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468B1 - 볼 배트용 테이퍼형 분리 부재 및 그 사용을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볼 배트용 테이퍼형 분리 부재 및 그 사용을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468B1
KR102124468B1 KR1020140004884A KR20140004884A KR102124468B1 KR 102124468 B1 KR102124468 B1 KR 102124468B1 KR 1020140004884 A KR1020140004884 A KR 1020140004884A KR 20140004884 A KR20140004884 A KR 20140004884A KR 102124468 B1 KR102124468 B1 KR 102124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region
barrel
bat
han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429A (ko
Inventor
타이 비. 굳윈
제퍼리 에이. 플러드
마크 에이. 프릿츠케
글렌 알. 메이슨
Original Assignee
윌슨스포오팅굿드즈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슨스포오팅굿드즈컴파니 filed Critical 윌슨스포오팅굿드즈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4009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08Hand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0Handles with means for indicating correct hold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2Devices for measuring, verifying, correcting or customis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e.g. measuring the maximum torque a batting shaft can withst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 A63B2102/182Sof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형성되는 볼 배트를 제공한다. 상기 볼 배트는 핸들부, 배럴부 및 상기 핸들부에 제거 불가능하게 부착되는 사출 성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배럴부는 중심 영역에 의해 이격된 근위 영역 및 원위 영역을 갖는다. 상기 부재는 테이퍼형 근위 영역 및 배럴 결합 영역을 가진다.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은 상기 배럴부의 상기 근위 영역과 제거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배트는 상기 핸들부의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배럴부의 원위 단부까지 측정되는 전체 길이를 가진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전체 길이의 70 퍼센트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가진다.

Description

볼 배트용 테이퍼형 분리 부재 및 그 사용을 위한 시스템{TAPERED ISOLATING ELEMENT FOR A BALL BAT AND SYSTEM FOR USING SAME}
본 발명은 볼 배트의 핸들부를 배럴부에 연결하기 위한 부재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볼 배트를 맞춤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야구 배트와 소프트볼 배트는 잘 알려진 스포츠 용품들이다. 배트를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들은 목재, 알루미늄, 그외의 합금들, 섬유 복합 재료들 및 그들의 조합물 등을 포함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되고 훨씬 다양화되어져 왔다. 또한, 볼 배트의 구조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발전되고 훨씬 다양화되어져 왔다. 예컨대, 많은 현재의 볼 배트는 개별의 핸들부와 배럴부로 제작되고 있다. 많은 경우에 있어, 새로운 재료 및 조성물의 볼 배트에의 편입은 증대된 내구성, 신뢰성 및 성능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한 새로운 재료 및 조성물은 또한 볼 플레이어에 가용한 배트 구성의 수 및 선택지도 증가시키고 있다. 게다가, 야구 기구 및/또는 소프트볼 기구의 수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그와 같은 야구 기구 및 소프트볼 기구들은 정기적으로 볼 배트의 성능 한계를 포함하여 장비 표준 및/또는 요건을 공표하고 갱신한다.
현재의 볼 배트는 몇 가지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많은 기존 배트의 제작 비용은 구조의 복잡성, 재료비 및 완성된 볼 배트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시간으로 인해 매우 고비용일 수 있다. 다양한 배트 구조 및 재료는 소매상으로 하여금 어떠한 배트를 들여놓아야 하는지를 알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배트 모델들이 많으면 긴 생산 시험 시간을 가지게 된다. 또한, 배트 구조 및 조성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발전해가고 훨씬 다양화되어져 왔지만, 다수의 볼 배트는 여전히 볼을 타격할 때, 특히 중심에서 벗어난 충돌 시에 즉 볼 배트의 스윗 스팟에서 벗어난 충돌 시에 플레이어에게 과도한 충격 및/또는 진동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볼 배트 산업계에 여전히 여러 가지 요구들이 존재한다. 과도한 재료 및/또는 제조 비용 없이 뛰어난 성능, 내구성 및 신뢰성을 제공하는 배트 구성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비용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보다 많은 디자인 유연성 및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는 배트 구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비용 효과적이고, 배트의 맞춤화, 짧은 생산 시험 시간 및 뛰어난 성능을 가능하게 해주는 배트 구조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중심에서 벗어나 볼과 충돌할 때에도, 플레이어에게 뛰어난 촉감을 제공하는 볼 배트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배트를 맞춤화하여 디자인, 기술 수준, 성능 및 내구성을 포함하는 플레이어의 특정 요구에 잘 맞는 배트를 맞춤화하여 얻을 수 있게 해주는 효율적이고, 툴 사용이 쉬운 시스템 또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유리할 것이다. 또한, 보기에 좋으면서 성능이 우수한 특유의 매혹적인 외관을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형성되는 볼 배트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대략 균일한 외경을 갖는 핸들부;
중심 영역에 의해 이격된 근위 영역 및 원위 영역을 갖는 배럴부; 및
상기 핸들부에 제거 불가능하게 부착되는 사출 성형 부재로서, 상기 부재가 테이퍼형 근위 영역 및 배럴 결합 영역을 가지고,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이 상기 배럴부의 상기 근위 영역과 제거 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트가 상기 핸들부의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배럴부의 원위 단부까지 측정되는 전체 길이를 가지고, 상기 핸들부가 상기 전체 길이의 70 퍼센트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사출 성형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는 상기 핸들부에 대해 오버몰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는 비금속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은 테이퍼형이고, 상기 부재는 대략 절두원추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럴부의 상기 근위 영역은 전체적으로 상기 길이방향 축선 쪽으로 수렴하여,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과 상보형인 절두원추형 형상을 형성하여,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과 텔레스코프식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의 외면이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한정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은 상기 배럴부의 상기 근위 영역과 비나사식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는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알루미늄, 금속, 목재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는 길이방향 보어 및 외면을 한정하고 있고,상기 부재는 하나 이상의 캐버티 없이 연속형 구조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는 상기 보어로부터 상기 외면까지 하나 이상의 중실형 재료(solid material)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는 길이방향 보어 및 외면을 한정하고 있고, 상기 부재는 하나 이상의 중실형 재료, 하나 이상의 다공질 재료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는 길이방향 보어를 한정하고 있고, 상기 부재는 적어도 제1 재료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레이어 및 제2 재료로 형성되는 아우터 레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도가 쇼어 경도 스케일로 측정될 때, 상기 제1 재료의 경도가 상기 제2 재료의 경도보다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재료 및 상기 제2 재료는 상이한 색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우터 레이어의 텍스처는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외면의 텍스처와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우터 레이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레이어에 대해 오버몰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우터 레이어는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부재의 외면에서 보여질 수 있게 해주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퍼형 근위 영역은 그래픽 및/또는 알파벳·숫자 표식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우터 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부는 풀트루전 성형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는 구성요소들로 분해될 수 없는 원-피스 일체형 구조체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라,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형성되는 볼 배트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대략 균일한 외경을 갖는 핸들부;
중심 영역에 의해 이격된 근위 영역 및 원위 영역을 갖는 배럴부; 및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상기 부재가 테이퍼형 근위 영역 및 배럴 결합 영역을 가지고, 상기 부재가 상기 핸들부를 수용하기 위한 길이방향 보어를 한정하는 튜브형 벽 및 상기 부재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뻗어 있는 외벽을 가지고, 상기 외벽이 적어도 하나의 리브에 의해 상기 튜브형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이 상기 배럴부의 상기 근위 영역과 제거 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트가 상기 핸들부의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배럴부의 원위 단부까지 측정되는 전체 길이를 가지고, 상기 핸들부가 상기 전체 길이의 70 퍼센트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벽은 상기 부재의 상기 테이퍼형 근위 영역의 길이에 걸쳐 대략 절두원추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상기 튜브형 벽으로부터 상기 외벽까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튜브형 벽으로부터 상기 외벽까지 상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 축선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해 측정될 때 일정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는 1도 내지 45도의 범위 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적어도 3개의 리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적어도 4개의 리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격자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길이방향 축선 둘레로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는 비금속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는 전체적으로 사출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은 대략 절두원추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럴부의 상기 근위 영역은 전체적으로 상기 길이방향 축선 쪽으로 수렴하여,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과 상보형인 절두원추형 형상을 형성하여,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과 텔레스코프식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은 상기 배럴부의 상기 근위 영역과 비나사식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의 상기 외벽은 적어도 제1 재료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레이어 및 제2 재료로 형성되는 아우터 레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도가 쇼어 경도 스케일로 측정될 때, 상기 제1 재료의 경도가 상기 제2 재료의 경도보다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재료 및 상기 제2 재료는 상이한 색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우터 레이어의 조직은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외면의 조직과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우터 레이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레이어에 대해 오버몰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우터 레이어는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부재의 외면에서 보여질 수 있게 해주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우터 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퍼형 근위 영역은 그래픽 및/또는 알파벳·숫자 표식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부는 풀트루전 성형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캐버티가 상기 외벽, 상기 튜브형 벽 및 상기 리브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버티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3 재료로 충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재료는 다공질 폼, 폴리우레탄, 탄성 중합체, 금속, 목재, 다른 중합체 재료 및 그 조합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라,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형성되는 볼 배트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대략 균일한 외경을 갖는 핸들부;
중심 영역에 의해 이격된 근위 영역 및 원위 영역을 갖는 배럴부;
길이방향 보어를 한정하는 튜브형 벽을 구비하는 사출 성형 부재로서, 상기 핸들부에 제거 불가능하게 부착되고, 테이퍼형 근위 영역, 배럴 결합 영역, 및 인서트 결합 영역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사출 성형 부재; 및
상기 부재의 상기 인서트 결합 영역과 결합되는 튜브형 인서트로서, 상기 인서트 결합 영역이 상기 인서트와 결합하여 상기 인서트의 근위 방향으로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을 구비하고,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이 상기 배럴부의 상기 근위 영역과 제거 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트가 상기 핸들부의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배럴부의 원위 단부까지 측정되는 전체 길이를 가지고, 상기 핸들부가 상기 전체 길이의 70 퍼센트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튜브형 인서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는 상기 부재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뻗어 있는 외벽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외벽은 적어도 하나의 리브에 의해 상기 튜브형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상기 튜브형 벽으로부터 상기 외벽까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튜브형 벽으로부터 상기 외벽까지 상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 축선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해 측정될 때 일정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적어도 3개의 리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길이방향 축선 둘레로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는 전체적으로 사출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은 대략 절두원추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럴부의 상기 근위 영역은 전체적으로 상기 길이방향 축선 쪽으로 수렴하여,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과 상보형인 절두원추형 형상을 형성하여,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과 텔레스코프식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은 상기 배럴부의 상기 근위 영역과 비나사식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의 상기 외벽은 적어도 제1 재료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레이어 및 제2 재료로 형성되는 아우터 레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도가 쇼어 경도 스케일로 측정될 때, 상기 제1 재료의 경도가 상기 제2 재료의 경도보다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재료 및 상기 제2 재료는 상이한 색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우터 레이어의 조직은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외면의 조직과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우터 레이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레이어에 대해 오버몰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우터 레이어는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부재의 외면에서 보여질 수 있게 해주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퍼형 근위 영역은 그래픽 및/또는 알파벳·숫자 표식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부는 풀트루전 성형체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라,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입력 기구 및 상기 프로세서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메모리를 가지는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볼 배트를 맞춤화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볼 배트의 복수의 핸들부가 적어도 하나의 핸들부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되고, 상기 핸들부 특성이 길이, 외경, 무게, 색상, 휨에 대한 저항도, 강도, 벽 두께, 재료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볼 배트의 복수의 핸들부의 표시예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입력 기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핸들부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취하는 단계;
상기 볼 배트의 각각의 배럴부가 외경 및 길이를 가지고 있고, 복수의 배럴부가 적어도 하나의 배럴부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되고, 상기 배럴부 특성이 길이, 무게, 무게 분포, 공칭 외경, 최대 외경, 벽 두께, 강도, 모델명, 색상, 강성도, 재료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볼 배트의 복수의 배럴부의 표시예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입력 기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배럴부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취하는 단계;
