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963B1 - Vmi 서비스 영상 품질변경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Vmi 서비스 영상 품질변경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963B1
KR102526963B1 KR1020180119036A KR20180119036A KR102526963B1 KR 102526963 B1 KR102526963 B1 KR 102526963B1 KR 1020180119036 A KR1020180119036 A KR 1020180119036A KR 20180119036 A KR20180119036 A KR 20180119036A KR 102526963 B1 KR102526963 B1 KR 102526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mi
service
information
video
cli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9301A (ko
Inventor
김지훈
김응창
김남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9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9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9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81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e.g. decreasing the frame rate by frame sk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05Controlling the feeding rate to the network, e.g. by controlling the video pu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VMI 서비스와 관련하여 네트워크 상태정보, VM 서비스 타입정보 및 사용자 동작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기반으로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지원되는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을 실기간으로 조절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효율적인 VMI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VMI 서비스 영상 품질변경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VMI 서비스 영상 품질변경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VMI Service Image Quality}
본 실시예는 VMI 서비스 영상 품질변경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지원되는 VM 영상의 영상 품질을 상황에 맞게 변경하여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폰의 활성화로 최근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사용중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App으로 Web 서핑, 게임, 쇼핑, 동영상 시청 등이 가능해 모바일 기반의 다양한 Eco-system들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App들을 Device에 설치함에 따른 용량/메모리 부족, 스마트폰 성능 저하, 스마트폰 H/W 및 S/W 성능 제약에 따른 App 사용 경험 차이, 데이터 보안, 기기 교체 시 App 재설치 불편함 등 다양한 이슈들이 존재한다. 또한, 최근 스마트폰 App과 동영상의 고품질화, 대용량화 사례가 증가하면서 App 업데이트와 동영상 시청과 App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 소모량이 증가 추세이다.
이러한 On-device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상의 스마트폰 환경을 고성능의 Cloud 서버에 구축하고, 서버의 H/W, S/W 자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높은 성능과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VMI 기술이 5G Boom-up과 더불어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VMI(Virtual Mobile Infrastructure)는 가상의 스마트폰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솔루션으로, 서버에서 생성/관리하는 사용자 VM(Virtual Machine)을 개별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노출시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현재, VMI 기술의 경우 기존 PC 환경과 달리 스마트폰 H/W 제약, OS의 Cloud 서버 환경과의 환경 구성(아키텍처 등) 상이, 실시간 무선 N/W을 통한 초고속/저지연 통신 등 기술적 이슈와 Use Case에 따른 융합 기술 역량 부족 등으로 아직 B2B/B2C 시장에 정식 상용화 된 사례는 없다.
이에, 5G 시대에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에서 초고속/저지연 N/W 기반의 차별화된 VMI 서비스를 제공 가능토록 하면서도, 다른 기술들과의 융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VMI 서비스와 관련하여 네트워크 상태정보, VM 서비스 타입정보 및 사용자 동작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기반으로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지원되는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을 실기간으로 조절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효율적인 VMI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VMI(Virtual Mobile Infrastructure) 서비스와 관련하여 네트워크 상태정보, VM 서비스 타입정보 및 사용자 동작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지원되는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 변경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VM 영상에 대한 전송 비트레이트 값을 적응적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서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VMI 서비스와 관련하여 네트워크 상태정보, VM 서비스 타입정보 및 사용자 동작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지원되는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 변경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하는 과정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VM 영상에 대한 전송 비트레이트 값을 적응적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 영상 품질 변경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VMI 서비스와 관련하여 네트워크 상태정보, VM 서비스 타입정보 및 사용자 동작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지원되는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 변경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하는 과정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VM 영상에 대한 전송 비트레이트 값을 적응적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VM 영상 품질 변경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VMI 서비스와 관련하여 네트워크 상태정보, VM 서비스 타입정보 및 사용자 동작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기반으로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지원되는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을 실기간으로 조절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효율적인 VMI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En/Decoding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고, 불필요한 N/W Traffic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VMI Client에서는 끊기지 않는 Frame 단위의 영상을 받아 고객 체감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On-device 환경과 최대한 