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049B1 -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049B1
KR102117049B1 KR1020130167496A KR20130167496A KR102117049B1 KR 102117049 B1 KR102117049 B1 KR 102117049B1 KR 1020130167496 A KR1020130167496 A KR 1020130167496A KR 20130167496 A KR20130167496 A KR 20130167496A KR 102117049 B1 KR102117049 B1 KR 102117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eripheral device
mobile terminal
network
servic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263A (ko
Inventor
연훈제
박우진
신재식
최민석
홍문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7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049B1/ko
Priority to US14/533,681 priority patent/US9900833B2/en
Priority to EP14193232.7A priority patent/EP2890162B1/en
Publication of KR20150078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263A/ko
Priority to US15/887,461 priority patent/US1045549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기기에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서비스 목록을 상기 주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주변기기와 연결하고, 상기 주변기기에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주변기기로 전송하고, 주변기기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여, 근거리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기기들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주변기기로부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기기와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기 전에 주변기기로 서비스 목록을 전송하거나 주변기기로부터 서비스 목록을 수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기기에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서비스 목록을 상기 주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주변기기와 연결하고, 상기 주변기기에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비스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 가능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위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비스 목록을 상기 주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서비스 목록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비스 목록을 상기 주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서비스 목록을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는 BL(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기기로부터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변기기와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고, 상기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주변기기의 아이디 및 상기 서비스 명을 포함하는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주변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변기기로 상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변기기로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 및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기기에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생성하는 서비스 목록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서비스 목록을 상기 주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주변기기와 연결하고, 상기 주변기기에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비스 목록 제어부는, 상기 제공 가능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생성된 서비스 목록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생성된 서비스 목록을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기기로부터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목록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변기기와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상기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목록에 대응하는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목록을 구성하는 서비스 목록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주변기기의 아이디 및 상기 서비스 명을 포함하는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주변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변기기로 상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변기기로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 및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근거리 네트워크를 연결하지 않고 서비스 목록을 수신할 수 있어, 사용자가 불필요한 연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주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연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네트워크 상에서 이동 단말기간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목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네트워크 상에서 이동 단말기간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서비스 목록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네트워크 상에서 이동 단말기간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rwork, 30)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101, 102, 1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근거리 네트워크(30)는 BL(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단말기(101, 102, 103)는 제1 이동 단말기(101), 제2 이동 단말기(102) 및 제3 이동 단말기(10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 단말기(101, 102, 103)는 TV 수상기, 모니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태블릿 PC,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근거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동 단말기(101, 102, 103)는 동일한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단말기일 수 있으며, 다른 이동 단말기(주변기기)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이동 단말기(101)가 근거리 네트워크(30)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면(예를 들어, Wi-Fi를 On 또는 Bluetooth를 On), 근거리 네트워크(30) 인터페이스에서 방송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1 이동 단말기(101)는 근거리 네트워크(30) 인터페이스로 방송되는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동 단말기(101)는 제1 이동 단말기(101)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분석하여, 서비스 목록을 생성하고, 서비스 목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근거리 네트워크(30) 인터페이스로 방송할 수 있으며, 제1 이동 단말기(101)는 패킷을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동 단말기(101)는 서비스 목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근거리 네트워크(30)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킨 제2 이동 단말기(102) 및 제3 이동 단말기(103)와 같은 주변기기들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기기(제2 이동 단말기(102) 및 제3 이동 단말기(103))가 제1 이동 단말기(101)가 동작시킨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킨 경우, 주변기기(제2 이동 단말기(102) 및 제3 이동 단말기(103))는 제1 이동 단말기(101)가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방송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동 단말기(101)는 동일한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킨 주변기기(제2 이동 단말기(102), 제3 이동 단말기(103))에서 방송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목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패킷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비스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 단말기(101)가 표시된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의 제공을 주변기기(제2 이동 단말기(102), 제3 이동 단말기(103))로 요청하면,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기기(제2 이동 단말기(102), 제3 이동 단말기(103))와 연결되어,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킨 복수의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연결하지 않고도,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방송되는 서비스 목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여, 다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서비스 목록 제어부(110), 무선 통신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목록 제어부(110)는 이동 단말기에서 다른 주변기기로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분석하여, 서비스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공 가능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단위 데이터는 서비스에 대한 식별자 및 서비스 내용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위 데이터는 근거리 네트워크에 따라 패킷의 특정 부분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a)는 근거리 네트워크가 무선 LAN인 경우에 구성되는 패킷을 나타내며, 도 4의 (b)는 근거리 네트워크가 BT 또는 BLE인 경우에 구성되는 패킷을 나타낸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근거리 네트워크가 무선 LAN인 경우, 단위 데이터는 무선 LAN 표준인, IEEE 802.11 규격에 따라 비콘(beacon) 프레임 또는 프로브 요청/응답 프레임 등의 관리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비컨 프레임은 AP(Access Point)가 자신이 관할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존재를 주기적으로 알리는 방송 프레임을 나타낸다. 또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근처에 어떤 AP가 있는지 탐색하기 위해 보내는 프레임을 나타내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보내는 프레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데이터는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요청/응답 프레임의 정보요소(IE: Information Element)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정보요소를 구성하는 필드들은 표준에 따라 정의된 필드이며, Element ID, Length, OUI, OUI Type, PSD(Pre-connection service discovery) Attributes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PSD Attributes 필드는 서비스 목록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필드이며, PSD Attributes 필드에 복수의 단위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나머지, Element ID, Length, OUI, OUI Type은 표준에 따라 정의되는 필드로, 이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위데이터(attribute) 하나는 하나의 서비스를 나타낼 수 있으며, Attribute ID, Length, Attribute Body 필드를 포함한다. 이때, Attribute ID는 서비스에 대한 식별자를 나타내고, Length는 Attribute Body의 길이를 나타내며, Attribute Body는 서비스 내용을 나타낸다.