부재가 상기 핸들부에 고정 결합되고 또한 상기 배럴부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부재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되고, 상기 부재 특성이 길이, 무게, 색상, 색상 패턴, 조직, 촉감, 재료, 재료 경도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에게 복수의 부재의 표시예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입력 기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부재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취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선택된 핸들부, 배럴부 및 부재가 포함된 조립된 상태의 볼 배트의 표시예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기구를 통해 상기 핸들부, 상기 배럴부 및 상기 부재의 선택을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볼 배트의 각각의 엔드 캡이 선택된 배럴부의 원위 단부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엔드 캡이 적어도 하나의 엔드 캡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되고, 상기 엔드 캡 특성이 크기, 무게, 색상, 색상 패턴, 스타일, 가격, 재료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볼 배트의 복수의 엔드 캡의 표시예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기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엔드 캡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볼 배트의 각각의 노브가 선택된 핸들부의 근위 단부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노브가 적어도 하나의 노브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되고, 상기 노브 특성이 크기, 무게, 색상, 색상 패턴, 스타일, 가격, 재료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볼 배트의 복수의 노브의 표시예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기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노브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볼 배트의 각각의 그립이 선택된 핸들부에 적용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그립이 적어도 하나의 그립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되고, 상기 그립 특성이 폭, 두께, 색상, 색상 패턴, 가격, 재료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볼 배트의 복수의 그립의 표시예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기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그립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볼 배트의 각각의 튜브형 인서트가 상기 배럴부 내에 뻗어 있고 또한 상기 부재와 상기 엔드 캡 중의 적어도 하나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튜브형 인서트가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되고, 상기 인서트 특성이 크기, 무게, 길이, 무게 분포, 두께, 재료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볼 배트의 복수의 튜브형 인서트의 표시예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기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인서트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배럴부, 상기 핸들부 및 상기 부재 중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배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그래픽 및/또는 알파벳·숫자 표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선택된 핸들부, 배럴부 및 부재가 포함된 조립된 상태의 볼 배트의 표시예를 제공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사용자가 상기 볼 배트의 표시예의 구성을 변경하기 위해 이전의 선택들 중의 하나 이상을 편집할 수 있게 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원격 컴퓨팅 시스템 즉 원격 컴퓨팅 장치로 통신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수취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볼 배트를 조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배트는 협회(기구) 경기용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핸들부는 외경 및 길이를 가지고, 상기 외경은 상기 핸들부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라, 핸들부, 배럴부 및 부재를 구비하는 볼 배트를 사용자에게 맞춤화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입력 기구 및 상기 프로세서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고, 사용자에게 적어도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볼 배트의 적어도 하나의 핸들부의 표시예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핸들부 특성을 선택 또는 변경할 수 있게 해주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부 특성은 길이, 외경, 무게, 색상, 휨에 대한 저항도, 강도, 벽 두께, 재료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볼 배트의 적어도 하나의 배럴부의 표시예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볼 배트의 상기 배럴부의 적어도 하나의 배럴부 특성을 선택 또는 변경할 수 있게 해주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배럴부 특성은 길이, 무게, 무게 분포, 공칭 외경, 최대 외경, 벽 두께, 강도, 모델명, 색상, 강성도, 재료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볼 배트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의 표시예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부재는 상기 핸들부에 고정 결합되고 또한 상기 배럴부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볼 배트의 상기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 특성을 선택 또는 변경할 수 있게 해주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재 특성은 길이, 무게, 색상, 색상 패턴, 조직, 촉감, 재료, 재료 경도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핸들부, 상기 배럴부 및 상기 부재를 포함한 상기 볼 배트의 표시예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입력 기구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 상기 배럴부 및 상기 부재의 선택된 조합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배트는 엔드 캡을 더 구비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적어도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5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제5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볼 배트의 적어도 하나의 엔드 캡의 표시예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엔드 캡은 상기 배럴부의 원위 단부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5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볼 배트의 엔드 캡의 적어도 하나의 엔드 캡 특성을 선택 또는 변경할 수 있게 해주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엔드 캡 특성은 크기, 무게, 색상, 색상 패턴, 스타일, 가격, 재료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배트는 노브를 더 구비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적어도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6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제6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볼 배트의 적어도 하나의 노브의 표시예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노브는 선택된 핸들부의 근위 단부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6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볼 배트의 상기 노브의 적어도 하나의 노브 특성을 선택 또는 변경할 수 있게 해주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노브 특성은 크기, 무게, 색상, 색상 패턴, 스타일, 가격, 재료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배트는 상기 볼 배트의 상기 핸들부에 부착되는 그립을 더 구비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적어도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7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제7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그립의 표시예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7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그립의 적어도 하나의 그립 특성을 선택 또는 변경할 수 있게 해주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그립 특성은 폭, 두께, 색상, 색상 패턴, 가격, 재료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가 상기 배럴부, 상기 핸들부 및 상기 부재 중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배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그래픽 및/또는 알파벳·숫자 표식을 선택할 수 있게 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선택된 핸들부, 배럴부 및 부재가 포함된 조립된 상태의 볼 배트의 표시예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볼 배트의 표시예의 구성을 변경하기 위해 이전의 선택들 중의 하나 이상을 편집할 수 있게 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고 있는 원격 컴퓨팅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핸들부, 상기 배럴부 및 상기 부재의 선택된 조합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원격 컴퓨팅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장치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같은 도면부호가 같은 부분을 나타내는 아래에 간략히 설명되는 도면을 참조하게 되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볼 배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배트의 핸들부와 배럴부의 연결을 보여주는 측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볼 배트의 배럴부에 대한 핸들부의 연결을 보여주는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볼 배트의 테이퍼형 부재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테이퍼형 부재의 또다른 측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테이퍼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테이퍼형 부재의 원위 끝면도이다.
도 8a는 도 4의 테이퍼형 부재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8b 내지 8c는 본 발명의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볼 배트의 테이퍼형 부재의 길이방향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볼 배트의 테이퍼형 부재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볼 배트의 테이퍼형 부재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볼 배트의 테이퍼형 부재의 원위 끝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가지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퍼형 부재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부재의 원위 끝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부재의 측면과 배럴부 및 인서트의 일부분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한 가지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볼 배트의 복수의 핸들부를 성형하는 풀트루전 성형 방법(pultrusion method)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한 가지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볼 배트를 맞춤 및 주문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7 내지 25는 도 16의 시스템에 따라 볼 배트 및 그 구성요소들을 맞춤화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볼 배트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으로 지시되고 있다. 도 1의 볼 배트(10)는 야구 배트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소프트볼 배트, 고무 볼 배트, 또는 다른 형태의 볼 배트로 제작될 수도 있다. 배트(10)는 길이방향 축선(14)을 따라 뻗어 있는 프레임(12)을 포함하고 있다. 튜브형 프레임(12)은 특정의 플레이어, 특정의 사용처, 또는 임의의 다른 관련 요건을 충족하도록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프레임(12)은 그와 같은 요건을 충족하도록 다양한 상이한 무게, 길이 및 지름으로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12)의 무게는 15 내지 36 온스의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12)의 길이는 24 내지 36 인치의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배럴부(18)의 최대 지름은 1.5 내지 3.5 인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프레임(12)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핸들부(16), 상대적으로 큰 지름의 배럴부(18)(타격부 또는 충돌부라고도 함) 및 중간의 테이퍼형 부재(20)를 가지고 있다. 핸들부(16), 배럴부(18) 및 중간의 테이퍼형 부재(20)는 서로 연결 즉 결합되게 되는 개별의 구조체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다중 피스 프레임 구조는 3개의 구성요소들의 각각이 특정의 플레이어 요건이나 사용처에 잘 맞도록 상이한 재료 또는 유사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핸들부(16)는 축선(14)을 따라 뻗어 있는 기다란 튜브형 구조체이고, 근위 단부 영역(22) 및 원위 단부 영역(24)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핸들부(16)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크기가 결정되며, 핸들부(16) 둘레에 감겨져 핸들부(16)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그립(26)과 핸들부(16)의 근위 단부(22)에 연결된 노브(28)를 구비하고 있다. 원위 단부 영역(24)은 테이퍼형 부재(20)에 연결된다. 핸들부(16)는 그것의 길이를 따라 균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 구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부(16)는 또한 그것의 길이를 따라 균일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핸들부는 그것의 길이를 따라 비균일 내경 및/또는 비균일 외경을 가지고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핸들부는 비중공형의 기다란 부재가 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핸들부는 비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핸들부(16)는 강도가 크고, 전체적으로 가요성이며 경량인 바람직하게는 섬유 복합 재료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핸들부(16)는 알루미늄 합금, 타타늄 합금, 스틸, 그외의 합금들,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목재 또는 그 조합과 같은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핸들은 경미한 테이퍼형 또는 비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프레임(12)의 배럴부(18)는 "튜브형", "대략 튜브형" 또는 "실질적으로 튜브형"이며, 이러한 "튜브형", "대략 튜브형" 또는 "실질적으로 튜브형"의 용어들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충돌부(즉 배럴부)를 가진 소프트볼 스타일의 배트와 함께, 특정 위치에서 대략 절두원추형인 특성을 가지는 배럴부를 갖는 야구 스타일의 배트를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대안적으로, 다른 중공형, 튜브형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배럴부(18)는 축선(14)을 따라 뻗어 있으며, 내면(32) 및 외면(34)을 가지고 있다. 배럴부(18)는 중심 영역(40)에 의해 이격된 근위 영역(36) 및 원위 영역(38)을 구비하고 있다. 배럴부(18)는 볼(도시 안됨)과 충돌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강도가 크고, 내구성이 높으며, 탄력성이 큰 재료로 형성된다.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근위 영역(36)은 한 가지 이상의 복합 재료, 타타늄 합금, 스칸듐 합금, 스틸, 그외의 합금들,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목재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복합 재료" 또는 "섬유 복합 재료"는 수지가 함침된(즉, 전체적으로 침투된) 복수의 섬유를 의미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들은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풀트루전 성형물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크릴(creel)을 사용하여 유기적으로 정렬되고 수지가 부가된 상태로 다이를 통해 인발될 수 있다. 하나의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섬유들은 시트(sheet)나 레이어(layer) 형태의 동축 정렬, 시트나 레이어 형태의 편조 또는 제직, 및/또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 형태의 세단(chopping) 및 무작위 산포(dispersion)로 배열될 수도 있다. 복합 재료는 수지가 함침된 섬유들의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단일 레이어 또는 다중 레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이어의 수는 3 내지 8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8개보다 많은 레이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중 레이어 구조에서는, 섬유들은 층층이 0도, 90도 및 0도와 90도 사이의 각 위치를 포함한 길이방향 축선(14)에 대한 다양한 방향(즉 각도)으로 및/또는 편조 또는 제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 풀트루전 성형 공정(pultrusion process)으로 형성되는 복합 재료의 경우, 각도는 0도 내지 90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이어들이 하나 이상의 스크림(scrim)이나 베일(veil)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 시에, 스크림이나 베일은 일반적으로 2개의 인접한 레이어를 분리시켜, 경화 중에 수지가 레이어들 사이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크림이나 베일은 또한 복합 재료의 레이어들 사이의 전단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스크림이나 베일은 유리, 나일론 또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크림이나 베일은 복합 재료의 레이어들 사이에서의 슬라이딩 또는 독립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사용될 수 있다. 섬유들은 그라파이트(graphite)와 같은 높은 인장 강도의 재료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섬유들은 예컨대, 유리, 카본, 보론, 바잘트(basalt), 캐럿(carrot), Kevlar®, Spectra®, 폴리-파라-페닐렌-2, 6-벤조비스옥사졸(PBO), 헴프(hemp) 및 그 조합과 같은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세트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이다. 다른 세트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일 수도 있다. 복합 재료는 일반적으로 맨드릴 및/또는 그에 준하는 구조체 둘레에 감겨지고(즉 풀트루전 성형으로 다이를 통해 인발되고), 열 및/또는 압력 하에 경화된다. 경화 중에, 수지는 유동하고 완전히 분산되어 섬유 메트릭스에 함침하도록 구성된다.