차이가 없는 VMI 서비스 환경 제공이 가능하고, VMI Server의 CPU/GPU 자원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VMI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VMI 서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VM 영상 품질 변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는 본 실시예에 따른 VM 영상 품질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VM 영상 품질 변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VMI(Virtual Mobile Infrastructure)는 가상의 스마트폰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솔루션으로, 서버에서 생성/관리하는 사용자 VM(Virtual Machine)을 개별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에 노출시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VMI 기술과 관련하여 모바일 기기들에서 초고속/저지연 N/W 기반의 차별화된 VMI 서비스를 제공 가능토록 하면서도, 다른 기술들과의 융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동작, 사용중인 App/Web/컨텐츠 상태, 디바이스의 N/W 품질 상태에 따라 비트레이트(Bitrate)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VMI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VMI 서비스 시스템(100)은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 VMI 게이트웨이 장치(120) 및 VMI 서버장치(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VMI 서비스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러한, VMI 서비스 시스템(100)은 다른 기능의 구현을 위해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VMI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VMI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동작한다. 즉,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VMI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며, VMI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On-device에 가상의 VM(Virtual Machine)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실제 화면에 대해 VMI 서버장치(130)에서 실시간 인코딩 처리를 한 VM 영상 화면을 받아 On-device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VM 영상 화면은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프레임 단위로 전송되며,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와 VMI 서버장치(13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최초 접속 시 필요한 정보를 교환한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VMI 최초 영상 품질 설정을 위해 VMI 서버장치(130)로 영상 품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한편,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가 VMI 서버장치(130)로 영상 품질 요청 메시지로 교환되는 패킷 정보는 도 4와 같으며, 별도의 시그널링 프로토콜 등을 통해 교환 가능하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VMI 게이트웨이 장치(120)에 인증 요청을 한 후 사용 허가를 받으면 상기의 영상 품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VMI 서버장치(130)로부터 영상 품질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응답 정보 패킷을 수신하며, 이를 기반으로 VMI 서버장치(130)가 제시한 만료(Expire) 시간 동안 비트레이트를 유지하여 프레임을 받는다.
즉,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와 VMI 서버장치(13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VM(Virtual Machine)에 대해 "Bitrate", "Expire" 값을 저장한다. 이때, "Expire" 값은 실시간으로 시간이 경과하면 값이 감소하며, "Expire" 값이 0이되면,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VMI 서버장치(130)에 "Bitrate" 갱신을 요청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VMI 서비스 사용 중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의 변경 즉, 비트레이트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 VMI 서버장치(130)와 영상 품질 변경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VMI 서버장치(130)로 On-device의 네트워크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품질 변경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의 네트워크 상태정보에 따라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예컨대,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On-device의 N/W(Lte, 5G, Wi-Fi 등) 품질이 일정 기준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의 영상 품질 변경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VMI 서버장치(130)로부터 영상 품질 변경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이를 기반으로 VMI 서버장치(130)가 새로이 제시한 "Bitrate", "Expire" 값에 기반하여 프레임을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VMI 서버장치(130)로부터 영상 품질 변경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동작, 사용중인 App/Web/컨텐츠 상태에 따라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VMI 서버장치(130)로부터 수신한 영상 품질 변경 메시지 내 제시된 "Bitrate", "Expire" 값에 기반하여 프레임을 수신한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VMI 게이트웨이 장치(120)와 연결되어 사용자 인증, VMI 서비스 제공 수준(N/W 대역폭, 해상도 등) 확정, 데이터 보안 통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사용자 기본 정보, 디바이스의 Local 정보(H/W, S/W 등), 사용자 Action 정보(터치, 스크롤 등) 등을 수집하여 VMI 서버장치(130)로 전달한다.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환경 설정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VMI 서비스와 관련하여 다양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VMI 게이트웨이 장치(120)는 VMI 서비스 제공을 위해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 및 VMI 서버장치(130) 사이에 중개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즉, VMI 게이트웨이 장치(12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결과에 따라 VMI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적절한 VMI 서버장치(130)와의 연결을 중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VMI 게이트웨이 장치(12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부터 VMI 서비스와 관련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정보를 VMI 서버장치(130)로 전달하고, VMI 서버장치(130)로부터의 응답을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VMI 게이트웨이 장치(12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부터 사용자 Action 정보(터치, 스크롤 등) 등을 수신하여 VMI 서버장치(130)로 전달하고, 이에 대응하여, VMI 서버장치(130)로부터 인코딩된 영상을 제공받아,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 전달할 수 있다.
