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815B1 - Vmi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Vmi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815B1
KR102123815B1 KR1020180130859A KR20180130859A KR102123815B1 KR 102123815 B1 KR102123815 B1 KR 102123815B1 KR 1020180130859 A KR1020180130859 A KR 1020180130859A KR 20180130859 A KR20180130859 A KR 20180130859A KR 102123815 B1 KR102123815 B1 KR 102123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mi
push
alarm
client termina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612A (ko
Inventor
김남건
김병수
김응창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8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VM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사용자의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VMI 서비스가 실행 중이지 않거나,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 상태인 경우라도 VMI 푸시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VMI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VMI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MI Push Service}
본 실시예는 VMI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푸시 서비스를 VMI 환경에서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폰의 활성화로 최근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사용중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App으로 Web 서핑, 게임, 쇼핑, 동영상 시청 등이 가능해 모바일 기반의 다양한 Eco-system들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App들을 Device에 설치함에 따른 용량/메모리 부족, 스마트폰 성능 저하, 스마트폰 H/W 및 S/W 성능 제약에 따른 App 사용 경험 차이, 데이터 보안, 기기 교체 시 App 재설치 불편함 등 다양한 이슈들이 존재한다. 또한, 최근 스마트폰 App과 동영상의 고품질화, 대용량화 사례가 증가하면서 App 업데이트와 동영상 시청과 App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 소모량이 증가 추세이다.
이러한 On-device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상의 스마트폰 환경을 고성능의 Cloud 서버에 구축하고, 서버의 H/W, S/W 자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높은 성능과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VMI 기술이 5G Boom-up과 더불어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VMI(Virtual Mobile Infrastructure)는 가상의 스마트폰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솔루션으로, 서버에서 생성/관리/구동하는 사용자 VM(Virtual Machine) 또는 Virtual App을 개별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노출시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현재, VMI 기술의 경우 기존 PC 환경과 달리 스마트폰 H/W 제약, OS의 Cloud 서버 환경과의 환경 구성(아키텍처 등) 상이, 실시간 무선 N/W을 통한 초고속/저지연 통신 등 기술적 이슈와 Use Case에 따른 융합 기술 역량 부족 등으로 본격 상용화되지는 않았으며, 이제 B2B/B2C 시장을 대상으로 소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5G 시대에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에서 초고속/저지연 N/W 기반의 차별화된 VMI 서비스를 제공 가능토록 하면서도, 다른 기술들과의 융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VMI 푸시 관리장치가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VM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사용자의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VMI 서비스가 실행 중이지 않거나,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 상태인 경우라도 VMI 푸시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VMI(Virtual Mobile Infrastructure) 서비스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VM(Virtual Machine)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이벤트 발생 판별부;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전송과 관련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사용자의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람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푸시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VM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전송과 관련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사용자의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푸시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VM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전송과 관련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사용자의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VMI 푸시 관리장치가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VM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사용자의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VMI 서비스가 실행 중이지 않거나,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 상태인 경우라도 VMI 푸시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푸시 시스템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VMI 푸시 시스템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VMI 푸시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VMI 푸시 관리장치의 VMI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 내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VMI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푸시 시스템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종래의 푸시 시스템의 경우 푸시 서버장치가 애플리케이션 서버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토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푸시 시스템의 구성에 의하는 경우,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푸시 메시지를 보낼 경우, 사용자 A 단말기의 메시지앱 A에서 메시지 서버로 푸시 메시지를 전달하고, 메시지 서버가 사용자 B 단말기로 푸시 메시지를 전달한다.
VMI(Virtual Mobile Infrastructure)는 가상의 스마트폰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솔루션으로, 서버에서 생성/관리하는 사용자 VM(Virtual Machine)을 개별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에 노출시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VMI는 실제 단말기의 동작이 VMI 서버장치에서 구동됨으로, 푸시 서비스 또한, VMI 서버장치 위의 가상 단말기(VM) 상에서 처리된다. 즉, 사용자 A와 사용자 B가 모두 VMI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푸시 서비스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예컨대, 푸시 메시지 발신의 경우 사용자 A의 On-Device(=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VMI 서비스(=VMI Client A)가 구동되면, VMI 서버 내 가상 단말기 A(=VM A)와 연결되며, 이때, 사용자가 메시지를 입력하면 가상 단말기 A 내 메시지 앱에 입력되어, 메시지 서버로 송출된다.
