121)의 하측에 자성체 재질의 증폭판부(1180)가 구비된다. 따라서, 지연트립구간에서 상기 바이메탈(1122)에 의해 걸림 가압되어 1차 회동된 상기 흡인회전자가 순시트립구간에서 상기 제1자화대면부(1123)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에 상기 증폭판부(1180)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이 더욱 증폭되어 더해짐으로써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상기 힌지부(1171)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속도가 현저히 증가된다.
더욱이, 상기 흡인회전자(1170)의 회동시 상기 걸림절곡부(1175)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트립부(1140)가 연동 후퇴되면서 그의 전면에 지지된 상기 래치부(50)의 구속이 물리적으로 해제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전류가 차단된다. 따라서, 영상변류기 등의 고가의 부품이 요구되지 않아 제조비용 절감 및 제품의 컴팩트화를 통한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흡인부(1172)의 전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지게 상향 연장되는 상기 걸림돌기부(1176)와 상기 크로스바(1130)의 상부에 상향 연장 돌설된 상기 고정돌기부(1134) 사이에 상기 복원스프링(1177)이 걸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트립부(1140)가 정상 위치로 복귀되면 이와 연동되어 상기 흡인회전자(1170)가 자동으로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어 부품수가 최소화된 심플한 구조의 차단기(1100)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하우징부 1120: 가동스위칭부
1123: 제1자화대면부 1124: 제2자화대면부
1130: 크로스바 1134: 고정돌기부
1140: 트립부 50: 래치부
60: 핸들부 1170: 흡인회전자
1172: 제1흡인부 1174: 제2흡인부
1175: 걸림절곡부 1176: 걸림돌기부
1177: 복원스프링 1100: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

Claims (5)

  1.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배치되되, 전단부가 상기 전원입력부에 접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자화대면부가 후방으로 연장된 연결판부와, 후단부가 상기 연결판부의 후단부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판부와 교차되는 상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전단부에 제2자화대면부가 형성된 바이메탈을 포함하는 가동스위칭부;
    일측에 상기 연결판부의 전단측이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가 형성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크로스바;
    상기 제2자화대면부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전후 회동되되 전면에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된 트립부;
    전단부가 상기 크로스바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되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연결판부가 접점 연결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래치부;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 핸들부; 및
    하단부에 힌지부가 구비되고 상단부가 상기 바이메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되 상기 트립부의 전면에 이격 배치되며, 과전류 발생시 열변형된 상기 바이메탈에 의해 걸림되는 지연트립구간에서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후측으로 1차 회동된 후 상기 연결판부 및 상기 바이메탈에 동시에 흡인 자력이 발생하는 순시트립구간에서 2차 순시 흡인 회동되면서 상기 크로스바를 가압하는 상기 래치부가 상기 경사단턱과 이격되도록 상기 트립부를 연동 후퇴시키는 자성체 재질의 흡인회전자를 포함하되,
    상기 흡인회전자는
    상기 크로스바의 일측에 힌지 연결된 상기 힌지부로부터 후향 연장되어 상기 제1자화대면부와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는 제1흡인부와,
    상기 제1흡인부의 후단부로부터 기설정된 이격각도로 상향 절곡 연장되되 상기 제2자화대면부와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는 제2흡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흡인부의 상단부에는 지연트립구간에서 열변형에 의해 휘어지는 상기 바이메탈의 후면에 의해 선택적으로 걸림 가압되어 1차 회동되도록 후측으로 연장 절곡되어 상기 바이메탈의 후면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되 상기 트립부의 전면에 대향 이격 배치되는 걸림절곡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지연트립구간에서 상기 바이메탈에 의해 걸림 가압되어 1차 회동된 상기 흡인회전자가 순시트립구간에서 흡인 자력에 의해 2차 순시 회동되도록,
    상기 바이메탈과 상기 트립부의 상단부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조정나사의 전단부 간의 이격간격은 상기 걸림절곡부의 후면과 상기 트립부의 전면 간의 이격간격 미만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이메탈의 후면과 상기 걸림절곡부 간의 이격간격은 상기 걸림절곡부와 상기 트립부의 전면 간의 이격간격 미만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회전자가 순시트립구간에서 흡인 자력에 의해 2차 순시 회동시 가속되도록, 상기 제1흡인부의 하부에 대향되는 상기 연결판부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구비되는 자성체 재질의 증폭판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회전자에는 상기 제1흡인부의 전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지게 상향 연장되는 걸림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바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돌기부의 전면에 대향 배치되는 고정돌기부가 상향 연장 돌설되며,
    양단부가 상기 걸림돌기부 및 상기 고정돌기부에 각각 걸림 연결되는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
KR1020190159719A 2019-12-04 2019-12-04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 KR102088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19A KR102088936B1 (ko) 2019-12-04 2019-12-04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19A KR102088936B1 (ko) 2019-12-04 2019-12-04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936B1 true KR102088936B1 (ko) 2020-03-13