VMI 게이트웨이 장치(120)는 외부 장치 예컨대, 이동통신 인프라(MNO Infra)의 가입자 관리 서버 및 부가서비스 서버 등과 연동하여 사용자 기본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VMI 서버장치(130)는 VMI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가 사용할 VM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VMI 서버장치(130)는 사용자별 VM에 대하여 저장공간/메모리 등을 설정하고, 애플리케이션 설치/업데이트 관리, 사용자 설정값 등을 저장한다.
VMI 서버장치(13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를 통해 사용자 동작을 입력받으면, 해당 동작을 처리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 전달한다. 예컨대, VMI 서버장치(13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동작에 기반하여 실제 화면에 대해 실시간 인코딩 처리를 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VMI 서버장치(130)는 고성능의 CPU, GPU를 탑재하여 On-device 대비 고품질 영상 및 빠른 연산 처리 기능을 제공 가능토록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VMI 서버장치(130)는 VMI 최초 영상 품질 설정을 위해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와의 연동을 통해 영상 품질 요청 메시지를 교환한다. 이후, VMI 서버장치(13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부터의 영상 품질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응답 정보 패킷을 송신한다. 한편, VMI 서버장치(130)가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응답 정보 패킷의 정보는 도 5와 같으며, 별도의 시그널링 프로토콜 등을 통해 교환 가능하다. 예컨대, 응답 정보 패킷 상에는 VM 영상을 전송한 비트레이트의 크기("Bitrate") 및 영상 품질 유지 시간("Expire")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VMI 서버장치(130)는 영상 품질 설정 과정에서, N/W Slicing 및 Zero Rating을 위한 정보를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와 추가로 교환할 수 있다. N/W Slicing은 5G의 주요 특징 중 하나로, 하나의 물리적 N/W 위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다양한 서비스 타입을 위한 전용 N/W를 구성하는 기술이다. VMI 서비스의 경우, eMBB Slice를 부여할 수 있지만, 초저지연 실시간 VM 영상 전송을 위해 URLCC Slice 부여도 가능하다. Zero Rating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사용에 대해 비과금 처리를 하며, 가입자별 요금제 확인과 N/W Slicing을 통해 제공 가능하다. 이러한, N/W Slicing 및 Zero Rating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 VMI 서버장치(130)와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과 교환하는 세부 메시지 패킷 정보는 도 6 및 도 7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VMI 서버장치(130)는 VMI 서비스 사용 중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의 변경 즉, 비트레이트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와 영상 품질 변경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VMI 서버장치(130)는 사용자 동작, 사용중인 App/Web/컨텐츠 상태, 디바이스의 N/W 품질 상태에 따라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을 적응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VMI 서버장치(13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부터 On-device의 네트워크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품질 변경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VMI 서버장치(13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VM(Virtual Machine) 상에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웹 및 동영상에 대한 타입정보 및 사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VMI 서버장치(13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VMI 서버장치(130)가 사용자 동작, 사용중인 App/Web/컨텐츠 상태, 디바이스의 N/W 품질 상태에 따라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을 적응적으로 조정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후술토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VMI 서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VMI 서버장치(130)는 데이터 수집부(200), 판단부(210) 및 서비스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VMI 서버장치(13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2의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VM 영상 품질 변경을 위한 VMI 서버장치(130)의 필수 구성요소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VMI 서버장치(130)는 다른 기능의 구현을 위해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데이터 수집부(20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 및 외부 장치 예컨대, 이동통신 인프라(MNO Infra)의 가입자 관리 서버 및 부가서비스 서버 등과 연동하여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200)는 VMI 서비스와 관련하여 네트워크 상태정보, VM 서비스 타입정보 및 사용자 동작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품질 변경 항목정보로서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품질 변경 항목정보는 이후, 판단부(210)가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지원되는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 변경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있어서, 기준 파라미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품질 변경 항목정보로서 수집되는 정보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20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와의 