배트(10)는 또한 배럴부(18)의 원위 영역(38)을 실질적으로 밀폐하도록 원위 영역(38)에 부착되는 엔드 캡(30)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엔드 캡(30)은 에폭시에 의해 원위 영역(38)에 접합된다. 대안적으로, 엔드 캡은 다른 접착제, 화학적 접합, 열 접합, 억지 끼워맞춤, 다른 압입 끼워맞춤 연결 및 그 조합에 의해 원위 영역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중간의 테이퍼형 부재(20)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부재(20)는 핸들부(16)를 배럴부(18)에 연결하는 천이 부재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재(20)는 테이퍼형 근위 영역(50) 및 배럴 결합 영역(배럴 결합부)(52)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배럴 결합 영역(52)도 부재(20)가 절두원추형 형상을 가지도록 근위 영역(50)과 유사한 테이퍼형일 수 있다.
부재(20)는 단일 재료 또는 2가지 이상의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재(20)는 제1 재료로 형성된 베이스 레이어(54) 및 제2 재료로 형성된 아우터 레이어(5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재료 및 제2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엔지니어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engineer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ETPU)과 같은 경량이고, 인성이 크며, 내구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제1 재료 및 제2 재료는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복합 재료, 섬유 복합 재료, 알루미늄, 합금, 목재 및 그 조합과 같은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쇼어 D 경도 스케일 45 내지 쇼어 R 경도 스케일 150의 범위 내의 듀로미터 값(경도 값)을 가진다. 하나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재료는 쇼어 R 경도 스케일 100 내지 140 범위 내의 듀로미터 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중요한 양태는 부재(20)의 제1 재료가 경질 재료로 형성되어도, 부재(20)는 볼과의 충돌 시에 배럴부(18)로부터 핸들부(16)로 전해지는 바람직하지 못한 진동 및 충격 에너지의 레벨을 현저히 감소시킨다는 데 있다.
제2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쇼어 A 스케일 20 내지 쇼어 R 스케일 120의 범위 내의 듀로미터 값을 가진다. 하나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재(20)가 제2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제2 재료는 쇼어 A 스케일 20 내지 90의 범위 내의 듀로미터 값을 가진다. 제1 재료 및 제2 재료는 상이한 재료 또는 동일 재료일 수 있지만, 경도와 같은 상이한 특성을 가진다. 제1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제2 재료보다 더 경도가 크다. 즉, 제2 재료보다 더 큰 쇼어 듀로미터 값을 가진다. 하나의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재료 및 제2 재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도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또다른 대안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재료가 제1 재료보다 더 큰 경도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아우터 레이어(56)를 편입함으로써, 부재(20)에 추가적인 디자인 유연성을 제공하게 된다. 아우터 레이어(56)의 제2 재료가 베이스 레이어(54)보다 더 작은 듀로미터 값을 가지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아우터 레이어(56)는 접촉 시에 배트(10)의 베이스 레이어(54)나 다른 구성요소의 촉감과 비교하여 상이한 촉감을 가진다. 아우터 레이어(56)는 연속적이고 베이스 레이어(54) 전체를 덮을 수 있으며, 또는 아우터 레이어(56)는 베이스 레이어(54)의 부분 부분들이 당해 아우터 레이어(56)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부(58)를 통해 보여질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상이한 형상 또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도 2 및 도 4-6은 베이스 레이어(54)의 부분 부분들이 아우터 레이어(56)의 개구부(58)를 통해 보여질 수 있는 아우터 레이어(56)의 3가지 개별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3가지 예들은 대표적인 표본일 뿐 이들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디자인, 패턴, 형상, 그래픽 및/또는 알파벳·숫자 표식(indicia)의 사용을 의도하고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우터 레이어(56)는 상표(예컨대, DeMarini® "D" 등록 상표와 같은), 서비스표, 디자인, 로고, 인증 마크, 경고, 표기사항, 그 밖의 마킹 또는 그 조합을 나타내는 그래픽 및/또는 알파벳·숫자 표식(70)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레이어(56)는 바람직하게는 당해 아우터 레이어(56)에 의해 취해진 그래픽, 디자인 또는 패턴이 보다 강조되고, 3차원으로 되고 보다 더 잘 보여질 수 있도록 베이스 레이어(54)에 대해 약간 융기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레이어(54)는 단색이나 다중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우터 레이어(56)는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거나 여러 가지 색상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베이스 레이어(54) 및 아우터 레이어(56)는 동일 색상 또는 동일 색상 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우터 레이어(56)는 또한 베이스 레이어(54)와 상이한 텍스처를 가질 수도 있다.
부재(20)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몰드 내에서 또는 사출 성형 장치를 사용한 작업에서 생산된 사출 성형 부재이다. 사출 성형 장치는 부재(20)(또는 부재의 반부)의 형상을 정하는 몰드 캐버티를 갖는 사출 몰드를 구비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재(20)는 핸들부(16)에 중첩되어 사출 성형된다. 핸들부(16)가 몰드 내에 뻗어 있고(또한 본질적으로 몰드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부재(20)의 제1 재료가 핸들부(16) 둘레에서 사출 성형된다. 핸들부(16) 위에 중첩된 상태에서의 부재(20)의 사출 성형을 핸들부(16)에 대한 부재(20)의 오버몰딩(over-molding)이라고 한다. 몰드는 2개의 주 섹션을 갖는 스플릿 몰드(split mold)일 수 있다. 열가소성 재료가 사출 성형 익스트루더(injection molding extruder)로부터 몰드 캐버티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열가소성 재료는 열가소성 재료의 점도를 감소시켜 열가소성 재료를 유동가능하게 만들도록 가열되는 입구 튜브를 통해 익스트루더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피스톤 또는 스크루가 유동성 열가소성 재료를 익스트루더로부터 가열될 수 있는 매니폴드 시스템으로 밀어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매니폴드 시스템은 유동성 열가소성 재료를 주입 포트로 안내하기 위한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유동 경로를 구비할 수 있다. 주입 포트들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재료가 쉽게 유동하고 효율적이고 시기 적절하게 몰드 캐버티를 충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이격되어 있다. 유동성 열가소성 재료의 주입은 하나 이상의 밸브를 통해 단계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유동성 열가소성 재료가 몰드 캐버티 내의 선정된 위치에 도달한 때를 판정하기 위해, 압력 센서 및/또는 온도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가 몰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유동하는 열가소성 재료가 압력 센서들 중의 하나에서의 소정의 압력과 같은 소정의 값에 도달하면, 밸브는 자세 변경하여, 열가소성 재료의 유동을 경로 재설정 즉 안내 변경하여 제2 유동 경로 하류로 제2 주입 포트를 통과하도록 한다.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른 종류의 사출 몰드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몰드의 종류, 유동 경로의 개수, 주입 포트 또는 주입 게이트의 개수, 밸브의 개수, 밸브의 형태, 익스트루더 또는 다른 주입 기구의 종류, 열가소성 재료의 유동 및 도입의 형태, 압력, 온도 및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사출 성형 장치는 하나의 예일 뿐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매우 다양한 사출 성형 장치가 사출 성형 공정 또는 작업으로부터 원하는 결과를 성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부(16)의 원위 단부 영역(24)은 부재(20)가 원위 단부 영역(24) 둘레에서 사출 성형되도록 사출 몰드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핸들부(16)의 원위 단부 영역(24)은 성형되는 부재의 원위 단부 영역(24)에 대한 접합을 강화시키기 위해 다듬질되지 않고 거침 가공될 수 있다. 핸들부(16)의 원위 단부 영역(24)에 대한 부재(20)의 오버몰딩은 이들 두 구성요소들 사이에 뛰어난 접합을 발생시킨다. 사출 성형된 부재(20)의 제1 재료는 경화됨에 따라 약간 수축하여 핸들부(16)에 대한 접합 강도를 더 증가시킨다. 따라서, 부재(20)는 핸들부(16)에 대해 수축 끼워맞춤된다. 중요한 것은, 오버몰딩 공정에서는 어떠한 별도의 접착제나 부가적인 파스너도 필요하지 않다는 점이다. 따라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재(20)는 별도의 접착제나 하나 이상의 기계적인 파스너의 사용 없이 핸들부(16)에 오버몰딩된다. 핸들부(16)에 대한 부재(20)의 제1 재료의 접합 및 수축은 매우 높은 강도의 연결을 제공한다. 원위 단부 영역(24)에 대한 부재(20)의 접합의 실험적 테스트에 의하면, 5000 lbf 하중 하에 놓인 경우에도 핸들부(16)에 오버몰딩된 부재(20)는 분리되지 않고 저항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하나의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재는 핸들부와 별도로 성형 또는 사출 성형되어, 성형이 완료된 후에 핸들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재는 하나 이상의 중간의 재료 레이어, 접착제 및/또는 파스너에 의해 핸들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부재(20)가 베이스 레이어(54) 및 아우터 레이어(56)를 구비하여 제작되는 경우, 아우터 레이어(56)는 베이스 레이어(54)에 대해 오버몰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레이어(54)는 초기에 성형되고 경화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베이스 레이어(54)는 아우터 레이어(56)가 다해 베이스 레이어(54) 위에 중첩되어 오버몰딩되는 곳인 2차 몰드 내에 배치된다. 오버몰딩 작업은 베이스 레이어(54)와 아우터 레이어(56) 사이에 뛰어난 접합을 제공한다. 아우터 레이어(56)의 제2 재료는 유동하여 베이스 레이어(54) 둘레에서 2차 몰드를 충전하여 부재(20)를 형성한다. 제1 재료 및 제2 재료는 어느 정도 흡습성일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레이어(54)에 대한 아우터 레이어(56)의 오버몰딩은 베이스 레이어(54)가 경화된 연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재(20)의 원위 단부와 핸들부(16)의 원위 단부는 축선을 따른 동일 지점에서 끝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핸들부(16)의 원위 단부 영역(24)이 작은 크기만큼 부재(20)의 원위 단부 범위를 넘어 뻗어 나가 있도록 부재(20)보다 약간 더 뻗어 있을 수도 있다. 또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재(20)가 핸들부(16)의 원위 단부 영역(24)의 범위를 약간 넘게 뻗어 있을 수도 있다. 하나의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재(20)가 2개의 피스로 사출 성형된 다음, 핸들부(16)의 원위 단부 영역(24) 둘레에 배치되어, 개별의 몰드 내에서 열과 압력 하에서 원위 단부 영역(24)에 대해 오버몰딩될 수도 있다.