이후, 메시지 서버가 푸시 대상이 되는 메시지 앱 B로 푸시 알람을 전달하면, VMI 서버장치 위의 가상 단말기 B(VM B) 내 메시지 앱 B에 푸시 알람이 도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VMI 시스템 상에서의 푸시 서비스의 경우, 실제 푸시 서비스에 대한 처리가 VMI 서버장치 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VMI 서비스에 접속되어 있지 않거나, On-Device에서 스크린이 오프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푸시 알람이 도착했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VMI 시스템 사용 시, 사용자가 On-Device에서 VMI 서비스를 미실행 중이거나 스크린 오프 상태일 경우에도 푸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를 사용자의 다양한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VMI 푸시 시스템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VMI 푸시 시스템은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 VMI 서버장치(220), 푸시 서버장치(230)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장치(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VMI 푸시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러한, VMI 푸시 시스템은 VMI 서비스 제공을 위해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와 VMI 서버장치(220) 사이에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VMI 게이트웨이가 구성요소로서 포함될 수 있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는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는 VMI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VMI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동작한다. 즉,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VMI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며, VMI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On-device에 가상의 VM(Virtual Machine)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는 실제 화면에 대해 VMI 서버장치(220)에서 실시간 인코딩 처리를 한 영상을 받아 On-device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는 VMI 게이트웨이 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사용자 인증, VMI 서비스 제공 수준(N/W 대역폭, 해상도 등) 확정, 데이터 보안 통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는 사용자 기본 정보, 디바이스의 Local 정보(H/W, S/W 등), 사용자 Action 정보(터치, 스크롤 등) 등을 수집하여 VMI 서버장치(220)로 전달한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는 환경 설정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VMI 서비스와 관련하여 다양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는 푸시 관리 애플리케이션(Push Manager Client, 212)을 탑재하여 VMI 서비스 관련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푸시 관리 애플리케이션(212)를 구동하며, 푸시 관리 애플리케이션(212)을 통해 VMI 서비스 관련 푸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알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는 탑재된 푸시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VMI 서버장치(220)와 연동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의 사용자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VM(Virtual Machine) 내 푸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집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는 상기의 VM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푸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VMI 서버장치(220)로부터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송받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VM 상에 푸시 이벤트가 발생 시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의 사용자가 VMI 서비스를 실행하고 있지 않거나, On-Device의 스크린이 오프 상태인 경우의 푸시 이벤트 발생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는 VMI 서버장치(220)로부터 전송받은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기반으로 VM 상에 푸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형태로 알려준다. 예컨대,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는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알람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알람 신호는 소리, 빛 또는 알림 창 등의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VMI 서버장치(220)는 VMI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가 사용할 VM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VMI 서버장치(220)는 사용자별 VM에 대하여 저장공간/메모리 등을 설정하고, 애플리케이션 설치/업데이트 관리, 사용자 설정값 등을 저장한다.
VMI 서버장치(22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를 통해 사용자 동작을 입력받으면, 해당 동작을 처리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로 전달한다. 예컨대, VMI 서버장치(22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동작에 기반하여 실제 화면에 대해 실시간 인코딩 처리를 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VMI 서버장치(220)는 고성능의 CPU, GPU를 탑재하여 On-device 대비 고품질 영상 및 빠른 연산 처리 기능을 제공 가능토록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VMI 서버장치(220)는 푸시 관리 애플리케이션(Push Manager, 224)을 탑재하여 VMI 서비스 관련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전송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VMI 서버장치(220)에 푸시 관리 애플리케이션(224)이 탑재되는 형태에 설명하자면, VMI 서버장치(220)는 푸시 관리 애플리케이션(224)을 임베디드(Embeded) 형태로 탑재한 상태로 구현되거나, VMI 서버장치(220) 내에 탑재되는 OS(Operating System)에 임베디드 형태로 탑재되거나,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VMI 서버장치(220) 내의 OS에 인스톨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VMI 서버장치(220)에 탑재된 푸시 관리 애플리케이션(224)은 VMI 서버장치(220)에 탑재된 다른 애플리케이션(Push Clint, 222), 예컨대, 문자 발송 애플리케이션, 음성 호 송수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송수신 애플리케이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없이 독립적인 기능으로 운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푸시 관리 애플리케이션(224)은 VMI 서버장치(220)가 수행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적 기능 또는 하드웨어적 기능을 구비한 형태로 독립적으로 운용되도록 구현되거나 VMI 서버장치(220)가 수행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적 기능 또는 하드웨어적 기능과 연동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VMI 서버장치(220)는 탑재된 푸시 관리 애플리케이션(224)이 실행되는 경우, VMI 서비스 사용자와 관련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VM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한다.