연동을 통해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부터 수집한 On-device의 네트워크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네트워크 상태정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품질 변경 메시지 내 포함되는 형태로 데이터 수집부(200)로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네트워크 품질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VM 영상의 품질을 낮추기 위한 영상 품질 변경 메시지를 데이터 수집부(200)로 전송하며, 이때, "Expected_bitrate" 값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네트워크 품질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VM 영상의 품질을 높히기 위한 영상 품질 변경 메시지를 데이터 수집부(200)로 전송하며, 이때, "Expected_bitrate" 값은 1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수집부(20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부터 On-device의 네트워크 상태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한해서 상기의 네트워크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수집부(20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의 네트워크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20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VM 상에 현재 실행 중인 VM 서비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웹 및 동영상에 대한 타입정보 및 사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VM 서비스 타입정보로서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입정보로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VM 서비스의 종류(ex: 동영상 Play) 및 카테고리 정보(ex: 뉴스 웹, 게임 APP) 등이 수집될 수 있다. 사용정보로는 해당 VM 서비스에 대한 자원 소모량(ex: CPU/GPU 자원, 사용 데이터 등)이 수집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200)는 VM 내부의 애플리케이션 등의 사용 내역을 바탕으로 상기의 VM 사용 내역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수집부(200)는 VM 상에서 현재 실행되는 APP 정보(App ID, 화면 전환 이벤트 등)을 모니터링하고, CPU.GPU 사용랑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20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부터 VMI 서비스와 관련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사용자 동작정보로서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수집부(200)는 가상 키보드 혹은 펜과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해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의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입력 등이 발생한 경우, 이를, 사용자 입력 이벤트로서 수집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데이터 수집부(20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스크롤 등의 동작이 발생할 때마다, 이를 사용자 동작정보로서 추가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200)는 이동통신 인프라(MNO Infra)의 가입자 관리 서버 및 부가서비스 서버 등과 연동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기본정보(ex: 요금제, 잔여 데이터 등) 및 서비스 정책(ex: Zero_Rating 정책 등) 등을 추가로 수집할 수 있다.
판단부(210)는 데이터 수집부(200)를 통해 수집된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기반으로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지원되는 VM 영상에 대한 품질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판단부(210)는 데이터 수집부(200)를 통해 수집된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품질변화, 기 정의된 타임정보에 상응하는 VM 서비스의 실행 여부 및 사용자 입력 이벤트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요건에 대한 매칭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의 품질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판단부(210)는 품질 변경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 및 관련된 정보들을 서비스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서비스 제어부(220)는 데이터 수집부(200)를 통해 수집된 품질 변경 항목정보 및 판단부(210)의 판단결과를 토대로, VM 영상에 대한 전송 비트레이트 값을 적응적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부(220)는 네트워크 품질변화, 기 정의된 타임정보에 상응하는 VM 서비스의 실행 여부 및 사용자 입력 이벤트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요건에 기반하여 VM 영상에 대한 전송 비트레이트 값을 적응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220)는 네트워크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의 네트워크 품질이 낮아진 경우에는 전송 비트레이트 값이 현재보다 작게 설정되도록 조정하고,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의 네트워크 품질이 높아진 경우에는 전송 비트레이트 값이 현재보다 크게 설정되도록 조정한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220)는 VM 서비스 타입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VM 상에서 제공 중인 VM 서비스에 대한 자원 소모량 및 서비스 정책 적용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확인결과에 따라 전송 비트레이트 값을 적응적으로 조정한다. 예컨대, 서비스 제어부(220)는 동영상 Play 및 게임 APP 같이 CPU/GPU 자원을 많이 소모하는 VM 서비스가 VM 상에서 실행 중인 경우에는 전송 비트레이트 값이 현재보다 작게 설정되도록 조정한다. 반대로, 서비스 제어부(220)는 뉴스/포탈 APP 및 런처 화면과 같이 CPU/GPU 자원을 적게 소모하는 VM 서비스가 VM 상에서 실행 중인 경우에는 전송 비트레이트 값이 현재보다 크게 설정되도록 조정한다.