대안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재(20)가 화학적 접합, 열 접합, 하나 이상의 파스너, 접착제 레이어, 중간의 접합 레이어, 또는 그 조합을 통해 핸들부(16)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부재(20)는 핸들부(16)를 수용하기 위한 길이방향 관통 보어(60)를 한정하고 있다. 부재(20)의 배럴 결합 영역(52)은 역시 관통 보어(60)를 한정하는 튜브형 벽(62)과, 적어도 하나의 리브(66)에 의해 튜브형 벽(6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외벽(64)을 구비하고 있다. 리브(66)는 축선(14)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튜브형 벽(62)으로부터 외벽(64)까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튜브형 벽(62) 및 외벽(64)은 리브(66)와의 사이에 또는 당해 튜브형 벽(62)과 외벽(64) 사이에 하나 이상의 캐버티(72)를 한정한다. 캐버티(72)는 바람직하게는 부재(20)의 길이의 적어도 40 퍼센트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형성된다.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캐버티는 부재(20)의 길이의 40 퍼센트보다 더 작은 길이만큼 또는 부재(20)의 길이의 40 퍼센트보다 더 큰 길이만큼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7에 있어서, 부재(20)는 8개의 리브(66)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브(66)의 개수는 1개, 2개, 3개, 4개, 5개 또는 그 이상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브(66)는 부재(20) 둘레로 등간격 즉 등각으로 형성된다. 리브(66)는 부재(20)를 제작하는 데 더 적은 재료가 사용되고, 무게가 감소되고, 재료 비용이 저감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면서도 부재(20)에 대한 구조적 완전성을 제공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부재(20)의 배럴 결합부(배럴 결합 영역)(52)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테이퍼형 즉 절두원추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배럴 결합부(52)의 외면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리세스(68)를 형성하고 있다. 리세스(68)는 과잉 접착제 또는 다른 접합제가 당해 리세스(68) 내에서 유동하고 경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배럴부(18)의 근위 단부 영역(36)에 대한 배럴 결합부(52)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준다. 리세스(68)는 조립 과정 중에 접착제, 특히 급속 경화 접착제 등의 유동을 용이하게 해준다. 리세스(68)는 부재(20)의 배럴 결합부(52)와 배럴부(18)의 근위 단부 영역(36) 사이에 더 효율적 및/또는 더 다양한 접합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배럴 결합부(52)의 리세스(68)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위치 부분은 근위 단부 영역(36)과 직접 접촉하는 한편, 접착제는 부재(20)를 근위 단부 영역(36)에 접합시키기 위해 리세스를 충전한다. 도 6 내지 도 6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리세스(68)가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다른 개수의 리세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리세스들의 형상 및/또는 크기가 하나 이상의 상이한 형상으로 다양화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리세스들의 깊이가 하나 이상의 다양한 깊이 또는 가변적인 깊이로 다양화될 수 있다. 또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럴 결합부는 배럴부에 대한 부재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주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럴 결합부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구비하여 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부재(20)의 배럴 결합 영역(52)의 절두원추형 형상은 축선(1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발산한다. 절두원추형 형상의 배럴 결합 영역(52)은 바람직하게는 배럴부(18)의 근위 단부 영역(36)과 텔레스코프식으로(telescopically) 결합된다. 배럴부(18)의 근위 영역(36)은 전체적으로 축선(14) 쪽으로 수렴하여, 배럴 결합 영역(52)의 형상과 상보형인 절두원추형 형상을 형성하여, 텔레스코프식(telescopic) 상호잠금 기계적 결합을 제공한다. 이 결합은 접착제를 구비할 수 있다.
부재(20)는 바람직하게는 핸들부(16)를 배럴부(18)에 연결시키는 원-피스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다. 부재(20)는 바람직하게는 핸들부(16)와 배럴부(18) 사이에 어떠한 직접적인 접촉도 존재하지 않도록 배럴부(18)를 핸들부(16)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킨다. 원-피스 일체형 구조는 일단 제작되고 나면 2개 이상의 피스로 분해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피스 일체형 구조는 부재(20)를 근본적으로 파괴하지 않고서는 2개 이상의 피스로 분리될 수 없다. 예시로서, 볼 배트의 노브(28) 및 엔드 캡(30)은 일반적으로 배트 프레임에 대해 일체형이 아니다. 노브(28) 및/또는 엔드 캡(30)은 자주 어떠한 구성요소도 파괴하는 일없이 제거될 수 있다. 만약 배트의 2개의 부분, 2개의 부품 또는 2개의 구성요소가 하나 이상의 파스너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및/또는 제거, 분해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별도의 접착제를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면, 이러한 부분, 부품 또는 구성요소들은 원-피스 일체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다. 부재(20)는 배럴부(18)의 투구된 볼과의 충돌로부터 발생된 원치 않는 충격 및/또는 진동 에너지가 프레임(12)을 따라 사용자의 손으로 전해지는 것을 감소시킨다. 배럴부(18), 부재(20) 및 핸들부(16)의 상이한 재료들의 천이 또한 볼과의 충돌 시 및/또는 직후에 핸들부(16)를 파지한 타자가 느끼게 되는 충격 및/또는 진동 에너지의 심도를 감쇠 또는 저감시키는 데 기여한다. 핸들의 부재에 대한 결합 및 부재의 배럴부에 대한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비나사식 결합(non-threaded engagement)이다.
중요한 점은, 본 발명의 부재(20)는 진동 및/또는 충격의 감쇠 작용을 강성도의 문제로부터 근본적으로 분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해, 어떤 이가 볼을 타격할 때 타자가 느끼게 되는 충격 및/또는 진동을 감소시키고자 한다면, 그와 같은 감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흔히 연성, 가요성, 및/또는 탄성 중합체의 재료가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연성, 가요성 및/또는 탄성 중합체의 재료는 배트의 전체 강성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가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배트를 타격할 때 타자가 느끼게 되는 충격 및/또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일은 배트의 강성도의 감소와 상호 관련 또는 연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요한 점은, 본 발명의 부재(20)는 높은 레벨의 강성도(즉, 휨에 대한 저항도)와 높은 듀로미터 값(즉, 매우 큰 경도의 경질 재료)을 가지고 제작될 수 있으면서도 뛰어난 진동 및/또는 충격 감소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레벨의 디자인 유연성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강성도와 충격 및/또는 진동 감쇠 작용과의 분리 및/또는 경도와 충격 및/또는 진동 감쇠 작용과의 분리는 본 발명의 부재(20)를 볼 배트(10)에 편입한 것에 의해 제공되는 독특한 특성이며, 배트 디자이너의 디자인 유연성을 더 증가시킨다. 부재(20)는 볼 배트의 강성도를 감소시키는 일없이 또는 부재(20)의 경도를 감소시키는 일없이 볼과 충돌할 때(특히 중심에서 벗어나 충돌할 때) 타자가 느끼게 되는 진동 및/또는 충격 에너지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부재는 더 연성 및/또는 더 가요성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플레이어나 배트 디자이너에게 임의의 요건, 사용처 또는 플레이어 유형을 충족시키도록 배트를 맞춤 재단, 조율 또는 맞춤화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핸들부(16), 배럴부(18) 및 부재(20)로 형성된 배트 프레임(12)은 전체 길이를 가진다. 핸들부(16)는 배트 프레임(12)의 전체 길이의 70 퍼센트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가진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핸들부의 길이는 배트 프레임(12)의 전체 길이의 60 퍼센트보다 작다.
도 8a를 참조하면, 중간의 테이퍼형 부재(20)의 한 가지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부재(20)는 근위 영역(50) 및 배럴 결합 영역(52)을 구비하고 있다. 튜브형 벽(62)은 보어(60)를 한정하고 있고, 외벽(64)은 복수의 리브(66)에 의해 튜브형 벽(6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리브(66)는 전체 배럴 결합 영역(52)을 따라 부재(20)의 근위 영역(50) 내로 뻗어, 부재(20)의 적어도 70 퍼센트를 넘게 형성되는 캐버티(72)를 한정하고 있다. 하나의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재는 캐버티가 당해 부재의 길이의 적어도 60 퍼센트를 넘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튜브형 벽(62), 외벽(64) 및 리브(66)에 의해 한정된 캐버티(72)는 충전 재료(90)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충전 재료(90)는 다공질 재료(cellular material)일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충전 재료(90)는 배트의 무게나 무게 분포, 배트의 감각성 스윙 웨이트(perceived swing weight), 볼과의 충돌 시에 배트 또는 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 충돌 시의 배트의 진동 및/또는 충격 감쇠 레벨, 부재의 내구성과 같은 부재(20) 및 배트(10)의 특성들 중의 하나 이상을 변경시키도록 의도된 임의의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충전 재료(90)는 우레탄, ETPU, 다공질 폼(foam),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금속, 목재, 하나 이상의 중량 부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또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리브(66)가 튜브형 벽(62)과 외벽(64) 중의 일방으로부터 튜브형 벽(62)과 외벽(64) 중의 타방 쪽으로, 사실상 줄곧 타방까지는 연장됨이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갭(92) 즉 공간이 리브(66)와 외벽(64) 사이에 존재하여(만약, 리브가 외벽으로부터 튜브형 벽 쪽으로 형성된다면, 공간은 리브와 튜브형 벽 사이에 존재), 인접한 캐버티(72)를 연속적이게 즉 단일 캐버티로 만든다. 갭(92)의 반경방향 크기는 부재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대략 일정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갭(92)(길이방향 축선에서의 반경방향으로 리브와 외벽(또는 튜브형 벽) 간에 측정됨)은 0.005 내지 0.100 인치의 범위 내에 있다. 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갭은 0.005 인치보다 작거나 0.100 인치보다 큰 다른 치수를 가질 수도 있다. 갭(92)은 사용 시에 부재(20)의 더 큰 휨성 즉 가연성 또는 제어되거나 단차식 가요성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갭(92)은 또한 부재(20) 또는 전체로서의 배트(10)의 촉감, 소리, 무게, 진동 감쇠 레벨 또는 다른 특성을 변경시키기 위해 채용될 수도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갭(92)의 반경방향 크기는 당해 갭(92)이 길이방향 축선(14)을 따라 뻗어 나감에 따라 더 작아지거나 더 커질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또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재(20) 리브 및 캐버티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부재(20)는 연속형 베이스 레이어(54)처럼 하나의 연속형 재료 피스가 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재는 어떠한 캐버티나 확대된 개구부가 없는 연속체이다. 또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재(20)는 베이스 레이어(54)와 오버몰딩된 아우터 레이어(56)로 이루어진 연속형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재(20)는 다공질 재료로 형성되고 리브나 캐버티가 없을 수 있다. 다공질 재료(cellular material)는 개방 셀 재료(open cell material) 또는 폐쇄 셀 재료(closed cell material)일 수 있다. 셀의 중간 크기도 부재(20)의 원하는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공질 재료로 형성되는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리브 및 복수의 캐버티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부재의 리브의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상의 리브(66)가 도시되어 있다. 리브(66)는 대략 평면형이고, 도 4 및 도 7의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튜브형 벽(62)으로부터 외벽(64)까지 형성될 수 있다.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리브(66a)는 축선(14)을 따라 축선(14)을 통과하는 평면(78)에 대해 각도(α)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각도(α)는 평면(78)에 대해 ± 1도 내지 90도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도(α)는 평면(78)에 대해 ± 1도 내지 45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3개의 리브(66a)만 도시되어 있지만, 부재(20)는 리브(66a)를 단일 형태로 하여 또는 리브(66a)를 하나 이상의 다른 형태의 리브와 조합된 형태로 하여 리브(66a)를 임의의 개수만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리브(66)의 다른 형태들도 도시되어 있다. 리브(66b)는 튜브형 벽(62)으로부터 외벽(64)까지 뻗어 나가면서 만곡되어 있다. 리브(66c)는 튜브형 벽(62)으로부터 외벽(64)까지 뻗어 나가면서 분기되어 있다. 리브(66d, 66e)는 튜브형 벽(62)으로부터 외벽(64)까지 뻗어 나가면서 두께가 변동하고 있다. 리브(66f)는 튜브형 벽(62)으로부터 외벽(64)까지 예각으로 뻗어 있다. 리브(66h)는 튜브형 벽(62)으로부터 외벽(64)까지 타원형 또는 원형 형상으로 뻗어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리브들 중의 하나 이상 또는 그 조합이 부재에 사용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다른 대안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나 이상의 리브가 부재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대안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브가 격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다른 대안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브가 다른 기하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부재(20)는 인서트(304)의 근위 단부 영역(302)과 결합하기 위한 인서트 결합부(300)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4의 실시형태의 부재(20)의 테이퍼형 근위 영역(50) 및 배럴 결합 영역(52)은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테이퍼형 영역(50) 및 배럴 결합 영역(52)과 실질적으로 같다. 인서트 결합부(300)는 인서트(304)의 적어도 일부분이 원하는 또는 소정의 크기만큼 배럴부(18)로부터 떨어져 있게 하는 위치에 인서트(304)를 고정 위치시키도록 인서트(304)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서트(304)는 원통형이나 실질적으로 원통형이 되도록 일정한 내경 및 외경을 가질 수 있거나 길이를 따라 얼마간의 테이퍼 또는 곡률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는 튜브형 보디이다. 인서트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배럴부(18)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들 중의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는 근위 단부 영역(302) 및 원위 단부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인서트(304)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인서트(304)는 바람직하게는 배럴부(18)의 내면(32)으로부터 가시적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 인서트(304)와 배럴부(18)의 이격은 바람직하게는 인서트(304)와 배럴부(18) 간에 독립적인 운동을 허용할 정도로 충분히 이격되어 있으면서도 볼과의 충돌 시에 배럴부(18)와 인서트(304)의 작용상의 결합을 허용하기에 충분하도록 0.005 인치 내지 0.125 인치(길이방향 축선(14)에서의 반경방향으로 배럴부(18)의 외면(34)까지 측정됨)의 범위 내로 크기가 결정된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서트(304)와 배럴부(18)의 이격은 볼과의 추돌 시에 배럴부(18)에 대한 인서트(304)의 독립적인 운동을 허용할 정도로 충분할 수도 있다. 인서트(304)와 배럴부(18)의 독립적인 운동은 두 부재들 간의 이격이 육안으로 보여질 수 없는 경우에도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66) 및 튜브형 벽(62)이 인서트 결합부(300)를 형성하도록 배럴 결합부(52)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두 8개의 리브(66)가 부재(20)의 배럴 결합부(52)로부터 뻗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른 개수의 리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튜브형 인서트(304)를 지지하는 적어도 3개의 접촉선 또는 접촉점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3개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리브가 배럴 결합부(52)로부터 뻗어 있다.