한편, 도 4의 (b)를 참조하면, 근거리 네트워크가 BT 또는 BLE 인 경우, 단위 데이터는 BT, BLE 프로토콜 중 advertising channel PDU(Protocol Data Unit)의 페이로드(payload) 부분에 포함될 수 있다.
단위 데이터에 대한 설명은 근거리 네트워크가 무선 LAN인 경우(도 4의 (a)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목록 제어부(110)는 수신한 패킷을 분석하여, 서비스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기기들로부터 수신한 패킷에 포함된 단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비스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20)는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부(120)는 서비스 목록 제어부(110)에서 생성된 서비스 목록을 포함하는 패킷을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방송하여, 다른 주변기기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부(120)는 서비스 목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주기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방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주변기기로부터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방송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PDP, LCD,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부(130)는 주변기기로부터 수신한 패킷에 기초하여 구성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목록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변기기의 아이디 및 서비스 이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변기기에 연결된 근거리 네트워크 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부(13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변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서비스 목록 제어부(210), 무선 통신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제어부(240), 저장부(250), 사용자 입력부(260), 센싱부(270) 및 A/V(Audio/Video) 입력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무선 통신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서비스 목록 제어부(110)는 도 2의 무선 통신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및 서비스 목록 제어부(210)에 각각 대응하는 구성으로 이하,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부(220)는 방송수신 모듈(221), 이동통신 모듈(222), 무선 인터넷 모듈(223), 근거리 통신 모듈(224), 및 GPS 모듈(2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22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22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22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22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22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2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2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2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223)은 이동 단말기(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2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225)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28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83)와 마이크(28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83)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283)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25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83)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28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22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28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6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6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3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270)는 이동 단말기(2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29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270)는 감지센서, 압력센서, 및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이동 단말기(2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이동 단말기(2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는 이동 단말기(2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는 사용환경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가 디스플레이부(230)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23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35)는 오디오 신호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오디오 출력부(235)는 음향출력 모듈과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2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2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은 이동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는 이동 단말기(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2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알람부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30)나 음향출력 모듈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2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3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23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이동 단말기(2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40)로 전송하여, 제어부(24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250)는 제어부(2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2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2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290)는 이동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29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90)는 이동 단말기(2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 단말기(2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2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은 제어부(24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24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이동 단말기(2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 2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네트워크 상에서 이동 단말기간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301)는 주변기기(예를 들어, 제2 단말기(302))에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분석하여, 서비스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주변기기에 제공 가능한 서비스는 공유 서비스, 동기화 서비스, 프린터 서비스, 네트워크 스토리지(storage) 서비스, 메신저 서비스 등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주변기기에 제공 가능한 모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 서비스는 주변기기와 다양한 컨텐츠를 공유하는 서비스이며, 동기화 서비스는 주변기기에서 재생되는 영상, 오디오 등을 단말기에서 동기화시켜 재생하는 서비스이다. 프린터 서비스는 주변기기로부터 문서 등을 수신하여, 수신된 문서를 출력하는 서비스이며, 이때, 주변기기에서 실행되고 있는 문서를 출력할 수 있는 경우에만, 서비스 목록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스토리지 서비스는 주변기기(제2 단말기)의 자료를 제1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서비스이며, 메신저 서비스는 주변기기와 단말기간에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서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단말기(301)는, 제공 가능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단위 데이터 및 패킷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5의 310단계(S310)는 도 6의 410단계(S410)에 대응한다.