서비스 제어부(22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낮은 요금제를 쓰거나 정책 상 잔여 데이터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남은 경우, 전송 비트레이트 값이 현재보다 작게 설정되도록 조정함으로써 화면 압축률을 크게 조정하고, 이를 통해, 최대한 저용량 영상으로 VM 영상이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 제어부(220)는 현재 VM 상에서 실행 중인 VM 서비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이 Zero Rating 대상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사용자 만족도 제고 및 B2B 데이터 수익성 개선, VMI 서비스 활성화 측면에서 전송 비트레이트 값이 현재보다 크게 설정되도록 조정한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220)는 사용자 동작정보를 기반으로, 텍스트 정보 입력을 포함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 발생이 인지되는 경우 전송 비트레이트 값이 현재보다 작게 설정되도록 조정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가상 키보드), 펜으로 필기 입력 등을 수행할 시 기존 화면을 점유하게 된다. 이런 경우, 기존의 APP/Web/동영상 화면은 입력 화면에 가려지게 되어 사용자는 입력 화면을 주시하므로, 현재 보다 낮은 비트레이트로 설정 가능하다.
서비스 제어부(220)는 사용자 동작정보를 기반으로,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의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대한 통계 분석을 수행하고, 사용자 행동 통계 데이터 및 기 정의된 기준 행동 통계 데이터에 대한 비교결과에 따라 전송 비트레이트 값을 적응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어부(220)는 사용자 터치 간격(시간), 스크롤 하는 속도 등을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저장하여 통계를 계산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터치/스크롤 속도를 미리 예측해서 전송 비트레이트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제어부(220)는 일정수준의 시간 기준값을 두어 수집한 터치 간격, 스크롤 속도의 통계값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화면이 천천히 움직이므로 전송 비트레이트 값을 변경하지 않고 현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터치 간격, 스크롤 속도 통계값이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화면이 빠르게 움직이므로 전송 비트레이트 값을 현재보다 작게 설정한다.
서비스 제어부(220)는 설정된 전송 비트레이트 값을 포함하는 영상 품질 변경 메시지를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예컨대, 이러한, 서비스 제어부(220)의 영상 품질 변경 메시지는 도 9 내지 도 1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VM 영상 품질 변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VMI 서버장치(130)는 VMI 서비스와 관련하여 네트워크 상태정보, VM 서비스 타입정보 및 사용자 동작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수집한다(S302). 단계 S302에서 VMI 서버장치(130)는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 및 외부 장치 예컨대, 이동통신 인프라(MNO Infra)의 가입자 관리 서버 및 부가서비스 서버 등과 연동하여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VMI 서버장치(130)는 단계 S302에서 수집된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기반으로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지원되는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 변경여부를 판단한다(S304).
VMI 서버장치(130)는 단계 S304의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VM 영상에 대한 전송 비트레이트 값을 적응적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다(S306). 단계 S306에서 VMI 서버장치(130)는 네트워크 품질변화, 기 정의된 타임정보에 상응하는 VM 서비스의 실행 여부 및 사용자 입력 이벤트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요건에 기반하여 VM 영상에 대한 전송 비트레이트 값을 적응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302 내지 S306은 앞서 설명된 VMI 서버장치(13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응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3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VM 영상 품질 변경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VMI 서비스 시스템 110: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
120: VMI 게이트웨이 장치 130: VMI 서버장치
200: 데이터 수집부 210: 판단부
220: 서비스 제어부

Claims (11)

  1. VMI(Virtual Mobile Infrastructure) 서비스와 관련하여 네트워크 상태정보, VM 서비스 타입정보 및 사용자 동작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지원되는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 변경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VM 영상에 대한 전송 비트레이트 값 및 영상 품질 유지시간을 적응적으로 조정하여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서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품질 변경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VMI 서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상응하여 지원되는 VM(Virtual Machine) 상에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웹 및 동영상에 대한 타입정보 및 사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VM 서비스 타입정보로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서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상기 사용자 동작정보로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서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품질변화, 기 정의된 타입정보에 상응하는 VM 서비스의 실행 여부 및 사용자 입력 이벤트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요건에 대한 매칭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영상 품질 변경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서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네트워크 품질이 낮아진 경우에는 상기 전송 비트레이트 값이 현재보다 작게 설정되도록 조정하고, 상기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네트워크 품질이 높아진 경우에는 상기 전송 비트레이트 값이 현재보다 크게 설정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서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VM 서비스 타입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VM 상에서 제공 중인 VM 서비스에 대한 자원 소모량 및 서비스 정책 적용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레이트 값을 적응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서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동작정보를 기반으로, 텍스트 정보 입력을 포함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 발생이 인지되는 경우 상기 전송 비트레이트 값이 현재보다 작게 설정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서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동작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행동패턴에 대한 통계분석을 수행하고, 사용자 행동 통계 데이터 및 기 정의된 기준 행동 통계 데이터에 대한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레이트 값을 적응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I 서버장치.