각각의 리브(66)는 인서트(304)의 근위 단부(308)와 결합하기 위한 쇼울더(306)를 구비할 수 있다. 쇼울더(306)는 리브(66)가 인서트(304)의 근위 방향으로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stop)(310) 및 인서트(304)의 근위 단부 영역(302)의 내면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인서트 지지면(312)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인서트 결합부(300)는 인서트(304)의 근위 단부 영역(302)에 대한 고정 지지를 제공한다. 인서트 결합부(300)는 부재(20)에 편입되어 제공될 수 있는 또다른 중요한 세부 형상부 또는 기능부이다. 인서트 결합부(300)는 배트 디자이너 또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응용성 및 맞춤화 가능성을 더 증가시킨다. 부재(20)는 인서트(304) 및 배럴부(18)를 핸들부(16)와의 접촉으로부터 완전히 분리 및 이격시켜, 볼과의 충돌에 응답하여 배트를 따라 배럴부로부터 핸들부로 전해지는 바람직하지 못한 진동 및/또는 충격 에너지의 감소를 더 향상시킨다. 핸들부(16)는 배럴부(18)와 접촉하지 않고, 인서트(304)와 접촉하지 않는다.
또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서트 결합부(300)는 부재의 배럴 결합부 내에 편입될 수 있다. 또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서트 결합부는 인서트의 내면을 지지하기 위한 링, 밴드 또는 다른 튜브 형태의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튜브형 지지부는 길이를 따라 균일한 지름을 가지거나 테이퍼형 즉 절두원추형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튜브형 지지부는 연속형 쇼울더 및 연속형 인서트 지지면(쇼울더(306) 및 지지면(312)과 유사하지만, 연속형으로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격되어 있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부(16)는 풀트루전 성형 공정(pultrusion process)으로 제작된다. 도 15는 하나의 풀트루전 성형 공정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볼 배트의 핸들부, 배럴부 또는 인서트와 같은 풀트루전 성형된 구성요소를 생산하기 위해 다른 구성의 풀트루전 성형 공정 구성요소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섬유 강화 열가소성 재료 또는 섬유 복합 재료 볼 배트 구성요소들을 생산하기 위한 모든 기존의 풀트루전 성형 공정들의 사용을 의도하고 있다.
풀트루전 성형은 고품질의 섬유 강화 열가소성 재료 또는 섬유 복합 재료를 생산하는 가장 비용 효율적인 방법들 중의 하나이다. 풀트루전 성형은 압출 성형(extrusion)과 유사하지만 압출 성형이 비강화 열가소성 재료를 짧은 다이을 통해 밀어내기 위해 프레스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풀트루전 성형은 하나 이상의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침윤된 다양한 강화 섬유를 가열된 다이를 통해 견인하여 원통형 핸들부와 같은 연속형 물품을 생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지의 중합은 수지를 경화시켜 연속 강성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침윤 섬유가 가열된 다이를 통과할 때 일어난다. 풀트루전 성형은 섬유 강화 열가소성 재료 또는 섬유 복합 재료를 생산하는 데 이상적이다. 풀트루전 성형은 폐기물을 거의 만들지 않는 연속 공정이다. 섬유들은 원통형 물품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내뻗치거나 도포되며, 또는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견인 및 권취되어 다수의 상이한 각도의 섬유 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 섬유들은 또한 제직물(또는 편조물 즉 튜브형 양말형 직물)의 일부로서 풀트루전 성형 공정을 통해 견인되어, 풀트루전 성형된 구성요소가 길이방향 축선(14)에 대해 90도 각도로 뻗어 있는 얼마간의 섬유를 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풀트루전 성형 공정은 추후에 원하는 길이로 절단될 수 있는 연속형 원통형 보디를 발생시킨다. 견인 속도, 다이 온도, 섬유/수지 침윤 품질, 및 섬유 부피 등의 수많은 공정 변수들이 풀트루전 성형된 복합재의 품질에 영향을 미출 수 있다.
풀트루전 성형되는 복합 재료는 일방향 섬유(또는 로빙(roving)), 연속 섬유 유리 매트 및 복합재와 함께 결합되는 열경화성 수지와 같은 강화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합재의 외관, 내화학성 또는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표면 베일이 부가될 수도 있다. 색소,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를 촉진하는 가속제, 내부 이형제, 및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불활성 충진제와 같은 각각이 고유한 작용을 갖는 다양한 보조 재료가 수지 조성에 첨가될 수 있다. 풀트루전 성형 프로파일은 맞춤형 사용처에 충족되도록 특유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2축 강도를 증가를 가능하게 해주는 필라멘트 권취성을 부가하기 위해 인라인 권취기(inline winder)가 풀트루전 성형 공정에 조합될 수 있다.
핸들부(16)를 제작하기 위한 풀트루전 성형 공정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도 15에 도면부호 100으로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섬유(102)가 하나 이상의 크릴(creel)(104)로부터 가이드(106) 내로 이송된다. 인라인 권취기(108)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섬유(102)가 하나 이상의 다른 섬유(102) 둘레에 권취된다. 인라인 권취기(108)는 비영 섬유 위치(non-zero fiber position) 내에서 풀트루전 성형되는 생산품(핸들부(16))을 통해 뻗어 있게 되는 섬유를 제공한다. 인라인 권취기(108)에 의해 부가되는 섬유의 각도는 1도에서 89도가지 변동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라인 권취기에 의해 부가되는 섬유의 각도는 5도에서 45도까지 변동될 수 있다. 권취기는 풀트루전 성형되는 구성요소의 2축 강도를 증가시킨다. 그런 다음, 섬유 집합체(110)는 수지 욕조(112)를 통해 이송된다. 수지 욕조(112)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섬유 집합체(110)를 함침시킨다(즉, 코팅하여 에워싼다). 수지 욕조(112)는 개방 욕조 시스템 또는 사출 다이 시스템일 수 있다. 수지 욕조(112)를 빠져나갈 때, 침윤 섬유 집합체(110)는 하나 이상의 프리포머(preformer)(114) 내에서 성형될 수 있다. 프리포머(114)는 가열된 다이(116) 내로 진입하기 전에 섬유(110)의 배향을 용이하게 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열된 다이는 침윤 섬유를 소정의 형태로 성형하고, 성형된 침윤 섬유 집합체의 경화를 제어한다. 견인 장치(118)가 공정 전반에 걸쳐 섬유 집합체(110)를 견인한다. 견인 장치(118)는 한쌍의 왕복동 클램프 견인기 또는 침윤 섬유 집합체와 결합하기 위한 패드를 포함한 한쌍의 연속 벨트와 같은 연속형 견인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견인기들은 일반적으로 분당 6 인치 내지 분당 14 피트까지의 범위 내의 소정의 속도에서의 연속 견인을 위해 동기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견인 장치(118)는 단속적 견인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풀트루전 성형되는 생산품은 일반적으로 절단용 톱날 장치(120)에 의해 소정의 원하는 길이로 절단된다. 풀트루전 성형 공정(100)은 길이방향 휨에 대한 저항성, 무게, 강도 등과 같은 소정의 특성을 가진 고품질의 섬유 복합재 핸들부(16)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풀트루전 성형 공정(100)은 또한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지금을 가지는 배럴부 또는 배럴 인서트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6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특정 플레이어, 팀, 사용처 또는 리그용으로 볼 배트를 맞춤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가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팅 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 소프트웨어 명령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 16은 볼 배트를 맞춤화하는 시스템(200)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시스템(200)은 한 가지 대표적인 예인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구성의 전자 구성요소 및 통신 링크가 시스템(200)을 실행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개인 정보 단말기,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IPOD 등)와 같은 전자 장치(202)는 프로세서(204), 시스템 메모리(206), 디스플레이(208), 입력 장치(210),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시스템 버스(212), 및 장치 인터페이스(214)를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208)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고, 입력 장치(210)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메모리(206)의 하나 이상의 명령 모듈에 담겨진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이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싱 유닛"이란 용어는 메모리 내에 담겨진 일련의 명령을 실행하는 현재 개발된 또는 미래에 개발될 프로세싱 유닛을 의미한다. 일련의 명령의 실행은 프로세싱 유닛으로 하여금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등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만든다.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에 의한 실행을 위해 리드 온리 메모리(ROM), 대용량 저장 장치 또는 다른 영구적 저장 장치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에 로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는,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하드와이어드 회로(hard wired circuitry)가 소프트웨어 명령어 대신에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과 조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메모리(206)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의 일부분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달리 특정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컨트롤러는 하드웨어 회로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특정 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는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되는 임의의 특정 명령 소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206)는 데이터 및 코드를 저장하는 영구적 저장 장치 또는 장기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시스템 메모리(206)는 ROM과 RAM, 대용량 저장 장치, 및/또는 다른 영구적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202)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210)는 키보드, 조이스틱, 마우스, 키패드, 터치 스크린, 음성 인식 입력기 및 다른 관련 입력 장치일 수 있다.