제1 단말기(301)는 생성한 서비스 목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제2 단말기(302)로 전송할 수 있다(S320). 이때, 패킷은 도 4의 (a)에서 설명한 무선 LAN 표준인, IEEE 802.11 규격에 따라 비콘(beacon) 프레임 또는 프로브 요청/응답 프레임 등의 관리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의 (b)에서 설명한 BT, BLE의 advertising channel PDU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기(301)는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패킷을 주기적으로 방송하고, 동일한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킨 제2 단말기(302)는 상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320단계(S320)는 도 6의 420 단계(S420) 및 도 7의 510 단계(S510)에 대응한다.
제2 단말기(302)는 서비스 목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여, 수신한 패킷에 대응하는 서비스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S330). 이때, 제2 단말기(302)는 수신한 패킷에 포함된 단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단위 데이터에 포함된 서비스 식별자 및 서비스 내용에 기초하여, 서비스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한 패킷이 IEEE 802.11 규격에 따라 비콘(beacon) 프레임 또는 프로브 요청/응답 프레임인 경우, 제2 단말기(302)는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요청/응답 프레임의 정보요소(IE: Information Element)에 포함된 단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비스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패킷이 BT, BLE의 프로토콜인 경우, 제2 단말기(302)는 프로토콜의 페이로드 부분에 포함된 단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비스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구성된 서비스 목록은 제2 단말기(302)에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비스 목록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변기기의 아이디 및 서비스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변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서비스 목록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330 단계(S330)는 도 7의 520 단계(S520)에 대응한다.
제2 단말기(302)에 서비스 목록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표시된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340).
또한, 제2 단말기(302)는 선택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변기기(예를 들어, 제1 단말기)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50). 이에 대응하여, 제1 단말기(301)는 제2 단말기(302)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350 단계(S350)는 도 6의 430 단계(S430) 및 도 7의 530 단계(S530)에 대응한다.
제1 단말기(301)가 제2 단말기(302)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단말기(301)와 제2 단말기(302)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S360), 제1 단말기(301)는 제2 단말기(302)로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370).
한편, 도 5의 360 단계(S360) 및 370 단계(S370)은 도 6의 440 단계(S440) 및 도 7의 540 단계(S540)에 대응한다.
도 8a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200)에 서비스 목록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주변기기(601, 예를 들어, TV)는 AP(Access Point)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변기기(601)가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는 중에, 이동 단말기(602)가 주변기기(601)에 근접하여, 동일한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면, 이동 단말기(602)는 주변기기(601)를 인식하고, 주변기기 및 주변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8b를 참조하면, 주변기기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주변기기(604, 605)가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는 중에, 이동 단말기(602)가 주변기기들(604, 605)에 근접하여, 동일한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면, 이동 단말기(602)는 주변기기들(604, 605)을 인식하고, 주변기기 별로 서비스 목록(640, 650)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도 8c를 참조하면, 주변기기들에 AP 기능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주변기기들은 별도의 AP에 연결되고, 이동 단말기(602)는 AP로부터 방송되는 무선 프레임 신호를 통해 주변기기들의 서비스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이때,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목록(630)은 서비스를 나타내는 아이콘(631) 및 서비스 명(6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목록(630)은 서비스 연결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함께 표시하거나, 연결 가능한 서비스에 대해서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할 때,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로 설정된 서비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은 서비스 목록에서 별도로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주변기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개수가 많은 경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된 소정 개수의 서비스만 포함하도록 서비스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작시켜, 주변기기 및 주변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이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별도로 근거리 네트워크를 연결하지 않고도 주변기기의 서비스 목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변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서비스 목록에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단말기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user 1은 이동 단말기(710)를 나타내고, user 2는 주변기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user 1 및 user 2가 표시된 지점(721, 725)은 각각 이동 단말기(710) 및 주변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user 1 및 user 2의 상대적 위치는 상대 단말기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용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목록 및 주변기기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목록을 각각 제1 지점(721, user 1이 표시된 지점) 및 제2 지점(725, user 2가 표시된 지점)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식된 주변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과 함께 주변기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된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변기기와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6)

  1. 네트워크를 통한 주변기기와의 연결 없이, 상기 주변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에서 방송된, 서비스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변기기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고, 상기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목록은,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주변기기의 아이디 및 상기 서비스의 명칭을 포함하는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주변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변기기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변기기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요청 신호 및 상기 네트워크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BL(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7.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기기에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서비스 목록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주변기기와의 연결 없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하는 단계;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주변기기와 연결하고, 상기 주변기기에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 가능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목록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근거리의 무선 네트워크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BL(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3. 네트워크를 통한 주변기기와의 연결 없이, 상기 주변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에서 방송된 서비스 목록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변기기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상기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상기 서비스 목록은,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목록에 대응하는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목록을 구성하는 서비스 목록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주변기기의 아이디 및 상기 서비스의 명칭을 포함하는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주변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함께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변기기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변기기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요청 신호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BL(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0.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기기에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목록을 생성하는 서비스 목록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서비스 목록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주변기기와의 연결 없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하고,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주변기기와 연결하고, 상기 주변기기에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목록 제어부는,