  10. VMI 서비스와 관련하여 네트워크 상태정보, VM 서비스 타입정보 및 사용자 동작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과정;
    상기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지원되는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 변경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하는 과정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VM 영상에 대한 전송 비트레이트 값 및 영상 품질 유지시간을 적응적으로 조정하여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 영상 품질 변경방법.
  11.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VMI 서비스와 관련하여 네트워크 상태정보, VM 서비스 타입정보 및 사용자 동작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과정;
    상기 품질 변경 항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VMI 서비스에 상응하여 VMI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지원되는 VM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 변경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하는 과정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VM 영상에 대한 전송 비트레이트 값 및 영상 품질 유지시간을 적응적으로 조정하여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과정
    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VM 영상 품질 변경 프로그램.
KR1020180119036A 2018-10-05 2018-10-05 Vmi 서비스 영상 품질변경 방법 및 장치 KR102526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036A KR102526963B1 (ko) 2018-10-05 2018-10-05 Vmi 서비스 영상 품질변경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036A KR102526963B1 (ko) 2018-10-05 2018-10-05 Vmi 서비스 영상 품질변경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301A KR20200039301A (ko) 2020-04-16
KR102526963B1 true KR102526963B1 (ko) 2023-04-27

Family

ID=7045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036A KR102526963B1 (ko) 2018-10-05 2018-10-05 Vmi 서비스 영상 품질변경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9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3166A1 (en) * 2013-08-27 2015-03-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9005B2 (en) * 2013-03-07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ing system with contextual interac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821388B1 (ko) * 2015-12-03 2018-01-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망 품질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3166A1 (en) * 2013-08-27 2015-03-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301A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8014B2 (en) Scheduling of application preloading in user devices
US20210243483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providing panoramic video content to a mobile device from an edge server
US11483415B2 (en) Background pre-rendering of user applications
Sardis et al. On the investigation of cloud-based mobile media environments with service-populating and QoS-aware mechanisms
US11489941B2 (en) Pre-loading of user applications including skipping of selected launch actions
CN111135569A (zh) 云游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US20230300203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related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duct
US20150288619A1 (en) Distributed service management platform
US101106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tering bandwidth consumption
CN102984189A (zh) 一种无线网络及其实现方法、终端
CN111090691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70222820A1 (en) Collaborative policy management strategies at a mobile device
CN113117326A (zh) 一种帧率控制方法和装置
KR102526963B1 (ko) Vmi 서비스 영상 품질변경 방법 및 장치
US7441086B2 (en) Data cach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a program executing the method
US20230379763A1 (en) Dynamic continuous quality of service adjustment system
KR20160097957A (ko) 캐시 장치를 이용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및 캐시 장치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35077B1 (ko) 서비스 사용 통계 데이터를 이용한 vmi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2537913B1 (ko) 특정영역에서의 vmi화면과 로컬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552754B1 (ko) 서비스 이용 이력정보를 이용한 vmi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2552753B1 (ko) 딜레이 절감을 위한 vmi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066982B1 (ko) 통신 자원 할당 방법
KR102123815B1 (ko) Vmi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2107374B1 (ko) 가상화 기반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era-Ampornpunt Improving Failure Managemen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Mobile Devices and Cellular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