VMI 서버장치(220)는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전송과 관련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에 대한 판별결과 및 사용자 설정정보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사용자의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송하다.
VMI 서버장치(220)는 사용자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뿐만 아니라, 기 정의된 사용자의 다른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ex: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를 통해 상기의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한다.
푸시 서버장치(230)는 VMI 서버장치(220)가 VM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며, VM 식별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서버장치(240)의 IP를 포함하는 VM 등록 정보를 저장한다.
푸시 서버장치(230)는 데이터 푸시 기능을 통해 전송한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 서버장치(240)로부터 수신하여 임시로 저장한다. 이후, 푸시 서버장치(230)는 저장된 메시지를 VM 서버장치(220)로 제공한다.
한편, 푸시 서버장치(230)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장치(24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VMI 푸시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의 VMI 푸시 관리장치(300)는 실질적으로 푸시 관리 애플리케이션(224)를 탑재한 VMI 서버장치(220)의 내부 도면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러한, 푸시 관리 애플리케이션(224)를 탑재한 VMI 서버장치(220)는 별도의 장치인 VMI 푸시 관리장치(300)로 구현될 수 있으며, VMI 푸시 관리장치(3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는 각각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인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VMI 푸시 관리장치(300)는 푸시 관리 애플리케이션(224)이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VMI 푸시 관리장치(300)는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 및 알람 전송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VMI 푸시 관리장치(3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의 경우는 앞서, 사용자가 On-Device에서 VMI 서비스를 미실행 중이거나 스크린 오프 상태일 경우에도 푸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수 구성요소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VMI 푸시 관리장치(300)는 다른 기능의 구현을 위해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는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VM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는 푸시 서비스의 수신 대상이 되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 상에 VMI 서비스가 실행 중이지 않거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이를 위해,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와의 연동을 통해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의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는 푸시 서비스의 수신 대상이 되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 상에 VMI 서비스가 실행 중이지 않거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라도,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고, 이후, 알람 전송부(330)가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로 미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b를 함께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가 VM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는 VM 내 푸시 메시지에 대한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의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는 VM 내 푸시 이벤트 발생 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푸시 알람 메시지를 공유 받으며, 공유받은 푸시 알람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VM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는 FCM(Fire-base Cloud Messaging) 등 현재 서비스 중인 푸시 플랫폼의 규격에 따라 푸시 연동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이 푸시 알람 메시지를 받을 때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가 이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도록 등록 및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는 전달받은 푸시 알람 메시지를 별도 채널을 통해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별도 채널은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와 VMI 푸시 관리장치(300) 상에 형성된 별도의 추가적 푸시 채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는 도 5b에 도시하듯이,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로 제공되는 VM별로 VMI 화면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의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는 VMI 화면 내 푸시 메시지 발생에 따른 푸시 알람 메시지의 출력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의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 발생 판별부는(310)는 VMI 화면 상단의 신호 표시상태 창(ex: Annunciator) 또는 중간의 팝업 메시지 창 등을 모니터링하여, 변경 사항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가 VM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Virtual App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가상화 없이(Bare-metal) 서버용 Android상에 동작하는 Multi-user 기능을 활용하여 개인별로 App을 실행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전송과 관련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알람 전송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관련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사용자가 요청한 경우에 한해서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다른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서도 선택적으로 알람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상기의 사용자 설정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알람 전송 대상이 되는 대상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를 상기의 사용자 설정정보로서 수집할 수 있다.
알람 전송부(330)는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의 판별결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의 사용자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알람 전송 대상이 되는 대상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선정하고, 선정된 대상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푸시 메시지의 도착을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알람 전송부(300)는 대상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하여금 VM 내 푸시 메시지의 도착을 인지토록 하여 이와 관련하여 알람을 발생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슬립모드에서 동작모드로의 상태 전이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알람 전송부(330)는 이벤트 발생 판별부(310)의 판별결과에 따라 특정 VM 내 푸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VM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알람 전송부(330)는 대상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한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대상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의 경우 헤더 또는 페이로드 상에 푸시 전달, 구분, 관리를 위한 정보 예컨대, 대상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VMI Client ID)가 포함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페이로드 상에 실제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VM 내 푸시 이벤트 발생 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푸시 알람 메시지를 공유 받는 경우에 한해 적용될 수 있으며, 알람 전송부(330)는 푸시 알람 메시지의 페이로드 상에서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VMI 푸시 관리장치의 VMI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VMI 푸시 관리장치(300)는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VM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한다(S402). 단계 S402에서 VMI 푸시 관리장치(300)는 VM 내 푸시 이벤트 발생 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푸시 알람 메시지를 공유 받으며, 공유받은 푸시 알람 메시지를 토대로, VM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VMI 푸시 관리장치(300)는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210)로 제공되는 VM별로 VMI 화면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VM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VMI 푸시 관리장치(300)는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전송과 관련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수집한다(S404). 단계 S404에서 VMI 푸시 관리장치(300)는 알람 전송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를 사용자 설정정보로서 수집할 수 있다.