    상기 제공 가능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생성된 서비스 목록을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이동 단말기.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근거리의 무선 네트워크인, 이동 단말기.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BL(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6.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167496A 2013-12-30 2013-12-30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17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496A KR102117049B1 (ko) 2013-12-30 2013-12-30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14/533,681 US9900833B2 (en) 2013-12-30 2014-11-05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14193232.7A EP2890162B1 (en) 2013-12-30 2014-11-14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5/887,461 US10455492B2 (en) 2013-12-30 2018-02-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496A KR102117049B1 (ko) 2013-12-30 2013-12-30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263A KR20150078263A (ko) 2015-07-08
KR102117049B1 true KR102117049B1 (ko) 2020-05-29

Family

ID=5198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496A KR102117049B1 (ko) 2013-12-30 2013-12-30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900833B2 (ko)
EP (1) EP2890162B1 (ko)
KR (1) KR1021170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3085B2 (ja) 2015-03-31 2019-06-19 Line株式会社 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51500B1 (ko) * 2015-05-12 2022-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937439B (zh) * 2018-04-09 2024-04-26 索尼公司 通信装置及通信系统
CN110830534B (zh) 2018-08-10 2022-02-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Lan服务的控制方法和通信设备
US11252636B2 (en) 2019-05-16 2022-02-15 Delta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bluetooth mesh networ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8198A (ja) * 2005-05-31 2006-12-14 Fujitsu Ltd サービス制御プログラム、サービス制御装置、およびサービス制御方法
US20120099476A1 (en) * 2010-10-20 2012-04-26 Brian Mahaffy Pre-Association Discovery
US20130250803A1 (en) * 2012-03-20 2013-09-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infrastructure service discover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1673A (ja) * 2000-09-13 2002-03-29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装置における登録情報のソート方法
US6668177B2 (en) 2001-04-26 2003-12-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rioritized icons in a mobile terminal
JP4757464B2 (ja) * 2004-08-18 2011-08-24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無線lanアクセスポイント、無線lan端末及びそれらに用いる起動制御方法
US10681151B2 (en) * 2006-05-15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otification framework for wireless networks
KR101472785B1 (ko) 2008-01-07 2014-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최적화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US8732319B2 (en) 2011-06-10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 awareness proximity-based establish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O2013032264A1 (en) 2011-09-02 201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to-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managing the same
US8656015B2 (en) 2011-09-12 2014-02-18 Microsoft Corporation Detecting device presence for a layer 3 connection using layer 2 discovery information
EP2605607B1 (en) 2011-12-12 2018-11-07 HP Printing Kore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to-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managing channel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8198A (ja) * 2005-05-31 2006-12-14 Fujitsu Ltd サービス制御プログラム、サービス制御装置、およびサービス制御方法
US20120099476A1 (en) * 2010-10-20 2012-04-26 Brian Mahaffy Pre-Association Discovery
US20130250803A1 (en) * 2012-03-20 2013-09-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infrastructure service disco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0162B1 (en) 2020-04-29
KR20150078263A (ko) 2015-07-08
US9900833B2 (en) 2018-02-20
EP2890162A1 (en) 2015-07-01
US20150189579A1 (en) 2015-07-02
US10455492B2 (en) 2019-10-22
US20180184367A1 (en)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549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900477B2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556180B1 (ko) 이동 단말기, 차량에 부착된 영상표시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CN107924213B (zh) 用于操作可从另一电子设备分离的电子设备的方法和设备
EP2754263B1 (en)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094505B1 (ko)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에 의한 BLE(Bluetooth Low Energy) 패킷 브로드캐스트 방법, 디바이스에 의한 AP(application processor)의 동작 모드 조절 방법
US8675024B2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EP2680129B1 (en) Electronic device sharing a display area and transmitting a captured screen
US20170127018A1 (en) Video interaction method, terminal, server and system
KR102089001B1 (ko) 단말기 상태에 따른 컨텐츠 수신 장치 및 방법
US20220163647A1 (en) Ranging method and device
EP2918080B1 (en) Method, device, computer-readable medium and system for sharing an output device between multimedia device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KR20150042318A (ko)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875744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3032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1569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746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68536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8811177B (zh) 一种通信方法及终端
KR20120105318A (ko)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5010653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1289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1478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N111344953A (zh) 屏幕在线分享方法及主分享终端
CN114143902A (zh) 数据传输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