Family

ID=6993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719A KR102088936B1 (ko) 2019-12-04 2019-12-04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9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226B1 (ko) * 2020-05-12 2020-09-1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아마츄어 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55219B1 (ko) * 2020-05-12 2020-09-1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아마츄어 관통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55230B1 (ko) * 2020-05-12 2020-09-1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아마츄어 연동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55223B1 (ko) * 2020-05-12 2020-09-1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아마츄어 걸림형 온도감지 차단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27Y1 (ko) 2003-11-18 2004-02-11 신동아전기(주) 누전차단기
KR100848562B1 (ko) * 2006-12-29 2008-07-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27Y1 (ko) 2003-11-18 2004-02-11 신동아전기(주) 누전차단기
KR100848562B1 (ko) * 2006-12-29 2008-07-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226B1 (ko) * 2020-05-12 2020-09-1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아마츄어 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55219B1 (ko) * 2020-05-12 2020-09-1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아마츄어 관통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55230B1 (ko) * 2020-05-12 2020-09-1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아마츄어 연동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55223B1 (ko) * 2020-05-12 2020-09-1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아마츄어 걸림형 온도감지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936B1 (ko) 바이메탈 순시트립형 차단기
KR102088928B1 (ko) 순시콘텍형 차단기
CA2078473C (en) Remote control residential circuit breaker
JP2771582B2 (ja) 配線用遮断器
EP2474015B1 (en) Miniature circuit breaker
KR101098226B1 (ko) 소형누전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AU2002301799B2 (en) Circuit interrupter employing a mechanism to open a power circuit in response to a resistor body burning open
AU772359B2 (en) Ground fault current interrupter/arc fault current interrupter circuit breaker with fail safe mechanism
KR102124797B1 (ko)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AU777311B2 (en) Circuit breaker with bypass conductor commutating current out of the bimetal during short circuit interruption and method of commutating current out of bimetal
US5173674A (en) Thermal-magnetic trip unit with low current response
KR102088939B1 (ko) 스프링 순시흡인형 차단기
US5225800A (en) Thermal-magnetic trip unit with low current response
KR910008011B1 (ko) 회로차단기의 과전류 트립장치
KR20180065483A (ko) 누전 및 배선차단기를 위한 순시트립장치
KR102088389B1 (ko) 크로스바 순시트립형 차단기
EP0633589B1 (en) Circuit breaker mechanism
KR102088930B1 (ko) 옥스트립바 순시트립형 차단기
CA2281628A1 (en) Reverse deflection prevention arrangement for a bimetal in a circuit breaker
EP1014412B1 (en) Bistable actuator
KR102088935B1 (ko) 원추형스프링 순시콘텍형 차단기
KR102088398B1 (ko) 트립핀 회전형 차단기
KR102088932B1 (ko) 순시 탄성흡인형 차단기
KR102124796B1 (ko) 평판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42352B1 (ko) 트립부 걸림형 온도감지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