장치 인터페이스(214)는 또다른 장치에 대해 데이터를 획득 및/또는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타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컨대, 장치 인터페이스(214)는 범용 직렬 버스(USB) 사용자 인터페이스, Firewire/IEEE 1394 사용자 인터페이스, PS/2 사용자 인터페이스, PC/AT 사용자 인터페이스, RS-232 사용자 인터페이스, 직렬 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이더넷 포트 또는 다른 전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통상의 커넥터/포트 타입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장치 인터페이스(214)는 또다른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 인터페이스(214)는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송수신기와 같은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를 구비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 인터페이스(214)는 선택적으로 적외선 주파수 송수신기, 광 주파수 송수신기, 또는 초음파 주파수 송수신기를 구비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 인터페이스(214)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내부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또는 선택적으로 외부 네트워크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당연히, 다른 컴퓨터와의 통신 링크를 구축하는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202)는 복수의 장치 인터페이스(214)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202)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컴퓨터(202)는 통상 다른 컴퓨터(222)와 같은 하나 이상의 원격 장치에의 논리적 연결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가능할 것이다. 컴퓨터(202)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AN) 또는 인터넷(220)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WAN)를 통해 하나 이상의 원격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원격 컴퓨터(222)는 프로세서(224), 메모리(226), 디스플레이(228), 입력 장치(230), 버스(232) 및 장치 인터페이스(234)를 포함하여 컴퓨터(202)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 시스템(202)은 장치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컴퓨터(20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실시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실행할 것이다. 이러한 명령들에 기초하여, 컴퓨터(202)는 사용자에게 일련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표시할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디스플레이)(208)를 통해 컴퓨터(202)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210)를 조작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탑재된 선택 인디케이터(selection indicator)의 출현을 변경하기 위해 마우스, 롤러 볼, 조이스틱 또는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 등의 입력 장치(210)를 조작할 것이다. 사용자 입력 장치(210)는 특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특성, 세부 형상, 옵션 또는 선택사항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6 내지 도 25는 맞춤화 볼 배트를 구성하고, 디자인하고, 특정하고, 선택 또는 주문하기 위한 배트 맞춤화 툴, 시스템 또는 방법(200)의 한 예를 설명하고 있다. 디스플레이(208)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 및/또는 맞춤화에 유용한 다양한 옵션의 시각적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일련의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도 16 내지 도 24 참조)를 표시한다. 마우스, 터치패드 또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210)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볼 배트의 맞춤화를 위한 정보를 컴퓨터(202)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맞춤화된 볼 배트의 하나 이상의 세부 형상, 특성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입력 선택사항을 만들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사용자의 검토를 위한 제작자의 이름, 다양한 배트 모델 또는 배트 구성요소들의 특성, 그 외 마케팅 자료, 유용한 힌트, 디자인 팁, 디자인 선택사항, 폰트, 그래픽 및 스타일과 같은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으로, 선택 정보를 수취한 컴퓨터(202)는 입력 정보의 처리, 조직화 또는 디스플레이(208)로의 중계를 행하고, 입력 정보의 메모리(206)에의 저장 또는 컴퓨터(202)로부터 떨어진 즉 원격의 위치로의 예컨대 인터넷(220)을 통한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222)로의 정보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장치 인터페이스(214)는 선택 정보 또는 공정 선택 정보를 소매상, 맞춤화된 배트의 제작자 또는 공급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정보가 소매상에게 제공되면, 예컨대 소매상은 그것의 재고를 검토하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세부 형상 특성을 가진 배트 구성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정보가 제작자 또는 공급자에 제공되면, 제작자 또는 공급자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세부 형상 특성을 가지는 새로운 볼 배트 또는 볼 배트 구성요소를 제작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입력 선택 데이터는 소매상, 공급자 또는 제작자에게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입력 선택 데이터는 당해 입력 선택 데이터가 최종적인 주문 정보 세트를 나타내고 있음을 사용자가 표명한 후에 소매상, 공급자 또는 제작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신용카드 계좌나 전자 지불 서비스 계좌 정보와 같은 구매 정보를 제공한 후까지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소매상 또는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연기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240)가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는 맞춤화된 배트의 예정된 사용자 또는 맞춤화된 배트의 사용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구성된 복수의 창을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는 사용자의 나이, 신장, 체중 및/또는 성별, 배트가 사용될 리그 또는 기구, 사용자의 기술 수준, 임의의 적용가능한 플레이어 목표, 사용자의 예산 및 그 조합을 결정하기 위한 프롬프트(prompt), 창 또는 선택 옵션(242)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는 또한 사용자가 맞춤화된 배트의 특정 위치에 알파벳·숫자 데이터(예컨대, 사용자의 별명)을 기입하는 거을 가능하게 해주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필드(244)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는 이런 종류의 정보가 어떻게 배트 맞춤화 시스템에 입력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한 가지 표시예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0)의 다른 구성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246)가 예시되어 있다. 복수의 핸들부(16)가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6)도 핸들부(16)의 특성의 변경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창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특성은 길이, 외경, 무게, 색상, 휨에 대한 저항도, 재료 및 그 조합일 수 있다. 입력 장치(210)는 선택을 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246) 여기저기를 옮겨다니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6)는 사용자가 그의 요건, 기술 수준, 리그, 크기, 나이, 강도 등에 최적인 핸들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가지 표시예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6)의 다른 표시예들도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일의 핸들부(16)가 나타내질 수 있으며, 핸들부(16)의 특성들 중의 하나 이상이 입력 장치(21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핸들부(16)는 제1 색상, 제1 길이 및 제1 지름으로 나타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장치(2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상이한 색상, 상이한 길이 및 상이한 지름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248)가 예시되어 있다. 복수의 배럴부(18)가 예시되어 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8)도 배럴부(18)의 특성의 변경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창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특성은 길이, 외경, 무게, 무게 분포, 공칭 외경, 최대 외경, 모델명, 색상, 강성도, 재료 및 그 조합일 수 있다. 입력 장치(210)는 선택을 행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248) 여기저기를 옮겨다니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8)는 사용자가 그의 요건, 기술 수준, 리그, 크기, 나이, 강도 등에 최적인 배럴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가지 표시예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8)의 다른 표시예들도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일의 배럴부(18)가 나타내질 수 있으며, 배럴부(18)의 특성들 중의 하나 이상이 입력 장치(21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배럴부(18)는 제1 색상, 제1 길이 및 제1 지름으로 나타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장치(2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상이한 색상, 상이한 길이 및 상이한 지름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복수의 중간의 테이퍼형 부재(20)를 예시하고 있는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250)가 제공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도 부재(20)의 특성의 변경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창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특성은 길이, 무게, 모델명, 색상, 형상, 조직, 패턴, 재료 및 그 조합일 수 다. 입력 장치(210)는 선택을 행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250) 여기저기를 옮겨다니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가 그의 요건, 기술 수준, 리그, 크기, 나이, 강도 등에 최적인 부재를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가지 표시예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0)의 다른 표시예들도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일의 부재(20)가 나타내질 수 있으며, 부재(20)의 특성들 중의 하나 이상이 입력 장치(21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부재(20)는 제1 색상 및 제1 길이로 나타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장치(2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상이한 색상 및/또는 상이한 길이를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다 .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복수의 엔드 캡(30) 및 노브(28)를 예시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252, 254)가 제공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2, 252)도 각각 엔드 캡(30) 및 노브(28)의 특성의 변경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창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특성은 무게, 모델명, 색상, 형상, 조직, 패턴, 디자인, 재료 및 그 조합일 수 있다. 입력 장치(210)는 선택을 행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252, 254) 여기저기를 옮겨다니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2, 254)는 사용자가 그의 요건, 기술 수준, 리그, 크기, 나이, 강도 등에 최적인 엔드 캡(30) 및 노브(28)를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세트의 표시예들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2)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54)의 다른 표시예들도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일의 엔드 캡(30) 및/또는 단일의 노브(28)가 나타내질 수 있으며, 엔드 캡(30) 및/또는 노브(28)의 특성들 중의 하나 이상이 입력 장치(21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엔드 캡(30) 및/또는 노브(28)는 제1 색상 및 제1 크기로 나타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장치(2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상이한 색상 및/또는 상이한 크기를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복수의 그립(26)을 예시하고 있는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256)가 제공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6)도 그립(26)의 특성의 변경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창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특성은 길이, 색상, 두께, 조직, 패턴, 재료 및 그 조합일 수 있다. 입력 장치(210)는 선택을 행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256) 여기저기를 옮겨다니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6)는 사용자가 그의 요건, 기술 수준, 리그, 크기, 나이, 강도 등에 최적인 그립을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가지 표시예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6)의 다른 표시예들도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일의 그립(26)인 나타내질 수 있으며, 그립(26)의 특성들 중의 하나 이상이 입력 장치(21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그립(26)은 제1 색상 및 제1 조직으로 나타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장치(2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상이한 색상 및/또는 상이한 조직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258)가 예시되어 있다. 복수의 튜브형 인서트(82)가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8)도 튜브형 인서트(304)의 특성의 변경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창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특성은 길이, 외경, 무게, 무게 분포, 외경, 모델명, 강성도, 재료 및 그 조합일 수 있다. 