VMI 푸시 관리장치(300)는 단계 S402의 판별결과 및 단계 S404의 사용자 설정정보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사용자의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송한다(S406).
여기서, 단계 S402 내지 S406은 앞서 설명된 VMI 푸시 관리장치(3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응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4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기재된 VMI 푸시 관리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 220: VMI 서버장치
224: 푸시 관리 애플리케이션 230: 푸시 서버장치
240: 애플리케이션 서버장치 300: VMI 푸시 관리장치
310: 이벤트 발생 판별부 3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330: 알람 전송부

Claims (9)

  1. VMI(Virtual Mobile Infrastructure) 서비스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VM(Virtual Machine)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이벤트 발생 판별부;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전송과 관련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사용자의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람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푸시 관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전송부는,
    현재 상기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 상기 VMI 서비스가 실행 중이지 않거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푸시 관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 판별부는,
    상기 VM 내 푸시 메시지에 대한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상기 푸시 메시지 발생 시 푸시 알람 메시지를 공유받으며, 상기 푸시 알람 메시지를 통해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푸시 관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 판별부는,
    상기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상기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상기 VM의 VMI 화면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푸시 관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 판별부는,
    상기 VMI 화면 내 푸시 메시지 발생에 따른 푸시 알람 메시지의 출력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푸시 관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알람 전송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한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알람 전송부, 상기 대상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수신할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특정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푸시 관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전송부는,
    상기 대상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한 상기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푸시 관리장치.
  8. VMI 푸시 관리장치의 VMI 푸시 관리방법에 있어서,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VM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전송과 관련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사용자의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푸시 관리방법.
  9. VMI 푸시 관리장치의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VM 상에 푸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전송과 관련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사용자의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 상기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푸시 알람 도착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80130859A 2018-10-30 2018-10-30 Vmi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2123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859A KR102123815B1 (ko) 2018-10-30 2018-10-30 Vmi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859A KR102123815B1 (ko) 2018-10-30 2018-10-30 Vmi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612A KR20200048612A (ko) 2020-05-08
KR102123815B1 true KR102123815B1 (ko) 2020-06-17

Family

ID=7067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859A KR102123815B1 (ko) 2018-10-30 2018-10-30 Vmi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8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8619A1 (en) 2010-10-12 2012-04-19 Transoft (Shanghai), Inc. Client-side virtualization archite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871B1 (ko) * 2013-10-04 2020-01-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087195A (ko) * 2016-01-20 2017-07-28 장중혁 푸시 메시지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푸시 메시지 수집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8619A1 (en) 2010-10-12 2012-04-19 Transoft (Shanghai), Inc. Client-side virtualization architectur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lligent Waves Virtual Mobile Infrastructure Platform 4.1 Hypori Client (iOS) Security Target (Intelligent Waves, LLC, 2018.08.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612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13485B (zh) 云计算移动终端
CN107454416B (zh) 视频流发送方法和装置
US20190306277A1 (en) Interaction between devices displaying application status information
US9641609B2 (en) Integrated messaging
WO2021143182A1 (zh) 游戏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552450A (zh) 一种投屏方法及装置
CN111629239B (zh) 投屏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144673A (zh) 延迟减少的服务器干预式音频-视频通信
US10135768B2 (e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sent message in messenger server
JP7465370B2 (ja) 情報共有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EP3217596B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CN112383803A (zh) 信息处理方法及相关装置
CN110072269B (zh) 扫描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KR10211704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23815B1 (ko) Vmi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US11228957B2 (en) Seamless roaming of real time media sessions
GB2514093A (en) Receiving a communication event
KR101368780B1 (ko) 멀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멀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방법
KR20050105842A (ko)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메시지를 출력하는방법 및 장치
KR102282376B1 (ko)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연관 메시지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26963B1 (ko) Vmi 서비스 영상 품질변경 방법 및 장치
CN114553952B (zh) 设备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449095B (zh) 云手机截图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EP4184895A1 (en) Connection keep-alive proxy device between iot device and cloud server
KR20200044390A (ko) 특정영역에서의 vmi화면과 로컬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