입력 장치(210)는 선택을 행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258) 여기저기를 옮겨다니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8)는 사용자가 그의 요건, 기술 수준, 리그, 크기, 나이, 강도 등에 최적인 튜브형 인서트를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가지 표시예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8)의 다른 표시예들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60)가 사용자가 입력한 선택에 따라 조립된 배트(10)를 예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60)는 사용자에게 그 선택을 편집, 수용 또는 취소하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이한 색상, 색상 조합, 그래픽, 스타일, 이름(262)과 같은 표식, 모델명 등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 조절 또는 편집될 수 있다. 선택된 맞춤화된 볼 배트의 시각화를 용이하게 해주기 위해, 분해도, 세부 형상부 또는 다른 구성요소 확대도가 사용자 인터페이스(260)에서 유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60)는 사용자가 볼 배트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 이상에 하나 이상의 그래픽 및/또는 알파벳·숫자 표식을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예컨대, 플레이어의 이름 또는 플레이어의 팀 이름이 사용자 인터페이스(260) 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중의 하나에 제공되도록 시스템(200)에 업로드될 수 있다. 그 후에,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60)에서 크기, 위치, 색상, 폰트, 스타일, 및 다른 파파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표식의 배향, 색상, 스타일의 선택을 입력하거나, 표식을 제거하나, 계속해서 표식을 편집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6 내지 260)는 다른 순서, 다른 스타일 또는 다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배트 구성요소들의 표시예들이 중첩적으로 나타내질 수 있다. 예컨대, 먼저 배럴부(18)가 선택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8)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인서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58)가 후속 제공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246)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250)가 후속 제공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구성요소가 차례로 조립되고 있는 배트(10)를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임의의 순서로 구성되거나 임의의 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트(10)는 기존의 볼 배트를 능가하는 수많은 장점들을 제공한다. 그러한 장점들 중의 하나는 본 발명의 배트(10)는 야구 또는 소프트볼 협회(기구) 경기용으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실시형태의 볼 배트들은 미국 아마추어 소프트볼 협회("ASA") 배트 테스트 및 인증 프로그램 요건(현 ASA 2004 배트 표준 및 ASA 2000 배트 표준 포함); 미국 전문 스포츠 협회("USSSA") 야구 및 소프트볼용 배트 성능 표준; 국제 소프트볼 연맹("ISF") 배트 인증 표준; 내셔널 소프트볼 협회("NSA") 배트 표준; 독립 소프트볼 협회("ISA") 배트 요건; 전미 고교 스포츠 협회("NFHS")의 반발율("BESR") 인증 요건 및 다른 요건; 리틀 리그 야구 배트 장비 평가 요건; 포니 야구/소프트볼 배트 요건; 베이브 루스 리그 야구 배트 요건; 미국 아마추어 야구 위원회("AABC") 야구 배트 요건; 및 특히 NCAA BBCOR 표준 또는 프로토콜; 중의 하나 이상의 야구 협회(기구) 및 소프트볼 협회(기구)의 배트 표준 및/또는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협회(기구) 경기용으로 구성된 배트"란 용어는 상기 열거한 협회(기구)들 중의 하나 이상의 볼 배트 표준 및/또는 요건을 충족시키고 충분히 경기용으로 기능할 수 있는 배트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생산되는 배트는 플레이어에게 신뢰성 있고, 경기 가능하고, 뛰어난 촉감을 만들고, 배트의 배럴부 즉 타격부를 따라 성능을 최적화시키면서, 특정 사용자의 특정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구성 및 맞춤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되는 배트는 중간의 부재가 배럴부(및 적용가능하다면, 인서트)를 핸들부로부터 분리시켜 볼과의 충돌 시에 핸들부를 통해 플레이어에게 도달하는 진동 및/또는 충격 에너지의 크기를 현저히 감소시키기 때문에(즉 플레이어 또는 배트 디자이너가 원하는 대로 감소시키기 때문에), 플레이어에게 뛰어난 촉감 및 성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배트는 비용 효과적이며, 더 짧은 시험 시간, 더 적은 폐기물 및 더 적은 작업 시간으로 더 신속하게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트가 특정 플레이어, 특정 팀 및/또는 특정 사용처를 위해 특별히 맞춤 재단, 조율 및 디자인되는 가능성을 더욱 증가시키는 배트의 디자인 유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맞춤화 주문 제작된 볼 배트를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도록 온라인 소매상을 포함한 모든 유형의 소매상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많은 공급자들이 완성된 배트가 아닌 배트 구성요소들을 저장 또는 취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어, 볼 배트 재고 비축을 더 효율적으로 하게 함으로써, 폐기 또는 투매되는 배트 모델을 적게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이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또한 상술한 많은 상세한 설명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의 청구범위의 기술사상과 범위 내에서 설명되는 모든 그와 같은 대안적 구성,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몇몇의 잘 아려진 구조나 작용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잘 알려진 것이기 때문에 자세히 도시하거나 설명되지 않을 수도 있다. 어떤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특정적으로 명백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은, 본 명세서에 사요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의 설명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더라도 그것의 가장 넓은 합리적 방식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1)

  1.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형성되는 볼 배트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균일한 외경, 근위 파지 영역 및 원위 영역을 갖는 핸들부;
    중심 영역에 의해 이격된 근위 영역 및 원위 영역을 갖는 배럴부로서, 상기 배럴부의 상기 원위 영역이 상기 핸들부의 상기 원위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핸들부의 상기 원위 영역은 상기 배럴부의 원위 영역으로 연장되지 않는 배럴부; 및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의 상기 원위 영역에 제거 불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재로서, 상기 부재가 테이퍼형 근위 영역, 배럴 결합 영역을 가지고 관형 벽 및 외벽을 포함하며,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이 상기 배럴부의 상기 근위 영역에 의해 겹쳐지며 제거 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 및 상기 근위 영역은 각각 최대 외경을 가지며,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의 상기 최대 외경은 상기 부재의 상기 근위 영역의 상기 최대 외경보다 크며, 상기 부재의 상기 근위 영역은 제1 텍스처를 포함하는 노출된 외면을 가지며,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은 상기 제1 텍스처와 다른 제2 텍스처로 정의되는 외면을 가지고, 상기 배트가 상기 핸들부의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배럴부의 원위 단부까지 측정되는 전체 길이를 가지고, 상기 부재의 상기 관형 벽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를 형성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부재의 상기 관형 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핸들부의 일부와 겹치고 맞물리도록 상기 보어의 길이 이내에서 연장되고, 상기 핸들부가 상기 전체 길이의 70 퍼센트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핸들부에 대해 오버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비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은 테이퍼형이고, 상기 부재는 절두원추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부의 상기 근위 영역은 전체적으로 상기 길이방향 축선 쪽으로 수렴하여,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과 상보형인 절두원추형 형상을 형성하여,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과 텔레스코프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의 외면이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한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상기 배럴 결합 영역은 상기 배럴부의 상기 근위 영역과 비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알루미늄, 금속, 목재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길이방향 보어 및 외면을 한정하고 있고,상기 부재는 하나 이상의 캐버티 없이 연속형 구조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보어로부터 상기 외면까지 하나 이상의 중실형 재료(solid material)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길이방향 보어 및 외면을 한정하고 있고, 상기 부재는 하나 이상의 중실형 재료, 하나 이상의 다공질 재료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길이방향 보어를 한정하고 있고, 상기 부재는 적어도 제1 재료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레이어 및 제2 재료로 형성되는 아우터 레이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경도가 쇼어 경도 스케일로 측정될 때, 상기 제1 재료의 경도가 상기 제2 재료의 경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 및 상기 제2 재료는 상이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레이어의 텍스처는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외면의 텍스처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레이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레이어에 대해 오버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레이어는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부재의 외면에서 보여질 수 있게 해주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형 근위 영역은 그래픽 및/또는 알파벳·숫자 표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풀트루전 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구성요소들로 분해될 수 없는 원-피스 일체형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배트.
KR1020140004884A 2013-01-24 2014-01-15 볼 배트용 테이퍼형 분리 부재 및 그 사용을 위한 시스템 KR102124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56089P 2013-01-24 2013-01-24
US61/756,089 2013-01-24
US14/041,227 US9802094B2 (en) 2013-01-24 2013-09-30 Tapered isolating element for a ball bat and system for using same
US14/041,227 2013-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429A KR20140095429A (ko) 2014-08-01
KR102124468B1 true KR102124468B1 (ko) 2020-06-26

Family

ID=5120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884A KR102124468B1 (ko) 2013-01-24 2014-01-15 볼 배트용 테이퍼형 분리 부재 및 그 사용을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20140207607A1 (ko)
JP (1) JP6393480B2 (ko)
KR (1) KR102124468B1 (ko)
CA (1) CA28415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7930B2 (en) * 2013-01-24 2019-08-20 Wilson Sporting Goods Co. Bat customization system
EP2827303B1 (en) * 2013-07-18 2017-11-15 Dassault Systèmes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determining one exploded path of an exploded view of an assembly of three-dimensional modeled objects.
US20150143959A1 (en) * 2013-11-26 2015-05-28 Shou King Enterprise Co., Ltd. Striking tool
US9669277B1 (en) * 2013-12-06 2017-06-06 Rawlings Sporting Goods Company, Inc. Bat with performance governing barrel and vibration dampening connection
US10646761B2 (en) 2014-12-09 2020-05-12 Wilson Sporting Goods Co. Variable stiffness striking implement
WO2016161350A1 (en) * 2015-04-01 2016-10-06 Zephyros, Inc. Vibration damping insert
CN106540421A (zh) * 2015-09-18 2017-03-29 威捷国际有限公司 球棒
US10987556B2 (en) 2016-05-27 2021-04-27 Wilson Sporting Goods Co. Bat with barrel pivot joint
US10507367B2 (en) 2016-05-27 2019-12-17 Wilson Sporting Goods Co. Bat with barrel pivot joint
US10245488B1 (en) 2017-10-31 2019-04-02 Mizuno Corporation Vibration damping ba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384106B2 (en) 2017-11-16 2019-08-20 Easton Diamond Sports, Llc Ball bat with shock attenuating handle
US11013968B2 (en) 2018-03-26 2021-05-25 Easton Diamond Sports, Llc Adjustable flex rod connection for ball bats and other sports implements
US10709946B2 (en) 2018-05-10 2020-07-14 Easton Diamond Sports, Llc Ball bat with decoupled barrel
US10940377B2 (en) 2018-06-19 2021-03-09 Easton Diamond Sports, Llc Composite ball bats with transverse fibers
US11185749B2 (en) 2018-09-14 2021-11-30 Rawlings Sporting Goods Company, Inc. Bat having at least on disc along the length of the bat barrel
US11058934B2 (en) 2019-04-22 2021-07-13 Wilson Sporting Goods Co. Ball bat with cantilevered insert
US11224788B2 (en) 2019-10-29 2022-01-18 Easton Diamond Sports, Llc Vibration-damping end caps for ball bats
US11964195B2 (en) * 2019-10-31 2024-04-23 LeftySwag, LLC Training bat
US11325327B2 (en) 2020-08-10 2022-05-10 Wilson Sporting Goods Co. Ball bat with one-piece multi-wall barrel portion
US11890517B2 (en) 2020-08-10 2024-02-06 Wilson Sporting Goods Co. Ball bat with one-piece multi-wall barrel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1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990A (en) 1910-10-27 1912-05-21 Harrison Matson Bat.
US1509733A (en) 1921-08-23 1924-09-23 Langford John Henry Ball bat
US1650183A (en) 1926-07-21 1927-11-22 Leon D Brooks Golf club
US3116926A (en) 1962-04-16 1964-01-07 Charles W Owens Weighted baseball bat
US3830496A (en) 1971-10-14 1974-08-20 Amf Corp Bat
US3861682A (en) 1972-03-06 1975-01-21 Hirokazu Fujii Baseball bat
US3963239A (en) 1972-03-23 1976-06-15 Hirokazu Fujii Baseball bat
US3876204A (en) 1972-04-19 1975-04-08 Aluminum Co Of America Hollow ball bat with dampening means
US3877698A (en) 1973-11-28 1975-04-15 Michael A Volpe Baseball bat with replaceable ball-striking portion
US3955816A (en) 1974-03-11 1976-05-11 Bratt Leonard R Warm-up bat
US4025377A (en) 1974-03-14 1977-05-24 Yukio Tanikawa Method of producing a baseball bat
US3897058A (en) 1974-03-22 1975-07-29 Alvin F Koch Athletic testing device
US4056267A (en) 1974-05-10 1977-11-01 St. Louis Diecasting Corporation Die cast bat with rod
US4032143A (en) 1975-09-29 1977-06-28 Desoto, Inc. Composite baseball bat
US4113248A (en) 1976-05-07 1978-09-12 Aikoh Co., Ltd. Baseball bat made of light alloy
JPS55138470A (en) 1979-04-17 1980-10-29 Jiyunichi Ishii Baseball bat
US4569521A (en) 1980-08-25 1986-02-11 Mueller-Perry Co., Inc. Composite baseball bat having swaged spar and plastic foam covering
US4351786A (en) 1980-08-25 1982-09-28 Mueller-Perry Co., Inc. Method for making a stress-relieved composite foamed resin baseball bat or bowling pin
US4505479A (en) 1982-12-28 1985-03-19 Souders Roger B Weighted bat with weight securing means
US4600193A (en) 1983-09-19 1986-07-15 William Merritt Hollow bat
US4572508A (en) 1984-11-14 1986-02-25 You Chin San Composite laminated baseball bat
US4746117A (en) 1985-07-24 1988-05-24 Kansas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Tubular bats with optimized power zone
US4834370A (en) 1985-07-24 1989-05-30 Kansas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optimizing the power zone of a bat
US4848745A (en) 1986-06-04 1989-07-18 Phillips Petroleum Company Fiber reinforced article
US4961573A (en) 1988-07-25 1990-10-09 Wehrell Michael A Boxing exercise harness
US4961576A (en) 1988-11-23 1990-10-09 Sandvik Special Metals Corporation Constant wall shaft with reinforced tip
US4898386A (en) 1989-02-10 1990-02-06 Anderson Donald A Training bat
US4951948A (en) 1989-04-17 1990-08-28 Peng Jung C Shock absorbing bat
US5114144A (en) * 1990-05-04 1992-05-19 The Baum Research & Development Company, Inc. Composite baseball bat
US6152840A (en) 1990-05-04 2000-11-28 Baum; Charles S. Composite baseball bat with cavitied core
JPH0420371U (ko) 1990-06-08 1992-02-20
US5094453A (en) 1990-07-25 1992-03-10 Douglas Preston L Ball bat with inward off-set center of gravity
US5180163A (en) 1991-04-22 1993-01-19 Lanctot Paul A Baseball bat
CA2042484C (en) 1991-05-13 1996-06-25 Chin-San You Ball bat
US5219164A (en) 1991-05-31 1993-06-15 Peng Jung Ching Shock absorbing baseball bat
US5303917A (en) 1992-04-13 1994-04-19 Uke Alan K Bat for baseball or softball
USD347671S (en) 1992-11-02 1994-06-07 Weiss Twice Toys, Inc. Baseball bat
US5380003A (en) 1993-01-15 1995-01-10 Lanctot; Paul A. Baseball bat
CA2123531C (en) 1993-05-14 1999-12-28 Michael D. Eggiman Improved softball bat
US5409214A (en) 1993-07-12 1995-04-25 Mclellan-Cook Sports, Inc. Baseball bat
US5511777A (en) 1994-02-03 1996-04-30 Grover Products Co. Ball bat with rebound core
US5711726A (en) 1994-07-15 1998-01-27 Powers; Steven B. Batting simulator apparatus with force, bat angle, and velocity readout
US5456461A (en) 1994-07-27 1995-10-10 Sullivan; Michael T. Bat for baseball and softball with an attachable tip at the exterior end
US5516097A (en) 1995-04-13 1996-05-14 Huddleston; Allen D. Flexible section baseball bat
US5593158A (en) 1995-12-21 1997-01-14 Jas D. Easton, Inc. Shock attenuating ball bat
US5674138A (en) 1996-01-03 1997-10-07 Paul V. Smith, Sr. Baseball bat and practice device combination
US6056655A (en) 1996-02-02 2000-05-02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Composite bat with metal barrel area and method of fabrication
US6344007B1 (en) 1996-02-02 2002-02-05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Bat with high moment of inertia to weight ratio and method of fabrication
US5722908A (en) 1996-02-02 1998-03-03 Lisco, Inc. Composite bat with metal barrel area and method of fabrication
US5676609A (en) 1996-04-16 1997-10-14 Mollebaek; Troels Composite ball bats
US5711728A (en) * 1996-10-25 1998-01-27 Marcelo; Severino V. Shock and vibration absorbing ball bat
US6050908A (en) 1998-05-15 2000-04-18 Muhlhausen; Harry B. Training bat
AU2052800A (en) 1998-12-14 2000-07-03 James G. Tribble Metal and wood bat
US6173610B1 (en) 1998-12-23 2001-01-16 Robert L. Pace Sports swing impact speed indicator
US6511392B1 (en) 1999-02-08 2003-01-28 Haroon Chohan Baseball bat with interchangeable portions
US6224493B1 (en) 1999-05-12 2001-05-01 Callaway Golf Company Instrumented golf club system and method of use
US6280353B1 (en) 1999-07-29 2001-08-28 Scott A. Brundage Training baseball bat and method
US6334824B1 (en) 1999-08-16 2002-01-01 Jas. D. Easton, Inc. Governed performance metal shell bat
US6949038B2 (en) * 1999-09-15 2005-09-27 Wilson Sporting Goods Co. Ball bat having an insert with variable wall thickness
US6440017B1 (en) 1999-10-28 2002-08-27 Steven L. Anderson Metal bat having improved barrel structure
US6729983B1 (en) 1999-11-22 2004-05-04 Worth, Inc. Tubular sports implement with internal structural bridge
US6547673B2 (en) 1999-11-23 2003-04-15 Gary Roark Interchangeable golf club head and adjustable handle system
US6808464B1 (en) 1999-12-03 2004-10-26 Thu Van Nguyen Reinforced-layer metal composite bat
US6985876B1 (en) * 2000-02-07 2006-01-10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user of an E-commerce system to visually view and/or configure a product for purchase
US6761653B1 (en) 2000-05-15 2004-07-13 Worth, Llc Composite wrap bat with alternative designs
US6406387B1 (en) 2000-12-12 2002-06-18 Richard L. Ryan Baseball practice bat
TW462302U (en) * 2000-12-13 2001-11-01 Shyr Sheng Entpr Co Ltd Serving device for baseball
US6569042B2 (en) 2001-01-16 2003-05-27 Lachance James L. Sports swing development device
US6758771B2 (en) 2001-01-18 2004-07-06 West Virginia Bats, Llc Metal/wood bat connection assembly
US6485382B1 (en) 2001-03-09 2002-11-26 Sam Chen Bat having fiber/resin handle and metal hitting member and method of making
US6969330B1 (en) 2001-09-06 2005-11-29 Worth, Llc Polymer shell bat
US7140248B1 (en) 2002-01-22 2006-11-28 Scott Brundage Speed measuring device and method
US6612945B1 (en) * 2002-02-11 2003-09-02 Steven L. Anderson Multiple wall metal bat having independent outer wall and textured inner wall
US7410433B2 (en) 2002-04-02 2008-08-12 Wilson Sporting Goods Co. Bat handle with optimal damping
US7097578B2 (en) 2002-04-02 2006-08-29 Wilson Sporting Goods Co. Bat having a flexible handle
US6743127B2 (en) 2002-04-02 2004-06-01 Wilson Sporting Goods Co. Bat with composite handle
US20040024801A1 (en) 2002-07-31 2004-02-05 Hamilton Robert A. 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histograms with exponentially-spaced bins
USD485876S1 (en) 2003-02-19 2004-01-27 Edward Andrews Baseball bat
US6939237B1 (en) 2003-04-30 2005-09-06 Justin L. Voden Pool cue having attachable weight
US7201683B2 (en) 2003-05-05 2007-04-10 Roberto Estape Elastic grip handle for a baseball/softball bat
US7014580B2 (en) 2003-05-08 2006-03-21 Hoon/Forsythe Technologies, Llc Reconfigurable ball bat and method
US6905429B2 (en) 2003-05-08 2005-06-14 Hoonforsythe Technologies Llc Baseball bat with replaceable barrel
US6875137B2 (en) 2003-05-08 2005-04-05 Hoonforsythe Technologies Llc Reconfigurable ball bat and method
US20040266569A1 (en) 2003-06-26 2004-12-30 Davis Marc Christian Laminated ball bat with engineered sweet spot zon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128670B2 (en) * 2003-11-25 2006-10-31 Honor Life, Inc. Ball ba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4498020B2 (ja) * 2004-06-11 2010-07-07 榮士 張 バット
US7140988B1 (en) 2004-08-10 2006-11-28 Rawlings Sporting Goods Company, Inc. Bat with interchangeable handle and barrel
US8052547B2 (en) 2005-04-12 2011-11-08 Nike, Inc. Sport item handle end cap
US7201679B2 (en) * 2005-05-03 2007-04-10 Thu Van Nguyen Sectional vibration damping, flexible bat
US7207907B2 (en) * 2005-06-07 2007-04-24 Wilson Sporting Goods Co. Ball bat having windows
US20070033568A1 (en) * 2005-07-30 2007-02-08 Barrieau Shawn M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oduct customization
US7311620B1 (en) * 2006-01-17 2007-12-25 Rawlings Sporting Goods Company, Inc. Bat with interchangeable sections
US7381141B2 (en) 2006-03-02 2008-06-03 Thu Van Nguyen Multi-component bat and assembly process
US7704159B1 (en) 2006-08-24 2010-04-27 Mcdonald Mark Interchangeable golf club system
US7419446B2 (en) 2006-08-29 2008-09-02 Thu Van Nguyen Multi-component bat and assembly process
JP2008092706A (ja) 2006-10-03 2008-04-17 Nippon Densan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ディスク駆動装置
US7399235B2 (en) 2006-12-01 2008-07-15 Eaton Corporation Variable mass grip
WO2008093719A1 (ja) 2007-02-02 2008-08-07 Zett Corporation 野球又はソフトボール用バット及びそれの製造方法
US7749115B1 (en) 2008-04-02 2010-07-06 Rawlings Sporting Goods Company, Inc. Bat with circumferentially aligned and axially segmented barrel section
US7749114B2 (en) * 2008-04-22 2010-07-06 True Temper Sports, Inc. Composite bat
US7980970B2 (en) 2008-05-09 2011-07-19 Nippon Shaft Co., Ltd Bat for baseball or softball
WO2010014750A1 (en) * 2008-07-29 2010-02-04 Zazzle.Com, Inc. Product customization system and method
JP5354718B2 (ja) 2008-11-17 2013-11-27 日本発條株式会社 野球用又はソフトボール用バット
KR101764859B1 (ko) * 2009-06-30 2017-08-03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소비재의 디자인
US20110015007A1 (en) * 2009-07-17 2011-01-20 Macdougall & Sons Bat Company, Llc Baseball bat
US7942764B2 (en) 2009-10-14 2011-05-17 Min-Ju Chung Baseball bat
US20110111892A1 (en) * 2009-11-06 2011-05-12 True Temper Sports, Inc. Bat with handle having internal core memb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10111894A1 (en) * 2009-11-06 2011-05-12 True Temper Sports, Inc. Bat with internal core member
TWI393579B (zh) 2009-11-13 2013-04-21 Inst Information Industry The state of the muscle movement state analysis system,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8197366B2 (en) 2009-11-23 2012-06-12 Easton Sports, Inc. Ball bat including integral barrel features for reducing BBCOR
WO2011087805A2 (en) * 2009-12-21 2011-07-21 Shapelogic Llc Design-to-order performance equipment
US20110195808A1 (en) 2010-02-11 2011-08-11 Dewey Chauvin Ball bat having a segmented barrel
US8715118B2 (en) * 2010-11-02 2014-05-06 Wilson Sporting Goods Co. Ball bat including a barrel portion having separate proximal and distal members
US8425353B2 (en) 2010-11-19 2013-04-23 Nike, Inc. Customizable bat
WO2012094629A1 (en) * 2011-01-06 2012-07-12 Mizuno Usa, Inc. Baseball or softball bat with modified restitution characteristics
EP2786554B1 (en) * 2011-08-31 2018-05-09 Zazzle Inc. Tiling process for digital image retriev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06484A1 (en) 2014-07-24
US9731180B2 (en) 2017-08-15
KR20140095429A (ko) 2014-08-01
US9242156B2 (en) 2016-01-26
JP6393480B2 (ja) 2018-09-19
US20140206485A1 (en) 2014-07-24
CA2841525A1 (en) 2014-07-24
US9802094B2 (en) 2017-10-31
US20140206483A1 (en) 2014-07-24
US20140207607A1 (en) 2014-07-24
JP2014140747A (ja)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468B1 (ko) 볼 배트용 테이퍼형 분리 부재 및 그 사용을 위한 시스템
US11534666B2 (en) Mixed material golf club head
US8715118B2 (en) Ball bat including a barrel portion having separate proximal and distal members
US11679316B2 (en) Hockey-stick blade with tailored performance regions
US20140342854A1 (en) Bat customization system
CN101920094B (zh) 多段共固化的高尔夫球杆杆身
RU2401688C2 (ru) Хоккейная клюшка из одной полой исходной трубки
US20140343898A1 (en) Bat customization system
US10773138B2 (en) Ball bat including a fiber composite barrel having an accelerated break-in fuse region
US10625128B2 (en) Adjustable knob assembly for a ball bat
JP2007307351A (ja) 複数チューブ構造を有するホッケースティックシステム
US20140073464A1 (en) Composite bat with varying barrel thicknesses
US9220962B2 (en) Double wall ba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JP2020039927A (ja) ポリマーホーゼルを備え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186562B1 (en) Sports gear achieving specified performance criteria and the corresponding methods of making
US20080184867A1 (en) Drumstick with multiple tube structure
US20220080271A1 (en) Configurable golfing apparatus
US2017000823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ongated Article, Elongated Article, Obtainable by the Method, and Weight Distributing System, Adapted to be Provided in an Inner Cavity of the Elongated Article
WO2008129361A2 (en) Hockey stick system having a multiple tube structure with an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